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028B1 - 직류 모터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직류 모터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028B1
KR102029028B1 KR1020170081341A KR20170081341A KR102029028B1 KR 102029028 B1 KR102029028 B1 KR 102029028B1 KR 1020170081341 A KR1020170081341 A KR 1020170081341A KR 20170081341 A KR20170081341 A KR 20170081341A KR 102029028 B1 KR102029028 B1 KR 102029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or
motor
ground
fet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405A (ko
Inventor
안선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엠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엠씨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엠씨에스
Priority to KR1020170081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028B1/ko
Publication of KR20190001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7/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 H02P7/03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DC motors
    • H02P7/04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DC motors by means of a H-bridge circ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8Electric sensors
    • B60Y2400/3084Electric currents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류 모터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FET 소자 4개를 브릿지 형태로 모터 구동부를 구성하여 종래 마그네트 콘택터가 불필요하게 되고, 전, 후진 부하 저항에 흐르는 전류로 언덕인지 여부를 감지하여 언덕에 올라갈 때 뒤로 밀리지 않게 바로 제어 가능하며, 페달의 악셀값에 맞추어 PWM의 평균값을 조절하여 속도 유지 등이 가능하게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직류 모터 컨트롤러{DC MOTOR CONTROLLER}
본 발명은 모터용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 휠체어 등 전기차의 구동에 사용되는 직류 모터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전동 휠체어, 전기 스쿠터, 농용/산업용 전동 운반차, 전동 범퍼카, 무인 운반차는 물론 전기로 구동되는 일체의 전기차 등(이하, 전기차라 함)에는 직류 모터 컨트롤러가 사용된다.
종래 직류 모터 컨트롤러에는 전/후진을 위해 마그네트 콘택터가 사용되어 제조 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언덕에 올라갈 때 바로 제어하기 어려워 뒤로 밀리는 문제점 등이 있어 왔다.
본 출원인은 한국등록특허 제10-0325254호(전기차 구동모터 제어시스템) 및 제10-1487886호(교류 모터 구동방식의 지게차 제어 장치)를 개발하여 상용화한 것에 힘입어, 상기 종래 직류 모터 컨트롤러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본 발명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직류 모터 컨트롤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풀-브릿지 방식으로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마그네트 콘택터가 불필요하게 되고, 언덕에 올라갈 때 뒤로 밀리지 않게 바로 제어 가능한 직류 모터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직류 모터 컨트롤러는 중앙처리부, 전원공급부 및 모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직류 모터의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모터 구동부는 상기 직류 모터를 사이에 두고 4개의 FET 소자가 브릿지 형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4개의 FET 소자는 전원 공급단과 접지 사이에 상기 전원 공급단부터 전진 Top상 FET 소자, 후진 Low상 FET 소자 및 후진 부하 저항이 순차로 연결되고, 상기 전원 공급단과 접지 사이에 별도로 상기 전원 공급단부터 후진 Top상 FET 소자, 전진 Low상 FET 소자 및 전진 부하 저항이 순차로 연결되고, 상기 직류 모터는 상기 전진 Top상 FET 소자와 상기 후진 Low상 FET 소자 사이의 제 1 접점과 상기 후진 Top상 FET 소자와 상기 전진 Low상 FET 소자 사이의 제 2 접점에 각각 +극과 -극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전원공급부로 구동되는 디지털 신호 제어부와 상기 4개의 FET 소자의 각 게이트에 제어신호를 보내기 위한 