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5665B1 - 밸브 코어 - Google Patents

밸브 코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5665B1
KR102025665B1 KR1020187006270A KR20187006270A KR102025665B1 KR 102025665 B1 KR102025665 B1 KR 102025665B1 KR 1020187006270 A KR1020187006270 A KR 1020187006270A KR 20187006270 A KR20187006270 A KR 20187006270A KR 102025665 B1 KR102025665 B1 KR 102025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cylinder
core
fitting
valv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6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1041A (ko
Inventor
마사히코 야마모토
마사토시 아이모토
Original Assignee
다이헤이요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헤이요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헤이요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1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1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cylindrical slide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9/00Arrangements of tyre-inflating valves to tyres or rims; Accessories for tyre-inflating valv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29/002Arrangements of tyre-inflating valves to tyres or rims; Accessories for tyre-inflating valv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articular features of the valve co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16K1/38Valve members of conical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2Valve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 F16K15/06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20Check valves specially designed for inflatable bodies, e.g. tyres
    • F16K15/205Check valves specially designed for inflatable bodies, e.g. tyres and with closure plu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 Sliding Valve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과제)
종래보다 제조 비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밸브 코어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밸브 코어는 제1 코어 통체와, 제1 코어 통체와 반대측의 개구가 밸브 입구가 되고 있는 제2 코어 통체와, 제1 코어 통체 및 제2 코어 통체의 내측을 직선 운동 가능하게 관통하는 샤프트부의 선단에 밸브 입구를 개폐하는 밸브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가동 부재와, 가동 부재와 제1 코어 통체에 맞닿고, 제1 코어 통체와 밸브체 사이에 제2 코어 통체가 끼워지도록 부세하는 탄성 부재와, 제1 코어 통체와 제2 코어 통체에 설치되어 서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춰지고 또한 서로 간섭하지 않고 분리할 수 있는 제1 끼워맞춤부와 제2 끼워맞춤부를 포함하는 1쌍의 끼워맞춤부를 가진다.

Description

밸브 코어
본 발명은 코어 장착 구멍에 나사결합 장착되는 밸브 코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밸브 코어로서 외주면에 수나사부를 가지는 제1 코어 통체와, 외주면에 시일부를 가지는 제2 코어 통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것에 대하여 코어 장착 구멍에는 암나사부의 안측에 직경축소부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 코어를 코어 장착 구멍에 나사결합 장착할 때는 제2 코어 통체의 시일부가 직경축소부에 밀착한 상태에서 제1 코어 통체만이 회전 조작되어, 이것에 의해 나사결합 장착시에 있어서의 시일부의 파손이 방지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개 2002-340206호(도 6)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밸브 코어는 제1 코어 통체와 제2 코어 통체의 분리 방지를 위해, 그들 끼워맞춤 부분의 일부를 코킹(caulking)하여 이루어지는 코킹 걸어맞춤부가 구비되어 있어, 그 코킹 작업에 수고가 들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종래보다 제조 비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밸브 코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에 따른 밸브 코어는 코어 장착 구멍의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를 가지는 제1 코어 통체와, 상기 제1 코어 통체보다 상기 코어 장착 구멍의 안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코어 통체와 반대측의 개구가 밸브 입구가 되고 있는 제2 코어 통체와, 상기 제2 코어 통체에 설치되어, 상기 코어 장착 구멍의 상기 암나사부보다 안측 부분에 밀착하는 외주 시일부와, 상기 제1 코어 통체 및 상기 제2 코어 통체의 내측을 직선 운동 가능하게 관통하는 샤프트부의 선단에 상기 밸브 입구를 개폐하는 밸브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가동 부재와, 상기 가동 부재와 상기 제1 코어 통체에 맞닿고, 상기 제1 코어 통체와 상기 밸브체에 상기 제2 코어 통체가 끼워지도록 부세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제1 코어 통체와 상기 제2 코어 통체에 설치되어 서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춰지고 또한 서로 간섭하지 않고 분리할 수 있는 제1 끼워맞춤부와 제2 끼워맞춤부를 포함하는 1쌍의 끼워맞춤부를 가지고, 상기 1쌍의 끼워맞춤부는 서로 삽입발출이 자유롭게 끼워맞춰져 있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1 끼워맞춤부에는 상기 제2 끼워맞춤부의 선단면이 맞닿는 단차면이 구비되어 있는 밸브 코어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밸브 코어의 구성에 의하면, 가동 부재의 탄발력이 밸브 폐쇄용의 부세력으로서 이용될 뿐만아니라 제1 코어 통체와 제2 코어 통체의 분리 방지용의 유지력으로서도 이용된다. 이것에 의해 제1 코어 통체 및 제2 코어 통체의 제1 끼워맞춤부와 제2 끼워맞춤부를 포함하는 1쌍의 끼워맞춤부를 서로 간섭하지 않고 분리할 수 있는 구조, 즉 종래의 코킹 걸어맞춤부를 가지지 않는 구조로 하여 코킹 작업을 폐지하여, 밸브 코어의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끼워맞춤부와 제2 끼워맞춤부를 포함하는 1쌍의 끼워맞춤부에 관해서는 서로 끼워맞춰지는 테이퍼형상을 이루고 있어도 된다. 또 청구항 2의 구성과 같이 제1 끼워맞춤부 및 제2 끼워맞춤부를 포함하는 1쌍의 끼워맞춤부가 서로 삽입발출이 자유롭게 끼워맞춰지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제1 끼워맞춤부에 제2 끼워맞춤부의 선단면이 맞닿는 단차면을 구비한 구조로 해도 된다.
