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5523B1 - 전동형 이승강기 - Google Patents

전동형 이승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5523B1
KR102025523B1 KR1020190066463A KR20190066463A KR102025523B1 KR 102025523 B1 KR102025523 B1 KR 102025523B1 KR 1020190066463 A KR1020190066463 A KR 1020190066463A KR 20190066463 A KR20190066463 A KR 20190066463A KR 102025523 B1 KR102025523 B1 KR 102025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seat
connection point
driving unit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헌주
이재홍
송춘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토앤로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토앤로봇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토앤로봇
Priority to KR1020190066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55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4Wheelchair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형 이승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형 이승강기에 있어서, 상기 이승강기를 구동시키는 후륜 휠(520)에 연결된 구동부(100); 시트(200); 일측은 상기 구동부(10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시트(200)에 연결된 제1 링크(311) 및 제2 링크(312); 상기 구동부(100)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1 링크(311)에 타측이 연결된 제1 액츄에이터(313); 상기 제1 링크(311)가 상기 시트(200)와 연결되는 제1 링크(311)-시트(200) 연결점의 위치가 상기 제2 링크(312)가 상기 시트(200)에 연결되는 제2 링크(312)-시트(200) 연결점의 위치보다 제1 거리(L1)만큼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링크(311)-시트(200) 연결점 및 상기 제2 링크(312)-시트(200) 연결점은 상기 시트(200)의 시트백(211)에 형성되어, 상기 제1액츄에이터(313) 작동에 따라 상기 구동부(100) 보다 전방의 지면으로부터 상기 구동부(100)의 본체 프레임 상면부의 수직방향 최대높이까지 상기 시트(200)가 지면에 대해 평행을 유지한 채 일정궤도로 이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형 이승강기를 제공하여, 시트가 지면까지 하강할 수 있기 때문에 신체 활동의 제약이 매우 큰 사용자라 할지라도 매우 용이하게 탑승이 가능한 강점이 있다.

Description

전동형 이승강기{An electronic wheel chair for seat height control}
본 발명은 전동형 이승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형 휠체어에 있어서 시트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특히 시트의 하면이 지면에 닿을 때까지 시트가 하강 가능한 전동형 이승강기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타고 이동하는 이동수단에는 서서 타는 등 일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앉을 수 있도록 시트가 마련되고 있다.
한편, 시트는 일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동수단에 고정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일반적인 이동수단용 시트의 좌석부는 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높이를 갖고 있으며, 이동수단용 시트는 높이 조절이 안 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예를 들면, 버스나 승용차, 기차, 자전거, 오토바이, 비행기의 일반 시트들이 그러하다.
이는 시트가 이동수단에 고정되어 있더라도 정상적인 신체 활동이 가능한 사용자라면 이동수단 이용에 큰 불편함을 느끼진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신체 활동의 제약이 따르는 자에게는 특수한 이동수단용 시트가 필요하며, 그에 따라 등장한 것이 바로 휠체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간혹 일반적인 휠체어의 이용조차 곤란한 경우가 있다.
왜냐하면 종래 휠체어의 시트 좌석부의 높이는 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채로 휠체어에 고정 높이를 가지기 때문이다.
신체 활동 제약이 매우 큰 경우 예를 들어, 양쪽 다리가 없는 사용자이거나 다리가 있더라도 움직일 수가 없는 사용자는 도보 이동이 곤란하기 때문에 종래 일반적인 시트를 갖는 휠체어 이용이 매우 곤란한 문제가 있다.
특히, 위와 같이 신체 활동 제약이 매우 큰 경우라면, 일반적인 종래의 휠체어에 탑승조차 쉬운 일이 아니게 된다.
따라서, 신체 활동의 제약이 매우 큰 사용자에게는 탑승이 용이하도록 휠체어 시트가 지면까지 내려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신체 움직임 제약이 매우 큰 사용자의 경우, 탑승한 채로 시트 높이를 높여서 일반 휠체어를 이용할 때 손이 닿지 않던 높이에 있는 물건을 꺼내던지 하는 등 활동의 폭을 넓혀주는 휠체어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양손의 사용이 정상적이지 못하여 종래 휠체어 주행에 어려움을 겪는 자나 노약자 등을 위하여 전동으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한 전동휠체어까지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동휠체어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시트의 높낮이 조절 및 신체 활동의 제약이 매우 큰 사용자의 탑승 편의성 까지는 전혀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한계를 가지고 있어 문제이다.
