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613B1 - 아민 기능화 mof 기반 이산화탄소 흡착제 - Google Patents

아민 기능화 mof 기반 이산화탄소 흡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613B1
KR102028613B1 KR1020160137375A KR20160137375A KR102028613B1 KR 102028613 B1 KR102028613 B1 KR 102028613B1 KR 1020160137375 A KR1020160137375 A KR 1020160137375A KR 20160137375 A KR20160137375 A KR 20160137375A KR 102028613 B1 KR102028613 B1 KR 102028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bpdc
amine
adsorption
carbon dioxide
organic frame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7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3936A (ko
Inventor
홍창섭
조현아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37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613B1/ko
Publication of KR20180043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0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support or substrate used for impregnation or coating
    • B01J20/3206Organ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2Carbon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19/10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19/12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 B01J19/122Incoherent waves
    • B01J19/123Ultra-violet light
    • B01J19/124Ultra-violet light generated by microwave ir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23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containing metals, e.g. organo-metallic compounds, coordination comple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42Layers with a functional group, e.g. an affinity material, a ligand, a reactant or a complexing group
    • B01J20/3244Non-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3246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 well defined chemical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20Organic adsorbents
    • B01D2253/204Metal organic frameworks (M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50Carbon oxides
    • B01D2257/504Carbon dioxide
    • Y02C10/0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유기 골격체에 아민이 고밀도로 도입된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탄소 흡착제는 고밀도의 아민기가 다공성 금속-유기 골격체 내에 도입되어 흡착능과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탄소 흡착제는 실제 배가스에 포함된 저농도의 CO2를 포집하는데 적합하며, 고농도의 CO2가 존재하는 환경에서도 탈착이 우수하여 재사용이 용이하다.

Description

아민 기능화 MOF 기반 이산화탄소 흡착제{Amine-functionalized MOF-based CO2 adsorbents}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이산화탄소 흡착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제 유동층에서도 효과적으로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수 있는 아민 기능화 MOF 기반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CO2 배출량의 30-40%는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며, 배가스에서의 CO2 농도는 150 mbar이다. 가스와 고체 흡착제의 사이에서의 효과적인 흡착을 위한 유동층에서는 층의 바닥에서부터 흡착과정이 진행되고, 층의 윗부분에 도달하면 약 30 mbar까지 CO2의 농도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유동층에서 사용되는 고체 흡착제는 넓은 범위의 CO2 농도에서 흡착이 가능해야 한다.
또한, 흡착 과정 후, 흡착제는 재생기로 옮겨져 재활성화 되는데 기존의 흡착제들은 고농도 CO2 및 저온 환경에서 탈착과정이 잘 이뤄지지 않아 재사용에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저농도에서의 높은 흡착능 뿐만 아니라 고농도에서 탈착이 잘 이루어지는 흡착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고체 흡착제 중 금속-유기 골격체(MOF, metal-organic framework)는 큰 표면적을 갖고 있고, 기공을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어, CO2 포집을 위한 효과적인 흡착제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루이스산으로 작용하는 열린 금속 자리(open metal sites)를 이용했으며, 이것은 CO2 분자와의 강한 상호작용을 유발해 높은 CO2 포집능을 보여 주었다. 하지만 수분이 있는 환경에서 열린 금속 자리와 상호작용한 물분자는 제거하기가 힘들고, 이에 따라 CO2 포집능까지 감소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후-합성 변형(post-synthetic modification)을 통한 아민 기능화는 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유동층에서 저농도 CO2를 선택적으로 흡착할 뿐만 아니라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금속-유기 골격체에 고밀도의 아민을 도입시킬 수 있는 기술이 적용된 흡착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동시에, 배가스에는 H2O, SO2, O2 등과 같은 가스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 성분들에 대해 안정한 흡착제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0748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유기 골격체에 아민이 고밀도로 도입된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가스의 CO2를 포집하기 위해서 저농도에서 흡착능이 우수하며, 고농도의 CO2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탈착이 우수한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공성 금속-유기 골격체를 가열하여 활성화시키는 단계, 유기 용매에 용해된 다가 아민에 상기 활성화된 다공성 금속-유기 골격체를 침지시켜 현탁액을 형성하는 단계, 형성된 현탁액을 초음파(sonication) 처리하는 단계 및 초음파 처리된 현탁액을 마이크로파(microwave) 처리하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아민 기능화 이산화 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탄소 흡착제는 고밀도의 아민기가 다공성 금속-유기 골격체 내에 도입되어 흡착능과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탄소 흡착제는 실제 배가스에 포함된 저농도의 CO2를 포집하는데 적합하며, 고농도의 CO2가 존재하는 환경에서도 탈착이 우수하여 재사용이 용이하다.
