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585B1 -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항염 및 항알러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항염 및 항알러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585B1
KR102029585B1 KR1020180057655A KR20180057655A KR102029585B1 KR 102029585 B1 KR102029585 B1 KR 102029585B1 KR 1020180057655 A KR1020180057655 A KR 1020180057655A KR 20180057655 A KR20180057655 A KR 20180057655A KR 102029585 B1 KR102029585 B1 KR 102029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ermented
present application
moisturizing
inflamma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문식
차준석
이하연
유은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057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5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보습, 항염 및 항알러지 기능성 3종 발효 혼합 추출물,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그리고 상기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항염 및 항알러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A moisturizing,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mixed fermented extracts of 3 kinds of food materials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본 출원은 콩, 보리, 감자의 3종 발효 혼합 추출물과 그 제조방법, 상기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 항염 및 항알러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에 사용되는 식물 성분 중 당류를 함유한 추출액은 훌륭한 보습제로 이용된다. 당류 중에는 피막 형성능이 있어 모발 보호제로 사용되는 것도 있으며, 당의 지방산 에스테르는 계면활성 작용을 나타낸다. 특히 당류 중에서 천연 고분자라 할 수 있는 식물성 다당류는 안전성이 높아 의약 및 식품첨가물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증점성, 겔화성, 유화 안정성, 보습 및 피막형성효과 등이 있어 화장품 원료로도 다양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천연 당류는 피부가 흡수할 수 있는 분자 사이즈보다 크기 때문에 흡수를 위하여 당류를 잘라주어야만 한다. 한편,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의 과정을 거친 당류는 그 효과를 잃지 않고 피부에 흡수되어 작용할 수 있어, 천연 다당류 특유의 보습 효과와 더불어 기존 식물 원료가 가지는 항산화 효과, 항균효과 및 항염효과 기타 시너지 효과를 함께 기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대두(大豆, Glycine max L. Merrill)는 콩과식물로 만주지방이 원산지이며, 기원전 4~5세기경부터 우리나라에서 재배가 시작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대두에는 다량의 단백질(40%)과 지질(20%)이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탄수화물 및 비타민군을 함유하고 그 가공제품에는 칼슘, 인, 마그네슘을 비롯하여 철, 아연, 구리 등 무기성분 등도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또한 콩에 함유된 여러 성분들이 고혈압 방지 효과, 항 돌연변이, 항암, 혈전 용해기능 등 각종 생리활성이 있다고 알려져 왔다. 대두는 다양한 효능으로 주목 받고 있는 원료이기도 하다. 이와 관련한 많은 연구 보고가 있으며 대두의 sinapic acid의 염증제어 기전, 페놀성분 및 플라보노이드로 항산화 및 항노화 효능 및 항암효과가 알려져 있다. 특히, 발효된 콩에서 생성되는 점액성 고분자 물질은 피부 보습력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발효 과정을 통해 분해되는 영양 성분의 피부 침투력이 우수하여 발효 콩은 화장품 원료로 주목받고 있다.
감자는 탄수화물이 주성분이지만 비타민 B, C, 칼륨 등 각종 미네랄이 풍부하게 들어 있는 대표적인 알칼리성 식품이다. 감자는 특히 비타민C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밭의 사과’로 불리는데, 비타민C는 사과의 5배 정도로 하루에 감자 두알만 먹으면 그날의 필요량을 충족시킬 수 있다. 감자의 효능에 대해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에는 “감자는 중초(中焦·가로막 아래로부터 배꼽 이상의 부위)를 조화롭게 해서 중기(中氣)를 보하고, 비장과 위장을 튼튼하게 하며 소염작용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보리는 쌀, 밀, 옥수수 다음으로 많이 생산되는 곡류로서, 보통 '흰 쌀'보다 건강에 좋다고 알려져 있고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들어있다. 또, 보리에 풍부한 칼슘, 인, 아연, 엽산, 비타민 B2는 성장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보리에 들어있는 칼슘의 양은 쌀의 4배, 엽산은 16배, 비타민 B2는 3배, 아연은 2배, 인은 3배다. 철분도 쌀보다 약 4배 많아 빈혈 예방에 효과적이다. 또한, 보리는 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해 발암물질을 몸 밖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해 대장암 등의 예방에 좋다. 또 식이섬유가 풍부해 변비가 있는 사람에게 도움이 되고, 보리에 들어있는 토코트리에놀 성분은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데 효과적이다.
