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420B1 - 인디케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 Google Patents

인디케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420B1
KR102031420B1 KR1020170128284A KR20170128284A KR102031420B1 KR 102031420 B1 KR102031420 B1 KR 102031420B1 KR 1020170128284 A KR1020170128284 A KR 1020170128284A KR 20170128284 A KR20170128284 A KR 20170128284A KR 102031420 B1 KR102031420 B1 KR 102031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lux
coil
light emitting
emitting module
wo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8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8171A (ko
Inventor
문현욱
김양경
김의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8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420B1/ko
Priority to EP18196524.5A priority patent/EP3462815B1/en
Priority to US16/145,278 priority patent/US20190104573A1/en
Publication of KR20190038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18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arrangements using lights for heating zone state indic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4Sources of curr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3Heating plates made out of a matrix of heating elements that can define heating areas adapted to cookware randomly placed on the heating pl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 영역에 상관없이 워킹 코일의 구동 여부 및 가열 세기를 표현하는 인디케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는, 유도 가열 장치에 구비된 워킹 코일과 연계되어 구동되는 인디케이터에 있어서, 워킹 코일의 구동시 발생되는 자속을 감지하고, 감지된 자속을 전류로 변환하는 자속 감지 코일, 자속 감지 코일에서 변환된 전류를 정류하는 정류부 및 정류부로부터 정류된 전류를 제공받아 발광하는 발광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인디케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INDICATOR AND INDUCTION HEA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열 영역에 상관없이 워킹 코일의 구동 여부 및 가열 세기를 표현하는 인디케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식당에서 음식을 가열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조리 기구들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가스를 연료로 하는 가스 레인지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가스를 이용하지 않고 전기를 이용하여 피가열 물체, 예컨대 냄비와 같은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장치들의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기를 이용하여 피가열 물체를 가열하는 방식은 크게 저항 가열 방식과 유도 가열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전기 저항 방식은 금속 저항선 또는 탄화규소와 같은 비금속 발열체에 전류를 흘릴 때 생기는 열을 방사 또는 전도를 통해 피가열 물체에 전달함으로써 피가열 물체를 가열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유도 가열 방식은 소정 크기의 고주파 전력을 코일에 인가할 때 코일 주변에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하여 금속 성분으로 이루어진 피가열 물체(예를 들어, 조리 용기)에 와전류(eddy current)를 발생시켜 피가열 물체 자체가 가열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 중 유도 가열 방식이 적용된 유도 가열 장치는 복수개의 피가열 물체 각각(예를 들어, 조리 용기)을 가열하기 위해 대응하는 영역에 각각 워킹 코일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10)는 케이스(25) 및 케이스(25)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20)를 포함한다. 또한 케이스(25)에는 원형의 형상을 갖는 하나 이상의 워킹 코일(27a, 27b)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케이스(25)와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20)는 조리 용기와 같은 피가열 물체를 올려놓기 위한 상판부(15)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판부(15)는 유리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5)와 커버 플레이트(2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워킹 코일(27a, 27b)의 형상과 대응되는 원형의 형상을 갖는 발광 모듈(30a, 30b)이 배치될 수 있다.
발광 모듈(30a, 30b)은 복수개의 LED를 포함할 수 있고, 워킹 코일(27a, 27b)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워킹 코일(27a, 27b)이 구동되면, 발광 모듈(30a, 30b)은 복수개의 LED를 발광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상판부(15)에 표시된 LED 광(예를 들어, 17a, 17b)을 통해 워킹 코일(27a, 27b)의 구동 여부 및 가열 세기(즉, 화력)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다만, 종래에는 발광 모듈(30a, 30b)의 위치가 워킹 코일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고정되어 있는바, 피가열 물체의 크기에 따라 LED 광이 비추어지는 영역이 제한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피가열 물체의 편심 여부에 따라 LED 광에 의해 상판부(15)에 구현되는 불꽃 모양의 위치와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는 문제도 있다.
