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732B1 - 대전력 충전기의 과열 방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대전력 충전기의 과열 방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732B1
KR102029732B1 KR1020170159803A KR20170159803A KR102029732B1 KR 102029732 B1 KR102029732 B1 KR 102029732B1 KR 1020170159803 A KR1020170159803 A KR 1020170159803A KR 20170159803 A KR20170159803 A KR 20170159803A KR 102029732 B1 KR102029732 B1 KR 102029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bs
transformer
temperature
large power
small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1421A (ko
Inventor
나정덕
김연이
조유성
Original Assignee
삼호중장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호중장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호중장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9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732B1/ko
Publication of KR20190061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085Cooling by ambient ai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 H01F27/402Association of measuring or protective means
    • H01L35/3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3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heat-exchanging means at the jun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H01F2027/065Mounting on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 H01F27/402Association of measuring or protective means
    • H01F2027/406Temperature sensor or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전력 충전기의 과열 방지에 관한 것으로, 충전기에 있어서, 복수의 PCB 및 상기 복수의 PCB 하부에 각각 설치된 트랜스를 포함하는 트랜스부, 상기 복수의 PCB 상부에 설치되는 히트싱크, 상기 히트싱크의 상부에 설치되는 열전소자, 상기 복수의 PCB 하부의 상기 트랜스 측면에 설치되는 지지대에 의해 지지된 소형팬, 상기 복수의 PCB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PCB 및 트랜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상응하여 상기 열전소자와 소형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대전력 충전기의 과열 방지 시스템 및 방법{Large power charger overheating prevented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대전력 충전기의 과열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들은 성능향상으로 대용량 배터리를 사용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자동차 및 건설기기들도 전장부품의 증가와 환경오염 등의 문제로 전기로 구동하는 방식을 사용하면서 대용량 배터리를 채택하고 있다.
전자기기, 자동차 및 건설기기 등에서 대용량 배터리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이들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도 역시 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충전기의 용량이 커짐에 따라 충전기에 들어가는 트랜스의 크기가 커지고 있다.
또한, 트랜스의 크기가 커지면서 발열도 많아져 발열을 잡기 위해 충전기에 대형팬과 히트싱크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대용량 충전기의 종래기술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90273호가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트랜스의 크기가 커지면서 발열도 커지게 되는데, 팬 하나로는 발열을 잡지 못해 열에 의한 손실도 증가해 효율이 저하되고 소음과 진동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트랜스의 크기가 커지면서 발열을 잡기 위한 팬 및 히트싱크의 크기도 커져 충전기의 크기가 커지고 무거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트랜스, 팬 및 히트싱크의 크기가 커지면 제작이 어렵고, 제작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트랜스가 1개만 장착되기 때문에 트랜스가 고장날 경우 충전기를 사용할 수 없거나 트랜스 전체를 교체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소형 트랜스를 사용하면서 복수의 소형 트랜스에 각각 소형팬과 열전소자를 장착해 발열을 잡을 수 있어 효율이 좋으면서 소음과 진동이 적은 대전력 충전기의 과열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복수의 소형 트랜스, 팬 및 열전소자를 사용함으로서 충전기의 크기를 줄이고 경량화 할 수 있는 대전력 충전기의 과열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복수의 소형 트랜스, 팬 및 열전소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트랜스, 팬 및 히트싱크의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는 대전력 충전기의 과열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소형 트랜스를 여러개 장착해 병렬운전하기 때문에 1개 트랜스가 고장나더라도 충전기가 정상작동하고 고장난 트랜스만 교체하면 되는 대전력 충전기의 과열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일 실시예의 과열 방지 시스템은, 충전기에 있어서, 복수의 PCB 및 상기 복수의 PCB 하부에 각각 설치된 트랜스를 포함하는 트랜스부; 상기 복수의 PCB 상부에 설치되는 히트싱크; 상기 히트싱크의 상부에 설치되는 열전소자; 상기 복수의 PCB 하부의 상기 트랜스 측면에 설치되는 지지대에 의해 지지된 소형팬; 상기 복수의 PCB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PCB 및 트랜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상응하여 상기 열전소자와 소형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제1설정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소형팬만 