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182B1 - 로프 - Google Patents

로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182B1
KR102027182B1 KR1020180010514A KR20180010514A KR102027182B1 KR 102027182 B1 KR102027182 B1 KR 102027182B1 KR 1020180010514 A KR1020180010514 A KR 1020180010514A KR 20180010514 A KR20180010514 A KR 20180010514A KR 102027182 B1 KR102027182 B1 KR 102027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strand
light reflecting
resi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1678A (ko
Inventor
이재문
Original Assignee
이재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문 filed Critical 이재문
Priority to KR1020180010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182B1/ko
Publication of KR20190091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6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 D07B1/162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characterised by a plastic or rubber enveloping sheathing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4Ropes or cables with incorporated auxiliary elements, e.g. for marking, extending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rope or cable
    • D07B1/148Ropes or cables with incorporated auxiliary elements, e.g. for marking, extending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rope or cable comprising marks or luminous element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5/00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 D07B5/005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characterised by their outer shape or surface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6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 D07B1/0673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having a rope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15Strands
    • D07B2201/2023Strands with cor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15Strands
    • D07B2201/2041Stran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83Jackets or coverings
    • D07B2201/2087Jackets or coverings being of the coated typ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83Jackets or coverings
    • D07B2201/2088Jackets or coverings having multiple layer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83Jackets or coverings
    • D07B2201/2089Jackets or coverings comprising wrapped structur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83Jackets or coverings
    • D07B2201/2092Jackets or cover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 D07B2201/2093Jackets or cover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being translucent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83Jackets or coverings
    • D07B2201/2092Jackets or cover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 D07B2201/2094Jackets or cover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being luminescent or reflective

Landscapes

  • Ropes Or Cabl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탈로 된 아우터 스트랜드(12)의 외주연에 페인트층(40)을 도포시켜 부식 방지는 물론이거니와 잘 파단되지 않도록 하여 위험요소를 없앰과 동시에 수명까지 보장케 한 로프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로프{ROPE}
