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6019B1 - 양극 슬라임의 침출용액에 포함된 귀금속과 비금속의 분리방법 - Google Patents

양극 슬라임의 침출용액에 포함된 귀금속과 비금속의 분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6019B1
KR102026019B1 KR1020180036211A KR20180036211A KR102026019B1 KR 102026019 B1 KR102026019 B1 KR 102026019B1 KR 1020180036211 A KR1020180036211 A KR 1020180036211A KR 20180036211 A KR20180036211 A KR 20180036211A KR 102026019 B1 KR102026019 B1 KR 102026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ching solution
extraction
concentration
extracted
positiv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만승
Original Assignee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36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0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1/00Obtaining noble metals
    • C22B11/04Obtaining noble metals by wet processes
    • C22B11/042Recovery of noble metals from wast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5/00Obtaining copper
    • C22B15/0063Hydrometallurgy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5/00Obtaining tin
    • C22B25/04Obtaining tin by wet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극 슬라임의 침출용액에 포함된 귀금속과 비금속을 용매추출법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디-2,4,4-트라이메틸펜틸 포스핀산(Di-2,4,4-trimethylpentyl phosphinic acid)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양극 슬라임의 염산 침출액으로부터 금(Au)과 주석(Sn)을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제1 단계; 5,8-디에틸-7-하이드록시-6-도데카논 옥심(5,8-DIETHYL-7-HYDROXY-6-DODECANONE OXIME)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상기 금(Au)과 주석(Sn)이 추출된 추출여액으로부터 구리(Cu)를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제2 단계; 트리-옥틸/데실 아민(tri-octyl/decyl amine)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상기 구리(Cu)가 추출된 추출여액으로부터 은(Ag)을 추출하는 제3 단계; 및 NH4SCN을 사용하여, 상기 은(Ag)이 추출된 트리-옥틸/데실 아민(tri-octyl/decyl amine)로부터 은(Ag)을 선택적으로 탈거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극 슬라임의 침출용액에 포함된 귀금속과 비금속의 분리방법 {SEPARATION METHOD OF NOBLE AND BASE METALS FROM A LEACH SOLUTION OF ANODE SLIME}
본 발명은 양극 슬라임의 침출용액에 포함된 귀금속과 비금속을 용매추출법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리(Cu), 금(Au), 은(Ag) 등은 전자 산업에서 널리 사용되는 귀금속이다. 이러한 금속을 포함하는 양극 슬라임은 귀중한 자원이므로, 양극 슬라임으로부터 유용한 금속 자원을 회수할 필요가 있다.
금속 자원의 회수와 관련하여, 용융(smelting) 및 선택적 침출과 같은 전처리에 의해 양극 슬라임에서 일부 비금속을 제거하여 농축 슬라임을 만들고, 다양한 매질을 사용하여 양극 슬라임에 포함된 성분을 침출한 후, 용매 추출, 이온 교환, 바이오-침출 및 바이오-흡착과 같은 방법을 통해 침출액에 포함된 금속의 분리 및 회수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방법들 중에서 용매 추출은 용량과 선택성에 근거한 이온 교환에 비해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용매추출과 관련하여, 구리(Cu), 니켈(Ni), 은(Ag), 주석(Sn) 및 아연(Zn)을 함유한 양극 슬라임의 염산 침출액에서 금(Au)을 회수하기 위한 연구를 통해, 다양한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Au(III)가 선택적으로 회수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런데, 금(Au)이 선택적으로 추출된 후 잔존하는 추출여액에 존재하는 Ag(I) 및 Cu(II)와 같은 유가원소의 회수에 대한 효율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질산, 티오시아네이트, 시아나이드 및 티오우레아와 같은 물질을 사용하여, Ag(I)의 추출거동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으나, 귀금속과 비금속을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용매추출 방법이 개발되어 있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41080호
본 발명은 양극 슬라임의 염산 침출용액에 포함된 유가 금속을 용매추출법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2,4,4-트라이메틸펜틸 포스핀산(Di-2,4,4-trimethylpentyl phosphinic acid)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양극 슬라임의 염산 침출액으로부터 금(Au)과 주석(Sn)을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제1 단계; 5,8-디에틸-7-하이드록시-6-도데카논 옥심(5,8-DIETHYL-7-HYDROXY-6-DODECANONE OXIME)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상기 금(Au)과 주석(Sn)이 추출된 추출여액으로부터 구리(Cu)를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제2 단계; 트리-옥틸/데실 아민(tri-octyl/decyl amine)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상기 구리(Cu)가 추출된 추출여액으로부터 은(Ag)을 추출하는 제3 단계; 및 NH4SCN을 사용하여, 상기 은(Ag)이 추출된 트리-옥틸/데실 아민(tri-octyl/decyl amine)로부터 은(Ag)을 선택적으로 탈거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양극 슬라임의 침출용액에 포함된 귀금속과 비금속의 분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양극 슬라임에 포함된 금(Au), 은(Ag), 구리(Cu) 및 주석(Sn)을 고순도로 분리하여 회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이의 비교에 사용한 추출제의 제품명, 구조 및 화학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공정도이다.