외주 시일부에 관해서는 제2 코어 통체의 외주면에 환형상 홈을 설치하여 거기에 수용되는 시일용 링으로 외주 시일부를 구성해도 된다. 또 청구항 3의 구성과 같이 제2 코어 통체에 시일재를 코팅하여 외주 시일부를 구성해도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시일용 링을 조립하는 것에 비해 조립의 수고가 경감되어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코어 장착 구멍을 가지는 상대 부재를 구성하는 금속에 대하여 경도가 상이한 금속으로 제2 코어 통체를 구성하고, 제2 코어 통체의 일부를 메탈 시일용의 외주 시일부로 해도 된다. 그러한 구성으로 해도 조립의 수고가 경감되어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탄성 부재에 관해서는 인장 코일 스프링이어도 압축 코일 스프링이어도 되고, 압축 코일 스프링의 사용예로서는 청구항 8의 발명과 같이 샤프트부 중 밸브체의 반대측의 단부에 스프링 걸음부를 설치하고, 압축 코일 스프링을 샤프트부에 삽입통과시켜 일단부를 스프링 걸음부에 거는 한편, 타단부를 제1 코어 통체의 단부에 거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청구항 4의 구성에 의하면, 밸브체와 밸브 입구 사이의 시일부와, 밸브 코어와 코어 장착 구멍의 내면 사이의 시일부를 제2 코어 통체에 대한 시일재의 코팅에 의해 한번에 형성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청구항 5 또는 6의 구조로 해두면, 제2 코어 통체의 제1 끼워맞춤부 또는 제2 끼워맞춤부에 지그를 끼워맞추어 코팅을 행함으로써, 제2 코어 통체 중 제1 코어 통체와의 접촉 부분에 시일재가 부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구성에 의하면, 가동 부재의 밸브체가 제2 코어 통체로부터 떨어져도, 1쌍의 끼워맞춤부가 빠지는 것 같은 일이 없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밸브 코어의 측단면도.
도 2는 밸브 코어가 밸브 개방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3은 밸브 코어의 분해 측단면도.
도 4는 제2 코어 통체의 평면도.
도 5(A)는 시일재의 코팅 전의 제2 코어 통체와 지그의 측단면도, 도 5(B)는 시일재의 코팅 후의 제2 코어 통체와 지그의 측단면도.
도 6은 지그에 유지된 상태에서 조립된 제1 코어 통체와 제2 코어 통체의 측단면도.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밸브 코어의 측단면도.
도 8(A)는 시일재의 코팅 전의 제2 코어 통체와 지그의 측단면도, 도 8(B)는 시일재의 코팅 후의 제2 코어 통체와 지그의 측단면도.
