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0973B1 - 신재생 에너지용 전력변환장치 및 그의 운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신재생 에너지용 전력변환장치 및 그의 운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0973B1
KR101110973B1 KR1020090108753A KR20090108753A KR101110973B1 KR 101110973 B1 KR101110973 B1 KR 101110973B1 KR 1020090108753 A KR1020090108753 A KR 1020090108753A KR 20090108753 A KR20090108753 A KR 20090108753A KR 101110973 B1 KR101110973 B1 KR 101110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thermoelectric module
cooling fan
contact poin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8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1930A (ko
Inventor
김영욱
이정민
서영거
서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090108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0973B1/ko
Publication of KR20110051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1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02N11/002Genera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72Fan mounting or fan spec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09Outer radiating structures o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fins integrated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7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configuration of the cell or thermocouple forming the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7/00Active solid-state devices, e.g. transistors, solid-state diodes
    • Y10S257/93Thermoelectric, e.g. peltier effect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변환장치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얻고, 이를 냉각팬의 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신재생 에너지용 전력변환장치 및 그의 운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내부 공간이 밀폐됨과 더불어 저면은 개구된 박스 형태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의 공간상에 위치되면서 에너지원으로부터 제공받은 에너지를 부하장치로 공급하기 위해 변환하는 전력반도체가 실장된 회로기판; 상면에는 상기 회로기판이 얹힘과 더불어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저면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방열판; 상기 방열판의 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방열판과의 접촉면에는 고온접점이 위치됨과 더불어 그 반대측면에는 저온접점이 위치되면서 상기 고온접점와 저온접점 간의 온도 차이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열전모듈; 그리고, 상기 열전모듈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제공받아 구동되면서 상기 열전모듈의 저온접점이 위치된 부위를 향해 냉각 공기를 송풍하는 냉각팬: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 에너지용 전력변환장치가 제공된다.
전력변환장치, 전력반도체, 열전모듈, 온도센서, 컨버터, 냉각팬

Description

신재생 에너지용 전력변환장치 및 그의 운전 제어방법{power conditioning system for renewable energ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력변환장치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얻고, 이를 냉각팬의 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신재생 에너지용 전력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용 전력변환장치는 전력반도체의 고주파 스위칭 작용을 통해 발전된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전력계통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일련의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전력변환장치의 전력반도체는 고주파 스위칭과 같은 동작 특성상 많은 열이 발생되며, 이러한 열로 인해 상기 전력반도체의 성능 저하 혹은, 수명 단축이나 신뢰성 저하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등록특허공보 제10-0915094호와 같이 상기 전력반도체의 방열 및 냉각을 위해 상기 전력반도체를 방열판에 면착시키고, 별도의 냉각팬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전력반도체의 방열 및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의 일반적인 전력변환장치에 따른 구조는 상기 전력반도 체에서 발생된 열을 에너지로써 회수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냉각팬의 구동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음에 따라 실질적으로 전력변환장치는 상기와 같이 전력반도체로부터 발생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열이 에너지 손실분일 수밖에 없었다.
특히, 상기한 냉각팬은 신재생 에너지원(예컨대, 풍력 발전기 등)으로부터 얻어진 에너지를 전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이 냉각팬의 구동을 위한 에너지 역시 손실분으로 작용되어 전력변환장치의 효율을 저하시켰던 하나의 요인이 되고 있다.
