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382B1 -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 - Google Patents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382B1
KR102027382B1 KR1020190005088A KR20190005088A KR102027382B1 KR 102027382 B1 KR102027382 B1 KR 102027382B1 KR 1020190005088 A KR1020190005088 A KR 1020190005088A KR 20190005088 A KR20190005088 A KR 20190005088A KR 102027382 B1 KR102027382 B1 KR 102027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protruding
inlet
filler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성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성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성기업
Priority to KR1020190005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3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 E04B1/61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with protrusions on the one frontal surface co-operating with recesses in the other frontal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은, 상호 평행하게 이격되는 한 쌍의 금속판; 상기 한 쌍의 금속판 사이에 채워지는 충진재; 상기 금속판의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결속부; 상기 금속판의 길이방향 타단으로부터 상기 충진재의 내측으로 인입되되, 상기 돌출결속부가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인입결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결속부는 상기 인입결속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열되었을 때 열팽창 하여 상기 인입결속부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본 발명에 의한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은, 두 개의 샌드위치 패널 연결부위에 고온의 열이 인가되더라도 연결부위를 통한 공기의 유출입이 차단되므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고, 연결부위의 구조적 강도가 높아지므로 내구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 {Flame-retardant sandwich panel}
본 발명은 샌드위치 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연결부위로 공기가 유입되지 아니하도록 연결부위 기밀성이 향상된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샌드위치 패널은 공장, 창고, 조립식 건축물 등의 건축물 벽면 시공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건축 자재이다.
이와 같은 샌드위치 패널은 글라스울(Glass Wool), 스티로폼(Styrofoam)과 같은 소재로 형성된 충진재 양면에 롤 포밍기(Roll forming machine)에서 다단계의 성형 과정을 거치면서 절곡 형성된 금속 판재를 일체로 접합 형성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서로 다른 두 개의 샌드위치 패널이 연결될 때에는 연결부위가 겹쳐지도록 결합되는데, 화재 등에 의해 열이 발생하는 경우 연결부위가 변형 및 분리되면서 해당 부위로 공기가 유입되어 연소가 증폭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재 발생 등과 같은 원인으로 고온의 열이 인가되었을 때 연결부위에 틈새가 발생하지 아니하도록 구성되는 '난연 샌드위치 패널'(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01198호)이 제안된바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난연 샌드위치 패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난연 샌드위치 패널의 조립구조를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종래의 난연 샌드위치 패널은, 이격된 금속판재(10)의 사이에 스티로폼(Styrofoam) 또는 폴리우레탄폼(Polyurethane Foam) 등과 같은 충전재(40)가 충전된 패널 몸체 중 상기 금속판재(10)의 일단에 돌기 형태의 변형 결속부(20)가 형성되고, 상기 금속판재(10)의 타단에 홈 형태로 형성된 결합 결속부(30)를 구비한다.
이때, 변형 결속부(20)는 이격된 금속판재(10)의 일단에 종 방향으로 연속 형성되고, 결합 결속부(30)는 이격된 금속판재(10)의 타단에 종 방향으로 연속 형성된다. 또한, 변형 결속부(20)는 외측 밀착부재(22), 연결부재(24) 및 내측 밀착부재(26)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결속부(30)는 외측 밀착면(32), 연결면(34) 및 내측 밀착면(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변형 결속부(20)는 두 개의 샌드위치 패널이 연결될 때 결합 결속부(30)의 내측으로 인입되며, 열이 인가되었을 때 접힌 부위가 펴지는 특성을 갖는 금속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 결속부(20)가 결합 결속부(30)의 내측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화재 등의 이유로 고온의 열이 인가되었을 때, 상기 변형 결속부(20)는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힌 부위가 펴지면서 결합 결속부(30)에 밀착된다. 즉, 상기 변형 결속부(20)는 화재로 인해 열이 가해지면 절곡시킨 단부가 펴지면서 결합 결속부(30)의 내벽면에 밀착되므로, 변형 결속부(20)와 결합 결속부(30) 사이로의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연소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난연 샌드위치 패널은, 변형 결속부(20)가 한 겹의 돌출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변형 결속부(20)를 결합 결속부(30)에 삽입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변형 결속부(20)가 쉽게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변형 결속부(20)가 결합 결속부(30) 내측에서 팽창되었을 때 변형결속부(20)의 외측면 중 일부만이 결합 결속부(30)의 내측면에 밀착되므로, 변형 결속부(20)와 결합 결속부(30) 사이의 기밀성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는 단점도 있다.