즉, 종래의 유도 가열 장치(10)에서는, 정해진 가열 영역보다 피가열 물체의 크기가 크거나 정해진 가열 영역에서 피가열 물체가 편심된 경우, 사용자가 워킹 코일의 구동 여부 및 가열 세기를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정해진 가열 영역에서만 워킹 코일의 구동 여부 및 가열 세기를 확인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나아가, 종래의 워킹 코일의 구동 여부 및 가열 세기 확인 방법은 최근 널리 보급되고 있는 존프리(ZONE FREE) 방식의 유도 가열 장치에 적용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즉, 존프리 방식의 유도 가열 장치에는 하나의 피가열 물체를 복수개의 워킹 코일로 동시에 가열할 수 있는 방식(즉, 복수개의 워킹 코일이 존재하는 영역 내에서는 피가열 물체의 크기 및 위치에 상관 없이 피가열 물체를 유도 가열하는 방식)이 적용되는바, 종래의 워킹 코일의 구동 여부 및 가열 세기 확인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존프리 방식의 유도 가열 장치에는 복수개의 워킹 코일이 존재하는바, 종래의 워킹 코일의 구동 여부 및 가열 세기 확인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발광 모듈(즉, LED)의 제어 방법 및 회로 복잡도가 증가하여 조립 및 제작 난이도도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열 영역에 상관없이 워킹 코일의 구동 여부 및 가열 세기를 표현할 수 있는 인디케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제어 회로 없이 워킹 코일의 구동 여부 및 가열 세기를 표현할 수 있는 인디케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디케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는, 워킹 코일의 구동시 발생되는 자속을 감지하고, 감지된 자속을 전류로 변환하는 자속 감지 코일, 자속 감지 코일에서 변환된 전류를 정류하는 정류부 및 정류부에 의해 정류된 전류를 제공받아 발광하는 발광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가열 영역의 위치에 상관없이 워킹 코일의 구동 여부 및 가열 세기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디케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는 워킹 코일의 구동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턴온 또는 턴오프되고, 워킹 코일에서 발생되는 자속의 크기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밝기가 변동되는 발광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제어 회로 없이 워킹 코일의 구동 여부 및 가열 세기를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디케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는 가열 영역에 상관없이 워킹 코일의 구동 여부 및 가열 세기를 표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피가열 물체의 크기 또는 피가열 물체의 편심 여부와 상관 없이 용이하게 워킹 코일의 구동 여부 및 가열 세기를 확인할 수 있는바, 사용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디케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는 별도의 제어 회로 없이 워킹 코일의 구동 여부 및 가열 세기를 표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워킹 코일이 배치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제어 회로의 복잡도 증가로 인한 조립 및 제작 난이도의 증가를 걱정할 필요가 없는바, 사용자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도 가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인디케이터의 일 예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3의 인디케이터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참고로, 인디케이터(1)는 유도 가열 장치(도 3의 1000)에 구비된 워킹 코일(도 3의 WC)과 연계되어 구동되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1)는 자속 감지 코일(100), 정류부(150), 발광 모듈(200), 기판(25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속 감지 코일(100)은 워킹 코일(미도시)의 구동시 발생되는 자속을 감지하고, 감지된 자속을 전류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도 가열 장치에 구비된 워킹 코일의 경우, 소정 크기의 고주파 전력을 인가받게 되면 그 주변에 자계(즉, 자속)가 발생하는바, 자속 감지 코일(100)은 워킹 코일에서 발생된 자속(또는 자속 변화)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자속 감지 코일(100)은 감지된 자속을 전류로 변환하여 정류부(150)로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자속 감지 코일(100)은 감지된 자속을 교류 전류로 변환할 수 있고, 2턴 이상의 코일이 감겨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류부(150)는 자속 감지 코일(100)에서 변환된 전류를 정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류부(150)는 자속 감지 코일(100)에서 변환된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정류할 수 있다.
또한 정류부(150)는 정류된 전류(즉, 직류 전류)를 발광 모듈(200)로 제공할 수 있다.
