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5315B1 -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 및 그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 및 그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5315B1
KR101385315B1 KR1020130093111A KR20130093111A KR101385315B1 KR 101385315 B1 KR101385315 B1 KR 101385315B1 KR 1020130093111 A KR1020130093111 A KR 1020130093111A KR 20130093111 A KR20130093111 A KR 20130093111A KR 101385315 B1 KR101385315 B1 KR 101385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access
spiral staircase
support
bridge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3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원
안태환
Original Assignee
삼우기연 주식회사
안태환
안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우기연 주식회사, 안태환, 안병원 filed Critical 삼우기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3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53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신축량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고, 점검로로 통행시에 안전을 도모하도록 한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 및 그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은 일정한 직경 및 높이를 갖고,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요홈이 형성된 지주와; 상기 지주의 요홈에 대응되도록 일정한 직경 및 높이를 갖고, 내주면 소정의 위치에 돌출부가 형성된 발판과; 상기 발판의 일측단에 용접 설치되는 난간과; 상기 지주의 하단부에 용접 설치되는 높이조절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 시공방법은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을 조립하는 단계; 교량의 방호벽에 앵커볼트를 매개로 브라켓을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브라켓에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을 용접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 및 그의 시공방법{spiral staircase for bridge check road acces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 슬래브에서 교량 점검로 발판으로 내려가는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안전 점검로는 교량의 유지 관리를 위한 점검용 부대 시설물로서 고소 접근 장비의 이용이 곤란하거나 또는 높은 곳에 위치하는 교각이나 교대의 상단부나 코핑과 같은 교량 시설물에 대한 점검 및 유지 관리를 위하여 설치되는 안전 통로형 접근 시설을 이른다.
종래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형적인 교량 점검통로(10')는 교각(20')의 상단부에 얹혀지는 코핑(30')의 4변 중 적어도 2변에 교량 점검자가 직접 접근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교량 점검 통로(10')를 통하여 거더(40')와 코핑(30') 사이에 위치하는 교좌장치의 이상 유무나, 거더(40'), 상부 도로구조물(50'), 또는 교각(20')의 균열 등과 같은 이상 유무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교량 부대 시설물로서, 코핑(30')의 측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브라켓(11')과 그에 고정되는 발판(12') 및 난간(13')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교량 점검통로(10')에의 접근을 위한 종래의 가장 일반적인 구조물로서는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0254645호 교량 점검시설 출입용 보조사다리가 제안되었다.
상기한 종래의 교량 점검시설 출입용 보조사다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면(51')을 이루는 상부 도로구조물(50')의 방호벽(52')의 외측으로부터 코핑(30')의 측면에 형성되는 교량 점검통로(10') 까지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점검 사다리(1')는 방호벽(52')에 일단이 고정된 좌우측 그립바(2')와 수직사다리(3') 및 반원상의 안전프레임(4')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더하여 점검자가 방호벽(52')에 쉽게 오를 수 있도록 보조사다리(1")를 구비하며. 평상시에는 보조사다리(1')를 회전시켜 방호벽(52')의 외측에 거치함으로써 차량 통행에 방해를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점검 사다리(1')는 점검자가 수직으로 내려가고 올라와야 한다는 점에서 접근 편의성 및 안전성 측면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점검 사다리는 점검자의 접근 편의성 및 안전성을 제고하고자 계단형 철골 구조물이 일부 적용되고는 있었지만 중량이 지나치게 크고 용접에 의한 조립 및 크레인에 의한 설치에 시간과 노력이 지나치게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 등록특허 제10-0989111호 교량의 점검통로 접근용 출입계단 구조물이 제안되었다.
