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288B1 -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abbage cultiva rfermented extract - Google Patents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abbage cultiva rfermented extra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288B1
KR102031288B1 KR1020170168725A KR20170168725A KR102031288B1 KR 102031288 B1 KR102031288 B1 KR 102031288B1 KR 1020170168725 A KR1020170168725 A KR 1020170168725A KR 20170168725 A KR20170168725 A KR 20170168725A KR 102031288 B1 KR102031288 B1 KR 102031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bage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fermentati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7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68389A (en
Inventor
이경록
한병석
김경민
이석연
김지웅
방은지
이종성
이승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170168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288B1/en
Publication of KR20190068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3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2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염 활성이 우수한 양배추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cabbage fermentation extract excellent in anti-inflammatory activity as an active ingredient.

Description

양배추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ABBAGE CULTIVA RFERMENTED EXTRACT}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cabbage fermented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ABBAGE CULTIVA RFERMENTED EXTRACT}

본 발명은 양배추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cabbage fermented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피부는 신체의 외부를 덮고 있는 하나의 막으로 여러 가지 외부의 자극, 장해, 건조 등의 환경요소로부터 신체를 보호해 주는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여 내부 장기와 그 밖의 체내 기관을 보호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The skin is a membrane that covers the outside of the body and performs various physiological functions that protect the body from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external stimuli, obstacles, and drying. It protects and controls internal organs and other organs. do.

염증은 상처나 질병에 반응하는 인체의 면역 반응으로, 자외선이나 활성산소, 자유라디칼 등의 산화적 스트레스 등이 염증성 인자를 활성화시켜 각종 질병 및 피부의 노화를 일으킨다.Inflammation is an immune response of the human body in response to a wound or disease, and oxidative stress such as ultraviolet rays, free radicals, and free radicals activates inflammatory factors and causes various diseases and aging of the skin.

혈관 활성 폴리펩타이드인 키닌(kinin), 플라스민(plasmin), 보체(complement) 등이 혈관 확장과 수축 및 주화성(chemotaxis) 작용을 하고, 그 외에 인터루킨-6(IL-6) 등과 같은 림포카인과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등이 염증 반응을 담당한다. 아라키돈산은 싸이클로 옥시게나아제(cyclooxygenase) 혹은 리포옥시게나아제(lipooxygenase)의 2가지 경로를 거쳐 염증 매개체인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류코트리엔(leukotriene)들로 대사되어 다양한 염증 반응을 매개한다.Vascular activating polypeptides such as kinin, plasmin, and complement act on vasodilation, contraction and chemotaxis, as well as lymphokines such as interleukin-6 (IL-6). Phosphorus and arachidonic acid are responsible for the inflammatory response. Arachidonic acid is metabolized to inflammatory mediators, prostaglandin and leukotriene, through two pathways, cyclooxygenase or lipooxygenase, to mediate various inflammatory reactions.

염증을 소실시키기 위해 염증원의 제거, 생체 반응 및 증상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을 항염제라 한다.Anti-inflammatory drugs act to reduce inflammation, reduce biological response and symptoms in order to eliminate inflammation.

현재까지 항염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물질로는 비스테로이드계로 플루페나믹산(flufenamic acid), 이부프로펜(ibuprofen), 벤지다민(benzydamine), 인도메타신(indomethacin)등이 있고 스테로이드 계통으로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등이 있다.The substances used for anti-inflammatory purposes until now are nonsteroidal flufenamic acid, ibuprofen, benzydamine, indomethacin, and indomethacin, and prednisolone as a steroid system. , Dexamethasone and the like.

또한, 알란토인, 아즈엔, 하이드로코티손 등이 항염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들 물질은 피부에 대한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염증 완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llantoin, azene, hydrocortisone, etc. are known to be effective in anti-inflammatory, but these substances have a limited amount of use as a matter of safety to the skin, or a problem that can not be expected to substantially reduce the effect of the inflammation. There is this.

염증 반응 외에도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내적으로는 신진 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 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되게 된다.In addition to the inflammatory response, as the body ages, the secretion of various hormones that regulate metabolism decreases, and the function of immune cells and the activity of cells decreases.

또한, 외적으로는 오존층 파괴로 인하여 태양 광선에 자외선 함량이 증가하게 되고, 환경 오염이 더욱 심화됨에 따라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 등이 증가함으로써 생기는 과도한 물리적, 화학적 자극 및 스트레스 등은 피부의 정상기능 저하, 멜라닌 침착에 의한 기미, 주근깨 등의 생성 및 피부 노화현상을 촉진하여 피부가 손상되게 된다.Externally, the ultraviolet rays increase in the sun's rays due to the destruction of the ozone layer, and the excessive physical and chemical irritation and stress caused by the increase of free radicals and active harmful oxygen as environmental pollution becomes more severe are normal functions of the skin. Decreases, promotes the formation of melanin, blemishes, freckles, etc. and skin aging phenomenon will damage the skin.