본 발명은 로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우터 스트랜드의 외주연에 페인트층을 도포시켜 부식 방지는 물론이거니와 잘 파단되지 않도록 하여 위험요소를 없앰과 동시에 수명까지 보장케 할 수 있는 로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프는 건설 기계 선박 어업 광업 등산로 자전거도로 도로경계 등에 설치되거나 각종 스포츠 레저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쓰여지고 있고, 휨 가능하면서도 인장 굴곡 또는 비틀림 등에 대한 강도가 있어야 하며, 특히 쉽게 파단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71075호)에 따른 경계표시용 다중로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경계표시용 다중로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색으로 대비되는 다수의 스트랜드(1)에 각각 다른 두께를 가진 형광체(2) 및 반사체(3)를 순차적으로 피막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경계표시용 다중로프는 행인들의 시선을 유도할 수 있어 공사 경계면에 대한 주의를 줄 수 있으나, 스트랜드(1)에 형광체(2) 및 반사체(3)를 피막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아 생산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형광체(2) 및 반사체(3)를 피막한 스트랜드(1)를 트위스팅시켜 경계표시용 다중로프를 제작하더라도 스트랜드(1)와 형광체(2) 및 반사체(3)의 성분 및 조직이 서로 달라 설치 후 쉽게 벗겨져 수명이 극히 짧은 한계를 안고 있고, 특히 날씨에 따라 쉽게 변형되어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71075호 - 경계표시용 다중로프
본 발명의 목적은 아우터 스트랜드의 외주연에 페인트층을 도포시켜 부식 방지는 물론이거니와 잘 파단되지 않도록 하여 위험요소를 없앰과 동시에 수명까지 보장케 할 수 있는 로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우터 스트랜드가 메탈로 이루어진 점을 활용하여 전기 또는 히터를 통해 미리 열을 가해 페인트를 스프레이시켜 도포할 때 곧바로 긴밀하게 융착되도록 함으로써 상호간의 고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로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우터 스트랜드의 외주연에 도포된 페인트층을 13∼18wt%의 실리카분말, 10∼16wt%의 이산화티탄, 2∼8wt%의 탄산칼슘, 8∼13wt%의 아크릴수지, 7∼15wt%의 에폭시수지, 2∼8wt%의 산화아연, 5∼9wt%의 알키드수지, 3∼10wt%의 알루미늄스테아레이트, 5∼13wt%의 테레빈유, 7∼13wt%의 코발트, 2∼7wt%의 지르코니아로 구성하여 부식 방지는 물론이거니와 잘 파단되지 않도록 하는 로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우터 스트랜드의 외주연을 따라 광반사띠를 나선형으로 권회시켜 야간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면서 특히 아우터 스트랜드의 외주연을 따라 광반사띠를 간단하게 권회시켜 생산성까지 보장토록 할 수 있는 로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렉시블 밴드에 의해 광반사띠를 아우터 스트랜드의 외주연을 따라 나선형으로 간단하게 권회시킬 수 있으며, 플렉시블 밴드에 광반사층을 씌워 야간에 광을 반사토록 함으로써 등산로나 자동차도로 등의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로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반사띠로서 플렉시블 밴드에 씌워지는 광반사층을 25∼30wt%의 폴리카보네이트수지, 10∼15wt%의 우레탄수지, 5∼9wt%의 폴리비닐알콜, 6∼10wt%의 이산화티탄, 10∼20wt%의 백색안료, 5∼9wt%의 소듐포스페이트, 5∼9wt%의 니트로셀룰로오스, 3∼8wt%의 알키드수지, 3∼8wt%의 로진에스테르, 5∼13wt%의 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야간에 광을 반사토록 함으로써 등산로나 도로가 등의 가이드 역할로서 야간에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케 할 수 있도록 한 로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온안료의 색상과 색상안료의 색상이 혼합된 상태에서 한낮의 기온이 올라가게 되면 유색에서 무색으로 되면서 순수한 색상안료(예를 들면 적색)의 색상만이 표출될 수 있도록 하여, 특히 여름철 등산로나 자전거도로 등과 같은 곳에서 일사병이나 열사병 등을 로프로서 경고토록 하여 안전사고 예방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로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우터 스트랜드에 광반사띠를 나선형으로 권회시킨 후 광투과튜브로 보호케 하여 야간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수명까지 보장토록 한 로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수지의 융착으로 광투과튜브를 형성시킬 때 쓰루홀들을 통과하여 합성수지가 아우터 스트랜드에 밀착 융착되어 상호간 떨어지는 현상을 없애 수명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로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수지의 융착으로 광투과튜브를 형성시킬 때 톱니홈들을 통과하여 합성수지가 아우터 스트랜드에 밀착 융착되어 상호간 떨어지는 현상을 없애 수명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로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심을 이루는 코어 스트랜드와, 상기 코어 스트랜드의 외주연을 따라 트위스팅된 아우터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로프에 있어서,
상기 코어 스트랜드는 합성섬유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우터 스트랜드는 메탈로 이루어지며,