상기한 종래의 교량의 점검통로 접근용 출입계단 구조물은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 점검 통로(10')에의 접근 편의성 및 안전성을 제고하기 위한 알루미늄재의 볼트 체결식 계단 구조물(1a')을 제안하고 있으며, 거더(40')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구조물(50')의 방호벽(52') 쪽으로부터 교각(20') 또는 그 상단부에 얹혀지는 코핑(30')에 설치되는 교량 점검통로(10')까지의 안전한 이동통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복잡한 형태의 양 측판(2a')과 그 사이에 체결되는 다수의 발판(3a')과, 상기한 측판(2a')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난간지주(4a') 및 핸드 레일(5a')과, 상기한 측판((2a')의 상하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발판(6a',7a')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난간 지주(4a')는 복잡한 형태의 측판(2a') 외표면에 끼워지는 원판부(9b')를 가지는 피벗 조인트(9a')에 볼트(9c')로 끼워지며 상기 피벗조인트(9a')의 원판부(9b')는 측판(2a')에 볼트(9d')로 체결되며, 다수의 발판(3a') 각각은 두 개의 발판 거치용 브라켓(3b') 사이에 끼워진 다음, 볼트(3c', 3d')로 체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교량의 점검통로 접근용 출입계단 구조물(1a')은 상술한 점검 사다리 (1')에 비하여 점검자에게 현저히 높은 접근 편의성 및 안전성을 제공하나, 교량 상판(50')의 폭과 교각(20')이나 교대 또는 코핑(30')의 폭이 동일하지 않아 계단구조물(1a')을 직선상으로 형성할 수 없는 경우에는 설치 곤란한 문제점이 있으며,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므로 본질적으로 지지 강도가 약하고, 더욱이 계단 출입구(8a') 및 안전 점검로(10') 쪽의 고정브라켓(11')에 놓이는 발판(6a',7a')과 측판(2a')의 연결 강도에 대한 신뢰성이 낮아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있으며, 현장 시공시 계단 출입구(8a') 및 점검로(10') 쪽의 고정브라켓(11')의 길이 변경이 자유롭지 못하므로 교량에 대한 계단 구조물(1a')의 이격 거리 조절이 곤란하고, 알루미늄 소재이므로 볼트 체결 외에 강재로 된 고정브라켓(11')과의 용접이 곤란하며, 복잡한 형태의 새시 구조를 가지는 양측판(2a')의 사용이 불가피하고, 그 구성 부품 각각의 형태 및 구조가 복잡하며, 볼트 체결 개소가 지나치게 많아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0254645호 등록특허 제10-0989111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교량의 신축량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고, 점검로로 통행시에 안전을 도모하도록 한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 및 그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은 일정한 직경 및 높이를 갖고,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요홈이 형성된 지주와; 상기 지주의 요홈에 대응되도록 일정한 직경 및 높이를 갖고, 내주면 소정의 위치에 돌출부가 형성된 발판과; 상기 발판의 일측단에 용접 설치되는 난간과; 상기 지주의 하단부에 용접 설치되는 높이조절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 시공방법은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을 조립하는 단계; 교량의 방호벽에 앵커볼트를 매개로 브라켓을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브라켓에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을 용접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 및 그의 시공방법은 수직으로 나선형 계단을 방호벽 상부에 앵커볼트를 매개로 고정하고, 나선형 계단의 하부는 높이조절부를 설치하여 상하미세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연결브라켓에 소량의 신축에 대응하도록 롤러를 설치함으로써, 첫째, 죠량 점검을 위한 안전을 확보하여 인명피해를 감소시킬 있고, 둘째, 경사형 계단에 비하여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여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으며, 셋째, 외관상 미려함으로써, 교량 경관미를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으며, 넷째, 지주에 조립식 발판을 현장에서 끼워 설치함으로써 운반비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교량 점검용 사다리를 도시한 정면도,
도 2a는 종래 교량의 점검통로 접근용 출입계단 구조물을 도시한 정면도,
도 2b는 종래 교량의 점검통로 접근용 출입계단 구조물의 계단 측판과 발판 및 난간지주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c는 도 2b의 일측을 도시한 예시도,
도 2d는 종래 교량의 점검통로 접근용 출입계단 구조물의 발판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의 지주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의 발판과 난간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이 교량 슬래브와 교각 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점검용 접근용 나선형 계단(S)은 일정한 직경 및 높이를 갖고,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요홈(110)이 형성된 지주(100)와; 상기 지주(100)의 요홈(110)에 대응되도록 일정한 직경 및 높이를 갖고, 내주면 소정의 위치에 돌출부(212)가 형성된 발판(200)과; 상기 발판(200)의 일측단에 용접 설치되는 난간(300)과; 상기 지주(100)의 하단부에 용접 설치되는 높이조절부(40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S)은 지주(100), 발판(200), 난간(300) 및 높이조절부(400)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물이다.
여기서, 상기 지주(100)은 일정한 직경 및 높이를 갖는 강관이다.