도 3은 구리(Cu), 아연(Zn), 니켈(Ni), 은(Ag) 및 주석(Sn)을 포함하는 염산 용액에서, HCl 농도에 따른 LIX 63의 각 성분에 대한 추출률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Cu(II)가 추출된 LIX 63을 유기상/수상(A/O) 부피비를 1로 하고, HCl 농도를 0.001M에서 1M까지 변화시켰을 때, Cu(II)의 탈거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은 Alamine 336 농도에 따른 추출여액에 포함된 금속의 추출률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극 슬라임의 침출용액에 포함된 귀금속과 비금속의 분리방법은 크게, 다음과 같은 (1) ~(4)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디-2,4,4-트라이메틸펜틸 포스핀산(Di-2,4,4-trimethylpentyl phosphinic acid)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양극 슬라임의 염산 침출액으로부터 금(Au)과 주석(Sn)을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단계
(2) 5,8-디에틸-7-하이드록시-6-도데카논 옥심(5,8-DIETHYL-7-HYDROXY-6-DODECANONE OXIME)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상기 금(Au)과 주석(Sn)이 추출된 추출여액으로부터 구리(Cu)를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단계
(3) 트리-옥틸/데실 아민(tri-octyl/decyl amine)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상기 구리(Cu)가 추출된 추출여액으로부터 은(Ag)을 추출하는 단계
(4) NH4SCN을 사용하여, 상기 은(Ag)이 추출된 트리-옥틸/데실 아민(tri-octyl/decyl amine)로부터 은(Ag)을 선택적으로 탈거하는 단계
상기 (1) 단계에 있어서, 디-2,4,4-트라이메틸펜틸 포스핀산(Di-2,4,4-trimethylpentyl phosphinic acid)는, 바람직하게 상품명 Cyanex 272일 수 있다.
상기 (1) 단계에 있어서, 상기 염산 침출액의 염산의 농도는 0.5M 미만일 경우 추출효율이 낮으므로 0.5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M 이상이면 대부분의 Au(III)을 추출할 수 있는 효율을 가지므로 보다 바람직하며, 염산의 농도가 3M보다 낮을 경우 에멀젼 또는 제3상이 생성될 수 있으므로 3M 이상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염산 농도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이 없으나 더 높아지더라도 추출효율이 좋아지지 않으므로 9M 이하로 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상기 (1) 단계에 있어서, 상기 디-2,4,4-트라이메틸펜틸 포스핀산(Di-2,4,4-trimethylpentyl phosphinic acid)의 농도는 0.1M 미만일 경우 추출률이 낮아지고 0.2M을 초과하더라도 추출률에 큰 변화가 없으므로 0.1 ~ 0.2M인 것이 바람직하나, 추출제의 농도가 높아지더라도 금(Au)을 회수하는데 문제가 없으나, 회수효율과 경제성의 측면에서 상기 조성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1) 단계에서 추출된 금(Au)과 주석(Sn)은, 바람직하게 (NH4)2S2O3를 사용하여, 금(Au)을 선택적으로 탈거하는 단계와, NaOH를 사용하여, 상기 금(Au)이 탈거된 용매로부터 주석(Sn)을 탈거하는 단계를 통해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NH4)2S2O3는 0.5M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 단계에 있어서, 5,8-디에틸-7-하이드록시-6-도데카논 옥심(5,8-DIETHYL-7-HYDROXY-6-DODECANONE OXIME)는, 바람직하게 상품명 LIX 63일 수 있다.