상기 아우터 스트랜드의 외주연에 도포된 페인트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아우터 스트랜드의 외주연에 페인트층을 도포시켜 부식 방지는 물론이거니와 잘 파단되지 않도록 하여 위험요소를 없앰과 동시에 수명까지 보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아우터 스트랜드가 메탈로 이루어진 점을 활용하여 전기 또는 히터를 통해 미리 열을 가해 페인트를 스프레이시켜 도포할 때 곧바로 긴밀하게 융착되도록 함으로써 상호간의 고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아우터 스트랜드의 외주연에 도포된 페인트층을 13∼18wt%의 실리카분말, 10∼16wt%의 이산화티탄, 2∼8wt%의 탄산칼슘, 8∼13wt%의 아크릴수지, 7∼15wt%의 에폭시수지, 2∼8wt%의 산화아연, 5∼9wt%의 알키드수지, 3∼10wt%의 알루미늄스테아레이트, 5∼13wt%의 테레빈유, 7∼13wt%의 코발트, 2∼7wt%의 지르코니아로 구성하여 부식 방지는 물론이거니와 잘 파단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아우터 스트랜드의 외주연을 따라 광반사띠를 나선형으로 권회시켜 야간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면서 특히 아우터 스트랜드의 외주연을 따라 광반사띠를 간단하게 권회시켜 생산성까지 보장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 밴드에 의해 광반사띠를 아우터 스트랜드의 외주연을 따라 나선형으로 간단하게 권회시킬 수 있으며, 플렉시블 밴드에 광반사층을 씌워 야간에 광을 반사토록 함으로써 등산로나 자전거도로 등의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광반사띠로서 플렉시블 밴드에 씌워지는 광반사층을 25∼30wt%의 폴리카보네이트수지, 10∼15wt%의 우레탄수지, 5∼9wt%의 폴리비닐알콜, 6∼10wt%의 이산화티탄, 10∼20wt%의 백색안료, 5∼9wt%의 소듐포스페이트, 5∼9wt%의 니트로셀룰로오스, 3∼8wt%의 알키드수지, 3∼8wt%의 로진에스테르, 5∼13wt%의 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야간에 광을 반사토록 함으로써 등산로나 자전거도로 등의 가이드 역할로서 야간에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케 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시온안료의 색상과 색상안료의 색상이 혼합된 상태에서 한낮의 기온이 올라가게 되면 유색에서 무색으로 되면서 순수한 색상안료(예를 들면 적색)의 색상만이 표출될 수 있도록 하여, 특히 여름철 등산로나 자전거도로 등과 같은 곳에서 일사병이나 열사병 등을 로프로서 경고토록 하여 안전사고 예방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아우터 스트랜드에 광반사띠를 나선형으로 권회시킨 후 광투과튜브로 보호케 하여 야간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수명까지 보장토록 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의 융착으로 광투과튜브를 형성시킬 때 쓰루홀들을 통과하여 합성수지가 아우터 스트랜드에 밀착 융착되어 상호간 떨어지는 현상을 없애 수명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의 융착으로 광투과튜브를 형성시킬 때 톱니홈들을 통과하여 합성수지가 아우터 스트랜드에 밀착 융착되어 상호간 떨어지는 현상을 없애 수명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경계표시용 다중로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프를 나타내는 페인트층 및 광반사띠를 포함한 사진.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로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로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본 발명에 따른 로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프를 나타내는 페인트층(40) 및 광반사띠(20)를 포함한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로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을 이루는 코어 스트랜드(11)와, 코어 스트랜드(11)의 외주연을 따라 트위스팅된 아우터 스트랜드(12)를 포함하며, 이러한 로프는 등산로 또는 도로가 자전거도로 나아가 건설현장 또는 도로공사현장 등과 같은 장소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라 코어 스트랜드(11)는 합성섬유로 이루어지고, 아우터 스트랜드(12)는 메탈로 이루어지며, 아우터 스트랜드(12)의 외주연에 도포된 페인트층(40)을 더 포함한다.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코어 스트랜드(11)를 중심에 두고 아우터 스트랜드(12)를 트위스팅시켜 로프를 완성할 때 메탈로 이루어진 아우터 스트랜드(12)는 부식에 약하고, 특히 파단될 경우 인체에 찰과상을 입혀 위험요소로 작용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아우터 스트랜드(12)의 외주연에 페인트층(40)을 도포시켜 부식 방지는 물론이거니와 잘 파단되지 않도록 하여 위험요소를 없앰과 동시에 수명까지 보장케 한 것이다.
이때, 페인트층(40)은 메탈로 이루어진 아우터 스트랜드(12)에 열을 가해준 상태에서 페인트의 스프레이를 통해 형성되도록 한다.
아우터 스트랜드(12)가 메탈로 이루어진 점을 활용하여 전기 또는 히터를 통해 미리 약 400∼60℃의 열을 가해 페인트를 스프레이시켜 도포할 때 곧바로 긴밀하게 융착되도록 함으로써 상호간의 고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페인트층(40)은 13∼18wt%의 실리카분말, 10∼16wt%의 이산화티탄, 2∼8wt%의 탄산칼슘, 8∼13wt%의 아크릴수지, 7∼15wt%의 에폭시수지, 2∼8wt%의 산화아연, 5∼9wt%의 알키드수지, 3∼10wt%의 알루미늄스테아레이트, 5∼13wt%의 테레빈유, 7∼13wt%의 코발트, 2∼7wt%의 지르코니아를 포함한다.
13∼18wt%의 실리카분말(Silica Powder)은 이산화규소로서 내열 및 내약품성이 있으며 빛의 흡수가 적고 뛰어난 도광성(導光性)을 지니고 있어 메탈로 이루어진 아우터 스트랜드(12)에 긴밀히 고착되어 그 부식을 방지하며, 13wt% 이하일 경우 도광성이 약해 야간에 빛 반사를 극대화시키지 못하고 18wt% 이상일 경우 강도가 지나치게 강해 로프를 휠 때 아우터 스트랜드(12)로부터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나 바람직하지 않다.