또한, 상기 지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요홈(110)이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요홈(110)은 서로 상이한 길이로 나선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요홈(110)은 발판의 돌출부(212)가 걸려서 더 이상 지주(100)의 아래로 발판(200)이 내려가지 못하도록 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지주(100)의 상단에는 지주(100)의 상단을 막도록 캡(500)이 고정 설치되어, 빗물이나 이물질이 지주(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발판(200)은 지주(100)의 요홈(110)에 대응되도록 일정한 직경 및 높이를 갖고, 내주면 소정의 위치에 돌출부(212)가 형성된 부재이다.
즉, 상기 발판(200)은 일정한 직경과 높이 및 중공으로 이루어진 원통체(210)와; 상기 원통체(210)의 일측면에 수평하게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고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판상체(220)로 구성되고, 상기 원통체(210)의 내측에 상단에서 하단에 걸쳐 돌출부(212)가 형성되며, 상기 판상체(220)는 원통체(210)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가늘어지는 테이퍼(222)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발판(200)은 발판(200)을 지주(100)에 고정하기 위한 원통체(210)와 작업자가 딛고 다니는 판상체(220)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원통체(210) 내측에는 상단에서 하단에 걸쳐 돌출부(21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돌출부(212)는 입설된 지주(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홈(110)에 끼워지도록 하여 지주(100)에서의 정확한 발판(200)의 위치를 정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원통체(210)와 일체로 연결된 판상체(220)는 그 저면의 형상을 일정한 경사를 갖는 테이퍼(222) 형상으로 하여 강재의 낭비를 방지토록 한다.
한편, 상기 판상체(220)의 일측에는 별도로 난간(300)을 용접 설치하여, 작업자가 이동중 추락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또한, 상기 지주(100)의 하단에는 높이조절부(40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지주(100)의 상단은 방호벽(W)에 앵커볼트(A)를 매개로 하여 고정되고, 하단은 자유단을 갖는 캔틸레버 구조이다.
이와 같은 캔틸레버 구조는 외관은 경쾌하나 같은 길이의 보에 비해 4배의 휨모멘트를 받아 변형되기 쉽다.
따라서, 지주(100)의 하단부에 높이조절부(400)가 설치되되, 상기 높이조절부(400)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 하부판(410, 420)과; 상기 상부판(410)으로부터 하부판(420)에 걸쳐 체결되는 체결부재(430)로 구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부(400)의 상하높이를 조절하여 지주(100)의 하단부가 교량 점검로에 닿도록 하여 휨모멘트에 의한 변형을 방지토록 한다.
즉, 상기 지주(100)의 상단은 고정단이고, 하단은 자유단을 방식에서 지주(100)의 상단과 하단 공히 고정단을 갖도록 하여 휨모멘트에 의한 변형을 방지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판(420)의 저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결브라켓(440)이 수직으로 용접 설치되고, 상기 연결브라켓(440)간에 구동축(450)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450)에 롤러(460)가 고정 설치된다.
이와 같은 롤러(460)는 교량의 온도 변화에 따른 교량 상판의 신축량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이 교량 슬래브와 교각 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 시공방법은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S)을 조립하는 단계; 교량의 방호벽(W)에 앵커볼트(A)를 매개로 브라켓(B)을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브라켓(B)에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S)을 용접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 시공방법은 나선형 계단(S) 조립단계; 브라켓(B) 고정설치단계;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S) 설치단계를 순차적으로 시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나선형 계단(S) 조립단계는 일정한 직경 및 높이를 갖고,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요홈(110)이 형성된 지주(100)와; 상기 지주(100)의 요홈(110)에 대응되도록 일정한 직경 및 높이를 갖고, 내주면 소정의 위치에 돌출부(212)가 형성된 발판(200)과; 상기 발판(200)의 일측단에 용접 설치되는 난간(300)과; 상기 지주(100)의 하단부에 용접 설치되는 높이조절부(400)로 구성되고, 상기 지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요홈(110)이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요홈(110)은 서로 상이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지주(100)의 상단에 캡(500)이 설치되며, 상기 발판(200)은 일정한 직경과 높이 및 중공으로 이루어진 원통체(210)와; 상기 원통체(210)의 일측면에 수평하게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고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판상체(220)로 구성되며, 상기 원통체(210)의 내측에 상단에서 하단에 걸쳐 돌출부(212)가 형성되며, 상기 판상체(220)는 원통체(210)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가늘어지는 테이퍼(222)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부(400)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 하부판(410, 420)과; 상기 상부판(410)으로부터 하부판(420)에 걸쳐 체결되는 체결부재(430)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판(420)의 저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결브라켓(440)이 수직으로 용접 설치되고, 상기 연결브라켓(440)간에 구동축(450)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450)에 롤러(460)가 고정 설치된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S)을 조립한다.