식품의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5-0062273호에 발효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있으나, 이는 덧장 발효방법을 이용한 발효콩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고, 황금보리를 이용한 이화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한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10-1726230호 및 돼지감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한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10-2015-0081892호가 있으나 종래 공지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상기 문헌 어디에도 콩, 보리, 감자의 3종 발효 혼합 추출물과 그 제조방법, 그리고 상기 혼합 추출물의 피부 보습, 항염 그리고 항알러지 효능에 대하여 암시하거나 개시한 연구는 전무하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보습, 항염 및 항알러지 효능이 있는 천연 식품 발효 혼합 추출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콩, 보리 및 감자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의 기능성 화장료로서의 상기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출원을 완성하였다.
본 출원의 목적은 콩, 보리 및 감자의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다른 목적은 상기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다른 목적은 상기 기능성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 항염 및 항알러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첨부한 청구범위 및 도면과 함께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본 출원의 기술 분야 또는 유사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인식하고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출원 내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출원에서 개시한 일 실시 양태의 설명 및 실시 형태는 공통된 사항에 대하여 다른 양태의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개시된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출원의 범주에 속한다. 더불어,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출원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본 출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출원은 일 양태로써, 콩, 보리 및 감자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은,
a) 콩에 물을 혼합하여 수세 후 도기에서 가압 멸균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콩을 Lactobacillus 속 유산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발효물을 정제수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와;
b) 보리에 물을 혼합하여 수세 후 도기에서 가압 멸균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보리를 accharomyces 속 효모균주를 접종하고 발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발효물을 정제수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와;
c) 감자의 표면을 세척 후 껍질, 과육 부분을 homogenizer를 이용하여 습식 분쇄하고 멸균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감자를 Lactobacillus속 유산균주를 접종하고 발효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발효물을 정제수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와;
상기 각 a)~c) 단계에서 얻은 3종의 식품 원료 발효 추출물을 1:1:1의 중량비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 항염 및 항알러지 기능성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통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일 구현예로, 본 출원 발효 콩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콩을 습식 멸균하는 단계로써, 실험에 사용된 발효콩은 콩 10 내지 50 중량 %,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40 중량 %, 보다 구체적으로는 30 중량 %를 물에 혼합하여 수세 후 가열 멸균된 도기에 1/3 수준으로 채우고, 121℃에서 15분 내지 3시간 동안, 보다 구체적으로는 30분 내지 2시간 동안, 더욱 구체적으로는 1시간 동안 가압 멸균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균주 접종 및 발효 단계로써, 유산균 고체 발효를 위해서는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plantarum , Lactobacillus brevis 외 모든 Lactobacillus 속에 해당하는 균주를 이용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Lactobacillus plantarum이 사용될 수 있다. 초기 접종량은 105 내지 107 cell/mL, 구체적으로는 106 cell/mL의 유산균을 2 내지 20 중량 %, 구체적으로는 5 내지 15 중량 %, 더욱 구체적으로는 10 중량% 접종하고, pH 6 내지 8, 구체적으로는 pH 7에서, 온도는 25 내지 40℃, 구체적으로는 30℃, 습도는 50 내지 80%, 구체적으로는 50 내지 70%, 더욱 구체적으로는 60%로 유지하며 조건에 따라 24 내지 96시간, 구체적으로는 36 내지 60 시간, 더욱 구체적으로는 48 시간 동안 배양하여 발효시킬 수 있다. 또한, 배양액으로부터 추출물 제조 단계로써, 발효 종료 후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에테르, 부틸렌글리콜, 헥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 부틸렌글리콜이 사용되었다. 상기 추출 용매의 적합한 양은 발효콩 추출물 건조 중량의 1 내지 50배,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40배, 더욱 구체적으로는 25배가 사용될 수 있다.
