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021B1 - 교량 점검로 경사형 출입 계단 구조물 - Google Patents

교량 점검로 경사형 출입 계단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021B1
KR102033021B1 KR1020180108962A KR20180108962A KR102033021B1 KR 102033021 B1 KR102033021 B1 KR 102033021B1 KR 1020180108962 A KR1020180108962 A KR 1020180108962A KR 20180108962 A KR20180108962 A KR 20180108962A KR 102033021 B1 KR102033021 B1 KR 102033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inspection
tableting
bearing metal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태환
안병원
Original Assignee
삼우엠텍(주)
삼우기연 주식회사
안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우엠텍(주), 삼우기연 주식회사, 안태환 filed Critical 삼우엠텍(주)
Priority to KR1020180108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0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4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 E04G3/243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following the outside contour of a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0Steps or ladders specially adapted for scaff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형 출입 계단의 하단에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교각에 설치된 점검통로의 점검발판 사이에 베어링 메탈 플레이트를 개재시켜 교량의 신축에 따른 경사형 출입 계단이 점검발판에 대해 큰 저항없이 미끄럼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여 교량에 지지된 상측 고정 브라켓의 타정앙카볼트가 헐거워 빠져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 교량 점검로 경사형 출입 계단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교량 점검로 경사형 출입 계단 구조물{INCLINED STAIRWAY STRUCTURE FOR APPROACHING BRIDGE INSPECTION PASSAGE}
본 발명은 경사형 출입 계단의 하단에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교각에 설치된 점검통로의 점검발판 사이에 베어링 메탈 플레이트를 개재시켜 교량의 신축에 따른 경사형 출입 계단이 점검발판에 대해 큰 저항없이 미끄럼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여 교량에 지지된 상측 고정 브라켓의 타정앙카볼트가 헐거워 빠져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 교량 점검로 경사형 출입 계단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교량의 안전점검통로는 교량의 유지관리용 부대시설로서, 고소용 접근장비를 이용하여 접근이 불가능한 교량부재의 점검 및 유지관리를 위해서 설치하는 통로식 접근시설을 말한다.
교량안전점검통로는 교각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과, 핸드레일을 끼워 설치할 수 있도록 상하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구멍을 형성한 핸드레일포스트와, 상기 고정 브라켓과 핸드레일포스트의 하부를 서로 연결시키고 발판을 지지하는 지지브라켓으로 구성된 교량안전점검통로용 지지대에 발판을 부설하고 핸드레일포스트에 핸드레일을 끼워 구성된다.
이 같은 교량안전점검통로에 접근하기 위해 교량의 바닥판 상면으로부터 교량안전점검통로에 이루는 구간까지 사다리가 설치된다.
종래, 교량안전점검통로에 이르는 사다리는 수직구조의 출입사다리가 사용되었다. 즉, 방호울타리를 절개하여 출입구를 만들고, 여기에 수직으로 출입사다리가 설치되는 구조물을 사용하였다. 이같이 수직하게 출입사다리가 설치될 경우 접근 구간이 짧아지는 장점을 갖는데 반해, 내려가고 올라오는 데 힘이 들고, 협소해지는 좁은 통로에 의해 상해 등 안전상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단점을 갖고 있다.
특히 수직형 출입사다리를 통해 작업자가 용접 장비 등을 짊어지고 내려가고 올라가기가 매우 힘들어 종종 추락사고가 발생하여 현재 수직형 출입사다리는 사용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수직형 출입 사다리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특허문헌(한국등록특허 제10-0989111호)에 개시된 교량의 점검통로 접근용 경사형 출입계단 구조물이 공지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교량의 점검통로 접근용 경사형 출입계단 구조물은 교량(10)의 방호울타리(12) 외측벽에서 교각(14)의 점검통로(16)로 접근하기 위한 경사형 출입계단(1)이 설치된다.
경사형 출입계단(1)은 점검통로(16)의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상향 각도(θ)를 가지고 방호울타리(12)의 외측벽까지 서로 마주하여 연결된 한 쌍의 계단 측판(20)이 설치된다. 계단 측판(2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의 간격마다 다수의 발판(30)이 수평 설치되어 있다. 계단 측판(20)에는 알루미늄으로 압출 제작된 난간 지주(50)가 결합되고, 난간 지주(50)는 발판(30)에 대해 수직으로 입설되어 있다.