이어서, 상기 브라켓(B) 고정 설치단계는 교량의 방호벽(W)에 앵커볼트(A)를 매개로 브라켓(B)을 고정 설치한다.
이어서,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S) 설치단계는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된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S)을 브라켓(B)에 용접 설치한다.
이어서,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S)의 높이조절부(400)를 조정하여 롤러(460)가 교량 점검로의 표면에 닿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시공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S)은 방호벽(W) 상부에 앵커볼트(A)를 매개로 브라켓(B)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B)에 나선형 계단(S)의 상부를 용접하여 설치하고, 나선형 계단(S)의 하부에는 높이조절부(400)를 설치하여 상하미세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연결브라켓(440)에 소량의 신축에 대응하도록 롤러(460)를 설치함으로써, 교량 점검을 위한 안전을 확보하여 인명피해를 감소시킬 있고, 경사형 계단에 비하여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여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으며, 외관상 미려함으로써, 교량 경관미를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으며, 지주에 조립식 발판을 현장에서 끼워 설치함으로써 운반비를 줄이는 작용효과가 있다.
100: 지주 110: 요홈
200: 발판 210: 원통체
212: 돌출부 220: 판상체
222: 테이퍼 300: 난간
400: 높이조절부 410: 상부판
420: 하부판 430: 체결부재
440: 연결브라켓 450: 구동축
460: 롤러 500: 캡
A: 앵커볼트 B: 브라켓
S: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 W: 방호벽

Claims (17)

  1. 일정한 직경 및 높이를 갖고,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요홈(110)이 형성된 지주(100)와; 상기 지주(100)의 요홈(110)에 대응되도록 일정한 직경 및 높이를 갖고, 내주면 소정의 위치에 돌출부(212)가 형성된 발판(200)과; 상기 발판(200)의 일측단에 용접 설치되는 난간(300)과; 상기 지주(100)의 하단부에 용접 설치되는 높이조절부(400)로 구성되고,
    상기 높이조절부(400)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 하부판(410, 420)과; 상기 상부판(410)으로부터 하부판(420)에 걸쳐 체결되는 체결부재(430)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판(420)의 저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결브라켓(440)이 수직으로 용접 설치되며, 상기 연결브라켓(440)간에 구동축(450)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450)에 롤러(460)가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요홈(110)이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요홈(110)은 서로 상이한 길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100)의 상단에 캡(50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200)은 일정한 직경과 높이 및 중공으로 이루어진 원통체(210)와; 상기 원통체(210)의 일측면에 수평하게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고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판상체(2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체(210)의 내측에 상단에서 하단에 걸쳐 돌출부(21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체(220)는 원통체(210)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가늘어지는 테이퍼(222)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
  7. 삭제
  8. 삭제
  9.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S)을 조립하는 단계;
    교량의 방호벽(W)에 앵커볼트(A)를 매개로 브라켓(B)을 고정 설치하는 단계;
    상기 브라켓(B)에, 일정한 직경 및 높이를 갖고,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요홈(110)이 형성된 지주(100)와; 상기 지주(100)의 요홈(110)에 대응되도록 일정한 직경 및 높이를 갖고, 내주면 소정의 위치에 돌출부(212)가 형성된 발판(200)과; 상기 발판(200)의 일측단에 용접 설치되는 난간(300)과; 상기 지주(100)의 하단부에 용접 설치되는 높이조절부(400)로 구성되고, 상기 높이조절부(400)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 하부판(410, 420)과; 상기 상부판(410)으로부터 하부판(420)에 걸쳐 체결되는 체결부재(430)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판(420)의 저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결브라켓(440)이 수직으로 용접 설치되고, 상기 연결브라켓(440)간에 구동축(450)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450)에 롤러(460)가 고정 설치된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S)을 용접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 시공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요홈(110)이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요홈(110)은 서로 상이한 길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 시공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100)의 상단에 캡(50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 시공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200)은 일정한 직경과 높이 및 중공으로 이루어진 원통체(210)와; 상기 원통체(210)의 일측면에 수평하게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고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판상체(2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 시공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체(210)의 내측에 상단에서 하단에 걸쳐 돌출부(21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 시공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체(220)는 원통체(210)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가늘어지는 테이퍼(222)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 시공방법.