도 1은 여러 아민 기능화 방법에 따라 제조된 en-Mg2(dobpdc)의 이산화탄소 흡착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는 15% CO2, 40℃ 조건 하에서 en-Mg2(dobpdc)의 흡착 TGA 곡선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아민-Mg2(dobpdc)의 흡착 등온선을 나타낸 그림이다 ((a) en-Mg2(dobpdc), (b) men-Mg2(dobpdc), (c) den-Mg2(dobpdc))(사각형:25 ℃, 원형: 40 ℃, 삼각형: 60 ℃, 역삼각형: 75 ℃, 다이아몬드형: 80 ℃, 별형: 100 ℃, 오각형: 120 ℃).
도 4는 en-Mg2(dobpdc), men-Mg2(dobpdc) 및 den-Mg2(dobpdc) 각각에 대한 40 ℃부터 200 ℃까지의 TGA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a) en-Mg2(dobpdc)의 3% CO2 흡착 곡선, (b) en-Mg2(dobpdc)의 100% CO2 흡착 곡선, (c) men-Mg2(dobpdc)의 3% CO2 흡착 곡선 (d) men-Mg2(dobpdc)의 100% CO2 흡착 곡선, (e) den-Mg2(dobpdc)의 3% CO2 흡착 곡선, (f) den-Mg2(dobpdc)의 100% CO2 흡착 곡선).
도 5는 men-Mg2(dobpdc)(왼쪽)와 den-Mg2(dobpdc)(오른쪽)의 흡탈착 싸이클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흡착조건: 40 ℃, 150 mbar CO2, 탈착조건: 200 ℃, 1 bar CO2(men), 120 ℃, 1 bar CO2(den)).
도 6은 den-Mg2(dobpdc)의 흡착(15% CO2, 5% O2, 75% N2),탈착 싸이클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SO2 가스에 노출 후 상대적인 CO2 흡착성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100% 상대습도에 시간별로 노출 후 상대적인 CO2 흡착량(왼쪽) 및 den-Mg2(dobpdc)의 수분이 있는 상태와 건조 상태에서 CO2 흡착량(오른쪽)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아민 기능화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아민 기능화 이산화 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다공성 금속-유기 골격체를 가열하여 활성화시키는 단계;
유기 용매에 용해된 다가 아민에 상기 활성화된 다공성 금속-유기 골격체를 침지시켜 현탁액을 형성하는 단계;
형성된 현탁액을 초음파(sonication) 처리하는 단계; 및
초음파 처리된 현탁액을 마이크로파(microwave) 처리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흡착제 제조방법은, 상기 다공성 금속-유기 골격체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이전에, H4dobpdc와 금속할라이드를 유기 용매 중에서 반응시켜 용매화된 금속-dobpdc 복합체로 구성된 다공성 금속-유기 골격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다공성 금속-유기 골격체를 가열하여 활성화시키는 경우에 금속-유기 골격체의 기공 속에 있는 분자들이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유기 골격체는 결정성 고체로서 다공성을 지니므로 기체 흡착에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다공성 금속-유기 골격체는 공동 쪽으로 고밀도의 열린 금속자리(open metal sites)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다공성 금속-유기 골격체는 M2(dobpdc)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금속 M은 Zn, Mg, Co, Fe, Ni 또는 Mn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Ni 또는 Mn이다. 또한, dobpdc는 4,4'-디옥시도-3,3'-비페닐디카복실레이트이다.