난간 지주(50)에는 핸드레일(70)이 설치되어 있다. 핸드레일(70)은 계단 측판(20)과 동일한 기울기로 설치된다.
방호울타리(12)의 측벽 사다리 출입구(12a)에는 계단 측판(20)의 상부 일정 구간이 수평 연장되어 방호울타리(12)의 측벽에 취부된 바닥판 브래킷(15)에 지지되어 있다. 이때 계단 출입구(12a) 구간의 계단 측판(20)에는 다수의 발판(30)이 서로 접촉하여 동일 평면상에 나란하게 설치된다.
점검통로(16)에는 계단 측판(20)의 하부 일정 구간이 수평 연장되어 교각(14)의 일측벽에 취부된 점검통로 브래킷(17)에 지지되어 있다.
경사 설치된 계단측판(20)에 사다리 출입구(12a)측과 점검통로(16)측의 계단 측판(20)을 연결함으로써 출입계단의 시공이 완료된다. 이때 계단 출입구(12a)측과 점검통로(16)측의 계단 측판(20)에도 난간 지주(50)와 핸드레일(70)이 동일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사형 출입 계단(1)은 수직형 사다리보다 난간이나 핸드레일 등 많은 재료가 소요되어 통상 수직형 사다리보다 무게가 10배 정도 무겁다.
이러한 고중량으로, 경사형 출입 계단(1)의 하단측 발판(30b)이 점검통로(16)의 발판(18)과 면접촉 상태로 눌려 받쳐지고 있다.
그런데, 교량(10)이 신축을 할 때 경사형 출입 계단(1)도 같이 신축(슬라이딩)을 해야 하지만, 큰 압력으로 면접촉된 상태에서 점검통로(16)의 발판에 대해 경사형 출입 계단(1)의 하단측 발판(30b)이 슬라이딩하려고 할 때 큰 저항을 받고, 이 큰 저항은 바닥판 브래킷(15)에 가해진다.
즉, 경사형 출입 계단(1)의 하단측 발판(30b)에 대해 경사형 출입 계단(1)의 상단측 발판(30a)이 슬라이딩하려는 현상이 생기면서 바닥판 브래킷(15)에 큰 저항이 걸리게 된다.
바닥판 브래킷(15)은 세트 앙카(15a)로 방호울타리(12) 측벽에 고정 지지되어 있는데, 이 세트 앙카(15a)는 바닥판 브래킷(15)이 좌우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흔들흔들 거리며 헐거워져 빠질 우려가 매우 크다. 교량의 신축운동은 좌우로 수없이 행해지기 때문에 세트 앙카(15a)도 좌우로 수없이 힘을 받게 된다.
최근에 세트 앙카(15a)가 헐거워 빠져 경사형 출입 계단(1)이 무너져 내려 사망자도 발생하였다.
세트 앙카(15a)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뿔 모양의 머리를 성형한 볼트에 분할부(11)를 수개 성형한 파이프 소켓(10)을 삽입한 후 이를 이미 뚫어놓은 콘크리트 홀(8)에 삽입한 다음 파이프 펀치를 볼트(1)에 삽입하여 파이프 소켓(10)을 때려 박으면 파이프 소켓(10)의 분할부(11)가 머리 경사부(3)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벌어져 머리 경사부(3)와 콘크리트 홀(8) 사이에 박혀 쐐기 역할을 함으로써 볼트가 빠지지 않는다.
그런데, 볼트(1)와 파이프 소켓(10)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어 있어서 볼트(1)가 좌우로 계속 힘을 받으면 현저히 덜렁거린다.
