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5315B1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5315B1
KR102025315B1 KR1020147014580A KR20147014580A KR102025315B1 KR 102025315 B1 KR102025315 B1 KR 102025315B1 KR 1020147014580 A KR1020147014580 A KR 1020147014580A KR 20147014580 A KR20147014580 A KR 20147014580A KR 102025315 B1 KR102025315 B1 KR 102025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valuation
care
database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4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1570A (ko
Inventor
마사하루 하타노
히데토 후지이
Original Assignee
마사하루 하타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사하루 하타노 filed Critical 마사하루 하타노
Publication of KR20140091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path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어 대상자의 증상에 대한 특정(特定)을 용이하고도 적확하게 행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제공 서버 및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정보 처리 장치(10)는, 케어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물에 대한 복수의 평가항목의 평가 내용과, 케어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물의 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를 하나의 데이터 세트로서 서로 관련지어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12)와, 케어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물에 대한 평가 항목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출하는 처리부(14)와, 이미 평가된 평가 항목, 입력 또는 수신된 해당 평가에 대한 평가 내용에 따라서, 데이터베이스(12)를 참조하여, 다음의 평가 항목을 도출하는 처리부(14)와, 입력 또는 수신된 평가 내용에 근거하여, 케어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물의 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2)로부터 도출하는 처리부(1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데이터베이스 시스템{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DATABASE SYSTEM}
본 발명은, 케어(care)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물 등의 케어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 프로그램 및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람의 케어의 분야에 있어서, 그 사람의 상황을 파악함에 있어, 정해진 항목을 정해진 순서대로 문진해 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문진 방법을 시스템화한 사례로서,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기술이 있다.
일본 특허 제3469086호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정해진 항목에 따라 정해진 순서대로 문진해 가는 경우에는, 케어 대상자의 세세한 증상이나 개인 특유의 증상을 특정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또, 증상을 특정할 수 있었다 하더라도 대응방법에 대해서는, 케어 플랜 작성자의 기능(技能, skills)에 맡겨져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케어 대상자의 증상에 대한 특정을 용이하고도 적확(的確)하게 행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제공 서버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1. 정보 처리 장치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는,
케어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물에 대한 복수의 평가 항목의 평가 내용과, 해당 케어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물의 증례(症例)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를 하나의 데이터 세트로서 서로 관련지어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케어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물에 대한 평가 항목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출하는 제 1 처리부와,
이미 평가된 평가 항목, 입력 또는 수신된 해당 평가에 대한 평가 내용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다음의 평가 항목을 도출하는 제 2 처리부와,
입력 또는 수신된 평가 내용에 근거하여, 상기 케어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물의 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출하는 제 3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리 정해진 내용 및 순서로 평가해가는 것이 아니라, 케어 대상자들에 따른 평가를 행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도 적확하게 평가를 행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데이터 세트마다 평가 내용, 행한 평가 항목의 순서 및 판단을 위한 논리 회로가 기억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세트마다 평가 내용, 행한 평가 항목의 순서 및 판단을 위한 논리 회로가 각각 관련지어져 있기 때문에, 어떠한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동일한 데이터 세트로서 관련된 다른 정보를 입수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동일한 평가 항목의 내용이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평가 항목의 내용에 대응되는 상기 케어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물의 증례 정보 또는 대응 방법을 추출하고,
동일한 평가 항목의 내용이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평가 항목의 내용에 근사(近似)하는 평가 항목의 내용에 대응되는 증례 정보 또는 대응 방법을 추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한 데이터를 갖는 데이터 세트가 없어도, 근사 정보로부터 추측하여 증례 정보나 대응 방법을 도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입력 또는 수신된 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에 근거하여, 예상되는 평가 내용을 추측하는 추측 수단을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증례 정보 등으로부터 평가 정보를 추측할 수 있다는 새로운 정보처리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평가 내용에 근거하여 도출된 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와, 입력 또는 수신된 실제의 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가 다른 경우에는, 해당 입력 또는 수신된 실제의 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억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베이스의 정확도,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스스로 진화시켜 갈 수가 있다.
2. 정보 처리 방법
본 발명의 정보 처리 방법은,
제 1 처리부가 케어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물에 대한 복수의 평가 항목의 평가 내용과, 해당 케어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물의 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를 하나의 데이터 세트로서 서로 관련지어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케어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물에 대한 평가 항목을 도출하는 공정과,
제 2 처리부가 이미 평가된 평가 항목, 입력 또는 수신된 해당 평가에 대한 평가 내용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다음의 평가 항목을 도출하는 공정과,
제 3 처리부는, 입력 또는 수신된 평가에 대한 평가 내용에 근거하여, 상기 케어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물의 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출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리 정해진 내용 및 순서로 평가해 가는 것이 아니라, 케어 대상자들에 따른 평가를 행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도 적확하게 평가를 행할 수가 있다.
3. 프로그램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제 1 처리부가 케어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물에 대한 복수의 평가 항목의 평가 내용과, 해당 케어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물의 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를 하나의 데이터 세트로서 서로 관련지어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케어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물에 대한 평가 항목을 도출하는 제 1 단계와,
제 2 처리부가 이미 평가된 평가 항목, 입력 또는 수신된 해당 평가에 대한 평가 내용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다음의 평가 항목을 도출하는 제 2 단계와,
제 3 처리부는, 입력 또는 수신된 평가에 대한 평가 내용에 근거하여, 상기 케어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물의 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출하는 제 3 단계를 실행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리 정해진 내용 및 순서로 평가해 가는 것이 아니라, 케어 대상자들에 따른 평가를 행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도 적확하게 평가를 행할 수가 있다.
4.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본 발명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제 1 ~ 제 3 처리부에 접속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 1 처리부가, 제 1 처리부가 케어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물에 대한 복수의 평가 항목의 평가 내용과, 해당 케어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물의 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를 하나의 데이터 세트로서 서로 관련지어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케어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물에 대한 평가 항목을 도출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2 처리부가, 이미 평가된 평가 항목, 입력 또는 수신된 해당 평가에 대한 평가 내용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다음의 평가 항목을 도출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3 처리부가, 입력 또는 수신된 평가에 대한 평가 내용에 근거하여, 상기 케어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물의 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출하는 제 3 단계를 실행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이미 이루어진 평가 항목, 입력 또는 수신된 해당 평가에 대한 평가 내용,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된 평가 내용의 회답 순서와, 실제로 입력된 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를 갱신하는 갱신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리 정해진 내용 및 순서로 평가해 가는 것이 아니라, 케어 대상자들에 따른 평가를 행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도 적확하게 평가를 행할 수가 있다. 또, 갱신 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자동으로 진화시켜 갈 수가 있다.
상기의 케어 대상물은, 동물이나 식물 등의 생명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제 1 ~ 제 3 처리부는, 동일한 연산 장치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며, 또는, 별개의 연산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증례 정보란 케어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물의 증상에 관한 정보이고, 대응 정보란 케어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물에 대한 대응 지침이나 대응방법 등의 대응에 관한 정보이며, 효과 정보란 대응방법이나 대응 지침이 어느 정도의 효과가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도 1은 케어 매니지먼트 모델의 설명도이다.