일 구현예로, 본 출원 발효 보리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우선, 보리를 습식 멸균하는 단계로써, 실험에 사용된 발효 보리는 보리 수세 후 가열 멸균된 도기에 1/3 수준으로 채우고, 121℃에서 15분 내지 3시간 동안, 보다 구체적으로는 30분 내지 2시간 동안, 더욱 구체적으로는 1시간 동안 가압 멸균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균주 접종 및 발효 단계로써, 효모 고체 발효를 위해서는 Saccharomyces cerevisiae, Saccharomyces boulardii 등의 Saccharomyces 속의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를 진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Saccharomyces cerevisiae가 사용되었다. 상기 효모의 초기 접종량은 105 내지 107 cell/mL, 구체적으로는 106 cell/mL의 일정 농도로 효모 배양액을 발효 원물 대비 5 내지 30 중량 %,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20 중량%, 더욱 구체적으로는 10 중량 %를 접종할 수 있고, pH 6 내지 8, 구체적으로는 pH 7에서, 온도는 25 내지 40℃, 구체적으로는 30℃, 습도는 50 내지 80%, 구체적으로는 50 내지 70%, 더욱 구체적으로는 60%로 유지하며 조건에 따라 24 내지 96시간, 구체적으로는 36 내지 60 시간, 더욱 구체적으로는 48 시간 동안 배양하여 발효시킬 수 있다. 다음, 배양액으로부터 추출물 제조 단계로써, 발효 종료 후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에테르, 부틸렌글리콜, 헥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필렌글리콜이 사용되었다. 상기 추출 용매의 적합한 양은 발효보리 추출물 건조 중량의 1 내지 50배,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40배, 더욱 구체적으로는 25배가 사용될 수 있다.
일 구현예로, 본 출원 발효 감자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우선, 감자 제조 및 멸균 단계로써, 감자의 표면을 세척 후 껍질과 과육 부분을 homogenizer등의 분쇄기를 이용하여 습식 분쇄할 수 있다. 그 후 121℃에서 1분 내지 50분간, 구체적으로는 10분 내지 30분간, 보다 구체적으로는 20분간 멸균하여 이를 발효 원물로 이용하였다. 다음, 균주 접종 및 발효 단계로써, 유산균 액체발효를 위해서는 Lactobacillus casei , Lactobacillus plantarum , Lactobacillus brevis 외 모든 Lactobacillus 속에 해당하는 균주를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Lactobacillus plantarum이 사용되었다. 상기 균주의 초기 접종량은 105 내지 107 cell/mL, 보다 구체적으로는 106 cell/mL의 일정 농도로 1 내지 5 중량 %,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4 중량 %, 더욱 구체적으로는 2.5 중량 %의 유산균을 접종하고, 1일 내지 4일간, 보다 구체적으로는 3일 동안 37℃를 유지하며 발효시킨다. 유산균 발효 추출물의 pH는 3.5 내지 5.0 수준으로 떨어졌음을 확인하고 생균수를 확인한다. 다음, 배양액으로부터 추출물 제조 단계로써, 발효 종료 후 여과기를 이용하여 고형분을 제거하며, 초기 발효 원물 대비 60 내지 80 중량 %, 보다 구체적으로는 70 중량 %의 액체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그 후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에테르, 부틸렌글리콜, 헥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틸렌글리콜이 사용되었다. 상기 추출 용매의 적합한 양은 발효 원물 중량의 1 내지 50배,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40배, 더욱 구체적으로는 25배가 사용될 수 있다.