또한, 콘크리트 홀(8)과 파이프 소켓(10) 사이에도 틈새가 형성되어, 볼트(1)가 좌우로 계속 힘을 받아 흔들거리면 이에 따라 파이프 소켓(10)도 흔들거려 박혀있는 분할부(11)가 빠지게 되면, 세트 앙카(15a) 자체가 콘크리트 홀(8)에서 이탈되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89111호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점검통로의 발판에 대해 교량에 고정된 경사형 출입 계단의 하단이 미끄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받쳐져 있어 교량의 신축이동에 따른 경사형 출입 계단의 추락을 방지한 교량 점검로 경사형 출입 계단 구조물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교량 점검로 경사형 출입 계단 구조물은, 신축이 가능한 교량의 방호울타리 일측과 교각의 점검통로 사이에 경사형 출입 계단이 연결된 교량 점검로 경사형 출입 계단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경사형 출입 계단의 양 측판 상단은 상기 방호울타리에 고정 지지되는 상측 고정 브라켓에 설치되는 출입 발판과 연결되고, 상기 경사형 출입 계단의 양 측판의 하단에는 상기 교각에 고정 지지되는 하측 고정 브라켓에 설치되는 상기 점검통로에 설치되는 점검 발판의 상면에 하면이 놓이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점검 발판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베어링 메탈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상기 베어링 메탈 플레이트와 상기 점검 발판이 접촉되거나 상기 베어링 메탈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접촉되어 미끄럼 마찰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교량 점검로 경사형 출입 계단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메탈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에 설치되고, 상기 점검 발판에는 상기 베어링 메탈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주위를 감싸는 펜스가 설치되되, 상기 펜스 중 좌우 펜스와 상기 베어링 메탈 플레이트의 좌우 가장자리 사이에는 신축 가능한 거리만큼 떨어진 좌우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펜스의 상면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놓인 채 덮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좌우에는 상기 좌우 펜스보다 더 돌출된 돌출판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교량 점검로 경사형 출입 계단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상측 고정 브라켓 또는 상기 하측 고정 브라켓은 타정앙카볼트에 의해 상기 방호울타리 또는 상기 교각에 고정 지지되되, 상기 타정앙카볼트는 상기 방호울타리 또는 상기 교각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타정삽입봉과, 상기 타정삽입봉의 일단측 외주면에 돌출된 복수의 블레이드 돌기와, 상기 타정삽입봉의 타단에 일체로 연장되는 수나사봉을 포함하되, 상기 타정삽입봉의 외경은 적어도 상기 삽입홈의 내경과 같고,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돌기는 타정 시 상기 삽입홈의 깊이방향을 따라 파고 들어가 고정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경사형 출입 계단의 양 측판의 하단에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점검통로의 점검 발판 사이에 마찰계수가 현저히 낮은 베어링 메탈 플레이트가 개재됨으로써, 교량의 신축과 함께 경사형 출입 계단도 함께 신축방향을 따라 미끄럼 슬라이딩이 이루어져 추락의 위험을 없앴다.
특히, 베어링 메탈 플레이트를 베이스 플레이트의 밑면에 설치만 하면 미끄럼 마찰을 간단히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바퀴나 롤러와 같은 구름 마찰계수가 미끄럼 마찰계수보다 더 작아 교량의 신축운동에 더 잘 반응할 수도 있지만, 교량의 신축이 일어나지 않을 때라도 작업자가 출입 계단을 오르고 내릴 때 바퀴나 롤러가 쉽게 굴러 계단이 심하게 흔들려 불안정을 해소하기 위해서, 베어링 메탈 플레이트가 점검 발판에 면접촉된 채 가압된 상태로 받쳐짐으로써 교량이 신축운동하지 않을 때 계단을 오르내려도 쉽게 흔들리지 않아 안정적이다.
또한, 베어링 메탈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주변을 막는 펜스가 설치되고, 그 펜스 상면을 베이스 플레이트가 덮어 미끄럼 슬라이딩이 일어나는 점점 발판의 상면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펜스 중 좌우 펜스는 베어링 메탈 플레이트의 좌우 가장자리와 슬라이딩 거리만큼 떨어져 베어링 메탈 플레이트의 좌우 슬라이딩 거리를 확보할 뿐만 아니라, 베어링 메탈 플레이트의 이탈을 막아주는 스토퍼의 기능도 한다.
한편, 적어도 상측 고정 브라켓을 고정시키는 타정앙카볼트의 타정삽입봉의 외경이 콘크리트 홈의 내경과 같게 타격해서 박기 때문에 타정삽입봉이 콘크리트 홈에서 흔들거리지 않게 된다.
이러한 타정앙카볼트의 사용으로 인해, 베어링 메탈 플레이트가 점검 발판에 면접촉된 채 가압된 상태로 받쳐진 상태로 있어 교량의 신축운동과 동시에 슬라이딩이 행해지지 않고 버틴 고정 저항이 상측 고정 브라켓의 타정앙카볼트로 그대로 전달되더라도 흔들거려서 이탈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시킨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로 경사형 출입 계단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A, 도 2의 B, 도 3의 C 부분을 확대한 도.