도 2는 케어 매니지먼트 모델의 설명도이다.
도 3은 케어 매니지먼트 모델의 설명도이다.
도 4는 논리 게이트의 설명도이다.
도 5는 논리 회로의 사례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6은 정보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케어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D)F-PDCA 사이클의 컨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정보 처리 사이클의 컨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정보 처리의 입출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데이터베이스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정보처리의 기본 처리 플로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대응 정보의 도출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평가 항목의 도출 플로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정보 처리 장치의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1. 배경 정보
본원 발명자는, 멘탈 케어(mental care, 정신적 치유)의 실제적 원칙과 대응 방식(attitude)의 원칙을 겸비하는 것이란, 개호자(介護者, caregiver)가 인지증(認知症) 환자의 감각 세계에 대해 공명(共鳴)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하였다. 그리고 인지증 케어란 안정화되는 방향으로의 관여를 시도해가는 방법이 아닐까 라는 가설을 생각하고, 쿄메이션 케어(Kyomation Care)라는 케어 방법(care method)을 창출하였다.
Kyomation Care(쿄메이션 케어)란, 멘탈 케어의 실제적 원칙과 대응 방식의 원칙을 겸비하는 케어를 공명(共鳴; 일본어 발음상 쿄메이)이라 인식한 조어(造語)이다.
그리고 쿄메이션 케어(Kyomation Care)를, 기초적인 의학·간호학·개호학에 의해 뒷받침된, 어세스먼트·케어 플랜·대인(對人) 원조 기술에 근거하는 케어의 실천으로 정의하였다. 인지증 환자의 복잡하게 뒤얽힌 반응을 읽어내는 것은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쿄메이션 케어(Kyomation Care)에서는, 상대의 몸짓이나 행동으로부터 얻어진 알고리즘(algorithm : 문제 해결의 순서)을 정보 전달 미디어로서 모듈화(module : 기능적으로 집적)하였다. 그리고 컴퓨터의 논리 회로(AND, nAND, OR, nOR)에 투사하고 소팅(sorting)을 통해 데이터를 특정 순위로 분류하여, 통계를 구하는 시뮬레이션을 행해 검증하였다.
인지증에 대한 개호(介護, caregiving, 케어기빙)를 행해 가기 위해서는, 인지증 환자가 나타내는 여러 가지 증상의 발생 메커니즘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일컬어지고 있다.
왜냐하면, 하나하나의 증상에는, 그에 대응된 뇌 기능의 이상(異常)이 잠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인지증 환자에게 나타나는 여러 가지 증상은, 이해가 불가능한 정체를 알 수 없는 것이 아니라 뇌 기능장해에 근거하는 이상이라 이해할 수 있다면, 그에 대한 이치에 맞는 과학적인 대책과 케어를 생각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도 의료, 간호, 개호의 정보 공유는 필수이며, 인지증 케어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의사, 간호사, 개호사(caregiver), 이학 요법사(理學療法士), 작업 요법사, 언어 요법사, 침구 요법사, 유도 접골사 등이, 케어에 관한 목적을 이해하며 멘탈 케어의 구체적인 목표를 가지고 「이치에 맞는 케어」를 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또, 인지증 케어에 있어서의 질을 확보하려면, 객관성, 타당성, 신뢰성, 실현 가능성 등을 망라한 포괄적인 어세스먼트(assessment)도 필요하다.
그러나, 현장에서의 지식, 기술에 근거하는 「인식(awareness)」의 계승은 매우 어렵다고 일컬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필요한 정보가 모이기 어려워, 케어 플랜 작성 담당자를 괴롭히고 있는 것이 현(現) 실정이다. 정보를 빠짐없이 수집·파악하기 위해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게 되고, 또한 컨퍼런스에서는, 정보의 전달과 공유에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본래의 목적인 과제 추출의 명확화(니즈 : needs)와 해결을 위한 서비스 내용의 검토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정해진 시간 내에 케어 컨퍼런스를 마치기가 어려운 실정에 있다고도 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케어 매니지먼트 시스템(Kyomation Care)은,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현장에서의 부담감을 경감하고, 포괄적인 어세스먼트와 케어 매니지먼트 사이클(어세스먼트→판단→케어 플랜 작성→케어 제공→평가)을 무리 없이 실현하기 위한, 인지증 케어 매니지먼트 시스템을 고안하기 위하여 인지증 환자에 대한 10년간에 걸친 경과 관찰의 개호 기록(약 800만 데이터)과 300명 이상의 인지증 환자의 사례를 정리하여, KCIS : Kyomation Care Interface System(쿄메이션 케어·인터페이스·시스템)를 개발하였다.
KCIS의 특징은, 인지증 환자와 같은 자각 증상이 없는 환자라 하더라도 객관적인 정보 수집을 행할 수 있도록, 다음의 6개의 내용을 도입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시스템화한 점에 있다.
(1) SOAP 방식(문제 지향형 기술 방식)의 개호 기록의 채용
(subjective ‥ 자각 증상 : 본인이 말한 것)
(objective ‥ 객관적 소견 : 관찰한 것)
(assessment ‥ 상태 평가 : 감상)
(plan ‥‥‥‥ 계획 : 행한 것)
(2) 기본 관찰(모습 관찰) 13가지 항목의 모듈로 기본 관찰한다.
1 태도, 2 표정, 3 복장, 4 행동, 5 언어의 이해력, 6 구음(構音) 장해, 7 기억 장해, 8 지남력(指南力; 소재식(所在識)) 장해(disorientation), 9 사고(思考), 10 계산, 11 판단, 12 감정, 13 의욕
(3) 정신 기능 평가법 MENFIS : 「인지 기능」 「동기 부여 기능」 「감정 기능」에서 약효 평가나 정신 기능 상태의 장해를 평가한다.
(4) 수면 배설 패턴 : 배설과 수면에 따른 패턴을 그래프화하여 생활 리듬을 명확히 한다.
(5) 지적 기능 검사·행동 관찰 평가를 정기적으로 행한다.
(6) RDR(Retrospective Date Research) : 병리(病理)의 정리를 10가지 항목에서 행한다. 병태(病態)와 지금까지의 생활 배경 등의 상태 평가를 사전에 본인이나 가족으로부터 청취함
1 생활력(生活歷, Life history), 2 가족 구성, 3 초기 증상(初發症狀, Initial symptom), 4 발증(發症)의 양태, 5 발병 이전 성격, 6 발병 이후(罹病後)의 성격 변화, 7 과거 병력(旣往症, Past medical history), 8 유전부인(遺傳負因; 유전적 결함), 9 신체 합병증, 10 취미·기호
Kyomation Care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RDR(Retrospective Date Research)에 의해 병력의 정리를 행한다. RDR은 시계열(時系列)로 회상하며, 질의 응답 방식으로 10항목을 듣고 답한다. 질문에 대해서는, 가족의 심리면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고려한다.