일 구현예로, 본 출원은 일 양태로써, 콩, 보리 및 감자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을 제공한다. 상기 혼합 추출물의 제조에 있어서 목적하는 화장품의 기능, 품질, 향, 기호 등에 따라 다양한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1:1:1의 동량의 중량비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출원은 일 양태로써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 항염 및 항알러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중량의 0.1 중량 % 내지 20 중량 % 범위로 포함될 수 있는데, 0.1 중량 % 미만이면 보습, 항염 및 항알러지 개선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20 중량 %를 초과하여도 무방하나 보습, 항염 및 항알러지 개선효과에서 차이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경제성 측면에서 20 중량 % 이하로 한정하였다. 본 출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출원은 일 양태로써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제형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화장수, 로션, 크림, 에센스, 용액, 현탁액, 로션, 젤, 토너, 스틱, 스프레이, 에어로졸, 연고, 클렌징 리퀴드 워시(cleansing liquid wash) 및 고형 바아 (solid bar), 페이스트, 폼(foam), 무스, 면도 크림, 와이프, 스트립, 패치, 전동식 패치, 하이드로젤, 필름-형 성제품, 페이셜 및 스킨 마스크(불용성 시트를 갖는 것과 갖지 않는 것), 메이크업 제품, 예를 들어 파운데이션, 아이라이너 및 아이섀도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제품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화장료 조성물 형태는 선택된 특정한 피부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에 따른 것일 수 있다.
본 출원은 3종 발효 혼합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항염 및 항알러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출원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의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출원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의 항염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출원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의 항알러지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출원의 하기 실시예는 본 출원의 일 예시에 불과하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첨부된 청구항에 제시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 1. 발효 콩 추출물의 제조
본 출원 발효 콩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우선, 콩을 습식 멸균하는 단계로써, 실험에 사용된 발효콩은 콩 30 중량 %을 물에 혼합하여 수세 후 가열 멸균된 도기에 1/3 수준으로 채우고, 121℃에서 1시간 동안 가압 멸균을 실시하였다. 그 후 외부 균의 접촉이 없도록 유지하고 상온에서 온도를 내렸다. 다음, 균주 접종 및 발효 단계로써, 유산균 고체 발효를 위해서는 Lactobacillus plantarum을 이용하였다. 초기 상기 균주의 접종량은 106 cell/mL의 일정 농도로 10 중량 % 접종하고, pH 7의 산도에서, 온도는 30℃, 습도 60 %로 유지하며 48시간 동안 배양하여 발효시켰다. 다음, 배양액으로부터 추출물 제조 단계로써, 발효 종료 후 부틸렌글리콜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 용매의 적합한 양은 발효콩 추출물 건조 중량의 25배 였다.
실시예 2. 발효 보리 추출물의 제조
본 출원 발효 보리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우선, 보리를 습식 멸균하는 단계로써, 실험에 사용된 발효 보리는 보리 수세 후 가열 멸균된 도기에 1/3 수준으로 채우고, 121℃에서 1시간 가압 멸균을 실시하였다. 그 후 외부 균의 접촉이 없도록 유지하고 상온에서 온도를 내렸다. 다음, 균주 접종 및 발효 단계로써, 효모 고체 발효를 위해서는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이용하여 발효를 진행하였다. 초기 접종량은 106 cell/mL의 일정 농도로 효모 배양액을 발효 원물 대비 10 중량 % 접종하고, pH 7, 온도는 30℃, 습도 60 %로 유지하며 조건에 따라 48시간 배양하여 발효시켰다. 다음, 배양액으로부터 추출물 제조 단계로써, 발효 종료 후 프로필렌글리콜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 용매의 적합한 양은 발효보리 추출물 건조 중량의 25배였다.
실시예 3. 발효 감자 추출물의 제조
본 출원 발효 감자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우선, 감자 제조 및 멸균 단계로써, 감자의 표면을 세척 후 껍질과 과육 부분을 homogenizer를 이용하여 습식 분쇄 시켰다. 그 후 121℃에서 20분간 멸균하여 이를 발효원물로 이용하였다. 다음, 균주 접종 및 발효 단계로써, 유산균 액체발효를 위해서는 Lactobacillus plantarum를 이용하였다. 초기 접종량은 106 cell/mL의 일정 농도로 2.5 중량 %의 유산균을 접종하고, 3일간 37℃를 유지하며 발효시켰다. 유산균 발효 추출물의 pH는 3.5 내지 5.0 수준으로 떨어졌음을 확인하고 생균수를 확인하였다. 다음, 배양액으로부터 추출물 제조 단계로써, 발효 종료 후 여과기를 이용하여 고형분을 제거하며, 초기 발효 원물 대비 70 중량 %의 액체 추출물을 얻을 수 있었다. 그 후 부틸렌글리콜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 용매의 적합한 양은 발효 원물 중량의 25배가 사용되었다.