구동파형 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파형 발생부의 제 1 출력단과 상기 전진 Top상 FET 소자의 게이트 사이에는 제 1 저항이 연결되고, 상기 구동파형 발생부의 제 2 출력단과 상기 제 1 접점 사이의 연결선을 공통 접지선으로 하여 상기 제 1 저항의 양단에 제 1 제너 다이오드와 제 2 저항이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파형 발생부의 제 3 출력단과 상기 후진 Low상 FET 소자의 게이트 사이에는 제 3 저항이 연결되고, 상기 제 3 저항의 양단과 접지 사이에 제 2 제너 다이오드와 제 4 저항이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파형 발생부의 제 4 출력단과 상기 후진 Top상 FET 소자의 게이트 사이에는 제 5 저항이 연결되고, 상기 구동파형 발생부의 제 5 출력단과 상기 제 2 접점 사이의 연결선을 공통 접지선으로 하여 상기 제 5 저항의 양단에 제 3 제너 다이오드와 제 6 저항이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파형 발생부의 제 6 출력단과 상기 전진 Low상 FET 소자의 게이트 사이에는 제 7 저항이 연결되고, 상기 제 7 저항의 양단과 접지 사이에 제 4 제너 다이오드와 제 8 저항이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접점과 상기 +극의 연결선과 접지 사이에 제 1 커패시터, 상기 제 2 접점과 상기 -극의 연결선과 접지 사이에 제 2 커패시터가 각각 연결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직류 모터 컨트롤러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전원공급부로 구동되는 ACCEL 입력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제어부는 전진 또는 후진 주행시 상기 ACCEL 입력 검출부로 검출되는 악셀값을 상기 구동파형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PWM 제어신호 펄스의 평균값과 비교하여, PWM의 평균값이 악셀값보다 작으면 PWM의 펄스 폭을 증가시키고, PWM의 평균값이 악셀값보다 크면 PWM의 펄스 폭을 감소시켜, PWM의 평균값이 악셀값과 같게 제어하는 것을 본 발명에 의한 직류 모터 컨트롤러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전원공급부로 구동되는 배터리 잔량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제어부는 전기차의 키가 온(on) 되어 시스템을 초기화하는 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ACCEL 입력 검출부로부터 악셀의 전압신호를 받아 악셀이 온(on)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악셀이 온(on)이 되었으면 전단계로 돌아가 출발하지 않고, 온(on)이 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충전기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충전기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는 상기 배터리 잔량 검출부를 통해 배터리 잔량이 허용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허용 범위 내에 있을 때에만 다음 단계를 진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본 발명에 의한 직류 모터 컨트롤러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전원공급부로 구동되는 조작 스위치 입력부, 에러표시부, EMB 구동부 및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제어부는 상기 조작 스위치 입력부로부터 브레이크 스위치가 온(on)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브레이크 스위치가 오프(off) 되었을 때 전진 또는 후진 스위치가 온(on)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조작 스위치 입력부로부터 전진 스위치가 온(on)이 되어 전진 주행 중에 상기 ACCEL 입력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악셀값으로 PWM의 평균값과 비교하여 속도를 유지하고, 상기 전진 주행 중에 에러 검출시 상기 에러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저장부에 에러 이력을 저장하고, 상기 구동파형 발생부로부터 PWM의 평균값을 감소시켜 0이 될 때 상기 EMB 구동부를 통해 EMB를 오프(off)시켜 상기 직류 모터의 구동을 멈춘 다음, 상기 에러가 허용 가능한 중립 에러인지 판단하고 허용가능한 에러이면 상기 조작 스위치 입력부로부터 주행 조건인지 판단하고, 주행 조건이라면 상기 배터리 잔량 검출부를 통해 배터리 잔량이 허용 범위 내에 있을 때 진행하는 단계로 되돌아 가도록 제어하는 것을 본 발명에 의한 직류 모터 컨트롤러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직류 모터의 전류를 감지하는 모터 전류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전류 검출부는 제 1, 2 연산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후진 부하 저항과 접지 사이에 제 3 커패시터, 상기 전진 부하 저항과 접지 사이에 제 4 커패시터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후진 