KCIS는, 이들 정보를 예컨대 MDS(Inter Rai)의 어세스먼트 항목에 반영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로써, 케어 매니저는, 트리거된(triggered) 문제 영역과 화상 진단의 결과나 각 요법사 등의 정보도 포함시켜, Caps/Raps의 가이드 라인에 근거하여 잠정 플랜을 작성할 수 있다. 또, 정보 통신 기술인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를 이용한 네트워크상에서 의료, 간호, 개호 등의 관계자가 연계하여 케어 컨퍼런스를 행할 수가 있다.
이들에 의해, 인지증 환자의 기호나 인생의 배경, 뇌 기능의 상태 등으로부터 전문성을 살려 포괄적으로 과제를 추출하여, 과학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대응이나 케어에 의한 생활 지원 내용을 세세하게 케어 플랜으로 언어화할 수 있게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케어 플랜의 수행률을 높이고 작업 부담을 경감하기 위하여,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타임 매니지먼트 사이클(香盤表; Schedule sheet)을 개발하였다.
타임 매니지먼트 사이클(香盤表)이란, 다각적인 어세스먼트 및 객관적인 정보에 근거한 케어 플랜을 MDS(minimum data set)로 활용하여 정리함으로써, 케어 플랜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케어 플랜의 요구에 부응하는 역할을 개호 전문직들이 수행하도록, 향반표(香盤表; Schedule sheet)라 불리는 무대 등의 현장에서 사용되는 출연자의 순서나 전체의 진행 등을 적은 표를 개호용으로 편성한 것을 말한다. 이러한 타임 매니지먼트 사이클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 보다 양호한 케어 매니지먼트를 구축하기 위하여, KCIS를 활용(기록 작업)함으로써, 개호자로서의 의식을 높이고, 지식·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기능의 측면을 부여함으로써 의료, 간호, 개호, 이학·작업·언어 요법사, 케어 매니저 등이, 공통 정보나 역할 분담을 명확하게 할 수 있어 팀 어프로치(team aproach)를 촉진하는 결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인지증 환자와의 대응 방식은, 결코 한 방향이 아니며, 항상 상호작용과 쌍방향의 관계라는 시점을 재인식할 수 있도록 최종적으로 MDS(Inter Rai)에 의해 재확인을 하도록 설계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는, 컴퓨터를 활용하여, 포괄적인 어세스먼트와 케어 매니지먼트 사이클(어세스먼트→판단→케어 플랜 작성→케어 제공→평가)을 무리 없이 실현하기 위한 시스템(KCIS:Kyomation Care Interface system)으로서, 정보 통신 기술인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에 의해 네트워크화되어 포괄 지원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2. 기본 관찰 항목
예컨대, 인지증의 진행에 대한 판단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인지증의 진행을 판단하는데 빼놓을 수 없는 매우 중요한 검사인 스크리닝 테스트는, 한 시점에서 판단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경과를 쫓아 가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스크리닝 테스트는, 어디까지나 인지증 판단의 보조적 수단으로서 이용되고 있는데, 인지증 케어에서는 이러한 스크리닝 테스트를 활용함으로써 케어의 힌트를 얻을 수가 있다.
예컨대, 의욕의 저하가 일어나고 있는 인지증 환자가 있었을 때에 그것이 가령(加齡, aging)에 의한 것인지, 우울(마음의 답답함; 抑鬱) 상태에 의한 것인지, 또는 인지증 그 자체에 의한 것인지와 같은 것을, 스크리닝을 행함에 따라 알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스크리닝 테스트를 응용한 말 걸기는,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일상 생활 동작)의 유지나 인지증 진행의 완화에 유용하다는 예도 있다.
스크리닝 테스트는, 크게 「지적 기능 검사법」과「행동 관찰법(행동 평가법)」으로 나눌 수 있다. 또, 인지증 환자에 대한 스크리닝 테스트는, 이들 중 어느 한쪽만을 행하는 것이 아니라, 쌍방을 조합하여 다각적인 평가를 행하는 것이 전제가 된다.
스크리닝 테스트는, 인지증 환자에 대한 이해와 적절한 대응을 생각해 가기 위해 매우 중요한 진단의 보조 수단이 된다.
그러나, 지적 기능 검사법은 객관적 평가에 대해서는 우수하지만, 인지증 환자에 대한 부담은 생각 이상으로 크다. 또, 섬망(delirium)상태일 때나 중증인 환자에게는 시행하기가 어려워 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한편, 행동 관찰법(행동 평가법)은 인지증 환자에 대한 부담은 적지만, 개호자의 주관적 평가에 의지하게 되어, 판단이 편중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원 발명자가 발명한 케어(Kyomation Care)에서는, 개호자의 부담도를 조사하면서 「지적 기능 검사법」과 「행동 관찰법」을 조합하여 다각적으로 인지증의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원 발명자는, 객관적인 관찰과 인식(awareness)을 축적하여,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인지증 환자의 시간과 공간을 함께 하는 파트너(신뢰할 수 있는 사람)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케어 매니지먼트 방법을 창조하였다.
그 하나가, 지적 기능 검사법과 행동 관찰법을 활용하고 응용하여 인지 증상의 완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모습 관찰 13 항목이다.
기본 관찰 13 항목은, 인지증 환자의 행동으로부터, 진행에 맞는 매장(埋藏) 자원(잔존 능력)이나 커뮤니케이션 능력인 셀프 케어 능력을 확인함으로써, 행동 심리 증상(BPSD) 등의 부적응 행동을 예측하여 완화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여기서, 셀프 케어 능력이란, 남겨진 능력인 매장 자원(잔존 능력)이나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사용하여, 자기 자신이 실행할 수 있는 동작이나 수순 등의 능력을 말한다.
기본 관찰 13 항목에 의해 얻어진 정보로부터, 셀프 케어 능력을 판정하고 생활의 재구축을 찾아내어 케어의 가능성을 이끌어낼 수 있다. 그리고 행동 심리 증상(BPSD)의 완화를 위하여, 계획적으로 독려(督勵)하는 지원(支援)을 행하기 위한 어세스먼트 툴이 된다.
인지증 환자에 대한 케어에 있어서는, 병태의 종류나 정도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대인 원조에 있어서 개호자측이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다고 한다.
개호자는, 인지증 환자와 접할 때, 어떻게 대하면 좋을지, 어떻게 이야기하면 좋을지, 어떻게 관여하면 좋을지 몰라 불안이나 공포심을 안고 케어를 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또, 인지증에 대한 선입관이나 고정관념을 갖게 되어, 불가사의한 상태나 알 수 없는 언동을 목전에 두면 정체를 알 수 없는 현상으로밖에 보이지 않아 개호자측의 입장에서 대응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뇌의 기능과 그 메커니즘을 잘 이해함으로써, 불가사의한 혼란 상태도 뇌 기능 장해에 근거하는 병태로서 이미지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불가사의한 혼란상태 등은, 심한 불안으로 인해 방위(防衛) 반응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도 생각되고 있다. 그러한 인지증 환자에 대한 관여 방식으로서, 침착하고 온화하게 대하는 것만으로도 안정감을 가져올 수 있는데, 명령이나 조작적 태도로 대하여 불안이나 혼란 등의 행동 심리 증상(BPSD)의 발증을 초래한 경험이 있다는 개호자가 많다.