이러한 내적, 외적 요인에 의한 피부노화 및 손상을 방지하여 보다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하기 위하여 각종 동물, 식물, 미생물 등으로부터 얻어진 생리 활성 물질들을 화장품에 부가하여 사용함으로써 피부의 고유 기능을 유지시키고 피부 세포를 활성화시켜 피부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피부 건강을 유지하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화장품, 피부 외용제 등이 개발되고 있다.In order to prevent skin aging and damage caused by thes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in order to maintain healthier and more beautiful skin,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obtained from various animals, plants, and microorganisms are added to cosmetics to maintain the unique functions of the skin and Efforts to maintain skin health by activating cells to promote skin metabolism continue, and cosmetics and external preparations for skin are being developed accordingly.

그러나, 통상의 방법으로 수득된 천연 유래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제품은 피부 미백 효과 등 기능성이 충분히 구현되지 아니하며, 피부 개선 활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우수한 기능성과 함께 생체 안정성 및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한 천연물 유래 화장료 제품의 개발 필요성이 꾸준히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However, the cosmetic product containing the extract derived from the natural method obtained by the conventional method does not fully implement the functionality such as skin whitening effec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kin improvement activity is not maintained continuously. Therefore,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natural product-derived cosmetic product with excellent functionality and excellent skin stability and skin improvement is steadily emerging.

본 발명자들은 생체 안전성이 우수하고 항산화, 항염 효과가 우수한 천연물 유래 화장품 제품의 개발 필요성이 꾸준히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우수한 기능성의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sought to develop a cosmetic composition of excellent functionality using a natural extract in a situation where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natural product-derived cosmetic product excellent in biosafety and excellent in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이 우수한 친환경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cosmetic composition excellent in functionality using a natural fermented ex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양배추(Brassica oleracea var. gemmifera)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cabbage ( Brassica) oleracea var. gemmifera )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fermented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is provid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효 추출물은 발효 균주를 접종하여 수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ermentation extract may be obtained by inoculating a fermentation strai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효 균주는 마리노박터 센글리엔시스(Marinobacter shengliensis)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ermentation strain may be Marinobacter shengliensis .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효에 의해 이소시오시아네이트의 함량이 증대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ent of isocyanate may be increased by the fermenta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염 또는 항스트레스용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for anti-inflammatory or anti-stres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로션, 크림, 세럼, 에멀젼, 에센스, 파우더,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마스크팩, 시트팩, 수면팩, 워시오프팩 및 필오프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smetic composition is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kin, lotion, cream, serum, emulsion, essence, powder, foundation, spray, mask pack, seat pack, sleep pack, wash off pack and peel off pack It may be formulated as abov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양배추를 건조 후 분쇄하여 가열 멸균하는 단계; (b) 상기 양배추에 마리노박터 센글리엔시스(Marinobacter shengliensis)를 접종하고 발효하는 단계; (c) 상기 발효된 양배추를 건조하여 고상 발효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고상 발효물과 추출 용매를 혼합하여 침적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배추 발효 추출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a) drying and grinding the cabbage by heat sterilization; (b) Marinobacter in the cabbage Marinobacter inoculating and fermenting shengliensis ; (c) drying the fermented cabbage to obtain a solid fermentation product; And (d) immersion extraction by mixing the solid fermentation product and the extraction solven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므로,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생체 안전성이 우수하다.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atura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not only excellent skin improvement effect, but also excellent biosafety.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발효 공정에 의한 다량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므로 피부 개선 효과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 large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by the fermentation process, the skin improvement effect may be remarkably improved.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deduc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 추출물에 의한 세포 독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 추출물의 항염 활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 추출물의 항스트레스 활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4 및 5는 발효에 따른 설포라판 함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1 is a result of measuring the cytotoxicity by the fermented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fermented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antistress activity of the fermented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sulforaphane content according to the ferment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to select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the like.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is also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s of the terms and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names of the simple term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The numerical range includes the numerical values defined in the range. All maximum numerical limits given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nclude all lower numerical limits as if the lower numerical limits were clearly written. All minimum numerical limits given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nclude all higher numerical limitations as if the higher numerical limit were clearly written. All numerical limitations given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ill include all better numerical ranges within the broader numerical range, as the narrower numerical limitations are clearly writte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Hereinafter,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양배추(Brassica oleracea var. gemmifera)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cabbage ( Brassica) oleracea var. gemmifera )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fermented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is provided.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유래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 개선 효과 및 생체 안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 자극이 최소화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may include an extract of natural origin as an active ingredient, as well as excellent skin improvement effect and biosafety, and may minimize skin irritation.

상기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은 항염 또는 항스트레스 효과 등 피부 개선 효과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정도의 유효량을 함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e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may mean that it contains an effective amount to the extent that can exhibit skin improvement effect activity, such as anti-inflammatory or anti-stress effect.

상기 “양배추(Brassica oleracea var. gemmifera)”는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겨자과의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로서, 생장에 필요한 필수 아미노산인 라이신이 풍부하고, 다량의 비타민 C, 칼륨, 칼슘이 포함되어 위궤양 및 십이지장궤양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또한, 혈액을 맑게 하고 몸의 저항력을 높이며, 주근깨, 여드름, 기타 피부병 등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The "cabbage (Brassica oleracea var. gemmifera ) ”is a perennial or biennial herb of the dicotyledonous poppy family Mustardaceae . It is rich in lysine, an essential amino acid necessary for growth, and contains a large amount of vitamin C, potassium, and calcium. It is also known to clear blood and increase body's resistance to freckles, acne and other skin diseases.