KR 10-0205356 B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신체 활동의 제약이 매우 큰 사용자라 할지라도 탑승이 용이하도록 휠체어 시트가 지면까지 내려올 수 있고, 탑승 후에도 일상적인 생활 편의성을 제공에 적합하도록 시트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전동형 이승강기기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동형 이승강기에 있어서, 상기 이승강기를 구동시키는 후륜 휠(520)에 연결된 구동부(100); 시트(200); 일측은 상기 구동부(10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시트(200)에 연결된 제1 링크(311) 및 제2 링크(312); 상기 구동부(100)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1 링크(311)에 타측이 연결된 제1 액츄에이터(313); 상기 제1 링크(311)가 상기 시트(200)와 연결되는 제1 링크(311)-시트(200) 연결점의 위치가 상기 제2 링크(312)가 상기 시트(200)에 연결되는 제2 링크(312)-시트(200) 연결점의 위치보다 제1 거리(L1)만큼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링크(311)-시트(200) 연결점 및 상기 제2 링크(312)-시트(200) 연결점은 상기 시트(200)의 시트백(211)에 형성되어, 상기 제1액츄에이터(313) 작동에 따라 상기 구동부(100) 보다 전방의 지면으로부터 상기 구동부(100)의 본체 프레임 상면부의 수직방향 최대높이까지 상기 시트(200)가 지면에 대해 평행을 유지한 채 일정궤도로 이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형 이승강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링크(311)와 상기 구동부(100)가 연결되는 제1 링크(311)-구동부(100) 연결점; 상기 제2 링크(312)와 상기 구동부(100)가 연결되는 제2 링크(312)-구동부(100) 연결점; 제1 링크(311)-구동부(100) 연결점의 위치가 상기 제2 링크(312)-구동부(100) 연결점보다 제2 거리(L2)만큼 높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형 이승강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링크(311)-시트(200) 연결점과 상기 제1 링크(311)-구동부(100) 연결점의 거리는 상기 제2 링크(312)-시트(200) 연결점과 상기 제2 링크(312)-구동부(100) 연결점의 거리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형 이승강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10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전륜 휠(510)이 장착되는 전륜 프레임(401); 일측이 상기 전륜 프레임(401)에 연결되는 제3 링크(321); 일측이 상기 시트백(211)에 연결되는 제4 링크(322); 상기 제3 링크(321)와 상기 제4 링크(322)는 링크연결부(335)에서 힌지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링크연결부(335)에 타측이 상기 구동부(100)에 힌지 연결되는 제2 액츄에이터(323)가 추가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형 이승강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액츄에이터(323)가 선작동하여 상기 시트(200)가 상기 구동부(100) 보다 전방의 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면, 상기 제1 액츄에이터(313)가 후작동하여 상기 시트(200)가 상기 구동부(100)의 본체 프레임 상면부의 수직방향 최대높이까지 상기 시트(200)가 지면에 대해 평행을 유지한 채 일정궤도로 이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액츄에이터(323)와 상기 제1 액츄에이터(313)는 순차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형 이승강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 링크(321), 상기 링크연결부(335) 및 상기 제4 링크(322)에 형성되는 제3 링크(321)-제4 링크(322) 사잇각이 상기 제2 액츄에이터(323)에 의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형 이승강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 링크(321)-제4 링크(322) 사잇각이 180도보다 커짐에 따라 상기 시트(200)의 위치는 최대위치보다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형 이승강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 링크(321)-제4 링크(322) 사잇각은 상기 시트(200)가 지면에 위치할 때가 최소각이고, 최대 18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형 이승강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4 링크(322)의 길이가 상기 제3 링크(321)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형 이승강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링크연결부(335)를 기준으로 상기 시트(200)의 전진방향 측으로 예각을 이루던 상기 제3 링크(321)와 상기 제4 링크(322) 사잇각이 180도가 되도록 변화되는 상하 높이 조절되는 특징으로 하는 전동형 이승강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시트가 지면까지 하강할 수 있기 때문에 신체 활동의 제약이 매우 큰 사용자라 할지라도 매우 용이하게 탑승이 가능한 강점이 있다.
