KR102033344B1 - 선풍기 - Google Patents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344B1
KR102033344B1 KR1020180037314A KR20180037314A KR102033344B1 KR 102033344 B1 KR102033344 B1 KR 102033344B1 KR 1020180037314 A KR1020180037314 A KR 1020180037314A KR 20180037314 A KR20180037314 A KR 20180037314A KR 102033344 B1 KR102033344 B1 KR 102033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fan
electric motor
air
va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4503A (ko
Inventor
박채원
진정하
이관철
Original Assignee
박채원
진정하
이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채원, 진정하, 이관철 filed Critical 박채원
Priority to KR1020180037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344B1/ko
Publication of KR20190114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5Decorative aspects, i.e. features which have no effect on the functioning of the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3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pecially for fans, e.g. fan 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는 외부 전원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 모터; 상기 전동 모터와 결합하여 상기 전동 모터의 구동에 따라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외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 날개; 상기 회전 날개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전 날개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는 보호망; 및 상기 보호망의 하측과 결합되되, 내부에 상기 전동 모터를 수용하는 원통형의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날개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회전 날개, 제2 회전 날개 및 제3 회전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풍기{A FAN}
본 발명은 선풍기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풍기의 날개를 원통형 중심축의 외측에 부착하여 바람을 상부 방향으로 발생시키고 복수의 날개 각각을 공간적인 차이를 두면서 동시에 상이한 형상으로 구현하여 회오리 바람을 일으킴으로써,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바람을 쐬어 일어날 수 있는 저체온증 등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선풍기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선풍기는 가정, 사무실 등에서 하나 이상 배치되는 현대인의 필수적인 가전제품 중 하나로서, 최근에는 에어컨의 보급으로 인해 선풍기의 사용 비율이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기는 하나, 에어컨의 높은 전기 요금, 많은 사용 전력 등의 문제로 인해 많은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여전히 선풍기의 사용이 많다.
이와 같은 선풍기는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이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천장 선풍기(ceiling fan)의 경우에는 직경이 1m 이상인 것도 있으며, 통상은 천장에 매달리게 설치해서 아래로 향하는 공기 흐름을 제공함으로써, 실내를 냉각시킬 수 있다. 한편, 탁상 선풍기는 직경이 대략 30cm인 것도 많고, 통상은 자립형이며 휴대가 가능하다. 스탠드형 좌대 선풍기(floor-standing pedestal fan)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구동 장치를 지지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좌대(height adjustable pedestal)와, 통상 300 l/s(초당 300리터)부터 500 l/s까지의 공기 흐름을 생성하기 위한 날개 세트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선풍기는 회전 각도에 제한이 있으므로, 장기간 이용시 저체온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다양한 각도의 바람을 제공받기 위해서는 여러 대의 선풍기를 다양한 방향으로 설치하여야 한다는 제약이 있다.
또한, 종래의 선풍기는 후면 공기를 흡입하여 전면으로 공급하므로, 선풍기를 동작시켰을 때 선풍기 주변의 공기가 오염되거나 먼지가 많으면 오염된 공기나 먼지가 직접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되어 사용자의 불쾌감을 유발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선풍기의 날개를 원통형 중심축의 외측에 부착하여 바람을 상부 방향으로 발생시키고 복수의 날개 각각을 공간적인 차이를 두면서 동시에 상이한 형상으로 구현하여 회오리 바람을 일으킴으로써,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바람을 쐬어 일어날 수 있는 저체온증 등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풍기에 방향제, 방충제 및 탈취제를 넣어 사용함으로써, 악취를 방지하고, 해충을 퇴치시킬 수 있는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풍기의 바람이 전방향으로 균일하게 송풍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여러 대의 선풍기를 동시에 사용하는 효과를 가져오는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는 외부 전원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 모터; 상기 전동 모터와 결합하여 상기 전동 모터의 구동에 따라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외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 날개; 상기 회전 날개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전 날개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는 보호망; 및 상기 보호망의 하측과 결합되되, 내부에 상기 전동 모터를 수용하는 원통형의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날개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회전 날개, 제2 회전 날개 및 제3 회전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회전 날개, 상기 제2 회전 날개 및 상기 제3 회전 날개 각각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서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이한 라인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회전 날개, 상기 제2 회전 날개 및 상기 제3 회전 날개가 상기 회전축에 대해 배치되는 각도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 날개는 곡률을 갖는 나선형으로 구비되되, 상기 회전축의 하단 방향으로 갈수록 크기가 커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전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 외부 공기를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시키는 공기 흡입부; 및 상기 공기 흡입부와 연통하여 상기 유입된 외부 공기를 상기 회전 날개 방향으로 전달하는 송풍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 흡입부는 상기 외부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일 영역에 구비되어 사운드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피커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기반으로 음악 파일을 재생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일 영역에 구비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외부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스피커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호망은 상단에 방향제, 방충제 및 탈취제 중 적어도 하나를 삽입하거나 인출하는 수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에 의하면, 선풍기의 날개를 각각 달리 배치함으로써, 직접적으로 바람을 쐬어 일어날 수 있는 저체온증 등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에 의하면, 선풍기에 방향제, 방충제 및 탈취제를 넣어 사용함으로써, 악취를 방지하고, 해충을 퇴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에 의하면, 선풍기의 바람이 전방향으로 균일하게 송풍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여러 대의 선풍기를 동시에 사용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1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1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100)의 일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100)의 일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100)의 일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100)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100)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10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100)는 전동 모터(10), 회전축(20), 회전 날개(21), 보호망(30), 하우징(40), 스위치부(60) 및 이동부(70)로 구성될 수 있다.