상기 발효 추출물은 발효 균주를 접종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 “발효”는 발효 균주 자신이 가지고 있는 효소를 이용해 유기물을 분해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발효 균주를 통한 발효과정을 거친 원료는 발효 전보다 최소 2배에서 최대 수 십배의 효과가 증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 fermentation extract may be obtained by inoculating a fermentation strain. The "fermentation" refers to a process of decomposing organic matter using an enzyme owned by the fermentation strain. Raw materials that have undergone fermentation through fermentation strains are known to have an effect of at least 2 to 10 times greater than before fermentation.

상기 발효를 거친 대사물질은 피부에 좋은 각종 아미노산, 유기산, 항산화 물질을 함유하여 피부대사를 촉진시켜 피부결을 매끄럽게 가꿔준다. 또한, 발효과정을 거치면서 입자가 작아지고 중금속 등의 독성이 분해되어 흡수율이 좋을 뿐 아니라 피부트러블이나 알레르기 부작용이 완화될 수 있다.The fermented metabolite contains various amino acids, organic acids, and antioxidants that are good for the skin to promote skin metabolism to smooth skin texture. In addition,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the particles become smaller and the toxicity of heavy metals is decomposed, so that the absorption rate is good and the skin troubles or allergic side effects can be alleviated.

상기 “발효 추출물”은 상기 양배추를 멸균하고 발효 균주를 접종하여 소정의 조건에서 발효한 후, 특정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The “fermented extract” may be prepared by sterilizing the cabbage and inoculating the fermentation strains, fermenting in predetermined conditions, and then extracting with a specific solvent.

구체적으로, 상기 발효 추출물은 (a) 양배추를 건조 후 분쇄하여 가열 멸균하는 단계; (b) 상기 양배추에 마리노박터(Marinobacter)를 접종하고 발효하는 단계; (c) 상기 발효된 양배추를 건조하여 고상 발효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고상 발효물과 추출 용매를 혼합하여 침적 추출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ermentation extract (a) drying and grinding the cabbage by heat sterilization; (b) inoculating the cabbage with Marinobacter and fermenting it; (c) drying the fermented cabbage to obtain a solid fermentation product; And (d) it may be prepared by the step of immersion extraction by mixing the solid fermentation and the extraction solvent.

상기 “추출물”은 용매와 추출 원료를 특정 조건 하에서 접촉시킴으로써 추출 원료에 함유된 유효성분으로 천연물로부터 원료에 함유된 성분을 분리해낸 물질이라면, 추출 방법이나 성분의 종류와 무관하게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extract” may include all materials irrespective of the extraction method or the type of the component, as long as the active ingredient contained in the extract is separated from the natural ingredient by contacting the solvent and the extract raw material under specific conditions. .

예컨대, 물이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천연물로부터 용매에 용해되는 성분을 추출한 것, 천연물의 특정 성분, 예컨대 오일과 같은 특정 성분만을 추출하여 얻어진 것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건조 후 분말화하거나, 열수추출법, 에탄올 추출법 등 종래 알려진 다양한 추출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For example, extracting a component dissolved in a solvent from a natural product using water or an organic solvent, and may include both a specific component of the natural product, such as obtained by extracting only a specific component such as oil. The extract may be powdered after drying, or may be obtained by various conventional extraction methods such as hot water extraction and ethanol extraction.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석유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트리클로로메탄,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1,3-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60 내지 80% 농도(v/v)의 에탄올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The extrac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anhydrous or hydrous lower alcohols having 1 to 4 carbon atoms, acetone, petroleum ether, ethyl acetate, butyl acetate, trichloromethane, dichloromethane, chloroform, hexane and 1,3-butylene glycol Which may be extracted with one or more solvents, and specifically with ethanol at a concentration of 60 to 80% (v / v).

상기 원료에 포함된 유효성분은 용매의 극성에 따라 추출 비율이 상이해질 수 있으며, 상기 에탄올은 천연 원료의 생리 활성 물질 추출에 있어서 선택성이 뛰어나므로 상기 에탄올 추출에 의해 최적의 피부 개선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The active ingredient contained in the raw material may be different in the extraction ratio according to the polarity of the solvent, the ethanol has excellent selectivity in the extraction of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of the natural raw material to achieve the optimal skin improvement effect by the ethanol extraction Can be.

상기 추출물은 추출 원료를 물로 수세한 후 건조 및 분쇄하여, 원료 중량의 8 내지 12배에 달하는 부피의 용매로 약 1 내지 24시간 동안 환류 순환 추출, 가압 추출, 초음파 추출 등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 및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감압 증류 또는 동결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공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수득할 수 있다.The extract is washed with water, washed with water, dried and pulverized, and extracted with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reflux circulation extraction, pressure extraction, and ultrasonic extraction for about 1 to 24 hours with a solvent having a volume of 8 to 12 times the weight of the raw material. It can be prepared by filtration. In addition, the extract may be obtained in a powder state by an additional process such as distillation under reduced pressure or freeze drying.

상기 추출물은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물을 포함할 수 있다.The extract may also include an extract that has undergone conventional purification. For example, the extract may be subjected to various purification methods additionally performed, such as separation using an ultrafiltration membrane having a constant molecular weight cut-off value, separation by various chromatography (manufactured for separation according to size, charge, hydrophobicity, or affinity). It may comprise a fraction obtained through.

