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1198B1 - 난연 샌드위치 패널 구조 - Google Patents

난연 샌드위치 패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1198B1
KR101601198B1 KR1020150123976A KR20150123976A KR101601198B1 KR 101601198 B1 KR101601198 B1 KR 101601198B1 KR 1020150123976 A KR1020150123976 A KR 1020150123976A KR 20150123976 A KR20150123976 A KR 20150123976A KR 101601198 B1 KR101601198 B1 KR 101601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ntact member
transformation
deformed
engage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용
Original Assignee
서진공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진공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진공영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04C2/3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with a metal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연 샌드위치 패널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이격된 금속판재의 사이에 충전재가 충전된 패널 몸체가 연속 배치되는 샌드위치 패널 구조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재의 일단에 물성 변화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도록 형성되는 변형 결속부; 및 상기 금속판재의 타단에 형성되어 이웃한 상기 패널 몸체의 변형 결속부가 물성 변화시 팽창되면서 기밀을 유지시키도록 삽입되는 결합 결속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널 몸체를 구성하는 금속판재의 양단에 물성 변화시 팽창되게 하는 변형 결속부와, 이웃한 패널 몸체의 변형 결속부가 화재 발생시 화원(火源)에 의해 팽창되면서 기밀을 유지하게 하는 결합 결속부를 형성하므로, 변형 결속부를 열에 의해 변형시키는 과정에서 결합 결속부와의 결속 부위에 대한 밀착력을 향상시켜 공기가 흐를 수 있는 공기 유입 통로 차단에 따른 연소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형 결속부를 결합 결속부에 삽입할 때 접촉 부위에 곡면을 형성하여 용이하게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게 하며, 변형 결속부의 외측 폭을 결합 결속부의 내측 폭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난연 샌드위치 패널 구조 {STRUCTURE OF FIRE RETARDANT SANDWICH PANEL}
본 발명은 난연 샌드위치 패널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샌드위치 패널 내에 공기 유입을 차단하여 난연성능을 부여하는 패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샌드위치 패널은 공장, 창고, 조립식 건축물 등의 건축물 벽면 시공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건축 자재이다.
이와 같은 샌드위치 패널은 글라스울(Glass Wool), 스티로폼(Styrofoam)과 같은 소재로 형성된 충진재 양면에 롤 포밍기(Roll forming machine)에서 다단계의 성형 과정을 거치면서 절곡 형성된 금속 판재를 일체로 접합 형성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이러한 샌드위치 패널과 관련된 기술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0-0004294호 및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47227호에 제안된 바 있다.
이하에서 종래기술로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0-0004294호 및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47227호에 개시된 샌드위치패널 연결구조 및 샌드위치 복합 패널을 간략히 설명한다.
도 1은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0-0004294호(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에서 샌드위치 복합 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 1의 샌드위치패널 연결구조는 제1 및 제2 패널판(51,52) 사이에 충전재(53)가 충전된 샌드위치패널(1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샌드위치패널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각 패널판(51,52)의 양단부에는 상기 샌드위치패널(50)이 상호 연결될 때에 겹쳐지도록 구비된 연결단부(54~57)가 형성되고, 상기 패널판(51,52) 중에서 어느 하나에 형성된 연결단부(56,57)는 패널판(52)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호 면 접촉되도록 겹쳐진 상태에서 시밍가공에 의해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 1에 의한 샌드위치패널 연결구조는 샌드위치패널(50)이 상호 연결될 때에 겹쳐지도록 연결단부(54~57)가 구비되므로 화재 등에 의해 열이 발생하는 경우 변형에 의해 연결 부위가 분리되면서 공기가 틈으로 유입되어 연소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47227호(이하 '종래기술 2'라 함)에서 샌드위치패널 및 그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 2의 샌드위치 복합 패널(5)은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금속판(10) 사이에 충전재(20)가 충전되어 구성된다. 충전재(20)는 길이방향으로 긴 한 쌍의 제 1 불연재(22)가 상호 이격 배치되고, 이격된 제 1 불연재(22) 사이에 충전부(23)가 배치된다. 