전동 모터(10)는 외부 전원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동 모터(10)는 일 측에 연결된 전선에 의해 외부 전원이 공급되면 일 방향으로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즉, 외부 전원이 공급된 전동 모터(10)는 일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선풍기(100) 주변의 외부 공기를 흡입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전동 모터(10)는 수용 공간이 구비된 하우징(4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회전축(20)은 전동 모터(10)와 결합하여 전동 모터(10)의 구동에 따라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축(20)은 일정한 길이의 봉 형상으로 구비되어 회전축(20)의 일 측이, 보다 특정하게는 회전축(20)의 하측이 전동 모터(10)와 직접 결합할 수 있다. 즉, 전동 모터(10)와 직결된 회전축(20)은 전동 모터(10)의 구동에 의해 전동 모터(1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는 선풍기(100)의 회전축(20)이 원통의 봉 구조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형상을 갖는 회전축(20)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날개(21)는 회전축(20)의 외측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날개(21)는 회전축(20)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회전축(20)의 길이를 따라 축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회전 날개(21)는 바람직하게는, 제1 회전 날개(21-1), 제2 회전 날개(21-2) 및 제3 회전 날개(21-3)를 포함하는 그룹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회전 날개(21-1), 제2 회전 날개(21-2) 및 제3 회전 날개(21-3) 각각은 이하 상술되는 바와 같이, 회전축(20)의 외주면에서 회전축(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라인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이한 라인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회전 날개(21-1), 제2 회전 날개(21-2) 및 제3 회전 날개(21-3)는 회전축(20)의 외주면을 따라 각각 상이한 높이에 고정 배치될 수 있으며, 이들의 공간적 차이에 따라 회전축(2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나선형 바람(예를 들어, 회오리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 날개(21-1), 제2 회전 날개(21-2) 및 제3 회전 날개(21-3)은 회전축(20)에 대해 각각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져 배치되거나 또는 각각 상이한 각도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회전 날개(21)는 바람직하게는, 회전축(20)으로부터 45° 기울어져 회전축(20)의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날개(21)는 곡률의 나선형으로 구비되되, 회전축(20)의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크기가 점차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회전 날개(21) 각각은 크기와 각도 및 위치를 다양하게 변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적의 바람을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서 회전 날개(21)가 3개의 날개 그룹(21-1, 21-2, 21-3)으로 구성되고 날개 그룹(21-1, 21-2, 21-3) 각각이 3개의 개별 날개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기술하였지만, 회전 날개 그룹의 개수 및 각 그룹의 날개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 또는 구현예에 따라 가변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보호망(30)은 회전 날개(21)의 외측에서 회전 날개(21)를 감싸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망(30)은 회전 날개(21)를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그릴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 날개(21)의 회전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보호망(30)은 상단에 방향제, 방충제 및 탈취제 중 적어도 하나를 삽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선풍기(100)를 동작시켰을 때 장착된 방향제 또는 방충제의 종류에 따라 탈취 효과 또는 해충 퇴치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하우징(40)은 내부에 전동 모터(10)를 수용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보호망(30)의 하측과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40)은 하우징(40)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되, 전동 모터(10)의 구동에 의해 외부 공기를 하우징(40)으로 유입시키는 공기 흡입부(41); 및 하우징(40)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를 회전 날개(21) 방향으로 전달하는 송풍구(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송풍구(42)는 공기 흡입부(41)와 연통하여 하우징(40)의 상부면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공기 흡입부(41)는 적어도 일 영역에 외부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를 구비하여 하우징(40)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 먼지를 차단시킬 수 있다.