도 9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밸브 코어의 측단면도.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도 1~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10은 밸브 스템으로서, 타이어(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뻗은 통형상을 이루고, 그 내측이 타이어의 내부 공간에 연통하는 코어 장착 구멍(11)으로 되어 있다. 코어 장착 구멍(11)의 개구 가까운 위치에는 암나사부(12)가 형성되고, 그 안측에는 암나사부(12)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서서히 직경축소되는 직경축소부(13)가 구비되어 있다. 또 밸브 스템(10)의 외주면에는 도시하지 않는 캡을 나사결합 장착하기 위한 수나사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코어 장착 구멍(11) 내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코어(40)가 나사결합 장착되어 있다. 밸브 코어(40)는 제1 코어 통체(20)와 제2 코어 통체(25)와 가동 부재(30)와 압축 코일 스프링(35)으로 이루어진다. 제1 코어 통체(2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끼워맞춤부(21), 베이스부(22), 게이트부(23)를 배열하여 구비되어 있다. 베이스부(22)는 중앙에 관통 구멍을 가지는 원반형상을 이루고 또한 외주면에 수나사부(22N)를 가진다. 게이트부(23)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22)의 일단면에 있어서 180도 떨어진 2위치로부터 기립한 1쌍의 지주 사이에 가교부를 걸친 게이트 구조를 이루고, 그 가교부의 중앙을 베이스부(22)의 중심축을 따른 샤프트 가이드 구멍(23A)이 관통하고 있다. 또 게이트부(23)의 외주면에는 베이스부(22)의 수나사부(22N)와 동일 직경, 동일 피치의 수나사부(23N)가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부(21)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끼워맞춤부(21)의 외경은 베이스부(22)에 있어서의 수나사부(22N)의 곡경(谷徑)보다 작게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코어 통체(20)는 금속제의 원기둥체를 이하와 같이 절삭하여 이루어진다. 즉, 예를 들면 원기둥체의 일단으로부터 타단 가까운 위치까지 단면 원형의 제1 중심 구멍이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에 제1 중심 구멍보다 내경이 작은 상기 샤프트 가이드 구멍(23A)이 형성된다. 또 원기둥체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축방향의 대략 중앙부와, 중앙부보다 타단측 부분에 수나사부(22N, 23N)가 형성되고나서, 원기둥체 중 축방향의 중앙부보다 타단측 부분에 있어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경 방향에서 샤프트 가이드 구멍(23A)을 끼운 양측을 절제하여 게이트부(23)가 형성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기둥체 중 수나사부(22N)보다 일단측의 외경이 단차형상으로 직경축소되도록 절삭되어 끼워맞춤부(21)가 형성되고, 끼워맞춤부(21)와 게이트부(23) 사이에 남겨진 부분이 베이스부(22)가 된다. 또한 끼워맞춤부(21)의 선단면의 외측 가장자리 각부는 둥그스름한 형상이 되도록 모따기 가공되어 있다.
제2 코어 통체(25)는 끼워맞춤부(26)와 베이스부(27)를 동축 상에 배열하여 구비되어 있다. 끼워맞춤부(26)는 베이스부(27)보다 내경이 단차형상으로 크게 되어 있어, 베이스부(27)와의 사이에 단차면(26B)을 가진다. 베이스부(27)의 내측 중 단차면(26B)측의 일단으로부터 일단 가까운 위치까지의 내경은 균일한 원통면으로 되어 있어, 그 원통면으로부터 타단까지가 내경이 서서히 직경확대된 테이퍼 내면(27T)으로 되어 있다. 또 베이스부(27)의 내측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입구(29)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코어 통체(25) 전체의 외경은 균일하게 되어 있고, 베이스부(27)측의 선단은 외측 가장자리부가 둥그스름한 상태로 모따기되어 코너 곡부(27K)로 되어 있다. 한편, 끼워맞춤부(26)측의 선단부는 내측 가장자리부가 둥그스름한 상태로 모따기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코어 통체(25)의 끼워맞춤부(26)가 제1 코어 통체(20)의 끼워맞춤부(21)의 외측에 끼워맞춰지고, 제2 코어 통체(25)의 끼워맞춤부(26)의 단차면(26B)에 제1 코어 통체(20)의 끼워맞춤부(21)의 선단면(21A)이 맞닿은 상태로 조립되어 있다. 또 제2 코어 통체(25)의 끼워맞춤부(26)의 선단면(26A)과 제1 코어 통체(20)의 끼워맞춤부(21)의 단차면(21B) 사이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코어 통체(25)의 끼워맞춤부(26)가 본 발명의 「제1 끼워맞춤부」에 상당하고, 제1 코어 통체(20)의 끼워맞춤부(21)가 본 발명의 「제2 끼워맞춤부」에 상당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27) 전체는 시일재(28)(예를 들면 가황 고무, 우레탄 고무)로 코팅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시일재(28)에 의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어 장착 구멍(11)의 내면과 밸브 코어(40) 사이를 시일하기 위한 외주 시일부(41)와, 테이퍼 내면(27T)과 후술하는 밸브체(33) 사이를 시일하기 위한 밸브 입구 시일부(42)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 부재(30)는 제1 코어 통체(20) 및 제2 코어 통체(25)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샤프트부(31)의 일단부에 밸브체(33)를 구비하는 한편, 타단부에 스프링 걸음부(32)를 구비하고 있다. 밸브체(33)는 샤프트부(31)로부터 서서히 직경확대된 테이퍼부(33T)와, 그 테이퍼부(33T)의 대직경측 단부로부터 뻗어 설치된 원기둥부(34)로 이루어진다. 또 샤프트부(31)의 중심축에 대한 테이퍼부(33T)의 구배는 샤프트부(31)의 중심축에 대한 제2 코어 통체(25)의 테이퍼 내면(27T)의 구배보다 크게 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퍼부(33T)와 원기둥부(34) 사이의 경계 부분이 테이퍼 내면(27T)에 맞닿아 밸브 입구(29)를 폐색한다.