10∼16wt%의 이산화티탄(Titanium Dioxide)은 백색의 착색안료로서 실리카분말과 더불어 아우터 스트랜드(12)에 긴밀하게 고착되어 부식을 방지하며, 10wt% 이하일 경우 백색의 착색안료 함유율이 적어 야간에 빛 반사를 극대화시키지 못하고 16wt% 이상일 경우 강도가 지나치게 강해 로프를 휠 때 아우터 스트랜드(12)로부터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나 바람직하지 않다.
2∼8wt%의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은 칼슘의 탄산염으로 대리석·방해석·선석(霰石)·석회석·백악·빙주석(氷洲石)·조개껍데기·달걀껍데기·산호 등으로서 산출되고 제철·건축재료 등의 각종 중화제(中和劑)로 사용되며 무색의 결정 또는 백색 고체를 띄면서 실리카분말 및 이산화티탄과 더불어 아우터 스트랜드(12)에 긴밀하게 고착되고, 2wt% 이하일 경우 실리카분말 및 이산화티탄의 혼합시 중화력이 떨어지고 8wt% 이상일 경우 실리카분말 및 이산화티탄의 혼합을 지나치게 무르게 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8∼13wt%의 아크릴수지(Acrylic Resin)는 무색 투명하며 햇볕에 노출시켜도 변색되지 않고, 내약품성이 좋으며, 전기절연성·내수성이 모두 양호하고, 도료 및 접착제로 활용되어 실리카분말, 이산화티탄 및 탄산칼슘을 아우터 스트랜드(12)에 잘 고착될 수 있도록 하고, 8wt% 이하일 경우 접착력이 떨어지고 13wt% 이상일 경우 실리카분말, 이산화티탄 및 탄산칼슘의 혼합을 무르게 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7∼15wt%의 에폭시수지(Epoxy Resin)는 열경화성 수지로서 굽힘강도·굳기 등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고 경화 시에 휘발성 물질의 발생 및 부피의 수축이 없고, 경화할 때는 재료면에서 큰 접착력을 가져 아크릴수지와 더불어 실리카분말, 이산화티탄 및 탄산칼슘을 아우터 스트랜드(12)에 견고하게 고착될 수 있도록 하고, 7wt% 이하일 경우 접착력이 약해지고 15wt% 이상일 경우 지나치게 강도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2∼8wt%의 산화아연(Zinc Oxide)은 물에 녹지 않는 가벼운 백색 분말로 금속아연을 가열 및 기화시켜 만들거나 황산아연 또는 질산아연을 태워서 만들 수 있으며 빗물에 녹지 않은 성질로서 아크릴수지 및 에폭시수지를 통해 아우터 스트랜드(12)에 고착된 실리카분말, 이산화티탄 및 탄산칼슘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2wt% 이하일 경우 빗물에 노출되어 아우터 스트랜드(12)의 부식을 초래하고 8wt% 이상일 경우 강도가 강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5∼9wt%의 알키드수지(Aklyd Resin)는 다가(多價)알코올과 다가산의 축합에 의해 생기는 고분자 물질로 폴리에스터수지에 속하며 도료로 활용되며 요소수지·멜라민 등과 혼합하여 만든 금속도료로 건축물·선박·철교 등에 쓰이는 것으로 아크릴수지, 에폭시수지 및 산화아연과 더불어 아우터 스트랜드(12)를 긴밀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5wt% 이하일 경우 아우터 스트랜드(12)를 보호하는 도료로서의 성능이 떨어지고 9wt% 이상일 경우 강도를 강하게 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3∼10wt%의 알루미늄스테아레이트(Aluminum Monostearate)는 주로 스테아린산(C18H36O2) 및 팔미틴산(C16H32O2)의 알루미늄화합물로서 유화안정제, 점도증가제 및 착색제로 쓰이며 실리카분말, 이산화티탄, 탄산칼슘, 아크릴수지, 에폭시수지, 산화아연, 알키드수지 및 알루미늄스테아레이트 상호간을 안정되게 혼합시키면서 점착력 및 접착력을 증대시키고, 3wt% 이하일 경우 실리카분말, 이산화티탄, 탄산칼슘, 에폭시수지, 산화아연, 알키드수지 및 알루미늄스테아레이트의 혼합 정도 및 점도를 떨어뜨리고 10wt% 이상일 경우 지나치게 무르게 되는 문제가 있다.
