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616B1 - 모터,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 Google Patents

모터,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616B1
KR102024616B1 KR1020177027689A KR20177027689A KR102024616B1 KR 102024616 B1 KR102024616 B1 KR 102024616B1 KR 1020177027689 A KR1020177027689 A KR 1020177027689A KR 20177027689 A KR20177027689 A KR 20177027689A KR 102024616 B1 KR102024616 B1 KR 102024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over
control board
connection terminal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7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0699A (ko
Inventor
요시아키 야마시타
토모유키 쿠보타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0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 B62D5/04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including housing for electronic control un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7Supply of pressurised fluid for steering also supplying other consumers ;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05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for large machine windings, e.g. bar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for generally annula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on from ingress, e.g. water or fing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02K11/215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effect or magneto-resis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03Machines characterised by numerical values, ranges, mathematical expressions or simila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2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operating in liquid or gas
    • H02K5/124Sealing of shaf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73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e.g. ball bearings
    • H02K5/1732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e.g. ball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모터의 하나의 형태는 샤프트를 갖는 로터와, 스테이터와, 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과, 스테이터를 유지하고 일방측에 개구하는 통상의 모터 하우징과, 스테이터의 일방측에 위치하고, 베어링을 유지하는 베어링 홀더와, 베어링 홀더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제어 기판과, 제어 기판에 부착되는 회전 센서와, 모터 하우징의 일방측에 위치하고, 제어 기판을 수용하는 제어 기판 하우징과, 베어링보다 일방측에 위치하고, 샤프트에 부착되는 센서 마그넷과, 적어도 일부가 제어 기판과 베어링 홀더의 축방향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샤프트, 베어링 및 센서 마그넷의 일방측을 덮는 비자성체의 콘타미네이션 커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모터,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본 발명은 모터,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동 모터 중에는 모터 케이스 내에 회로기판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8-148497호 공보
상기와 같은 전동 모터에 있어서는 모터 본체부 내에 존재하는 콘타미네이션(contamination)이 회로기판에 부착해서 회로기판에 설치된 배선이 도통불량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는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어 기판에 콘타미네이션이 부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모터, 및 그러한 모터를 구비한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의 모터의 하나의 형태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는 로터 코어, 및 상기 로터 코어에 고정되는 로터 마그넷을 갖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지름방향 외측을 둘러싸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축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고,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스테이터를 유지하고 상기 일방측에 개구하는 통상의 모터 하우징과,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일방측에 위치하고, 상기 베어링을 유지하는 베어링 홀더와, 상기 베어링 홀더의 상기 일방측에 위치하는 제어 기판과, 상기 제어 기판에 부착되는 회전 센서와, 상기 모터 하우징의 상기 일방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어 기판을 수용하는 제어 기판 하우징과, 상기 베어링보다 상기 일방측에 위치하고, 상기 샤프트에 부착되는 센서 마그넷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어 기판과 상기 베어링 홀더의 축방향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샤프트, 상기 베어링 및 상기 센서 마그넷의 상기 일방측을 덮는 비자성체의 콘타미네이션 커버를 구비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제어 기판에 콘타미네이션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모터, 및 그러한 모터를 구비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모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모터의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모터의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모터의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는 각 구성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실제의 구조와 각 구조에 있어서의 축척이나 수 등을 다르게 하는 경우가 있다.
도면에 있어서는 적당하게 3차원 직교 좌표계로서 XYZ 좌표계를 나타낸다. XYZ 좌표계에 있어서, Z축방향은 도 1에 나타내는 중심축(J)의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한다. X축방향은 Z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서 도 1의 좌우방향으로 한다. Y축방향은 X축방향과 Z축방향의 양쪽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Z축방향의 정의 측(+Z측, 일방측)을 「리어측」이라고 부르고, Z축방향의 부의 측(-Z측, 타방측)을 「프론트측」이라고 부른다. 또, 리어측 및 프론트측이란 단지 설명을 위해서 사용되는 명칭으로서, 실제의 위치 관계나 방향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중심축(J)에 평행한 방향(Z축방향)을 단지 「축방향」이라고 부르고, 중심축(J)을 중심으로 하는 지름방향을 단지 「지름방향」이라고 부르고, 중심축(J)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방향, 즉, 중심축(J)의 축둘레를 단지 「둘레방향」이라고 부른다.
<모터>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모터(1)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모터(1)의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모터(1)의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는 하우징(10) 및 제어 기판(60) 등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는 콘타미네이션 커버(50)가 부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듯이, 모터(1)는 하우징(10)과, 샤프트(21)를 갖는 로터(20)와, 스테이터(30)와, 리어 베어링(24)과, 프론트 베어링(25)과, 센서 마그넷(63)과, 베어링 홀더(40)와, 버스바 유닛(70)과, 콘타미네이션 커버(50)와, 제어 기판(60)과, 회전 센서(61)와, 전자부품(64,65)을 구비한다.
[하우징] 하우징(10)은 모터(1)의 각 부를 내부에 수용한다. 하우징(10)은 모터 하우징(11)과, 제어 기판 하우징(12)을 갖는다. 즉, 모터(1)는 모터 하우징(11)과, 제어 기판 하우징(12)을 구비한다.
모터 하우징(11)은 통상이며, 리어측(+Z측)에 개구한다. 모터 하우징(11)은 모터 통상부(14)와, 저부(13)와, 프론트 베어링 유지부(18)를 갖는다. 모터 통상부(14)는 통상이며, 스테이터(30)의 지름방향 외측을 둘러싼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터 통상부(14)는 원통상이다. 모터 통상부(14)의 내측면에는 스테이터(30)가 고정된다. 즉, 모터 하우징(11)은 스테이터(30)를 유지한다.
저부(13)는 모터 통상부(14)의 프론트측(-Z측)의 단부에 배치된다. 저부(13)에는 출력축 구멍부(13a)가 배치된다. 출력축 구멍부(13a)는 저부(13)를 축방향(Z축방향)으로 관통한다. 프론트 베어링 유지부(18)는 저부(13)의 리어측(+Z측)의 면에 배치된다. 프론트 베어링 유지부(18)는 프론트 베어링(25)을 유지한다.