구동시키고,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제2설정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열전소자 및 소형팬을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랜스부는 복수의 LED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PCB 및 트랜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고장날 경우 상기 고장난 PCB 및 트랜스가 설치된 부분의 LED가 점멸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PCB 및 트랜스 중 상기 고장난 PCB 및 트랜스를 제외한 나머지 PCB 및 트랜스는 정상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대전력 충전기의 과열 방지 방법은, 대전력 충전기의 과열 방지 시스템이 대전력 충전기의 과열 방지 방법에 있어서, 입력부를 통해 전압을 입력받는 단계; 분배부를 통해 상기 트랜스부로 상기 입력받은 전압을 분배하는 단계; 트랜스부로 상기 분배부를 통해 분배된 전압을 변환하는 단계; 온도센서로 상기 트랜스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제어부를 통해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상응하여 상기 열전소자 및 소형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출력부로 상기 트랜스부를 통해 변환된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열전소자 및 소형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동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제1설정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소형팬만 구동시키고, 제2설정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열전소자 및 소형팬을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대전력 충전기의 과열 방지 시스템은 복수의 소형 트랜스를 사용하면서 복수의 소형 트랜스에 각각 소형팬과 열전소자를 장착해 발열을 잡을 수 있어 효율이 좋으면서 소음과 진동이 적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소형 트랜스, 팬 및 열전소자를 사용함으로서 충전기의 크기를 줄이고 경량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복수의 소형 트랜스, 팬 및 열전소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트랜스, 팬 및 히트싱크의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형 트랜스를 여러개 장착해 병렬운전하기 때문에 1개 트랜스가 고장나더라도 충전기가 정상작동하고 고장난 트랜스만 교체하면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전력 충전기의 과열 방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전력 충전기의 과열 방지 시스템의 트랜스부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전력 충전기의 과열 방지 시스템의 히트싱크가 설치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전력 충전기의 과열 방지 시스템의 고장발생 시 LED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전력 충전기의 과열 방지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전력 충전기의 과열 방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전력 충전기의 과열 방지 시스템의 트랜스부 상세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대전력 충전기의 과열 방지 시스템(100)은 입력부(110), 분배부(120), 트랜스부(130), 제어부(140) 및 출력부(15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3상 및 단상 등 전압을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압을 입력받는다.
분배부(120)는 입력부(110)와 일단이 직렬로 연결되어 입력부(110)를 통해 전압을 입력받는다.
또한, 분배부(120)는 타단이 병렬로 트랜스부(130)의 PCB(131)와 연결되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받은 전압을 PCB(131)로 동등하게 분배한다. 예를들어 분배부(120)와 병렬로 연결된 PCB(131)의 개수가 5개이고,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받은 전압이 10V이면, 분배부(120)는 PCB(131)에 2V씩 동등하게 분배한다.
여기서, 분배부(120)와 병렬로 연결된 PCB(131)의 개수는 충전기 용량 및 설계에 달라질 수 있다.
트랜스부(130)는 PCB(131), 트랜스(132), LED(133), 히트싱크(134), 열전소자(135), 소형팬(136), 지지대(137) 및 온도센서(138)를 포함한다.
PCB(131)는 복수로 구성되어 각각 일단이 분배부(120)와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분배부(120)를 통해 분배된 전압을 공급받아 트랜스(132), LED(133), 송형팬(136) 및 온도센서(138)을 작동시킨다.
또한, 복수의 PCB(131)는 각각 타단이 출력부(150)와 병렬로 연결되어 트랜스(132)를 통해 변환된 전압을 출력부(150)로 전달한다.
트랜스(132)는 복수의 PCB(131)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분배부(120)를 통해 분배된 전압을 변환한다.
LED(133)는 복수의 PCB(131)에 각각 설치되어 PCB(131) 및 트랜스(132)와 연결되어 있으며, PCB(131) 및 트랜스(132)가 정상작동하면 점등되고 PCB(131) 및 트랜스(132)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고장이 나면 점멸된다.
히트싱크(134)는 복수의 PCB(131)의 상부에 설치되어 온도를 조절한다.
열전소자(135)는 히트싱크(135)의 상부에 복수개 설치되어 있으며, 제어부(140)의 설정 온도에 따라 동작한다.
열전소자(135)는 펠티어 소자를 포함한다. 펠티어 소자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가 조합된 소자로 인가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가열 또는 냉각 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소자이다.
소형팬(136)는 트랜스(132) 측면에 설치되는 지지대(137)에 의해 복수의 트랜스(132) 상부에 각각 지지되어 있으며, 제어부(140)의 설정 온도에 따라 동작해 트랜스(132)의 온도를 낮춘다.
지지대(137)는 PCB(131)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트랜스(132)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소형팬(136)을 지지한다.
온도센서(138)는 복수의 PCB(131)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PCB(131) 및 트랜스(132)의 온도를 측정한다.