발광 모듈(200)은 정류부(150)로부터 정류된 전류를 제공받아 발광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LED(Light Emitting Diode)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정류부(150)는 자속 감지 코일(100)로부터 전류를 제공받고, 자속 감지 코일(100)은 워킹 코일에서 발생된 자속을 감지하여 전류로 변환하는바, 발광 모듈(200)은 워킹 코일의 구동 여부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 모듈(200)은 워킹 코일이 구동되어 자속이 발생하는 경우 자동으로 턴온되고, 워킹 코일이 구동 중단되는 경우 자동으로 턴오프될 수 있다.
나아가 발광 모듈(200)은 정류부(150)로부터 제공받은 전류의 크기에 따라 밝기가 변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워킹 코일에서 발생되는 자속의 크기에 따라 자속 감지 코일(100)에서 변환되는 전류의 크기가 변동되고, 자속 감지 코일(100)에서 변환된 전류의 크기에 따라 발광 모듈(200)에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즉, 발광 모듈(200)의 밝기)가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 모듈(200)의 밝기는 워킹 코일에서 발생되는 자속의 크기가 클수록 자동으로 증가하고, 워킹 코일에서 발생되는 자속의 크기가 작을수록 자동으로 감소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유도 가열 장치의 입력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해 화력(즉, 가열 세기)를 제어하면, 이에 따라 워킹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속의 크기도 제어되는바, 별도로 발광 모듈(200)을 제어하지 않더라도 발광 모듈(200)의 밝기가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한편, 기판(250)에는 자속 감지 코일(100), 정류부(150) 및 발광 모듈(200)이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판(250)은 예를 들어, PCB(Printed Circuit Board) 또는 FPCB(Flexible PC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판(250)은 모듈형 또는 원판형(즉, 하나의 대면적 기판)으로 설계될 수 있다.
여기에서, 기판(250)이 모듈형으로 설계된 경우, 기판(250) 간에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고, 기판(250)이 원판형으로 설계된 경우, 하나의 기판(250)에 복수개의 자속 감지 코일, 복수개의 정류부, 복수개의 발광 모듈이 설치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참고로, 기판(250)은 후술하는 케이스(도 3의 25)와 커버 플레이트(도 3의 2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구비되고, 워킹 코일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도 2의 인디케이터(1)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의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인디케이터의 일 예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3의 인디케이터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유도 가열 장치(1000)는 케이스(25), 커버 플레이트(20), 복수개의 워킹 코일(WC), 인디케이터(50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도 가열 장치(1000)가 존프리 방식의 유도 가열 장치임을 전제로 설명하도록 한다. 물론, 유도 가열 장치(1000)는 존프리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의 유도 가열 장치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스(25)에는 복수개의 워킹 코일(WC)이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케이스(25)에는 복수개의 워킹 코일(WC) 외에 워킹 코일의 구동과 관련된 각종 장치(예를 들어, 교류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부, 전원부의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정류하는 정류부, 정류부에 의해 정류된 직류 전력을 스위칭 동작을 통해 공진 전류로 변환하여 워킹 코일에 제공하는 인버터부, 유도 가열 장치(1000) 내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워킹 코일을 턴온 또는 턴오프하는 릴레이 또는 반도체 스위치 등)가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커버 플레이트(20)는 케이스(25)의 상단에 결합되고, 피가열 물체(미도시)가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플레이트(20)는 조리 용기와 같은 피가열 물체를 올려놓기 위한 상판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판부(15)는 예를 들어, 유리 소재로 구성될 수 있고, 상판부(15)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제공받아 전술한 제어부에 전달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판부(15)가 아닌 다른 위치에 입력 인터페이스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인디케이터(500)는 케이스(25)와 커버 플레이트(20) 사이에 구비되고, 워킹 코일(WC)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인디케이터(500)는 도 2에 도시된 인디케이터(1)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즉, 자속 감지 코일, 정류부, 발광 모듈)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구성요소가 복수개일 수 있다. 또한 인디케이터(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듈형 또는 원판형으로 설계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모듈형으로 설계된 기판(예를 들어, 250-1~250-4)을 포함하는 인디케이터(500-1)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기판이 모듈형으로 설계된 경우, 각각의 기판(예를 들어, 250-1~250-4)에는 자속 감지 코일(예를 들어, FSC1~FSC4), 정류부, 발광 모듈이 별도로 설치될 수 있고, 각각의 기판(예를 들어, 250-1~250-4)은 상호간에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다.
