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864B1 - 매트 직조장치 - Google Patents

매트 직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864B1
KR102031864B1 KR1020180080173A KR20180080173A KR102031864B1 KR 102031864 B1 KR102031864 B1 KR 102031864B1 KR 1020180080173 A KR1020180080173 A KR 1020180080173A KR 20180080173 A KR20180080173 A KR 20180080173A KR 102031864 B1 KR102031864 B1 KR 102031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rope
blade
uni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무성
Original Assignee
(주)미도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도랜드 filed Critical (주)미도랜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12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transferring bobbins between loom and winding statio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1/00Loo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r weaving chenille yarn; Details peculiar to these looms
    • D03D41/002Looms for weaving reed, straw or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8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vegetable stems, e.g. straw, thatch ; made of 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날줄 중에서 홀수 위치에 배치된 제1날줄로프와 짝수 위치에 배치된 제2날줄로프를 상/하방향으로 교차시키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제1날줄로프와 상기 제2날줄로프 사이에서 상기 제1날줄로프 또는 상기 제2날줄로프의 이송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되어 적어도 하나의 씨줄을 투입시키는 씨줄 투입부; 및 상기 씨줄 투입부에 의하여 상기 제1날줄로프와 상기 제2날줄로프 사이의 공간으로 투입된 씨줄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매트 직조장치{MAT WEAVING APPARATUS}
본 발명은 매트 직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비포장 노면의 포장을 위해 노면상에 전개되는 매트를 제조하기 위한 직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면 포장용 매트 직조기는 코코넛 로프로 이루어진 날줄 및 씨줄을 직조하여 면상의 매트를 제조하는 장치로써, 대한민국특허청의 특허등록 제10-1809078호(로드매트 직조기)에 개시되어 있다.
위와 같은 매트 직조기는, 등록특허 명세서 청구항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날줄 다발을 고르게 펼쳐 투입하는 날줄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에서 이송되는 날줄을 제1 및 제2그룹으로 분리시키는 제1가이드 및 제2가이드와, 제1 및 제2가이드를 상하로 교차시키는 날줄 교차모듈로 이루어지고, 제1가이드 및 제2가이드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가이드 지지봉과 가이드 지지봉 하단 마다 일정한 수의 날줄 가닥이 통과되는 가이드 링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제1가이드의 가이드 링 사이에 제2가이드의 가이드 링이 배치되어 구성되는 날줄 교차부와; 씨줄이 감긴 보빈과, 보빈 브라켓 및 보빈 브라켓 이송모듈로 이루어져, 상기 제1그룹과 제2그룹 사이로 보빈브라켓을 횡단시켜 씨줄을 투입하는 씨줄 투입부; 및 상기 씨줄 투입부에서 투입된 씨줄과 날줄을 접합시켜 로드매트를 완성시키는 배출부로 구성되되, 보빈 브라켓 파지모듈이 날 줄의 양 측에 설치되고, 보빈 브라켓 이송모듈이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보빈 브라켓 파지모듈을 날줄에 직교되게 횡단시킴으로써, 보빈 브라켓 파지모듈이 보빈 브라켓을 주고받으면서 씨줄이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매트 직조기는, 보빈이 보빈브라켓에 설치되고, 파지모듈이 날줄의 양측에 설치되며, 보빈브라켓이 이송모듈에 의해 일측의 파지모듈에서 날줄을 횡단된 후 타측의 파지모듈로 이동됨에 따라 매트를 직조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금속재 보빈브라켓의 무게가 매우 무겁고, 이러한 보빈브라켓에 로프형 씨줄이 감겨진 보빈도 안치되므로 보빈이 안치된 보빈브라켓의 무게가 더욱 가중되어 보빈브라켓을 이송모듈이 안정적으로 이송하기 쉽지 않다. 특히, 보빈이 안치된 보빈브라켓은 일측의 파지모듈에서 타측의 파지모듈로 거의 정확하게 이송되어야 타측의 파지모듈로 이동될 수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보빈이 안치된 보빈브라켓의 가중된 무게로 인하여 켄틸레버식(외팔보 형식)으로 인출되는 일측의 파지모듈이나 이송모듈이 휘어질 경우 타측의 파지모듈에 정확하게 이송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송속도도 저하된다.
또, 보빈에서 배출되는 로프형 씨줄이 보빈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즉 씨줄이 날줄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씨줄이 보빈에서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고, 씨줄이 배출되도록 보빈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위치의 보빈브라켓 측방에 가이드 롤 및 가이드롤 지지암도 반드시 구비해야 하므로 장치가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보빈브라켓의 자중이 더욱더 가중되는 문제도 있다.
특히, 위와 같은 보빈브라켓이나 가이드 롤 및 가이드롤 지지암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도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날줄 교차모듈이 제1가이드 및 제2가이드를 동시에 상하로 교차되도록, 제1가이드 및 제2가이드에 각각 구성된 제1 및 제2랙기어 및 이러한 랙기어에 교합되는 피니언으로 구성되어 피니언의 구동시 제1 및 제2랙기어가 이동함에 따라 제1가이드 및 제2가이드가 상하로 교체되므로 제조비용은 절감할 수 있으나 승강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도 있다.