즉, 상기한 전력변환장치는 효율과 신뢰성이 매우 중요한 장치로써 그 효율을 높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전력변환회로의 개선과 각종 수동소자들의 개선설계를 수행함으로써 얻어지는 효율의 증가가 미세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상기한 열에너지의 손실과 냉각팬의 구동을 위한 에너지의 손실은 전력변환장치의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상당히 비효율적일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또한,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용 전력변환장치는 상기 전력반도체의 방열 및 냉각을 위한 구조가 냉각팬에만 의존되었기 때문에 순간적인 과부하 상태에서 상기 냉각팬이 그 발열을 감당하지 못할 경우에는 전력변환장치 내부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되면서 상기 전력반도체의 고정 및 수명 단축을 일으키게 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전력반도체와 같은 회로 부품은 각종 먼지나 습기 등에 취약하지만 냉각팬을 통해 송풍되는 냉각 공기는 상기 전력반도체를 통과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한 전력반도체가 외부 이물질 등에 의해 고장발생 혹은,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반도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얻음과 더불어 이 전기에너지로 냉각팬을 구동시켜 전체적인 효율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전력변환장치 및 그의 운전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력변환장치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내부 공간이 밀폐됨과 더불어 저면은 개구된 박스 형태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의 공간상에 위치되면서 에너지원으로부터 제공받은 에너지를 부하장치로 공급하기 위해 변환하는 전력반도체가 실장된 회로기판; 상면에는 상기 회로기판이 얹힘과 더불어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저면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방열판; 상기 방열판의 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방열판과의 접촉면에는 고온접점이 위치됨과 더불어 그 반대측면에는 저온접점이 위치되면서 상기 고온접점와 저온접점 간의 온도 차이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열전모듈; 그리고, 상기 열전모듈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제공받아 구동되면서 상기 열전모듈의 저온접점이 위치된 부위를 향해 냉각 공기를 송풍하는 냉각팬: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열전모듈는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각 열전모듈는 상기 방열판의 저면에 상기 냉각팬에 의한 냉각 공기의 송풍 방향을 따라 각각 이격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부가 빈 박스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면은 상기 열전모듈의 발열측 면이 밀착 고정되며, 서로 대응되는 두 둘레측 벽면에는 공기의 유입을 위한 공기 유입공 및 공기의 배출을 위한 공기 배출공이 각각 형성된 보조 케이스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냉각팬은 상기 보조 케이스의 공기 유입공 혹은, 공기 배출공 중 어느 한 부위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전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전기 에너지를 상기 냉각팬으로 제공하거나 혹은, 상기 에너지원으로부터 에너지를 제공받아 상기 열전모듈를 동작시키는 컨버터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운전 제어 방법은 에너지원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제공받아 이를 변환한 후 부하장치로 공급하는 전력변환 공급 단계; 상기 전력변환 공급 단계가 진행되는 도중 열전모듈을 제어하여 전력반도체로부터 발생되어 방열판으로 전도된 열로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에너지 생성단계; 상기 에너지 생성단계를 통해 생상된 전기에너지를 냉각팬으로 공급하여 냉각팬을 동작시키는 방열 단계:가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각 단계가 진행되는 도중 온도센서를 통해 과부하의 발생 여부를 센싱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를 통해 과부하의 발생이 확인될 경우 상기 방열 단계를 중단함과 동시에 컨버터를 제어하여 상기 에너지원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제공받아 열전모듈 및 냉각팬이 동작되도록 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 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용 전력변환장치는 열전모듈을 이용하여 전력변환장치로부터 발생된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냉각팬의 구동 전원으로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력변환장치의 발열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음과 더불어 냉각팬의 구동을 위한 에너지원의 에너지 손실이 없기 때문에 전체적인 발전 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신재생 에너지용 전력변환장치는 각종 회로 부품이 내장되는 케이스 내부가 밀폐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외부 이물질에 의한 회로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신재생 에너지용 전력변환장치 및 그의 운전 제어방법에 의해 과부하 상황에 따른 대처가 신속하면서도 원활히 진행됨으로써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각종 회로 부품의 손상이나 수명 단축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신재생 에너지용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용 전력변환장치는 크게 케이스(100)와, 회로기판(200)과, 방열판(300)과, 열전모듈(400) 및 냉각팬(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케이스(100)는 전력변환장치의 외관을 이루는 구성으로써, 후술될 회로기판(200)을 포함하는 각종 회로 부품이 설치되는 일련의 구성이다.
이때, 상기한 케이스(100)는 외부로부터 내부 공간이 밀폐됨과 더불어 저면은 개구된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이렇게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이 밀폐되도록 구성하는 이유는 외부의 이물질이 각종 회로 부품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회로기판(200)은 전력반도체(210)를 비롯한 전력변환장치에 필요한 각종 회로 부품 및 제어부(예컨대, 중앙처리장치 등)(도시는 생략됨)가 실장되는 일련의 구성으로써, 상기 케이스(100) 내의 저부 공간상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회로기판(200)에 실장되는 전력반도체(210)는 에너지원(10)으로부터 제공받은 에너지를 부하장치(20)로 공급하기 위해 변환하는 스위칭 소자로의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상기 에너지원(10)이라 함은 자연 혹은, 여타의 장치로부터 에너지를 얻어 발전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상기 부하장치(20)는 상기 에너지원(10)으로부터 제공받은 에너지에 의해 동작되는 장치 혹은, 상기 에너지를 축전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와 함께, 상기 회로기판(200)에 실장되는 제어부는 상기한 전력반도체(210)에 대한 제어뿐만 아니라 전력변환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회로 부품 및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회로기판(200) 상에 온도센서(220)가 더 구비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온도센서(220)는 상기 회로기판(200)이 설치된 부위의 온도를 센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방열판(300)은 상기 전력반도체(210)와 같이 회로기판(200)의 각 회로 부품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열시키는 구성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열판(300)이 상기 케이스(100)의 개구된 저면을 폐쇄하도록 설치됨을 제시한다. 즉, 상기한 방열판(300)이 상기 케이스(100)의 저면을 대신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케이스(100) 내의 공간이 밀폐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방열 면적을 최대한 증가시켜 방열 효과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회로기판(200)은 상기 방열판(300)의 상면에 얹힌 상태로 밀착 고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열전모듈(400)은 그의 고온접점(410) 및 저온접점(420) 간의 온도 차이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열전 반도체 모듈로써, 상기 방열판(300)의 저면에 설치된다.