둘째, 시트의 높낮이 조절이 자유롭기 때문에 신체 활동 제약을 가진 자라 할지라도 정상적인 자와 대등한 수준의 일상적 생활이 가능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셋째, 간단한 링크구조와 액츄에이터 구성만으로 작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작비용 측면에서 경제적이며 유지 보수 측면에서 내구성 및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보조 링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동위한 제2액츄에이터를 가지기 때문에 시트가 지면까지 하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탑승한 채 상승시 또는 사용자가 탑승한 채로 시트가 지면근처에 하강시 제1액츄에이터에 부하를 최소화 시켜주기 때문에 제1액츄에이터의 내구성이 극대화되는 강점이 있다.
다섯째, 제2액츄에이터가 제1액츄에이터의 부하를 줄여주기 때문에 그로 인한 전체 전력 소모도 현저히 줄어들어 에너지가 절약되는 강점이 있다.
여섯째, 사잇각(α)이 예각이며 제3 링크(321) 및 제4 링크(322)가 서로 제5 연결점(335)에서 힌지 결합되고 있기 때문에 보다 적은 힘으로도 시트(200)를 상승시킬 수 있게 되며, 그로 인해 제1 액츄에이터(313)의 초기 구동 부하가 현저히 줄어드는 강점이 발휘된다.
일곱째, 시트(200)가 제2 위치로 하강될 때에도, 특히 시트(200)가 보조 링크 어셈블리(320)가 일종의 댐퍼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제1 액츄에이터(313)의 구동 부하 및 시트(200) 하강 모션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이점이 발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위치에 위치한 시트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위치에 위치한 시트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3 위치에 위치한 시트를 나타낸다.
<도 1 전체 구조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트의 위치가 제1 위치인 것을 나타낸다.
제1 위치라 함은 시트(200)의 시트 하면부(212) 높이가 구동부(100)의 본체 프레임 상면부(122) 높이와 동일한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형 이승강기는 구동부(100), 시트(200), 메인 링크 어셈블리(31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100)는 본체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방향에 대하여 정리한다.
전방이라 함은 구동부(100)가 전진하는 주행방향 혹은 구동부(100)에 형성된 본체 프레임 전면부(121)가 향하는 방향을 가리킨다.
상승 방향이라 함은 시트(200)가 지면 혹은 구동부(1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높이가 증가되는 방향을 가리키며, 하강 방향이라 함은 그 반대이다.
좌우 방향이라 함은 구동부(100)가 전진하는 주행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형성하는 방향으로 이해하면 된다.
삭제
삭제
구동부(100)는 이승강기를 구동시키는 후륜 휠(520)에 연결된다.
구동부(100)는 후륜 휠(520)의 구동을 비롯하여 구동부(10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메인 링크 어셈블리(310) 및 보조 링크 어셈블리(320)의 링크구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일체의 부분을 가리킨다.
구동부(100)에는 후륜 휠(520)의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가 마련될 수 있다.
구동부(100)는 전체적으로 본체 프레임 전면부(121), 본체 프레임 상면부(122), 본체 프레임 후면부(123), 본체 프레임 하면부(124)를 갖는 형상이다.
설치부(110)는 구동부(100)의 후방에서 수직 상방향으로 소정 높이를 갖고 연장된 채 형성되어 있다.
설치부(110)는 후술할 제1 링크(311) 및 제2 링크(312)가 힌지 연결되는 부분이다.
한편, 설치부(110)의 질량중심과 후륜 휠(520)의 회전중심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보조 휠(530)은 구동부(100)의 후방에 마련되어 이승강기기의 후방 전도를 방지한다.
삭제
시트(200)는 사용자 탑승을 위해 엉덩이를 지지하는 시트 쿠션부(210)와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부분인 시트백(211)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시트백(211)에는 내부에 등받이 프레임 상부(204), 등받이 프레임 중간부(205) 및 등받이 프레임 하부(206)가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등받이 프레임 중간부(205)는 사용자의 척추 형상에 대응되도록 전방을 향해 소정 간격 돌출 가능하다.