왜냐하면, 대응 방식에 관한 구체적인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경험칙(經驗則)에 의지한 케어 중심의 개호 방법이 되어 균일적인 케어가 행해지지 않음에 따라, 개호의 질을 높일 수 없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본원 발명자가 개발한 쿄메이션 케어(Kyomation Care)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케어 매니지먼트 방법(Care Management method)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인지증의 특징을 이해하기 위하여, 뇌의 기능과 그 병태 메커니즘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인지증 환자의 개성 넘치는 불가사의한 감각이나 상상력은, 위축된 뇌로도 생활할 수 있는 비밀이며, 셀프 케어 능력이기도 하고, 뇌가 갖는 가역성(可逆性)이라고도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그에 대한 이치에 맞는 과학적인 대책에 따라 관여하는 것이, 오히려 침착하게 하거나 안도감을 주는 바람직한 대응 방식이라 할 수 있다.
기본 관찰 13 항목은, 인지증 환자의 상태 파악과 함께 매장 자원(잔존 능력)이나 커뮤니케이션 능력 등의 셀프 케어 능력을 확인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즉, 뇌의 어느 부분의 기능이, 행동이나 표정 등에 관계되어 있는지를 기본 관찰 13 항목에 따라 이해하면서 경험칙에 의지하는 케어의 답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백인 백태의 셀프 케어 능력을 판정하고 기록하여, 백인 백태의 개별적인 연구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여 균일적으로 케어를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어쨌든, 인지증 환자와 접하는 양과 질이 균일화되는 것이 QOL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은 확실하다. 인지증 환자의 입장에 서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전문적인 창조력을 발휘하고 정보를 공유화하여 행동 심리 증상(BPSD) 등의 부적응 행동이 없어지며, 적응 행동을 늘릴 가능성을 계획적인 독려에 의해 지원함으로써, 생활의 재구축을 찾아내는 것의 가능성을 모습 관찰 13 항목으로부터 생각할 수가 있다.
평가 항목이 13 종류 있는 경우에, 회답이 양자 택일이었다 하더라도, 평가 회답의 조합은, 60억을 넘는다. 따라서, 그 조합의 수는, 지구상의 거의 전체 인구에 상당하게 된다.
3. 논리 회로의 적용
본원 발명자는, 시냅스의 전달 방법을 닮아 있는 컴퓨터의 논리 회로(logic circuit)를 적용하여, 상대의 몸짓이나 행동으로부터 얻어진 알고리즘(algorithm : 문제 해결의 순서)을 찾아냈다. 그리고 컴퓨터의 논리 회로에 투사하여 데이터를 분류하고, 행위나 태도로부터 반응을 읽어내어 케어에 대한 연구를 가설(假設)하고 사고(思考)하였다.
논리 회로는 2개의 값 1과 0에 의해 연산되어 있다. 논리 회로 이미지에 인지증 환자의 상기 태도에 따른 10개의 커뮤니케이션을 적용시켜 (1=있다)(0=없다)를 관찰해 간다. 논리곱 AND(앤드)는 모든 입력 단자에 1이 입력된 경우에 한하여 1을 출력하는 게이트이고, 부정곱 nAND(낸드)는 모든 입력 단자에 1이 입력된 경우에 한하여 0을 출력하는 게이트이며, 논리합 OR(오어)는 적어도 1개의 입력 단자에 1이 입력되면 1을 출력하는 게이트이고, 논리 부정 nOR(노어)는 적어도 1개의 입력 단자에 1이 입력되면 0을 출력하는 게이트이다.
본원 발명자는, 도 4에 나타내는 AND, nAND, OR, nOR의 4종류의 논리 회로의 조합에 의해 행동 심리 증상(BPSD)의 표출을 시사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할 때, 인지증 환자의 세계에 훌륭하게 들어가 안정화시키는 방향으로의 관여로서, 논리 회로에 의해 완화를 시도할 수 있는 방법(method)을 생각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AND, nAND, OR, nOR를 사용하여 모습을 관찰한 경우의 예(A씨 86세 여성 일상생활 자립도 A-1 인지증 고령자의 일상생활 자립도 III 알츠하이머형 인지증 AtD)를 이하에 예시한다.
A씨는, 아침 식사를 하고 있다가 아무 말 없이 식기를 들고 자리에서 일어나, 부엌으로 가서 옷소매를 능숙하게 걷어올리고 식기를 씻는다. 다 씻고 나서는 식기를 타올로 닦고, 옆에서 잘 못하고 있던 여성의 식기도 집어들어 씻는다. 그 일련의 순조로운 움직임을 보고 있던 개호사가 「A씨, 오늘은 솜씨가 좋네요」라며 말을 걸자, A씨는 「뭐 불만 있어? 나는 못할 거라고 생각하고 있기라도 했던 거야?」라고 흥분하며 성난 태도를 보였다.
A씨의 태도를 시계열로 관찰해 가면, 우선 소매를 걷고 식기를 씻는 행동을 볼 수 있다. 실행 기능과 설거지에 대한 호기심(관심)이 있는 것으로 고찰할 수 있다. 또, 옆에서 잘하지 못하고 있던 여성의 식기를 집어들어 씻는 행동이 이어서 관찰된다. 이 행동은, 주위의 상태를 파악하고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명료한 상태라 할 수 있다. 호기심이 있고, 그 사고가 명료하다는 점에서 논리곱 AND의 회로에 의해 성취감이 얻어진 상태로 가정된다.
그러나, 성취감은 얻어졌지만, 개호자의 표현의 미묘한 뉘앙스를 이해할 수 없어 방위적인 태도가 되고 자존심에 상처를 입은 태도가 표출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일상 생활 자립도 A-1 인지증 고령자의 일상 생활 자립도 III로부터도 추측할 수 있는데, 논리 부정 nOR의 회로의 존재를 고찰할 수 있다.
또, 언어의 이해력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개호자의 말에 흥분하는 BPSD가 발증(發症)되었다고 가정하면, 부정곱 nAND의 회로도 고찰할 수 있다.
일련의 논리 회로를 정리한 것을 도 5에 나타낸다. 상기 논리 회로는 어디까지나 A씨의 일상 생활의 태도로부터 추측되는 논리 회로이며, 성격이나 관념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사고 방식은, 뇌의 신경 전달의 조직인 논리 회로를 이용하여, A씨의 사물을 사고하는 회로를 행동(태도)으로부터 도출하여 케어에 유용하게 이용하는 개념(케어 기법)이다.