부하 저항과 상기 제 3 커패시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연산증폭기의 비 반전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연산증폭기의 비 반전단자와 접지 사이에는 제 9 저항이, 상기 제 1 연산증폭기의 반전단자와 접지 사이에는 제 10 저항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 1 연산증폭기의 출력단과 반전단자 사이에는 제 11 저항과 제 5 커패시터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전진 부하 저항과 상기 제 4 커패시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연산증폭기의 비 반전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연산증폭기의 비 반전단자와 접지 사이에는 제 12 저항이, 상기 제 2 연산증폭기의 반전단자와 접지 사이에는 제 13 저항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 2 연산증폭기의 출력단과 반전단자 사이에는 제 14 저항과 제 6 커패시터가 병렬로 연결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직류 모터 컨트롤러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제 1 연산증폭기의 출력단의 출력값을 상기 후진 부하 저항에 흐르는 전류로, 상기 제 2 연산증폭기의 출력단의 출력값을 상기 전진 부하 저항에 흐르는 전류로 각각 감지하여 상기 모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본 발명에 의한 직류 모터 컨트롤러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직류 모터 컨트롤러는 FET 소자 4개를 브릿지 형태로 모터 구동부를 구성하여 종래 마그네트 콘택터가 불필요하게 되고, 전, 후진 부하 저항에 흐르는 전류로 언덕인지 여부를 감지하여 언덕에 올라갈 때 뒤로 밀리지 않게 바로 제어 가능하며, 페달의 악셀값에 맞추어 PWM의 평균값을 조절하여 속도 유지 등이 가능하게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류 모터 컨트롤러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모터 구동부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구동파형 발생부, 모터 구동부 및 모터 전류 검출부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디지털 신호 제어부의 제어로 구동파형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PWM의 펄스 파형을 보여주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1의 디지털 신호 제어부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직류 모터 컨트롤러는, 도 1과 같이, 중앙처리부(100), 전원공급부(200) 및 모터 구동부(400)를 포함하여 직류 모터(DC MOTOR: M)를 동작시키는 컨트롤러로서, 상기 모터 구동부(400)는, 도 2와 같이, 상기 직류 모터(M)를 사이에 두고 4개의 FET 소자(Q1, Q2, Q3, Q4)가 브릿지 형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4개의 FET 소자는 배터리의 +단자에 연결되는 전원 공급단(B+)과 접지 사이에 상기 전원 공급단(B+)부터 전진 Top상 FET 소자(Q1), 후진 Low상 FET 소자(Q3) 및 후진 부하 저항(Rb)이 순차로 연결되고, 상기 전원 공급단(B+)과 접지 사이에 별도로 상기 전원 공급단(B+)부터 후진 Top상 FET 소자(Q2), 전진 Low상 FET 소자(Q4) 및 전진 부하 저항(Rf)이 순차로 연결되고, 상기 직류 모터(M)는 상기 전진 Top상 FET 소자(Q1)와 상기 후진 Low상 FET 소자(Q3) 사이의 제 1 접점(n1)과 상기 후진 Top상 FET 소자(Q2)와 상기 전진 Low상 FET 소자(Q4) 사이의 제 2 접점(n2)에 각각 +극과 -극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4개의 FET 소자(Q1, Q2, Q3, Q4)는 채널이 모두 p형(p-type) 또는 n형과 p형이 혼합될 수도 있으나, 모두 n형으로 구성하고, 각 게이트에 인가되는 제어신호(s1, s2, s3, s4) 중 직류 모터(M)를 기준으로 할 때 사선 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한 FET 소자의 게이트에는 서로 같은 제어신호, 즉 s1=s4, s2=s3로 인가하고, 이 두 제어신호는, 도 4(b)와 도 4(c)와 같이, 서로 반대 위상을 가진 것을 인가하여 동작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모터 구동부(400)가 도 2의 실시 예와 같이 구성되고, 전진 Top상 FET 소자(Q1)와 전진 Low상 FET 소자(Q4)의 각 게이트에 인가되는 제어신호 s1과 s4는 도 4(b)와 같은 파형이 인가되고, 후진 Top상 FET 소자(Q2)와 후진 Low상 FET 소자(Q3)의 각 게이트에 인가되는 제어신호 s2와 s3는 도 4(c)와 같은 파형이 인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진 Top상 FET 소자(Q1)와 전진 Low상 FET 소자(Q4)는 동시에 턴온(turn on)되고, 이때 도 2의 일점 쇄선을 따라 직류 모터(M)를 거쳐 전진 부하 저항(Rf)에 전류(If)가 흐르며, 직류 모터(M)는 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력을 얻게 된다.