도 7은 도 5의 좌우 슬라이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6의 D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도 9는 종래 교량의 점검통로 접근용 경사형 출입계단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종래 세트 앙카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로 경사형 출입 계단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A, 도 2의 B, 도 3의 C 부분을 확대한 도이고, 도 7은 도 5의 좌우 슬라이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D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도.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점검로 경사형 출입 계단 구조물은 신축이 가능한 교량(10)의 방호울타리(12) 일측과 교각(14)의 점검통로(160) 사이에 경사형 출입 계단(100)이 연결되어 있다.
방호울타리(12)의 일측에는 계단 출입구(12a)가 형성되어 있다.
계단 출입구(12a)에는 경사형 출입 계단(100)과 연결시키는 출입 발판(30a)이 배치되어 있다. 발판(30a) 주위에는 난간이 설치되어 있다.
출입 발판(30a)은 방호울타리(12)에 고정 지지되는 상측 고정 브라켓(15)에 설치되어 있다.
점검 통로(160)도 점검 발판과 난간으로 이루어지는데, 교각(14)을 둘러싸는 점검 통로부(160a)와, 경사형 출입 계단(100)의 하단과 점검 통로부(160a)를 연결하는 연결 점검 통로부(160b)로 이루어진다.
연결 통로(160)는 교각(14)에 고정된 하측 고정 브라켓(17)에 설치 고정되어 있다.
경사형 출입 계단(100)은 상기 상측 고정 브라켓(15)에 설치되는 양 경사 측판(20)과, 양 경사 측판(20) 사이에 설치되는 발판(30)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양 경사 측판(30)에는 난간이 설치되어 있다.
경사형 출입 계단의 양 경사 측판(20)의 하단에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하면은 연결 점검 통로부(160b)에 설치되는 점검 발판(180)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베어링 메탈 플레이트(12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점검 발판(18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베어링 메탈 플레이트(120)와 점검 발판(180)이 접촉되거나 베어링 메탈 플레이트(120)와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접촉되어 미끄럼 마찰을 형성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밑면에 베어링 메탈 플레이트(120)의 상면을 대고 접시머리 볼트(125)로 체결 지지시킨다.
이러한 베어링 메탈 플레이트(120)는 미끄럼 마찰 구성으로, 마찰계수가 대략 0.03μ정도로 매우 낮다.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점검 발판(180)은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재질로 구성되는데, 스테인리스 재질이 녹 방지 등으로 우수하고 마찰계수는 대략 0.3 μ 정도이다.
따라서, 교량(10)의 신축이 일어나지 않을 때 작업자가 계단을 오르내려도 쉽게 움직이지 않지만, 교량(10)에 신축운동이 일어나면 그에 따른 상대적 미끄럼 반응 속도가 최대한 신속히 행해져서 상측 고정 브라켓(15)의 타정앙카볼트(200)에 가하는 전단 저항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검 발판(180)에는 베어링 메탈 플레이트(120)의 가장자리 주위를 감싸는 좌우전후 펜스(190)가 설치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전후 펜스(190) 중 좌우 펜스(191)(193)와 베어링 메탈 플레이트(120)의 좌우 가장자리(121)(123)에는 신축 가능한 거리만큼 떨어진 좌우 슬라이딩 공간(S1)(S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펜스(190)의 상면은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놓인 채 덮되,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좌우는 좌우 펜스(191)(193)보다 더 돌출된 돌출판(111)(11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판(111)(113)의 길이는 적어도 좌우 공간(S1)(S2)의 슬라이딩 거리만큼 형성되어, 도 7과 같이 최대한 슬라이딩 되었을 때에도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펜스(190)의 상면 전체를 폐쇄시켜,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여 미끄럼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행해지게 한다.
베어링 메탈 플레이트(120)가 점검 발판(180)에 대해 충분히 받쳐지고 있기 때문에,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하면은 펜스(190)의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할 정도로만 접촉되면 되어 덮개로만의 역할로 충분하다.
좌우 펜스(191)(193)는 점검 발판(180)에 용접 고정되는 게 바람직하고, 도 7과 같이 베어링 메탈 베이스(120)의 좌우 최대 슬라이딩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의 역할도 한다.
또한, 전후 펜스(195)(197)도 베어링 메탈 베이스(120)가 전후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턱인 스토퍼의 역할을 한다.