한편, 상기 발효 균주는 마리노박터(Marinobacter)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마리노박터 센글리엔시스(Marinobacter shengliensis)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ermentation strain may be Marinobacter ( Marinobacter ), preferably may be Marinobacter shengliensis ( Marinobacter shengliensis ).

상기 마리노박터 센글리엔시스는 그램-음성균이며, 호염성, 호기성 간균으로 단일의 극성 편모를 가지고, 중국 제2의 유전인 승리유전(Shengli Oilfield)의 염류토에서 분리되었다.The Marinobacter sengliensis is a Gram-negative bacterium, has a single polar flagella as basophils, aerobic bacilli, and has been isolated from the brine soil of Shengli Oilfield, the second largest heredity in China.

본 발명자들은 상기 마리노박터 센글리엔시스 발효에 의해 양배추 추출물의 글루코시놀레이트의 가수분해가 촉진되어 분해산물인 이소시오시아네이트의 함량이 증대되고, 이로 인해 항스트레스 및 항염 활성 등 피부 개선 효과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promote the hydrolysis of the glucosinolate of the cabbage extract by the fermentation of Marinobacter sengliensis to increase the content of the isocyanate, which is a degradation product, thereby improving the skin such as antistress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It was confirmed that it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상기 글루코시놀레이트는 인간의 건강, 생물적 및 비생물적 스트레스에 대한 식물 방어 및 풍미 형성에 대한 효과가 널리 공지되어 있는 2차적인 대사물의 한 그룹이다. The glucosinolate is a group of secondary metabolites whose effects on plant defense and flavor formation against human health, biological and abiotic stresses are well known.

십자과 식물(cruciferous vegetable)에 속하는 겨자, 서양고추냉이, 양배추, 무, 콜리플라워, 싹눈, 양배추, 케일, 브로콜리, 배추, 냉이, 꽃다지 등은 플라보노이드를 비롯한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Mustard, horseradish, cabbage, radish, cauliflower, buds, cabbage, kale, broccoli, cabbage, horseradish, and flower buds belonging to the cruciferous vegetable contain various bioactive substances including flavonoids.

상기 글루코시놀레이트는 식물의 2차 대사산물로서 포도당으로부터 유래한 황, 질소 등을 함유하고 있다. 약 120가지의 서로 다른 글루코시놀레이트들이 알려져 있으며, 상기 글루코시놀레이트는 아미노산(트립토판, 메싸이오닌, 페닐알라닌, 타이로신)으로부터 합성될 수 있다.The glucosinolate is a secondary metabolite of plants and contains sulfur, nitrogen and the like derived from glucose. About 120 different glucosinolates are known, which can be synthesized from amino acids (tryptophan, methionine, phenylalanine, tyrosine).

상기 십자과 식물들은 글루코시놀레이트(glucosinolates) 및 이들의 가수분해 산물인 인돌(indole), 이소시오시아네이트(isothiocyanate)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성분은 설포라판(sulforaphane)이다.The cruciferous plants contain a large amount of glucosinolates and their hydrolysates, indole and isothiocyanate, and a representative component is sulfoaphane.

상기 설포라판은 상기 글루코시놀레이트가 소화 과정에서 미로시나아제에 의해 가수분해되거나, 식물체를 가공 또는 섭취할 때 식물 세포가 파괴되면서 식물 미로시나아제에 의해 분해됨으로써 수득되는 이소시오시아네이트(isothiocyanate)의 일종이다.The sulforaphane isothiocyanate obtained by the glucosinolate is hydrolyzed by the myrosinase during digestion or by the plant myrosinase as the plant cells are destroyed when processing or ingesting the plant. Is a kind of.

상기 설포라판은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베타-카로틴(β-carotene), 루틴(rutine), 셀리늄(selenium), 글루타시온(glutathione), 쿼서틴(quercetin)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며, 1992년 미국 존스 홉킨스대학 연구진에 의하여 십자화과 최소의 항암 효과를 갖는 물질로 최초 동정되었다(Zhang Y,,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9 (6): 2399403.1992). The sulforaphane contains ascorbic acid, beta-carotene, β-carotene, rutine, selenium, glutathione, quartose, quercetin, etc. It was first identified as a substance that had activity and had a minimal anti-cancer effect in cruciferous plants by researchers at Johns Hopkins University in 1992 (Zhang Y,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9 (6): 2399403.1992). .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글루코시놀레이트의 분해산물인 이소시오시아네이트를 다량 함유하므로 이로 인한 항염 또는 항스트레스 활성이 우수하다.Since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s a large amount of isothiocyanate, which is a degradation product of the glucosinolate, the anti-inflammatory or antistress activity is excellent.