한편, 후진 Top상 FET 소자(Q2)와 후진 Low상 FET 소자(Q3)도, 상기 전진 Top상 FET 소자(Q1)와 전진 Low상 FET 소자(Q4)가 턴오프(turn off)될 때, 동시에 턴온(turn on)되므로, 이 경우엔 도 2의 점선을 따라 직류 모터(M)를 거쳐 후진 부하 저항(Rb)에 전류(Ib)가 흐르며, 직류 모터(M)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력을 얻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 예에 의하여 직류 모터(M)를 통해 전진 부하 저항(Rf)에 흐르는 전류(If)와 후진 부하 저항(Rb)에 흐르는 전류(Ib)를 중앙처리부(100)에서 감지함으로써, 언덕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모터 구동부(40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중앙처리부(100)에서 전진 부하 저항(Rf)에 흐르는 전류(If)와 후진 부하 저항(Rb)에 흐르는 전류(Ib)를 비교하여, 양자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클 경우 언덕으로 판단할 수 있다. 언덕으로 인식하는 전류는 10~90A로 설정할 수 있다고 하고, 사용자가 10A(최저 허용범위)로 설정할 경우엔 언덕 올라갈 때 10A 초과 되는 값에서 후진으로 밀리는 것을 감지할 경우, 중앙처리부(100)에서 도 4(a)의 펄스 폭인 Duty Cycle을 96% 쪽으로 PMW(Pulse Width Modulation)의 평균값(Average Voltage)을 올려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중앙처리부(100)에서 전진 부하 저항(Rf)에 흐르는 전류(If)와 후진 부하 저항(Rb)에 흐르는 전류(Ib)를 감지하기 위한 회로 구성은 다양할 수 있으나, 도 3의 점선 부분과 같이 제 1, 2 연산증폭기(OP1, OP2)를 포함한 모터 전류 검출부(34)로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후진 부하 저항(Rb)과 접지 사이에 제 3 커패시터(C3), 상기 전진 부하 저항(Rf)과 접지 사이에 제 4 커패시터(C4)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후진 부하 저항(Rb)과 상기 제 3 커패시터(C3)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연산증폭기(OP1)의 비 반전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연산증폭기(OP1)의 비 반전단자(+)와 접지 사이에는 제 9 저항(R9)이, 상기 제 1 연산증폭기(OP1)의 반전단자(-)와 접지 사이에는 제 10 저항(R10)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 1 연산증폭기(OP1)의 출력단(560)과 반전단자(-) 사이에는 제 11 저항(R11)과 제 5 커패시터(C5)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진 부하 저항(Rf)과 상기 제 4 커패시터(C4)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연산증폭기(OP2)의 비 반전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연산증폭기(OP2)의 비 반전단자(+)와 접지 사이에는 제 12 저항(R12)이, 상기 제 2 연산증폭기(OP2)의 반전단자(-)와 접지 사이에는 제 13 저항(R13)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 2 연산증폭기(OP2)의 출력단(550)과 반전단자(-) 사이에는 제 14 저항(R14)과 제 6 커패시터(C6)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직류 모터(M)의 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모터 전류 검출부(34)를, 도 3의 점선 부분과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할 경우, 상기 중앙처리부(100)는 상기 제 1 연산증폭기(OP1)의 출력단(560)의 출력값을 상기 후진 부하 저항(Rb)에 흐르는 전류(Ib)로, 상기 제 2 연산증폭기(OP2)의 출력단(550)의 출력값을 상기 전진 부하 저항(Rf)에 흐르는 전류(If)로 각각 감지하여 상기 모터 구동부(40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중앙처리부(1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전원공급부(200)로 구동되는 디지털 신호 제어부(20)와 상기 4개의 FET 소자(Q1, Q2, Q3, Q4)의 각 게이트에 제어신호(s1, s2, s3, s4)를 보내기 위한 구동파형 발생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 구동부(400)는 도 3을 참조하여 아래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파형 발생부(32)의 제 1 출력단(1)과 상기 전진 Top상 FET 소자(Q1)의 게이트 사이에는 제 1 저항(R1)이 연결되고, 상기 구동파형 발생부(32)의 제 2 출력단(2)과 상기 제 1 접점(n1) 사이의 연결선을 공통 접지선으로 하여 상기 제 1 저항(R1)의 양단에 제 1 제너 다이오드(D1)와 제 2 저항(R2)이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파형 발생부(32)의 제 3 출력단(3)과 상기 후진 Low상 FET 소자(Q3)의 게이트 사이에는 제 3 저항(R3)이 연결되고, 상기 제 3 저항(R3)의 양단과 접지 사이에 제 2 제너 다이오드(D2)와 제 4 저항(R4)이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파형 발생부(32)의 제 4 출력단(4)과 상기 후진 Top상 FET 소자(Q2)의 게이트 사이에는 제 5 저항(R5)이 연결되고, 상기 구동파형 발생부(32)의 제 5 출력단(5)과 상기 제 2 접점(n2) 사이의 연결선을 공통 접지선으로 하여 상기 제 5 저항(R5)의 양단에 제 3 제너 다이오드(D3)와 제 6 저항(R6)이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파형 발생부(32)의 제 6 출력단(6)과 상기 전진 Low상 FET 소자(G4)의 게이트 사이에는 제 7 저항(R7)이 연결되고, 상기 제 7 저항(R7)의 양단과 접지 사이에 제 4 제너 다이오드(D4)와 제 8 저항(R8)이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접점(n1)과 상기 직류 모터(M)의 +극의 연결선과 접지 사이에 제 1 커패시터(C1), 상기 제 2 접점(n2)과 상기 직류 모터(M)의 -극의 연결선과 접지 사이에 제 2 커패시터(C2)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서 직류 모터(M)를 중심으로 대칭적 위치에 있는 소자들은 서로 같은 전기적 특성을 가진 소자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1=R5, R2=R6, D1=D3, C1=C2 등이다. 