  16. 삭제
  17. 삭제
KR1020130093111A 2013-08-06 2013-08-06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385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111A KR101385315B1 (ko) 2013-08-06 2013-08-06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 및 그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111A KR101385315B1 (ko) 2013-08-06 2013-08-06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 및 그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5315B1 true KR101385315B1 (ko) 2014-04-16

Family

ID=50657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111A KR101385315B1 (ko) 2013-08-06 2013-08-06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 및 그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531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021B1 (ko) * 2018-09-12 2019-10-16 삼우엠텍(주) 교량 점검로 경사형 출입 계단 구조물
KR102190118B1 (ko) 2020-05-27 2020-12-11 솔로몬산업 주식회사 교량 점검로 및 그 설치 공법
KR20210003567A (ko) * 2019-07-02 2021-01-12 한국도로공사 교량 상판 신축이음부의 점검통로 보강 구조물 및 그 방법
KR102211458B1 (ko) 2020-09-28 2021-02-04 우성안전 주식회사 나선형 강재 계단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4317A (ja) * 1991-08-12 1993-02-23 Sekisui House Ltd 屋外階段等の支持アンカー
JP2002038678A (ja) * 2000-07-26 2002-02-06 Sumitomo Forestry Co Ltd 螺旋階段の施工方法及び螺旋階段用ユニット
KR20030034728A (ko) * 2001-10-26 2003-05-09 주식회사 산청기공 계단식 조명탑
KR20040101161A (ko) * 2004-11-10 2004-12-02 이상철 조립식 나선형 계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4317A (ja) * 1991-08-12 1993-02-23 Sekisui House Ltd 屋外階段等の支持アンカー
JP2002038678A (ja) * 2000-07-26 2002-02-06 Sumitomo Forestry Co Ltd 螺旋階段の施工方法及び螺旋階段用ユニット
KR20030034728A (ko) * 2001-10-26 2003-05-09 주식회사 산청기공 계단식 조명탑
KR20040101161A (ko) * 2004-11-10 2004-12-02 이상철 조립식 나선형 계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021B1 (ko) * 2018-09-12 2019-10-16 삼우엠텍(주) 교량 점검로 경사형 출입 계단 구조물
KR20210003567A (ko) * 2019-07-02 2021-01-12 한국도로공사 교량 상판 신축이음부의 점검통로 보강 구조물 및 그 방법
KR102300354B1 (ko) * 2019-07-02 2021-09-09 한국도로공사 교량 상판 신축이음부의 점검통로 보강 구조물 및 그 방법
KR102190118B1 (ko) 2020-05-27 2020-12-11 솔로몬산업 주식회사 교량 점검로 및 그 설치 공법
KR102211458B1 (ko) 2020-09-28 2021-02-04 우성안전 주식회사 나선형 강재 계단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0296B1 (ko) 교량 점검로 접근용 계단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385315B1 (ko) 교량 점검로 접근용 나선형 계단 및 그의 시공방법
US20100293875A1 (en) Stairway for Use on Building Sites
KR100989111B1 (ko) 교량의 점검통로 접근용 출입계단 구조물
KR101511290B1 (ko) 조립식 데크를 갖는 안전통로 시설물
KR200439417Y1 (ko) 조립식 난간
KR101570672B1 (ko) 난간대 각도 조절용 지주 체결구
CN211171556U (zh) 一种铝合金人行天桥
KR200490448Y1 (ko)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
RU75680U1 (ru) Пандус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людей с ограниченными возможностями (варианты)
CN112982852A (zh) 钢-混凝土组合装配式楼梯梯段
KR200378136Y1 (ko) 조립식 계단 난간
JP2016204983A5 (ko)
JP4042044B2 (ja) 歩道橋
KR100997684B1 (ko) 조립식 난간
JP4986419B2 (ja) 仮設階段
CN218147841U (zh) 一种模板施工平台一体化装置
CN216866122U (zh) 一种装配式建筑电梯井用临时安全楼梯
CN211200960U (zh) 一种钢结构主厂房装配式楼梯
KR102558279B1 (ko) 지주식 인도교 및 데크로드 시공용 안전 작업구조물
TWI667391B (zh) Bridge construction ladd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219411924U (zh) 一种预制混凝土楼梯成品保护装置
KR100680277B1 (ko) 철골에 설치되는 승강수단용 브라켓
CN220319070U (zh) 一种用于装配式建筑楼梯间的定型化上人平台
JP7307445B1 (ja) 移動昇降式足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