상기 “항염”은 염증의 억제 또는 개선을 의미한다. 상기 “염증”은 생체나 조직에 물리적 작용이나 화학적 물질, 세균 감염 등의 어떠한 기질적 변화를 가져오는 침습이 가해질 때 그 손상부위를 수복 재생하려는 기전으로, 일단 자극이 가해지면 국소적으로 히스타민, 세로토닌, 브라디키닌, 프로스타글란딘, HETE(hydroxyeicosatetraenoic acid), 류코트리엔과 같은 혈관 활성 물질이 유리되어 혈관 투과성이 증대되면서 염증이 유발될 수 있다.Said "anti-inflammatory" means the inhibition or amelioration of inflammation. The "inflammation" is a mechanism for repairing and repairing the damaged area when an invasion that causes any organic change, such as physical action, chemicals, or bacterial infection, is applied to the living body or tissue. Vascularly active substances such as serotonin, bradykinin, prostaglandins, hydroxyeicosatetraenoic acid (HETE), and leukotriene are released and inflammation can be induced by increased vascular permeability.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로션, 크림, 세럼, 에멀젼, 에센스, 파우더,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마스크팩, 시트팩, 수면팩, 워시오프팩 및 필오프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formulated into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kins, lotions, creams, serums, emulsions, essences, powders, foundations, sprays, mask packs, seat packs, sleep packs, wash off packs and peel off packs. have.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형화될 수 있다. 피부 외용제의 제형화에 있어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고,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화에 있어서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6th ed(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1995)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formulated by conventional methods.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formulations disclosed in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for formulation of external skin preparations, and in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6th ed (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 Inc., Washington, 1995).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의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등의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의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 등의 메이크업 제거제; 또는 클렌징 폼, 비누, 바디워시 등의 세정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피부 외용제는, 연고, 패치, 겔, 크림 또는 분무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pecifically,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prepared in a general emulsion formulation and solubilized formulation. For example, lotion, such as a flexible lotion or a nourishing lotion; Latex, such as facial lotion and body lotion; Creams such as nutrition creams, moisture creams and eye creams; essence; Cosmetic ointments; spray; Gels; pack; Sunscreen; Makeup base; Foundations such as liquid type, solid type or spray type; powder; Makeup removers such as cleansing cream, cleansing lotion and cleansing oil; Or it may be formulated as a cleaning agent such as cleansing foam, soap, body wash,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topical skin preparation may be formulated as an ointment, patch, gel, cream or spr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 필수성분 외에 제형의 종류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성분들이 적절히 배합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appropriately blended with other ingredients within the range of not impairing th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pending on the kind or purpose of use of the formulation in addition to the essential components in each formulation.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smetic composition may generally include an acceptable carrier, for example, oil, water, surfactants, moisturizers, lower alcohols, thickeners, chelating agents, pigments, preservatives, fragrances, etc. may be appropriately blen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no.

상기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예컨대,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The acceptable carrier may vary depending on the formulation. For example, when formulated into ointments, pastes, creams or gels, as carrier ingredients, animal oils, vegetable oils, waxes, paraffins, starches, trachants, cellulose derivatives, polyethylene glycols, silicones, bentonites, silica, talc, zinc oxide or theirs Mixtures can be used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고, 스프레이의 경우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 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cosmetic composition is formulated as a powder or spray,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polyamide powder or mixtures thereof may be used as the carrier component, and in the case of a spray, chlorofluorohydro It may further comprise a propellant such as carbon, propane, butane or dimethyl ether.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또는 유탁액으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사용될 수 있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브틸글리콜 오일이 사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When the cosmetic composition is formulated into a solution or emulsion, a solvent, solubilizer, or emulsion agent may be used as a carrier component, such as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3-butylglycol oil may be used, and in particular, cottonseed oil, peanut oil, corn seed oil, olive oil, castor oil and sesame oil, glycerol aliphatic esters, fatty acid esters of polyethylene glycol or sorbitan may be used.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현탁액으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 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When the cosmetic composition is formulated as a suspension, a liquid diluent such as water, ethanol or propylene glycol, a suspending agent such as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Microcrystalline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y, bentonite, agar or tracant and the like can be used.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코올,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사용될 수 있다.When the cosmetic composition is formulated with a soap, as a carrier component, alkali metal salts of fatty acids, fatty acid hemiester salts, fatty acid protein hydrolyzates, isethionates, lanolin derivatives, aliphatic alcohols, vegetable oils, glycerol, sugars and the like Can be used.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최종 제품의 품질이나 기능에 따라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 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is a fatty material, organic solvent, solubilizer, thickening agent, gelling agent, softener, antioxidant, suspending agent, stabilizer, foaming agent, fragrance which are commonly used in the industry according to the quality or function of the final product. Commonly used in surfactants, water, ionic or nonionic emulsifiers, fillers, metal ion rod blockers, chelating agents, preservatives, blockers, wetting agents, essential oils, dyes, pigments, hydrophilic or lipophilic active agents, cosmetics It may additionally contain adjuvants commonly used in the cosmetic or dermatological arts, such as any other ingredient.

다만, 상기 보조제 및 그 혼합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However, the adjuvant and its mixing ratio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so as not to affect the desirable properties of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Through the following example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예 : 양배추 발효 추출물 제조Example: Preparation of Cabbage Fermented Extract

양배추를 수세한 후 상온에서 완전히 건조시키고 분쇄하여 분쇄물을 100g 수득하였다.The cabbage was washed with water, dried at room temperature and ground to give 100 g of a ground product.

양배추 분쇄물을 121℃에서 20분간 고압 멸균한 후 마리노박터 센글리엔시스(Marinobacter shengliensis) 균사체를 접종하였다.The cabbage grounds were autoclaved at 121 ° C. for 20 minutes and then inoculated with Marinobacter shengliensis mycelium.