즉, 제1가이드 및 제2가이드는 하나의 피니언에 의해 승강되고, 하나의 피니언이 제1가이드 및 제2가이드의 자중을 감당해야 하므로 승강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하방향으로 분리되어 이송되는 날줄 사이로 한 쌍의 씨줄이 각각 엇갈리는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여 날줄과 씨줄 간의 결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매트 직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분리된 날줄 사이로 씨줄을 투입시키는 이송부가 반복적인 직선 왕복운동에도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매트 직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 가닥의 날줄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서로 간섭되거나 엉키지 않도록 구성된 매트 직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날줄과 씨줄이 결속된 매트를 자동으로 권취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매트 직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날줄로프가 권취된 다수개의 보빈이 마련된 공급부; 상기 공급부에서 공급된 다수개의 날줄 중에서 홀수 위치에 배치된 제1날줄로프와 짝수 위치에 배치된 제2날줄로프를 상/하방향으로 교차시키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제1날줄로프와 상기 제2날줄로프 사이에서 상기 제1날줄로프 또는 상기 제2날줄로프의 이송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되어 제1씨줄 및 제2씨줄을 투입시키는 씨줄 투입부; 및 상기 씨줄 투입부에 의해 직조된 매트를 롤 형태로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씨줄 투입부는, 상기 제1씨줄과 상기 제2씨줄을 서로 수평방향 교차시켜 상기 제1날줄로프 및 상기 제2날줄로프와 결속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씨줄 투입부는, 상기 제1씨줄이 마련된 제1보빈 또는 상기 제2씨줄이 마련된 제2보빈을 지지하는 제1이송프레임; 및 상기 제1이송프레임과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보빈 또는 상기 제2보빈을 지지하는 제2이송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이송프레임과 상기 제2이송프레임은, 상기 제1보빈의 보빈축 또는 상기 제2보빈의 보빈축을 상기 제1날줄로프 또는 상기 제2날줄로프의 이송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지지하되,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송되어 상기 제1보빈과 상기 제2보빈을 서로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이송프레임에는 상기 제1보빈의 보빈축 양단을 지지하는 제1파지유닛과 상기 제2보빈의 보빈축 양단을 지지하는 제2파지유닛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제2이송프레임에는 상기 제1보빈의 보빈축 양단을 지지하되, 상기 제1파지유닛과 엇갈리게 배치되는 제3파지유닛과, 상기 제2보빈의 보빈축 양단을 지지하되 상기 제2파지유닛과 엇갈리게 배치되는 제4파지유닛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이송프레임에 마련된 상기 제1파지유닛의 한 쌍의 승강로드와 상기 제2이송프레임에 마련된 상기 제4파지유닛의 한 쌍의 승강로드는 함께 상승되거나 하강되고, 상기 제1이송프레임에 마련된 상기 제2파지유닛의 한 쌍의 승강로드는 상기 제2이송프레임에 마련된 상기 제3파지유닛의 한 쌍의 승강로드와 함께 상승되거나 하강되되, 상기 제1파지유닛의 한 쌍의 승강로드와 상기 제4파지유닛의 한 쌍의 승강로드의 운동방향과 반되되는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씨줄 투입부는, 상기 제1씨줄과 상기 제2씨줄을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제1날줄로프 및 상기 제2날줄로프와 결속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씨줄 투입부는, 상기 제1씨줄이 마련된 제1보빈과 상기 제2씨줄이 마련된 제2보빈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보빈축을 지지하는 제1이송프레임; 및 상기 제1이송프레임과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보빈축을 지지하는 제2이송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이송프레임과 상기 제2이송프레임은, 상기 보빈축을 상기 제1날줄로프 또는 상기 제2날줄로프의 이송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지지하되,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송되어 상기 보빈축을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이송프레임과 상기 제2이송프레임에는 상기 보빈축 양단을 지지하는 파지유닛이 각각 마련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1이송프레임에 마련된 파지유닛과 상기 제2이송프레임에 마련된 파지유닛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이송프레임에 마련된 상기 파지유닛의 한 쌍의 승강로드와 상기 제2이송프레임에 마련된 파지유닛의 한 쌍의 승강로드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부는, 상기 날줄로프가 권취된 다수개의 보빈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개의 메인 프레임; 상기 다수개의 메인 프레임을 지지하며, 작업장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레일; 및 상기 다수개의 메인 프레임 간의 간격을 조절 및 유지시켜주는 보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평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권취롤러; 상기 한 쌍의 권취롤러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각각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에 양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며, 매트의 길이방향 일단과 연결되는 권취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직조장치는, 자동화 공정을 통하여 대형의 매트를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므로, 매트의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또한, 제조단가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직조장치는, 한 쌍의 씨줄이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이송되어 날줄로프와 결속되는 구성을 가지므로, 내구성이 향상된 매트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직조장치는, 제1날줄로프와 제2날줄로프를 상/하방향으로 이격시키는 승강부의 제1승강프레임 및 제2승강프레임이 실런더에 의해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승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반복되는 승강운동에 따른 장치의 마모 또는 변형률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으로 제1날줄로프와 제2날줄로프를 가이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직조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직조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직조장치의 인입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직조장치의 승강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직조장치의 씨줄 투입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씨줄 투입부의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이송프레임과 제2이송프레임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송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1이송프레임과 제2이송프레임이 보빈을 교체하여 원상태로 이송 복귀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씨줄 투입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줄 투입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지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씨줄 투입부의 구성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지유닛이 마련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씨줄 투입부에 의해 매트가 직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씨줄 투입부에 가이드 유닛이 마련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씨줄 투입부의 이송 프레임에 슬라이딩 편이 마련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직조장치의 배출부 및 권취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의 수직바 하단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의 메인 프레임 상부에 가이드부재가 마련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트 직조장치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직조장치(100)는, 날줄로프(10)가 권취된 다수개의 보빈(111)이 마련된 공급부(110); 상기 공급부(110)에서 공급된 다수개의 날줄로프(10) 중에서 홀수 위치에 배치된 제1날줄로프(10a)와 짝수 위치에 배치된 제2날줄로프(10b)를 상/하방향으로 교차시키는 승강부(120); 상기 승강부(12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제1날줄로프(10a)와 상기 제2날줄로프(10b) 사이에서 상기 제1날줄로프(10a) 또는 상기 제2날줄로프(10b)의 이송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되어 제1씨줄(20a) 및 제2씨줄(20b)을 투입시키는 씨줄 투입부(130); 및 상기 씨줄 투입부(130)에 의해 직조된 매트를 롤 형태로 권취하는 권취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공급부(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줄로프(10)가 권취된 다수개의 