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6242B1 - 타이어 가류금형용 미니벤트 - Google Patents

타이어 가류금형용 미니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6242B1
KR100956242B1 KR1020080070970A KR20080070970A KR100956242B1 KR 100956242 B1 KR100956242 B1 KR 100956242B1 KR 1020080070970 A KR1020080070970 A KR 1020080070970A KR 20080070970 A KR20080070970 A KR 20080070970A KR 100956242 B1 KR100956242 B1 KR 100956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vent
stopper
valve body
ven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120A (ko
Inventor
서영길
Original Assignee
서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길 filed Critical 서영길
Priority to KR1020080070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6242B1/ko
Priority to CN200810174115A priority patent/CN101634368A/zh
Publication of KR20100010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 B29D2030/0617Venting devices, e.g. vent plugs or inserts

Landscapes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가류금형용 미니벤트에 관한 것으로서, 미니벤트 장치를 크게 케이싱과 밸브체 2개의 구조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상호간의 조립작업시 작업공수를 감소시키고 이에 따른 작업효율 및 부품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 중앙에 상호로 관통된 벤트홀(11)을 형성하고 있는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의 벤트홀(11) 개폐를 위해 내부에서 스프링(30)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벨브체(20)로 이루어지는 타이어 가류금형용 미니벤트에 있어서, 상기 벨브체(20)는 상단의 헤드부(21)와 중단의 샤프트부(22)로 이루어지되, 샤프트부(22) 하단에는 케이싱(10)으로 부터의 이탈 방지를 위해 샤프트부(22) 보다 지름(d)이 증가된 형태의 스토퍼부(23)가 일체로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케이싱(10)의 하부 내주면에는 상기 스토퍼부(23)와의 걸림작용을 위한 걸림돌부(12)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타이어, 벤트, 조립, 작업, 돌출, 걸림, 가압