발효 균주가 접종된 양배추 분쇄물을 30℃ 에서 5일간, 80 내지 90%의 습도를 유지하며 배양하였다.Cabbage grounds inoculated with the fermentation strains were incubated at 30 ° C. for 5 days, maintaining a humidity of 80 to 90%.

발효된 양배추에 대해 10배 부피의 70%(v/v)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80℃에서 2시간씩 2회 추출하였다.The fermented cabbage was extracted twice at 80 ° C. for 2 hours with a 10-fold volume of 70% (v / v) ethanol as a solvent.

추출물은 250메쉬 및 0.5㎛ 필터에 의해 여과되었으며, 40℃에서 감압 농축 후 동결 건조하여 갯버들 줄기 발효 추출물 각각의 고형분으로 수득되었다.The extract was filtered through a 250 mesh and 0.5 μm filter,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t 40 ° C., and lyophilized to obtain a solid of each of the willow stem fermentation extract.

비교예 1 : 양배추 추출물 제조Comparative Example 1: Preparation of Cabbage Extract

양배추를 수세한 후 상온에서 완전히 건조시키고 분쇄하여 분쇄물을 100g 수득하였다. 분쇄물 100g에 대해 10배 부피의 70%(v/v)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80℃에서 2시간씩 2회 추출하였다.The cabbage was washed with water, dried at room temperature and ground to give 100 g of a ground product. To 100 g of the pulverized product, 10 times volume of 70% (v / v) ethanol was extracted twice at 80 ° C. for 2 hours.

상기 추출물은 250메쉬 및 3㎛ 필터에 의해 여과되었으며, 40℃에서 감압 농축 후 동결 건조하여 추출물의 고형분으로 수득되었다.The extract was filtered through a 250 mesh and 3 ㎛ filter,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t 40 ℃ and lyophilized to obtain a solid of the extract.

비교예 2 : 바실러스 발효 추출물 제조Comparative Example 2: Bacillus fermented extract preparation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되, 발효 균주만을 바실러스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로 달리하였다.Fermentation extracts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except that only fermentation strains were Bacillus subtilis .

비교예 3 : 락토바실러스 발효 추출물 제조Comparative Example 3 Preparation of Lactobacillus Fermented Extract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되, 발효 균주만을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로 달리하였다.A fermented extrac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but only the fermented strain was changed to Lactobacillus casei .

실험예 1 : 피부 안전성 평가Experimental Example 1: Evaluation of Skin Safety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에 대한 피부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해, 섬유아세포(HDF), 멜라닌형성세포(B16F10), 각질세포(HaCaT)에 대한 MTT assay 실험을 수행하였다.In order to verify the skin safety of the sample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MTT assay experiments on fibroblasts (HDF), melanocytes (B16F10), keratinocytes (HaCaT) was performed.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정제수에 0, 1, 5, 10, 20, 50 및 100 mg/L의 농도별로 각각 현탁한 후,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Sample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suspended in purified water at concentrations of 0, 1, 5, 10, 20, 50 and 100 mg / L, respectively, and cell viability was measured.

세포 독성은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시약을 이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는 모스만(Mosmann)의 방법을 변형하여 수행하였다.Cytotoxicity was performed by modifying Mosmann's method of measuring cell viability using MTT {3- (4,5-dimethylthiazol-2-yl) -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reagent.

섬유아세포(HDF), 멜라닌형성세포(B16F10), 및 각질세포(HaCaT)를 각각 96-웰 플레이트에 1×104 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여 37℃, 5% CO2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Fibroblasts (HDF), melanocytes (B16F10), and keratinocytes (HaCaT) were each dispensed in 96-well plates at a concentration of 1 × 10 4 cells / well and incubated at 37 ° C., 5% CO 2 for 48 hours. It was.

배양 배지를 제거하고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한 배지에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반복 세척하였다.After removing the culture medium and incubating the sample for 48 hours in a concentration-treated medium, the medium was removed and washed repeatedly with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MTT를 5mg/mL로 PBS에 녹여 50 μL 첨가하고 37℃, 5%의 CO2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DMSO(Dimethyl sulfoxide)를 한 웰(well) 당 100L 넣고, 10분 동안 교반한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MTT was dissolved in PBS at 5 mg / mL, 50 μL was added, and incubated for 48 hours at 37 ° C. and 5% CO 2 . 100 L of DMSO (dimethyl sulfoxide) was added per well, stirred for 10 minutes,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540 nm.

측정 결과, 각 시료의 모든 농도에서 세포 독성은 확인되지 않았다(도 1). 상기 결과는 상기 시료가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인체 안전성이 우수함을 시사한다.As a result, no cytotoxicity was confirmed at all concentrations of each sample (FIG. 1).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ample is not only harmless to the human body but also has excellent human safety.

실험예 2 : NO 생성 억제 효과 평가Experimental Example 2 Evaluation of NO Production Inhibition Effect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항염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RAW264.7 세포주(ATCC number: CRL-2278)를 이용한 GRIESS 법으로 nitric oxide(NO) 형성억제력 실험을 실시하였다.In order to confirm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nitric oxide (NO) formation inhibitory experiments were performed by the GRIESS method using RAW264.7 cell line (ATCC number: CRL-2278).