보빈(11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개의 메인 프레임(f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f1)은, 상기 보빈(111)에 마련된 보빈축(111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메인 프레임(f1) 상에 6개의 보빈축(111a)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으로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보빈축(111a) 상에는 다수개의 보빈(111)이 마련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보빈축(111a)에 마련되는 보빈(111)의 개수는 제작하고자 하는 매트의 크기에 대응되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f1)은, 작업장의 바닥면에 설치된 (r)의 상부에서 상기 레일(r)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메임 프레임(f1)의 하단에는 바퀴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f1)을 상기 레일(r)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시키는 이유는, 다수개의 메인 프레임(f1) 간의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상기 보빈(111) 상에서 풀리어지는 다수가닥의 날줄로프(10)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다수개을 보빈(111)을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f1)이 상기 레일(r)상에 3개 마련된 것으로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공급부(110)는, 상기 다수개의 메인 프레임(f1) 간의 간격을 조절 및 유지시켜주는 보조 프레임(f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프레임(f2)은, 상기 다수개의 메인 프레임(f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f1)들끼리 서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f1)의 하부에서 상기 다수개의 메인 프레임(f1)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 프레임(f2)은 공지의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메인 프레임(f1)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보조 프레임(f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ㅠ’와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 프레임(f2)은 수평막대 및 수평막대의 양단에 수직으로 고정된 수직막대로 구성되어 'ㅠ'와 같은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보조 프레임(f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막대가 이격된 상기 메인 프레임(f1)의 하부 상단에 안착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f1)들의 이격거리를 유지시키고, 수직막대가 상기 메인 프레임(f1)들이 서로 근접하지 못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f1)들의 하부에 걸린 상태로 상기 메인 프레임(f1)들의 하부를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보조 프레임(f2)은 상기 수평막대 및 수직막대에 의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f1)들의 이격거리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메인 프레임(f1)이 서로 밀접하게 배치되어 있으면, 상기 보빈(111)에서 풀리어져 공급되는 다수 가닥의 날줄로프(10)가 서로 간섭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채 상기 레일(r)상에 마련되는바, 이때, 상기 다수개의 메인 프레임(f)의 간격이 서로 좁아지거나 벌어지게 되면 다수가닥의 날줄로프(10)가 원활하게 공급디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상기 메인 프레임(f1) 사이에는 이격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보조 프레임(f2)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레일(r)에 마련된 다수개의 메인 프레임(f1) 중에서 후술할 인입부(200)와 마주하게 배치된 메인 프레임(f1)의 상단에는 다수개의 가이드부재(g)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재(g)는 다수개의 보빈(111)에서 풀리어지는 다수가닥의 날줄로프(10)가 서로 간섭없이 상기 인입부(220)를 향해 안정적으로 이송될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역할을 하며, 공지의 풀리(pulley)나,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의 고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보빈(111)에서 풀리어지는 다수개의 날줄로프(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프레임(f1)의 상부를 경유하여 상기 인입부(200)가 배치된 방향으로 이송되는바,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g)에 각각 가이드 된 채로 상기 인인부(200)에 의해 당기어져 상기 승강부(120)로 공급될 수 있으며, 제조하고자 하는 매트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입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인입롤러(210, 210'); 및 상기 한 쌍의 인입롤러(210, 210') 중 어느 하나의 인입롤러(21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인입롤러(210, 210')는, 상기 공급부(110)에서 공급되는 날줄로프(10)가 삽입되어 통과될 수 있는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날줄로프(10)를 용이하게 당기는 측면에서는 상기 날줄로프(10)의 직경보다 작은 길이의 간격만큼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구동부(220)는, 구동모터(221)와, 상기 구동모터(221)의 출력축(221a)과 상기 인입롤러(210)의 회전축(210a)을 서로 연결하는 체인(c)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출력축(221a)과 상기 회전축(210a)에는 상기 체인(c)과 연결되는 스프로킷(s)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221)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인입롤러(210, 210') 중에서 하부에 배치된 인입롤러(210)가 회전되고, 이에 연동하여 상부에 배치된 인입롤러(210')도 상기 인입롤러(210)에 의해 이송되는 날줄로프(10)와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인입롤러(210, 210') 중에서 상부에 배치된 인입롤러(210')는, 실린더의 구동로드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인입롤러(210')는 상기 실린더의 작동에 의하여 수직방향을 승강 또는 하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인입롤러(210, 210') 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인입롤러(210, 210')에는 매쉬망(m)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매쉬망(m)은 상기 인입롤러(210, 210')의 외면 전체를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인입롤러(210, 210') 사이로 통과되는 날줄로프(10)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한 상의 인입롤러(210, 210') 사이로 삽입되어 이송되는 날줄로프(10)는 상기 매쉬망(m)에 의하여 용이하게 당기어질 수 있다.
상기 승강부(120),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날줄로프(10a)를 가이드하며, 제1실린더(S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승강되는 제1승강프레임(121); 및 상기 제1승강프레임(121)과 마주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날줄로프(10b)를 가이드하며, 제2실린더(S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승강프레임(121)의 승강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승강되는 제2승강프레임(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프레임(121)과 상기 제2승강프레임(12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승되거나 하강되어 상기 제1날줄로프(10a)와 상기 제2날줄로프(10b)를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상기 제1승강프레임(121) 또는 상기 제2승강프레임(122)은,하단에 상기 제1날줄로프(10a) 또는 상기 제2날줄로프(10b)가 삽입되어 통과될 수 있는 가이드링(123a)이 마련된 다수개의 수직바(12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입부(200)에 의해 당기어진 다수 가닥의 날줄로프(10) 중에서 홀수 위치에 배치된 제1날줄로프(10a)는 상기 제1승강프레임(121)의 가이드링(123a)에 통과되어 이송되고, 짝수 위치에 배치된 제2날줄로프(10b)는 상기 제2승강프레임(121)의 가이드링(123a)에 통과되어 이송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날줄로프(10a)와 상기 제2날줄로프(10b)가 서로 간섭되지 않은 안정적인 자세로 이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실린더(S1)는 상기 제1승강프레임(121)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승강프레임(121)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실린더(S2)는 상기 제2승강프레임(122)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2승강프레임(122)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씨줄 투입부(130)는, 제1씨줄(20a)과 제2씨줄(20b)을 서로 수평방향 교차시켜 상기 제1날줄로프(10a) 및 상기 제2날줄로프(10b)와 결속시킬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수평방향이라 함은 상기 제1날줄로프(10a) 및 상기 제2날줄로프(10b)의 이송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이라 할 수 있겠다.