그리고 개호자가 말을 걸 때 주의하고 A씨의 판단력과 표현력을 이해하며, 성취감을 함께 기뻐하고, A씨의 문제 해결의 명료함을 바탕으로 설득하는 것은 그만두고 납득을 구하며, 항상 존경하는 마음을 가지고 「감사합니다」라고 하면서 「인사」를 하는 개별 케어를 행하였다. 그 결과, A씨의 흥분은 완화되고 소멸되었다.
이와 같이 각 개인의 상황에 따라 확고한 논리에 근거하여 평가를 해 감으로써, 케어 대상자들의 상황을 적절히 파악할 수가 있다. 또, 이러한 논리 회로를 다른 사람의 평가에 적용하는 것은 매우 유용하다.
인지증 환자는, 언어의 이해력의 저하 등으로 인해 말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게 되고, 어휘가 감소함에 따라, 「저···」 「그···」 「저거···」 「그거···」등의 대명사가 많아지지만, 「저···」 「그···」의 의미를 「배고프다」 「화장실에 가고 싶다」 등, 해당 환자의 적확한 표현으로서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인지증 환자는, 개호자의 페이스에 맞추는 것은 능숙하지 못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개호자는 그들이 말하는 내용이나 속도에 동조하며, 어휘나 표정을 주의 깊게 모습 관찰 13 항목에 따라 관찰함으로써, 그들이 페이스를 잡아가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 그리고 개호자끼리, 동조 영합하여 공유할 수가 있다.
모습 관찰 13 항목으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케어를 연구하며, 그 환자의 마음의 작용을 알고 생활 능력을 판정하여 셀프 케어 능력(매장 자원)을 최대한으로 활용한 케어를 인식한다는 것은, 인지증 환자에 대한 유연한 대응 방식에 있어 참고가 되는 동시에 케어 매니지먼트 시스템(Kyomation Care)에서는 의미가 있는 일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4. 정보 처리 장치
도 6~도 13을 참조하면서, 정보 처리 장치(10)에 대해 설명한다. 정보 처리 장치(10)는, 인터넷 등의 정보 통신망에 접속된 예이다.
정보 처리 장치(10)는, 정보 처리 서버로서 기능하며, 이용자 단말(20)과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한다. 정보 처리 장치(10)는, 이용자 단말(20)로부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수 서버(30)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여도 무방하고, 또는, 직접 이용자 단말(20)과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여도 무방하다. 정보 처리 장치(10)는, 또한, 전문가 등의 부가 정보 제공자의 부가 정보 입력 단말(40)과 정보 통신망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가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는, 상기의 케어 매니지먼트 시스템(Kyomation Care)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 처리 장치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어 분야에 있어서, 계획 작성, 계획 실행, 행동·개입에 대한 반응, 결과 평가, 계획 재검토, 정보 수집 및 정보 분석의 사이클을 시행하기 위한 지원 장치이다. 이러한 매니지먼트 사이클의 순환에 의해, 동시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보처리, 아웃풋, 케어, 피드백, 데이터베이스 갱신, 검증, 새로운 추론·가설의 생성이라는 사이클을 시행할 수가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10)는, 데이터베이스(12)와 처리부(14)를 포함한다.
정보 처리 장치(10)는, 평가 정보로부터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하여 증례 정보 및 대응 정보를 아웃풋하는 기능과, 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에 근거하여 평가 항목에 대응하는 평가 내용을 추론하는 기능을 갖는다.
데이터베이스(12)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어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물에 대한 복수의 평가 항목의 평가 내용과, 해당 케어 대상자의 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를 하나의 데이터 세트로서 서로 관련지어 기억하고 있다. 평가 항목으로서는, 케어 대상자의 증상을 특정할 수 있는 평가 항목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태도, 표정, 복장, 행동, 언어의 이해력, 구음(構音) 장해, 기억 장해, 지남력(指南力; 소재식(所在識)), 사고(思考), 계산, 판단력, 감정, 의욕의 13 항목을 들 수가 있다.
데이터베이스(12)에는, 데이터 세트마다 평가 내용, 평가 항목의 순서 및 판단을 위한 논리 회로가 기억되어 있다. 논리 회로는, 예컨대 상술한 도 5에 나타내는 논리 회로(AND, nAND, OR, nOR)의 논리 회로 등의 평가 내용과 증상 정보 또는 대응 정보를 연결하는 논리 회로를 들 수 있다. 평가 항목은, 예컨대, 상기의 기본 관찰 항목을 적용할 수가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정보 처리 장치(10)에 포함되는 기억장치(예컨대, ROM, 하드 디스크)에 기억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면서, 평가 정보로부터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하여 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를 아웃풋 하는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이용자 정보 단말(20)이 구하는 정보(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10)는, 우선, 평가 정보의 취득을 행한다(S10). 이 처리에 있어서, 센서에 의해 취득한 정보처리를 행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평가 정보에 대응한 케어 대상자들에 대한 증례 정보 및 대응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하여 취득한다(S11). 추론 처리나, 매칭 기능의 정확도,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처리를 행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정보 처리 장치(10)는, 이용자 단말(20)에 대하여 그 정보를 송신한다. 이용자 단말(20)의 이용자측이 실제의 증례 정보나 실제로 행한 대응 정보, 효과 정보를 입력한다(S12). 실제의 증례 및 대응 정보나 효과 정보의 입력을 유도하는 기능이나 센서에 의해 취득한 정보의 처리 기능 등을 부가하여도 무방하다.
이용자 단말(20)로부터 실제의 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를 수신하면, 기존의 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와의 비교·검증 작업을 행하는 동시에, 평가 정보와 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를 잇는 논리식을 생성한다(S13). 여기서, 평가와 증례를 연결하는 논리식의 자동 산출 처리나, 논리식의 자동 수정 처리, 논리식을 추측하여 작성하는 처리, 논리식의 신뢰성 평가·검증 처리 등을 행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12)의 갱신·통계 해석 등을 행하여, 데이터베이스(12)의 데이터의 충실화를 도모한다(S14). 여기서, 데이터베이스(12)의 자동 추기(追記) 처리나, 통계 처리, 수정해야 할 논리식의 알림 처리 등을 행하여도 무방하다.
보내져 온 실제의 대응 정보가, 이용자 단말에 송신한 대응 정보와 다른 경우에는, 송신한 대응 정보가 효과가 없는 것이 되는데, 효과가 없었던 대응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12)에 남겨 두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기능 추론이나 연역(演繹) 추론, 가설 생성 등에 의한 새로운 정보처리의 법칙의 도출을 행하여도 무방하다(S15). 여기서, 케어 대상자들의 케어의 목표 또는 목적이 바뀌는 경우도 있어,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 이론 등을 이용한 목표 추적 기능에 의해 새로운 목표에 맞는 기능 추론이나 연역 추론, 가설 생성 등의 처리를 행하여도 무방하다.
