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6040B1 - 증기 터빈 냉각 장치 - Google Patents

증기 터빈 냉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6040B1
KR102026040B1 KR1020187017172A KR20187017172A KR102026040B1 KR 102026040 B1 KR102026040 B1 KR 102026040B1 KR 1020187017172 A KR1020187017172 A KR 1020187017172A KR 20187017172 A KR20187017172 A KR 20187017172A KR 102026040 B1 KR102026040 B1 KR 102026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cooling
turbine
superheated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7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1804A (ko
Inventor
다쿠미 마츠무라
도요하루 니시카와
가츠히사 하마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81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1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08Cooling; Heating; Heat-insulation
    • F01D25/12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4Casings; Casing parts, e.g. diaphragms, casing fast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9/00Stators
    • F01D9/02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9/00Stators
    • F01D9/06Fluid supply conduits to nozzl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D2220/31Application in turbines in steam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10St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20Heat transfer, e.g. cooling
    • F05D2260/201Heat transfer, e.g. cooling by impingement of a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20Heat transfer, e.g. cooling
    • F05D2260/232Heat transfer, e.g. cooling characterized by the cooling medium
    • F05D2260/2322Heat transfer, e.g. cooling characterized by the cooling medium stea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60Efficient propulsion technologies, e.g. for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Abstract

증기 터빈(120, 130, 140)에 대하여, 과열 증기 공급관(69A)을 따라서 차실(62(외측 차실(62A) 및 내측 차실(62B)))을 관통하여 간극(65B)에 이르러 설치된 냉각 증기 통로(69Ba)와, 냉각 증기 통로(69Ba)를 통해 과열 증기 공급관(69A)을 따라서 간극(65B)에 이르고, 과열 증기 공급관(69A)에 의해 공급되는 과열 증기(G)보다도 높은 압력이며 저온인 냉각 증기(C)를 공급하는 냉각 증기 공급부(70)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냉각 효율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증기 터빈 냉각 장치
본 발명은 증기 터빈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증기 터빈은, 증기 온도를 초고온화시켜 플랜트 열효율을 한층 더 향상시킴과 함께, 증기의 초고온화에 대처시켜 터빈 구성 부품에 높은 강도 보증을 유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증기 터빈은, 이중 케이싱에 수용된 터빈 로터에 터빈 단락을 설치하고, 이 터빈 단락에 증기 공급관으로부터의 작동 증기를 상기 터빈 단락에 안내하는 노즐 박스를 구비한 증기 터빈에 있어서, 터빈 로터와 노즐 박스 사이에 이중 케이싱을 통해 설치한 냉각 증기 입구부와, 이 냉각 증기 입구부로부터 공급된 냉각 증기를 분배하고, 분배한 냉각 증기의 한쪽을 노즐 박스의 외측을 냉각시킨 후, 터빈 단락, 터빈 로터 및 이중 케이싱의 각각에 공급하는 수단과, 분배한 냉각 증기의 다른쪽을 이중 케이싱과 터빈 로터 사이에 설치한 접지부를 통해 이중 케이싱을 냉각시킨 냉각 증기와 합류시켜 증기 공급관에 공급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04951호 공보
상술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증기 터빈은, 증기 공급관을 외부관과 내부관의 이중관 구조로 구성하며 내부관과 외부관 사이에 냉각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즉, 증기 공급관은, 내부관의 내부 통로와, 내부관과 외부관 사이의 냉각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관의 내부는, 이중 케이싱에 있어서의 내부 케이싱에 격납된 노즐 박스에 접속되고, 냉각 통로는, 이중 케이싱의 외부 케이싱 내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초고온화시킨 증기는, 내부관으로부터 노즐 박스 내에 공급되어 노즐 박스에 의해 내부 케이싱 내의 터빈 단락으로 안내된다. 한편, 냉각 증기는, 터빈 로터와 노즐 박스 사이에 냉각 증기 입구부로부터 공급되고, 그 후에 한쪽이 노즐 박스의 외측을 거쳐, 터빈 단락, 터빈 로터 및 내부 케이싱 내의 각각에 공급되며, 다른쪽이 내부 케이싱과 터빈 로터 사이에 설치한 접지부를 통해 외부 케이싱 내에서 합류되어 증기 공급관의 냉각 통로에 공급된다.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증기 터빈은, 냉각 증기가 한쪽과 다른쪽으로 분배되어 각처에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각 부에 공급하는 유량을 컨트롤하는 것이 어렵다. 