5∼13wt%의 테레빈유(Turpentine)는 소나무에서 얻는 무색의 정유(精油)로 생송진(生松津)을 수증기로 증류하거나 소나무 가지를 직접 수증기로 증류해서 얻는 것으로, 도료 제조 원료, 유화의 용제로 활용되며 실리카분말, 이산화티탄, 탄산칼슘, 아크릴수지, 에폭시수지, 산화아연, 알키드수지, 알루미늄스테아레이트 및 테레빈유 상호간을 잘 섞이게 하고, 5wt% 이하일 경우 용제의 역할이 떨어지고 13wt% 이상일 경우 너무 무르게 혼합되게 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7∼13wt%의 코발트(Cobalt)는 니켈과 같이 주로 비소 화합물로 산출되고 고온에서의 내산화성, 내식성, 내마모성 및 기계적 여러 성질이 뛰어나 아우터 스트랜드(12)에 도포될 경우 장기간 수명을 보장하고, 7wt% 이하일 경우 내산화성 및 내식성이 떨어지고 13wt% 이상일 경우 강도가 지나치게 강하게 된다.
2∼7wt%의 지르코니아(Zirconia)는 물에 녹지 않고, 요업용(窯業用)으로 쓰이면서 급격한 온도의 변화에 견디므로 급열·급랭에 강해 아우터 스트랜드(12)에 도포되어 장기간 수명을 보장하고, 2wt% 이하일 경우 고온 및 저온에 약하게 되고 7wt% 이상일 강도가 강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메탈로 이루어진 아우터 스트랜드(12)의 외주연에 도포된 페인트층(40)을 13∼18wt%의 실리카분말, 10∼16wt%의 이산화티탄, 2∼8wt%의 탄산칼슘, 8∼13wt%의 아크릴수지, 7∼15wt%의 에폭시수지, 2∼8wt%의 산화아연, 5∼9wt%의 알키드수지, 3∼10wt%의 알루미늄스테아레이트, 5∼13wt%의 테레빈유, 7∼13wt%의 코발트, 2∼7wt%의 지르코니아로 구성하여 부식 방지는 물론이거니와 잘 파단되지 않도록 하여 수명까지 보장케 한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로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로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로프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스트랜드(12)의 외주연을 따라 나선형으로 권회되는 광반사띠(20)를 더 포함한다.
코어 스트랜드(11) 및 아우터 스트랜드(12)의 트위스팅으로 이루어진 로프를 등산로나 자전거도로 나아가 건설현장 또는 도로공사현장 등과 같은 장소에 설치할 경우 야간에도 안전을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페인팅층의 외주연을 따라 광반사띠(20)를 나선형으로 권회시켜 야간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페인팅층의 외주연을 따라 광반사띠(20)를 간단하게 권회시켜 생산성까지 보장토록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광반사띠(20)는 페인팅층의 외주연을 따라 나선형으로 권회되는 플렉시블 밴드(21)와, 플렉시블 밴드(21) 위에 씌워진 광반사층(22)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시블 밴드(21)에 의해 광반사띠(20)를 페인팅층의 외주연을 따라 나선형으로 간단하게 권회시킬 수 있으며, 플렉시블 밴드(21)에 광반사층(22)을 씌워 야간에 광을 반사토록 함으로써 등산로나 도로가 등의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광반사층(22)은 25∼30wt%의 폴리카보네이트수지, 10∼15wt%의 우레탄수지, 5∼9wt%의 폴리비닐알콜, 6∼10wt%의 이산화티탄, 10∼20wt%의 백색안료, 5∼9wt%의 소듐포스페이트, 5∼9wt%의 니트로셀룰로오스, 3∼8wt%의 알키드수지, 3∼8wt%의 로진에스테르, 5∼13wt%의 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폴리카보네이트수지(Polycarbonate Resin)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자기 소화성, 투명성 등의 특징이 있으며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하여 플렉시블 밴드(21) 위에 씌워져 변형되지 않으며, 특히 흡습으로 인한 치수 변화가 대단히 적고, 온도 변화에 따른 물리특성이 안정되어 본 발명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고, 25wt% 미만일 경우 내충격성이 떨어지고 30wt% 이상일 경우 유연성이 떨어져 바람직하지 않다.