정보 처리 장치(10)는, 평가 정보로부터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하여 증례 정보 및 대응 정보를 아웃풋하는 기능과, 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에 근거하여 평가 항목에 대응되는 평가 내용을 추론하는 기능을 실현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증례 정보나 대응 정보를 입수할 수가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된 정보와 같은 내용을 갖는 동일한 데이터 세트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2)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 이어서, 동일한 데이터 세트가 기억되어 있으면, 해당 데이터 세트에 대응하는 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아웃풋한다(S21). 동일한 데이터 세트가 기억되어 있지 않다면, 근사(近似)한 데이터 세트의 유무를 판단한다. 여기서, 데이터가 근사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의 전체(전집합(全集合, universal set)) 또는 부분 데이터(부분 집합)에 근거하여 판단하여도 무방하다. 데이터베이스(12)가 근사(近似) 데이터 세트를 갖는다면, 평가 정보에 대응하는 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아웃풋한다(S23). 근사 데이터 세트가 없다면, 데이터베이스(12)에 근거하여 자동 추정한다. 예컨대, 기존의 논리식에 근거하여 논리식을 자동 추정하고, 추정한 논리식에 근거하여 취할 수 있는 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 중 어느 하나를 도출한다(S25). 자동 추정에 있어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참고 데이터베이스를 참고로 자동 추정하여도 무방하다. 참고 데이터베이스에는, 인문 데이터, 공학 데이터, 과학적 데이터, 의학적 데이터, 학술 데이터, 공업적 데이터, 철학 데이터, 역사 데이터, 사회과학 데이터, 자연과학 데이터, 기술 데이터, 산업 데이터, 예술 데이터, 언어 데이터, 문학 데이터 등이 기억되어 있다.
다음으로, 평가 내용의 취득의 수법에 대하여 도 13을 이용해 설명한다.
우선, 처리부가 케어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물에 대한 평가 항목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출하여, 이용자 단말(20)에 송신한다. 평가 항목은, 유무 등의 2값에 의해 회답할 수 있는 평가 항목이나, 3개 이상의 선택지(選擇肢)로부터 선택하는 평가 항목이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이미 이루어진 평가 내용, 입력 또는 수신된 해당 평가 항목에 대한 회답 내용, 및 데이터베이스(12)에 기억된 평가 내용의 회답 패턴과 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와의 대응 데이터에 근거하여, 다음의 평가 항목을 도출한다. 이로써, 미리 정해진 내용 및 순서로 평가해 가는 것이 아니라, 케어 대상자들에 따른 평가를 행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도 적확하게 평가를 할 수가 있다. 즉, 선택 가능한 평가 항목의 집합으로부터 최단(最短) 루트로 증상의 특정이 가능하다고 생각되는 다음의 평가 항목을 선택하여, 상세한 증상의 특정을 도모해 간다. 바꾸어 말하면, 차회(次回) 이후의 평가 항목의 선택지의 집합을 가장 작게 할 수 있는 평가 항목을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부(14)가 평가(문진) 내용을 도출하여, 이용자 단말(20)에 송수신부(16)를 통해 송신하고(S1), 평가(문진)의 회답 내용을 수취하며(S2), 그 회답 내용에 근거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입수하기 위해 액세스하고(S3), 필요 정보를 입수한 후, 다음의 평가 내용을 어떻게 할지 도출하여(S4), 다음의 회답 내용을 이용자 단말에 보낸다(S5).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입력 또는 수신되어 얻어진 평가(문진)에 대한 회답 내용에 근거하여, 상기 케어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물의 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2)로부터 도출할 수가 있다.
즉, 어떤 평가 내용이 정해지면, 과거의 데이터로부터 취할 수 있는 옵션을 결정한다. 이러한 옵션 중에서, 또 다른 평가를 위한 평가 항목을 선택한다. 여기서, 상기 평가의 다음의 평가에 있어서 선택할 수 있는 평가 항목의 종류를 가장 좁힐 수 있는 평가 항목을 선택하면, 증례의 특정까지 필요로 하는 평가 수를 가장 적게 할 수가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는, 부가정보 단말장치(40)로부터 부가 상황을 제공받아, 그 부가 상황 또는 그 가공 정보를 이용자 단말(20)에 송신하여도 무방하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의 참고 데이터 서버(50)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의 정보처리에 이용하거나, 부가 정보로서 이용자 단말에 송신하여도 무방하다.
정보 처리 장치(10)에 대해 정보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은, 정보 처리 장치(10)에 포함되는 기억장치(예컨대, ROM, 하드 디스크) 등에 저장할 수가 있다. 상기의 정보처리는, CPU 등의 연산 장치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장치에 저장할 수가 있다.
이용자 단말(20)이나 부가 정보 입력 단말(40)은, 예컨대, 입출력 기능이 있는 컴퓨터나 휴대전화 등의 휴대 단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는, 컴퓨터 등의 자동 계산기나 휴대전화 등의 휴대단말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정보 처리 장치(10)로서, 인터넷 등의 정보 통신망에 접속하여, 이용자 단말(20)과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10) 자체에 입력부(18a)나 표시부(18b)를 설치하여, 정보 처리 장치(10)만으로 정보처리를 완결시켜도 무방하다. 이 경우, 그 정보 처리 장치에 표시 수단을 설치하여, 증례 정보나 대응 정보를 표시하여도 무방하다.
5. 다른 정보 처리 기능
정보 처리 장치(10)는, 다음의 정보 처리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다.
(1) 지역마다의 특수성을 찾아내어, 평가 항목을 찾아낼 때나, 증례 정보 및 대응 정보를 도출할 때에 참고로 하는 수단을 부가하여도 무방하다.
(2) 평가 내용에 근거하여 증례 정보나 대응 정보를 도출할 때에, 다른 데이터(예컨대 MDS)를 참고로 하여 그 신뢰성을 평가하여도 무방하다.
(3) 입력된 실제의 증상 정보나 대응 정보에 비정상적(異常)인 것이 발견되었을 때는, 정보 처리 장치의 관리자에게 이상을 알리는 알림 장치(알람, 표시 수단 등)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6. 데이터
데이터베이스에, 다음의 것을 더 입수하여 기억시켜도 무방하다.
(1) 케어 대상자의 바이탈 사인(vital sign)이나 건강 상태의 데이터를 취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억시켜도 무방하다. 바이탈 사인으로서는, 예컨대, 체온, 혈압(상) 수축기 혈압, 혈압(하) 확장기 혈압, 맥박(/분), 호흡(/분) Spo2 혈중 산소 포화도, 신장, 체중, 수분(cc) INPUT, 수분(cc) OUTPUT, 아침 식사(주식량), 아침 식사(부식량), 점심식사(주식량), 점심식사(부식량), 저녁식사(주식량), 저녁식사(부식량), 간식량, 배변(회수/월), 배뇨(회수/월) 등을 들 수 있다.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지표로서, 예컨대, 안색 「안색이 좋은가」, 표정 「기분이 좋은가」, 식욕 「식욕이 있는가」, 수면 「잘 잠드는가」, 배변 「변비가 있지는 않은가」, 기분 「기분이 좋고·잘 웃는 일이 있는가」, 목욕 「자주 목욕하는가」 등을 들 수 있다.