구체적으로, 생쥐의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를 수차례 계대 배양하고, 웰 하나에 3×105 개씩 들어가도록 24-웰 플레이트에 넣은 후,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Specifically, RAW264.7 cells, which are macrophages of mice, were passaged several times, placed in 24-well plates each containing 3 × 10 5 cells in one well, and then cultured for 24 hours.

농도별로 희석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함유한 세포 배지로 교체하였다. 양성 대조군은 NO 생성 억제물질인 2-amino-4-picoline을 5μM로 처리하여 30분 동안 배양하였고, 자극원으로 LPS(Lipopolysaccharide)를 1㎍씩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It was replaced with the cell medium containing the samples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diluted by concentration. The positive control group was incubated for 30 minutes by treating 2-amino-4-picoline, a NO production inhibitor, with 5 μM, and incubating with 1 μg of LPS (Lipopolysaccharide) for 24 hours.

상층액을 100μL씩 취해 96-웰 프레이트에 옮기고, GRIESS 용액을 100 μL씩 가해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고, 54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추출물의 NO 생성 억제 효과를 판단하였다(도 2).100 μL of the supernatant was taken, transferred to a 96-well plate, 100 μL of GRIESS solution was added thereto, and re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10 minutes. The absorbance at 540 nm was measur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inhibiting NO production of the extract (FIG. 2).

상기 실험은 3회 반복하였으며, NO 생성이 억제되는 것은 항염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The experiment was repeated three times, the inhibition of NO production can be evaluated as excellent anti-inflammatory effect.

마리노박터 센글리엔시스를 접종한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해 NO 생성율이 현저히 낮았으며 이는 마리노박터 센글리엔시 발효에 의해 항염 효과가 현저히 증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In the case of inoculation of Marinobacter sengliensis, the NO production rat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3, which suggests that the anti-inflammatory effect may be significantly increased by Marinobacter sengliene fermentation.

실험예 3 : 스트레스 억제 효과 평가Experimental Example 3 Evaluation of Stress Inhibitory Effect

염증 반응과 함께 발현정도가 높아지는 COX-2(cyclooxygenase-2)에 대한 생성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The inhibitory effect of COX-2 (cyclooxygenase-2) on the expression level with inflammatory response was evaluated.

각질형성세포(HaCaT)를 12-웰 플레이트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COX-2 유전자가 삽입된 형광벡터(luciferase vector)를 형질주입(transfection)시킨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The keratinocytes (HaCaT) were incubated for 24 hours in a 12-well plate, followed by transfection of the luciferase vector into which the COX-2 gene was inserted.

배양된 세포에 농도를 달리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각각 처리한 후 10 ㎍/mL 벤조피렌(B[a]P)을 처리하여 COX-2 생성을 유도하였다.COX-2 production was induced by treating 10 ㎍ / mL benzopyrene (B [a] P) after treating the cultured cells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시험 물질에 의해 저해된 COX-2 유전자 발현 정도를 luciferase 형광 발현 정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도 3).The degree of COX-2 gene expression inhibited by the test substance was measured using the luciferase fluorescence expression level (FIG. 3).

도 3을 참조하면, 벤조피렌에 의해 증가된 COX-2 유전자의 발현은 실시예의 시료에 의해 효과적으로 억제되었으며, 각질세포 내의 COX-2 유전자 발현을 농도-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Referring to FIG. 3, the expression of the increased COX-2 gene by benzopyrene was effectively inhibited by the sample of the example and concentration-dependently reduced the expression of the COX-2 gene in keratinocytes.

실험예 4 : HPLC 정량분석을 통한 이소티오시아네이트 함량 평가Experimental Example 4: Evaluation of isothiocyanate content through HPLC quantitative analysis

글루코시놀레이트가 분해되어 분해 산물 중 하나인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함량이 증가되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DL-설포라판, 알릴 이소티오시아네이트(AITC), 벤질 이소티오시아네이트(BITC), 펜에칠 이소티오시아네이트(PEITC) 표준물질에 대한 HPLC 분석을 진행하고 발효 추출물에 대한 분석 샘플을 제조하여 비교하였다. DL-sulforaphane, allyl isothiocyanate (AITC), benzyl isothiocyanate (BITC), phenethyl HPLC analysis was performed on isothiocyanate (PEITC) standards and analytical samples for the fermented extracts were prepared and compared.

표준용액 및 분석 샘플은 70% ACN 용액으로 용해한 후 실린지 필터로 여과하였다. HPLC 분석은 유속을 0.5mL/min, 샘플 온도 및 칼럼 온도 25℃에서 메탄올 : 정제수의 비율이 85 : 15인 조건으로 이동상 조건을 조작하여 분석을 진행하고 250nm 파장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Standard solutions and assay samples were dissolved in 70% ACN solution and filtered through a syringe filter. HPLC analysis was carried out by operating the mobile phase conditions at a flow rate of 0.5 mL / min, a sample temperature and a column temperature of 25 ℃ of methanol: purified water ratio of 85: 15, and the absorbance of 250nm wavelength was measured.