실시예 4.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수득한 각 콩, 보리, 감자 발효 추출물을 동량의 중량비(1:1:1)로 혼합하여 본 출원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고 4℃의 냉장 상태로 저장하여 공시재료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보습 효과 측정 실험
상기 실시예 4에서 수득한 본 출원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의 보습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추출물을 피부에 도포한 후 피부 수분 함유량 변화를 측정하고자 각질층의 전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전기용량(capacitance)을 이용하였다. 우선, 만 20 내지 55세에 속하는 여성 10명을 피실험 대상으로 구성하였다. 피험자들이 실내 온도 20 내지 25℃, 습도 40 내지 60%의 항온항습 조건의 대기실에서 30분간 안정을 취하도록 하여, 피부표면 온도와 습도를 측정 공간의 환경에 적응하게 하였다. 안정하는 동안의 수분 섭취는 제한하였다. 피험자들로 하여금 시험부위인 전박부를 세정하도록 한 후,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추출물을 2 ㎕/㎠ 씩 덜어 시험부위에 가볍게 문지른 후 두드리듯 흡수시켜 주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추출물을 사용한 직후 각 30분, 1시간, 3시간 그리고 5시간 후 피험자들의 피부 수분 함량을 측정하였다. 피부 수분 함량 측정은 코르네오미터(Corneometer) CM825 (Couraage-Kh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은 코르네오미터 탐침(probe)을 피부에 접촉시켜 센서를 통해 3회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피부 수분함유량 자료로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본 출원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의 사용 부위의 수분 함유량은 이를 사용하지 않은 부위에 비하여 모든 측정 시점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우수한 보습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30분에서는 50%에 가까운 높은 수분 함유량을 보였으며 5시간까지도 우수한 보습 효과가 유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1). 
실험예 2. 항염 효과 측정 실험
상기 실시예 4에서 수득한 본 출원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의 보습 유지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RAW 264.7 cell에 염증 유발 물질인 LPS를 인위적으로 처리한 후 상기 추출물을 처리하여 항염 효과가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96-well plate에 well 당 2 x 105 cell이 되도록 RAW 264.7 cell을 분주한 다음 24시간 동안 37℃, 5% CO2 incubator에서 세포들을 배양하였다. Overnight으로 배양한 다음 새로운 배지로 교환해주고 LPS(1mg/mL)와 본 출원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을 농도별(10, 50, 100mg/mL)로 투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 상층액을 취해 13,000rpm에서 3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만 모은 후, Griess 시약과 1:1로 반응시키고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100mg/mL 농도의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이 20.5%의 NO 생성을 억제시키는 우수한 효능을 확인하였다(도 2).
실험예 3. 항알러지 효과 측정 실험
상기 실시예 4에서 수득한 본 출원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의 항알러지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RBL-2H3 cell을 10% FBS를 함유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 현탁시킨 후, 24-well plate에 각 well 당 2 x 105 cell을 분주하였다. 다음, 각 well당 100 ng/mL의 mouse monoclonal IgE로 감작시킨 후 5%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를 well당 Tyrode buffer 500ml를 사용하여 헹구어내고 농도별(10, 50, 100mg/mL)로 본 출원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을 처리한 후 37℃, 5% CO2 incubator에서 15분간 배양하고 1 시간 동안 DNP-BSA 100ng/ml을 처리하였다. 상층액에 substrate (1mM p-nitrophenyl-N-acetyl-?-D-glucosaminide) 50ml 처리 후 37℃, 5% CO2 incubator에서 1 시간 동안 배양하고 ELISA reader를 사용하여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100mg/mL의 농도에서 28.9%의 β-hexosaminidase 생성 억제의 항알러지 효능을 보였다 (도 3).