상기 충전부(23)는 길이방향으로 긴 다수 개의 합성수지 발포체(25)와 다수 개의 제 2 불연재(24)가 서로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기술 2에 의한 샌드위치 복합 패널 역시 종래기술 1과 마찬가지로 금속판(10) 양쪽에 이웃한 패널을 연결할 수 있게 요철(凹凸) 형태로 구비되는데 이 역시 화재 등과 같이 열이 발생하는 경우 변형에 의해 벌어지면서 그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과정을 통해 연소 환경을 만들게 되므로 이에 대한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0-000429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4722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패널 몸체를 구성하는 금속판재의 양단에 물성 변화시 팽창되게 하는 변형 결속부와, 이웃한 패널 몸체의 변형 결속부가 화재 발생시 화원(火源)에 의해 팽창되면서 기밀을 유지하게 하는 결합 결속부를 형성하므로, 변형 결속부를 열에 의해 변형시키는 과정에서 결합 결속부와의 결속 부위에 대한 밀착력을 향상시켜 공기 유입 통로 차단에 따른 연소를 방지할 수 있게 한 난연 샌드위치 패널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변형 결속부를 결합 결속부에 삽입할 때 접촉 부위에 곡면을 형성하여 용이하게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게 하며, 변형 결속부의 외측 폭을 결합 결속부의 내측 폭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결합 결속부에 삽입시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난연 샌드위치 패널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격된 금속판재의 사이에 충전재가 충전된 패널 몸체가 연속 배치되는 샌드위치 패널 구조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재의 일단에 물성 변화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도록 형성되는 변형 결속부; 및 상기 금속판재의 타단에 형성되어 이웃한 상기 패널 몸체의 변형 결속부가 물성 변화시 팽창되면서 기밀을 유지시키도록 삽입되는 결합 결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변형 결속부는, 상기 금속판재의 일단에 전방으로 연장되는 외측 밀착부재; 상기 외측 밀착부재의 단부에 후방을 향하면서 경사지게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내측 밀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측 밀착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연결점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내측 밀착부재의 연결점이 곡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 결속부가 삽입되는 결합 결속부는, 상기 외측 밀착부재에 대향 형성되는 외측 밀착면; 및 상기 내측 밀착부재에 대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내측 밀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형 결속부가 삽입되는 결합 결속부는, 상기 외측 밀착부재에 대향 형성되는 외측 밀착면; 상기 외측 밀착면과 평행하게 연결되는 연결면; 및 상기 연결면의 단부에 상기 내측 밀착부재에 대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내측 밀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결합 결속부의 입구에 곡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널 몸체를 구성하는 금속판재의 양단에 물성 변화시 팽창되게 하는 변형 결속부와, 이웃한 패널 몸체의 변형 결속부가 화재 발생시 화원(火源)에 의해 팽창되면서 기밀을 유지하게 하는 결합 결속부를 형성하므로, 변형 결속부를 열에 의해 변형시키는 과정에서 결합 결속부와의 결속 부위에 대한 밀착력을 향상시켜 공기가 흐를 수 있는 공기 유입 통로 차단에 따른 연소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형 결속부를 결합 결속부에 삽입할 때 접촉 부위에 곡면을 형성하여 용이하게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게 하며, 변형 결속부의 외측 폭을 결합 결속부의 내측 폭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 1에 의한 샌드위치 복합 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 2에 의한 샌드위치패널 및 그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난연 샌드위치 패널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난연 샌드위치 패널 구조에서 난연 샌드위치 패널을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난연 샌드위치 패널 구조에서 변형 결속부와 결합 결속부가 결속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난연 샌드위치 패널 구조에서 변형 결속부의 형상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난연 샌드위치 패널 구조에서 난연 샌드위치 패널을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난연 샌드위치 패널 구조에서 변형 결속부와 결합 결속부가 결속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난연 샌드위치 패널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난연 샌드위치 패널 구조에서 난연 샌드위치 패널을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난연 샌드위치 패널 구조에서 변형 결속부와 결합 결속부가 결속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난연 샌드위치 패널 구조에서 변형 결속부의 형상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난연 샌드위치 패널(100)은 이격된 금속판재(110)의 사이에 스티로폼(Styrofoam) 또는 폴리우레탄폼(Polyurethane Foam) 등과 같은 충전재(140)가 충전된 패널 몸체 중 상기 금속판재(110)의 일단에 돌기 형태의 변형 결속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금속판재(110)의 타단에 홈 형태로 형성된 결합 결속부(130)를 포함한다.