제어 기판 하우징(12)은 모터 하우징(11)의 리어측에 (+Z측)에 위치한다. 제어 기판 하우징(12)은 제어 기판(60)을 수용한다. 제어 기판 하우징(12)은 제어 기판 통상부(15)와, 덮개부(16)를 갖는다.
제어 기판 통상부(15)는 통상이며, 제어 기판(60)의 지름방향 외측을 둘러싼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 기판 통상부(15)는 원통상이다. 제어 기판 통상부(15)는 모터 통상부(14)의 리어측(+Z측)의 단부에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저부(13)와 모터 통상부(14)와 제어 기판 통상부(15)는 리어측에 개구하는 유저통상의 단일부재이다. 또, 저부(13)와 모터 통상부(14)와 제어 기판 통상부(15)는 각각 별도의 부재이어도 좋다.
덮개부(16)는 제어 기판 통상부(15)의 리어측(+Z측)의 개구를 막는다. 덮개부(16)는 덮개부 본체(16a)와, 지지부(16b)와, 배선부재(19)와, 커넥터부(17)를 갖는다. 지지부(16b)는 덮개부 본체(16a)로부터 프론트측(-Z측)으로 연장된다. 지지부(16b)는 제어 기판 통상부(15)의 지름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또, 덮개부(16)와 제어 기판 통상부(15)는 단일의 부재이어도 좋다. 즉, 하우징(10)이 단일의 부재이어도 좋다.
배선부재(19)는 지지부(16b)로부터 프론트측(-Z측)으로 돌출한다. 배선부재(19)는 제어 기판(6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되어 있지만, 배선부재(19)는 지지부(16b) 및 덮개부 본체(16a)를 통해 커넥터부(17)까지 둘러진다. 커넥터부(17)는 덮개부 본체(16a)로부터 리어측(+Z측)으로 연장된다. 커넥터부(17)에는 외부전원(도시생략)이 접속된다. 배선부재(19)는 커넥터부(17)를 통해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제어 기판(60)에는 배선부재(19)를 통해 외부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로터] 로터(20)는 샤프트(21)와, 로터 코어(22)와, 로터 마그넷(23)을 갖는다. 샤프트(21)는 축방향(Z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J)을 중심으로 한다. 샤프트(21)는 프론트 베어링(25)과 리어 베어링(24)에 의해 중심축(J)의 축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샤프트(21)의 프론트측(-Z측)의 단부는 출력축 구멍부(13a)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한다. 샤프트(21)의 리어측(+Z측)의 끝면에는 구멍부가 형성된다. 샤프트(21)의 구멍부에는 부착부재(62)가 감합된다. 부착부재(62)는 봉상부재이며,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샤프트(21)는 로터 코어(22)에 고정된다. 로터 코어(22)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갖는다. 샤프트(21)는 로터 코어(22)의 관통구멍을 통과한다. 바꿔 말하면, 로터 코어(22)는 샤프트(21)를 둘레방향으로 둘러 싼다. 샤프트(21)는 바람직하게는 로터 코어(22)의 관통구멍에 압입에 의해 고정된다. 로터 마그넷(23)은 로터 코어(22)에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로터 마그넷(23)은 로터 코어(22)의 둘레방향을 따른 외측면에 고정된다. 로터 코어(22) 및 로터 마그넷(23)은 샤프트(21)와 함께 회전한다.
[스테이터] 스테이터(30)는 중심축(J)을 중심으로 하는 대략 원통상이다. 스테이터(30)는 로터(20)의 지름방향 외측을 둘러싼다. 스테이터(30)는 스테이터 코어(31)와, 보빈(32)과, 코일(33)을 갖는다. 스테이터 코어(31)는 코어 백부(31a)와, 복수의 티스부(31b)를 갖는다.
코어 백부(31a)의 형상은 중심축(J)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상이다. 각 티스부(31b)는 코어 백부(31a)의 내측면으로부터 샤프트(21)를 향해서 연장된다. 티스부(31b)는 코어 백부(31a)의 내측면에 있어서, 둘레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보빈(32)은 각 티스부(31b)에 장착된다.
통전시에 있어서, 코일(33)은 스테이터 코어(31)를 여자할 수 있다. 코일(33)은 보빈(32)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코일(33)은 보빈(32)의 둘레에 도전선이 권회됨으로써 구성된다. 코일(33)에는 코일 배선(34)이 접속된다. 코일 배선(34)의 적어도 일부는 후술하는 베어링 홀더(40)의 구멍부(40a)에 삽입된다. 코일 배선(34)의 리어측(+Z측)의 단부(34a)는 베어링 홀더(40)보다 리어측에 위치한다. 코일 배선(34)은 코일(33)을 구성하는 도전선의 단부이어도 좋고, 코일(33)을 구성하는 도전선과는 별도의 부재이어도 좋다.
[리어 베어링 및 프론트 베어링] 리어 베어링(24)은 스테이터(30)의 리어측(+Z측)에 위치한다. 리어 베어링(24)은 베어링 홀더(40)에 유지된다. 프론트 베어링(25)은 스테이터(30)의 프론트측(-Z측)에 위치한다. 프론트 베어링(25)은 모터 하우징(11)의 프론트 베어링 유지부(18)에 유지된다.
리어 베어링(24)과 프론트 베어링(25)은 로터(20)의 샤프트(21)를 지지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리어 베어링(24) 및 프론트 베어링(25)은 볼베어링이다. 그러나, 리어 베어링(24) 및 프론트 베어링(25)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슬라이딩 베어링 등의 다른 종류의 베어링이 사용되어도 좋다.
[센서 마그넷] 도 2에 나타내듯이, 센서 마그넷(63)은 리어 베어링(24)보다 리어측(+Z측)에 배치된다. 센서 마그넷(63)은 베어링 홀더(40)보다 리어측에 배치된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센서 마그넷(63)은 원환상이다. 부착부재(62)는 샤프트(21)에 고정된다. 샤프트(21)는 부착부재(62)의 관통구멍 내에 감합된다. 도 2에 나타내듯이, 센서 마그넷(63)의 내측면은 부착부재(62)의 외측면에 감합된다. 이에 따라 센서 마그넷(63)은 샤프트(21)에 부착된다.