본 발명의 아민 기능화 이산화탄소 제조방법은, 유기 용매에 용해된 다가 아민에 상기 활성화된 다공성 금속-유기 골격체를 침지시켜 현탁액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금속-유기 골격체에 아민기를 도입함으로써 이산화탄소 흡착제가 낮은 농도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수 있다. 특히, 공기 중 이산화탄소 포집을 위해서는 다공성 금속-유기 골격체의 공동 안에 고밀도의 아민기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밀도의 아민기 도입을 통해 아민기와 CO2의 탄소 원자 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흡착엔탈피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아민 기능화는 상기 다공성 금속-유기 골격체의 열린 금속자리에 아민기가 그래프트됨으로써 달성되며, 열린 금속자리는 루이스 산(Lewis acid)으로 작용한다. 이 경우, 일차 아민기는 2개의 수소기를 포함함으로써 열린 금속자리에 잘 배위결합될 수 있다. 또한, 남아있는 자유 아민기는 공동으로 들어오는 CO2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가 아민은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의 아민기 말단을 가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세는, 상기 다가 아민은 양쪽 말단 각각에 1차 아민기를 포함할 수 있다. 양쪽 말단에 일차 아민기가 존재하는 다가 아민의 경우, 곁가지에 다양한 치환기의 도입이 가능하며, 저압 조건에서 이산화탄소 흡착은 1차 아민기를 통해, 이산화탄소 탈착은 곁가지를 통해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다가 아민에 존재하는 곁가지는, 다공성 금속-유기 골격체와 아민 간의 결합이 분해되는 것을 방해함으로써 흡착제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가 아민의 자유 아민기는 일차 아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가 아민은 하기 일반식 1로 표현될 수 있다.
[일반식 1]
Figure 112016102299813-pat00001
여기서, 상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H3일 수 있고, 상기 n은 0 내지 10의 정수일 수 있으며, 상기 m은 0 내지 10의 정수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다가 아민으로는 에틸렌디아민, 1-메틸에틸렌디아민 또는 1,1-디메틸에틸렌디아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민 기능화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제조방법은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 및 마이크로파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러한 초음파 처리 단계와 마이크로파 처리 단계가 연속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공성 금속-유기 골격체에 아민기를 도입하는 방법으로는, 교반 처리 방법, 환류 처리 방법, 초음파 처리 방법, 마이크로파 처리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초음파 처리 및 마이크로파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초음파 처리를 진행한 후에, 이어서 마이크로파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초음파 처리 및 마이크로파 처리 두 가지를 진행하는 경우에 금속 골격체의 기공 속으로 아민의 확산이 더욱 용이하기 때문이며, 이를 통해 다공성 금속-유기 골격체 내의 아민의 높은 점유율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는 50 ℃ 내지 70 ℃에서 2시간 내지 4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60 ℃에서 3시간 동안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파 처리하는 단계는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에 이어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80 ℃ 내지 100 ℃에서 4시간 내지 6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고, 90 ℃에서 5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탄소 흡착제는 아민-Mg2(dobpdc)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en-Mg2(dobpdc), men-Mg2(dobpdc) 또는 den-Mg2(dobpdc)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 아민 - Mg 2 ( dobpdc )]의 제조
H4dobpdc (24 mg, 0.088 mmol)와 MgBr2·6H2O (60 mg, 0.21 mmol)을 DMF:EtOH (1:1)의 혼합 용액 4 mL에 용해시킨 후 마이크로파 반응장치에서 130 ℃, 150 psi, 50 W의 조건으로 15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종결된 후, 생성된 흰색 파우더를 60 ℃에서 DMF, EtOH, MeOH 순으로 여러 번 반복하여 세정한 후 MeOH에 3일 동안 담궈두었다. 390 ℃ 및 진공 조건 하에서 10시간 동안 기공 속의 용매 분자를 제거하였으며, 공기 중에 노출되지 않도록 글로브 박스(glove box)에서 250 mL 쉬링크 플라스크(Schlenk flask)에 전처리된 시료 (100 mg, 0.31 mmol)를 옮겼다. 다른 쉬링크 플라스크에 정제된 톨루엔을 담고, 20 당량의 아민(에틸렌디아민(en), 1-메틸에틸렌디아민(men), 1,1-디메틸에틸렌디아민(den) 각각에 대해 별로도 수행)을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캐뉼라(cannula)를 이용해서 전처리된 시료에 옮겨 담았다. 용액과 시료가 있는 쉬링크 플라스크를 60 ℃에서 3시간 동안 초음파 처리한 후, 마이크로파 반응기에 넣고 90 ℃의 조건에서 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시료를 정제된 톨루엔으로 여러 번 씻고 끓는 점이 높은 톨루엔을 제거하기 위해 헥세인에 하루동안 담궈두었다.