(2) MRI 등의 뉴로이미징(Neuroimaging)에 의한 뇌의 화상 데이터와 증상간의 관련 정보를 기억시켜, 이용자 단말에 적절히 송신 또는 표시하여도 무방하다. 즉, 행동 관찰을 통해 뇌신경 세포의 잔존 부위를 파악하기 위해, 세포 구조 분류와 대뇌 피질의 기능 지도의 대조 시트(KBS:Kyomation Balance Seat)로부터, 개호자도 시각적으로 병태의 이해를 도모할 수가 있다. 상기 대조 시트는, 뇌 화상에 의해, 「뇌의 어느 곳이 손상(damage)되어 있는가」를 조사하여, 일상의 행동 관찰로부터 알게 되는 「인지증의 증상」과 대조한 시트이다. 이러한 정보의 존재에 의해, 화상 진단으로 이루어지는 뇌 기능(욕구)의 파악과, 관찰에 의한 행동(부적응 행동)의 파악으로부터 BPSD(Behavioral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의 요인을 찾아내는 데에 이바지하게 된다.
(3) 수면과 배설의 패턴 그래프를 기억시켜도 무방하다. 수면·배설 패턴 그래프는 행동 관찰에 있어서, 수면·배설 패턴을 15분 간격으로 168시간(1주간) 기록한 것을 시계열적으로 그래프화하는 것이다. 각 시간대에 있어서의 수면·배설 확률(수면 일수(日數) 및 배설 일수 ÷ 기록 일수×100)로 나타낸다. 종래의 개호 기록에서는, 평균적인 수면 상태나 배설의 빈도를 시각적으로 고찰하기 어려운 상태였으나, 그래프화하여 시계열 변화 및 확률을 눈으로 봄으로써, 1일 중에 있어서의 중도 각성(覺醒)이 일어나기 쉬운 시간대나 요의(尿意)를 느끼기 쉬운 시간대를 보다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파악할 수가 있다. 또, 상기 그래프에 의해 인지증 환자의 생활 리듬이나 생활상의 문제점, 생활 패턴을 시각적으로 파악하여 분석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개호자(이용자)의 기록을 「자각적 증상(Subjective)」, 「타적(他的) 소견(Objective)」, 「평가(Assessment)」, 「계획(Plan)」의 순으로 행할 수 있다. 이로써, 문제 사고형 기술(記述)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의사, 임상 심리사, 개호 직원, 간호사, 이학·언어·음악·작업 요법사 등이 통일하여 이 기술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팀 사이에서 균일한 정보 교환을 할 수가 있다.
6. 작용 효과
본원 발명자는, 정보 수집(Data), 정보 분석(Focus), 계획 작성(Plan), 계획 실행(Do), 행동·개입에 대한 반응(Response), 결과 평가(Check), 계획 재검토(Action)의 「(D)F-PDCA 사이클」을 시행함으로써, 적확한 케어를 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일반적으로, 케어 분야에 있어서, 계획을 세우고 계획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은 계획을 하는 사람의 기능(技能, skills)에 맡겨져, 지식의 체계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이외에도, 과학적 견지로부터의 접근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정보 수집에 의해 얻어진 정보 분석(Focus)을 행한다. 즉, 정보의 해석을 행하여, 각종 정보를 대응짓는다. 특히 특징적인 점은, 본 발명자는, AND, nAND, OR, nOR의 4종류의 논리 회로의 조합에 의해 행동 심리 증상의 표출을 시사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는, 그 논리 회로를 데이터베이스에 기억하고, 논리 회로에 근거하여 다음의 문진 내용을 어떤 것이 적절한지 여부를 도출하여, 증례 정보나 대응 정보를 효율적이고도 적확하게 도출하는 시스템이다. 종래는, 평가해야 할 항목을 리스트 업(list-up)하여, 모든 평가 항목을 평가해야 비로소 증례 정보를 파악할 수가 있었다. 그러나, 평가 내용과 대응 정보가 대응되어 있기 때문에, 평가 항목을 입력하는 것만으로 대응 정보가 도출된다. 종래, 평가 내용으로부터 증례 정보를 인식하고, 그 증례 정보로부터 케어 플랜 작성자의 속인(屬人)적인 능력에 따라 대응 정보를 어떻게 할 것인가라고 하는 파악 작업을 행하여 왔다. 그러나,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평가 작업을 하는 것만으로 케어 대상자에 대한 대응 정보를 알 수가 있기 때문에, 증례 정보로부터 대응 정보를 작성하는 것이 평가 내용을 입력하는 것만으로 대응 정보를 입수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시스템은, 정해진 평가 항목의 순으로 평가 항목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그때마다,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평가 항목을 결정해 가기 때문에, 케어에 관한 평가뿐만 아니라, 적절하다면 교육에 관한 평가 항목도 도출할 수가 있다. 즉, 의료, 간호, 개호, 교육, 스포츠 등의 모든 분야를 망라하여, 포괄할 수 있는 것이다. 또, 각 전문직의 정보수집, 데이터 공유에 의해 케어 대상자가 나타내는 여러 가지 증상의 발생 메커니즘의 정확한 이해를 도모할 수가 있다.
논리 회로를 참조함으로써, 어떤 평가 항목의 평가 내용에 대해 관련도가 높은 평가 항목도 파악하기가 용이해진다.
상기의 실시의 형태는,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인지증 환자의 케어에 대해 많이 기술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교육이나 심리 케어 등의 분야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 사람의 케어 뿐만 아니라, 동물이나 식물 등의 케어에 대해서도 널리 적용할 수가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케어에 있어서의 매니지먼트 시스템으로서 적용 가능하다.