회전 센서(61)는 센서 마그넷(63)의 자극위치의 변화를 검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전 센서(61)로서 자기저항소자가 사용된다. 센서 마그넷(63)은 샤프트(21)의 리어측(+Z측)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회전 센서(61)의 분해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모터(1)의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베어링 홀더] 도 1에 나타내듯이, 베어링 홀더(40)는 스테이터(30)의 리어측(+Z측)에 배치된다. 베어링 홀더(40)는 제어 기판 통상부(15)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평면으로 볼 때(XY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베어링 홀더(40)의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중심축(J)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상이다. 베어링 홀더(40)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제이다. 또, 평면으로 볼 때(XY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베어링 홀더(40)의 형상은 반드시 원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 등 다른 형상이어도 좋다.
베어링 홀더(40)는 유지부(41)와, 원환상부(42)를 갖는다. 유지부(41)는 중심축(J)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상이다. 유지부(41)는 축방향(Z축방향)의 양측에 개구한다. 유지부(41)의 지름방향 내측에는 리어 베어링(24)이 감합된다. 이에 따라 베어링 홀더(40)는 리어 베어링(24)을 유지할 수 있다.
원환상부(42)는 유지부(41)의 지름방향 외측을 둘러싼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지부(41)와 원환상부(42)는 단일의 부재이다. 원환상부(42)는 원환상부(42)를 축방향(Z축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부(40a)를 갖는다. 즉, 베어링 홀더(40)에는 베어링 홀더(40)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1개의 구멍부(40a)가 형성된다.
[버스바 유닛] 버스바 유닛(70)은 베어링 홀더(40)의 리어측(+Z측)에 배치된다. 버스바 유닛(70)은 베어링 홀더(40)의 원환상부(42)의 리어측의 면에 배치된다. 버스바 유닛(70)은 버스바 홀더(71)와, 버스바(72)를 갖는다.
버스바 홀더(71)는 버스바(72)를 유지한다. 버스바 홀더(71)는 바람직하게는 수지제이다. 도 3에 나타내듯이, 버스바 홀더(71)는 본체부(75)와, 제 1 돌기부(76)와, 제 2 돌기부(77)를 갖는다.
본체부(75)는 리어측 본체부(75a)와, 프론트측 본체부(75b)를 갖는다. 리어측 본체부(75a)와 프론트측 본체부(75b)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원환상이다. 리어측 본체부(75a)와 프론트측 본체부(75b)는 축방향(Z축방향)으로 서로 겹친다. 리어측 본체부(75a)는 프론트측 본체부(75b)의 리어측(+Z측)에 배치된다.
리어측 본체부(75a)에는 리어측 본체부(75a)를 축방향(Z축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구멍이 배치된다. 리어측 본체부(75a)의 리어측(+Z측)의 본체부 리어면(75c)에는 복수의 제 1 돌기부(76)가 배치된다. 제 1 돌기부(76)는 본체부 리어면(75c)으로부터 리어측으로 돌출한다. 즉, 제 1 돌기부(76)는 본체부(75)로부터 리어측으로 돌출한다.
프론트측 본체부(75b)의 리어측(+Z측)의 면에는 복수의 제 2 돌기부(77)가 배치된다. 제 2 돌기부(77)는 프론트측 본체부(75b)의 리어측의 면으로부터 리어측으로 돌출한다. 제 2 돌기부(77)는 리어측 본체부(75a)에 배치된 관통구멍을 통해 본체부 리어면(75c)보다 리어측으로 돌출한다.
도 4에 나타내듯이, 제 2 돌기부(77)의 리어측(+Z측)의 단부는 본체부 리어면(75c)과 용착된다. 이에 따라 리어측 본체부(75a)는 프론트측 본체부(75b)와 고정된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콘타미네이션 커버(50)의 플랜지부(56)에는 피삽입 구멍부(56a)가 배치된다. 제 1 돌기부(76)는 피삽입 구멍부(56a)에 통과된다. 도 4에 나타내듯이, 제 1 돌기부(76)의 리어측(+Z측)의 단부는 플랜지부(56)보다 리어측에 배치된다. 제 1 돌기부(76)의 리어측의 단부는 플랜지부(56)의 리어측의 면에 용착된다. 이에 따라 리어측 본체부(75a)가 콘타미네이션 커버(50)와 고정되고, 버스바 홀더(71)가 콘타미네이션 커버(50)와 고정된다.
홈(75d)은 프론트측 본체부(75b)의 리어측(+Z측)의 면에 배치된다. 도 2에 나타내듯이, 버스바(72)의 일부는 홈(75d)에 끼워 넣어진다. 홈(75d)에 끼워 넣어진 버스바(72)의 일부는 프론트측 본체부(75b)의 리어측에 리어측 본체부(75a)와 서로 겹쳐져서 고정된다. 이에 따라 홈(75d)에 끼워 넣어진 버스바(72)의 일부는 버스바 홀더(71)에 유지된다. 즉, 버스바 홀더(71)는 버스바(72)를 유지한다.
도 3에 나타내듯이, 버스바(72)는 적어도 1개의 코일 접속단자(73)를 갖는다. 버스바(72)는 복수의 코일 접속단자(73)를 갖는다. 코일 접속단자(73)는 본체부(75)의 지름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평면으로 볼 때(XY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코일 접속단자(73)의 형상은 지름방향 외측에 개구하는 U자형상이다. 프론트측 본체부(75b) 및 베어링 홀더(40)는 코일 배선(34)이 삽입통과되는 관통구멍을 갖는다. 코일 접속단자(73)는 코일 배선(34)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버스바(72)는 코일 배선(34)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코일 접속단자(73)의 대향하는 부분끼리의 사이에는 코일 배선(34)이 배치된다. 그리고, 인접하는 코일 접속단자(73)는 용접 지그에 의해 코일 배선(34)을 끼워넣는 방향으로 눌러 찌부러지고, 코일 접속단자(73)와 코일 배선(34)이 접속된다. 또, 코일 접속단자(73)와 코일 배선(34)의 접속 방법은 상술의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4에 나타내듯이, 버스바(72)는 적어도 1개의 외부 접속단자(74)를 갖는다. 즉, 버스바 유닛(70)은 적어도 1개의 외부 접속단자(74)를 갖는다. 도 4에서는 버스바 유닛(70)(즉 버스바(72))은 3개의 외부 접속단자(74)를 갖는다. 외부 접속단자(74)는 축방향(Z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외부 접속단자(74)는 콘타미네이션 커버(50)의 후술하는 노치부(55)를 통해 콘타미네이션 커버(50)보다 리어측(+Z측)으로 연장된다.