이산화탄소 흡착 평가
상기 방법을 통해 제조된 아민-Mg2(dobpdc)의 이산화탄소 흡착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아민의 기능화 방법 및 CO2의 분압에 따른 이산화탄소 흡착량을 분석하였다. 도 1은 동일한 조건 하에서 교반 처리(stirring), 환류 처리(reflux), 초음파 처리(sonication), 마이크로파 조사(microwave irradiation) 및 초음파 처리-마이크로파 조사 방법만을 달리 적용하여 제조한 en-Mg2(dobpdc)의 이산화탄소 흡착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독의 방법으로 처리한 경우에 비해, 초음파 처리 방법과 마이크로파 처리 방법을 함께 사용했을 때 대략 19 wt%로 가장 높은 흡착량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우수한 이산화탄소 흡착능은 도 2의 TGA 그래프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60 ℃, 5시간 마이크로파 처리하는 경우에 가장 좋은 흡착능을 보여주었다. 또한, 원소분석 결과, 열린 금속 자리에 97.5%가 점유되는 것을 확인하여 고밀도로 아민 기능화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유율 수치는 기존에 널리 사용된 교반 처리 방법으로 제조한 흡착제 (아민 점유율 80%)보다 훨씬 높은 값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초음파 처리-마이크로파 처리 방법으로 men과 den을 아민 기능화시킨 경우에, 각각의 아민 점유율은 85%, 75%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아민의 곁가지 그룹의 존재로 인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도 3은 en, men, den-Mg2(dobpdc) 각각의 아민을 기능화시킨 흡착제에 대하여 나타낸 흡착 등온선으로, 1 bar에서 각각의 이산화탄소 흡착량은 4.61 mmol/g, 4.5 mmol/g, 3.15 mmol/g으로 아민의 곁가지 메틸 그룹에 의한 효과로 흡착량이 점점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배가스의 CO2를 포집 조건과 유사한 30 mbar 내지 150 mbar CO2 농도의 흡착량을 통해 본 발명의 흡착제가 배가스에 대해서도 우수한 성능을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흡착 등온선에서의 단계별 압력 변화를 통해 상-전이 흡착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중 den-Mg2(dobpdc)는 온도에 따른 그래프의 변화를 확실히 볼 수 있었다. en, men-Mg2(dobbdc)과 비교했을 때, den은 120 ℃, 1 bar CO2에서 흡착이 일어나지 않았으며, 작동 능력(working capacity)을 계산을 통해 den이 실제 배가스 흡착에서 가장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en, men-Mg2(dobpdc) 각각의 작동 능력은 < 0 wt%, 1.7 wt%로 den-Mg2(dobpdc)가 가장 우수한 흡착제임을 알 수 있었다(11 wt%).
작동 능력 평가
연소 후 CO2 포집을 위한 흡착제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절대적인 흡착량보다 작동 능력이 우수해야 하며, 이러한 작동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TGA 방법을 이용해 온도를 높이면서 CO2 조성을 달리하여(3%, 15%, 100%) 흡착의 패턴을 확인하였다. 도 3의 TGA 곡선으로부터 en, men-Mg2(dobpdc)는 넓은 범위의 CO2 압력에서 뛰어난 흡착능을 보이지만, 1 bar CO2 조건에서 200℃까지 도달해야만 흡착된 CO2가 제거되며 무게 감소가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den-Mg2(dobpdc)는 넓은 범위의 CO2 압력에서 흡착도 우수할 뿐만 아니라 1 bar CO2, 120 ℃ 조건 하에서도 흡착된 CO2가 제거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서 흡착 등온선 실험과 동일하게 TGA 곡선을 이용한 평가에서도 den-Mg2(dobpdc)이 가장 우수한 작동 능력을 보여주었다.