KR 10-1601198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두 개의 샌드위치 패널 연결부위에 고온의 열이 인가되더라도 연결부위의 기밀성이 높게 유지되고, 연결부위의 구조적 강도가 개선된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은, 상호 평행하게 이격되는 한 쌍의 금속판; 상기 한 쌍의 금속판 사이에 채워지는 충진재; 상기 금속판의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결속부; 상기 금속판의 길이방향 타단으로부터 상기 충진재의 내측으로 인입되되, 상기 돌출결속부가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인입결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결속부는 상기 인입결속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열되었을 때 열팽창 하여 상기 인입결속부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상기 돌출결속부는, 상기 금속판의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충진재의 길이방향 일단 일부를 덮는 돌출절곡부와, 상기 돌출절곡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충진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돌출연장부와, 상기 제1 돌출연장부의 끝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는 돌출단부와, 상기 돌출단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충진재의 길이방향 일단까지 연장되는 제2 돌출연장부와, 상기 제2 돌출연장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충진재의 두께방향과 교차하면서 상기 제2 돌출연장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경사부와, 상기 제1 경사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충진재의 두께방향과 교차하면서 상기 제2 돌출연장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경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입결속부는, 상기 금속판의 길이방향 타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충진재의 길이방향 타단 일부를 덮는 인입절곡부와, 상기 인입절곡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충진재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인입연장부와, 상기 제1 인입연장부의 끝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는 인입단부와, 상기 인입단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충진재의 길이방향 타단까지 연장되는 제2 인입연장부와, 상기 제2 인입연장부의 끝단으로부터 90도를 초과하는 각도로 절곡되는 꺾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금속판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충진재의 길이방향 일단보다 더 돌출되며,
상기 돌출결속부는, 상기 금속판의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는 돌출절곡부와, 상기 돌출절곡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충진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돌출연장부와, 상기 제1 돌출연장부의 끝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는 돌출단부와, 상기 돌출단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충진재의 길이방향 일단까지 연장되는 제2 돌출연장부와, 상기 제2 돌출연장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충진재의 두께방향과 교차하면서 상기 제2 돌출연장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경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충진재의 길이방향 타단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금속판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충진재의 길이방향 상면 및 하면보다 상기 충진재의 길이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연장되며,
상기 인입결속부는, 상기 금속판의 길이방향 타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는 인입절곡부와, 상기 인입절곡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단턱의 벽면까지 연장되는 제1 인입연장부와, 상기 제1 인입연장부의 끝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단턱의 벽면 일부를 덮는 인입단부와, 상기 인입단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충진재의 길이방향 타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단턱의 바닥면을 덮는 제2 인입연장부와, 상기 제2 인입연장부의 끝단으로부터 90도를 초과하는 각도로 절곡되는 꺾임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돌출연장부와 상기 제2 돌출연장부와 상기 제1 인입연장부와 상기 제2 인입연장부는, 상기 충진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결속부가 상기 인입결속부로 삽입될 때, 제1 돌출연장부는 상기 제1 인입연장부에 접하고, 상기 제2 돌출연장부는 상기 제2 인입연장부에 접하며, 상기 꺾임부 끝단은 상기 제1 경사부와 상기 제2 경사부의 연결부위에 위치된다.