제 1 연산증폭기(OP1)와 제 2 연산증폭기(OP2)에 연결된 소자들도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서 같은 전기적 특성을 가진 것일 수 있다. 즉, C3=C4, R9=R12, R10=R13, C5=C6 일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서 BB+는 전진 Top상 FET 소자(Q1)와 후진 Top상 FET 소자(Q2)의 각 드레인에 공급되는 직류 모터(M)의 전원 공급단, 즉 배터리 +극을 말하고, +12 ~ +48V일 수 있다. 도면부호 510은 전진 측 단자(시계방향 구동)를, 520은 후진 측 단자(반 시계방향 구동)를 각각 나타내고, 530은 전진 부하 저항(Rf)에 흐르는 전류(If)를 확인하는 단자를, 540은 후진 부하 저항(Rb)에 흐르는 전류(Ib)를 확인하는 단자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도 3은 모터 구동부(400)에서 모터 전류 검출부(34)로 적절한 전류 검출을 위해, 후진 Low상 FET 소자(Q3)과 전진 Low상 FET 소자(Q4)의 각 소스와 접지 사이에 각각 소정의 부하 저항(Rb1, Rb2, Rf1, Rf2)이 병렬로 더 연결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4는 도 1의 디지털 신호 제어부(20)의 제어로 구동파형 발생부(32)에서 발생되는 PWM의 펄스 파형을 보여주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4(a)는 PWM의 펄스 폭인 Duty Cycle을 0에서 거의 100%에 가까운 96%까지 올리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도 4(a)에서 75% Duty Cycle로 인가될 경우이고, 도 4(c)는 도 4(b)의 역 상으로 25% Duty Cycle로 신호가 인가될 경우를 보여준다.
상기 디지털 신호 제어부(20)는 구동파형 발생부(32)에서 발생되는 PWM 제어신호 펄스 폭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 직류 모터(M)에 인가되는 구동력(power)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며, 상기 디지털 신호 제어부(20)로 직류 모터(M)를 제어하는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 예로, 상기 중앙처리부(100)는, 도 1과 같이, 상기 전원공급부(200)로 구동되는 ACCEL 입력 검출부(13)를 더 포함하고, 도 6 및 도 7에 공통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지털 신호 제어부(20)는 전진 또는 후진 주행시 상기 ACCEL 입력 검출부(13)로 검출되는 악셀값을 상기 구동파형 발생부(32)에서 발생하는 PWM 제어신호 펄스의 평균값과 비교하여(S220, S222 참조), PWM의 평균값(예컨대, 도 4(a)의 75% Duty Cycle의 Average Voltage)이 악셀값보다 작으면 PWM의 펄스 폭을 증가시키고(도 4(a)의 96% Duty Cycle 쪽으로, S223, S227 참조), PWM의 평균값(75% Duty Cycle의 Average Voltage)이 악셀값보다 크면 PWM의 펄스 폭을 감소시켜(25% Duty Cycle 쪽으로, S221, S225 참조), PWM의 평균값이 악셀값과 같게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악셀값은 악셀 페달(Accel Pedal)을 밟았을 때 선택되는 악셀 전압으로, 0 ~ +5V 범위 내에서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ACCEL 입력 검출부(13)는 악셀 페달의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악셀 전압 범위 내에서 악셀값을 읽게 된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중앙처리부(100)는, 도 1과 같이, 상기 전원공급부(200)로 구동되는 배터리 잔량 검출부(12)를 더 포함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지털 신호 제어부(20)는 전기차의 키(Key)가 온(on) 되어(S100) 시스템을 초기화하는 단계(S110)를 거친 다음, 상기 ACCEL 입력 검출부(13)로부터 악셀의 전압신호(악셀값)를 받아 악셀이 온(on)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20) 악셀이 온(on)이 되었으면 전단계로 돌아가 출발하지 않고, 온(on)이 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충전기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S130), 충전기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는 상기 배터리 잔량 검출부(12)를 통해 배터리 잔량이 허용 범위(예컨대, 16 ~ 32V)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40) 허용 범위 내에 있을 때에만 다음 단계를 진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허용 범위에 있지 않을 경우에는 다음 단계 진행 없이 동작을 멈추게 할 수 있다(STOP).