도 5는 CO2가 제거되는 탈착 온도에서 흡탈착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men-Mg2(dobpdc)는 첫 싸이클에서 높은 작동 능력(17.2 wt%)을 보여 주지만 높은 탈착 온도(200 ℃) 때문에 아민의 증발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den-Mg2(dobpdc)는 120 ℃의 탈착 온도에서 20 사이클 후에도 아민의 손실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12.2 wt%라는 높은 값을 보여 주었다. 기존에 보고된 흡착제 중 높은 흡착량을 보이는 HKUST-1 (11.6 wt%, 20 ℃), Mg-MOF-74 (20.6 wt%, 40 ℃), mmen-CuBTTri (9.5 wt%, 25 ℃). en-Mg2(dobpdc) (14.6 wt%, 40 ℃) 등은 7 wt% 이하의 낮은 작동 능력를 갖는다는 점을 미루어 볼 때, den-Mg2(dobpdc)는 이들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의 작동 능력 값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안정성 평가
실제 배가스 조건에서 물질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den-Mg2(dobpdc)을 대상으로 15% CO2, 5% O2, 75% N2 혼합가스에서 30 분 동안 흡착과정을 진행한 후 120 ℃, 100% CO2에서 탈착과정을 반복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첫 싸이클 후 12.2 wt%에 가까운 작동 전압을 보였으며 20 싸이클 이후에도 흡착 성능에 있어 아주 적은 수준의 감소만 있었다.
또한, 배가스는 산성 가스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SO2에 대한 안정성에 대해서도 평가하였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500 ppm SO2 가스에 0분 내지 120분의 시간만큼 노출 후 15% CO2에서 흡착과정을 평가하였다. men, den-Mg2(dobpdc)는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져도 약간의 흡착성능 감소만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en-Mg2(dobpdc)는 SO2 가스에 10분만 노출해도 원래 흡착량의 92%에만 도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또한, 아민의 곁가지 그룹이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CO2 흡착과정 중 수분은 유기-금속 골격체의 구조적 불안정성을 유발한다. 흡착제 후보물질로 되기 위해서는 수분에 노출되어 있어도 흡착능이 유지되어야 한다. 도 8의 왼쪽 그래프는 상대습도 100%에소 시료를 시간별로 노출 시킨 후 130℃에서 4시간 동안 Ar 환경에서 전처리하여 상대적인 흡착량을 나타낸 것이다. en-Mg2(dobpdc)는 6시간만 노출해도 원래 흡착량의 67%에만 도달하는 것을 알 수 있었지만 men, den-Mg2(dobpdc)는 12시간 노출 후에는 원래 흡착량의 7%만 감소하고 그 이후에는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메틸 그룹의 존재는 Mg과 아민 사이 결합을 분해하는 것을 방지한다고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오른쪽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den-Mg2(dobpdc)에 수분이 포함된 CO2 가스를 흘려주며 흡착 곡선을 나타냈을 때 21.1 wt%라는 높은 값에 도달할 수 있었으며 이는 건조 상태에서 보여주는 성능(14.8 wt%)보다 훨씬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다공성 금속-유기 골격체를 가열하여 활성화시키는 단계;
    유기 용매에 용해된 다가 아민에 상기 활성화된 다공성 금속-유기 골격체를 침지시켜 현탁액을 형성하는 단계;
    형성된 현탁액을 초음파(sonication) 처리하는 단계; 및
    초음파 처리된 현탁액을 마이크로파(microwave)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 및 마이크로파 처리하는 단계는 연속적으로 수행되며,
    상기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는 50 내지 70 ℃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수행되고, 상기 마이크로파 처리하는 단계는 80 내지 100 ℃에서 4 내지 6시간 동안 수행되고,
    상기 다가 아민은 에틸렌디아민, 1-메틸에틸렌디아민 또는 1,1-디메틸에틸렌디아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흡착제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금속-유기 골격체는 M2(dobpdc)로 구성되며, 여기서, 금속 M은 Zn, Mg, Co, Fe, Ni 또는 Mn이고, dobpdc는 4,4'-디옥시도-3,3'-비페닐디카복실레이트인, 이산화탄소 흡착제 제조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 1항 및 제 6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탄소 흡착제.