상기 제1 인입연장부 및 제2 인입연장부는 물결패턴으로 벤딩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은, 두 개의 샌드위치 패널 연결부위에 고온의 열이 인가되더라도 연결부위를 통한 공기의 유출입이 차단되므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고, 연결부위의 구조적 강도가 높아지므로 내구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난연 샌드위치 패널의 조립구조를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 제2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 제3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 제3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의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은 상호 평행하게 이격되는 한 쌍의 금속판(100) 사이에 글라스울이나 스티로폼과 같이 단열성을 갖는 충진재(200)가 채워지는 건축자재의 일종으로서, 두 개의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이 연결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연결부위를 통해 공기가 유출입되지 아니하도록 하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은, 상기 한 쌍의 금속판(100) 사이에 채워지는 충진재(200)와, 상기 금속판(100)의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결속부(300)와, 상기 금속판(100)의 길이방향 타단으로부터 상기 충진재(200)의 내측으로 인입되되 상기 돌출결속부(300)가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인입결속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결속부(300)는 열팽창률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금속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의 돌출결속부(300)가 다른 하나의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의 인입결속부(400)에 삽입된 상태에서 화재 발생 등의 이유로 돌출결속부(300)가 가열되었을 때, 상기 돌출결속부(300)는 열팽창 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입결속부(40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돌출결속부(300)와 인입결속부(400)가 완전히 밀착되면, 두 개의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 연결부위로의 공기의 유출입이 불가해지므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고 보다 빠른 화재 진압이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난연 샌드위치 패널은 변형 결속부(20)의 끝단( 더 명확하게는 내측 밀착부재(26)의 끝단)이 충진재(40)와 이격되어 있으므로 외부 충격이 인가되었을 때 외측 밀착부재(22)가 휘어지거나 파단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변형 결속부(20)를 결합 결속부(30)에 삽입시키는 과정에서 횡방향 외력이 인가되면 인가된 외력이 모두 외측 밀착부재(22)에 집중적으로 인가되므로, 상기 외측 밀착부재(22)의 휘어짐이나 파단이 빈번하게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결속부(300)가 높은 구조적 강도를 가지는 구조로 제작된다는 점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즉, 상기 돌출결속부(300)는, 상기 금속판(100)의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충진재(200)의 길이방향 일단 일부를 덮는 돌출절곡부(310)와, 상기 돌출절곡부(310)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충진재(2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돌출연장부(320)와, 상기 제1 돌출연장부(320)의 끝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는 돌출단부(330)와, 상기 돌출단부(330)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충진재(200)의 길이방향 일단까지 연장되는 제2 돌출연장부(340)와, 상기 제2 돌출연장부(340)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충진재(200)의 두께방향과 교차하면서 상기 제2 돌출연장부(34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경사부(350)와, 상기 제1 경사부(350)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충진재(200)의 두께방향과 교차하면서 상기 제2 돌출연장부(34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경사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입결속부(400)는, 상기 금속판(100)의 길이방향 타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충진재(200)의 길이방향 타단 일부를 덮는 인입절곡부(410)와, 상기 인입절곡부(410)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충진재(20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인입연장부(420)와, 상기 제1 인입연장부(420)의 끝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는 인입단부(430)와, 상기 인입단부(430)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충진재(200)의 길이방향 타단까지 연장되는 제2 인입연장부(440)와, 상기 제2 인입연장부(440)의 끝단으로부터 90도를 초과하는 각도로 절곡되는 꺾임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포함되는 돌출결속부(300)는, 횡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상하방향) 외력이 인가되었을 때 인가된 외력이 제1 인입연장부(420)와 제2 인입연장부(440)로 분산되므로 제1 인입연장부(420) 및 제2 인입연장부(440)의 휘어짐이나 파단이 쉽게 발생하지 아니하고, 제1 인입연장부(420)와 제2 인입연장부(440)가 모두 충진재(200)에 안착되어 있으므로 종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좌우방향)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쉽게 변형되지 아니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돌출연장부(320)와 제2 돌출연장부(340)와 제1 인입연장부(420)와 제2 인입연장부(440)의 길이가 짧으면 제1 돌출연장부(320)와 제2 돌출연장부(340)가 제1 인입연장부(420)와 제2 인입연장부(440)로부터 쉽게 빠져나올 수 있으므로, 제1 돌출연장부(320)와 제2 돌출연장부(340)와 제1 인입연장부(420)와 제2 인입연장부(440)의 길이는 30mm 이상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돌출결속부(300)가 인입결속부(400)에 삽입된 이후에는 상기 돌출결속부(300)가 인입결속부(400)로부터 쉽게 빠져나오지 아니하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결속부(400)의 꺾임부(450) 끝단은 제1 경사부(350)와 제2 경사부(360)의 연결부위에 위치된다.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돌출결속부(300)가 인입결속부(400)로부터 빠져나오기 위해서는 상기 꺾임부(450)의 끝단이 제2 경사부(360)를 타고 올라와야하므로, 상기 꺾임부(450)를 접을 만큼의 큰 외력이 인가되지 아니하는 한 돌출결속부(300)는 인입결속부(400)로부터 빠져나오지 못하게 된다.