위와 같은 씨줄 투입부(13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씨줄(20a)이 권취된 제1보빈(b1) 또는 상기 제2씨줄(20b)이 권취된 제2보빈(b2)을 지지하는 제1이송프레임(131); 및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과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보빈(b1) 또는 상기 제2보빈(b2)을 지지하는 제2이송프레임(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과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은, 상기 승강부(120)와 후술할 배출부(300) 사이에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부(12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이송되는 상기 제1날줄로프(10a) 및 상기 제2날줄로프(10b)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제1날줄로프(10a) 및 상기 제2날줄로프(10b)가 차지하는 영역 외측에서 서로 이격되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은 실린더에 의해 상기 제1날줄로프(10a) 및상기 제2날줄로프(10b)의 이송방향과 교차되는 수평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도 실린더에 의해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과 마주하는 수평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과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은, 상기 제1보빈(b1)의 보빈축 또는 상기 제2보빈(b2)의 보빈축을 상기 제1날줄로프(10a) 또는 상기 제2날줄로프(10b)의 이송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지지하되, 서로 마주하는 수평방향으로 직선 운동되어 상기 제1보빈(b1)과 상기 제2보빈(b2)을 서로 교체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과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은, 상기 제1보빈(b1) 또는 상기 제2보빈(b2) 중 어느 하나만 지지한 채 직선 왕복운동 되는바, 상기 승강부(120)에 의해 상기 제1날줄로프(10a)와 상기 제2날줄로프(10b)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중간지점까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직선 운동된 뒤, 상기 제1보빈(b1)과 상기 제1보빈(b2)을 서로 교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간지점이라 함은, 상기 승강부(12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제1날줄로프(10a)와 상기 제2날줄로프(10b)의 이송방향과 교차되는 수평방향 상에서 중간이 되는 지점이라 할 수 있겠다.
예컨대,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에 의해 지지되어 이송되는 제1보빈(b1)과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에 의해 지지되어 이송되는 제2보빈(b2)은, 상기 제1날줄로프(10a)와 상기 제2날줄로프(10b)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중간지점에서 교체되는바, 상기 중간지점에서 상기 제1보빈(b1)은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에 장착되고 상기 제2보빈(b2)은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에 장착되어 이송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에는 상기 제1보빈(b1)의 보빈축 양단을 지지하는 제1파지유닛(150)과 상기 제2보빈(b2)의 보빈축 양단을 지지하는 제2파지유닛(160)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에는 상기 제1보빈(b1)의 보빈축 양단을 지지하되, 상기 제1파지유닛(150)과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3파지유닛(170)과, 상기 제2보빈(b2)의 보빈축 양단을 지지하되 상기 제2파지유닛(160)과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4파지유닛(180)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파지유닛(150) 내지 제4파지유닛(18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실린더와 같은 구동부로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승 또는 하강되는 한 쌍의 승강로드(151, 161, 171, 18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로드(151, 161, 171, 181)의 상단에는 상기 제1보빈(b1)의 보빈축 또는 상기 제2보빈(b2)의 보빈축 양단이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는 말발굽 형태의 거치편(151a, 161a, 171a ,181a)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의 선단, 즉,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과 마주하는 선단 부위는 두 갈래로 분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분기된 일측 선단 부위에 상기 제1파지유닛(150)이 마련되고 타측 선단부위에는 제2파지유닛(160)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의 선단, 즉,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과 마주하는 선단 부위도 두 갈래로 분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분기된 일측 선단 부위에 상기 제3파지유닛(170)이 마련되고 타측 선단부위에는 제4파지유닛(18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과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송되었을 때,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 상기 제1파지유닛(150)과 상기 제3파지유닛(170), 그리고, 상기 제2파지유닛(160)과 상기 제4파지유닛(180)이 서로 중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의 선단 또는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의 선단 중 어느 하나의 선단에는 돌출 프레임(19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돌출 프레임(190)은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의 선단 또는 제2이송프레임(132)의 선단 윗면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의 일측 선단과 타측 선단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1파지유닛(150)과 상기 제2파지유닛(160)을 지지하는 것으로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 프레임(190)은,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 또는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의 선단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그 폭방향 양측에 상기 제1파지유닛(150)을 구성하는 한 쌍의 승강로드(151) 또는 상기 제2파지유닛(160)을 구성하는 한 쌍의 승강로드(161)가 서로 이격되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의 일측 선단 양측에는 상기 제3파지유닛(170)을 구성하는 한 쌍의 승강로드(171)가 서로 이격되어 각각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의 타측 선단 양측에는 상기 제4파지유닛(180)을 구성하는 한 쌍의 승강로드(181)가 서로 이격되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과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송되면, 상기 돌출 프레임(190)에 마련된 제1파지유닛(150)과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의 일측 선단에 마련된 제3파지유닛(170)이 서로 간섭되지 않은 채 중첩될 수 있고, 또한, 또 다른 돌출 프레임(190)에 마련된 제2파지유닛(160)과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의 타측 선단에 마련된 제4파지유닛(180)이 서로 간섭되지 않은 채 중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에 마련된 상기 제1파지유닛(150)의 한 쌍의 승강로드(151)와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에 마련된 상기 제4파지유닛(180)의 한 쌍의 승강로드(181)는 함께 상승되거나 하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에 마련된 상기 제2파지유닛(160)의 한 쌍의 승강로드(161)는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에 마련된 상기 제3파지유닛(170)의 한 쌍의 승강로드(171)와 함께 상승되거나 하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파지유닛(160)의 한 쌍의 승강로드(161)와 상기 제3파지유닛(170)의 한 쌍의 승강로드(171)는 상기 제1파지유닛(150)의 한 쌍의 승강로드(151)와 상기 제4파지유닛(180)의 한 쌍의 승강로드(181)의 운동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파지유닛(150)의 승강로드(151)와 상기 제4파지유닛(180)의 승강로드(181)가 상승되면 상기 제2파지유닛(160)의 승강로드(161)와 상기 제3파지유닛(170)의 승강로드(171)는 하강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제1파지유닛(150) 내지 제4파지유닛(18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에 지지된 제1보빈(b1)과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에 지지된 제2보빈(b2)이 상기 제1날줄로프(10a)와 상기 제2날줄로프(10b)가 형성하는 이격공간의 중간지점에서 서로 교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과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의 일측 선단에서 상기 제1파지유닛(150)의 승강로드(151)에 의해 보빈축 양단이 지지된 제1보빈(b1)은,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의 일측 선단과 마주하는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의 일측 선단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보빈(b1)의 보빈축 양단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승되었던 제1파지유닛(150)의 승강로드(151)는 하강되고, 반대로,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의 일측 선단에 마련된 제3파지유닛(170)의 승강로드(171)는 상승되어 상기 제1보빈(b1)의 보빈축 양단을 각각 지지할 수 있다.