이 결과, 각처에 충분한 냉각 효과가 얻어지지 않아, 냉각 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런데, 증기 터빈의 냉각에 있어서는, 증기 터빈의 구동에 공급되는 증기보다도 저온인 증기를 공급할 필요가 있고, 또한 증기 터빈의 구동에 공급되는 증기보다도 고압의 증기를 공급할 필요가 있지만, 증기 터빈의 로터의 최고 온도부는, 증기 터빈의 내부에 있어서 가장 압력이 높고, 이 압력보다도 고압이며 온도가 낮은 냉각 증기를 공급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이것은, 증기 터빈 내의 증기가 온도의 저하와 압력의 저하를 동시에 수반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증기 터빈 냉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증기 터빈 냉각 장치는, 자체의 회전 축심을 따라서 연장되는 회전체로서의 로터와, 상기 로터를 격납하는 차실과, 상기 로터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상기 로터와 상기 차실 사이에 설치된 증기 통로와, 상기 로터의 외주를 둘러싸는 환상으로 형성되며 그 외면과 상기 로터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증기 통로에 연통하는 간극을 가지고 상기 차실 내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 환상을 따라서 형성된 증기 노즐실 및 상기 증기 노즐실로부터 상기 로터의 연장 방향을 향해 상기 증기 통로에 연통하는 개구를 갖는 증기 노즐부와, 상기 차실의 외부로부터 상기 차실을 관통하여 상기 증기 노즐부의 상기 증기 노즐실에 연통하여 설치되며 과열된 증기가 공급되는 과열 증기 공급관을 포함하는 증기 터빈에 대하여, 상기 과열 증기 공급관을 따라서 상기 차실을 관통하여 상기 간극에 이르러 설치된 냉각 증기 통로와, 상기 냉각 증기 통로를 통해 상기 과열 증기 공급관을 따라서 상기 간극에 이르고, 상기 과열 증기 공급관에 의해 공급되는 증기보다도 높은 압력이며 저온인 냉각 증기를 공급하는 냉각 증기 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증기 터빈 냉각 장치에 의하면, 과열 증기 공급관에 의해 공급되는 과열 증기는, 증기 노즐부의 증기 노즐실로부터 개구를 거쳐 증기 통로에 이른다. 이 과열 증기는, 온도 및 압력이 그 유동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서서히 저하된다. 한편, 냉각 증기는 냉각 증기 통로를 통해 과열 증기 공급관을 따라서 간극에 이르고, 과열 증기의 온도에 수반하여 온도가 높은 부분으로부터 낮은 부분을 따라서 유동한다. 이 때문에, 고온부를 냉각 증기에 의해 확실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게다가, 간극으로부터 증기 통로에 이르는 냉각 증기는, 과열 증기에 가까운 온도가 되어 과열 증기에 합류하기 때문에, 증기 터빈의 성능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냉각 증기는 복수로 분산되지 않고, 일련의 경로를 따라가기 때문에, 냉각 시에 유량의 컨트롤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증기 터빈 냉각 장치에서는, 상기 냉각 증기 통로는, 상기 과열 증기 공급관의 외주를 둘러싸며 상기 차실에 설치된 외부관과, 상기 과열 증기 공급관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이며, 상기 차실의 외부로부터 상기 차실의 내부에 이르러 상기 간극에 연통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증기 터빈 냉각 장치에 의하면, 과열 증기 공급관을 따라서 차실을 관통하여 간극에 이르는 경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증기 터빈 냉각 장치에서는, 상기 냉각 증기 통로는, 상기 과열 증기 공급관의 외주면과 상기 차실의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에 연통하여 설치된 상기 증기 노즐부의 벽 내의 공동부와, 상기 공동부로부터 상기 간극에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차실의 외부로부터 상기 차실의 내부에 이르러 상기 간극에 연통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증기 터빈 냉각 장치에 의하면, 과열 증기 공급관을 따라서 차실을 관통하여 간극에 이르는 경로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복합 사이클 플랜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증기 터빈 냉각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증기 터빈 냉각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에는, 당업자가 치환 가능하며 또한 용이한 것,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포함된다.
본 실시 형태의 증기 터빈 냉각 장치는, 회전 기계로서, 예를 들어 가스 터빈이나 증기 터빈에 적용된다. 도 1은, 이들 가스 터빈 및 증기 터빈이 적용되는 복합 사이클 플랜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복합 사이클 플랜트(100)는, 가스 터빈(110), 고압 증기 터빈(120), 중압 증기 터빈(130), 저압 증기 터빈(140)으로 구성되고, 이들 가스 터빈(110), 고압 증기 터빈(120), 중압 증기 터빈(130), 저압 증기 터빈(140)은 발전기(150)와 동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가스 터빈(110)은 압축기(111), 연소기(112), 터빈(113)으로 구성되어 있다. 압축기(111)에 있어서, 압축기 입구 공기(114)가 승압되어 연소기(112)에 공급된다. 연소기(112)에 있어서, 공급된 공기와 연료(115)에 의해 고온의 연소 가스가 생성되어 터빈(113)에 공급된다. 터빈(113)을 통과하는 연소 가스는 터빈(113)을 회전 구동한 후에 배기 가스가 되어 배출된다.
복합 사이클 플랜트(100)는, 가스 터빈(110)에 있어서의 터빈(113)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가열원으로 하여 물로부터 과열 증기를 생성하는 보일러(배열(排熱) 회수 보일러)(1)를 구비한다. 이 보일러(1)에 의해 생성되는 과열 증기에 의해 고압 증기 터빈(120), 중압 증기 터빈(130), 저압 증기 터빈(140)이 구동된다. 그리고, 이들 가스 터빈(110), 고압 증기 터빈(120), 중압 증기 터빈(130), 저압 증기 터빈(140)의 구동에 의해 발전기(150)에서 발전된다. 또한, 저압 증기 터빈(140)에 이용된 증기는, 당해 저압 증기 터빈(140)에 접속된 복수(復水)기(160)에 의해 복수로 되고, 과열 증기를 생성하기 위한 물로서 보일러(1)에 보내진다.
보일러(1)는 가스 터빈(110)에 있어서의 터빈(113)의 배기측에 설치된 연도(煙道)(113a)에 접속된다. 보일러(1)는, 배기 가스의 흐름 하류측으로부터, 저압 절탄기(10), 저압 드럼(11), 저압 증발기(12), 중압 절탄기(13), 고압 1차 절탄기(14), 중압 드럼(15), 중압 증발기(16), 저압 과열기(17), 고압 2차 절탄기(18), 중압 과열기(19), 고압 드럼(20), 고압 증발기(21), 고압 1차 과열기(22), 1차 재열기(23), 2차 재열기(24), 고압 2차 과열기(25)가 설치되고, 또한 복수 펌프(26), 중압 급수 펌프(27), 고압 급수 펌프(28)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보일러(1)는, 저압 증기 터빈(140)을 구동하기 위한 저압 과열 증기를 생성하는 저압계와, 중압 증기 터빈(130)을 구동하기 위한 중압 과열 증기를 생성하는 중압계와, 고압 증기 터빈(120)을 구동하기 위한 고압 과열 증기를 생성하는 고압계를 갖고 있다. 저압계는 저압 절탄기(10), 저압 드럼(11), 저압 증발기(12), 저압 과열기(17), 복수 펌프(26)로 구성된다. 중압계는 중압 절탄기(13), 중압 드럼(15), 중압 증발기(16), 중압 과열기(19), 1차 재열기(23), 2차 재열기(24), 중압 급수 펌프(27)로 구성된다. 고압계는 고압 1차 절탄기(14), 고압 2차 절탄기(18), 고압 드럼(20), 고압 증발기(21), 고압 1차 과열기(22), 고압 2차 과열기(25), 고압 급수 펌프(28)로 구성된다.