물론,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난연 샌드위치 패널도 변형 결속부(20)가 결합 결속부(30)로부터 쉽게 빠져나오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연결면(34)과 내측 밀착면(36) 사이가 절곡되고, 연결부재(24)와 내측 밀착부재(22) 사이가 절곡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 연결부재(24)와 연결면(34) 사이의 이격거리가 매우 넓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변형 결속부(20)가 결합 결속부(30)에 밀착되기 위해서는 상기 변형 결속부(20)의 열팽창률이 매우 높아야 하는데, 이와 같이 열팽창률이 높은 금속은 일반적으로 연성을 가지므로 변형 결속부(20)의 구조적 강도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 의한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은, 돌출결속부(300)가 인입결속부(400)로부터 빠져나오지 못하게 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이 충진재(200)의 외부에 위치되므로, 상기 제1 돌출연장부(320)와 제2 돌출연장부(340)와 제1 인입연장부(420)와 제2 인입연장부(440)를 충진재(200)의 길이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 형상으로 제작하여 상기 돌출결속부(300)가 상기 인입결속부(400)로 삽입될 때 제1 돌출연장부(320)는 상기 제1 인입연장부(420)에 접하고, 상기 제2 돌출연장부(340)는 상기 제2 인입연장부(440)에 접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결속부(300)가 인입결속부(400)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면, 상기 돌출결속부(300)가 약간만 가열 팽창되더라도 돌출결속부(300)가 인입결속부(400)에 압착되므로, 상기 돌출결속부(300)를 열팽창률이 낮고 강도가 높은 금속으로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 즉, 돌출결속부(300)의 구조적 강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돌출결속부(300)가 인입결속부(400)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면, 상기 돌출결속부(300)가 열팽창하는 즉시 연결부위로의 공기 유출입이 불가해지므로, 화재 발생 초기부터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고, 화재의 조기 진압이 가능해진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연장부(320)와 제2 돌출연장부(340)와 제1 인입연장부(420)와 제2 인입연장부(440)가 평판 형상으로 제작되면,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난연 샌드위치 패널에 비해 돌출결속부(300)와 인입결속부(400)의 제작이 용이해진다는 장점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결속부(300)가 인입결속부(4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쉽게 빠져나오지 아니하도록, 제1 경사부(350)와 제2 경사부(360)와 꺾임부(450)가 구비된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제1 경사부(350)와 제2 경사부(360)와 꺾임부(450)가 없더라도 돌출결속부(300)가 인입결속부(400)로부터 쉽게 빠져나올 우려가 없다면 상기 제1 경사부(350)와 제2 경사부(360)와 꺾임부(450)는 생략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 제2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은 돌출결속부(300)가 열팽창하였을 때 인입결속부(400)와의 밀착 면적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인입연장부(420) 및 제2 인입연장부(440)가 물결패턴으로 벤딩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인입연장부(420)와 제2 인입연장부(440)가 물결패턴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출연장부(320)와 제2 돌출연장부(340)가 인입결속부(400)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열팽창되었을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인입연장부(420) 및 제2 인입연장부(440)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물결패턴으로 변형되므로, 돌출결속부(300)와 인입결속부(400)의 접촉면적이 매우 높아진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출연장부(320) 및 제2 돌출연장부(340)가 제1 인입연장부(420) 및 제2 인입연장부(440)와 형합하도록 변형되면, 돌출결속부(300)와 인입결속부(400) 간의 기밀성이 더욱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인입연장부(420) 및 제2 인입연장부(440)가 물결패턴으로 형성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1 인입연장부(420) 및 제2 인입연장부(440)의 형상은 제1 돌출연장부(320) 및 제2 돌출연장부(340)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대체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 제3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 제3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 돌출연장부(320)와 제2 돌출연장부(340)가 동일한 길이로 제작될 수도 있고,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길이로 