우레탄수지(Urethane Resin)는 연질의 굳기를 가져 폴리카보네이트수지와 혼합되어 플렉시블 밴드(21) 위에 긴밀하게 고착될 수 있도록 하며, 10wt% 이하일 경우 폴리카보네이트수지의 굳기가 약해지고 15wt% 이상일 경우 폴리카보네이트수지의 강도를 강하게 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은 열가소성이며 내유성(耐油性)이 있어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및 우레탄수지의 혼합시 성질 변화를 막아 온도에 의한 치수 변화를 차단함과 동시에 물리적 특성을 보장케 하며, 5wt% 이하일 경우 여름철 고온에 의한 치수 변화 및 겨울철 저온에 의한 치수변화를 가져오고 9wt% 이상일 경우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및 우레탄수지의 양을 상대적으로 적게 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이산화티탄(Titanium Dioxide)은 물에 불용인 무색의 결정으로 산화티탄이라고도 하고, 백색안료로 사용되어 백색안료와 더불어 광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하며, 6wt% 이하일 경우 광 반사율이 떨어지고 10wt% 이상일 경우 백색안료를 상대적으로 적게 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소듐포스페이트(Sodium Phosphate)는 폴리카보네이트수지, 우레탄수지, 폴리비니알콜, 이산화티탄 및 백색안료의 혼합시 상호간 균일하게 섞일 수 있도록 하는 완충제로서 5wt% 이하일 폴리카보네이트수지, 우레탄수지, 폴리비니알콜, 이산화티탄 및 백색안료의 균일한 혼합을 보장하지 못하고 9wt% 이상일 경우 폴리카보네이트수지, 우레탄수지, 폴리비니알콜, 이산화티탄 및 백색안료을 너무 무르게 혼합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니트로셀룰로오스(Nitrocellulose)는 셀룰로오스를 황산과 질산을 혼합한 것으로 질산에스테르화하여 얻게 되는 백색 섬유상 물질로서 이산화티탄 및 백색안료와 더불어 광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하며 5wt% 이하일 경우 광 반사율이 저하되고 9wt% 이상일 경우 백색안료를 상대적으로 적게 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알키드수지(Alkyd Resin) 및 로진에스테르(Rosin Ester)는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및 우레탄수지 속에서 이산화티탄, 백색안료, 소듐포스페이트 및 니트로셀룰로오스의 결합을 유지시켜주는 도료로서 3wt% 이하일 경우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및 우레탄수지 속에서 이산화티탄, 백색안료, 소듐포스페이트 및 니트로셀룰로오스의 원활한 결합을 이루지 못하도록 하고 8wt% 이상일 경우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및 우레탄수지 속에서 이산화티탄, 백색안료, 소듐포스페이트 및 니트로셀룰로오스의 무른 결합을 일으켜 바람직하지 않다.
프탈레이트(Phthalate)는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및 우레탄수지를 부드럽게 하하는 첨가제로서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및 우레탄수지와 더불어 이산화티탄, 백색안료, 소듐포스페이트, 니트로셀룰로오스, 알키드수지 및 로진에스테르의 균일한 혼합을 가능하게 하며, 5wt% 이하일 경우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및 우레탄수지와 더불어 이산화티탄, 백색안료, 소듐포스페이트, 니트로셀룰로오스, 알키드수지 및 로진에스테르의 균일한 혼합을 이루어내지 못하고 13wt% 이상일 경우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및 우레탄수지와 더불어 이산화티탄, 백색안료, 소듐포스페이트, 니트로셀룰로오스, 알키드수지 및 로진에스테르의 무른 혼합을 일으켜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이때, 백색안료는 산화타이타늄, 산화아연 및 황화아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산화타이타늄(Titanium Dioxide)은 타이타늄의 산화물로 내산(耐酸) 및 내알칼리 백색 도료로서 야간에 광 반사를 극대화시키고, 산화아연(Zinc Oxide)은 가벼운 백색 분말로 야간에 광 반사를 가능케 하고, 황화아연(Zinc Sulfide) 역시 백색 안료로서 야간에 광 반사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프는 광반사띠(20)로서 플렉시블 밴드(21)에 씌워지는 광반사층(22)을 25∼30wt%의 폴리카보네이트수지, 10∼15wt%의 우레탄수지, 5∼9wt%의 폴리비닐알콜, 6∼10wt%의 이산화티탄, 10∼20wt%의 백색안료, 5∼9wt%의 소듐포스페이트, 5∼9wt%의 니트로셀룰로오스, 3∼8wt%의 알키드수지, 3∼8wt%의 로진에스테르, 5∼13wt%의 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야간에 광을 반사토록 함으로써 등산로나 도로가 등의 가이드 역할로서 야간에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케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광반사띠(20)는 광반사층(22) 위에 등간격으로 씌워져 열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유색을 유지하다가 열을 받을 경우 무색으로 되는 