스프링 걸음부(32)는 샤프트부(31)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된 플랜지형상을 이루고, 그 스프링 걸음부(32)의 외경은 샤프트 가이드 구멍(23A)의 내경보다 크게 되어 있다. 그리고 압축 코일 스프링(35)이 스프링 걸음부(32)와 게이트부(23)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가 되어 샤프트부(31)에 삽입통과되어 있다. 그리고 그 압축 코일 스프링(35)의 탄발력이 밸브체(33)로 밸브 입구(29)를 폐색하는 부세력으로 이용됨과 아울러, 제1 코어 통체(20)와 제2 코어 통체(25)의 분리 방지용의 유지력으로서도 이용되고 있다.
또 압축 코일 스프링(35)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가동 부재(30)를 밀어내리면, 압축 코일 스프링(35)을 구성하는 선재끼리가 밀착한 상태가 되어 그 이상은 가동 부재(30)를 밀어내릴 수 없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가동 부재(30)의 직선 운동의 스트로크보다 끼워맞춤부(21, 26)의 끼워맞춤 깊이가 깊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밸브 코어(40)를 코어 장착 구멍(11) 내에 부착하기 전의 상태에서, 가동 부재(30)의 밸브체(33)가 제2 코어 통체(25)로부터 떨어져, 제1 코어 통체(20)와 제2 코어 통체(25)가 분리되어도 1쌍의 끼워맞춤부(21, 26)는 다 빠지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밸브 코어(40)의 구성에 관한 설명은 이상이다. 밸브 코어(40)는 이하와 같이 하여 코어 장착 구멍(11)에 조립된다. 즉, 밸브 코어(40)는 제2 코어 통체(25)측으로부터 코어 장착 구멍(11)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 조작된다. 그러면 밸브 코어(40)의 수나사부(22N, 23N)와 코어 장착 구멍(11)의 암나사부(12)의 나사결합에 의해 밸브 코어(40)가 코어 장착 구멍(11)의 안측으로 이동하고, 드디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코어 통체(25)의 외주 시일부(41)가 코어 장착 구멍(11)의 직경축소부(13)에 맞닿아 제2 코어 통체(25)의 회전이 멈춘다. 이 상태에서 밸브 코어(40)를 회전 조작하면 제1 코어 통체(20)만이 회전하여 밸브 코어(40) 전체가 코어 장착 구멍(11)의 안측으로 진행하고, 외주 시일부(41)의 시일재(28)가 제2 코어 통체(25)와 코어 장착 구멍(11)의 직경축소부(13) 사이에서 눌려 찌부러진 상태가 되어 그 이상은 안측으로 진행하지 않게 되고, 밸브 코어(40)의 코어 장착 구멍(11)에 대한 부착이 완료된다.
밸브 코어(40)가 부착된 코어 장착 구멍(11)은 그 밸브 코어(40)에 의해 통상은 폐색되어 있다. 그리고 코어 장착 구멍(11)의 선단측으로부터 타이어 내보다 높은 압력의 에어가 부여되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코어(40)가 밸브 개방되어 타이어에 에어가 공급된다. 또 가동 부재(30)를 밀어내리는 것으로도 밸브 코어(40)가 밸브 개방되어 타이어의 공기를 뺄 수 있다.
그런데 밸브 코어(40)는 이하와 같이 제조된다. 시일재(28)가 코팅되어 있지 않은 제2 코어 통체(25)와, 스프링 걸음부(32)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가동 부재(30)와, 제1 코어 통체(20) 및 가동 부재(30)를 준비한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지그(90)에 제2 코어 통체(25)를 세트한다.