저압계에 있어서, 저압 절탄기(10)는 접속 라인(30)에서 복수기(160)와 접속되어 있다. 이 접속 라인(30)에 복수 펌프(26)가 설치된다. 또한, 저압 절탄기(10)는, 3개로 분기하는 접속 라인(31) 중 저압 분기 라인(31a)에서 저압 드럼(11)과 접속된다. 저압 드럼(11)은 저압 증발기(12)에 접속된다. 또한, 저압 드럼(11)은 접속 라인(32)에서 저압 과열기(17)에 접속된다. 저압 과열기(17)는 접속 라인(33)에서 저압 증기 터빈(140)의 입구측에 접속된다. 저압 증기 터빈(140)의 출구측은 접속 라인(34)에서 복수기(160)에 접속된다.
즉, 저압계는, 복수기(160)의 물(복수)이 복수 펌프(26)에 의해 접속 라인(30)을 거쳐 저압 절탄기(10)에 유입하여 가열되고, 접속 라인(31)의 저압 분기 라인(31a)을 거쳐 저압 드럼(11)에 유입한다. 저압 드럼(11)에 공급된 물은, 저압 증발기(12)에서 증발하여 포화 증기가 되어 저압 드럼(11)으로 복귀되고, 접속 라인(32)을 거쳐 저압 과열기(17)로 송출된다. 저압 과열기(17)에서 포화 증기가 과열되고, 이 과열 증기는 접속 라인(33)을 거쳐 저압 증기 터빈(140)에 공급된다. 저압 증기 터빈(140)을 구동하여 배출된 증기는, 접속 라인(34)을 거쳐 복수기(160)로 유도되어 물(복수)이 되고, 복수 펌프(26)에 의해 접속 라인(30)을 거쳐 저압 절탄기(10)로 송출된다.
중압계에 있어서, 중압 절탄기(13)는, 저압 절탄기(10)에 대하여 3개로 분기하는 접속 라인(31) 중 중압 분기 라인(31b)에서 접속된다. 이 중압 분기 라인(31b)에 중압 급수 펌프(27)가 설치된다. 또한, 중압 절탄기(13)는 접속 라인(35)에서 중압 드럼(15)에 접속된다. 이 접속 라인(35)은 도중에 유량 조정 밸브(36)가 설치된다. 중압 드럼(15)은 중압 증발기(16)에 접속된다. 또한, 중압 드럼(15)은 접속 라인(37)에서 중압 과열기(19)에 접속된다. 중압 과열기(19)는 접속 라인(38)에서 1차 재열기(23)의 입구측에 접속된다. 또한, 중압계에 있어서, 1차 재열기(23)는 접속 라인(40)에서 고압 증기 터빈(120)의 출구측에 접속된다. 또한, 1차 재열기(23)는 접속 라인(41)에서 2차 재열기(24)에 접속된다. 그리고, 2차 재열기(24)는 접속 라인(42)에서 중압 증기 터빈(130)의 입구측에 접속된다. 중압 증기 터빈(130)의 출구측은 접속 라인(39)에서 저압 증기 터빈(140)의 입구측에 접속된다.
즉, 중압계는, 저압 절탄기(10)에서 가열된 물이 중압 급수 펌프(27)에 의해 접속 라인(31)의 중압 분기 라인(31b)을 거쳐 중압 절탄기(13)에 유입되며 또한 가열되고, 접속 라인(35)을 거쳐 중압 드럼(15)에 유입된다. 중압 드럼(15)에 공급된 물은, 중압 증발기(16)에서 증발하여 포화 증기가 되어 중압 드럼(15)으로 복귀되고, 접속 라인(37)을 거쳐 중압 과열기(19)로 송출된다. 중압 과열기(19)에서 포화 증기가 과열되고, 이 과열 증기는 접속 라인(38)을 거쳐 1차 재열기(23)에 공급된다. 또한, 중압계에서는, 고압 증기 터빈(120)을 구동하여 배출된 증기는, 접속 라인(40)을 거쳐 1차 재열기(23)로 송출된다. 1차 재열기(23)에서 증기가 과열되고, 이 과열 증기는 접속 라인(41)을 거쳐 2차 재열기(24)로 송출된다. 2차 재열기(24)에서 증기가 더욱 과열되고, 이 과열 증기는 접속 라인(42)을 거쳐 중압 증기 터빈(130)에 공급된다. 또한, 중압 증기 터빈(130)을 구동하여 배출된 증기는, 접속 라인(39)을 거쳐 저압 증기 터빈(140)에 공급된다.
또한, 1차 재열기(23) 및 2차 재열기(24)는 증기를 과열하는 것인 점에서, 과열기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과열기에 포함된다. 즉, 1차 재열기(23)를 제1 과열기라고도 하며, 2차 재열기(24)를 제2 과열기라고도 한다.
고압계에 있어서, 고압 1차 절탄기(14)는, 저압 절탄기(10)에 대하여 3개로 분기하는 접속 라인(31) 중 고압 분기 라인(31c)에서 접속된다. 이 고압 분기 라인(31c)에 고압 급수 펌프(28)가 설치된다. 또한, 고압 1차 절탄기(14)는 접속 라인(43)에서 고압 2차 절탄기(18)에 접속된다. 고압 2차 절탄기(18)는 접속 라인(44)에서 고압 드럼(20)에 접속된다. 이 접속 라인(44)은 도중에 유량 조정 밸브(45)가 설치된다. 고압 드럼(20)은 고압 증발기(21)에 접속된다. 또한, 고압 드럼(20)은 접속 라인(46)에서 고압 1차 과열기(22)에 접속된다. 고압 1차 과열기(22)는 접속 라인(47)에서 고압 2차 과열기(25)에 접속된다. 고압 2차 과열기(25)는 접속 라인(48)에서 고압 증기 터빈(120)의 입구측에 접속된다. 고압 증기 터빈(120)의 출구측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 라인(40)에서 중압계의 1차 재열기(23)에 접속된다.
즉, 고압계는, 저압 절탄기(10)로 가열된 물이 고압 급수 펌프(28)에 의해 접속 라인(31)의 고압 분기 라인(31c)을 거쳐 고압 1차 절탄기(14)에 유입되어 더 가열되고, 또한 접속 라인(43)을 거쳐 고압 2차 절탄기(18)에 유입되어 더 가열되며 접속 라인(44)을 거쳐 고압 드럼(20)에 유입된다. 고압 드럼(20)에 공급된 물은, 고압 증발기(21)에서 증발하여 포화 증기가 되어 고압 드럼(20)으로 복귀되고, 접속 라인(46)을 거쳐 고압 1차 과열기(22)로 송출된다. 고압 1차 과열기(22)에서 포화 증기가 과열되고, 이 과열 증기는 접속 라인(47)을 거쳐 고압 2차 과열기(25)로 송출된다. 고압 2차 과열기(25)에서 과열 증기가 더 과열되고, 이 과열 증기는 접속 라인(48)을 거쳐 고압 증기 터빈(120)에 공급된다.