교량(10)의 신축량은 100mm 많게는 150~300mm 정도이다.
이와 같이, 베어링 메탈 플레이트(120)가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체결 지지됨으로써 그 조립 공수가 매우 간단하여 제조 단가를 현저히 낮추고, 기존 시설에도 간단히 적용 가능하다.
다른 한편, 상측 고정 브라켓(15)은 도 8에 도시한 타정앙카볼트(200)에 의해 방호울타리(12)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정앙카볼트(200)는 방호울타리(12)에 형성된 삽입홈(13)에 삽입되는 타정삽입봉(210)과, 타정삽입봉(210)의 일단측 외주면에 돌출된 복수의 블레이드 돌기(215)와, 타정삽입봉(210)의 타단에 일체로 연장되는 수나사봉(230)을 포함한다.
수나사봉(230)에는 스프링 와셔(270)를 끼우고 너트(250)로 체결된다.
또한, 타정삽입봉(210)의 외경(d)은 적어도 삽입홈(13)의 내경(D)과 같고, 복수의 블레이드 돌기(215)는 타정 시 삽입홈(13)의 깊이방향을 따라 파고 들어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타정삽입봉(210)의 외경(d)은 삽입홈(13)의 내경(D)에 꽉 낀 형태로 박혀 있기 때문에, 상측 고정 브라켓(15)에 저항이 가해져도 타정삽입봉(210)이 삽입홈(13)에서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꽉 잡혀 있어 이탈될 우려가 매우 낮다.
또한, 블레이드 돌기(215)가 삽입홈(13)의 깊이방향을 따라 파고 들어가 박혀 있어, 박힌 돌기(215)가 빠질 때의 저항이 커서 이탈될 우려를 더욱더 확실히 방지한다.
본 실시예의 타정앙카볼트(200)가 상측 고정 브라켓(15)에 적용된 것으로 하였으나, 하측 고정 브라켓(17)을 교각(14)에 고정 지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교량 점검로 경사형 출입 계단 구조물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교량 12 : 방호울타리
12a ; 계단 출입구 15,17 : 상하측 고정 브라켓
14 : 교각 20 : 경사 측판
30 : 발판 30a : 출입 발판
100 : 경사형 출입 계단 110 : 베이스 플레이트
111,113 : 돌출판 120 : 베어링 메탈 플레이트
125 : 접시머리 볼트 160 : 점검통로
180 : 점검 발판 190 : 펜스
200: 타정앙카볼트 210 : 타정삽입봉
215 : 블레이드 돌기 230 : 수나사봉

Claims (3)

  1. 삭제
  2. 신축이 가능한 교량(10)의 방호울타리(12) 일측과 교각(14)의 점검통로(160) 사이에 경사형 출입 계단(100)이 연결된 교량 점검로 경사형 출입 계단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경사형 출입 계단(100)의 양 측판 상단은 상기 방호울타리에 고정 지지되는 상측 고정 브라켓에 설치되는 출입 발판과 연결되고,
    상기 경사형 출입 계단(100)의 양 경사 측판(20)의 하단에는 상기 교각에 고정 지지되는 하측 고정 브라켓에 설치되는 상기 점검통로에 설치되는 점검 발판(180)의 상면에 하면이 놓이는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하면에 베어링 메탈 플레이트(120)가 설치되어, 상기 베어링 메탈 플레이트(120)와 상기 점검 발판(180)이 접촉되어 미끄럼 마찰이 형성되며,
    상기 점검 발판(180)에는 상기 베어링 메탈 플레이트(120)의 가장자리 주위를 감싸는 좌우전후 펜스(190)가 설치되되,
    상기 좌우전후 펜스(190) 중 좌우 펜스(191)(193)와 상기 베어링 메탈 플레이트(120)의 좌우 가장자리(121)(123) 사이에는 신축 가능한 거리만큼 떨어진 좌우 슬라이딩 공간(S1)(S2)이 형성되고,
    상기 펜스(190)의 상면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놓인 채 덮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좌우에는 상기 좌우 펜스(191)(193)보다 더 돌출된 돌출판(111)(113)이 형성되고,
    상기 좌우전후 펜스(190) 중 전후 펜스(195)(197)도 상기 베어링 메탈 베이스(120)가 전후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턱인 스토퍼의 역할을 하는 교량 점검로 경사형 출입 계단 구조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측 고정 브라켓 또는 상기 하측 고정 브라켓은 타정앙카볼트에 의해 상기 방호울타리 또는 상기 교각에 고정 지지되되,
    상기 타정앙카볼트는 상기 방호울타리 또는 상기 교각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타정삽입봉과, 상기 타정삽입봉의 일단측 외주면에 돌출된 복수의 블레이드 돌기와, 상기 타정삽입봉의 타단에 일체로 연장되는 수나사봉을 포함하되,
    상기 타정삽입봉의 외경은 적어도 상기 삽입홈의 내경과 같고,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 돌기는 타정 시 상기 삽입홈의 깊이방향을 따라 파고 들어가 고정되는 교량 점검로 경사형 출입 계단 구조물.