지그(90)는 예를 들면 제1~제4 지그(70, 71, 73, 74)로 이루어진다.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지그(70)는 제2 코어 통체(25)의 끼워맞춤부(26)의 외측에 끼워맞춤 가능한 원형 구멍(70D)을 가지는 평판을, 원형 구멍(70D)을 가로지르는 분할면에서 1쌍의 분할체(70A, 70B)로 2분할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또 원형 구멍(70D) 내에는 밸브 코어(40)의 일방의 끼워맞춤부(21)의 단차면(21B)과 타방의 끼워맞춤부(26)의 선단면(26A) 사이의 간극(도 1 참조)에 들어가는 링 돌부(70T)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원형 구멍(70D) 중 링 돌부(70T)보다 하측은 제1 코어 통체(20)의 베이스부(22)가 수용되는 크기로 직경확대된 직경확대부(70C)로 되어 있다. 또 제2 지그(71)는 제2 코어 통체(25)의 끼워맞춤부(26)의 내측에 끼워맞춰지는 원기둥형상의 지주(72)를 구비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지그(73)는 게이트부(23)의 외측에 끼워맞춤 가능한 직사각형의 관통 구멍(73C)을 가지는 평판을, 그 관통 구멍(73C)을 가로지르는 분할면에서 1쌍의 분할체(73A, 73B)로 2분할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제4 지그(74)는 1쌍의 협지구(74X, 74X)로 이루어지고, 각 협지구(74X)는 압축 코일 스프링(35)의 일단부의 외측에 끼워맞춤 가능한 관통 구멍(74C)을 가지는 평판을, 관통 구멍(74C)을 가로지르는 분할면에서 1쌍의 분할체(74A, 74B)로 2분할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1쌍의 협지구(74X, 74X)가 상하로 겹쳐지고, 양 협지구(74X, 74X)의 관통 구멍(74C, 74C)의 서로 떨어진 측의 단부가 단차형상으로 직경축소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상하의 협지구(74X, 74X)는 서로 접리하도록 되어 있어, 이것에 의해 제4 지그(74)는 압축 코일 스프링(35)을 압축 변형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밸브 코어(40)의 각 부품의 조립은 이하와 같이 행해진다. 즉, 예를 들면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코어 통체(25)의 끼워맞춤부(26)를 제2 지그(71)의 지주(72)에 끼워맞추어 지주(72)의 선단면(72A)을 단차면(26B)에 맞닿게 한다. 이어서 제1 지그(70)의 분할체(70A, 70B)를 제2 코어 통체(25)의 양측방으로부터 합체시켜 원형 구멍(70D)에 끼워맞춤부(26)가 끼워맞춰진 상태로 한다. 그리고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지그(7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2 코어 통체(25)의 베이스부(27)에 대하여, 예를 들면 스프레이로 시일재(28)로서의 고무를 내뿜어 코팅한다. 이렇게 하여 제2 코어 통체(25) 중 제1 코어 통체(20)와의 접촉 부분에 시일재(28)를 부착시키지 않고, 제2 코어 통체(25)의 필요 개소에 시일재(28)를 코팅할 수 있다.
시일재(28)가 고화하면 제2 지그(71)를 퇴피시켜, 제2 코어 통체(25)가 제1 지그(70)만에 의해 유지된 상태로 한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지그(73)의 관통 구멍(73C)에 상방으로부터 제1 코어 통체(20)의 게이트부(23)를 끼워맞추어 제1 코어 통체(20)를 제3 지그(73)에 유지시켜둔다. 그리고 제3 지그(73)를 제1 지그(70)에 하방으로부터 접근시켜, 제2 코어 통체(25)의 끼워맞춤부(26)에 제1 코어 통체(20)의 끼워맞춤부(21)를 끼워맞춘다.
이 상태에서 가동 부재(30)의 샤프트부(31)를 제2 코어 통체(25)에 상방으로부터 삽입한다. 그리고 제4 지그(74)에 의해 압축 변형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압축 코일 스프링(35)의 내측에 샤프트부(31)를 삽입통과시키고, 샤프트부(31)의 하단부를 성형용의 오목부(76A)를 가지는 다이(76)에 눌러 스프링 걸음부(32)를 성형한다. 이상에 의해 밸브 코어(40)의 조립이 완료된다. 그리고 제1 지그(70), 제3 지그(73) 및 제4 지그(74)를 분할면에서 열면, 지그(90)로부터 밸브 코어(40)를 취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밸브 코어(40)에 의하면, 제1 코어 통체(20)와 제2 코어 통체(25)를 분리하지 않도록 걸어맞추는 종래의 코킹 걸어맞춤부를 폐지했으므로, 그 코킹 걸어맞춤부의 코킹 작업이 없어져,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밸브 코어(40)에서는 가동 부재(30)의 탄발력이 밸브체(33)가 밸브 입구(29)를 밸브 폐쇄하는 부세력으로서 이용될 뿐만아니라 제1 코어 통체(20)와 제2 코어 통체(25)의 분리 방지용의 유지력으로서도 이용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제1 코어 통체(20) 및 제2 코어 통체(25)의 1쌍의 끼워맞춤부(21, 26)를 서로 간섭하지 않고 분리할 수 있는 구조, 즉, 종래의 코킹 걸어맞춤부를 가지지 않는 구조로 하여,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밸브체(33)와 밸브 입구(29) 사이의 밸브 입구 시일부(42)와, 밸브 코어(40)와 코어 장착 구멍(11)의 내주면 사이의 외주 시일부(41)를 제2 코어 통체(25)에 대한 시일재(28)의 코팅에 의해 한번에 형성할 수 있고, 이 점에 있어서도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의 밸브 코어(40V)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나 있다. 