도 2 및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증기 터빈 냉각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증기 터빈(120, 130, 14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61)와, 차실(62)과, 증기 통로(63)와, 증기 노즐부(64A)와, 정익(66A, 66B)과, 동익(67)과, 과열 증기 공급관(69A)을 포함한다.
로터(61)는 자체의 회전 축심(S)을 따라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차실(62)은 로터(61)를 격납하고, 또한 로터(61)를 축심(S)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차실(62)은 외측 차실(62A) 및 내측 차실(62B)을 포함한다. 외측 차실(62A)은 내측 차실(62B)의 주위를 덮고, 내측 차실(62B)을 격납한다. 내측 차실(62B)은 로터(61)를 격납하고, 또한 로터(61)를 축심(S)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외측 차실(62A)과 내측 차실(62B) 사이에는, 차실 공간부(62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측 차실(62B)과 로터(61)의 외주면에는 간극(65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65A)에는, 내측 차실(62B)로부터 로터(61)를 향해 연장되고, 로터(61)의 연장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된 핀(68)이 설치되어 있다. 핀(68)은 래비린스 시일이나 브러시 시일이나 리프상 시일에 적용되고, 간극(65A)에 있어서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억제한다.
증기 통로(63)는, 로터(61)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로터(61)와 내측 차실(62B) 사이에 설치된 환상의 공간이다.
증기 노즐부(64A)는, 로터(61)의 외주를 둘러싸서 환상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에, 증기 노즐부(64A)의 외주면과 로터(61)의 외주면과 내측 차실(62B)의 내주면으로 구획되고, 증기 통로(63) 및 간극(65A)에 연통하는 간극(65B)을 가지며 내측 차실(62B)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증기 노즐부(64A)는, 그 내부에 환상을 따라서 형성된 증기 노즐실(64Aa)과, 증기 노즐실(64Aa)로부터 로터(61)의 연장 방향을 향해 증기 통로(63)를 통과하는 개구(64Ab)를 갖는다.
또한, 증기 노즐부(64A)는, 증기 노즐실(64Aa)의 개구(64Ab)에 노즐부 정익(66A)이 환상을 따라서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증기 통로(63) 내에 있어서, 내측 차실(62B)에 증기 통로 정익(66B)이 환상을 따라서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증기 통로(63) 내에 있어서, 로터(61)의 외주에 정익(66A, 66B)에 인접하여 동익(67)이 환상을 따라서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과열 증기 공급관(69A)은, 외측 차실(62A) 및 내측 차실(62B)의 외부로부터 각 차실(62A, 62B)을 관통하여 증기 노즐부(64A)의 증기 노즐실(64Aa)에 이르러 연통하여 설치되고, 과열된 과열 증기(G)가 공급됨으로써, 당해 과열 증기(G)를 증기 노즐부(64A)를 통해 증기 통로(63)에 공급한다. 과열 증기 공급관(69A)은, 고압 증기 터빈(120)의 경우, 도 1에 나타내는 접속 라인(48)에 접속되고, 고압 2차 과열기(25)에서 과열된 과열 증기(G)가 공급된다. 또한, 과열 증기 공급관(69A)은, 중압 증기 터빈(130)의 경우, 도 1에 나타내는 접속 라인(42)에 접속되고, 2차 재열기(24)에서 과열된 과열 증기(G)가 공급된다. 또한, 과열 증기 공급관(69A)은, 저압 증기 터빈(140)의 경우, 도 1에 나타내는 접속 라인(33)에 접속되고, 저압 과열기(17)에서 과열된 과열 증기(G)가 공급된다.
따라서, 증기 터빈(120, 130, 140)은, 증기 노즐실(64Aa)에 과열된 과열 증기(G)가 공급되고, 개구(64Ab)로부터 증기 통로(63)에 토출되어, 정익(66A, 66B) 및 동익(67)에 의해 로터(61)가 회전한다.
이러한 증기 터빈(120, 130, 140)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의 증기 터빈 냉각 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증기 터빈 냉각 장치는, 냉각 증기 통로(69Ba)와 냉각 증기 공급부(70)를 구비한다.
냉각 증기 통로(69Ba)는, 과열 증기 공급관(69A)을 따라서 차실(62)(외측 차실(62A) 및 내측 차실(62B))을 관통하여 증기 노즐부(64A)의 외주의 간극(65B)에 이르러 설치되어 있다. 또한, 냉각 증기 공급부(70)는, 냉각 증기 통로(69Ba)에 대하여 과열 증기 공급관(69A)측으로부터 증기 노즐부(64A)의 외주의 간극(65B)에, 과열 증기 공급관(69A)에서 공급되는 과열 증기(G)보다도 높은 압력이며 저온인 냉각 증기(C)를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냉각 증기 통로(69Ba)는, 과열 증기 공급관(69A)의 외주를 둘러싸서 차실(62)에 설치된 통상의 외부관(69B)과, 과열 증기 공급관(69A)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이다. 외부관(69B)은, 외측 차실(62A)의 외부에 위치하는 기단부가 과열 증기 공급관(69A)의 외주면에 접속되어 폐색되고, 이 위치에 냉각 증기 공급부(70)가 연통하는 접속구(69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부관(69B)은, 내측 차실(62B)의 내부에 선단부가 배치되고, 냉각 증기 통로(69Ba)가 증기 노즐부(64A)의 외측이며 내측 차실(62B)의 내부로 개구되어 설치되어 있다. 