상기 (2) 단계에 있어서, 5,8-디에틸-7-하이드록시-6-도데카논 옥심(5,8-DIETHYL-7-HYDROXY-6-DODECANONE OXIME)의 농도는 0.2M 미만일 경우 추출률이 지나치게 낮고 0.5M을 초과하더라도 추출률의 증가가 거의 없고 추출제의 농도가 더 높아지더라도 구리(Cu)를 추출하는데 문제가 없으나, 추출효율과 경제성의 측면에서 0.2 ~ 0.5M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2) 단계에 있어서, Cu(II)의 추출 과정에서 Sn(II)의 추출을 막고 Cu(II)의 추출 효율을 일정 이상 유지하기 위해 HCl의 농도는 3M ~ 9M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M ~ 7M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2) 단계에서 선택적으로 추출된 구리(Cu)는, HCl을 사용하여 추출용매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HCl의 농도는 0.001M 미만일 경우 탈거효율이 낮으므로 0.001M 이상이 바람직하고, 0.1M을 초과하더라도 더 이상 탈거효율이 증가하지 않으므로, 0.001~0.1M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3) 단계에 있어서, 트리-옥틸/데실 아민(tri-octyl/decyl amine)은 상품명 alamine 336일 수 있다.
상기 (3) 단계에 있어서, 트리-옥틸/데실 아민(tri-octyl/decyl amine)의 농도는 0.05M 미만일 경우 추출률이 낮으므로 0.05M 이상이 바람직하고, 0.5M 초과하더라도 추출률이 증가하지 않고, 추출제의 농도가 더 높아지더라도 은(Ag)을 추출하는데 문제가 없으나, 추출효율과 경제성의 측면에서 0.05 ~ 0.5M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3) 단계의 추출에서 발생하는 추출여액은 상기 (2) 단계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4) 단계에 있어서, NH4SCN의 농도는 1.5M 미만일 경우 Ag(I)의 탈거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1.5M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M 이상이며, NH4SCN의 농도가 10M을 초과하더라도 탈거효율이 증가하지 않으므로, 2M ~ 10M이 가장 바람직하다.
[실시예]
양극 슬라임 합성 용액의 제조
HAuCl4 (30중량% 묽은 HCl, Sigma-Aldrich), CuCl2·2H2O (97%, 대정화학), SnCl2·2H2O (97%, 대정화학), AgCl(99.5% 대정화학), ZnCl2 (90%, 덕산화학), NiCl2·6H2O (96%, 야쿠리순화학)을 5M HCl 용액에 첨가하여, 양극 슬라임 침출액을 모사한 합성 용액을 제조하였다. 합성 용액의 제조 시에 소량의 H2O2 (30%, 대정화학)를 첨가하여 입자 형상 침전물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합성 용액에 포함된 금속 성분의 조성은 아래 표 1과 같다.
성분 Cu Zn Ni Ag Sn Au
함량
(mg/l)
2520 15.0 25.4 40.1 450 100
추출제 및 추출률 및 탈거율 계산
도 1은 상기 양극 슬라임 유사 합성용액의 용매추출에 사용한 추출제의 제품명, 구조 및 화학식을 나타낸 것이다. 이들 추출제는 별도의 정제 없이 사용하였으며, 추출제의 희석제로는 등유(대정화학)를 사용하였다.
용매 추출 및 탈거 공정은 동일한 부피(10 mL)의 유기상 및 수상을 혼합한 후, 교반기를 사용하여 30분간(추출 및 탈거 평형이 초기 테스트에서 30분 이내에 도달하였음) 교반하고 평형 상태에서 분별 깔대기를 사용하는 분리하는 방법으로 수행되었으며, 이 모든 공정은 상온(25±1℃)에서 수행되었다.