즉, 제1 기판(250-1)에는 제1 자속 감지 코일(FSC1), 제1 정류부(미도시), 제1 발광 모듈(미도시)이 설치되고, 제2 기판(250-2)에는 제2 자속 감지 코일(FSC2), 제2 정류부(미도시), 제2 발광 모듈(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기판(250-3)에는 제3 자속 감지 코일(FSC3), 제3 정류부(미도시), 제3 발광 모듈(미도시)이 설치되고, 제4 기판(250-4)에는 제4 자속 감지 코일(FSC4), 제4 정류부(미도시), 제4 발광 모듈(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정류부와 발광 모듈은 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기판(예를 들어, 250-1~250-4)은 각각의 워킹 코일(예를 들어, WC1~WC4)과 일부 영역이 겹치도록 매트릭스(matrix) 형태 또는 벌집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 영역에 상관없이(즉, 워킹 코일의 위치에 상관없이) 각각의 기판에 설치된 자속 감지 코일을 통해 워킹 코일의 자속을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자속을 토대로 워킹 코일의 구동 여부 및 가열 세기를 각각의 기판에 설치된 발광 모듈을 통해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판(250-1)에 설치된 제1 자속 감지 코일(FSC1)을 통해 제1 워킹 코일(WC1)의 자속을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자속을 토대로 제1 워킹 코일(WC1)의 구동 여부 및 가열 세기를 제1 기판(250-1)에 설치된 제1 발광 모듈을 통해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워킹 코일(WC1, WC2)의 상부에 제2 기판(250-2)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2 기판(250-2)에 설치된 제2 자속 감지 코일(FSC2)이 제1 및 제2 워킹 코일(WC1, WC2)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시 발생되는 자속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기판(250-2)에 설치된 제2 발광 모듈은 제1 및 제2 워킹 코일(WC1, WC2)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어 자속이 발생하는 경우 턴온되고, 제1 및 제2 워킹 코일(WC1, WC2) 둘다 구동 중단되는 경우 턴오프될 수 있다. 또한 제2 기판(250-2)에 설치된 제2 발광 모듈의 밝기는 제1 및 제2 워킹 코일(WC1, WC2)에서 발생된 자속(즉, 제1 및 제2 워킹 코일(WC1, WC2)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된 자속)의 크기를 토대로 증감될 수 있다.
즉, 벌집 형태(또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모듈형 기판(예를 들어, 250-1~250-4)을 포함하는 인디케이터(500-1)를 통해 존프리 방식의 유도 가열 장치에 구비된 복수개의 워킹 코일의 구동 여부 및 가열 세기가 용이하게 표현될 수 있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면, 원판형으로 설계된 기판(250)을 포함하는 인디케이터(500-2)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기판(250)이 원판형으로 설계된 경우, 하나의 기판(250) 상에 복수개의 자속 감지 코일(예를 들어, FSC1~FSC4)과, 복수개의 정류부와, 복수개의 발광 모듈이 각각 짝을 이루어 설치될 수 있다. 즉, 기판(250)에는 복수개의 자속 감지 코일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예를 들어, 워킹 코일의 배열 구조에 맞추어 일대일 대응되도록 워킹 코일의 상부에 배치)되고, 각각의 자속 감지 코일 마다 정류부 및 발광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자속 감지 코일(FSC1)이 제1 워킹 코일(WC1) 위에 배치되면, 제1 정류부(미도시)와 제1 발광 모듈(미도시)이 제1 자속 감지 코일(FSC1)에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제2 자속 감지 코일(FSC2)이 제2 워킹 코일(WC2) 위에 배치되면, 제2 정류부(미도시)와 제2 발광 모듈(미도시)이 제2 자속 감지 코일(FSC2)에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자속 감지 코일(FSC3)이 제3 워킹 코일(WC3) 위에 배치되면, 제3 정류부(미도시)와 제3 발광 모듈(미도시)이 제3 자속 감지 코일(FSC3)에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제4 자속 감지 코일(FSC4)이 제4 워킹 코일(WC4) 위에 배치되면, 제4 정류부(미도시)와 제4 발광 모듈(미도시)이 제4 자속 감지 코일(FSC4)에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정류부와 발광 모듈은 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기판(250)이 원판형으로 설계된 경우에도, 가열 영역에 상관없이(즉, 워킹 코일의 위치에 상관없이) 기판(250)에 설치된 복수개의 자속 감지 코일을 통해 각각의 워킹 코일의 자속을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자속을 토대로 워킹 코일의 구동 여부 및 가열 세기를 기판(250)에 설치된 복수개의 발광 모듈을 통해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자속 감지 코일(FSC1)을 토대로 제1 워킹 코일(WC1)의 자속을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자속을 토대로 제1 워킹 코일(WC1)의 구동 여부 및 가열 세기를 제1 자속 감지 코일(FSC1)과 연결된 제1 발광 모듈을 통해 표현할 수 있다.