비교예 1.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의 각 원료 발효 추출물과의 효과 비교
상기 실시예 4에서 수득한 본 출원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실험군)과 발효 추출물이 첨가되지 않은 Base cream(대조군1), 콩 발효 추출물(대조군2), 보리 발효 추출물(대조군3), 감자 발효 추출물(대조군4), 콩과 보리 발효 추출물(1:1 중량비, 대조군5), 콩과 감자 발효 추출물(1:1 중량비, 대조군6), 보리와 감자 발효 추출물(1:1 중량비, 대조군7) 의 각 보습(추출물 도포 0.5시간 후 측정 비교), 항염(추출물 농도 100mg/mL에서 비교), 항알러지(추출물 농도 100mg/mL에서 비교)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1 내지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하기 표 1에서와 같이 본 출원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의 식품 원료 발효 추출물(실험군)이 대조군 1 내지 4보다 현저히 뛰어난 보습, 항염, 항알러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각 발효 추출물 혼합 형태의 기능성 화장료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하였다(표 1).
도포 0.5시간 후 수분도 함량(%) 100mg/mL에서 항염 효과(%) 100mg/mL에서 항알러지 효과(%)
실험군 50 20.5 28.9
대조군1 39 11 16
대조군2 32 15 10
대조군3 28 13.5 15
대조군4 40 10 18
대조군5 36 12 26
대조군6 25 18 22
대조군7 27 16 20
이하, 본 발명을 사용하기에 바람직하고 다양한 화장품 제형을 개시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개시된 제형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제조예 1. 화장수
상기 실시예4에서 수득한 본 출원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수를 하기 표2와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원 료 함량(중량%)
1 본 출원 3종 발효 혼합 추출물 10.0
2 글리세린 3.0
3 부틸렌 글리콜 2.0
4 프로필렌 글리콜 2.0
5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1.0
6 에탄올 10.0
7 트리에탄올아민 0.1
8 방부제 미량
9 색소 미량
10 향료 미량
11 정제수 잔량
제조예 2. 로션
상기 실시예 4에서 수득한 본 출원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이 함유된 로션을 하기 표 3과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원 료 함량(중량%)
1 본 출원 3종 발효 혼합 추출물 10.0
2 밀납 1.0
3 폴리솔베이트 60 1.5
4 솔비단 세스퀴올레이트 0.5
5 유동 파라핀 10.0
6 소르비단 스테아레이트 1.0
7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신 글리세린 0.5
8 스테아린산 1.5
9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1.0
10 프로필렌글리콜 3.0
11 카르복시폴리머 0.1
12 트리에탄올아민 0.2
13 방부제 미량
14 색소 미량
15 향료 미량
16 정제수 잔량
제조예 3. 크림
상기 실시예 4에서 수득한 본 출원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이 함유된 크림을 하기 표 4와 같이 제조하였다.
함량 원 료 함량(중량%)
1 본 출원 3종 발효 혼합 추출물 10.0
2 스테아린산 2.0
3 세틸알콜 2.0
4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5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단모소스테아레이트 0.5
6 솔비단세스퀴올레이트 0.5
7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1.0
8 왁스 1.0
9 유동파라핀스 4.0
10 스쿠알란 4.0
11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1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13 부틸렌글리콜 5.0
14 글리세린 3.0
15 트리에탄올아민 0.5
16 정제수 잔량
제조예 4. 에센스
상기 실시예 4에서 수득한 본 출원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이 함유된 에센스를 하기 표 5와 같이 제조하였다.
함량 원 료 함량(중량%)
1 본 출원 3종 발효 혼합 추출물 10.0
2 시토 스테롤 1.7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
4 세라마이드 0.7
5 스테아레스-4 1.2
6 콜레스테롤 1.5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8 농글리세린 5.0
9 마카다미아 오일 15.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11 산탄검 0.2
12 방부제 미량
13 향료 미량
14 정제수 잔량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출원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출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 콩, 보리, 감자의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은 피부 내 수분 함량을 증가시키고 항염 및 항알러지 효능이 뛰어나므로 화장료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a) 콩에 물을 혼합하여 수세 후 도기에서 가압 멸균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콩을 Lactobacillus 속 유산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발효물을 정제수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와;
    b) 보리에 물을 혼합하여 수세 후 도기에서 가압 멸균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보리를 Saccharomyces 속 효모균주를 접종하고 발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발효물을 정제수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와;
    c) 감자의 표면을 세척 후 껍질, 과육 부분을 homogenizer를 이용하여 습식 분쇄하고 멸균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감자를 Lactobacillus속 유산균주를 접종하고 발효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발효물을 정제수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와;
    상기 각 a)~c) 단계에서 얻은 3종의 식품 원료 발효 추출물을 1:1:1의 중량비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 항염 및 항알러지 기능성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2. 제 1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3종 발효 혼합 추출물.