10; 정보 처리 장치
12; 데이터베이스
14; 처리부
16; 송수신부
18a; 입력부
18b; 표시부
20; 이용자 단말
30; 접수 서버
40; 부가 정보 입력 단말
50; 참고 데이터 서버

Claims (8)

  1. 케어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물에 대한 복수의 평가 항목의 평가 내용과, 해당 케어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물의 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를 하나의 데이터 세트로서 서로 관련지어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케어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물에 대한 평가 항목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출하는 제1 처리부와,
    이미 평가된 평가 항목과, 입력 또는 수신된 해당 평가에 대한 평가 내용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다음의 평가 항목을 도출하는 제2 처리부와,
    입력 또는 수신된 평가 내용에 근거하여, 상기 케어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물의 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출하는 제3 처리부와,
    이미 평가된 평가 항목, 입력 또는 수신된 해당 평가에 대한 평가 내용, 및 평가 내용의 회답 순서와, 실제로 입력된 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갱신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데이터 세트마다 평가 내용, 행한 평가 항목의 순서 및 판단을 위한 논리 회로가 기억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입력 또는 수신된 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에 근거하여, 예상되는 평가 내용을 추측하는 추측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평가 내용에 근거하여 도출된 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와, 입력 또는 수신된 실제의 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가 다른 경우에는, 해당 입력 또는 수신된 실제의 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억시키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1 처리부가 케어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물에 대한 복수의 평가 항목의 평가 내용과, 해당 케어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물의 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를 하나의 데이터 세트로서 서로 관련지어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케어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물에 대한 평가 항목을 도출하는 공정과,
    제2 처리부가 이미 평가된 평가 항목과, 입력 또는 수신된 해당 평가에 대한 평가 내용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다음의 평가 항목을 도출하는 공정과,
    제3 처리부가, 입력 또는 수신된 평가에 대한 평가 내용에 근거하여, 상기 케어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물의 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출하는 공정과,
    갱신 수단이, 이미 평가된 평가 항목, 입력 또는 수신된 해당 평가에 대한 평가 내용, 및 평가 내용의 회답 순서와, 실제로 입력된 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7. 컴퓨터로,
    제1 처리부가 케어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물에 대한 복수의 평가 항목의 평가 내용과, 해당 케어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물의 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를 하나의 데이터 세트로서 서로 관련지어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케어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물에 대한 평가 항목을 도출하는 제1 단계와,
    제2 처리부가 이미 평가된 평가 항목과, 입력 또는 수신된 해당 평가에 대한 평가 내용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다음의 평가 항목을 도출하는 제2 단계와,
    제3 처리부가, 입력 또는 수신된 평가에 대한 평가 내용에 근거하여, 상기 케어 대상자 또는 케어 대상물의 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도출하는 제3 단계와,
    갱신 수단이, 이미 평가된 평가 항목, 입력 또는 수신된 해당 평가에 대한 평가 내용, 및 평가 내용의 회답 순서와, 실제로 입력된 증례 정보, 대응 정보 또는 효과 정보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8. 삭제
KR1020147014580A 2011-11-06 2012-11-06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KR1020253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42950 2011-11-06
JP2011242950A JP5419300B2 (ja) 2011-11-06 2011-11-06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ベースシステム
PCT/JP2012/078676 WO2013065864A1 (ja) 2011-11-06 2012-11-06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ベース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570A KR20140091570A (ko) 2014-07-21
KR102025315B1 true KR102025315B1 (ko) 2019-09-25

Family

ID=48192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4580A KR102025315B1 (ko) 2011-11-06 2012-11-06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324470A1 (ko)
JP (1) JP5419300B2 (ko)
KR (1) KR102025315B1 (ko)
CN (1) CN103999118B (ko)
WO (1) WO20130658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85945B2 (ja) * 2014-10-24 2019-03-20 国立大学法人高知大学 認知状態分析装置
WO2016163170A1 (ja) * 2015-04-07 2016-10-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診療支援装置とその作動方法および作動プログラム、並びに診療支援システム
JP6708830B2 (ja) * 2016-05-06 2020-06-10 一般社団法人認知症高齢者研究所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9564780B (zh) * 2016-08-08 2023-11-03 赛因特凯亚控股公司 照护计划制作支援系统及方法、以及存储介质
JP6592416B2 (ja) * 2016-09-29 2019-10-16 マクセル株式会社 タスク実行順序決定システムおよびタスク実行方法
WO2019130957A1 (ja) 2017-12-27 2019-07-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認知機能評価装置、認知機能評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11326242B (zh) * 2018-12-14 2024-06-18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以及存储信息处理程序的记录介质
JP7259540B2 (ja) * 2019-05-21 2023-04-1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判定装置、判定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判定方法
CN114255219B (zh) * 2021-12-21 2022-08-16 数坤(北京)网络科技股份有限公司 征象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2845A (ja) * 2001-10-09 2003-04-25 Shinkichi Himeno 医療情報の検索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2011028717A (ja) 2009-06-25 2011-02-10 Tokai Medical Service:Kk 治療支援プログラム、その記録媒体および治療支援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0577B2 (ja) * 1992-10-30 2003-02-24 株式会社富士ロジテック データ・ベース検索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3812057B2 (ja) * 1997-05-27 2006-08-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カルテシステム
JP3469086B2 (ja) 1997-09-10 2003-11-25 明治生命保険相互会社 ケア・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ケアプラン作成方法、およびケアプラン作成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H11312199A (ja) * 1998-04-27 1999-11-09 Kobe Steel Ltd 看護ガイダンスシステム
JP2008257291A (ja) * 2007-03-30 2008-10-23 Fujifilm Corp 症例データベース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BRPI0821706B1 (pt) * 2007-12-27 2020-09-15 Koninklijke Philips N.V. Método e aparelho para pesquisar casos de um banco de dado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2845A (ja) * 2001-10-09 2003-04-25 Shinkichi Himeno 医療情報の検索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2011028717A (ja) 2009-06-25 2011-02-10 Tokai Medical Service:Kk 治療支援プログラム、その記録媒体および治療支援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99118A (zh) 2014-08-20
CN103999118B (zh) 2018-04-20
US20140324470A1 (en) 2014-10-30
KR20140091570A (ko) 2014-07-21
JP2013097748A (ja) 2013-05-20
JP5419300B2 (ja) 2014-02-19
WO2013065864A1 (ja) 2013-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5315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Urban ‘This really takes it out of you!’The senses and emotions in digital health practices of the elderly
Trahan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strategies to foster activity engagement in persons with dementia
Pe et al. Emotion-network density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Michael et al. Continuous theta-burst stimulation demonstrates a causal role of premotor homunculus in action understanding
Negri et al. What is the role of motor simulation in action and object recognition? Evidence from apraxia
Al-Kasasbeh et al. A biotech measurement software system using controlled features for determining the level of psycho-emotional tension on man-machine system operators by bio-active points based on fuzzy logic measures
US20130172693A1 (en) Diagnosing system for consciousness level measurement and method thereof
Contrada et al. Personality and self-regulation in health and disease: Toward an integrative perspective
Krill et al. Where evolutionary psychology meets cognitive neuroscience: A précis to evolutionary cognitive neuroscience
Davies Empathic nursing: Going the extra mile
Guldager et al. Rehabilitation capital: A new form of capital to understand rehabilitation in a Nordic welfare state
Rich Childhood, surveillance and mHealth technologies
Brand et al. Bridging the gap between Interoception and mental health: subjective interoceptive accuracy as a correlate of psychopathological symptom burden in a multicenter study
Eschweiler et al. How Can Intelligent Conversational Agents Help? The Needs of Geriatric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Kalfoss Use of instruments to measure quality of life among healthy and ill adults in community settings
Hatala et al. Diagnostic emplotment in Q’eqchi’Maya Medicine
WO2023281424A1 (en) Integrative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medical diagnosi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King et al. First nations People's challenge in managing coronary artery disease risk
Tamburrini Philosophical reflections on brain–computer interfaces
Kristensen et al. Achieving a holistic perspective in stroke rehabilitation: An overview of the use of the ICF by Danish physiotherapists and occupational therapists
Luchins Clinical expertise and the limits of explicit knowledge
Strain et al. Modeling medical diagnosis using a comprehensive cognitive architecture
Patterson Aphasia assessment
Spelt et al. Exploring physiologic reactions to persuasive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