이 밸브 코어(40V)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코어 통체(20V)에 있어서의 끼워맞춤부(21V)가 베이스부(22)의 외측 가장자리 가까운 위치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제1 코어 통체(20V)의 내면에는 끼워맞춤부(21V)와 베이스부(22) 사이에 단차면(21B)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2 코어 통체(25V)에서는 베이스부(27)의 내측 가장자리 가까운 위치로부터 끼워맞춤부(26V)가 돌출되어 있고, 제2 코어 통체(25V)의 외면에는 끼워맞춤부(26V)와 베이스부(27) 사이에 단차면(26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코어 통체(25V)의 끼워맞춤부(26V)의 선단면(26A)이 제1 코어 통체(20V)의 끼워맞춤부(21V)의 단차면(21B)에 맞닿고, 제1 코어 통체(20V)의 끼워맞춤부(21V)의 선단면(21A)과 제2 코어 통체(25V)의 끼워맞춤부(26V)의 단차면(26B)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코어 통체(25V)의 끼워맞춤부(26V)가 본 발명의 「제2 끼워맞춤부」에 상당하고, 제1 코어 통체(20V)의 끼워맞춤부(21V)가 본 발명의 「제1 끼워맞춤부」에 상당한다.
또 도 8에는 제2 코어 통체(25V)에 시일재(28)를 코팅하기 위한 지그(90V)가 나타나 있다. 이 지그(90V)는 제1 지그(78)와 제2 지그(79)로 이루어지고, 제1 지그(78)에는 제2 코어 통체(25V)의 끼워맞춤부(26V)가 정확히 끼워맞춤 가능한 크기의 관통 구멍(78C)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2 지그(79)는 끼워맞춤부(26V)의 내측에 끼워맞춰지는 지주(79T)를 가진다. 그리고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78C)에 제2 코어 통체(25V)의 끼워맞춤부(26V)가 상방으로부터 끼워맞춰져 제1 지그(78)의 상면에 끼워맞춤부(26V)의 단차면(26B)이 맞닿고, 끼워맞춤부(26V)의 내측에 제2 지그(79)의 지주(79T)가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스프레이로 시일재(28)로서의 고무가 내뿜어져 베이스부(27)가 코팅된다.
[제3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의 밸브 코어(40X)는 도 9에 나타나 있고, 제2 코어 통체(25X)가 제1 코어 통체(20X)보다 길게 되어 있다. 또 제2 코어 통체(25X)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축방향의 대략 중앙에는 시일용 링(28X)이 끼워맞춰져, 본 발명에 따른 외주 시일부(41)가 구성되어 있다. 제2 코어 통체(25X)의 선단부는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해, 가동 부재(30X)의 샤프트부(31)의 선단 가까운 위치에 얇은 접시 형상의 시일 지지반(37)이 구비되고, 그 시일 지지반(37) 내에 수용된 시일 부재(38)가 제2 코어 통체(25X)의 선단면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이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제1 또는 제2 실시형태와 동일 부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이외에도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밸브 스템
11…코어 장착 구멍
12…암나사부
20, 20V, 20X…제1 코어 통체
21, 21V, 26, 26V…끼워맞춤부
21A, 26A…선단면
21B, 26B…단차면
22N, 23N…수나사부
25, 25V, 25X…제2 코어 통체
27T…테이퍼 내면
28…시일재
29…밸브 입구
30, 30X…가동 부재
31…샤프트부
32…스프링 걸음부
33…밸브체
35…압축 코일 스프링(탄성 부재)
40, 40V, 40X…밸브 코어
41…외주 시일부
42…밸브 입구 시일부

Claims (12)

  1. 코어 장착 구멍의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를 가지는 제1 코어 통체와,
    상기 제1 코어 통체보다 상기 코어 장착 구멍의 안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코어 통체와 반대측의 개구가 밸브 입구가 되고 있는 제2 코어 통체와,