이때, 변형 결속부(120)는 이격된 금속판재(110)의 일단(도 3 기준 좌측)에 종 방향으로 연속 형성되고, 결합 결속부(130)는 이격된 금속판재(110)의 타단(도 3 기준 우측)에 종 방향으로 연속 형성된다.
변형 결속부(120)는 절곡 형태로 형성되며 화재 발생시 열에 의한 금속의 물성 변화에 따라 펴지는 성질을 이용하여 화재 발생시 형상이 변형되면서 결합 결속부(130)와의 결속 부위를 밀착시킨다.
즉, 상기 변형 결속부(120)는 화재로 인해 열이 가해지면 절곡시킨 단부가 펴지면서 결합 결속부(130)의 내벽면에 밀착되는 과정을 통해 공기 유입을 차단하여 연소를 방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변형 결속부(120)는 외측 밀착부재(122), 연결부재(124) 및 내측 밀착부재(126)를 포함하며, 이웃한 금속판재(110)의 일단에 한 쌍이 각각 대칭 형태로 절곡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변형 결속부(120)는 삼각형 형상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횡 방향[도 6(a) 참조] 또는 경사 방향[도 6(b) 참조]을 향하면서 지그재그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팽창률을 향상시켜 후술할 결합 결속부(130)에 가하는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외측 밀착부재(122)는 이웃한 금속판재(110)의 일단 단부에 한차례 단차 형성되면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측 밀착부재(122)는 열에 의한 팽창시 결합 결속부(130)의 외측 밀착면(132)에 밀착된다.
연결부재(124)는 외측 밀착부재(122)의 단부에 후방을 향하면서 경사지게 연결되며, 열에 의한 팽창시 내측 밀착부재(126)의 변형을 향상시킨다.
내측 밀착부재(126)는 연결부재(124)의 단부에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며, 열에 의한 팽창시 결합 결속부(130)의 내측 밀착면(136)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내측 밀착부재(126)는 이와 맞닿는 결합 결속부(130)의 내측 밀착면(136)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변형 결속부(120)의 분리가 용이하다.
한편, 변형 결속부(120)는 외측 폭을 결합 결속부(130)의 내측 폭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상기 결합 결속부(130)에 삽입할 때 외측 밀착부재(122)와 내측 밀착부재(126)가 항시 결합 결속부(130)의 외측 밀착면(132)과 내측 밀착면(136)에 견고하게 밀착되게 한다.
더욱이, 외측 밀착부재(122)와 연결부재(124)의 연결 부위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24)와 내측 밀착부재(126)의 연결 부위가 곡면 형성되어 변형 결속부(120)를 결합 결속부(130)에 삽입할 때 금속의 특성상 평면으로 찾아가려는 힘 발생이 가중되므로 기밀 향상에 따른 공기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외측 밀착부재(122)와 연결부재(124)의 연결 부위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24)와 내측 밀착부재(126)의 연결 부위가 곡면 형성되므로 변형 결속부(120)를 결합 결속부(130)에 삽입할 때 곡면을 따라 용이하게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게 한다.
결합 결속부(130)는 금속판재(110)의 타단에 한 쌍이 형성되어 이웃한 패널 몸체의 변형 결속부(120)가 삽입되며, 삽입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열에 의해 팽창되면서 기밀을 유지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 결속부(130)는 외측 밀착면(132), 연결면(134) 및 내측 밀착면(136)을 포함하며, 이웃한 금속판재(110)의 타단에 각각 대칭 형태로 절곡 형성된다.
외측 밀착면(132)은 이웃한 금속판재(110)의 타단 단부에 절곡 형성되면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변형 결속부(120)의 외측 밀착부재(122)와 평행하도록 대향 형성된다.
연결면(134)은 외측 밀착면(132)과 내측 밀착면(136)을 연결하는 면으로 변형 결속부(120)의 연결부재(124)가 맞닿지는 않는다.