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하지만, 외부 접속단자(74)는 외부전원(도시생략)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버스바(72)는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버스바(72) 및 코일 배선(34)을 통해 스테이터(30)에 전류를 흘릴 수 있다.
[콘타미네이션 커버] 도 2에 나타내듯이, 콘타미네이션 커버(50)는 제어 기판(60)과 베어링 홀더(40)의 축방향(Z축방향) 사이에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콘타미네이션 커버(50)는 버스바 홀더(71)에 고정된다.
콘타미네이션 커버(50)는 비자성체이다. 콘타미네이션 커버(50)의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수지이다. 도 4에 나타내듯이, 콘타미네이션 커버(50)는 제 1 볼록부(51)와, 원환판부(53)와, 제 2 볼록부(52)와, 플랜지부(56)를 갖는다.
도 2에 나타내듯이, 제 1 볼록부(51)는 리어측(+Z측)으로 볼록해지는 중공의 부분이다. 제 1 볼록부(51)는 프론트측(-Z측)에 개구한다. 도 4에 나타내듯이, 제 1 볼록부(51)는 바람직하게는 중심축(J)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상이다.
도 1에 나타내듯이, 제 1 볼록부(51)는 샤프트(21) 및 센서 마그넷(63)의 리어측(+Z측)을 덮는다. 즉, 콘타미네이션 커버(50)는 샤프트(21) 및 센서 마그넷(63)의 리어측을 덮는다. 제 1 볼록부(51)는 리어 베어링(24)의 리어측의 일부를 덮는다.
도 2에 나타내듯이, 제 1 볼록부(51)의 내측에는 센서 마그넷(63)의 일부가 수용된다. 로터(20)가 센서 마그넷(63)과 함께 회전하고, 센서 마그넷(63)에 부착되어 있는 콘타미네이션이 비산한 경우에, 콘타미네이션이 제 1 볼록부(51)의 내측에 부착한다. 콘타미네이션은 예를 들면, 티끌, 먼지, 자석가루, 철가루 등이다. 이에 따라 센서 마그넷(63)의 콘타미네이션이 모터(1)의 내부에 확산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원환판부(53)는 판상의 부분이며, 제 1 볼록부(51)의 프론트측(-Z측)의 단부로부터 지름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도 4에 나타내듯이, 평면으로 볼 때(XY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원환판부(53)는 중심축(J)을 중심으로 하는 원환상이다. 도 2에 나타내듯이, 원환판부(53)는 리어 베어링(24)의 리어측(+Z측)의 일부를 덮는다. 원환판부(53)와 제 1 볼록부(51)는 리어 베어링(24)의 리어측의 전체를 덮는다. 즉, 콘타미네이션 커버(50)는 리어 베어링(24)의 리어측을 덮는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콘타미네이션 커버(50)는 제어 기판(60)과 베어링 홀더(40)의 축방향(Z축방향) 사이에 배치된다. 콘타미네이션 커버(50)는 샤프트(21), 리어 베어링(24) 및 센서 마그넷(63)의 리어측(+Z측)을 덮는다. 그 때문에 리어 베어링(24)과 샤프트(21)의 간극에 존재하는 콘타미네이션, 및 센서 마그넷(63)으로부터 부착되는 콘타미네이션이 콘타미네이션 커버(50)에 의해 차단되고, 제어 기판(60)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모터는 제어 기판(60)에 콘타미네이션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 리어 베어링(24)과 샤프트(21)의 간극으로부터 리어측으로 나가는 콘타미네이션이란 예를 들면, 샤프트(21)와 로터 코어(22) 사이에 존재하는 콘타미네이션이다. 또한 센서 마그넷(63)으로부터 발생하는 콘타미네이션이란 예를 들면, 센서 마그넷(63)에 부착되어 있는 철가루 등이다.
제 2 볼록부(52)는 리어측(+Z측)으로 볼록해지는 중공의 부분이다. 제 2 볼록부(52)는 제 1 볼록부(51)의 지름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제 2 볼록부(52)는 프론트측(-Z측)에 개구한다. 도 4에 나타내듯이, 제 2 볼록부(52)는 환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제 2 볼록부(52)는 중심축(J)을 중심으로 하는 원환상이다.
도 2에 나타내듯이, 제 2 볼록부(52)는 베어링 홀더(40)의 구멍부(40a)의 리어측(+Z측)을 덮는다. 즉, 콘타미네이션 커버(50)는 베어링 홀더(40)의 구멍부(40a)의 리어측을 덮는다. 그 때문에 스테이터(30)에 부착되어 있는 콘타미네이션이 코일 배선(34)이 통과하는 구멍부(40a)를 통해 베어링 홀더(40)의 리어측으로 비산한 경우이어도 스테이터(30)로부터 생기는 콘타미네이션이 제어 기판(60)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볼록부(52)는 코일 배선(34)의 리어측(+Z측)을 덮는다. 제 2 볼록부(52)는 코일 접속단자(73)의 리어측을 덮는다. 즉, 콘타미네이션 커버(50)는 코일 접속단자(73)의 리어측을 덮는다. 그 때문에 모터(1)가 버스바 유닛(70)을 갖는 경우에 있어서도, 구멍부(40a)를 통해 베어링 홀더(40)의 리어측에 침입하는 콘타미네이션이 제어 기판(60)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볼록부(52)는 복수의 코일 접속단자(73)의 리어측(+Z측)을 덮는다. 그 때문에 코일 접속단자(73)가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제 2 볼록부(52)의 수를 적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타미네이션 커버(50)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볼록부(52)는 모든 코일 접속단자(73)의 리어측을 덮는다.