제작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은, 상기 금속판(100)의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충진재(200)의 길이방향 일단보다 더 돌출되며, 상기 충진재(200)의 길이방향 타단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단턱(210)이 형성되고, 상기 금속판(100)의 길이방향 타단이 상기 충진재(200)의 길이방향 상면 및 하면보다 상기 충진재(200)의 길이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결속부(300)는, 상기 금속판(100)의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는 돌출절곡부(310)와, 상기 돌출절곡부(310)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충진재(2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돌출연장부(320)와, 상기 제1 돌출연장부(320)의 끝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는 돌출단부(330)와, 상기 돌출단부(330)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충진재(200)의 길이방향 일단까지 연장되는 제2 돌출연장부(340)와, 상기 제2 돌출연장부(340)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충진재(200)의 두께방향과 교차하면서 상기 제2 돌출연장부(34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경사부(3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인입결속부(400)는, 상기 금속판(100)의 길이방향 타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는 인입절곡부(410)와, 상기 인입절곡부(410)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단턱(210)의 벽면까지 연장되는 제1 인입연장부(420)와, 상기 제1 인입연장부(420)의 끝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단턱(210)의 벽면 일부를 덮는 인입단부(430)와, 상기 인입단부(430)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충진재(200)의 길이방향 타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단턱(210)의 바닥면을 덮는 제2 인입연장부(440)와, 상기 제2 인입연장부(440)의 끝단으로부터 90도를 초과하는 각도로 절곡되는 꺾임부(4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결속부(300)와 인입결속부(400)가 형성되면, 제1 돌출연장부(320)의 돌출 길이를 짧게 제작하더라도 돌출결속부(300)가 인입결속부(4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열팽창되었을 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결속부(300)와 인입결속부(400) 간의 접촉면적이 넓게 확보되므로 공기 유출입 차단 효과를 높게 유지할 수 있고, 제1 돌출연장부(320)의 돌출 길이가 짧아짐으로 인해 돌출결속부(300)의 파손 우려가 저감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금속판재 200 : 충진재
300 : 돌출결속부 310 : 돌출절곡부
320 : 제1 돌출연장부 330 : 돌출단부
340 : 제2 돌출연장부 350 : 제1 경사부
360 : 제2 경사부 400 : 인입결속부
410 : 인입절곡부 420 : 제1 인입연장부
430 : 인입단부 440 : 제2 인입연장부
450 : 꺾임부

Claims (7)

  1. 상호 평행하게 이격되는 한 쌍의 금속판;
    상기 한 쌍의 금속판 사이에 채워지는 충진재;
    상기 금속판의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충진재의 길이방향 일단 일부를 덮는 돌출절곡부와, 상기 돌출절곡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충진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돌출연장부와, 상기 제1 돌출연장부의 끝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는 돌출단부와, 상기 돌출단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충진재의 길이방향 일단까지 연장되는 제2 돌출연장부와, 상기 제2 돌출연장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충진재의 두께방향과 교차하면서 상기 제2 돌출연장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경사부와, 상기 제1 경사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충진재의 두께방향과 교차하면서 상기 제2 돌출연장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경사부를 구비하는 돌출결속부;
    상기 금속판의 길이방향 타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충진재의 길이방향 타단 일부를 덮는 인입절곡부와, 상기 인입절곡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충진재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인입연장부와, 상기 제1 인입연장부의 끝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는 인입단부와, 상기 인입단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충진재의 길이방향 타단까지 연장되는 제2 인입연장부와, 상기 제2 인입연장부의 끝단으로부터 90도를 초과하는 각도로 절곡되는 꺾임부를 구비하여, 상기 돌출결속부가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인입결속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돌출연장부와 상기 제2 돌출연장부와 상기 제1 인입연장부와 상기 제2 인입연장부는, 상기 충진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결속부가 상기 인입결속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열되어 열팽창되었을 때, 제1 돌출연장부는 상기 제1 인입연장부에 밀착되고, 상기 제2 돌출연장부는 상기 제2 인입연장부에 밀착되며, 상기 돌출단부는 상기 인입단부에 밀착되고, 상기 꺾임부 끝단은 상기 제1 경사부와 상기 제2 경사부의 연결부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입연장부 및 제2 인입연장부는 물결패턴으로 벤딩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