그러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의 일측 선단에 장착되었던 제1보빈(b1)은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의 일측 선단으로 교체되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의 타측 선단에서 상기 제4파지유닛(180)의 승강로드(181)에 의해 보빈축 양단이 지지된 제2보빈(b2)은,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의 타측 선단과 마주하는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의 타측 선단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보빈(b2)의 보빈축 양단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승되었던 상기 제4파지유닛(180)의 승강로드(181)는 하강되고, 반대로,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의 타측 선단에 마련된 제2파지유닛(160)의 승강로드(161)는 상승되어 상기 제2보빈(b2)의 보빈축 양단을 각각 지지할 수 있다.
그러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의 타측 선단에 장착되었던 제2보빈(b2)은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의 타측 선단으로 교체되어 장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씨줄 투입부(130)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과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송되어 상기 제1보빈(b1)과 상기 제2보빈(b2)을 교체한 뒤 원위치로 이송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면, 상기 제1보빈(b1)에서 풀리어지는 제1씨줄(20a)과 상기 제2보빈(b2)에서 풀리어지는 제2씨줄(20b)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송되다가 다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제1날줄로프(10a) 및 상기 제2날줄로프(10b)와 결속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과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1회 이송된 후 다시 원 위치로 이송되면 상기 승강부(120)의 제1승강프레임(121)과 제2승강프레임(122)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되어 상기 제1날줄로프(10a)와 상기 제2날줄로프(10b)를 1회 교차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이, 제1씨줄(20a)과 제2씨줄(20b)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제1날줄로프(10a) 및 상기 제2날줄로프(10b)와 결속시키는 이유는, 매트의 폭방향 양단 부위(결속부위)가 균일한 결속압력을 받게 하여 매트의 변형을 방지하고, 또한, 매트의 폭방향 양단 부위의 결속력을 증대하기 위함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씨줄 투입부(130)가 상기 제1씨줄(20a)과 상기 제2씨줄(20b)을 서로 다른 수평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제1날줄로프(10a) 및 상기 제2날줄로프(10b)오 결속시키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씨줄(20a)과 상기 제2씨줄(20b)을 함께 동일한 수평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제1날줄로프(10a)와 상기 제2날줄로프(10b) 사이의 공간으로 투입시킬 수 도 있다.
이때, 상기 제1씨줄(20a)이 권취된 제1보빈(b1)과 상기 제2씨줄(20b)이 권취된 제2보빈(b2)은 하나의 보빈축(a)상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에는 상기 제1보빈(b1)과 상기 제2보빈(b2)의 보빈축(a) 길이방향 양단을 파지하여 지지하는 제1파지유닛(150)만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에는 상기 제1파지유닛(150)과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4파지유닛(160)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에 제1보빈(b1)과 상기 제2보빈(b2)을 지지하는 하나의 보빈축(a)이 지지될 수 있다.
그 다음,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과 연결된 실린더와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과 연결된 실린더가 구동되어 상기 제1이송프레임(132)과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수평 이송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에 마련된 제1파지유닛(150)과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에 마련된 제4파지유닛(180)은 서로 중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빈축(a)의 양단을 지지하고 있던 제4파지유닛(180)의 승강로드(181)는 하강되고 상기 제1파지유닛(150)의 승강로드(151)는 상승되어 상기 보빈축(a)의 양단을 지지할 수 있다.
그 다음,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과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평 이송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에 의해 1차적으로 지지되어 이송되었던 제1보빈(b1) 및 제2보빈(b2)은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으로 교체되어 이송될 수 있다.
그러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날줄로프(10a)와 제2줄날로프(10b) 및 한 쌍의 씨줄(20a, 20b)이 서로 결속된 채 후술할 배출부(300)로 이송될 수 있다.