    상기 제2 코어 통체에 설치되어, 상기 코어 장착 구멍의 상기 암나사부보다 안측 부분에 밀착하는 외주 시일부와,
    상기 제1 코어 통체 및 상기 제2 코어 통체의 내측을 직선 운동 가능하게 관통하는 샤프트부의 선단에 상기 밸브 입구를 개폐하는 밸브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가동 부재와,
    상기 가동 부재와 상기 제1 코어 통체에 맞닿고, 상기 제1 코어 통체와 상기 밸브체에 상기 제2 코어 통체가 끼워지도록 부세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제1 코어 통체와 상기 제2 코어 통체에 설치되어 서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춰지고 또한 서로 간섭하지 않고 분리할 수 있는 제1 끼워맞춤부와 제2 끼워맞춤부를 포함하는 1쌍의 끼워맞춤부를 가지고,
    상기 1쌍의 끼워맞춤부는 서로 삽입발출이 자유롭게 끼워맞춰져 있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1 끼워맞춤부에는 상기 제2 끼워맞춤부의 선단면이 맞닿는 단차면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동 부재의 직선 운동의 스트로크보다 상기 1쌍의 끼워맞춤부의 끼워맞춤 깊이가 큰 밸브 코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 시일부는 상기 제2 코어 통체에 시일재를 코팅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입구에는 상기 밸브체측을 향하여 서서히 직경확대되고, 상기 밸브체가 맞닿는 테이퍼 내면이 구비되며, 상기 외주 시일부를 구성하는 상기 시일재가 상기 테이퍼 내면에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어 통체의 내주면 중 상기 테이퍼 내면보다 상기 제1 코어 통체측을 단차형상으로 직경확대시켜 상기 제1 끼워맞춤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그 제1 끼워맞춤부의 단차면에 상기 제2 끼워맞춤부의 선단면이 맞닿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코어 통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단차면보다 상기 테이퍼 내면측에만 상기 시일재가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어 통체의 외주면 중 상기 제1 코어 통체측을 단차형상으로 직경축소시킨 단차면을 가지는 상기 제2 끼워맞춤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 끼워맞춤부의 단차면에 상기 제2 끼워맞춤부의 선단면이 맞닿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코어 통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 코어 통체의 상기 단차면보다 제1 코어 통체로로부터 떨어진 측에만 상기 시일재가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 중 상기 밸브체의 반대측의 단부를 직경확대시켜 이루어지는 스프링 걸음부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샤프트부에 삽입통과되어 일단부가 상기 스프링 걸음부에 걸리고, 타단부가 상기 제1 코어 통체 중 상기 제2 코어 통체와 반대측의 단부에 걸려 있는 압축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 중 상기 밸브체의 반대측의 단부를 직경확대시켜 이루어지는 스프링 걸음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샤프트부에 삽입통과되어 일단부가 상기 스프링 걸음부에 걸리고, 타단부가 상기 제1 코어 통체 중 상기 제2 코어 통체와 반대측의 단부에 걸려 있는 압축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 중 상기 밸브체의 반대측의 단부를 직경확대시켜 이루어지는 스프링 걸음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샤프트부에 삽입통과되어 일단부가 상기 스프링 걸음부에 걸리고, 타단부가 상기 제1 코어 통체 중 상기 제2 코어 통체와 반대측의 단부에 걸려 있는 압축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 중 상기 밸브체의 반대측의 단부를 직경확대시켜 이루어지는 스프링 걸음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샤프트부에 삽입통과되어 일단부가 상기 스프링 걸음부에 걸리고, 타단부가 상기 제1 코어 통체 중 상기 제2 코어 통체와 반대측의 단부에 걸려 있는 압축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 중 상기 밸브체의 반대측의 단부를 직경확대시켜 이루어지는 스프링 걸음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샤프트부에 삽입통과되어 일단부가 상기 스프링 걸음부에 걸리고, 타단부가 상기 제1 코어 통체 중 상기 제2 코어 통체와 반대측의 단부에 걸려 있는 압축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코어.