즉, 원판형 기판(250)을 포함하는 인디케이터(500-2)를 통해 존프리 방식의 유도 가열 장치에 구비된 복수개의 워킹 코일의 구동 여부 및 가열 세기가 용이하게 표현될 수 있다.
물론,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각각의 자속 감지 코일(예를 들어, FSC1~FSC4)이 각각의 워킹 코일(WC1~WC4)과 일부 영역이 겹치도록 기판(250)에 매트릭스 형태 또는 벌집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디케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는 가열 영역에 상관없이 워킹 코일의 구동 여부 및 가열 세기를 표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피가열 물체의 크기 또는 피가열 물체의 편심 여부와 상관 없이 용이하게 워킹 코일의 구동 여부 및 가열 세기를 확인할 수 있는바, 사용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디케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는 별도의 제어 회로 없이 워킹 코일의 구동 여부 및 가열 세기를 표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워킹 코일이 배치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제어 회로의 복잡도 증가로 인한 조립 및 제작의 어려움을 걱정할 필요가 없는바, 사용자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자속 감지 코일 150: 정류부
200: 발광 모듈 250: 기판

Claims (10)

  1. 유도 가열 장치에 구비된 워킹 코일과 연계되어 구동되는 인디케이터에 있어서,
    상기 워킹 코일의 구동시 발생되는 자속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자속을 전류로 변환하는 자속 감지 코일;
    상기 자속 감지 코일에서 변환된 전류를 정류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부로부터 상기 정류된 전류를 제공받아 발광하는 발광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발광 모듈의 턴온 또는 턴오프는 상기 워킹 코일의 구동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되고,
    상기 발광 모듈의 밝기는 상기 워킹 코일에서 발생되는 자속의 크기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되는
    인디케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속 감지 코일, 상기 정류부 및 상기 발광 모듈이 설치되는 기판을 더 포함하는
    인디케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워킹 코일이 구동되어 자속이 발생하는 경우 턴온되고,
    상기 워킹 코일이 구동 중단되는 경우 턴오프되는
    인디케이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모듈의 밝기는,
    상기 워킹 코일에서 발생되는 자속의 크기가 클수록 증가하고,
    상기 워킹 코일에서 발생되는 자속의 크기가 작을수록 감소하는
    인디케이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모듈은 하나 이상의 LED 소자를 포함하는
    인디케이터.