시온안료층(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온안료층(23)는 금속착염, 코레스텔릭액정, 메타모컬러와 같은 시온안료를 적용할 수 있고, 시온안료의 색상과 색상안료의 색상이 혼합된 상태에서 한낮의 기온이 올라가게 되면 유색에서 무색으로 되면서 순수한 색상안료(예를 들면 적색)의 색상만이 표출될 수 있도록 하여, 특히 여름철 등산로나 자전거도로 등과 같은 곳에서 일사병이나 열사병 등을 로프로서 경고케 할 수 있어 안전사고 예방이라는 측면에서 바람직하게 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로프는 광반사띠(20)를 감싸면서 아우터 스트랜드(12)의 표면에 합성수지로 융착된 광투과튜브(3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스트랜드(11) 및 아우터 스트랜드(12)의 트위스팅으로 이루어진 로프를 등산로나 자전거도로 또는 건설현장, 도로공사 등과 같은 장소에 설치할 경우 야간에도 안전을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아우터 스트랜드(12)에 광반사띠(20)를 나선형으로 권회시킨 후 광투과튜브(30)로 보호케 하여 야간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수명까지 보장토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광반사띠(2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의 등간격으로 뚫려진 쓰루홀(20a)들을 포함하여 합성수지의 융착으로 광투과튜브(30)를 형성시킬 때 쓰루홀(20a)들을 통과하여 합성수지가 아우터 스트랜드(12)에 밀착 융착되도록 하여 상호간 떨어지는 현상을 없애 수명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광반사띠(20)는 도 3b에 도시된 양측 테두리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들쭉날쭉한 톱니홈(20b)들을 포함하여 합성수지의 융착으로 광투과튜브(30)를 형성시킬 때 톱니홈(20b)들을 통과하여 합성수지가 아우터 스트랜드(12)에 밀착 융착되도록 하여 상호간 떨어지는 현상을 없애 수명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각종 건설현장이나 공사현장 등산로 도로 자전거도로 또는 인도 등과 같은 산업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11 : 코어 스트랜드 12 : 아우터 스트랜드
20 : 광반사띠 20a : 쓰루홀
20b : 톱니홈 21 : 플렉시블 밴드
22 : 광반사층 23 : 시온안료층
30 : 광투과튜브 40 : 페인트층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중심을 이루는 코어 스트랜드(11)와, 상기 코어 스트랜드(11)의 외주연을 따라 트위스팅된 아우터 스트랜드(12)를 포함하는 로프에 있어서,
    상기 코어 스트랜드(11)는 합성섬유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우터 스트랜드(12)는 메탈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우터 스트랜드(12)의 외주연에 도포된 페인트층(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페인트층(40)은 메탈로 이루어진 상기 아우터 스트랜드(12)에 열을 가해준 상태에서 페인트의 스프레이를 통해 형성되며,
    상기 페인트층(40)은 13∼18wt%의 실리카분말, 10∼16wt%의 이산화티탄, 2∼8wt%의 탄산칼슘, 8∼13wt%의 아크릴수지, 7∼15wt%의 에폭시수지, 2∼8wt%의 산화아연, 5∼9wt%의 알키드수지, 3∼10wt%의 알루미늄스테아레이트, 5∼13wt%의 테레빈유, 7∼13wt%의 코발트, 2∼7wt%의 지르코니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페인트층(40)의 외주연을 따라 나선형으로 권회되는 광반사띠(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띠(20)는
    상기 페인트층(40)의 외주연을 따라 나선형으로 권회되는 플렉시블 밴드(21)와,
    상기 플렉시블 밴드(21) 위에 씌워진 광반사층(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6. 중심을 이루는 코어 스트랜드(11)와, 상기 코어 스트랜드(11)의 외주연을 따라 트위스팅된 아우터 스트랜드(12)를 포함하는 로프에 있어서,
    상기 코어 스트랜드(11)는 합성섬유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우터 스트랜드(12)는 메탈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우터 스트랜드(12)의 외주연에 도포된 페인트층(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페인트층(40)의 외주연을 따라 나선형으로 권회되는 광반사띠(20)를 포함하고,
    상기 광반사띠(20)는 상기 페인트층(40)의 외주연을 따라 나선형으로 권회되는 플렉시블 밴드(21)와, 상기 플렉시블 밴드(21) 위에 씌워진 광반사층(22)을 포함하고,