한편, 도 11 및 도 12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지유닛(150', 160', 170', 18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파지유닛(150') 내지 제4파지유닛(18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의 선단 폭방향 양측 또는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의 선단 폭방향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1보빈(b1)의 보빈축(a) 또는 상기 제2보빈(b2)의 보빈축(a)의 저부를 지지하는 'ㄷ'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지지 프레임(152, 162, 172, 182)과, 상기 지지 프레임(152, 162, 172, 182)의 윗면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된 채 상승 또는 하강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152, 162, 172, 182)에 지지된 상기 보빈축(a)의 좌우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한 쌍의 승강로드(153, 163, 173, 18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파지유닛(150') 내지 제4파지유닛(180')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승강로드(153, 163, 173, 183)와 상기 지지 프레임(152, 162, 172, 182)을 이용하여 보빈축(a)의 길이방향 단부를 지지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파지유닛(150) 내지 제4파지유닛(180)과 차이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1에는, 상기 씨줄 투입부(130)가 상기 제1씨줄(20a)과 상기 제2씨줄(20b)을 서로 수평방향으로 교차시켜 상기 제1날줄로프(10a) 및 상기 제2날줄로프(10b)와 결속시킬 시에,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의 선단부에 마련된 상기 제1파지유닛(150') 및 상기 제2파지유닛(160)이 도시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의 선단부에 마련된 상기 제3파지유닛(170') 및 상기 제4파지유닛(180')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에 마련되는 상기 제1파지유닛(150') 및 상기 제2파지유닛(160')은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의 선단부에 마련된 돌출 프레임(190)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에는, 상기 씨줄 투입부(130)가 상기 제1씨줄(20a)과 상기 제2씨줄(20b)을 서로 동일한 수평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제1날줄로프(10a) 및 상기 제2날줄로프(10b)와 결속시킬 시에,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의 선단부에 마련된 제1파지유닛(150')과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의 선단부에 마련된 제4파지유닛(18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파지유닛(150') 내지 제4파지유닛(180')의 승강로드(153, 163, 173, 18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되었던 제1파지유닛(150) 내지 제4파지유닛(180)의 승강로드(151, 161, 171, 181)와 동일한 제어방식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파지유닛(150') 내지 제4파지유닛(180')은,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 또는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이 서로 마주하게 이송되었을 때 서로 간섭되지 않고 중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 또는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 상에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씨줄(20a)과 상기 제2씨줄(20b)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이송되어 상기 제1날줄로프(10a) 및 상기 제2날줄로프(10b)와 결속될 시에는, 상기 제1보빈(b1) 및 상기 제2보빈(b2)을 지지하는 보빈축(a)상에 상기 제1씨줄(20a)과 상기 제2씨줄(20b)이 원활하게 풀리어지도록 하는 가이드 유닛(500)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유닛(500)은 상기 보빈축(a)의 양단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회동바(510); 상기 한 쌍의 회동바(510)의 타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바(520); 및 상기 연결바(520)의 길이방향 중단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씨줄(20a) 및 상기 제2씨줄(20b)이 각각 삽입되어 통과되는 한 쌍의 고리(530, 53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 또는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의 이송에 의해, 상기 제1보빈(b1)과 상기 제2보빈(b2)에서 각각 풀리어지는 제1씨줄(20a)과 상기 제2씨줄(20b)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가이드 유닛(500)에 의하여 일정한 자세를 유지한 채로 풀리어질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 또는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의 선단 저부에는 아크(arc) 형태의 슬라이딩 편(600)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제1이송프레임(131) 또는 상기 제2이송프레임(132)이 승강부(13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제1날줄로프(10a)와 상기 제2날줄로프(10b) 사이의 공간으로 이송될 때, 상기 제2날줄로프(10b)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직조장치(100)는, 상기 씨줄 투입부(130)에 의하여 상기 제1날줄로프(10a)와 상기 제2날줄로프(10b) 사이의 공간으로 투입된 씨줄(20a, 20b)을 가압하는 가압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300)는, 상기 승강부(120)와 상기 씨줄 투입부(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부(120)의 제1승강프레임(121) 및 제2승강프레임(122)의 승강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되어 상기 씨줄 투입부(130)에 의하여 상기 제1날줄로프(10a)와 상기 제2날줄로프(10b) 사이의 공간으로 투입된 씨줄(20a, 20b)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300)는, 상기 씨줄 투입부(130)가 1회 가동된 후에 작동되어 직선 왕복운동될 수 있으며, 실린더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직선 왕복운동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가압부(300)는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가압바(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가압바(310)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이유는 다수개의 상기 제1날줄로프(10a) 및 상기 제2날줄로프(10b)가 삽입되어 통과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서다.
따라서, 상기 승강부(120)에 의해 이격된 상기 제1날줄로프(10a)와 상기 제2날줄로프(10b) 사이의 공간으로 씨줄(20a, 20b)이 투입되면, 상기 가압부(300)가 상기 제1날줄로프(10a) 및 상기 제2날줄로프(10b)의 이송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씨줄(20a, 20b)을 가압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씨줄(20a, 20b)은, 후술할 배출부(400)가 배치된 방향으로 더욱 밀착된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날줄로프(10a) 및 상기 제2날줄로프(10b)의 결속력이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 도 2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300)와 상기 권취부(140) 사이에는 배출부(40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400)는, 서로 결속된 상태의 상기 제1날줄로프(10a)와 상기 제2날줄로프(10b 및 씨줄(20a, 20b)을 당겨 상기 권취부(140)를 향해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며, 전술한 인입부(2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배출부(400)는, 직조된 매트를 상기 권취부(140)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배출부(40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배출롤러(410, 410'); 및 상기 한 쌍의 배출롤러(410, 410') 중 어느 하나의 배출로러(41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배출롤러(410, 410')는, 결속된 매트가 삽입되어 통과될 수 있는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매트를 용이하게 당기는 측면에서는 상기 매트의 두께보다 작은 길이의 간격만큼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구동부(420)는, 구동모터(421)와, 상기 구동모터(421)의 출력축(421a)과 상기 배출롤러(410)의 회전축(410a)을 서로 연결하는 체인(c)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출력축(421a)과 상기 회전축(410a)에는 상기 체인(c)과 연결되는 스프로킷(s)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421)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배출롤러(410, 410') 중에서 하부에 배치된 배출롤러(410)가 회전되고, 이에 연동하여 상부에 배치된 배출롤러(410')도 상기 배출롤러(410)에 의해 당겨지는 매트와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배출롤러(410, 410') 중에서 상부에 배치된 배출롤러(210')는, 실린더의 구동로드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롤러(410')는 상기 실린더의 작동에 의하여 수직방향을 승강 또는 하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배출롤러(410, 410') 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배출롤러(410, 410')에도 매쉬망(m)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매쉬망(m)은 상기 배출롤러(410, 410')의 외면 전체를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배출롤러(410, 410') 사이로 통과되는 매트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한 상의 배출롤러(210, 210') 사이로 삽입되어 이송되는 매트는 상기 매쉬망(m)에 의하여 용이하게 당기어질 수 있다.