내측 밀착면(136)은 연결면(134)의 단부에 연결되어 변형 결속부(120)의 내측 밀착부재(126)에 대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내측 밀착면(136)은 변형 결속부(120)의 내측 밀착부재(126) 각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유는 열을 가하기 전에는 내측 밀착부재(126)가 내측 밀착면(136)에 선 형태로 접촉하지만 열에 의해 변형 결속부(120)가 변형되면 상기 내측 밀착부재(126)의 각도가 커지면서 상기 내측 밀착부재(126)가 면 형태로 접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면 접촉을 통해 상기 내측 밀착면(136)과 상기 내측 밀착부재(126)가 면 접촉을 하게 되며 기밀 유지가 향상된다.
더욱이, 곡면 형성된 연결부재(124)와 내측 밀착부재(126)의 연결 부위가 접촉하게 되는 내측 밀착면(136)과 연결된 결합 결속부(130)의 입구 모서리에는 곡면 형성되어 변형 결속부(120)가 상기 결합 결속부(13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난연 샌드위치 패널(100)은 화재 발생시 열에 의해 평창되면서 기밀이 유지되게 하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난연 샌드위치 패널(100)은 패널 몸체 중 일단에 형성된 변형 결속부(120)가 이와 이웃한 난연 샌드위치 패널(100)의 패널 몸체의 타단에 형성된 결합 결속부(130)에 연속적으로 삽입되어 각각의 패널이 연결된 상태이다.
그 후, 화재 등의 비상 상황 발생시 열이 가해지면 변형 결속부(120)의 외측 밀착부재(122)와 내측 밀착부재(126)가 팽창되면서 결합 결속부(130)의 외측 밀착면(132)과 내측 밀착면(136)에 각각 밀착되기 시작하며, 시간이 경과 하면 할수록 견고하게 밀착되므로 공기 유입을 차단하게 되면서 연소됨을 방지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난연 샌드위치 패널(100)은 곡면 형성된 연결부재(124)와 내측 밀착부재(126)의 연결 부위가 삽입시 접촉하게 되는 내측 밀착면(136)과 연결된 결합 결속부(130)의 입구 모서리가 곡면 형성되어 변형 결속부(120)가 상기 결합 결속부(13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외측 밀착부재(122)와 연결부재(124)의 연결 부위 역시 곡면 형성되므로 변형 결속부(120)를 결합 결속부(130)에 삽입할 때 곡면을 따라 용이하게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내측 밀착부재(126)는 이와 맞닿는 결합 결속부(130)의 내측 밀착면(136)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변형 결속부(120)의 분리가 용이하면서 내측 밀착면(136)과의 밀착력이 우수해진다.
더욱이, 외측 밀착면(132)과 외측 밀착부재(122)는 변형 결속부(120)가 결합 결속부(130)에 결합한 후 상기 변형 결속부(120)의 팽창으로 인해 두 자재가 밀착하므로 공기층을 없애 화재 발생시 공기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즉, 화재 발생시 변형 결속부(120)의 외측 밀착부재(122), 연결부재(124) 및 내측 밀착부재(126)의 연결 부위가 곡면 형성되므로 금속 특성상 평면으로 돌아가려는 힘이 발생되면서 기밀이 좋아지고 이에 공기 유입을 막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변형 결속부(120)는 외측 밀착부재(122)와 내측 밀착부재(126)과의 간격인 외측 폭을 결합 결속부(130)의 내측 폭인 외측 밀착면(132)과 내측 밀착면(136)과의 간격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상기 결합 결속부(130)에 삽입할 때 외측 밀착부재(122)와 내측 밀착부재(126)가 항시 가압하면서 결합 결속부(130)의 외측 밀착면(132)과 내측 밀착면(136)에 견고하게 밀착되게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난연 샌드위치 패널 구조에서 난연 샌드위치 패널을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난연 샌드위치 패널 구조에서 변형 결속부와 결합 결속부가 결속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난연 샌드위치 패널(200)은 이격된 금속판재(210)의 사이에 스티로폼(Styrofoam) 또는 폴리우레탄폼(Polyurethane Foam) 등과 같은 충전재(240)가 충전된 패널 몸체 중 상기 금속판재(210)의 일단에 돌기 형태의 변형 결속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금속판재(210)의 타단에 홈 형태로 형성된 결합 결속부(230)를 포함한다.