스위치부(60)는 하우징(40)의 일 영역에 구비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부(60)는 누름 스위치로 구현되어 선풍기(10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스위치부(60)를 조작하여 전동 모터(10)를 구동시키면 외부 공기가 공기 흡입부(41)로 유입되어 송풍구(42)를 통해 외부로 송풍될 수 있다.
이동부(70)는 하우징(40)의 저면에 하우징(4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되, 전진, 후진 및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부(70)는 하우징(40)의 좌측 및/또는 우측에 복수의 이동 수단(예를 들어, 바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이동부(70)를 통해 선풍기(100)를 원하는 장소로 편리하게 옮김으로써,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는 선풍기(100)의 이동부(70)가 바퀴 구조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형태의 이동부(7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100)의 일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c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용어 및 도면부호를 지칭하며, 반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전술한 도 1 및 도 2의 설명을 참조한다. 하기에는 실시예 간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선풍기(100)는 다양한 형상을 갖는 회전 날개(2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날개(21)는 회전축(20)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1 회전 날개(21-1), 제2 회전 날개(21-2) 및 제3 회전 날개(21-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회전 날개(21-1), 제2 회전 날개(21-2) 및 제3 회전 날개(21-3)는 곡률을 갖는 나선형으로 구비되되, 각각은 상이한 크기로 구비되어 회전축(20)에 대해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져 배치되거나(도 3a), 또는 동일한 크기로 구비되어 회전축(20)에 대해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져 배치되거나(도 3b), 또는 상이한 크기로 구비되어 회전축(20)에 대해 상이한 각도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도 3c). 또한, 예를 들어, 제1 회전 날개(21-1), 제2 회전 날개(21-2) 및 제3 회전 날개(21-3)는 회전축(20)의 하단 방향으로 갈수록 크기가 점차적으로 커지거나 또는 크기가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a 내지 도 3c는 선풍기(100)의 회전 날개(21)가 나선형 구조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형상을 갖는 회전 날개(2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100)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5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용어 및 도면부호를 지칭하며, 반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c의 설명을 참조한다. 하기에는 실시예 간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선풍기(100)는 하우징(40)의 일 영역에, 예를 들어 하우징(40)의 상부면에 사운드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50)는 하우징(40)의 상단에 복수로 구비되어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50)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기반으로 음악 파일을 재생시킬 수 있다. 즉, 스피커(50)는 유,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과 통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설정된 볼륨 레벨에 따라 증폭하여 출력시킬 수 있다. 이때, 스위치부(60)는 스피커(50)의 볼륨을 설정하는 볼륨 조절부(61)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볼륨 조절부(61)의 조작에 따라 스피커(50)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회전 날개(21) 각각이 공간적 간격을 유지한 채 회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간접풍을 제공하는 동시에 음악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에 의하면, 선풍기의 날개를 원통형 중심축의 외측에 부착하여 바람을 상부 방향으로 발생시키고 복수의 날개 각각을 공간적인 차이를 두면서 동시에 상이한 형상으로 구현하여 회오리 바람을 일으킴으로써,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바람을 쐬어 일어날 수 있는 저체온증 등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에 의하면, 선풍기에 방향제, 방충제 및 탈취제를 넣어 사용함으로써, 악취를 방지하고, 해충을 퇴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에 의하면, 선풍기의 바람이 전방향으로 균일하게 송풍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여러 대의 선풍기를 동시에 사용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컨트롤러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서 제시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되거나 인코딩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 또는 인코딩된 명령들은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컨대, 명령들이 실행될 때 방법을 수행하게끔 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하나의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기타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반송하거나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지원하도록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서 또는 개별 디바이스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부"로 기재된 구성요소들, 유닛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등은 함께 또는 개별적이지만 상호 운용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로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 유닛들 등에 대한 서로 다른 특징들의 묘사는 서로 다른 기능적 실시예들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며, 이들이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실현되어야만 함을 필수적으로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 이상의 모듈들 또는 유닛들과 관련된 기능은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공통의 또는 개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특정한 순서로 동작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동작들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도시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임의의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기술된 구성요소들이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선풍기 10: 전동 모터 20: 회전축 21: 회전 날개 21-1: 제1 회전 날개 21-2: 제2 회전 날개 21-3: 제3 회전 날개 30: 보호망 40: 하우징 41: 공기 흡입부 42: 송풍구 50: 스피커 60: 스위치부 61: 볼륨 조절부