KR1020190005088A 2019-01-15 2019-01-15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 KR102027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088A KR102027382B1 (ko) 2019-01-15 2019-01-15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088A KR102027382B1 (ko) 2019-01-15 2019-01-15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7382B1 true KR102027382B1 (ko) 2019-10-02

Family

ID=68422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088A KR102027382B1 (ko) 2019-01-15 2019-01-15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38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055B1 (ko) * 2020-05-11 2020-09-17 홍혜경 주름 신장 결합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횡패널 및 이의 횡방향 시공방법
KR20220146890A (ko) 2021-04-26 2022-11-02 (주)에이치에스패널 내화 패널
WO2023211224A1 (ko) * 2022-04-27 2023-11-02 (주)국민기업 샌드위치 패널
KR20240054660A (ko) 2022-10-19 2024-04-26 (주)에이치에스패널 내화 패널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1213A (ja) * 2006-11-09 2008-05-29 Soogo:Kk 断熱耐火パネル
KR101435959B1 (ko) * 2013-01-21 2014-09-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조립식 건축패널 및 그 조립방법
KR101601198B1 (ko) 2015-08-05 2016-03-08 서진공영주식회사 난연 샌드위치 패널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1213A (ja) * 2006-11-09 2008-05-29 Soogo:Kk 断熱耐火パネル
KR101435959B1 (ko) * 2013-01-21 2014-09-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조립식 건축패널 및 그 조립방법
KR101601198B1 (ko) 2015-08-05 2016-03-08 서진공영주식회사 난연 샌드위치 패널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055B1 (ko) * 2020-05-11 2020-09-17 홍혜경 주름 신장 결합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횡패널 및 이의 횡방향 시공방법
KR20220146890A (ko) 2021-04-26 2022-11-02 (주)에이치에스패널 내화 패널
WO2023211224A1 (ko) * 2022-04-27 2023-11-02 (주)국민기업 샌드위치 패널
KR20240054660A (ko) 2022-10-19 2024-04-26 (주)에이치에스패널 내화 패널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7382B1 (ko)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
KR102083456B1 (ko)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
JP6378858B2 (ja) 軽量耐火間仕切壁の目地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788657B1 (ko) 단열성이 향상된 방화문
KR20200001031U (ko) 방화문의 투시창 프레임 구조
KR102175746B1 (ko) 화재확산 방지기능을 구비하는 외벽용 단열패널
KR101975558B1 (ko) 결로 방지용 방화문
KR101729968B1 (ko) 조립식 건축자재용 샌드위치패널
KR102255679B1 (ko) 패널 어셈블리
KR200472839Y1 (ko) 창호용 가로 단열프레임
JP6017339B2 (ja) 窓ユニット
JP6147495B2 (ja) 窓ユニット及び面材の取付方法
KR102175742B1 (ko) 화재확산 방지기능을 구비하는 내벽용 단열패널
JP5721383B2 (ja) 耐火パネルの連結部構造
JP2015061971A (ja) 連結部材
JP4821089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戸
RU2270311C2 (ru) Противопожарная дверь и ригель для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й двери
KR102120544B1 (ko) 방화문
KR102219234B1 (ko) 보강재를 갖춘 방화문
JP2008121213A (ja) 断熱耐火パネル
KR20180115085A (ko) 차열성 및 기밀성이 향상된 복합성능 방화문
KR102189072B1 (ko) 화재 확산 방지용 샌드위치 패널
JP2006009428A (ja) 耐火目地構造
JP2003027705A (ja) 金属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連結固定構造
KR102547778B1 (ko) 외장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