제 2 볼록부(52)는 리어측(+Z측)에 위치하는 제 2 커버 리어면(52a)을 갖는다. 제 1 볼록부(51)는 리어측에 위치하는 제 1 커버 리어면(51a)을 갖는다. 제 2 커버 리어면(52a)은 제 1 커버 리어면(51a)보다 프론트측(-Z측)에 위치한다. 즉, 제 2 볼록부(52)의 리어측의 단부는 제 1 볼록부(51)의 리어측의 단부보다 프론트측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제 2 볼록부(52)의 리어측의 공간을 넓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기판(60)에 부착되는 부품이 콘타미네이션 커버(50)와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볼록부(52)의 내측에는 코일 접속단자(73)의 일부가 수용된다. 그 때문에 제 2 볼록부(52)에 있어서, 제 2 커버 리어면(52a)의 축방향(Z축방향)의 위치를 프론트측(-Z측)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볼록부(52)의 리어측의 공간을 보다 넓게 할 수 있다. 구멍부(40a)로부터 베어링 홀더(40)의 리어측(+Z측)에 침입한 콘타미네이션을 제 2 볼록부(52)의 내측에 부착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콘타미네이션이 모터(1)의 내부에 확산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1 볼록부(51)와 제 2 볼록부(52)의 지름방향 사이에는 오목부(53a)가 배치된다. 즉, 콘타미네이션 커버(50)는 제 1 볼록부(51)와 제 2 볼록부(52)의 지름방향 사이에 위치하는 오목부(53a)를 갖는다. 오목부(53a)는 프론트측(-Z측)에 오목하게 된다. 도 4에 나타내듯이, 평면으로 볼 때(XY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오목부(53a)의 외형은 중심축(J)을 중심으로 하는 원환상이다. 오목부(53a)의 저면은 원환판부(53)의 리어측(+Z측)의 면이다. 콘타미네이션 커버(50)는 오목부(53a)를 가지므로, 콘타미네이션 커버(50)의 리어측(+Z측)의 공간을 보다 넓게 할 수 있다.
제 1 볼록부(51)는 제 1 볼록부(51)의 내측에 있어서의 리어측(+Z측)의 면인 제 1 내측면(51b)을 갖는다. 제 2 볼록부(52)는 제 2 볼록부(52)의 내측에 있어서의 리어측의 면인 제 2 내측면(52b)을 갖는다. 도 2에 나타내듯이, 콘타미네이션 커버(50)의 프론트측(-Z측)의 면 중, 제 1 볼록부(51)와 제 2 볼록부(52)의 지름방향 사이에 위치하는 면은 제 1 내측면(51b) 및 제 2 내측면(52b)보다 프론트측에 위치한다.
콘타미네이션 커버(50)의 프론트측(-Z측)의 면 중, 제 1 볼록부(51)와 제 2 볼록부(52)의 지름방향 사이에 위치하는 면이란 원환판부(53)의 프론트측의 원환판부 프론트면(54)이다. 즉, 원환판부 프론트면(54)이 제 1 내측면(51b) 및 제 2 내측면(52b)보다 프론트측(-Z측)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제 1 볼록부(51)와 제 2 볼록부(52)의 지름방향 사이에 있어서, 콘타미네이션 커버(50)와 베어링 홀더(40)의 축방향(Z축방향)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볼록부(51)와 제 2 볼록부(52)의 지름방향 사이에 있어서, 콘타미네이션 커버(50)와 버스바 유닛(70)의 축방향(Z축방향)의 간극도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 마그넷(63)에 부착되어 있는 콘타미네이션 및 샤프트(21)와 리어 베어링(24) 사이에 존재하는 콘타미네이션이 제 2 볼록부(52)의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콘타미네이션이 모터(1)의 내부로 확산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베어링 홀더(40)는 베어링 홀더(40)의 리어측(+Z측)에 위치하는 홀더 리어면(41a)을 갖는다. 원환판부 프론트면(54)과 홀더 리어면(41a)의 축방향(Z축방향)의 거리를 거리(L1)로 한다. 원환판부 프론트면(54)과 버스바 홀더(71)의 리어측의 면의 축방향의 거리를 거리(L2)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원환판부 프론트면(54)과 리어측 본체부(75a)의 리어측의 본체부 리어면(75c)의 축방향의 거리를 거리(L2)로 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홀더 리어면(41a)은 유지부(41)의 리어측의 끝면이다.
제 1 볼록부(51)의 제 1 내측면(51b)과 홀더 리어면(41a)의 축방향(Z축방향)의 거리를 거리(L3)로 한다. 제 1 내측면(51b)과 본체부 리어면(75c)의 축방향의 거리를 거리(L4)로 한다. 제 2 내측면(52b)과 홀더 리어면(41a)의 축방향의 거리를 거리(L5)로 한다. 제 2 내측면(52b)과 본체부 리어면(75c)의 축방향의 거리를 거리(L6)로 한다.
거리(L1)는 거리(L3), 거리(L4), 거리(L5) 및 거리(L6)보다 작다.
거리(L2)는 거리(L3), 거리(L4), 거리(L5) 및 거리(L6)보다 작다.
즉, 원환판부 프론트면(54)과 홀더 리어면(41a)의 거리 또는 원환판부 프론트면(54)과 본체부 리어면(75c)면의 거리는 제 1 내측면(51b) 및 제 2 내측면(52b)과, 홀더 리어면(41a) 또는 본체부 리어면(75c)면의 거리보다 작다.
그 때문에 제 1 볼록부(51)와 제 2 볼록부(52)의 지름방향 사이에 있어서의 콘타미네이션 커버(50)와 베어링 홀더(40) 및 버스바 유닛(70)의 축방향의 간극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타미네이션이 모터(1)의 내부로 확산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거리(L2)는 거리(L1)보다 작다. 거리(L1) 및 거리(L2)는 모터(1)의 구동부에서 발생하는 콘타미네이션의 크기와 동등하거나, 콘타미네이션의 크기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콘타미네이션이 모터(1)의 내부로 확산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 모터(1)의 구동부에서 생기는 콘타미네이션이란 예를 들면, 스테이터(30), 센서 마그넷(63), 및 샤프트(21)와 리어 베어링(24)의 간극 등으로부터 나오는 콘타미네이션이다.