  3. 제 2항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보습, 항염 및 항알러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로션, 크림 및 에센스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이 특징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057655A 2018-05-21 2018-05-21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항염 및 항알러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29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655A KR102029585B1 (ko) 2018-05-21 2018-05-21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항염 및 항알러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655A KR102029585B1 (ko) 2018-05-21 2018-05-21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항염 및 항알러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585B1 true KR102029585B1 (ko) 2019-10-08

Family

ID=68208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655A KR102029585B1 (ko) 2018-05-21 2018-05-21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항염 및 항알러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5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6374A (ko) * 2004-01-20 2005-07-26 김수남 아토피와 항알러지 및 장내유해세균의 암모니아 생산을저해하는 활성을 갖는 두류 유산균 발효물을 함유한기능성 제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44607A (ko) * 2014-10-02 2016-04-26 샘표식품 주식회사 콩 및 보리의 발효복합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JP6013670B1 (ja) * 2014-12-09 2016-10-25 株式会社日本自然発酵 老化抑制剤
KR20170025089A (ko) * 2015-08-27 2017-03-08 주식회사 글루칸 보리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변비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6374A (ko) * 2004-01-20 2005-07-26 김수남 아토피와 항알러지 및 장내유해세균의 암모니아 생산을저해하는 활성을 갖는 두류 유산균 발효물을 함유한기능성 제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44607A (ko) * 2014-10-02 2016-04-26 샘표식품 주식회사 콩 및 보리의 발효복합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JP6013670B1 (ja) * 2014-12-09 2016-10-25 株式会社日本自然発酵 老化抑制剤
KR20170025089A (ko) * 2015-08-27 2017-03-08 주식회사 글루칸 보리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변비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74237B1 (en) Equol-containing fermentation product of soybean embryonic axis,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KR100962587B1 (ko) 천연 식물소재 및 한약재의 발효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서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화장품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101492003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보습 효능을 갖는 신규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hy7714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101746415B1 (ko) 유색미 미강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1423573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66320B1 (ko)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
KR101685581B1 (ko) 와송을 포함하는 천연유래물질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2006708B1 (ko) 산양삼을 이용한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KR101914344B1 (ko) 발효보리, 발효배즙, 발효콩 및 발효석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력과 주름 개선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92569A (ko) 효모, 유산균 2단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주름개선,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92564A (ko) 효모,유산균 2단 발효 용해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주름개선,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14345B1 (ko) 발효콩, 발효쌀, 발효감자, 발효인삼 및 발효율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력과 미백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963A (ko) 씀바귀, 선복화 및 민들레를 유산균으로 발효한 항염활성, 피부개선에 유용한 발효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908977B1 (ko) 렌즈콩, 캐럽콩, 연꽃씨 및 퀴노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 수축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14498B1 (ko) 유칼립투스 잎과 붉은토끼풀 잎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25737A (ko) 산성 이온수를 이용한 새싹 발효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로써 얻어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9585B1 (ko) 3종 발효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항염 및 항알러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44966A (ko) 항산화 조성물
KR20150139679A (ko) 콩 발효액으로 발효시킨 한방약재 추출물을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100101257A (ko) 자외선 차단, 항염증, 항산화 및 항노화 조성물
KR100534074B1 (ko) 곡류 추출물 및 곡류발아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화장품
KR102247966B1 (ko) 녹두씨, 만주자작나무수액 및 소리쟁이뿌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05517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2098695B1 (ko) 뽕나무뿌리와 모란뿌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7170A (ko) 닥나무 또는 그 추출물의 발효방법, 그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