변형 결속부(220)는 절곡 형태로 형성되며 화재 발생시 열에 의한 금속의 물성 변화에 따라 펴지는 성질을 이용하여 화재 발생시 형상이 변형되면서 결합 결속부(230)와의 결속 부위를 밀착시킨다.
즉, 상기 변형 결속부(220)는 외측 밀착부재(222), 연결부재(224) 및 내측 밀착부재(226)를 포함하며, 이웃한 금속판재(210)의 일단에 한 쌍이 각각 대칭 형태로 절곡 형성된다.
외측 밀착부재(222)는 이웃한 금속판재(210)의 일단 단부에 한차례 단차 형성되면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측 밀착부재(222)는 열에 의한 팽창시 결합 결속부(230)의 외측 밀착면(232)에 밀착된다.
연결부재(224)는 외측 밀착부재(222)의 단부에 후방을 향하면서 경사지게 연결되며, 열에 의한 팽창시 내측 밀착부재(226)의 변형을 향상시킨다.
내측 밀착부재(226)는 연결부재(224)의 단부에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며, 열에 의한 팽창시 결합 결속부(230)의 내측 밀착면(236)에 밀착된다.
결합 결속부(230)는 금속판재(210)의 타단에 한 쌍이 형성되어 이웃한 패널 몸체의 변형 결속부(220)가 삽입되며, 삽입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열에 의해 팽창되면서 기밀을 유지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 결속부(230)는 외측 밀착면(232), 연결면(234) 및 내측 밀착면(236)을 포함하여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웃한 금속판재(210)의 타단에 각각 대칭 형태로 절곡 형성된다.
외측 밀착면(232)은 이웃한 금속판재(210)의 타단 단부에 절곡 형성되면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변형 결속부(220)의 외측 밀착부재(222)와 평행하도록 대향 형성된다.
연결면(234)은 외측 밀착면(232)과 평행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면으로 변형 결속부(220)의 연결부재(224)가 맞닿지는 않는다.
내측 밀착면(236)은 연결면(234)의 단부에 연장되도록 연결되어 변형 결속부(220)의 내측 밀착부재(226)에 대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도 상기 내측 밀착면(236)은 변형 결속부(220)의 내측 밀착부재(226) 각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200: 난연 샌드위치 패널
110, 210: 금속판재
120, 220: 변형 결속부
122, 222: 외측 밀착부재
124, 224: 연결부재
126, 226: 밀착부재
130, 230: 결합 결속부
132, 232: 외측 밀착면
134, 234: 연결면
136, 236: 내측 밀착면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이격된 금속판재의 사이에 충전재가 충전된 패널 몸체가 연속 배치되는 샌드위치 패널 구조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재의 일단에 전방으로 연장되는 외측 밀착부재와, 상기 외측 밀착부재의 단부에 후방을 향하면서 경사지게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내측 밀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금속판재의 일단에 물성 변화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도록 형성되는 변형 결속부; 및
    상기 금속판재의 타단에 형성되어 이웃한 상기 패널 몸체의 변형 결속부가 물성 변화시 팽창되면서 기밀을 유지시키도록 삽입되는 결합 결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결속부는,
    상기 외측 밀착부재에 대향 형성되는 외측 밀착면; 및
    상기 내측 밀착부재에 대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내측 밀착면을 포함하는 난연 샌드위치 패널 구조.
  5. 이격된 금속판재의 사이에 충전재가 충전된 패널 몸체가 연속 배치되는 샌드위치 패널 구조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재의 일단에 전방으로 연장되는 외측 밀착부재와, 상기 외측 밀착부재의 단부에 후방을 향하면서 경사지게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내측 밀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금속판재의 일단에 물성 변화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도록 형성되는 변형 결속부; 및
    상기 금속판재의 타단에 형성되어 이웃한 상기 패널 몸체의 변형 결속부가 물성 변화시 팽창되면서 기밀을 유지시키도록 삽입되는 결합 결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결속부는,
    상기 외측 밀착부재에 대향 형성되는 외측 밀착면;
    상기 외측 밀착면과 평행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연결면; 및
    상기 연결면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내측 밀착부재에 대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내측 밀착면을 포함하는 난연 샌드위치 패널 구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결속부의 입구는,
    곡면 형성되는 난연 샌드위치 패널 구조.