또한, 추출 전후의 수용액상에서의 금속이온 농도를 ICP-AES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금속이온이 추출된 유기상에서의 금속이온 농도는 매스 밸런스(mass balance)로 계산하였다. 용매추출시험을 통해 아래 [식 1] 및 [식 2]를 통해 각 성분의 추출률과 탈거율을 계산하였다.
[식 1]
추출률(%) = (유기상에서 금속 평형 질량)/(추출전 수용액상에서의 금속 초기 질량)×100
[식 2]
탈거율(%) = (탈거후 수용액상에서 금속 평형 질량)/(탈거 전 유기상에서의 금속 초기 질량)×100
용매추출에 의한 귀금속 및 비금속의 분리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공정은 크게 다음의 3가지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1) 비금속과 귀금속을 포함하는 양극 슬라임 침출액에 포함된 Au(III)와 Sn(II)를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회수하는 단계
(2) Au(III)와 Sn(II)가 분리된 추출여액으로부터 Cu(II)를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회수하는 단계
(3) Cu(II)가 분리된 추출여액으로부터 Ag(I)를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회수하는 단계
(1) Au(III)와 Sn(II)의 분리 및 회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양극 슬라임의 침출액에 포함된 Au(III)의 분리에는 Cyanex 272를 사용하였다.
Cyanex 272 0.2M, HCl 5M의 조건으로 30분간 용매 추출을 2단계 향류 추출(counter-current)을 한 후, 추출여액의 성분 분석 결과는 아래 표 2와 같았다.
성분 Cu Zn Ni Ag Sn Au
함량
(mg/l)
2520 14.8 25.0 40.0 8.3 0.01
표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Cyanex 272의 사용을 통한 2단계 추출을 통해, Au(III)이 완전하게 추출됨과 동시에, 약 98%의 Sn(II)이 추출되었고, 추출여액에는 Au(III)가 실질적으로 제거되고 소량의 Sn(II)이 잔존하는 상태가 된다.
Au(III)과 Sn(II)이 추출된 Cyanex 272로부터 Au(III)는 0.5M 농도의 (NH4)2S2O3를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탈거하여 회수되며,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Sn(II)은 Cyanex 272에 잔존한다.
또한, Au(III)이 탈거된 Cyanex 272에 잔존하는 Sn(II)는 유기상/수상의 부피비 1의 상분율에서 2M NaOH 용액을 사용하게 되면 Sn(II)를 탈거하여 회수할 수 있다.
(2) Cu(II)의 분리 및 회수
Cu(II)의 분리와 관련하여, 먼저 관련 금속 이온을 함유하는 0.5M 내지 9M 농도 범위의 HCl 용액에 0.2M LIX 63으로 용매추출 시험을 수행하여, LIX 63의 추출률을 조사하였다.
도 3은 구리(Cu), 아연(Zn), 니켈(Ni), 은(Ag) 및 주석(Sn)을 포함하는 염산 용액에서, HCl 농도에 따른 LIX 63의 각 성분에 대한 추출률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HCl 농도가 0.5M에서 5M까지 증가할 때 Cu(II)의 추출률이 증가하고 HCl 농도가 9M까지 추가로 증가함에 따라 30%로 감소함을 보여준다. 이에 비해, Sn(II)은 HCl 농도가 0.5M에서 1M로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HCl 농도가 1M보다 높을 때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Au(III)과 Sn(II)가 추출된 추출여액에는 각각 2520mg/L과 8.3mg/L의 농도로 Cu(II)와 Sn(II)이 잔류한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HCl 농도의 증가에 따라 Cu(II)가 선택적으로 LIX 63으로 추출될 때, Sn(II)은 추출여액에 잔존한다. 이에 비해, LIX 63에 의한 Ag(I), Ni(II) 및 Zn(II)의 추출률은 HCl 농도의 변화에 관계없이 매우 낮게 유지되었다.