표준용액을 해당 조건으로 분석하였을 때 각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retention time 값은 AITC 5.5분, BITC 7분, PEITC 7.2분, DL-sulforaphane 3.8분 전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When the standard solution was analyzed under these conditions, the retention time of each isothiocyanate was found to be around 5.5 minutes for AITC, 7 minutes for BITC, 7.2 minutes for PEITC, and 3.8 minutes for DL-sulforaphane.

발효 전후 대비 DL-설포라판의 함량 변화를 비교하였다. The change in the content of DL-sulforaphane was compared with before and after fermentation.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마리노박터 센글리엔시스로 발효한 실시예의 시료에서 설포라판의 함량이 현저히 증대되었다. 또한 설포라판 변화 경향은 실험예 2 및 3의 평가 결과와 상호 대응하였다.4 and 5, the sulforaphane cont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sample of the Example fermented with Marinobacter sengliensis. In addition, the sulforaphane change tendency correlated with the evaluation results of Experimental Examples 2 and 3.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for illustra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modif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it should be construed that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Claims (7)

마리노박터 센글리엔시스(Marinobacter shengliensis)를 접종하여 수득한 양배추(Brassica oleracea var. gemmifera)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cabbage ( Brassica oleracea var. Gemmifera ) fermentation extract obtained by inoculating Marinobacter shengliensis as an active ingredi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에 의해 이소시오시아네이트의 함량이 증대된 화장료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1,
Cosmetic composition, wherein the content of isocyanate is increased by the fermentation.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또는 염증 완화용인, 화장료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cosmetic composition is for anti-oxidation or inflammation relief, cosmetic composition.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로션, 크림, 세럼, 에멀젼, 에센스, 파우더,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마스크팩, 시트팩, 수면팩, 워시오프팩 및 필오프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된 화장료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cosmetic composition is formulated with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kin, lotion, cream, serum, emulsion, essence, powder, foundation, spray, mask pack, sheet pack, sleep pack, wash off pack and peel off pack Composition.
(a) 양배추를 건조 후 분쇄하여 가열 멸균하는 단계;
(b) 상기 양배추에 마리노박터 센글리엔시스(Marinobacter shengliensis)를 접종하고 발효하는 단계;
(c) 상기 발효된 양배추를 건조하여 고상 발효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고상 발효물과 추출 용매를 혼합하여 침적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배추 발효 추출물의 제조 방법.
(a) drying and grinding the cabbage to heat sterilization;
(b) Marinobacter in the cabbage Marinobacter inoculating and fermenting shengliensis ;
(c) drying the fermented cabbage to obtain a solid fermentation product; And
(D) a step of immersion extraction by mixing the solid fermentation and the extraction solvent; Method of producing a cabbage fermentation extract comprising a.
KR1020170168725A 2017-12-08 2017-12-08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abbage cultiva rfermented extract KR1020312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725A KR102031288B1 (en) 2017-12-08 2017-12-08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abbage cultiva rfermented extra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725A KR102031288B1 (en) 2017-12-08 2017-12-08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abbage cultiva rfermented extrac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389A KR20190068389A (en) 2019-06-18
KR102031288B1 true KR102031288B1 (en) 2019-10-11

Family

ID=67103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725A KR102031288B1 (en) 2017-12-08 2017-12-08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abbage cultiva rfermented extra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28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38917A (en) * 2019-08-30 2021-03-05 广东丸美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Cabbage extract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JP2021048806A (en) * 2019-09-26 2021-04-01 カゴメ株式会社 Melatonin production promoter and sleep quality improv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5012A (en) * 2012-01-18 2013-07-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389A (en) 201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6225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milax china as Active Ingredient
KR101176529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Dendropanax morbifera as Active Ingredient
KR101207557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Liriodendron tulipifera as Active Ingredient
KR102059453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enhancing function of skin barrier and anti wrinkle comprising agastache rugosa leaf extract
KR100844275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Skin Aging Comprising the Morinda citrifolia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1176528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salvia plebeia as active ingredient
KR102031288B1 (en)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abbage cultiva rfermented extract
KR20090070455A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aging protection and wrinkle improvement comprising the extract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as active ingredient using a supercritical fluid extract
KR20200064240A (en) A composition comprising supercritical fluid extract of Sargassum horneri having antioxidant and skin whitening effect
KR102009206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red onion fermented by aureobasidium pullulans
KR102068736B1 (en) A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aging comprising extract of coffee grounds
KR20200129888A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black kelp
KR101086227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Lloydia triflora Bak as Active Ingredient
KR102455132B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lemon myrtle extrac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632084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oxidation, skin whitening, and improving of skin wrinkle containing Sanguisorba officinalis extract
KR20200007501A (en)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ement of skin itching and moisturizing with the extract of Corydalis platycarpa
KR20190058059A (en)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oybean sprout by product extract
KR20190021114A (en) Composition for anti-inflammation, inhibiting secretion of sebum, or treating acne on the skin comprising plant extract
KR20190049067A (en)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coffee silver skin and coffee grounds
KR102123645B1 (en) Cosmetic composition with Angelica japonica extract
KR102031289B1 (en)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flankton extract for blue light interception
KR101702621B1 (en) Anti-inflammatory agent containing phlox subulata extract
KR102100820B1 (en) Rosa centifolia flower petal fermented by aureobasidium pullulans
KR101971257B1 (en)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enebrio molitor extract
KR102557358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emopsis californica extract for improving elasticity of skin and wrink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