즉, 도 2에 나타내는 증기 터빈 냉각 장치에서는, 냉각 증기 통로(69Ba)는, 과열 증기 공급관(69A)과 과열 증기 공급관(69A)의 외주를 둘러싸는 외부관(69B)의 이중관(69)으로서 구성되고, 외측 차실(62A)의 외부로부터 내측 차실(62B)의 내부로 통하여 증기 노즐부(64A)의 외주의 간극(65B)에 연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냉각 증기 공급부(70)는, 고압 증기 터빈(120)의 경우, 복합 사이클 플랜트(100)에 있어서의 고압 증발기(21)(고압 드럼(20))의 출구로부터 고압 1차 과열기(22)를 거쳐 고압 2차 과열기(25)의 내부까지의 사이가 공급원이 되고, 당해 공급원이 냉각 증기 통로(69Ba)에 접속 라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속된다. 고압 증기 터빈(120)에 공급되는 과열 증기(G)는, 고압 2차 과열기(25)로부터 접속 라인(48)을 거치지만, 접속 라인(48)을 거치는 과정에서 압력이 저하된다. 따라서, 고압 증발기(21)의 출구로부터 고압 1차 과열기(22)를 거쳐 고압 2차 과열기(25)의 내부까지의 사이의 증기는, 고압 증기 터빈(120)에 공급되는 과열 증기(G)보다도 고압이며 또한 저온이다. 따라서, 고압 증기 터빈(120)에 공급되는 과열 증기(G)보다도 고압이며 또한 저온인 냉각 증기(C)로서 고압 증기 터빈(120)의 내부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냉각 증기 공급부(70)는, 중압 증기 터빈(130)의 경우, 복합 사이클 플랜트(100)에 있어서의 중압 증발기(16)(중압 드럼(15))의 출구로부터 중압 과열기(19) 및 1차 재열기(23)를 거쳐 2차 재열기(24)의 내부까지의 사이가 공급원이 되고, 당해 공급원이 냉각 증기 통로(69Ba)에 접속 라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속된다. 중압 증기 터빈(130)에 공급되는 과열 증기(G)는, 2차 재열기(24)로부터 접속 라인(42)을 거치지만, 접속 라인(42)을 거치는 과정에서 압력이 저하된다. 따라서, 중압 증발기(16)의 출구로부터 중압 과열기(19) 및 1차 재열기(23)를 거쳐 2차 재열기(24)의 내부까지의 사이의 증기는, 중압 증기 터빈(130)에 공급되는 과열 증기(G)보다도 고압이며 또한 저온이다. 따라서, 중압 증기 터빈(130)에 공급되는 과열 증기(G)보다도 고압이며 또한 저온인 냉각 증기(C)를 중압 증기 터빈(130)의 내부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냉각 증기 공급부(70)는, 저압 증기 터빈(140)의 경우, 복합 사이클 플랜트(100)에 있어서의 저압 증발기(12)(저압 드럼(11))의 출구로부터 저압 과열기(17)의 내부까지의 사이가 공급원이 되고, 당해 공급원이 냉각 증기 통로(69Ba)에 접속 라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속된다. 저압 증기 터빈(140)에 공급되는 과열 증기(G)는, 저압 과열기(17)로부터 접속 라인(33)을 거치지만, 접속 라인(33)을 거치는 과정에서 압력이 저하된다. 따라서, 저압 증발기(12)의 출구로부터 저압 과열기(17)의 내부까지의 사이의 증기는, 저압 증기 터빈(140)에 공급되는 과열 증기(G)보다도 고압이며 또한 저온이다. 따라서, 저압 증기 터빈(140)에 공급되는 과열 증기(G)보다도 고압이며 또한 저온인 냉각 증기(C)를 저압 증기 터빈(140)의 내부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도 2에 나타내는 증기 터빈 냉각 장치는, 과열 증기 공급관(69A)을 따라서 차실(62)을 관통하여 간극(65B)에 이르러 설치된 냉각 증기 통로(69Ba)와, 냉각 증기 통로(69Ba)를 통해 과열 증기 공급관(69A)을 따라서 간극(65B)에 이르고, 과열 증기 공급관(69A)에 의해 공급되는 과열 증기(G)보다도 높은 압력이며 저온인 냉각 증기(C)를 공급하는 냉각 증기 공급부(70)를 구비한다.
과열 증기 공급관(69A)에 의해 공급되는 과열 증기(G)는, 증기 노즐부(64A)의 증기 노즐실(64Aa)로부터 개구(64Ab)를 거쳐 증기 통로(63)에 이른다. 이 과열 증기(G)는, 온도 및 압력이 그 유동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서서히 저하된다. 한편, 냉각 증기(C)는, 냉각 증기 통로(69Ba)를 통해 과열 증기 공급관(69A)을 따라서 간극(65B)에 이르고, 과열 증기(G)의 온도에 수반하여 온도가 높은 부분으로부터 낮은 부분을 따라서 유동한다. 이 때문에, 고온부를 냉각 증기(C)에 의해 확실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게다가, 간극(65B)으로부터 증기 통로(63)에 이르는 냉각 증기(C)는, 과열 증기(G)에 가까운 온도가 되어 과열 증기(G)에 합류하기 때문에, 증기 터빈(120, 130, 140)의 성능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냉각 증기(C)는 복수로 분산되지 않고, 일련의 경로를 따라가기 때문에, 냉각 시에 유량의 컨트롤이 용이하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증기 터빈 냉각 장치에서는, 냉각 증기 통로(69Ba)는, 과열 증기 공급관(69A)의 외주를 둘러싸며 차실(62)에 설치된 외부관(69B)과, 과열 증기 공급관(69A)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이며, 차실(62)(외측 차실(62A))의 외부로부터 차실(62)(내측 차실(62B))의 내부에 이르러 간극(65B)에 연통하여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과열 증기 공급관(69A)을 따라서 차실(62)을 관통하여 간극(65B)에 이르는 경로를 실현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증기 터빈 냉각 장치는, 냉각 증기 통로(69Ba)와 냉각 증기 공급부(70)를 구비한다.