Description

타이어 가류금형용 미니벤트{A MINI VENT STRUCTURE FOR TIRE MOLD}
본 발명은 타이어 가류금형용 미니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니벤트 장치를 이루는 부품의 결합구조 변경을 통해 조립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미니벤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고무 상태로 제조되는 그린 타이어는 고온 고압의 가류금형 내에서 가류되어 완성된 타이어가 되며, 가류금형은 금형부와 그린 타이어를 금형에 가압시키는 브라더로 구성되고 금형의 내측면에는 그린 타이어와 금형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금형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하는 벤트홀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벤트홀은 공기만을 배출시키는 것이 아니라 가류압력에 의해 그린 타이어의 고무가 벤트홀을 따라 함께 배출되어 완성된 타이어의 표면에 벤트러버를 형성시켜 완성된 타이어는 벤트러버를 제거하는 트리밍 공정을 필히 거쳐야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다양한 벤트장치가 제공된바 있다.
도 1은 종래 일 예에 따른 벤트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금형(100)의 벤트홀(101)에 삽입설치되는 케이싱(102)과, 상기 케이싱(102)의 중심 통공(103)내에 삽입되는 밸브체(104)와, 상기 밸브체(104)에 탄력설치되는 스프링(105)과, 밸브체(104)의 하부에 체결되어 밸브체(104)의 이동거리를 제어하는 스토퍼(106)로 구성되어져 있다. 벨브체(104)는 샤프트부(104a)와 헤드부(104b)로 이루어져 있다.
즉, 종래 벤트장치는 크게 케이싱(102)와 밸브체(104) 그리고 스토퍼(106)의 3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호간의 결합작용이 유지되어짐으로서 안정적인 공기 유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의 벤트장치는 조립공정에서 스토퍼(106)를 밸브체(104) 하단부에 결합시키는 별도의 추가 작업이 필요하게 됨으로, 작업공수 증가에 따른 작업효율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부품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벤트장치 조립구조를 제공함으로서 조립작업에서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 중앙에 상호로 관통된 벤트홀을 형성하고 있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벤트홀 개폐를 위해 내부에서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벨브체로 이루어지는 타이어 가류금형용 미니벤트에 있어서, 상기 벨브체는 상단의 헤드부와 중단의 샤프트부로 이루어지되, 샤프트부 하단에는 케이싱으로 부터의 이탈 방지를 위해 샤프트부 보다 지름이 증가된 형태의 스토퍼부가 일체로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케이싱의 하부 내주면에는 상기 스토퍼와의 걸림작용을 위한 걸림돌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미니벤트는, 크게 케이싱과 밸브체 2개의 구조물로 이루어짐으로서 상호간의 조립작업시 작업공수를 감소시킴으로 작업효율 및 이에 따른 부품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기존의 스토퍼를 밸브체 하단에 일체로 구성시킴으로서, 스토퍼 파손 또는 변형으로 인해 밸브체가 케이싱으로 부터 분리되는 등의 불량 발생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7을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류 금형용 미니벤트의 전체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내부에 상하로 관통된 형태의 벤트홀(11)을 형성하고 있는 케이싱(10)과, 상기 벤트홀(11) 개폐를 위해 조립되어지며 상부 헤드부(21)와 샤프트부(22)로 이루어는 밸브체(20)의 2개 부품으로 구성되어지게 된다.
그중 벨브체(20)는 샤프트부(22)의 하단에 구경이 증가된 형태의 스토퍼부(23)가 일체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스토퍼부(23)와의 연결부위에는 안내홈(22a)이 형성되어져 있다.
즉, 스토퍼부(23)의 지름을 d, 샤프트부(22)의 지름을 d1, 안내홈(22a) 형성부위의 지름을 d2 라 했을 때 d>>d1>d2를 만족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상기 안내홈(22a)은 걸림돌부(12) 형성을 위한 압착시 내부 공간을 확보하여 걸림돌부(12)가 보다 용이하게 형성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케이싱(10) 하부에는 상기 안내홈(22a)과 대응되는 부위의 내주면에 걸림돌부(12)를 돌출 형성시킴으로서 상기 스토퍼부(23)가 걸려지면서 이탈이 방지되는 조립구조를 이루도록 하였다.
즉, 걸림돌부(12)는 외측에서 별도의 압착핀을 이용하여 가압시킴으로서 형성되는 것으로서 케이싱(10) 외벽면에는 이로 인한 가압홈(13)이 형성되어지게 됨을 도 3의 사시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부(12)는 도 6에서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3개소에 형성시킴이 바람직 한데, 이때 걸림돌부(12) 형성부위의 내경을 W라 했을 때, d>W>d1을 만족하는 구조를 이루도록 하였다.
따라서, 스토퍼부(23)는 걸림돌부(12)에 걸려지는 반면, 샤프트부(22)는 걸림돌부(12)와 간섭이 이루어지지 않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걸림돌부(12)가 형성되어지는 케이싱(10) 하단부는 두께가 감소되어짐으로서 단차를 형성하는 연약부(10a)를 형성시키게 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0은 탄성스프링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 미니벤트의 조립작업 과정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조립과정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밸브체(20)를 탄성스프링(30)과 함께 케이싱(10) 내에 삽입시킨 후 케이싱(10) 하단의 연약부(10a)를 별도의 압착핀이 장착되어져 있는 가압기(미도시)를 이용하여 3개소에서 순간 압착시킴으로서 해당 부위에는 가압홈(13)과 함께 내부에 걸림돌부(12)가 돌출 형성되어지게 된다.
이때, 가압력이 작용하는 연약부(10a)는 두께가 감소되어지면서 상부 본체측과 단차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걸림돌부(12)가 용이하게 형성되어짐과 함께 변형력이 상부로 전달되지 않게 되어, 케이싱(10)의 전체적인 외형이 변형되지 않게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밸브체(20)는 내부의 탄성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상향으로의 힘을 받게 되나, 상기 형성된 걸림돌부(12)로 인하여 하단에 형성되어져 있는 스토퍼 부(23)가 걸려진 상태를 이룸으로서 케이싱(10)과의 이탈이 안정적으로 방지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니벤트는 밸브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별도의 부품으로 구비되지 않고 일체형 구조를 이룸으로서, 조립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됨은 물론 안정적인 조립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이러한 본 발명의 미니벤트 구조 및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어질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에서는 걸림돌부(12)가 3개소에 형성된 구조가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이러한 걸림돌부(12)의 갯수는 필요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되어질 수도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일 예에 따른 벤트장치 단면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미니벤트 분리도.
도 3은 본 발명 미니벤트의 결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미니벤트의 단면 구조도.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도.
도 6은 도 3의 B-B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미니벤트의 동작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싱 10a: 연약부
11 : 벤트홀 12 : 걸림돌부
13 : 가압홈 20 : 밸브체
21 : 헤드부 22 : 샤프트부
22a: 안내홈 23 : 스토퍼부
30 : 탄성스프링

Claims (5)