70: 이동부

Claims (9)

  1. 선풍기(100)로서,
    외부 전원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 모터(10);
    상기 전동 모터(10)와 결합하여 상기 전동 모터(10)의 구동에 따라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20);
    상기 회전축(20)의 외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 날개(21);
    상기 회전 날개(21)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전 날개(21)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는 보호망(30); 및
    상기 보호망(30)의 하측과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전동 모터(10)를 수용하며,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전동 모터(10)의 구동에 의해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 흡입부(41); 및 상기 공기 흡입부(41)와 연통하여 상기 유입된 외부 공기를 상기 회전 날개(21) 방향으로 전달하는 송풍구(42)로 구성되는 원통형의 하우징(40);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날개(21)는
    상기 회전축(20)의 외주면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회전 날개(21-1), 제2 회전 날개(21-2) 및 제3 회전 날개(21-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 날개(21-1), 상기 제2 회전 날개(21-2) 및 상기 제3 회전 날개(21-3) 각각은 상기 회전축(20)의 외주면에서 상기 회전축(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이한 라인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회전 날개(21-1), 상기 제2 회전 날개(21-2) 및 상기 제3 회전 날개(21-3) 각각은 곡률을 갖는 나선형으로 구비되되, 상기 회전축(20)의 하단 방향으로 갈수록 크기가 커지고,
    그에 따라, 상기 송풍구(42)를 통해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제1 회전 날개(21-1), 상기 제2 회전 날개(21-2) 및 상기 제3 회전 날개(21-3) 사이의 공간을 따라 상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회오리 바람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100).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부(41)는 상기 외부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를 포함하는,
    선풍기(100).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0)의 일 영역에 구비되어 사운드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50)를 더 포함하는,
    선풍기(100).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50)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기반으로 음악 파일을 재생시키는,
    선풍기(100).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0)의 일 영역에 구비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외부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부(6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위치부(60)는 상기 스피커(50)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 조절부(61)를 포함하는,
    선풍기(100).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망(30)은
    상단에 방향제, 방충제 및 탈취제 중 적어도 하나를 삽입하거나 인출하는 수납 공간이 형성되는,
    선풍기(100).
KR1020180037314A 2018-03-30 2018-03-30 선풍기 KR102033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314A KR102033344B1 (ko) 2018-03-30 2018-03-30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314A KR102033344B1 (ko) 2018-03-30 2018-03-30 선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503A KR20190114503A (ko) 2019-10-10
KR102033344B1 true KR102033344B1 (ko) 2019-10-17

Family

ID=68206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314A KR102033344B1 (ko) 2018-03-30 2018-03-30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34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7273B2 (ja) * 1989-12-29 2001-08-13 アシスト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情報を有する物品追跡機能を備えた処理システム
WO2017085837A1 (ja) * 2015-11-19 2017-05-26 アース和ーズ株式会社 送風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344Y1 (en) * 1992-02-25 1994-03-12 Kim Yun Ki Supporting devcie of air hose
JP3197273U (ja) * 2015-02-17 2015-04-30 楊 子聖 タワー型扇風機
KR20180018594A (ko) * 2018-01-19 2018-02-21 박성곤 선풍기, 선풍기를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들을 이용한 실내 온도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7273B2 (ja) * 1989-12-29 2001-08-13 アシスト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情報を有する物品追跡機能を備えた処理システム
WO2017085837A1 (ja) * 2015-11-19 2017-05-26 アース和ーズ株式会社 送風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503A (ko)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40117B2 (ja) 個人化された空気浄化装置
EP3717781A1 (en) A fan assembly
WO2019106335A1 (en) A fan assembly
EP3385625B1 (en) Air purifier
KR101998780B1 (ko) 공기청정기
EP3058234B1 (en) Air mover
JP5564080B2 (ja) ファン組立体
WO2017190404A1 (zh) 一种芳香型空气净化器
DK2496838T3 (en) Fan
KR102502550B1 (ko) 송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JP5964873B2 (ja) ファンレス扇風機
CN106795889A (zh) 离心式吊扇
CN210087641U (zh) 风扇
KR20120005264A (ko) 압축 공기를 이용한 선풍기
KR102396592B1 (ko) 급속 순환 공기조화기
CN111315254A (zh) 吹风机
KR102033344B1 (ko) 선풍기
KR20140141775A (ko) 공기청정기
JP2017101847A (ja) 天井埋込型室内ユニット
KR20200000159U (ko) 정화 기능을 구비한 기류팬
JP5773229B1 (ja) 扇風機
KR20170077660A (ko) 공기조화장치
MX2007006008A (es) Ventilador tipo venturi.
KR102231186B1 (ko) 다방향 배출이 가능한 날개없는 선풍기
JP2020002887A (ja) 送風手段および空気清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