냉각 증기 통로(69Ba)는, 과열 증기 공급관(69A)을 따라서 차실(62)(외측 차실(62A) 및 내측 차실(62B))을 관통하여 증기 노즐부(64A)의 외주의 간극(65B)에 이르러 설치되어 있다. 또한, 냉각 증기 공급부(70)는, 냉각 증기 통로(69Ba)에 대하여 과열 증기 공급관(69A)측으로부터 증기 노즐부(64A)의 외주의 간극(65B)에, 과열 증기 공급관(69A)에 공급되는 과열 증기(G)보다도 높은 압력이며 저온인 냉각 증기(C)를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냉각 증기 통로(69Ba)는, 과열 증기 공급관(69A)의 외주면과 차실(62)(외측 차실(62A) 및 내측 차실(62B))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와, 공간부에 연통하여 설치된 증기 노즐부(64A)의 벽 내의 공동부와, 공동부로부터 간극(65B)에 관통하는 관통 구멍(69Bb)을 포함한다. 이 경우, 공간부인 냉각 증기 통로(69Ba)는, 과열 증기 공급관(69A)이 차실(62)에 관통하는 부분에 있어서, 과열 증기 공급관(69A)의 외주면과 차실(62)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이 부분에 있어서 외측 차실(62A) 및 내측 차실(62B)은 간극없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공간부인 냉각 증기 통로(69Ba)는, 외측 차실(62A)의 외부에 위치하는 기단부가 폐색되고, 이 위치에 냉각 증기 공급부(70)가 연통하는 접속구(69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공동부인 냉각 증기 통로(69Ba)는 공간부에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공동부인 냉각 증기 통로(69Ba)는, 증기 노즐부(64A)에 있어서 간극(65B) 내에 존재하는 외주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관통 구멍(69Bb)이 설치되고, 당해 관통 구멍(69Bb)을 통해 증기 노즐부(64A)의 외측이며 내측 차실(62B)의 내부로 개구되어 설치되어 있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증기 터빈 냉각 장치에서는, 냉각 증기 통로(69Ba)는, 과열 증기 공급관(69A)의 외주면을 따르며 또한 증기 노즐부(64A)의 벽 내를 연통하여 구성되고, 외측 차실(62A)의 외부로부터 내측 차실(62B)의 내부로 통하여, 관통 구멍(69Bb)을 통해 증기 노즐부(64A)의 외주의 간극(65B)에 연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냉각 증기 공급부(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 고압 증기 터빈(120), 중압 증기 터빈(130), 저압 증기 터빈(140)에 있어서, 복합 사이클 플랜트(100) 내의 각 공급원이 냉각 증기 통로(69Ba)에 접속 라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속된다.
이와 같이, 도 3에 나타내는 증기 터빈 냉각 장치는, 과열 증기 공급관(69A)을 따라서 차실(62)을 관통하여 간극(65B)에 이르러 설치된 냉각 증기 통로(69Ba)와, 냉각 증기 통로(69Ba)를 통해 과열 증기 공급관(69A)을 따라서 간극(65B)에 이르고, 과열 증기 공급관(69A)에 의해 공급되는 과열 증기(G)보다도 높은 압력이며 저온인 냉각 증기(C)를 공급하는 냉각 증기 공급부(70)를 구비한다.
과열 증기 공급관(69A)에 의해 공급되는 과열 증기(G)는, 증기 노즐부(64A)의 증기 노즐실(64Aa)로부터 개구(64Ab)를 거쳐 증기 통로(63)에 이른다. 이 과열 증기(G)는, 온도 및 압력이 그 유동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서서히 저하된다. 한편, 냉각 증기(C)는, 냉각 증기 통로(69Ba)를 통해 과열 증기 공급관(69A)을 따라서 간극(65B)에 이르고, 과열 증기(G)의 온도에 수반하여 온도가 높은 부분으로부터 낮은 부분을 따라서 유동한다. 이 때문에, 고온부를 냉각 증기(C)에 의해 확실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게다가, 간극(65B)으로부터 증기 통로(63)에 이르는 냉각 증기(C)는, 과열 증기(G)에 가까운 온도가 되어 과열 증기(G)에 합류하기 때문에, 증기 터빈(120, 130, 140)의 성능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냉각 증기(C)는 복수로 분산되지 않고, 일련의 경로를 따라가기 때문에, 냉각 시에 유량의 컨트롤이 용이하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증기 터빈 냉각 장치에서는, 냉각 증기 통로(69Ba)는, 과열 증기 공급관(69A)의 외주면과 차실(62)(외측 차실(62A) 및 내측 차실(62B))의 공간부와, 공간부에 연통하여 설치된 증기 노즐부(64A)의 벽 내의 공동부와, 공동부로부터 간극(65B)에 관통하는 관통 구멍(69Bb)을 포함하고, 차실(62)(외측 차실(62A))의 외부로부터 차실(62)(내측 차실(62B))의 내부에 이르러 간극(65B)에 연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과열 증기 공급관(69A)을 따라서 차실(62)을 관통하여 간극(65B)에 이르는 경로를 실현할 수 있다. 게다가, 도 3에 나타내는 증기 터빈 냉각 장치에 의하면, 과열 증기 공급관(69A)의 외주면과 차실(62)(외측 차실(62A) 및 내측 차실(62B))의 공간부에 의해 냉각 증기 통로(69Ba)를 구성하는 점에서, 도 2에 나타내는 증기 터빈 냉각 장치와 같이, 과열 증기 공급관(69A)의 외측에 외부관(69B)을 설치하는 이중관(69)이 불필요해진다. 또한, 증기 노즐부(64A)를 공동부에 의해 내부로부터 냉각시키는 것으로 표면으로부터 냉각시키는 것과 비교하여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관통 구멍(69Bb)은 노즐 형상으로 함으로써, 로터(61)에 냉각 증기(C)를 분사시킴으로써, 로터(61)의 냉각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의 증기 터빈 냉각 장치는, 복합 사이클 플랜트(100) 내에 있어서, 증기 터빈(120, 130, 140)에 공급되는 과열 증기(G)보다도 고압이며 또한 저온인 냉각 증기(C)를 증기 터빈(120, 130, 14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이 결과, 별도의 동력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증기 터빈(120, 130, 140)의 내부 고온부를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복합 사이클 플랜트(100) 내의 발생 증기를 사용하고, 증기 터빈(120, 130, 140)의 내부 유체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증기 터빈(120, 130, 140)의 가동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고, 그 결과 싸이클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증기 터빈 냉각 장치에 있어서, 냉각 증기(C)를 공급하는 냉각 증기 공급부(70)는, 고압 증기 터빈(120)의 경우, 고압 1차 과열기(22)의 출구로부터 고압 2차 과열기(25)의 입구까지의 사이를 공급원으로 하고, 당해 공급원이 냉각 증기 통로(69Ba)에 접속 라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압 1차 과열기(22)의 출구로부터 고압 2차 과열기(25)의 입구까지의 사이의 접속 라인(47)으로부터, 고압 증기 터빈(120)의 내부로 냉각 증기(C)를 공급하면, 고압 2차 과열기(25)에 공급하는 증기가 줄어들기 때문에, 고압 2차 과열기(25)에서의 과열 효율이 향상되어 고압 증기 터빈(120)에 공급하는 과열 증기(G)의 온도가 상승한다. 