KR1020160137375A 2016-10-21 2016-10-21 아민 기능화 mof 기반 이산화탄소 흡착제 KR102028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375A KR102028613B1 (ko) 2016-10-21 2016-10-21 아민 기능화 mof 기반 이산화탄소 흡착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375A KR102028613B1 (ko) 2016-10-21 2016-10-21 아민 기능화 mof 기반 이산화탄소 흡착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936A KR20180043936A (ko) 2018-05-02
KR102028613B1 true KR102028613B1 (ko) 2019-10-04

Family

ID=62183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7375A KR102028613B1 (ko) 2016-10-21 2016-10-21 아민 기능화 mof 기반 이산화탄소 흡착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86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948B1 (ko) 2019-06-19 2021-07-13 한국과학기술원 이산화탄소 포집을 위한 구조화된 금속-유기 골격체 파이버 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394159A (zh) * 2019-08-09 2019-11-01 盐城工学院 一步法制备离子交换zif-8吸附剂的方法及其应用
KR102286472B1 (ko) 2019-09-25 2021-08-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화된 금속-유기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산화탄소의 선택적 분리방법
CN116603513B (zh) * 2023-06-12 2024-02-20 深碳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固态胺吸附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292B1 (ko) * 2013-03-08 2014-12-0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산화탄소 흡착제
KR20150007484A (ko) 2013-07-11 2015-01-2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아연-금속 유기 구조체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흡착제 및 에스터 교환 반응 불균일 촉매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 Green Chem., 2008, 10, 1131-1141*
Yichao Lin외 3인, Scientific reports 3:1859 (20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936A (ko) 2018-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u et al. Advances in post‐combustion CO2 capture by physical adsorption: from materials innovation to separation practice
Piscopo et al. Strategies to Enhance Carbon Dioxide Capture in Metal‐Organic Frameworks
Su et al. Postsynthetic functionalization of Mg-MOF-74 with tetraethylenepentamine: structural characterization and enhanced CO2 adsorption
Zhang et al. Enhancement of CO2 adsorption and CO2/N2 selectivity on ZIF‐8 via postsynthetic modification
KR101468292B1 (ko) 이산화탄소 흡착제
KR102028613B1 (ko) 아민 기능화 mof 기반 이산화탄소 흡착제
Loganathan et al. Amine tethered pore-expanded MCM-41 for CO2 capture: Experimental, isotherm and kinetic modeling studies
KR102217979B1 (ko) 결합제를 포함하는 아민 기능화 mof 기반의 이산화탄소 흡착제
KR101936493B1 (ko) 이산화탄소 포집용 금속-유기 골격체 유래 다공성 탄소 물질
US8227375B2 (en) Gas adsorption on metal-organic frameworks
JP6586366B2 (ja) 金属有機フレームワーク、その製造および使用
Kim et al. Amine-functionalized MIL-53 (Al) for CO2/N2 separation: Effect of textural properties
US11845058B2 (en) Cooperative chemical adsorption of acid gases in functionalized metal-organic frameworks
CN105233802B (zh) 一种掺杂l‑精氨酸的铜基金属有机骨架材料及其制备方法
WO2012134415A1 (en) Low cost immobilized amine regenerable solid sorbents
KR101707821B1 (ko) 마그네슘 금속-유기 골격체(Mg-MOF)의 제조 및 이의 아민 기능화
Luz et al. Flying MOFs: polyamine-containing fluidized MOF/SiO 2 hybrid materials for CO 2 capture from post-combustion flue gas
KR20190076891A (ko) 고분자 물질이 코팅된 아민 접지 mof 기반의 이산화탄소 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40273A (ko) 실내 공기 청정을 위한 흡착제, 탈취 필터 및 탈취 필터 제조방법
RU2576634C1 (ru) Адсорбент для улавливания, концентрирования и хранения диоксида углерода
KR20150069268A (ko) 메조다공성 이산화탄소 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16020B1 (ko) 활성탄소의 표면처리 방법
KR102276693B1 (ko) 소수성 실란이 코팅된 아민 접지 MOF/alumina 복합체 기반 이산화탄소 흡착제
KR101696395B1 (ko) 다이아민-제올라이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82482A (ko) 산성가스 제거용 흡착제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