상기 권취부(140)는, 상기 배출부(400)를 경유하여 이송되는 매트를 롤 형태로 권취시키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은 권취부(14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권취롤러(141, 141'); 상기 한 쌍의 권취롤러(141, 141')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각각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는 가이드 레일(142); 및 상기 가이드 레일(142)에 양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며, 매트의 길이방향 일단과 연결되는 권취봉(1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권취롤러(141, 141')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출부(400)의 제2구동부(4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것으로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권취롤러(141, 141') 중 어느 하나의 권취롤러(141)는 체인(c)을 매개로 상기 배출롤러(410)와 연결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권취롤러(141, 141')는 또 다른 체인(c)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구동부(420)에 의해 상기 배출롤러(410)가 회전되면 상기 한 쌍의 권취롤러(141, 141')도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142)은, 'ㄷ'자 형의 단면을 가지는 프레임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권취롤러(141, 141')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수직방햐으로 기립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권취봉(143)은 상기 가이드 레일(142)에 형성된 홈에 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권취봉(143)에는 작업자에 의해 상기 배출부(400)를 경유하여 배출되는 매트의 길이방향 일단이 1차적으로 감기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부(400)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매트가 배출되면 상기 한 쌍의 권취롤러(141)의 회전에 의해 상기 권취봉(143)에 매트가 감기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권취봉(143)에 감기어지는 매트의 두께가 두꺼워 질수록 상기 권취봉(143)은 상기 가이드 레일(142)의 길이방향, 즉, 상단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한 쌍의 권취롤러(141, 141')의 상부에 출고 상태의 매트가 롤 형태로 권취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직조장치(100)는, 자동화 공정을 통하여 대형의 매트를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므로, 매트의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또한, 제조단가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직조장치(100)는, 한 쌍의 씨줄이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이송되어 날줄로프와 결속되는 구성을 가지므로, 내구성이 향상된 매트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 직조장치(100)는, 제1날줄로프와 제2날줄로프를 상/하방향으로 이격시키는 승강부의 제1승강프레임 및 제2승강프레임이 실런더에 의해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승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반복되는 승강운동에 따른 장치의 마모 또는 변형률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으로 제1날줄로프와 제2날줄로프를 가이드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제1날줄로프(10a)와 제2날줄로프(10b)가 제1승강프레임(121)의 수직바(123)와 제2승강프레임(122)의 수직바(123)에 각각 마련된 원형의 가이드 링(123a)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면 상에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바(123)의 하부에 제1날줄로프(10a) 또는 제2날줄로프(10b)과 삽입되어 통과될 수 있는 관통공(h)을 형성하고, 이 관통공(h)의 내측에 제1날줄로프(10a) 또는 제2날줄로프(10b)의 외면과 미끄럼 접촉되는 한 쌍의 구름롤러(r)를 마련하는 방식으로 제1날줄로프(10a) 또는 제2날줄로프(10b)를 가이드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1날줄로프(10a) 및 제2날줄로프(10b)가 한 쌍의 구름롤러(r)에 의해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매트 직조장치 110 : 공급부
111 : 보빈 111a : 보빈축
120 : 승강부 121 : 제1승강프레임
122 : 제2승강프레임 123 : 수직바
123a : 가이드링 130 : 씨줄 투입부
131 : 제1이송프레임 132 : 제2이송프레임
140 : 권취부 141, 141' : 권취롤러
142 : 가이드 레일 143 : 권취봉
150 : 제1파지유닛 160 : 제2파지유닛
170 : 제3파지유닛 180 : 제4파지유닛
190 : 돌출 프레임 200 : 인입부
210, 210' : 인입롤러 300 : 가압부
400 : 배출부 410, 410' : 배출롤러
10 : 날줄로프 10a : 제1날줄로프
10b : 제2날줄로프 20a : 제1씨줄
20b : 제2씨줄 S1 : 제1실린더
S2 : 제2실린더 b1 : 제1보빈
b2 : 제2보빈

Claims (8)

  1. 다수개의 날줄 중에서 홀수 위치에 배치된 제1날줄로프와 짝수 위치에 배치된 제2날줄로프를 상/하방향으로 교차시키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제1날줄로프와 상기 제2날줄로프 사이에서 상기 제1날줄로프 또는 상기 제2날줄로프의 이송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되어 적어도 하나의 씨줄을 투입시키는 씨줄 투입부; 및
    상기 씨줄 투입부에 의하여 상기 제1날줄로프와 상기 제2날줄로프 사이의 공간으로 투입된 씨줄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씨줄 투입부는,
    제1씨줄과 제2씨줄을 서로 수평방향 교차시켜 상기 제1날줄로프 및 상기 제2날줄로프와 결속시키고,
    상기 씨줄 투입부는,
    상기 제1씨줄이 마련된 제1보빈 또는 상기 제2씨줄이 마련된 제2보빈을 지지하는 제1이송프레임; 및
    상기 제1이송프레임과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보빈 또는 상기 제2보빈을 지지하는 제2이송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이송프레임과 상기 제2이송프레임은, 상기 제1보빈의 보빈축 또는 상기 제2보빈의 보빈축을 상기 제1날줄로프 또는 상기 제2날줄로프의 이송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지지하되,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송되어 상기 제1보빈과 상기 제2보빈을 서로 교체하고,
    상기 제1이송프레임에는 상기 제1보빈의 보빈축 양단을 지지하는 제1파지유닛과 상기 제2보빈의 보빈축 양단을 지지하는 제2파지유닛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제2이송프레임에는 상기 제1보빈의 보빈축 양단을 지지하되, 상기 제1파지유닛과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3파지유닛과, 상기 제2보빈의 보빈축 양단을 지지하되 상기 제2파지유닛과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4파지유닛이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직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프레임에 마련된 상기 제1파지유닛의 한 쌍의 승강로드와 상기 제2이송프레임에 마련된 상기 제4파지유닛의 한 쌍의 승강로드는 함께 상승되거나 하강되고,
    상기 제1이송프레임에 마련된 상기 제2파지유닛의 한 쌍의 승강로드는 상기 제2이송프레임에 마련된 상기 제3파지유닛의 한 쌍의 승강로드와 함께 상승되거나 하강되되, 상기 제1파지유닛의 한 쌍의 승강로드와 상기 제4파지유닛의 한 쌍의 승강로드의 운동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직조장치.