이 결과, 고압 증기 터빈(120)의 가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싸이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고압 1차 과열기(22)의 출구로부터 고압 2차 과열기(25)의 입구까지의 사이의 접속 라인(47)으로부터, 고압 증기 터빈(120)의 내부에 냉각 증기(C)를 공급하면, 고압 증기 터빈(120)에 공급하는 과열 증기(G)의 온도를 일정하게 하는 경우에, 고압 증발기(21)로부터 얻는 증기량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압 증기 터빈(120)으로의 과열 증기(G)의 공급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결과, 고압 증기 터빈(120)의 가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싸이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증기 터빈 냉각 장치에 있어서, 냉각 증기(C)를 공급하는 냉각 증기 공급부(70)는, 중압 증기 터빈(130)의 경우, 중압 과열기(19)의 출구로부터 1차 재열기(23)의 입구까지의 사이를 공급원으로 하고, 당해 공급원이 냉각 증기 통로(69Ba)에 접속 라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압 과열기(19)의 출구로부터 1차 재열기(23)의 입구까지의 사이의 접속 라인(38)(및 접속 라인(40)의 일부)으로부터, 중압 증기 터빈(130)의 내부에 냉각 증기(C)를 공급하면, 1차 재열기(23) 및 2차 재열기(24)에 공급하는 증기가 줄어들기 때문에, 1차 재열기(23) 및 2차 재열기(24)에서의 과열 효율이 향상되어 중압 증기 터빈(130)에 공급하는 과열 증기(G)의 온도가 상승한다. 이 결과, 중압 증기 터빈(130)의 가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싸이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중압 과열기(19)의 출구로부터 1차 재열기(23)의 입구까지의 사이의 접속 라인(38)(및 접속 라인(40)의 일부)으로부터, 중압 증기 터빈(130)의 내부에 냉각 증기(C)를 공급하면, 중압 증기 터빈(130)에 공급하는 과열 증기(G)의 온도를 일정하게 하는 경우에, 중압 증발기(16)로부터 얻는 증기량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중압 증기 터빈(130)으로의 과열 증기(G)의 공급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중압 증기 터빈(130)의 가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싸이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증기 터빈 냉각 장치에 있어서, 냉각 증기(C)를 공급하는 냉각 증기 공급부(70)는, 중압 증기 터빈(130)의 경우, 1차 재열기(23)의 출구로부터 2차 재열기(24)의 입구까지의 사이를 공급원으로 하고, 당해 공급원이 냉각 증기 통로(69Ba)에 접속 라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차 재열기(23)의 출구로부터 2차 재열기(24)의 입구까지의 사이의 접속 라인(41)으로부터, 중압 증기 터빈(130)의 내부에 냉각 증기(C)를 공급하면, 2차 재열기(24)에 공급하는 증기가 줄어들기 때문에, 2차 재열기(24)에서의 과열 효율이 향상되어, 중압 증기 터빈(130)에 공급하는 과열 증기(G)의 온도가 상승한다. 이 결과, 중압 증기 터빈(130)의 가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싸이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1차 재열기(23)의 출구로부터 2차 재열기(24)의 입구까지의 사이의 접속 라인(41)으로부터, 중압 증기 터빈(130)의 내부에 냉각 증기(C)를 공급하면, 중압 증기 터빈(130)에 공급하는 과열 증기(G)의 온도를 일정하게 하는 경우에, 중압 증발기(16)로부터 얻는 증기량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중압 증기 터빈(130)으로의 과열 증기(G)의 공급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중압 증기 터빈(130)의 가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싸이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증기 터빈 냉각 장치에 있어서, 냉각 증기(C)를 공급하는 냉각 증기 공급부(70)는, 저압 증기 터빈(140)의 경우, 저압 증발기(12)의 출구로부터 저압 과열기(17)의 입구까지의 사이를 공급원으로 하고, 당해 공급원이 냉각 증기 통로(69Ba)에 접속 라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압 증발기(12)의 출구로부터 저압 과열기(17)의 입구까지의 사이의 접속 라인(32)으로부터, 저압 증기 터빈(140)의 내부에 냉각 증기(C)를 공급하면, 저압 과열기(17)에 공급하는 증기가 줄어들기 ?문에, 저압 과열기(17)에서의 과열 효율이 향상되어, 저압 증기 터빈(140)에 공급하는 과열 증기(G)의 온도가 상승한다. 이 결과, 저압 증기 터빈(140)의 가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싸이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저압 증발기(12)의 출구로부터 저압 과열기(17)의 입구까지의 사이의 접속 라인(32)으로부터, 저압 증기 터빈(140)의 내부에 냉각 증기(C)를 공급하면, 저압 증기 터빈(140)에 공급하는 과열 증기(G)의 온도를 일정하게 하는 경우에, 저압 증발기(12)로부터 얻는 증기량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저압 증기 터빈(140)으로의 과열 증기(G)의 공급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저압 증기 터빈(140)의 가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싸이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1 보일러
10 저압 절탄기
11 저압 드럼
12 저압 증발기
13 중압 절탄기
14 고압 1차 절탄기
15 중압 드럼
16 중압 증발기
17 저압 과열기
18 고압 2차 절탄기
19 중압 과열기
20 고압 드럼
21 고압 증발기
22 고압 1차 과열기
23 1차 재열기
24 2차 재열기
25 고압 2차 과열기
26 복수 펌프
27 중압 급수 펌프
28 고압 급수 펌프
30 접속 라인
31 접속 라인
31a 저압 분기 라인
31b 중압 분기 라인
31c 고압 분기 라인
32 접속 라인
33 접속 라인
34 접속 라인
35 접속 라인
36 유량 조정 밸브
37 접속 라인
38 접속 라인
39 접속 라인
40 접속 라인
41 접속 라인
42 접속 라인
43 접속 라인
44 접속 라인
45 유량 조정 밸브
46 접속 라인
47 접속 라인
48 접속 라인
61 로터
62 차실
62A 외측 차실
62B 내측 차실
62C 차실 공간부
63 증기 통로
64A 증기 노즐부
64Aa 증기 노즐실
64Ab 개구
65A 간극
65B 간극
66A 노즐부 정익
66B 증기 통로 정익
67 동익
68 핀
69 이중관
69A 과열 증기 공급관
69B 외부관
69Ba 냉각 증기 통로
69Bb 관통 구멍
69C 접속구
70 냉각 증기 공급부
100 복합 사이클 플랜트
110 가스 터빈
111 압축기
112 연소기
113 터빈
113a 연도
114 압축기 입구 공기
115 연료
120 고압 증기 터빈
130 중압 증기 터빈
140 저압 증기 터빈
150 발전기
160 복수기
C 냉각 증기
G 과열 증기
S 축심

Claims (3)

  1. 자체의 회전 축심을 따라서 연장되는 회전체로서의 로터와,