제어부(140)는 온도센서(138)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상응하여 열전소자(135) 및 소형팬(136)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동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온도센서(138)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10℃ 이하이면 열전소자(135)만 발열하도록 할 수 있으며, 온도센서(138)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30℃ 이상이면 소형팬(136)만 구동하게 하고, 온도센서(138)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40℃ 이상이면 열전소자(135)를 흡열하게 하는 것과 동시에 소형팬(136)을 구동 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한 온도와 동작과 다르게 제어부(140)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출력부(150)는 트랜스부(130)의 복수의 PCB(131)와 일단이 연결되어 트랜스부(130)의 복수의 트랜스(132)에 의해 변환된 전압을 전달받아, 타단에 연결되는 배터리(미도시)를 충전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전력 충전기의 과열 방지 시스템의 히트싱크가 설치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히트싱크(134)가 복수의 PCB(131) 상부에 1개가 설치된 상태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히트싱크(134)는 복수의 PCB(131) 폭과 대응되는 길이로 1개가 PCB(131) 상부에 설치되며, 열전소자(135)는 히트싱크(134)의 상부에 복수개가 설치된다. 이때 열전소자(135)의 위치는 각각 복수의 PCB(131) 하부에 설치된 트랜스(132) 위치에 대응된다.
도 3(b)는 히트싱크(134)가 복수의 PCB(131) 상부에 각각 설치된 상태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히트싱크(134)는 복수의 PCB(131) 상부에 각각 설치되며, 열전소자(135)는 히트싱크(134)의 상부에 각각 설치된다. 이때 열전소자(135)의 위치는 각각 복수의 PCB(131) 하부에 설치된 트랜스(132) 위치에 대응된다.
도 3에서는 히트싱크(134)가 PCB(131)의 상부를 일부만 덮는 것으로 설명했으나, 히트싱크(134)는 PCB(131)의 상부를 전체 덮을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전력 충전기의 과열 방지 시스템의 고장발생 시 LED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n번을 제외한 나머지 PCB(131) 및 트랜스(132)는 정상작동해 LED(133)가 점등되어 있으나, n번의 경우 PCB(131) 및 트랜스(132)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고장나 n번 LED(133)가 점멸된 상태이다.
이상태에서는, PCB(131)가 분배부(120)와 병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고장난 n번 PCB(131) 또는 트랜스(132)가 있더라도 정상작동 중인 PCB(131)가 트랜스(132)를 통해 변환된 전압을 출력부(150)로 전달한다.
또한, 고장난 n번의 변환된 전압이 공급되지 않아 모두 정상작동 될 때보다 전달된 전압이 적어 충전시간이 오래걸리기 때문에, 사용자는 복수의 PCB(131) 및 트랜스(132)중 일부가 고장난 것을 LED(133)의 점멸된 상태를 보고 점멸된 LED(133)의 PCB(131) 및 트랜스(132)만 교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전력 충전기의 과열 방지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510단계에서 입력부(110)는 전압을 입력 받는다.
S520단계에서 분배부(12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 받은 전압을 트랜스부(130)로 분배한다.
S530단계에서 트랜스부(130)의 복수의 트랜스(132)는 분배부(120)를 통해 분배된 전압을 변환한다.
S540단계에서 트랜스부(130)의 복수의 온도센서(138)로 트랜스부(130)의 복수의 PCB(131) 및 트랜스(132)의 온도를 측정한다.
S550단계에서 제어부(140)는 복수의 온도센서(138)를 통해 측정된 온도가 제1설정온도 보다 높은지 판단해 제1설정온도 보다 높은 경우 S560단계로 진행하고, 제1설정온도 보다 낮은 경우 S590단계로 진행한다.
S560단계에서 제어부(140)는 복수의 온도센서(138)를 통해 측정된 온도가 제2설정온도 보다 높은지 판단해 제2설정온도 보다 높은 경우 S580단계로 진행하고, 제2설정온도 보다 낮은 경우 S570단계로 진행한다.
S570단계에서 제어부(140)는 복수의 소형팬(136)을 구동시키고 S540단계 내지 S590단계를 진행한다.
S580단계에서 제어부(140)는 복수의 열전소자(135)를 흡열하게 하는 것과 동시에 복수의 소형팬(136)을 구동시키고 S540단계 내지 S590단계를 진행한다.
S590단계에서 출력부(150)는 트랜스부(130)를 통해 변환된 전압을 출력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입력부 120 : 분배부
130 : 트랜스부 140 : 제어부
150 : 출력부

Claims (6)

  1. 충전기에 있어서,
    복수의 PCB 및 상기 복수의 PCB 하부에 각각 설치된 트랜스를 포함하는 트랜스부;
    상기 복수의 PCB 상부에 설치되는 히트싱크;
    상기 히트싱크의 상부에 설치되는 열전소자;
    상기 복수의 PCB 하부의 상기 트랜스 측면에 설치되는 지지대에 의해 지지된 소형팬;
    상기 복수의 PCB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PCB 및 트랜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측정된 온도가 제1설정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소형팬만 구동시키고,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제2설정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열전소자 및 소형팬을 동시에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력 충전기의 과열 방지 시스템.