따라서, Cu(II)의 분리 과정에서 Sn(II)의 추출을 막고 Cu(II)의 추출효율을 일정 이상 유지하기 위해 HCl의 농도는 3M ~ 9M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M ~ 7M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아래 표 3은 O/A 부피비를 1로, HCl 5M, 0.2M LIX 63의 조건으로 향류 추출의 3단계를 거친 후, 얻어진 추출여액의 조성을 분석한 결과이다.
성분 Cu Zn Ni Ag Sn Au
함량
(mg/L)
4.4 14.1 10.5 39.5 1.6 0
표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LIX 63을 이용한 추출 공정을 통해, Cu(II)의 대부분이 추출되었고, 약간의 Sn(II)가 함께 추출되었으며, 그 외의 성분함량에는 차이가 없어, 나머지 성분은 추출여액에 잔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3의 시험결과로부터, HCl 농도가 0.5M보다 낮으면 LIX 63에 의한 Cu(II)의 추출률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농도가 낮은 희석 HCl 용액이 LIX 63/등유상의 탈거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A/O 부피비를 1, HCl 농도를 0.001M에서 1M까지 다양하게 하여 탈거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로부터, Cu(II)의 완전한 탈거는 HCl 농도가 0.1M보다 낮은 조건에서 이루어지고, HCl 농도 1M 조건에서 Cu(II)의 65%가 탈거됨이 확인되었다. 즉, 바람직하게 0.001M ~ 0.1M 범위의 HCl을 사용할 경우, 높은 효율로 LIX 63으로 추출한 Cu(II)를 탈거하여 회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Sn(II)의 경우, 묽은 HCl 용액으로부터 탈거되지 않으므로, Cu(II)만의 선택적인 탈거가 가능해지게 되어, 회수되는 Cu(II)의 순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3) Ag(I)의 분리 및 회수
상기 표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LIX 63에 의한 Cu(II) 분리 후, 대부분의 Ag(I), Ni(II) 및 Zn(II)은 소량의 Cu(II) 및 Sn(II)과 함께 추출여액에 잔존한다.
염산 용액으로부터 Ag(I)의 선택적 분리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다양한 아민 추출제를 추출여액에 대해 시험하였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아래 표 4의 결과는 아민 추출제 농도 0.1M이며, 5M HCl의 조건에서 수행한 것이다.
추출제 추출률 (%)
Cu Zn Ni Ag Sn
Alamine 300 83.6 90.5 0 45.2 34.6
Alamine 308 75.3 89.9 0 31.2 24.5
Alamine 336 80.0 100 0 98.1 99.3
Aliquate 336 83.0 89.9 0 61.5 78.1
표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아민 추출제는 Ni(II)를 제외한 추출여액에 포함될 수 있는 금속 성분이 함께 추출됨을 알 수 있고, 이중에서 Alamine 336의 Ag(I)의 추출률이 가장 높았다.
도 5는 Alamine 336 농도에 따른 각종 금속의 추출률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Alamine 336에 의해 Ag(I)뿐 아니라, Zn(II), Cu(II)가 함께 추출되었다. 또한 Ag(I) 및 Cu(II)의 추출 거동은 유사하고 Alamine 336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추출률이 의미 있게 증가하였으며, Alamine 336 농도를 0.2M 이상으로 증가시키더라도 추출률은 약간의 추가적인 증가만 생기므로, Alamine 336의 농도는 바람직하게 0.2M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낮은 Alamine 336의 농도에서 Zn(II)은 완전히 추출되었지만, Alamine 336의 모든 농도에서 Ni(II)와 Sn(II)의 추출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낮았다.
이상과 같이 Alamin 336을 사용하면 추출여액으로부터 Ag(I)을 추출할 수 있으나, Zn(II)와 Cu(II)가 함께 추출되기 때문에 Ag(I)만의 분리가 어려워지므로, Ag(I)의 분리를 위해서는 Ag(I)의 선택적인 탈거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0.2M Alamine 336을 사용하여 2단계 향류 추출을 수행한 추출제에 다양한 탈거제를 사용하여 탈거 시험을 수행하였다. 아래 표 5는 사용된 탈거제와 탈거율을 나타낸 것이다.