등받이 프레임 상부(204), 등받이 프레임 중간부(205) 및 등받이 프레임 하부(206) 는 고정체이거나, 에어주입 방식의 유연소재로 형성된 형상 변형 가능한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쿠션 시트백 지지부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헤드레스트부(202)는 헤드레스트부 고정부(203)에 연결되며, 헤드레스트부 고정부(203)는 상승 방향 혹은 하강 방향으로 높이 조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레스트부(202)의 높이가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조절 가능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조절은 전동식 혹은 수동식 모두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헤드레스트부(202)가 헤드레스트부 고정부(203)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서 전방 혹은 후방으로 위치 조절이 자동 혹은 수동 조작 가능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사이드볼스터(221)가 사용자의 옆구리 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시트백(211)의 등받이 프레임 중간부(205) 부근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사이드볼스터(221)는 에어주입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체형에 맞도록 조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요추지지부(222)는 시트백(211)을 따라서 상승 방향 및 하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어 사용자 체형에 맞도록 조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시트 쿠션부(210)는 시트 엣지부(220)에 대하여 전방 혹은 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할 수도 있어 사용자 체형에 맞도록 위치 조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시트 쿠션부(210)가 시트백(211)에 대하여 기울어짐 없이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할 수도 있다.
한편, 시트 엣지부(220)는 시트 쿠션부(210)의 후단부와 시트백(211)의 하단부가 만나는 지점을 가리킨다.
이 때, 시트 쿠션부(210)가 시트 엣지부(220)을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시트 쿠션부(210)의 전방 단부가 헤드레스트부(202)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시트 쿠션부(210)가 리클라이닝 가능할 수 있다.
시트(200)는 메인 링크 어셈블리(310)에 의해 이승강된다.
삭제
메인 링크 어셈블리(310)는 제1 링크(311), 제2 링크(312), 및 제1 액츄에이터(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311) 및 제2 링크(312)는 각각 일측이 구동부(100)에 연결되고, 타측은 시트(200)에 연결된다.
즉, 시트(200)가 제1 링크(311) 및 제2 링크(312)에 의해 구동부(100)에 연결되고 있는 것이다.
제1 링크(311) 및 제2 링크(312)는 구동부(100)에 힌지 연결되며, 메인 링크 어셈블리(310)는 구동부(100)에 형성된 설치부(110)에 힌지 연결된다.
제1 액츄에이터(313)는 시트(200) 높이 조절을 위한 구동수단으로서 구동부(100)에 마련된다.
제1 액츄에이터(313)는 일측이 구동부(100)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1 링크(311)에 각각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액츄에이터(313)는 일측이 구동부(100)의 제9 연결점(339)에 힌지 연결되고, 타측은 제1 링크(311)에 형성된 제8 연결점(338)에 힌지 연결된다.
제8 연결점(338)은 제1 링크(311)의 길이방향 중심에서 제3 연결점(333) 쪽으로 보다 치우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제2 링크(312)가 하나로 표현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동일 구조의 한 쌍이 마련되며, 한 쌍의 제2 링크(312) 사이에 제4 링크(322)가 위치된 것으로 이해하길 바란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링크(311) 및 제3 링크(321), 제4 링크(322)는 서로 동일한 평면에 위치될 수 있는 것이지만, 제1 링크(311) 및 제2 링크(312)는 서로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2 링크(312) 및 제4 링크(322)는 서로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제1 연결점(331)은 제1 링크(311)-시트(200) 연결점이며, 제2 연결점(332)은 제2 링크(312)-시트(200) 연결점이다.
제1 연결점(331) 및 제2 연결점(332)은 시트(200)의 시트백(211)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때, 제1 링크(311)가 시트(200)와 연결되는 제1 링크(311)-시트(200) 연결점의 위치가 제2 링크(312)가 시트(200)에 연결되는 제2 링크(312)-시트(200) 연결점의 위치보다 L1만큼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3 연결점(333)은 제1 링크(311)와 구동부(100)가 연결되는 제1 링크(311)-구동부(100) 연결점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 1 링크(311)와 구동부의 후방에서 수직 상방향으로 소정 높이를 갖고 연장된 채 형성된 설치부(110)와의 연결점으로 제1 링크에 의해 회전되는 시트의 회전 중심이다.
제4 연결점(334)은 제2 링크(312)와 구동부(100)가 연결되는 제2 링크(312)-구동부(100) 연결점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 2 링크(312)와 구동부의 후방에서 수직 상방향으로 소정 높이를 갖고 연장된 채 형성된 설치부(110)와의 연결점으로 제2 링크에 의해 회전되는 시트의 회전 중심이다.