플랜지부(56)는 제 2 볼록부(52)의 지름방향 외측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프론트측(-Z측)의 단부로부터 지름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플랜지부(56)의 프론트측의 면은 본체부(75)의 본체부 리어면(75c)과 접촉한다. 도 3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플랜지부(56)는 중심축(J)과 동심의 원환의 일부를 노치한 형상이다.
플랜지부(56)에는 노치부(55)가 배치된다. 즉, 콘타미네이션 커버(50)는 노치부(55)를 갖는다. 노치부(55)는 예를 들면, Y축방향을 따라 노치된 부분이다. 도 4에 나타내듯이, 버스바(72)의 외부 접속단자(74)는 노치부(55)를 통해 콘타미네이션 커버(50)보다 리어측(+Z측)으로 연장된다. 그 때문에 콘타미네이션 커버(50)를 간단한 구성으로 하면서, 외부 접속단자(74)를 콘타미네이션 커버(50)의 리어측으로 인출시킨다.
플랜지부(56)에는 도 3에 나타내듯이, 피삽입 구멍부(56a)와, 피삽입 노치부(56b)가 형성된다. 피삽입 구멍부(56a)와, 피삽입 노치부(56b)는 제 2 볼록부(52)보다 지름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도 4에 나타내듯이, 피삽입 구멍부(56a)에는 제 1 돌기부(76)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다. 피삽입 노치부(56b)에는 제 2 돌기부(77)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다. 즉, 콘타미네이션 커버(50)는 버스바 홀더(71)에 있어서의 돌기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구멍 또는 노치인 피삽입부를 갖는다. 이에 따라 버스바 홀더(71)에 대해서 콘타미네이션 커버(50)를 둘레방향으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축방향(Z축방향)으로 볼 때, 제 2 돌기부(77)의 전체는 피삽입 노치부(56b)의 내측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플랜지부(56)의 프론트측(-Z측)의 면과, 본체부 리어면(75c)을 접촉시켜서 콘타미네이션 커버(50)를 버스바 홀더(71)에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타미네이션 커버(50)의 프론트측의 공간을 용이하게 밀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콘타미네이션 커버(50)는 제 1 볼록부(51)와, 제 2 볼록부(52)와, 원환판부(53)와, 플랜지부(56)에 의해 버스바(72)의 리어측(+Z측)의 전체를 덮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콘타미네이션 커버(50)와 버스바 유닛(70)과 베어링 홀더(40)에 의해 하우징(10)의 내부의 공간은 축방향으로 구획되어 있다. 구획된 하우징(10)의 내부의 공간 중, 콘타미네이션 커버(50)의 프론트측(-Z측)에 위치하는 공간은 예를 들면, 밀봉되어 있다. 즉, 모터(1)의 구동부가 하우징(10)의 내부의 프론트측의 공간 내에 밀봉된다. 즉, 콘타미네이션 커버(50)가 프론트측 본체부(75b) 및 베어링 홀더(40)의 코일 배선(34)이 삽입통과되는 관통구멍을 덮음으로써 하우징(10)의 내부공간 중, 콘타미네이션 커버(50)의 프론트측(-Z측)에 위치하는 공간은 밀봉된다. 모터(1)의 구동부란 예를 들면, 로터(20), 스테이터(30), 리어 베어링(24), 프론트 베어링(25), 센서 마그넷(63)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모터(1)의 구동부로부터 생기는 콘타미네이션이 구획된 하우징(10)의 내부의 공간 중, 콘타미네이션 커버(50)의 리어측(+Z측)에 위치하는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모터(1)의 구동부에서 생긴 콘타미네이션이 제어 기판(60)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공간이 밀봉되어 있다」란 밀봉된 공간 내에 존재하는 콘타미네이션이 그 공간의 외부에 누출되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즉,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밀봉된 공간」이란 공간 내에 콘타미네이션을 가두어 둔다면 공간과 공간의 외부를 연결시킬 수 있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어 기판] 제어 기판(60)은 도 1에 나타내듯이, 베어링 홀더(40)의 리어측(+Z측)에 위치한다. 제어 기판(60)은 콘타미네이션 커버(50)의 리어측(+Z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 기판(60)의 기판면은 축방향(Z축방향)에 대해서 수직이다. 제어 기판(60)의 기판면이란 예를 들면, 제어 기판(60)의 프론트측(-Z측)의 제어 기판 프론트면(60a)이다. 또, 반드시 제어 기판(60)의 기판면은 축방향에 대해서 수직이지 않아도 좋다.
제어 기판(60)은 제어 기판 하우징(12)의 지지부(16b)에 고정된다. 도 1에서는 제어 기판(60)은 제어 기판 하우징(12)에 나사로 고정된다. 또, 제어 기판(60)의 고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에 의해 고정되어도 좋다. 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하지만, 제어 기판(60)의 기판면에는 프린트 배선이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샤프트(21)가 제어 기판(60)을 관통하는 구성인 경우, 제어 기판(60)에 부착되는 콘타미네이션을 차단하는 커버를 설치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샤프트(21)와 제어 기판(60)의 지름방향 사이에는 간극이 발생하므로 커버에 의해 콘타미네이션을 충분히 차단할 수 없다.
이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의 제어 기판(60)은 샤프트(21)의 리어측(+Z측)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제어 기판(60)에 부착되는 콘타미네이션을 차단하는 콘타미네이션 커버(50)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콘타미네이션 커버(50)가 콘타미네이션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다.
[회전 센서 및 전자부품] 도 2에 나타내듯이, 회전 센서(61)는 제어 기판(60)에 부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 센서(61)는 제어 기판 프론트면(60a)에 부착된다. 회전 센서(61)는 콘타미네이션 커버(50)를 통해 센서 마그넷(63)과 축방향(Z축방향)에 대향한다. 회전 센서(61)는 센서 마그넷(63)의 회전을 검출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회전 센서(61)는 자기저항소자이다. 그러나, 회전 센서(61)는 자기저항소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홀소자이어도 좋다.