상기 허용 범위에 있을 경우에는 주행동작 제어 단계(S140 후속 단계)로 진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중앙처리부(100)는, 도 1과 같이, 상기 전원공급부(200)로 구동되는 조작 스위치 입력부(11), 에러표시부(31), EMB 구동부(33) 및 저장부(3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지털 신호 제어부(20)는, 상기 주행동작 제어 단계로, 도 5와 같이,상기 조작 스위치 입력부(11)로부터 브레이크 스위치가 온(on)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60) 브레이크 스위치가 오프(off) 되었을 때 전진 또는 후진 스위치가 온(on)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70, S180).
이후, 전진 스위치가 온(on) 되었는지(도 6 참조), 후진 스위치가 온(on) 되었는지(도 7 참조)에 따라 나누어 제어되나, 서로 같은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전진 스위치가 온(on) 되었을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조작 스위치 입력부(11)로부터 전진 스위치가 온(on)이 되어 전진 주행 중에(S210) 상기 ACCEL 입력 검출부(13)에서 검출되는 악셀값으로 PWM의 평균값과 비교하여(S220) 속도를 유지한다(S230). PWM의 평균값과 비교하여(S220) PWM 증가(평균값의 증가)하거나(S221) PWM 감소(평균값의 감소)하는(S223) 제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전진 주행 중에 에러 검출시(S240) 상기 에러표시부(31)에 표시하고, 도 8과 같이, 상기 저장부(35)에 에러 이력을 저장하고(S310), 상기 구동파형 발생부(32)로부터 PWM의 평균값을 감소시켜(S320) 0이 될 때(S330), 상기 EMB 구동부(33)를 통해 EMB(Electro-Magnetic Brake)를 오프(off)시켜(S340) 상기 직류 모터(M)의 구동을 멈춘 다음, 상기 에러가 허용 가능한 중립 에러인지 판단하고(S350), 허용가능한 에러이면 상기 조작 스위치 입력부(11)로부터 주행 조건인지 판단하고(S360), 주행 조건이라면 상기 배터리 잔량 검출부(12)를 통해 배터리 잔량이 허용 범위 내에 있을 때 진행하는 단계, 즉 상기 주행동작 제어 단계로 되돌아 가고, 허용 불가능한 에러라면 시스템을 오프시켜 주행을 완전히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중립 에러인지 여부는 사용자가 미리 발생 될 에러를 분류하여 상기 저장부(35)에 저장해 두었다가 이를 활용하게 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미설명된 제어, 즉 방열판의 온도 체크(S150) 및 EMB 정상 여부 체크(S200)를 위해, 상기 중앙처리부(100)는, 도 1과 같이, EMB 검출부(14)와 온도 검출부(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열판은 직류 모터(M)를 구동하는 4개의 FET 소자(Q1, Q2, Q3, Q4)의 동작 열을 식히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도 1의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중앙처리부(100)에는 상기 디지털 신호 제어부(20)의 유/무선 통신을 위해 통신부(16)가 더 구비되고, 전원공급부(200)와 모터 구동부(400) 사이에는 직류 모터(M)를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로 보조 전원 공급부(300)를 더 둘 수 있다.