    상기 로터를 격납하는 차실과,
    상기 로터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상기 로터와 상기 차실 사이에 설치된 증기 통로와,
    상기 로터의 외주를 둘러싸는 환상으로 형성되며 그 외면과 상기 로터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증기 통로에 연통하는 간극을 가지고 상기 차실 내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 환상을 따라서 형성된 증기 노즐실, 및 상기 증기 노즐실로부터 상기 로터의 연장 방향을 향해 상기 증기 통로에 연통하는 개구를 갖는 증기 노즐부와,
    상기 차실의 외부로부터 상기 차실을 관통하여 상기 증기 노즐부의 상기 증기 노즐실에 연통하여 설치되며 과열된 증기가 공급되는 과열 증기 공급관을
    포함하는 증기 터빈에 대하여,
    상기 과열 증기 공급관을 따라서 상기 차실을 관통하여 상기 간극에 이르러 설치된 냉각 증기 통로와,
    상기 냉각 증기 통로를 통해 상기 과열 증기 공급관을 따라서 상기 간극에 이르고, 상기 과열 증기 공급관에 의해 공급되는 증기보다도 높은 압력이며 저온인 냉각 증기를 공급하는 냉각 증기 공급부를
    구비하며,
    상기 냉각 증기 통로는, 상기 과열 증기 공급관의 외주면과 상기 차실의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에 연통하여 설치된 상기 증기 노즐부의 벽 내의 공동부와, 상기 공동부로부터 상기 간극에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차실의 외부로부터 상기 차실의 내부에 이르러 상기 간극에 연통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터빈 냉각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87017172A 2015-12-24 2016-11-17 증기 터빈 냉각 장치 KR1020260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52488 2015-12-24
JP2015252488A JP6578203B2 (ja) 2015-12-24 2015-12-24 蒸気タービン冷却装置
PCT/JP2016/084085 WO2017110322A1 (ja) 2015-12-24 2016-11-17 蒸気タービン冷却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804A KR20180081804A (ko) 2018-07-17
KR102026040B1 true KR102026040B1 (ko) 2019-09-26

Family

ID=59090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172A KR102026040B1 (ko) 2015-12-24 2016-11-17 증기 터빈 냉각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89069B2 (ko)
JP (1) JP6578203B2 (ko)
KR (1) KR102026040B1 (ko)
CN (1) CN108431375B (ko)
DE (1) DE112016005958B4 (ko)
WO (1) WO201711032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7825A (ja) 2012-07-20 2014-02-27 Toshiba Corp タービン、及び発電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4110A (en) * 1977-09-14 1979-04-07 Hitachi Ltd Double flow type nozzle box
JPS58113501A (ja) * 1981-12-28 1983-07-06 Toshiba Corp 蒸気タ−ビンの冷却装置
JPS58174106A (ja) * 1982-04-07 1983-10-13 Hitachi Ltd 蒸気タ−ビン装置
EP1152125A1 (de) 2000-05-05 2001-11-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ühlung eines Einström-Wellenbereichs einer Dampfturbine
DE10032454A1 (de) * 2000-07-04 2002-01-17 Man Turbomasch Ag Ghh Borsig Vorrichtung zum Kühlen eines ungleichmäßig stark temperaturbelasteten Bauteiles
JP4460943B2 (ja) * 2003-05-20 2010-05-12 株式会社東芝 蒸気タービン
JP4455254B2 (ja) * 2004-09-30 2010-04-21 株式会社東芝 蒸気タービンおよびこれを備える蒸気タービンプラント
JP5395574B2 (ja) 2008-11-27 2014-01-22 株式会社東芝 蒸気機器
EP3054111B1 (en) * 2009-02-25 2017-08-23 Mitsubishi Hitachi Power Systems, Ltd. Method and device for cooling steam turbine generating equipment
US8376687B2 (en) * 2009-10-13 2013-02-19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oling steam turbine roto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7825A (ja) 2012-07-20 2014-02-27 Toshiba Corp タービン、及び発電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89069B2 (en) 2021-04-27
DE112016005958B4 (de) 2024-10-02
CN108431375A (zh) 2018-08-21
JP6578203B2 (ja) 2019-09-18
JP2017115713A (ja) 2017-06-29
US20190003334A1 (en) 2019-01-03
KR20180081804A (ko) 2018-07-17
CN108431375B (zh) 2020-08-07
WO2017110322A1 (ja) 2017-06-29
DE112016005958T5 (de) 2018-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98090C2 (ru) Система для охлаждения компонента паровой трубы
US20100034641A1 (en) Steam turbine and steam turbine plant system
TWI619878B (zh) Power generation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US11408339B2 (en) Steam turbine system and combined cycle plant
KR20110040747A (ko) 터빈 장치
KR102040424B1 (ko) 시일 장치
CN109653875A (zh) 用于燃烧涡轮发动机的燃料预热系统
US10227873B2 (en) Steam turbine
KR102026040B1 (ko) 증기 터빈 냉각 장치
JP2020525704A (ja) 蒸気タービンおよびその運転方法
KR20190097287A (ko) 증기 터빈 플랜트
KR102003136B1 (ko) 보일러, 콤바인드 사이클 플랜트 및 보일러의 증기 냉각 방법
KR102040423B1 (ko) 증기 터빈
US1864742A (en) Combustion turbine and method of burning fuel
JP6204966B2 (ja) 蒸気タービン
JP6204967B2 (ja) 蒸気タービン
JP2020084948A (ja) 蒸気タービン設備及びこれを備えた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プラント並びに蒸気タービン設備の改造方法
EP3287613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windage loss of steam turb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