  2. 삭제
  3. 충전기에 있어서,
    복수의 PCB, 상기 복수의 PCB 하부에 각각 설치된 트랜스 및 복수의 PCB에 각각 설치된 LED를 포함하는 트랜스부;
    상기 복수의 PCB 상부에 설치되는 히트싱크;
    상기 히트싱크의 상부에 설치되는 열전소자;
    상기 복수의 PCB 하부의 상기 트랜스 측면에 설치되는 지지대에 의해 지지된 소형팬;
    상기 복수의 PCB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PCB 및 트랜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측정된 온도에 상응하여 상기 열전소자와 소형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트랜스부는, 상기 복수의 PCB 및 트랜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고장날 경우 상기 고장난 PCB 및 트랜스가 설치된 부분의 상기 LED가 점멸되고, 상기 복수의 PCB 및 트랜스 중 상기 고장난 PCB 및 트랜스를 제외한 나머지 PCB 및 트랜스는 정상 작동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력 충전기의 과열 방지 시스템.
  4. 삭제
  5. 대전력 충전기의 과열 방지 시스템이 대전력 충전기의 과열 방지 방법에 있어서,
    입력부가 전압을 입력받는 단계;
    분배부가 상기 입력받은 전압을 분배하는 단계;
    트랜스부가 상기 분배된 전압을 변환하는 단계;
    온도센서가 상기 트랜스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측정된 온도가 제1설정온도 보다 높으면 소형팬만 구동시키고, 제2설정온도 보다 높으면 열전소자 및 상기 소형팬을 동시에 구동시키는 단계; 및
    출력부가 상기 변환된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력 충전기의 과열 방지 방법.
  6. 삭제
KR1020170159803A 2017-11-28 2017-11-28 대전력 충전기의 과열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029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803A KR102029732B1 (ko) 2017-11-28 2017-11-28 대전력 충전기의 과열 방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803A KR102029732B1 (ko) 2017-11-28 2017-11-28 대전력 충전기의 과열 방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421A KR20190061421A (ko) 2019-06-05
KR102029732B1 true KR102029732B1 (ko) 2019-10-08

Family

ID=66845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803A KR102029732B1 (ko) 2017-11-28 2017-11-28 대전력 충전기의 과열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7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681B1 (ko) * 2019-07-16 2020-07-10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방열 기능을 갖는 안테나 시스템
KR20210039275A (ko) 2020-04-29 2021-04-09 태웅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배관설치용 분말 분쇄장치
KR102624056B1 (ko) * 2020-05-06 2024-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306B1 (ko) * 2006-07-05 2007-01-09 (주)일신전기감리 누전 예방을 위한 변압기 감시기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230Y2 (ja) * 1990-03-26 1995-11-01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タコグラフの取付構造
KR101110973B1 (ko) * 2009-11-11 2012-02-16 주식회사 효성 신재생 에너지용 전력변환장치 및 그의 운전 제어방법
KR101745055B1 (ko) * 2014-06-12 2017-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pra 장치 및 그 냉각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306B1 (ko) * 2006-07-05 2007-01-09 (주)일신전기감리 누전 예방을 위한 변압기 감시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421A (ko)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1582B2 (en) Power metering and control system adaptable to multi-standard device
KR102029732B1 (ko) 대전력 충전기의 과열 방지 시스템 및 방법
US8519254B2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electrical power
TWI504125B (zh) 控制馬達動力之裝置與方法
US20120096871A1 (en) Dynamic switching thermoelectric thermal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10263424B2 (en)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controlling energy to a load powered by a thermoelectric module
JP2009106010A (ja) 電源システム
CN105758514A (zh) 一种热电转换取能式变压器监测装置
JP2014187783A (ja) 電気自動車用の電力変換装置
KR102248103B1 (ko) 열전 소자를 적용한 차량 파워 모듈
JP2023052308A (ja) 太陽電池接続箱のための熱放散
US8618406B1 (en)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581430B1 (ko) 태양광 발전시스템
US9255723B2 (en) Device for converting heat into electrical power
US20220360102A1 (en) Charging apparatus and charging method
JP6062699B2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及びこれを備える蓄電システム
JP2016220295A (ja) 電源装置
CN102170766B (zh) 电子装置及其供电控制方法
KR200415926Y1 (ko) 발전기능을 가진 히터
TW201931761A (zh) 電力佈線裝置
JP6331812B2 (ja) 電力変換装置
WO2022039277A1 (ja) 半導体装置
KR20220091431A (ko) 변압기 냉각장치
KR101388076B1 (ko) 배터리 일체형 벽체 모듈
JP2015065785A (ja) 双方向dc/dcコンバ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