11: 조작 스위치 입력부 12: 배터리 잔량 검출부
13: ACCEL 입력 검출부 14: EMB 검출부
15: 온도 검출부 16: 통신부
20: 디지털 신호 제어부 31: 에러표시부
32: 구동파형 발생부 33: EMB 구동부
34: 모터 전류 검출부 35: 저장부
100: 중앙처리부 200: 전원공급부
300: 보조 전원 공급부 400: 모터 구동부

Claims (7)

  1. 중앙처리부, 전원공급부 및 모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직류 모터의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모터 구동부는 상기 직류 모터를 사이에 두고 4개의 FET 소자가 브릿지 형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4개의 FET 소자는 전원 공급단과 접지 사이에 상기 전원 공급단부터 전진 Top상 FET 소자, 후진 Low상 FET 소자 및 후진 부하 저항이 순차로 연결되고, 상기 전원 공급단과 접지 사이에 별도로 상기 전원 공급단부터 후진 Top상 FET 소자, 전진 Low상 FET 소자 및 전진 부하 저항이 순차로 연결되고,
    상기 직류 모터는 상기 전진 Top상 FET 소자와 상기 후진 Low상 FET 소자 사이의 제 1 접점과 상기 후진 Top상 FET 소자와 상기 전진 Low상 FET 소자 사이의 제 2 접점에 각각 +극과 -극이 연결되되,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전원공급부로 구동되는 디지털 신호 제어부, ACCEL 입력 검출부, 배터리 잔량 검출부, 조작 스위치 입력부, 에러표시부, EMB 구동부 및 저장부와 상기 4개의 FET 소자의 각 게이트에 제어신호를 보내기 위한 구동파형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제어부는 상기 조작 스위치 입력부로부터 브레이크 스위치가 온(on)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브레이크 스위치가 오프(off) 되었을 때 전진 또는 후진 스위치가 온(on)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조작 스위치 입력부로부터 전진 스위치가 온(on)이 되어 전진 주행 중에 상기 ACCEL 입력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악셀값으로 상기 구동파형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PWM의 평균값과 비교하여 속도를 유지하고,
    상기 전진 주행 중에 에러 검출시 상기 에러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저장부에 에러 이력을 저장하고, 상기 구동파형 발생부로부터 PWM의 평균값을 감소시켜 0이 될 때 상기 EMB 구동부를 통해 EMB를 오프(off)시켜 상기 직류 모터의 구동을 멈춘 다음, 상기 에러가 허용 가능한 중립 에러인지 판단하고 허용가능한 에러이면 상기 조작 스위치 입력부로부터 주행 조건인지 판단하고, 주행 조건이라면 상기 배터리 잔량 검출부를 통해 배터리 잔량이 허용 범위 내에 있을 때 상기 조작 스위치 입력부로부터 브레이크 스위치가 온(on)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 되돌아 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모터 컨트롤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파형 발생부의 제 1 출력단과 상기 전진 Top상 FET 소자의 게이트 사이에는 제 1 저항이 연결되고,
    상기 구동파형 발생부의 제 2 출력단과 상기 제 1 접점 사이의 연결선을 공통 접지선으로 하여 상기 제 1 저항의 양단에 제 1 제너 다이오드와 제 2 저항이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파형 발생부의 제 3 출력단과 상기 후진 Low상 FET 소자의 게이트 사이에는 제 3 저항이 연결되고,
    상기 제 3 저항의 양단과 접지 사이에 제 2 제너 다이오드와 제 4 저항이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파형 발생부의 제 4 출력단과 상기 후진 Top상 FET 소자의 게이트 사이에는 제 5 저항이 연결되고,
    상기 구동파형 발생부의 제 5 출력단과 상기 제 2 접점 사이의 연결선을 공통 접지선으로 하여 상기 제 5 저항의 양단에 제 3 제너 다이오드와 제 6 저항이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파형 발생부의 제 6 출력단과 상기 전진 Low상 FET 소자의 게이트 사이에는 제 7 저항이 연결되고,
    상기 제 7 저항의 양단과 접지 사이에 제 4 제너 다이오드와 제 8 저항이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접점과 상기 +극의 연결선과 접지 사이에 제 1 커패시터, 상기 제 2 접점과 상기 -극의 연결선과 접지 사이에 제 2 커패시터가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모터 컨트롤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제어부는 전진 또는 후진 주행시 상기 ACCEL 입력 검출부로 검출되는 악셀값을 상기 구동파형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PWM의 평균값과 비교하여, PWM의 평균값이 악셀값보다 작으면 PWM의 펄스 폭을 증가시키고, PWM의 평균값이 악셀값보다 크면 PWM의 펄스 폭을 감소시켜, PWM의 평균값이 악셀값과 같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모터 컨트롤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제어부는 전기차의 키가 온(on) 되어 시스템을 초기화하는 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ACCEL 입력 검출부로부터 악셀의 전압신호를 받아 악셀이 온(on)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악셀이 온(on)이 되었으면 전단계로 돌아가 출발하지 않고, 온(on)이 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충전기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충전기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는 상기 배터리 잔량 검출부를 통해 배터리 잔량이 허용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허용 범위 내에 있을 때에만 다음 단계를 진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모터 컨트롤러.