KR1020180108962A 2018-09-12 2018-09-12 교량 점검로 경사형 출입 계단 구조물 KR102033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962A KR102033021B1 (ko) 2018-09-12 2018-09-12 교량 점검로 경사형 출입 계단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962A KR102033021B1 (ko) 2018-09-12 2018-09-12 교량 점검로 경사형 출입 계단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3021B1 true KR102033021B1 (ko) 2019-10-16

Family

ID=68421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962A KR102033021B1 (ko) 2018-09-12 2018-09-12 교량 점검로 경사형 출입 계단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0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120B1 (ko) 2022-07-29 2023-01-18 (주)이알코리아 교량 점검시설의 인서트 보강형 점검계단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111B1 (ko) 2010-03-30 2010-10-20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교량의 점검통로 접근용 출입계단 구조물
KR20120136979A (ko) * 2011-06-10 2012-12-20 (주) 한길산업 교량 점검로 접근용 계단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252254B1 (ko) * 2010-12-21 2013-04-09 김종성 앵커 볼트
KR101385315B1 (ko) * 2013-08-06 2014-04-16 삼우기연 주식회사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 및 그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111B1 (ko) 2010-03-30 2010-10-20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교량의 점검통로 접근용 출입계단 구조물
KR101252254B1 (ko) * 2010-12-21 2013-04-09 김종성 앵커 볼트
KR20120136979A (ko) * 2011-06-10 2012-12-20 (주) 한길산업 교량 점검로 접근용 계단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385315B1 (ko) * 2013-08-06 2014-04-16 삼우기연 주식회사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 및 그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120B1 (ko) 2022-07-29 2023-01-18 (주)이알코리아 교량 점검시설의 인서트 보강형 점검계단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100489A4 (en) System and components for safely enclosing handrails, stairways, walkways and platforms
US20100293875A1 (en) Stairway for Use on Building Sites
US11851900B2 (en) Temporary safety railing system and method
KR100989111B1 (ko) 교량의 점검통로 접근용 출입계단 구조물
AT523266B1 (de) Absturzsicherungsvorrichtung
KR101421901B1 (ko) 교량의 점검통로용 출입계단
KR102033021B1 (ko) 교량 점검로 경사형 출입 계단 구조물
EP2567044B1 (en) Apparatus for forming temporary guardrails on stairs
KR20140043615A (ko) 조립식 계단
KR100855758B1 (ko) 공사장 리프트의 출입시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발판
KR200361531Y1 (ko) 3단 분리형 교량유지관리 점검대
AU2012101810A4 (en) System and components for safely enclosing handrails, stairways, walkways and platforms
KR102167622B1 (ko) 달비계용 틈새막이 안전발판
KR20100055605A (ko) 개량형 조립식 계단
KR20190094675A (ko) 교량 점검로
CA2903885C (en) A modular barrier system
AU2017101328A4 (en) Rooftop access and safety system
WO2021209931A1 (en) Lift shaft scaffolding and related safety rail installation
AU2012100415A4 (en) Temporary safety railing system
KR100554473B1 (ko) 도로 절토부 비탈면의 조립식 점검로 구조
EP1365087A2 (en) Safety barrier apparatus
BE1017137A3 (nl) Leuningsteunen en bijhorende leuningankers als randbeveiliging bij bo uwwerken.
KR100680277B1 (ko) 철골에 설치되는 승강수단용 브라켓
KR101578763B1 (ko) 계단용 임시난간
KR200337884Y1 (ko) 조립식 교량 안전점검 통로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