전자부품(64,65)은 제어 기판(60)에 부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부품(64,65)은 제어 기판 프론트면(60a)에 부착된다. 전자부품(64,65)은 제어 기판(60)에 부착되는 부품 중 비교적 사이즈가 큰 부품이다. 전자부품(64,65)은 예를 들면, 전해 콘덴서, 초크 코일 등이다.
전자부품(64,65)은 콘타미네이션 커버(50)의 오목부(53a)와 축방향(Z축방향)에 대향한다. 그 때문에 콘타미네이션 커버(50) 또는 제어 기판(60) 등에 치수오차가 생긴 경우이어도 전자부품(64,65)이 콘타미네이션 커버(50)와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전자부품(64)의 프론트측(-Z측)의 단부(64a)는 오목부(53a) 내에 수용된다. 그 때문에 제어 기판(60)을 콘타미네이션 커버(50)에 축방향으로 용이하게 근접시킬 수 있고, 모터(1) 전체의 축방향(Z축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축방향에 있어서, 회전 센서(61)를 센서 마그넷(63)에 용이하게 근접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회전 센서(61)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술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콘타미네이션(50)의 적어도 일부가 제어 기판(60)과 베어링 홀더(40)의 축방향 사이에 위치해도 좋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콘타미네이션 커버(50)의 일부가 제어 기판(60)보다 리어측에 위치해도 좋고, 베어링 홀더(40)보다 프론트측에 위치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콘타미네이션 커버(50)는 적어도 샤프트(21), 리어 베어링(24) 및 센서 마그넷(63)의 리어측을 덮고 있으면 좋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콘타미네이션 커버(50)는 예를 들면, 베어링 홀더(40)의 구멍부(40a) 및 코일 접속단자(73)의 양쪽, 또는 한쪽의 리어측을 덮지 않아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볼록부(51)의 내측에 센서 마그넷(63)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어도 좋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볼록부(51)의 내측에 센서 마그넷(63)의 전체가 수용되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2 볼록부(52)의 내측에 코일 접속단자(73)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어도 좋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2 볼록부(52)의 내측에 코일 접속단자(73)의 전체가 수용되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코일 접속단자(73)마다 제 2 볼록부(52)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1개의 제 2 볼록부(52)에 의해, 1개의 코일 접속단자(73)의 리어측이 덮여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자부품(64)의 프론트측의 단부(64a)는 오목부(53a)에 수용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자부품(64,65)은 예를 들면, 제 1 볼록부(51) 또는 제 2 볼록부(52)와 축방향으로 대향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센서 마그넷(63)이 샤프트(21)의 외주면에 감합되어 고정되어도 좋다. 이 경우, 센서 마그넷(63)의 리어측의 끝면의 축방향 위치와, 샤프트(21)의 리어측의 끝면의 축방향 위치가 같아도 좋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회전 센서(61)로서, 예를 들면, 홀소자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버스바 홀더(71)는 단일의 부재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버스바 유닛(70)을, 예를 들면, 버스바(72)를 인서트하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는 제 2 돌기부(77) 및 콘타미네이션 커버(50)의 피삽입 노치부(56b)는 형성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테이터(30)의 리어측에만 베어링이 설치되고, 샤프트(21)가 외팔보로 지지되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어 기판(60)은 하우징(10)에 고정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콘타미네이션 커버(50)로부터 리어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가 설치되고, 그 지지부에 제어 기판(60)이 지지되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베어링 홀더(40)의 일부가 센서 마그넷(63)보다 리어측에 위치해도 좋다.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모터(1)를 탑재하는 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모터(1)를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탑재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2)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2)는 자동차의 차륜의 조타기구에 탑재된다.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2)는 조타력을 유압에 의해 경감하는 장치이다. 도 5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형태의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2)는 모터(1)와, 조타축(114)과, 오일 펌프(116)와, 컨트롤 밸브(117)를 구비한다.
조타축(114)은 스티어링(111)으로부터의 입력을 차륜(112)을 갖는 차축(113)에 전달한다. 오일 펌프(116)는 차축(113)에 유압에 의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파워 실린더(115)에 유압을 발생시킨다. 컨트롤 밸브(117)는 오일 펌프(116)의 오일을 제어한다.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2)에 있어서, 모터(1)는 오일 펌프(116)의 구동원으로서 탑재된다.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2)는 본 실시형태의 모터(1)를 구비하므로 모터(1)의 제어 기판(60)에 콘타미네이션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동 파워 스티어링(2)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상기의 각 구성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적당하게 조합할 수 있다.