  6. 제1 및 제2 워킹 코일을 포함하는 워킹 코일부;
    상기 제1 및 제2 워킹 코일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워킹 코일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시 발생되는 자속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자속을 전류로 변환하는 자속 감지 코일;
    상기 자속 감지 코일에서 변환된 전류를 정류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부로부터 상기 정류된 전류를 제공받아 발광하는 발광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발광 모듈의 턴온 또는 턴오프는 상기 워킹 코일부의 구동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되고,
    상기 발광 모듈의 밝기는 상기 워킹 코일부에서 발생되는 자속의 크기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되는
    유도 가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워킹 코일부가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고, 피가열 물체가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워킹 코일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자속 감지 코일, 상기 정류부 및 상기 발광 모듈이 설치되는 기판을 더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워킹 코일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어 자속이 발생하는 경우 턴온되고,
    상기 제1 및 제2 워킹 코일 둘다 구동 중단되는 경우 턴오프되는
    유도 가열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모듈의 밝기는,
    상기 워킹 코일부에서 발생되는 자속의 크기가 클수록 증가하고,
    상기 워킹 코일부에서 발생되는 자속의 크기가 작을수록 감소하는
    유도 가열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속 감지 코일은 상기 제1 워킹 코일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워킹 코일의 구동시 발생되는 자속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자속을 전류로 변환하는 제1 자속 감지 코일과, 상기 제2 워킹 코일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워킹 코일의 구동시 발생되는 자속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자속을 전류로 변환하는 제2 자속 감지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정류부는 상기 제1 자속 감지 코일에서 변환된 전류를 정류하는 제1 정류부와 상기 제2 자속 감지 코일에서 변환된 전류를 정류하는 제2 정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제1 정류부로부터 상기 정류된 전류를 제공받아 발광하는 제1 발광 모듈과 상기 제2 정류부로부터 상기 정류된 전류를 제공받아 발광하는 제2 발광 모듈을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KR1020170128284A 2017-09-29 2017-09-29 인디케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KR102031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284A KR102031420B1 (ko) 2017-09-29 2017-09-29 인디케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EP18196524.5A EP3462815B1 (en) 2017-09-29 2018-09-25 Indicator and induction hea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16/145,278 US20190104573A1 (en) 2017-09-29 2018-09-28 Indicator and induction hea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284A KR102031420B1 (ko) 2017-09-29 2017-09-29 인디케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171A KR20190038171A (ko) 2019-04-08
KR102031420B1 true KR102031420B1 (ko) 2019-10-11

Family

ID=63683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8284A KR102031420B1 (ko) 2017-09-29 2017-09-29 인디케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90104573A1 (ko)
EP (1) EP3462815B1 (ko)
KR (1) KR1020314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68044A1 (en) * 2019-07-16 2021-01-20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Household appliance and method for powering at least a first and a second electric or electronic component or assembly
KR20220036653A (ko) * 2020-09-16 2022-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 및 그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무선 인디케이터
CN113116699B (zh) * 2021-03-25 2023-10-20 未来穿戴技术有限公司 筋膜枪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86843A (ja) * 2013-03-22 2014-10-02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914Y2 (ko) * 1980-02-04 1988-04-06
DE10159682A1 (de) * 2001-11-30 2003-06-26 Ego Elektro Geraetebau Gmbh Vorrichtung zur Markierung einer Induktionsspule durch Beleuchtung
JP5326834B2 (ja) * 2009-06-05 2013-10-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EP2592899B1 (de) * 2011-11-14 2017-04-26 BSH Hausgeräte GmbH Hausgerätevorrichtung
EP3177108B1 (en) * 2015-12-02 2020-04-01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Induction cooking hob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86843A (ja) * 2013-03-22 2014-10-02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62815B1 (en) 2022-04-20
KR20190038171A (ko) 2019-04-08
US20190104573A1 (en) 2019-04-04
EP3462815A1 (en)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53034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2031420B1 (ko) 인디케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KR102631230B1 (ko) 피가열체 구분 기능이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JP6403808B2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及び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
KR102060150B1 (ko) 냉각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US20140225448A1 (en) Non-contact power receiving device and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device
US11653422B2 (en) Induction heating device having improved user experience and user interface
KR20230112603A (ko) 와이어 하니스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102060151B1 (ko) 인디케이터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102107618B1 (ko) 워킹 코일 연결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EP3654735B1 (en) Induction heating device having improved structure for compact arrangement of components and ease of assembling
KR102060149B1 (ko) 인디케이터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US20220201808A1 (en) Induction heating device providing improved user experience and user interface
KR20200122713A (ko)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102060146B1 (ko) 워킹 코일 고정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JP2010251093A (ja) 誘導加熱装置
KR102206096B1 (ko)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20200057552A (ko)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US20220312556A1 (en) Induction heating circuit for induction heating cooker
KR102266358B1 (ko)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US20230292411A1 (en) Induction heating cooktop and wireless indicator for indicating operation state thereof
KR20200057551A (ko) 가열 위치 가이드 메커니즘이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