    상기 광반사층(22)은 25∼30wt%의 폴리카보네이트수지, 10∼15wt%의 우레탄수지, 5∼9wt%의 폴리비닐알콜, 6∼10wt%의 이산화티탄, 10∼20wt%의 백색안료, 5∼9wt%의 소듐포스페이트, 5∼9wt%의 니트로셀룰로오스, 3∼8wt%의 알키드수지, 3∼8wt%의 로진에스테르, 5∼13wt%의 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안료는 산화타이타늄, 산화아연 및 황화아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띠(20)는 상기 광반사층(22) 위에 등간격으로 씌워져 열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유색을 유지하다가 열을 받을 경우 무색으로 되는 시온안료층(2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띠(20)를 감싸면서 상기 아우터 스트랜드(12)의 표면에 합성수지로 융착된 광투과튜브(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띠(20)는 길이방향의 등간격으로 뚫려진 쓰루홀(20a)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띠(20)는 양측 테두리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들쭉날쭉한 톱니홈(20b)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KR1020180010514A 2018-01-29 2018-01-29 로프 KR102027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514A KR102027182B1 (ko) 2018-01-29 2018-01-29 로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514A KR102027182B1 (ko) 2018-01-29 2018-01-29 로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678A KR20190091678A (ko) 2019-08-07
KR102027182B1 true KR102027182B1 (ko) 2019-10-01

Family

ID=67621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514A KR102027182B1 (ko) 2018-01-29 2018-01-29 로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1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7680B1 (ko) * 2022-06-08 2022-10-21 유현선 로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171B1 (ko) * 2019-10-23 2020-01-14 디에스알 주식회사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지는 와이어 로프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292Y1 (ko) * 2014-08-04 2014-11-26 (주) 닉스월드 폐현수막을 이용한 반사띠가 구비된 로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05978A1 (de) 1992-06-06 1993-12-09 Bosch Gmbh Robert Bremsblockierschutzeinrichtung
JPH0733996U (ja) * 1993-11-24 1995-06-23 裕 宮入 温度カラー表示チューブ
US9708758B2 (en) * 2012-04-24 2017-07-18 Dsm Ip Assets B.V. Hybrid rope or hybrid strand
KR20150116747A (ko) * 2014-04-08 2015-10-16 손다연 등산용 자체 발광 로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292Y1 (ko) * 2014-08-04 2014-11-26 (주) 닉스월드 폐현수막을 이용한 반사띠가 구비된 로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7680B1 (ko) * 2022-06-08 2022-10-21 유현선 로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678A (ko) 201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7182B1 (ko) 로프
KR100937494B1 (ko) 축광 와이어 로프 및 그 제조방법
US3288618A (en) Colored reflective coating composition
KR20190091677A (ko) 로프
KR200264547Y1 (ko) 야광 코팅처리된 와이어 로프
ES2757518T3 (es) Agente protector contra la corrosión a base de aceite, cera o grasa, para una estructura metálica, en particular para acero pretensado
JP5526577B2 (ja) 再帰性反射塗料組成物
KR200475292Y1 (ko) 폐현수막을 이용한 반사띠가 구비된 로프
US6660378B2 (en) Glow-in-the-dark animal tie-out
CN102010638A (zh) 一种高耐候性防腐涂料及铁塔组件
CN202862702U (zh) 反光丝
CN111777888B (zh) 一种公路隧道内壁自发光反光涂料及应用方法
CN209426324U (zh) 重复使用的反光警示带
KR20130007211U (ko) 차선표시용 축광 유리 비드
CN103919314A (zh) 一种用于夜间安全防护的反光布
CN109287311B (zh) 一种用于提升作物光合作用的光谱线结构
CN203510856U (zh) 一种雨夜高亮反光布
KR20170122473A (ko) 내구성이 향상된 차열 및 축광 도료 조성물
KR102598400B1 (ko) 로프의 제조방법
KR20090010332U (ko) 와이어로프
CN205743189U (zh) 一种倒车垫
KR20110019600A (ko) 노면 표시 선의 도장 방법
KR102331426B1 (ko) 글라스비드가 구비된 판재형 가드레일
JP2008202151A (ja) ロープ
CN205064541U (zh) 无纬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