이 때, 제1 링크(311)-구동부(100) 연결점의 위치가 제2 링크(312)-구동부(100) 연결점보다 L2만큼 높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3 연결점(333)은 제4 연결점(334) 보다 L2만큼 높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점(331)과 제3 연결점(333)의 거리(L3)가 제2 연결점(332)와 제4 연결점(334)의 거리(L4)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 것이다.
즉, L3와 L4는 동일한 길이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링크(311)-시트(200) 연결점과 제1 링크(311)-구동부(100) 연결점의 거리는 제2 링크(312)-시트(200) 연결점과 제2 링크(312)-구동부(100) 연결점의 거리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시트(200)가 제1 액츄에이터(313)의 작동에 따라 구동부(100)의 전방지면으로부터 구동부(100)의 수직방향 최대높이까지 지면에 대해 평행을 유지한 채 일정궤도로 이승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링크(311), 제2 링크(3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소정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조절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길이조절부(미도시)는 내부에 스프링 구조체나 댐퍼 등을 탑재하여 시트(200)에 대하여 척력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시트(200)는 보조 링크 어셈블리(320)에 의해서도 이승강될 수 있다.
보조 링크 어셈블리(320)는 제3 링크(321), 제4 링크(322) 및 제2 액츄에이터(323)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륜 프레임(401)은 구동부(10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며, 전륜 프레임(401) 단부에는 전륜 휠(510)이 장착된다.
제3 링크(321)의 일측은 전륜 프레임(401)에 연결된다.
제4 링크(322)의 일측은 시트백(211)에 연결된다.
제3 링크(321)와 제4 링크(322)의 타측은 제5 연결점(335)에서 제2 액츄에이터(323)와 힌지결합된다.
제3 링크(321)는 일측이 전륜 프레임(401)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되고, 타측은 제4 링크(322)의 하단부와 힌지 결합된다.
제4 링크(322)는 일측인 상단부가 시트백(211)에 힌지 연결되고, 타측인 하단부가 제3 링크(321)의 상단부와 힌지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4 링크(322)의 길이가 제3 링크(321)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제4 링크(322)는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길이변화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4 링크(322)는 시트(200)가 상승 될 때 길이가 증가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고, 반대로 시트(200)가 하강 될 때 길이가 감소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제2 액츄에이터(323)는 일측이 제5 연결점(335)에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구동부(100)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액츄에이터(323)는 구동부(100)에서 제6 연결점(336)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제3 링크(321), 제5 연결점(335) 및 제4 링크(322)에 형성되는 제3 링크(321)-제4 링크(322) 사잇각이 제2 액츄에이터(323)에 의해 변화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사잇각(α)은 제3 링크(321), 제5 연결점(335) 및 제4 링크(322)에 형성되는 제3 링크(321)-제4 링크(322) 사잇각이며, 사잇각(α)은 제2 액츄에이터(323)의 작동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3 링크(321)-제4 링크(322) 사잇각(α)은 시트(200)가 지면에 위치할 때가 최소각이고, 최대높이에서 180도일 수 있다.
제2 액츄에이터(323)의 작동에 따른 사잇각(α) 변화를 설명한다.
사잇각(α)은 제5 연결점(335)을 기준으로 시트(200)의 전진방향 측으로 예각(O도 포함)에서 180도까지 변화시키면 최저높이에서 최대높이가 구현된다. 180도라는 것은 시트의 최고위치(최대높이)일 때의 각도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시트(200)의 시트 하면부(212)가 지면과 접촉할 때 사잇각(α)은 예각일 수 있고, 시트(200)의 시트 하면부(212)가 지면으로부터 최대 이격되는 높이에서는 사잇각(α)이 180도일 수 있다.
만일, 제3 링크(321)-제4 링크(322) 사잇각(α)이 180도보다 커진다면, 시트(200)의 위치는 최고위치보다 낮아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7 연결점(337)이 전륜 프레임(401)에서 위치 이동 가능한 구조도 가능하다.
이 경우, 시트(200)의 상승 높이의 범위의 보다 넓은 조절이 가능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트의 위치가 제2 위치인 것을 나타낸다.
삭제
삭제
제2 위치라 함은 시트(200)의 시트 하면부(212)가 지면에 접촉된 위치를 가리킨다.
시트 하면부(212)가 본체 프레임 하면부(124)보다 낮아져 지면과 접촉된 상태에서는 후륜 휠(520)의 지면접촉부와 높이가 동일할 수 있다.
이 때, 제4 링크(322)는 길이가 최소로 축소된 상태이다.