KR1020150123976A 2015-08-05 2015-09-02 난연 샌드위치 패널 구조 KR1016011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10449 2015-08-05
KR1020150110449 2015-08-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1198B1 true KR101601198B1 (ko) 2016-03-08

Family

ID=55534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976A KR101601198B1 (ko) 2015-08-05 2015-09-02 난연 샌드위치 패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119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382B1 (ko) 2019-01-15 2019-10-02 주식회사 지성기업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
KR102083456B1 (ko) 2019-07-22 2020-03-03 주식회사 지성기업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
KR102189072B1 (ko) 2020-03-06 2020-12-10 주식회사 지성기업 화재 확산 방지용 샌드위치 패널
KR20220011414A (ko) 2020-07-21 2022-01-28 주식회사 비오엑스 화재 확산 방지 및 방음형 샌드위치 패널
KR102463340B1 (ko) * 2021-08-20 2022-11-07 신현웅 내화구조패널
KR102547778B1 (ko) 2022-04-27 2023-06-26 (주)국민기업 외장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패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227B1 (ko) 2001-11-05 2004-09-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384097Y1 (ko) * 2005-02-16 2005-05-11 윤석규 샌드위치패널
KR20100004294A (ko) 2008-07-03 2010-0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합 가스 경로를 갖는 병렬형 2단 터보 차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227B1 (ko) 2001-11-05 2004-09-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384097Y1 (ko) * 2005-02-16 2005-05-11 윤석규 샌드위치패널
KR20100004294A (ko) 2008-07-03 2010-0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합 가스 경로를 갖는 병렬형 2단 터보 차져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382B1 (ko) 2019-01-15 2019-10-02 주식회사 지성기업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
KR102083456B1 (ko) 2019-07-22 2020-03-03 주식회사 지성기업 내화성 샌드위치 패널
KR102189072B1 (ko) 2020-03-06 2020-12-10 주식회사 지성기업 화재 확산 방지용 샌드위치 패널
KR20220011414A (ko) 2020-07-21 2022-01-28 주식회사 비오엑스 화재 확산 방지 및 방음형 샌드위치 패널
KR102463340B1 (ko) * 2021-08-20 2022-11-07 신현웅 내화구조패널
KR102547778B1 (ko) 2022-04-27 2023-06-26 (주)국민기업 외장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패널
WO2023211224A1 (ko) * 2022-04-27 2023-11-02 (주)국민기업 샌드위치 패널
KR20230152610A (ko) 2022-04-27 2023-11-03 (주)국민기업 외장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1198B1 (ko) 난연 샌드위치 패널 구조
KR101788657B1 (ko) 단열성이 향상된 방화문
BR0213889A (pt) Dispositivo de junção de bordas de painéis
WO2015118588A1 (ja) パネル及びパネルの接合構造
KR101223647B1 (ko) 건축패널들의 조립구조
CA2752675A1 (en) A tubular duct member
KR101623091B1 (ko) 다방향성 주름부를 갖는 중공형 지수판
KR101435959B1 (ko) 조립식 건축패널 및 그 조립방법
GB2543909A (en) Ventilation ducts and connectors therefor
KR101729968B1 (ko) 조립식 건축자재용 샌드위치패널
JP2013096057A (ja) 建築用パネル及び建築用パネルの下地材への取付構造
KR101795622B1 (ko) 방화문
CN112127572A (zh) 一种墙面板拼接组件
KR101428733B1 (ko) 가변성 아치형 샌드위치패널
KR200485238Y1 (ko) 연속 연결 사용이 가능한 알루미늄 블라인드 패널
KR101242559B1 (ko) 건물의 내외벽재 대체용 유리벽의 구조
KR101824461B1 (ko) 샌드위치 패널 커플링 유니트
KR20150010219A (ko) 패널 연결구조
KR102463340B1 (ko) 내화구조패널
CN214696548U (zh) 一种背景墙
JP4990409B1 (ja) 複合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モルタル外壁通気構造
JP5001596B2 (ja) 外壁パネル間防水構造および外壁パネル間防水施工方法
CN211774760U (zh) 一种能快速装拆的墙面结构
WO2002098648A1 (en) An insulated panel
KR101516762B1 (ko) 사이드 브림을 가진 건축패널 및 그 건축패널들의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