상기한 열전모듈(400)은 금속층으로 이루어진 고온접점(410) 및 저온접점(420)과 상기 각 접점(410,420) 사이에 위치되면서 P형과 N형으로 구성된 반도체층(43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열전모듈(400)의 고온접점(410)은 상기 방열판(300)과 접촉되는 면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방열판(300)의 저면과 밀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열전모듈(400)의 저온접점(420)은 상기 고온접점(410)이 위치된 면과는 반대측면에 위치 된다.
따라서, 상기한 열전모듈(400)은 상기 고온접점(410)을 통해 방열판(300)으로부터 흡수하고, 이 열을 상기 저온접점(420)을 통해 방출하는 과정에 의해 반도체층(430)에서 전류가 생성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더욱 큰 전기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상기한 열전모듈(400)을 복수로 제공함과 더불어 상기한 각 열전모듈(400)은 상기 방열판(300)의 저면에 후술될 냉각팬(500)의 냉각 공기 송풍 방향을 따라 각각 이격 설치함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상기 냉각팬(500)은 상기 열전모듈(400)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제공받아 구동되면서 상기 열전모듈(400)의 저온접점(420)이 위치된 부위를 향해 냉각 공기를 송풍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냉각팬(500)이 별도의 전원을 제공받아 구동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한 열전모듈(400)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제공받아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전력변환장치의 발전 효율이 저하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한 냉각팬(500)은 하나로만 구성될 수도 있지만,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둘 이상의 복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력변환장치를 이루는 케이스(100)의 저부에 보조 케이스(6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이때, 상기한 보조 케이스(600)는 냉각팬(500)이 설치되는 부위를 이룸과 더 불어 전술된 열전모듈(400)의 저온접점(420)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이 열이 더욱 원활히 방열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보조 케이스(600)는 내부가 빈 박스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면은 상기 열전모듈(400)의 저온접점(420)이 밀착 고정되며, 서로 대응되는 두 둘레측 벽면(전면 및 후면)에는 공기의 유입을 위한 공기 유입공(610) 및 공기의 배출을 위한 공기 배출공(620)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보조 케이스(600)의 상면 역시, 열전도도가 우수한 재질 혹은, 형태의 방열판으로 구성된다.
이와 함께, 냉각팬(500)은 상기 공기 유입공(610) 혹은, 공기 배출공(620) 중 어느 한 부위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조 케이스(600)는 전술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와 별도의 구조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케이스(100)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컨버터(7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컨버터(700)는 교류와 직류간의 변환 동작을 통해 상기 열전모듈(400)로부터 제공받은 전기 에너지를 상기 냉각팬(500)으로 제공되도록 하거나 혹은, 상기 에너지원(10)으로부터 에너지를 제공받아 상기 열전모듈(400) 및 냉각팬(500)이 동작되도록 전달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즉, 상기한 컨버터(700)로 인해 냉각팬(500)만으로 감당할 수 없는 순간적인 과부하 상황 시 냉각팬(500)의 구동뿐만 아니라 열전모듈(400)에도 전력을 공급하여 냉각을 도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용 전력변환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살명하도록 한다.
먼저, 에너지원(10)은 자연 에너지에 의해 동작되면서 에너지를 생산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생산된 에너지는 전력변환장치의 회로기판(200)에 구비된 제어부(도시는 생략됨)의 제어에 의해 전력반도체(210)를 통해 부하장치(20)로 공급하기 위한 전류로 변환된다.