이 때, L1과 L2는 동일할 수 있다.
이 때, 사잇각(α)은 예각이다.
이 때, 제1 연결점(331) 과 제2 연결점(332)도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것도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이 때 제1 링크(311)에는 앞서 언급한 길이조절부(미도시)가 마련되는 것도 바람직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시트(200)가 상승하기 위해 제2 액츄에이터(323)가 작동될 수 있으며, 제2 액츄에이터(323)이 작동됨에 따라서 사잇각(α)은 점차적으로 커진다.
제4 링크(322)가 최소 축소상태이므로 제2 액츄에이터(323)의 푸쉬력을 시트(200)에 온전히 전달하게 되면서 시트(200)가 지면으로부터 상승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잇각(α)이 예각이며 제3 링크(321) 및 제4 링크(322)가 서로 제5 연결점(335)에서 힌지 결합되고 있기 때문에 보다 적은 힘으로도 시트(200)를 상승시킬 수 있게 되며, 그로 인해 제1 액츄에이터(313)의 초기 구동 부하가 현저히 줄어드는 강점이 발휘된다.
반대로, 시트(200)가 제2 위치로 하강될 때에도, 특히 시트(200)가 보조 링크 어셈블리(320)가 일종의 댐퍼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제1 액츄에이터(313)의 구동 부하가 줄어들면서 시트(200) 하강 모션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이점이 발휘된다.
한편, 제1 링크(311)는 제1 부분(311-1), 제2 부분(311-2), 제3 부분(311-3), 제4 부분(311-4), 제5 부분(311-5), 제6 부분(311-6), 제7 부분(311-7), 제8 부분(311-8)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부분(311-1)은 제1 링크(311)의 최전방 단부이며, 제5 부분(311-5)은 제1 링크(311)의 최후방 단부이고, 제3 부분(311-3)은 제1 부분(311-1)과 제5 부분(311-5)의 중간부이다.
제2 부분(311-2)은 제1 부분(311-1)과 제3 부분(311-3) 사이의 꺽임부이며, 제4 부분(311-4)은 제3 부분(311-3)과 제5 부분(311-5) 사이의 꺽임부이다.
제6 부분(311-6), 제7 부분(311-7) 및 제8 부분(311-8)은 중공이 형성되어 제1 링크(311)의 전체적인 중량감소에 기여한다.
제8 연결점(338)은 제3 부분(311-3)에서 제7 부분(311-7)과 제8 부분(311-8) 사이에 형성되고 있다.
시트(200)가 최저 높이일 때 제5 부분(311-5)은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트의 위치가 제3 위치인 것을 나타낸다.
삭제
제3 위치라 함은 시트(200)의 시트 하면부(212)가 지면으로부터 최대 이격되는 위치, 즉 시트(200)의 최고 높이일 때의 위치를 가리킨다.
이 때, 시트 하면부(212)가 본체 프레임 상면부(122)보다 높은 위치에 있게 되며, 시트 엣지부(220)의 중심이 제5 연결점(335)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고, 제1 연결점(331) 과 제2 연결점(332)도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것도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사잇각(α)이 둔각이며 180도까지 변화 가능하다.
한편, 제1 연결점(331)과 제3 연결점(333)의 거리(L3)가 제2 연결점(332)와 제4 연결점(334)의 거리(L4)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 것이다.
즉, L3와 L4는 동일한 길이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링크(311)-시트(200) 연결점과 제1 링크(311)-구동부(100) 연결점의 거리는 제2 링크(312)-시트(200) 연결점과 제2 링크(312)-구동부(100) 연결점의 거리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제4 링크(322)는 길이가 최대로 확장된 상태이다.