  5. 삭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직류 모터의 전류를 감지하는 모터 전류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전류 검출부는 제 1, 2 연산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후진 부하 저항과 접지 사이에 제 3 커패시터, 상기 전진 부하 저항과 접지 사이에 제 4 커패시터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 1 연산증폭기의 비 반전단자는 상기 후진 부하 저항과 상기 제 3 커패시터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연산증폭기의 비 반전단자와 접지 사이에는 제 9 저항이, 상기 제 1 연산증폭기의 반전단자와 접지 사이에는 제 10 저항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 1 연산증폭기의 출력단과 반전단자 사이에는 제 11 저항과 제 5 커패시터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연산증폭기의 비 반전단자는 상기 전진 부하 저항과 상기 제 4 커패시터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연산증폭기의 비 반전단자와 접지 사이에는 제 12 저항이, 상기 제 2 연산증폭기의 반전단자와 접지 사이에는 제 13 저항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 2 연산증폭기의 출력단과 반전단자 사이에는 제 14 저항과 제 6 커패시터가 병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모터 컨트롤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제 1 연산증폭기의 출력단의 출력값을 상기 후진 부하 저항에 흐르는 전류로, 상기 제 2 연산증폭기의 출력단의 출력값을 상기 전진 부하 저항에 흐르는 전류로 각각 감지하여 상기 모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모터 컨트롤러.
KR1020170081341A 2017-06-27 2017-06-27 직류 모터 컨트롤러 KR102029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341A KR102029028B1 (ko) 2017-06-27 2017-06-27 직류 모터 컨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341A KR102029028B1 (ko) 2017-06-27 2017-06-27 직류 모터 컨트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405A KR20190001405A (ko) 2019-01-04
KR102029028B1 true KR102029028B1 (ko) 2019-10-07

Family

ID=65017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341A KR102029028B1 (ko) 2017-06-27 2017-06-27 직류 모터 컨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02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5254B1 (ko) * 1999-12-16 2002-02-25 주식회사 디엠씨에스 전기차 구동모터 제어시스템
JP2005354873A (ja) * 2004-06-14 2005-12-22 Alps Electric Co Ltd モータ駆動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3517B1 (ko) * 1997-12-05 2001-01-15 정몽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중 시동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5254B1 (ko) * 1999-12-16 2002-02-25 주식회사 디엠씨에스 전기차 구동모터 제어시스템
JP2005354873A (ja) * 2004-06-14 2005-12-22 Alps Electric Co Ltd モータ駆動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405A (ko) 2019-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6124B2 (en) Power supply device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including power supply device
US6462506B2 (en) Electric golf car with low-speed regenerative braking
JP4177387B2 (ja) モータ制御装置
US9018876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JP2005518776A (ja) 複数の直流モータの制御及び電力供給のための順次パルス幅変調方法及び装置
CN100454743C (zh) 电力变换装置、配备电力变换装置的车辆及电力变换方法
KR102029028B1 (ko) 직류 모터 컨트롤러
US10173534B2 (en) Variable voltage converter control in vehicles
US20050274558A1 (en) Electric vehicle
US20170054405A1 (en)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motor
JP3859961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KR100209309B1 (ko) 전동지게차의 플러그 신호 감지장치 및 제동속도제어방법
CN110062890B (zh) 换向结构中的反向电流的检测方法和相关组件
KR100234807B1 (ko) 전동 지게차의 플라이백 다이오드의 상태검출 방법
JPS63255174A (ja) モ−タ駆動装置
JP3345915B2 (ja) バッテリ車の走行制御装置
JPH0755009B2 (ja) 電気車の走行用モ−タ制御装置
KR100752114B1 (ko) 전동 지게차의 제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S6260887B2 (ko)
JPH10271612A (ja) 電気駆動機械のコンタクタ駆動制御装置
KR20020077350A (ko) 저속 회생 제동을 갖는 전기 골프 차
KR100592532B1 (ko) 전동 지게차의 플러깅 거리 자동 조절장치
JPS63258269A (ja) モ−タ駆動装置
JP2004229380A (ja) 負荷電流検出装置
JPH09233888A (ja) 車両用電動モータ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