  11. 삭제
  12. 삭제
KR1020187006270A 2016-01-22 2016-03-22 밸브 코어 KR1020256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10250 2016-01-22
JP2016010250A JP6636344B2 (ja) 2016-01-22 2016-01-22 バルブコア
PCT/JP2016/058958 WO2017126134A1 (ja) 2016-01-22 2016-03-22 バルブコア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041A KR20180031041A (ko) 2018-03-27
KR102025665B1 true KR102025665B1 (ko) 2019-09-26

Family

ID=59362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6270A KR102025665B1 (ko) 2016-01-22 2016-03-22 밸브 코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428968B2 (ko)
EP (1) EP3339697B1 (ko)
JP (1) JP6636344B2 (ko)
KR (1) KR102025665B1 (ko)
CN (1) CN108027073B (ko)
TW (1) TWI638107B (ko)
WO (1) WO20171261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76417B2 (ja) * 2018-03-29 2021-12-08 太平洋工業株式会社 バルブコア
JP7008657B2 (ja) * 2019-03-11 2022-01-25 太平洋工業株式会社 バルブコア
EP3862603A4 (en) * 2019-03-25 2021-09-08 Pacific Industrial Co., Ltd. VALVE
KR102551696B1 (ko) * 2019-09-27 2023-07-06 다이헤이요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밸브 코어
JP7329482B2 (ja) * 2020-08-11 2023-08-18 太平洋工業株式会社 バルブステム及びタイヤバルブ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3975A (ja) * 2006-01-17 2009-06-25 シュラデル ソシエテ パル アクシオン サンプリフィエー 2つの閉鎖位置を有する気体充填弁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06167A (ja) * 1988-02-10 1989-08-18 Toto Ltd 弁構造
US6050295A (en) 1998-06-04 2000-04-18 Fastest, Inc. High flow valved fitting
CN2452783Y (zh) 2000-12-03 2001-10-10 宁波有色合金有限公司 一种汽车制冷阀芯
JP2002340206A (ja) 2001-05-11 2002-11-27 Pacific Ind Co Ltd タイヤ用バルブ
US6659426B2 (en) * 2001-12-26 2003-12-09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Charge valve in a high pressure air conditioning system
US6719003B2 (en) * 2001-12-26 2004-04-13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Charge valve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JP4180451B2 (ja) 2003-06-26 2008-11-12 太平洋工業株式会社 バルブコア
JP4478473B2 (ja) * 2003-06-26 2010-06-09 太平洋工業株式会社 バルブコア
KR100604652B1 (ko) 2003-06-26 2006-07-25 다이헤이요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밸브 코어
US7306005B2 (en) 2005-12-14 2007-12-11 T&S Brass And Bronze Works, Inc. Valve and valve cartridge
JP4714631B2 (ja) * 2006-04-20 2011-06-29 太平洋工業株式会社 バルブコア
US8550102B2 (en) 2011-01-21 2013-10-08 Fts International Services, Llc Easily replaceable valve assembly for a high pressure pump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3975A (ja) * 2006-01-17 2009-06-25 シュラデル ソシエテ パル アクシオン サンプリフィエー 2つの閉鎖位置を有する気体充填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027073B (zh) 2019-10-18
JP6636344B2 (ja) 2020-01-29
EP3339697A4 (en) 2018-12-19
EP3339697B1 (en) 2019-09-11
TW201727111A (zh) 2017-08-01
WO2017126134A1 (ja) 2017-07-27
CN108027073A (zh) 2018-05-11
KR20180031041A (ko) 2018-03-27
US20180274690A1 (en) 2018-09-27
US10428968B2 (en) 2019-10-01
JP2017129239A (ja) 2017-07-27
EP3339697A1 (en) 2018-06-27
TWI638107B (zh)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5665B1 (ko) 밸브 코어
JP5996652B2 (ja) エラストマーピストンを用いた液体ポンプ、ピストンアセンブリ及びその製造方法
TWI626064B (zh) 注射器活塞
JP6594864B2 (ja) 摺動可能なプランジャープラグ、およびそれを有するシリンジ装置
EP2896857A1 (en) Valve device
WO2013040128A3 (en) Compressible elastomeric spring
US20170254436A1 (en) Oil control valve for supplying oil at end portion and assembly method thereof
KR100956242B1 (ko) 타이어 가류금형용 미니벤트
DE102016206949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Baueinheit, Vulkanisationswerkzeug und Baueinheit
EP1757852A1 (en) Solenoid valve
US8186370B2 (en) Solenoid plunger core seal
DE102015105489A1 (de) Aktor
JP6442753B2 (ja) 密封装置の製造方法
US10508570B2 (en) Valve stem seal
US9976658B2 (en) Diaphragm valve
JP2018505799A (ja) 成形アセンブリ、およびシリンジバレルの製造方法
DE102014202334A1 (de) Hochdruckpumpe für ein Kraftstoffeinspritzsystem
KR20190123490A (ko) 볼조인트용 링클립의 조립장치
JP5184675B2 (ja) 電磁弁
US20150247581A1 (en) Valve having at least one hourglass studs for coupling to diaphragm and compressor/spindle components
TW201430226A (zh) 密封構造
JP7008797B2 (ja) バルブ
JP5719732B2 (ja) エンジンのオイルレベルゲージ差込孔の閉塞プラグ
KR20190123491A (ko) 볼조인트용 링클립의 조립방법
JP6288185B2 (ja) 密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