따라서, 상기 부하장치(20)는 상기 전력반도체(210)에 의해 변환된 전류를 전달받아 그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일련의 과정이 진행되는 도중에는 상기 전력반도체(210) 및 각종 회로 부품의 구동에 의해 회로기판(200)으로부터 다량의 열이 발생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발생되는 열은 방열판(300)으로 전도된 후 상기 방열판(300)에 밀착된 각 열전모듈(400)의 고온접점(410)으로 제공된다. 즉, 각 열전모듈(400)의 고온접점(410)이 상기 방열판(300)을 통해 전도되는 열을 흡수함으로써 상기 방열판(300)의 온도를 저감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 열전모듈(400)은 상기 고온접점(410)을 통해 흡수된 열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게 된다. 즉, 각 열전모듈(400)의 고온접점(410)을 통해 방열판(300)으로부터 흡수한 열이 저온접점(420)을 통해 방출되는 과정에 의해 반도체층(430)에서 전기 에너지가 생성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와 같이 생성된 전기 에너지는 냉각팬(500)으로 제공되어 상기 냉각팬(500)을 구동시키게 되고, 이러한 냉각팬(500)의 구동에 의해 외부 공기는 보조 케이스(600)의 공기 유입공(610) 및 공기 배출공(620)을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따라서, 상기한 외부 공기의 유동에 의해 각 열전모듈(400)의 저온접점(420)을 통해 열을 전도받는 보조 케이스(600)의 상면은 냉각됨으로써 각 열전모듈(400)의 발열에 따른 문제점을 방지하게 된다. 물론, 상기한 공기의 유동에 의해 방열판(300)의 온도 역시 더욱 저감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전력변환장치의 동작이 진행되는 도중에는 회로기판(200)에 실장된 온도센서(220)를 통해 케이스(100) 내부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센싱된다.
만일, 상기와 같은 온도 센싱 과정 중 순간적인 과부하 상황이 발생되어 케이스(100)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게 되면 제어부는 컨버터(700)를 제어하여 각 열전모듈(400)로부터 생성된 전기 에너지로 냉각팬(500)을 구동하는 것이 아니라 에너지원(10)으로부터 냉각팬(500)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한 제어부는 상기 컨버터(700)의 제어를 통해 각 열전모듈(40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이로 인해 각 열전모듈(400)은 그의 고온접점(410)을 통해 방열판(300)의 열을 강제적으로 흡수하게 된다. 즉, 상기한 과부하 상황에서는 상기 각 열전모듈(400)이 방열판(300)으로부터 피동적으로 열을 전달받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열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00) 내부의 온도는 상기 냉각팬(500) 및 상기 각 열전 모듈(400)에 의해 빠르게 저감될 수 있도록 있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이 냉각팬(500) 및 각 열전모듈(400)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에너지원(10)으로부터 공급되도록 함에 따라 순간적인 발전 효율은 저하될 수 있겠지만, 상기한 에너지원(1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냉각팬(500) 및 각 열전모듈(400)을 구동시키는 동작은 과부하 상황으로 한정됨에 따라 전체적인 발전 효율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며, 특히 상기한 과부하 상황은 안전에 관련된 문제이기 때문에 순간적인 발전 효율의 저하는 무시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용 전력변환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간략화시켜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용 전력변환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용 전력변환장치의 과부하 상태시 운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간략화시켜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케이스 200. 회로기판
210. 전력반도체 220. 온도센서
300. 방열판 400. 열전모듈
410. 고온접점 420. 저온접점
430. 반도체층 500. 냉각팬
600. 보조 케이스 610. 공기 유입공
620. 공기 배출공 700. 컨버터

Claims (6)

  1. 외부로부터 내부 공간이 밀폐됨과 더불어 저면은 개구된 박스 형태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의 공간상에 위치되면서 에너지원으로부터 제공받은 에너지를 부하장치로 공급하기 위해 변환하는 전력반도체가 실장된 회로기판;
    상면에는 상기 회로기판이 얹힘과 더불어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저면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방열판;
    상기 방열판의 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방열판과의 접촉면에는 고온접점이 위치됨과 더불어 그 반대측면에는 저온접점이 위치되면서 상기 고온접점과 저온접점 간의 온도 차이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열전모듈;
    상기 열전모듈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제공받아 구동되면서 상기 열전모듈의 저온접점이 위치된 부위를 향해 냉각 공기를 송풍하는 냉각팬; 그리고,
    상기 열전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전기 에너지를 상기 냉각팬으로 제공하거나 혹은, 상기 에너지원으로부터 에너지를 제공받아 상기 열전모듈를 동작시키는 컨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 에너지용 전력변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모듈는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각 열전모듈는 상기 방열판의 저면에 상기 냉각팬에 의한 냉각 공기의 송풍 방향을 따라 각각 이격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 에너지용 전력변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가 빈 박스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면은 상기 열전모듈의 발열측 면이 밀착 고정되며, 서로 대응되는 두 둘레측 벽면에는 공기의 유입을 위한 공기 유입공 및 공기의 배출을 위한 공기 배출공이 각각 형성된 보조 케이스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냉각팬은 상기 보조 케이스의 공기 유입공 혹은, 공기 배출공 중 어느 한 부위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 에너지용 전력변환장치.