시트(200)가 제1 위치로부터 소정 높이까지 상승 되면 제1 액츄에이터(313)의 힘에 의해 상승되며, 이 때 제4 링크(322)는 시트(200) 상승과 함께 길이가 확장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100 : 구동부 110 : 설치부
121 : 본체 프레임 전면부 122 : 본체 프레임 상면부
123 : 본체 프레임 후면부 124 : 본체 프레임 하면부
200 : 시트 202 : 헤드레스트부
203 : 헤드레스트 고정부 204 : 등받이 프레임 상부
205 : 등받이 프레임 중간부 206 : 등받이 프레임 하부
210 : 시트 쿠션부 211 : 시트백
212 : 시트 하면부 220 : 시트 엣지부
221 : 시트 222 : 시트
310 : 메인 링크 어셈블리 311 : 제1 링크
311-1 : 제1 부분 311-2 : 제2 부분
311-3 : 제3 부분 311-4 : 제4 부분
311-5 : 제5 부분 311-6 : 제6 부분
311-7 : 제7 부분 311-8 : 제8 부분
312 : 제2 링크 313 : 제1 액츄에이터
320 : 보조 링크 어셈블리 321 : 제3 링크
322 : 제4 링크 323 : 제2 액츄에이터
331 : 제1 연결점 332 : 제2 연결점
333 : 제3 연결점 334 : 제4 연결점
335 : 제5 연결점 336 : 제6 연결점
337 : 제7 연결점 338 : 제8 연결점
339 : 제9 연결점 401 : 전륜 프레임
510 : 전륜 휠 520 : 후륜 휠
530 : 보조 휠 L1 : 제1 거리
L2 : 제2 거리 L3 : 제3 거리
L4 : 제4 거리 α : 사잇각

Claims (10)

  1. 전동형 이승강기에 있어서,
    상기 이승강기는 후륜 휠에 연결된 구동부 및 시트를 포함하며,
    일측은 상기 구동부(10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시트(200)에 연결된 제1 링크(311) 및 제2 링크(312);
    상기 제1 링크(311)가 상기 시트(200)와 연결되는 위치인 제1 링크(311)-시트(200) 연결점이 상기 제2 링크(312)가 상기 시트(200)에 연결되는 위치인 제2 링크(312)-시트(200) 연결점보다 제1 거리(L1)만큼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링크(311)-시트(200) 연결점 및 상기 제2 링크(312)-시트(200) 연결점은 상기 시트(200)의 시트백(211)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100)에 위치한 제1 액츄에이터(313)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1 링크(311)가 상기 구동부(100)보다 전방의 지면으로부터 상기 구동부(100)의 본체 프레임 상면부의 수직방향 최대높이까지 상기 시트(200)를 지면에 대해 평행을 유지한 채 일정궤도로 이승강하며,
    상기 제1 링크(311)와 상기 구동부(100)가 연결되는 위치인 제1 링크(311)-구동부(100) 연결점이
    상기 제2 링크(312)와 상기 구동부(100)가 연결되는 위치인 제2 링크(312)-구동부(100) 연결점보다 제2 거리(L2)만큼 높게 위치하고,
    상기 제1 링크(311)-시트(200) 연결점과 상기 제1 링크(311)-구동부(100) 연결점의 거리는 상기 제2 링크(312)-시트(200) 연결점과 상기 제2 링크(312)-구동부(100) 연결점의 거리와 동일하며,
    상기 구동부(10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전륜 휠(510)이 장착되는 전륜 프레임(401);
    일측이 상기 전륜 프레임(401)에 연결되는 제3 링크(321);
    일측이 상기 시트백(211)에 연결되는 제4 링크(322);
    상기 제3 링크(321)와 상기 제4 링크(322)는 링크연결부(335)에서 힌지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링크연결부(335)에 타측이 상기 구동부(100)에 힌지 연결되는 제2 액츄에이터(323)가 추가형성되고,
    상기 제2 액츄에이터(323)가 선작동하여 상기 시트(200)가 상기 구동부(100) 보다 전방의 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면,
    상기 제1 액츄에이터(313)가 후작동하여 상기 시트(200)가 상기 구동부(100)의 본체 프레임 상면부의 수직방향 최대높이까지 상기 시트(200)가 지면에 대해 평행을 유지한 채 일정궤도로 이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액츄에이터(323)와 상기 제1 액츄에이터(313)는 순차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포함하는 전동형 이승강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링크(321), 상기 링크연결부(335) 및 상기 제4 링크(322)에 형성되는 제3 링크(321)-제4 링크(322) 사잇각이 상기 제2 액츄에이터(323)에 의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형 이승강기.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링크(321)-제4 링크(322) 사잇각은 상기 시트(200)가 지면에 위치할 때가 최소각이고,
    상기 시트의 최대높이에서 18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형 이승강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링크(322)의 길이가 상기 제3 링크(321)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형 이승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연결부(335)를 기준으로 상기 시트(200)의 전진방향 측으로 예각을 이루던 상기 제3 링크(321)와 상기 제4 링크(322) 사잇각이 상기 시트의 최대높이에서 180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형 이승강기.