탈거제 농도
(M)
탈거율 (%)
Cu Zn Ni Ag Sn
NaOH 1 2.3 85.7 0 0 0
NH4SCN+
HCl
각각 1 0 0 0 0 0
NaClO3 2 6.3 0 0 0 0
NH4SCN 2 0 0 0 53.6 0
NH4SCN 3 0 0 0 77.6 0
표 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NH4SCN을 제외한 탈거제는 Ag(I)만을 선택적으로 탈거하지 못하였고, NH4SCN도 2M 이상의 농도를 적용하지 않으면 Ag(I)의 탈거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즉, 2M 이상의 농도를 갖는 NH4SCN을 탈거제로 사용할 경우, Alamine 336에 의해 추출된 Zn(II), Cu(II) 및 Ag(I) 중에서, Ag(I)만의 선택적인 분리가 가능하게 되며, 이를 통해 Ag의 회수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양극 슬라임 염산 침출액에 포함된 유가금속인, 금(Au), 은(Ag), 구리(Cu), 주석(Sn)을 효율적이고 고순도로 분리하여 회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1)

  1. 디-2,4,4-트라이메틸펜틸 포스핀산(Di-2,4,4-trimethylpentyl phosphinic acid)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양극 슬라임의 염산 침출액으로부터 금(Au)과 주석(Sn)을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제1 단계;
    5,8-디에틸-7-하이드록시-6-도데카논 옥심(5,8-DIETHYL-7-HYDROXY-6-DODECANONE OXIME)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상기 금(Au)과 주석(Sn)이 추출된 추출여액으로부터 구리(Cu)를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제2 단계;
    트리-옥틸/데실 아민(tri-octyl/decyl amine)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상기 구리(Cu)가 추출된 추출여액으로부터 은(Ag)을 추출하는 제3 단계; 및
    NH4SCN을 사용하여, 상기 은(Ag)이 추출된 트리-옥틸/데실 아민(tri-octyl/decyl amine)로부터 은(Ag)을 선택적으로 탈거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양극 슬라임의 침출용액에 포함된 귀금속과 비금속의 분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 있어서, 상기 염산 침출액에 있어서 염산의 농도는 0.5M 이상인, 양극 슬라임의 침출용액에 포함된 귀금속과 비금속의 분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 있어서, 상기 디-2,4,4-트라이메틸펜틸 포스핀산(Di-2,4,4-trimethylpentyl phosphinic acid)의 농도는 0.1 ~ 0.2M인, 양극 슬라임의 침출용액에 포함된 귀금속과 비금속의 분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 있어서, 상기 5,8-디에틸-7-하이드록시-6-도데카논 옥심(5,8-DIETHYL-7-HYDROXY-6-DODECANONE OXIME)의 농도는 0.2 ~ 0.5M인, 양극 슬라임의 침출용액에 포함된 귀금속과 비금속의 분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 있어서, 상기 트리-옥틸/데실 아민(tri-octyl/decyl amine)의 농도는 0.05 ~ 0.5M인, 양극 슬라임의 침출용액에 포함된 귀금속과 비금속의 분리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의 추출여액은 상기 제2 단계로 공급되는, 양극 슬라임의 침출용액에 포함된 귀금속과 비금속의 분리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선택적으로 추출된 금(Au)과 주석(Sn)은,
    (NH4)2S2O3를 사용하여, 금(Au)을 선택적으로 탈거하는 단계와,
    NaOH를 사용하여, 상기 금(Au)이 탈거된 용매로부터 주석(Sn)을 탈거하는 단계를 통해 분리되는, 양극 슬라임의 침출용액에 포함된 귀금속과 비금속의 분리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선택적으로 추출된 구리(Cu)는,
    HCl을 사용하여 추출용매로부터 탈거되는, 양극 슬라임의 침출용액에 포함된 귀금속과 비금속의 분리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 있어서, 상기 추출시 HCl의 농도는 3M 이상인, 양극 슬라임의 침출용액에 포함된 귀금속과 비금속의 분리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탈거 시의 HCl의 농도는 0.001M 이상인, 양극 슬라임의 침출용액에 포함된 귀금속과 비금속의 분리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H4SCN의 농도는 1.5M 이상인, 양극 슬라임의 침출용액에 포함된 귀금속과 비금속의 분리방법.