  4. 삭제
  5. 에너지원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제공받아 이를 변환한 후 부하장치로 공급하는 전력변환 공급 단계;
    상기 전력변환 공급 단계가 진행되는 도중 열전모듈을 제어하여 전력반도체로부터 발생되어 방열판으로 전도된 열로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에너지 생성단계;
    상기 에너지 생성단계를 통해 생상된 전기에너지를 냉각팬으로 공급하여 냉각팬을 동작시키는 방열 단계:가 포함되어 진행되며,
    상기 각 단계가 진행되는 도중 온도센서를 통해 과부하의 발생 여부를 센싱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를 통해 과부하의 발생이 확인될 경우 상기 방열 단계를 중단함과 동시에 컨버터를 제어하여 상기 에너지원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제공받아 열전모듈 및 냉각팬이 동작되도록 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재생 에너지용 전력변환장치의 제어 방법.
  6. 삭제
KR1020090108753A 2009-11-11 2009-11-11 신재생 에너지용 전력변환장치 및 그의 운전 제어방법 KR101110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753A KR101110973B1 (ko) 2009-11-11 2009-11-11 신재생 에너지용 전력변환장치 및 그의 운전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753A KR101110973B1 (ko) 2009-11-11 2009-11-11 신재생 에너지용 전력변환장치 및 그의 운전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930A KR20110051930A (ko) 2011-05-18
KR101110973B1 true KR101110973B1 (ko) 2012-02-16

Family

ID=44362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8753A KR101110973B1 (ko) 2009-11-11 2009-11-11 신재생 에너지용 전력변환장치 및 그의 운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09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732B1 (ko) * 2017-11-28 2019-10-08 삼호중장비산업 주식회사 대전력 충전기의 과열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N107947604A (zh) * 2017-12-25 2018-04-20 苍南县新源电子科技有限公司 冷却逆变器用安装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9260A (ja) 2005-07-07 2007-01-25 Toshiba Corp 熱電変換システム
KR100712960B1 (ko) 2005-12-28 2007-05-07 주재헌 발전기능을 가진 히터
KR20080086768A (ko) * 2007-03-23 2008-09-26 목포도시가스(주) 비연소 비점화식 촉매히터를 이용한 발전시스템
KR100915094B1 (ko) * 2008-04-17 2009-09-02 주식회사 효성 태양광 발전용 전력변환장치의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9260A (ja) 2005-07-07 2007-01-25 Toshiba Corp 熱電変換システム
KR100712960B1 (ko) 2005-12-28 2007-05-07 주재헌 발전기능을 가진 히터
KR20080086768A (ko) * 2007-03-23 2008-09-26 목포도시가스(주) 비연소 비점화식 촉매히터를 이용한 발전시스템
KR100915094B1 (ko) * 2008-04-17 2009-09-02 주식회사 효성 태양광 발전용 전력변환장치의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930A (ko)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7419B2 (en) Solar inverter assembly
US9863428B2 (en) Fan control unit and power conditioner
JP6584736B1 (ja) 充放電装置
US20070247823A1 (en) Power inverter
WO2006001273A1 (ja) アーク溶接制御装置
JP4525268B2 (ja) 電力変換装置の冷却装置
JP2006353014A (ja) 配電機材
JP2005265381A (ja) 冷媒サイクル装置
KR101110973B1 (ko) 신재생 에너지용 전력변환장치 및 그의 운전 제어방법
CN101296602A (zh) 循环水冷和风冷散热装置
JP5962326B2 (ja) 強制空冷式ヒートシンク
WO2007043192A1 (ja) 溶接装置
JP6026059B1 (ja) 電子機器
KR20060027579A (ko) 전지 모듈 온도 제어 시스템
JP2011138960A (ja) 車両用電力変換装置
KR101482102B1 (ko) 공기조화장치의 제어장치의 방열 구조
JP5611084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及びその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を用いた空気調和装置
JP2010119236A (ja) 太陽光発電電源装置
KR101878054B1 (ko) 전력 변환 시스템
WO2017199375A1 (ja) 非接触送電装置
JP2011181880A (ja) 電子機器の構造及び基地局の構造
KR101767421B1 (ko) 열전 변환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폐열수 냉각 시스템
JP2008035659A (ja) 電動機駆動装置
KR20120116187A (ko) 인버터
CN213937149U (zh) 高压电力工程电力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