KR1020190066463A 2019-06-05 2019-06-05 전동형 이승강기 KR102025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463A KR102025523B1 (ko) 2019-06-05 2019-06-05 전동형 이승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463A KR102025523B1 (ko) 2019-06-05 2019-06-05 전동형 이승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5523B1 true KR102025523B1 (ko) 2019-09-26

Family

ID=68067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463A KR102025523B1 (ko) 2019-06-05 2019-06-05 전동형 이승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55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851A (ko) * 2020-08-20 2022-03-03 주식회사 오토앤로봇 전동 이승강 기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8271A (ja) * 1995-08-10 1997-02-18 Toyota Auto Body Co Ltd 自動車用シート昇降装置
JPH09291713A (ja) * 1996-04-26 1997-11-11 Hitachi Zosen Corp 昇降式座席装置
JPH10234782A (ja) * 1997-03-03 1998-09-08 Nisshin Iryoki Kk 座席降下式車椅子
KR100205356B1 (ko) 1996-11-22 1999-07-01 오다 시게루 전동휠체어
US20080191452A1 (en) * 2005-05-18 2008-08-14 Metalform (Dannevirke) Limited Wheel Chair
JP2011072799A (ja) * 2010-10-19 2011-04-14 Takeo Oda 昇降着座車椅子
US20150230607A1 (en) * 2012-08-17 2015-08-20 Myung Su Jang Sitting type shampoo chair
JP2016073463A (ja) * 2014-10-07 2016-05-12 孟雄 小田 昇降車椅子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8271A (ja) * 1995-08-10 1997-02-18 Toyota Auto Body Co Ltd 自動車用シート昇降装置
JPH09291713A (ja) * 1996-04-26 1997-11-11 Hitachi Zosen Corp 昇降式座席装置
KR100205356B1 (ko) 1996-11-22 1999-07-01 오다 시게루 전동휠체어
JPH10234782A (ja) * 1997-03-03 1998-09-08 Nisshin Iryoki Kk 座席降下式車椅子
US20080191452A1 (en) * 2005-05-18 2008-08-14 Metalform (Dannevirke) Limited Wheel Chair
JP2011072799A (ja) * 2010-10-19 2011-04-14 Takeo Oda 昇降着座車椅子
US20150230607A1 (en) * 2012-08-17 2015-08-20 Myung Su Jang Sitting type shampoo chair
JP2016073463A (ja) * 2014-10-07 2016-05-12 孟雄 小田 昇降車椅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851A (ko) * 2020-08-20 2022-03-03 주식회사 오토앤로봇 전동 이승강 기기
KR102403944B1 (ko) * 2020-08-20 2022-06-03 주식회사 오토앤로봇 전동 이승강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5636B2 (en) Seat structure and chair
KR102108803B1 (ko) 차량용 시트 및 차량용 시트를 이용한 착석 자세 제어 방법
US9016715B2 (en) Mobility device
CN100415194C (zh) 椅子及轮椅
KR101437374B1 (ko) 가변형 휠체어
JP5823816B2 (ja) 腰掛の起立補助装置
CN101166444A (zh) 同步机构
CN111096862A (zh) 一种轮椅坐靠背系统及设有该轮椅座靠背的站立轮椅车
CN209203794U (zh) 多功能轮椅床
KR102025523B1 (ko) 전동형 이승강기
JP2014128532A (ja) 起立補助機能をもった椅子座面、及び、それを用いた椅子
CN106379205A (zh) 车辆座椅机构和车辆
CN211632483U (zh) 交叉可调节马鞍座椅
CN210472026U (zh) 一种安全舒适的坐便器辅助升降设备
WO2023202301A1 (zh) 一种床架、床垫及电动床
JP4529543B2 (ja) 電動車椅子
US20100186163A1 (en) Raising wheelchair convertible to a stretcher
CN214689131U (zh) 一种汽车座椅倾角调节装置
JP3157364U (ja) クッションチェアカー
CN212699374U (zh) 下肢步态康复训练电动康复轮椅
CN201264546Y (zh) 带四向调节功能以及旋转功能的座椅头枕调节机构
JP5239422B2 (ja)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KR20230092552A (ko) 차량용 안마시트
CN202366041U (zh) 脚托板伸展回折轮椅车
CN111513504A (zh) 多功能办公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