  1. 내부 중앙에 상호로 관통된 벤트홀(11)을 형성하고 있는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의 벤트홀(11) 개폐를 위해 내부에서 스프링(30)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벨브체(20)로 이루어지는 타이어 가류금형용 미니벤트에 있어서,
    상기 벨브체(20)는 상단의 헤드부(21)와 중단의 샤프트부(22)로 이루어지되, 샤프트부(22) 하단에는 케이싱(10)으로 부터의 이탈 방지를 위해 샤프트부(22) 보다 지름(d)이 증가된 형태의 스토퍼부(23)가 일체로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케이싱(10)의 하부 내주면에는 상기 스토퍼부(23)와의 걸림작용을 위한 걸림돌부(12)가 돌출 형성되고;
    걸림돌부(12)는 케이싱(10)의 내주면상에 다수개가 일정 간격을 이루며 점형태로 돌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류금형용 미니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22)에는 걸림돌부와 대응되는 하부측 부위에 안내홈(2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류금형용 미니벤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23)의 지름을 d, 샤프트부(22)의 지름을 d1, 안내홈(22a) 형성부위의 지름을 d2, 걸림돌부(12) 부위의 내경을 W라 했을 때 d>W>d1>d2를 만족하도록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류금형용 미니벤트.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은 걸림돌부(12)가 형성된 하단부를 외경두께가 감소되어진 형태의 연약부(10a)로 형성시킴으로서, 걸림돌부(12) 형성을 위하여 작용하는 가압 변형력이 상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류금형용 미니벤트.
KR1020080070970A 2008-07-22 2008-07-22 타이어 가류금형용 미니벤트 KR100956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970A KR100956242B1 (ko) 2008-07-22 2008-07-22 타이어 가류금형용 미니벤트
CN200810174115A CN101634368A (zh) 2008-07-22 2008-11-07 轮胎硫化模具用小型通气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970A KR100956242B1 (ko) 2008-07-22 2008-07-22 타이어 가류금형용 미니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120A KR20100010120A (ko) 2010-02-01
KR100956242B1 true KR100956242B1 (ko) 2010-05-06

Family

ID=41593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970A KR100956242B1 (ko) 2008-07-22 2008-07-22 타이어 가류금형용 미니벤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56242B1 (ko)
CN (1) CN1016343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650B1 (ko) 2016-06-02 2016-12-27 주식회사 메가산업 타이어 가류금형용 스프링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817B1 (ko) * 2012-10-09 2013-06-04 서석준 타이어 가류금형용 미니 스프링 정밀벤트
JP6514049B2 (ja) * 2015-06-09 2019-05-1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物品用モールド及びゴム物品用モールドの製造方法
CN107718619B (zh) * 2016-08-10 2024-02-02 高密同创气门芯有限公司 排气装置、其组装方法及具有该排气装置的轮胎模具
CN106738495B (zh) * 2017-02-08 2023-08-11 高密同创气门芯有限公司 排气装置、其组装方法及具有该排气装置的轮胎模具
FI128331B (en) * 2018-10-11 2020-03-31 Wd Racing Oy The vent valve
CN116080006B (zh) * 2023-03-06 2023-07-04 长沙申大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塑胶配件的高精度注塑模具及注塑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9696B1 (ko) * 2004-10-26 2006-03-10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9696B1 (ko) * 2004-10-26 2006-03-10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650B1 (ko) 2016-06-02 2016-12-27 주식회사 메가산업 타이어 가류금형용 스프링벤트
US10006554B2 (en) 2016-06-02 2018-06-26 Mega Industry Co., Ltd. Spring vent of tire vulcanizing mo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34368A (zh) 2010-01-27
KR20100010120A (ko) 2010-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6242B1 (ko) 타이어 가류금형용 미니벤트
FI119626B (fi) Vulkanointimuotin ilmanpoistoventtiili
US10006554B2 (en) Spring vent of tire vulcanizing mold
US20170157871A1 (en) Tire curing mold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ire
CN110520285B (zh) 阀插入件和空气排放阀
KR101612055B1 (ko) 타이어 금형의 스프링을 구비한 벤트 장치
KR100957800B1 (ko) 타이어 제작금형에 설치되는 에어플러그
KR20150133279A (ko) 에어 벤팅 밸브
EP3865273B1 (en) Exhaust device and tire mold
KR200481279Y1 (ko) 타이어 가류금형용 벤트장치
US10960623B2 (en) Vent plug, tire cure mol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ire
CN109760241B (zh) 一种橡胶衬套硫化模具
KR101346718B1 (ko)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
KR101267817B1 (ko) 타이어 가류금형용 미니 스프링 정밀벤트
KR101934566B1 (ko) 타이어 가류금형용 벤트장치
EP2236867A1 (en) Sealing Device
KR101574500B1 (ko) 타이어 가황 금형용 벤트 장치
US11059247B2 (en) Vent plug, tire cure mol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ire
KR100559696B1 (ko)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
KR100443706B1 (ko) 가류금형용 벤트장치
KR100570869B1 (ko)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
JP2019123146A (ja) タイヤ加硫金型及びベントプラグ
KR101574502B1 (ko) 타이어 가황 금형용 벤트 장치
KR100910045B1 (ko) 벤트식출방지를 위한 타이어 몰드의 벤트장치
KR20040048214A (ko)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