KR1020180036211A 2018-03-29 2018-03-29 양극 슬라임의 침출용액에 포함된 귀금속과 비금속의 분리방법 KR102026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211A KR102026019B1 (ko) 2018-03-29 2018-03-29 양극 슬라임의 침출용액에 포함된 귀금속과 비금속의 분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211A KR102026019B1 (ko) 2018-03-29 2018-03-29 양극 슬라임의 침출용액에 포함된 귀금속과 비금속의 분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6019B1 true KR102026019B1 (ko) 2019-09-26

Family

ID=68067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211A KR102026019B1 (ko) 2018-03-29 2018-03-29 양극 슬라임의 침출용액에 포함된 귀금속과 비금속의 분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01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199B1 (ko) * 2010-11-23 2013-02-1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차 금속자원의 침출액으로부터 용매추출에 의한 구리, 아연, 카드뮴 및 니켈을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
KR20130041080A (ko) 2010-06-09 2013-04-24 오토텍 오와이제이 용매 추출에 의한 금 회수 방법
KR101516756B1 (ko) * 2014-03-10 2015-05-04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인듐 폐액에 포함된 금속의 회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1080A (ko) 2010-06-09 2013-04-24 오토텍 오와이제이 용매 추출에 의한 금 회수 방법
KR101232199B1 (ko) * 2010-11-23 2013-02-1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차 금속자원의 침출액으로부터 용매추출에 의한 구리, 아연, 카드뮴 및 니켈을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
KR101516756B1 (ko) * 2014-03-10 2015-05-04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인듐 폐액에 포함된 금속의 회수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49567B1 (en) Process for the extraction of precious metals from solutions thereof
AU2009219115B2 (en) Selective gold extraction from copper anode slime with an alcohol
KR100230826B1 (ko) 금 회수방법
JP5667111B2 (ja) 希薄金溶液中の金の回収方法
CN108531746B (zh) 一种贵金属分离用萃取剂和应用该萃取剂萃取分离贵金属的方法
JP6149795B2 (ja) 3級アミン抽出剤による溶媒抽出方法
JP5939910B2 (ja) コバルトの回収方法
KR102026019B1 (ko) 양극 슬라임의 침출용액에 포함된 귀금속과 비금속의 분리방법
KR102136456B1 (ko) 양극 슬라임의 침출용액에 포함된 금의 회수방법
US4193969A (en) Selective nickel and cobalt extraction from aqueous acidic solutions
JP5502178B2 (ja) 銀の回収方法
US10392679B2 (en) Method for recovering gold from activated carbon
KR101826784B1 (ko) 은 함유 스크랩으로부터 은 회수방법
KR101950111B1 (ko) 금, 백금 및 팔라듐을 포함하는 염산용액으로부터 금, 백금 및 팔라듐의 분리방법
US7959881B2 (en) Method for scrubbing an amine type extractant after stripping
JP7365846B2 (ja) 高純度硫酸コバルト溶液の製造方法及び、硫酸コバルトの製造方法
JP2019179699A (ja) 電池用硫酸コバルトの製造方法
JP3407600B2 (ja) 銀の抽出回収方法
KR101950108B1 (ko) 금, 백금 및 팔라듐을 포함하는 염산용액으로부터 금의 분리방법
JP2006233317A (ja) 金の回収方法
JP6346402B2 (ja) コバルトの回収方法
US1020838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ducing impurity metal from a refinery electrolyte solution
KR102320891B1 (ko) 스크랩으로부터 루테늄과 코발트의 회수 방법
JPH07331349A (ja) パラジウムと銀の分離回収方法
JPH016053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