  6. 다수개의 날줄 중에서 홀수 위치에 배치된 제1날줄로프와 짝수 위치에 배치된 제2날줄로프를 상/하방향으로 교차시키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제1날줄로프와 상기 제2날줄로프 사이에서 상기 제1날줄로프 또는 상기 제2날줄로프의 이송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되어 적어도 하나의 씨줄을 투입시키는 씨줄 투입부; 및
    상기 씨줄 투입부에 의하여 상기 제1날줄로프와 상기 제2날줄로프 사이의 공간으로 투입된 씨줄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씨줄 투입부는,
    제1씨줄과 제2씨줄을 함께 동일한 수평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제1날줄로프 및 상기 제2날줄로프와 결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직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씨줄 투입부는,
    상기 제1씨줄이 마련된 제1보빈과 상기 제2씨줄이 마련된 제2보빈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보빈축을 지지하는 제1이송프레임; 및
    상기 제1이송프레임과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보빈축을 지지하는 제2이송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이송프레임과 상기 제2이송프레임은, 상기 보빈축을 상기 제1날줄로프 또는 상기 제2날줄로프의 이송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지지하되,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송되어 상기 보빈축을 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직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프레임과 상기 제2이송프레임에는 상기 보빈축 양단을 지지하는 파지유닛이 각각 마련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1이송프레임에 마련된 파지유닛과 상기 제2이송프레임에 마련된 파지유닛은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이송프레임에 마련된 상기 파지유닛의 한 쌍의 승강로드와 상기 제2이송프레임에 마련된 파지유닛의 한 쌍의 승강로드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직조장치.
KR1020180080173A 2018-05-30 2018-07-10 매트 직조장치 KR1020318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049 2018-05-30
KR20180062049 2018-05-3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879A Division KR20190136897A (ko) 2018-05-30 2018-12-06 매트 직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1864B1 true KR102031864B1 (ko) 2019-10-15

Family

ID=682095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173A KR102031864B1 (ko) 2018-05-30 2018-07-10 매트 직조장치
KR1020180155879A KR20190136897A (ko) 2018-05-30 2018-12-06 매트 직조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879A KR20190136897A (ko) 2018-05-30 2018-12-06 매트 직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03186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718B1 (ko) * 2019-11-20 2020-03-16 주식회사 테라 보행매트 직조 장치
KR102203347B1 (ko) * 2020-09-09 2021-01-15 주식회사 카이치랜드 야자매트 직조장치용 코이어 로프 공급장치
KR20210119635A (ko) * 2020-03-25 2021-10-06 고영신 매트용 직조장치
KR20220041346A (ko) * 2020-09-25 2022-04-01 박현조 보행매트 직조기용 매트 고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5070B1 (ko) * 2019-12-16 2021-04-26 이용복 매트 직조 장치의 배출부
KR102611193B1 (ko) * 2023-07-18 2023-12-07 (주)자연초록 4 x 4 미끄럼방지 보행매트 제작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9078B1 (ko) * 2016-12-17 2017-12-14 우진에코텍(주) 로드매트 직조기
KR101870715B1 (ko) * 2017-06-22 2018-06-25 우진에코텍 주식회사 보행매트 직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9078B1 (ko) * 2016-12-17 2017-12-14 우진에코텍(주) 로드매트 직조기
KR101870715B1 (ko) * 2017-06-22 2018-06-25 우진에코텍 주식회사 보행매트 직조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718B1 (ko) * 2019-11-20 2020-03-16 주식회사 테라 보행매트 직조 장치
KR20210119635A (ko) * 2020-03-25 2021-10-06 고영신 매트용 직조장치
KR102332316B1 (ko) 2020-03-25 2021-11-26 고영신 매트용 직조장치
KR102203347B1 (ko) * 2020-09-09 2021-01-15 주식회사 카이치랜드 야자매트 직조장치용 코이어 로프 공급장치
KR20220041346A (ko) * 2020-09-25 2022-04-01 박현조 보행매트 직조기용 매트 고정 장치
KR102410910B1 (ko) 2020-09-25 2022-06-20 박현조 보행매트 직조기용 매트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897A (ko) 201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864B1 (ko) 매트 직조장치
KR101809078B1 (ko) 로드매트 직조기
EP2003232B1 (d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Aufbringen einer unidirektionalen Faserlag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Multiaxialgeleges und Multiaxialmaschine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Fasergewebes und Webmaschine
DE3025909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stellen einer webnaht als verbindung zweier gewebeenden
KR101130855B1 (ko) 결속 유닛과 이를 이용한 발 제작장치
CN104213297A (zh) 一种整经装置
DE102008038343B4 (de) Garnspulmaschine und Garntexturiermaschine
CN106364972A (zh) 一种并线装置
CN216473779U (zh) 针织可变花色圆扁钩编机
CN1584162A (zh) 具有结头排列装置的整经机
CN114057033B (zh) 一种便于更换化纤丝收卷筒用的缠绕装置及其使用方法
US4173990A (en) Temporary fabric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weaving same
DE2326904A1 (de) Mehrfachzwirnvorrichtung
CN100360256C (zh) 金属丝网编织机
JP2005187972A (ja) 部分整経機、経糸継替装置及び部分整経方法
KR102104236B1 (ko) 이종 원사 공급이 가능한 직조 장치
DE19852281A1 (de) Vorrichtung zur Zuführung einer mehrlagigen, multiaxialen Fadenschicht zu der Wirkstelle einer Kettenwirkmaschine
KR102108527B1 (ko) 로드 매트 직조기
DE2449138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oerdern einer vielzahl von materialstraengen entlang einem vorgegebenen foerderweg
US4444025A (en) Carrier mechanism for weft insertion
DE1635481B2 (de) Maschine zur herstellung eines endlosen fadengeleges
EP0733550B1 (de) Vorrichtung zur Bündelung von länglichen Halbzeugen
CN1223227A (zh) 束状染整纱制作筒子纱的方法及分纱机、倒筒机
CN212581224U (zh) 一种可调式等张力纱架
CN105463653B (zh) 一种便于提高整经张力的整经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