1…모터, 2…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10…하우징, 11…모터 하우징, 12…제어 기판 하우징, 20…로터, 21…샤프트, 22…로터 코어, 23…로터 마그넷, 24…리어 베어링, 30…스테이터, 31…스테이터 코어, 33…코일, 34…코일 배선, 40…베어링 홀더, 40a…구멍부, 50…콘타미네이션 커버, 51…제 1 볼록부, 51b…제 1 내측면, 52…제 2 볼록부, 52b…제 2 내측면, 53a…오목부, 54…원환판부 프론트면, 55…노치부, 56a…피삽입 구멍부, 56b…피삽입 노치부, 60…제어 기판, 61…회전 센서, 63…센서 마그넷, 64, 65…전자부품, 70…버스바 유닛, 71…버스바 홀더, 72…버스바, 73…코일 접속단자, 74…외부 접속단자, 75…본체부, 76…제 1 돌기부, 77…제 2 돌기부, J…중심축

Claims (38)

  1.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는 로터 코어, 및 상기 로터 코어에 고정되는 로터 마그넷을 갖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지름방향 외측을 둘러싸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축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고,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스테이터를 유지하고 상기 일방측에 개구하는 통상의 모터 하우징과,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일방측에 위치하고, 상기 베어링을 유지하는 베어링 홀더와,
    상기 베어링 홀더의 상기 일방측에 위치하는 제어 기판과,
    상기 제어 기판에 부착되는 회전 센서와,
    상기 모터 하우징의 상기 일방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어 기판을 수용하는 제어 기판 하우징과,
    상기 베어링보다 상기 일방측에 위치하고, 상기 샤프트에 부착되는 센서 마그넷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어 기판과 상기 베어링 홀더의 축방향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샤프트, 상기 베어링 및 상기 센서 마그넷의 상기 일방측을 덮는 비자성체의 콘타미네이션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콘타미네이션 커버는, 타방측에 개구하는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스테이터 코어를 여자하는 코일을 갖고,
    상기 베어링 홀더에는 상기 베어링 홀더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부가 형성되고,
    상기 코일에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구멍부에 삽입되는 코일 배선이 접속되고,
    상기 코일 배선의 상기 일방측의 단부는 상기 베어링 홀더보다 상기 일방측에 위치하고,
    상기 콘타미네이션 커버는 상기 구멍부의 상기 일방측을 덮는 모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홀더의 상기 일방측에 위치하는 버스바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버스바 유닛은,
    상기 코일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를 유지하는 버스바 홀더를 갖고,
    상기 버스바는, 상기 코일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코일 접속단자를 갖고,
    상기 콘타미네이션 커버는 상기 코일 접속단자의 상기 일방측을 덮는 모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타미네이션 커버는,
    상기 일방측으로 볼록해지는 중공의 제 1 볼록부와,
    상기 제 1 볼록부의 지름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일방측으로 볼록해지는 중공의 제 2 볼록부와,
    상기 제 1 볼록부와 상기 제 2 볼록부의 지름방향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축방향의 타방측으로 오목해지는 오목부를 갖고,
    상기 제 1 볼록부 및 상기 제 2 볼록부는 상기 타방측에 개구하고,
    상기 제 1 볼록부의 내측에는 상기 센서 마그넷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고,
    상기 제 2 볼록부의 내측에는 상기 코일 접속단자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모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볼록부의 상기 일방측의 단부는 상기 제 1 볼록부의 상기 일방측의 단부보다 상기 타방측에 위치하는 모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타미네이션 커버의 상기 타방측의 면 중, 상기 제 1 볼록부와 상기 제 2 볼록부의 지름방향 사이에 위치하는 커버면은 상기 제 1 볼록부의 내측에 있어서의 상기 일방측의 제 1 내측면, 및 상기 제 2 볼록부의 내측에 있어서의 상기 일방측의 제 2 내측면보다 상기 타방측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면과, 상기 베어링 홀더의 상기 일방측의 면 또는 상기 버스바 홀더의 상기 일방측의 면의 거리는 상기 제 1 내측면 및 상기 제 2 내측면과, 상기 베어링 홀더의 상기 일방측의 면 또는 상기 버스바 홀더의 상기 일방측의 면의 거리보다 작은 모터.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접속단자는 복수 설치되고,
    상기 제 2 볼록부는 환상이며,
    상기 제 2 볼록부는 상기 복수의 코일 접속단자의 상기 일방측을 덮는 모터.
  8.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판에 부착되는 전자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전자부품은 상기 오목부와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모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의 상기 타방측의 단부는 상기 오목부의 내측에 수용되는 모터.
  10.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홀더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일방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부를 갖고,
    상기 콘타미네이션 커버는 상기 돌기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구멍 또는 노치인 피삽입부를 갖고,
    상기 피삽입부는 상기 제 2 볼록부보다 지름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모터.
  11.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타미네이션 커버는 노치부를 갖고,
    상기 버스바 유닛은 외부 접속단자를 갖고,
    상기 외부접속단자는 상기 노치부를 통해 상기 콘타미네이션 커버보다 상기 일방측으로 연장되는 모터.
  12.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마그넷은 상기 샤프트의 상기 일방측에 위치하는 모터.
  13.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터를 구비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접속단자는 복수 설치되고,
    상기 제 2 볼록부는 환상이며,
    상기 제 2 볼록부는 상기 복수의 코일 접속단자의 상기 일방측을 덮는 모터.
  1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판에 부착되는 전자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전자부품은 상기 오목부와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모터.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판에 부착되는 전자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전자부품은 상기 오목부와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모터.
  1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홀더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일방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부를 갖고,
    상기 콘타미네이션 커버는 상기 돌기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구멍 또는 노치인 피삽입부를 갖고,
    상기 피삽입부는 상기 제 2 볼록부보다 지름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모터.
  1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홀더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일방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부를 갖고,
    상기 콘타미네이션 커버는 상기 돌기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구멍 또는 노치인 피삽입부를 갖고,
    상기 피삽입부는 상기 제 2 볼록부보다 지름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모터.
  1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홀더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일방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부를 갖고,
    상기 콘타미네이션 커버는 상기 돌기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구멍 또는 노치인 피삽입부를 갖고,
    상기 피삽입부는 상기 제 2 볼록부보다 지름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모터.
  2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홀더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일방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부를 갖고,
    상기 콘타미네이션 커버는 상기 돌기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구멍 또는 노치인 피삽입부를 갖고,
    상기 피삽입부는 상기 제 2 볼록부보다 지름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모터.
  2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타미네이션 커버는 노치부를 갖고,
    상기 버스바 유닛은 외부 접속단자를 갖고,
    상기 외부접속단자는 상기 노치부를 통해 상기 콘타미네이션 커버보다 상기 일방측으로 연장되는 모터.
  2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타미네이션 커버는 노치부를 갖고,
    상기 버스바 유닛은 외부 접속단자를 갖고,
    상기 외부접속단자는 상기 노치부를 통해 상기 콘타미네이션 커버보다 상기 일방측으로 연장되는 모터.
  2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타미네이션 커버는 노치부를 갖고,
    상기 버스바 유닛은 외부 접속단자를 갖고,
    상기 외부접속단자는 상기 노치부를 통해 상기 콘타미네이션 커버보다 상기 일방측으로 연장되는 모터.
  2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타미네이션 커버는 노치부를 갖고,
    상기 버스바 유닛은 외부 접속단자를 갖고,
    상기 외부접속단자는 상기 노치부를 통해 상기 콘타미네이션 커버보다 상기 일방측으로 연장되는 모터.
  2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타미네이션 커버는 노치부를 갖고,
    상기 버스바 유닛은 외부 접속단자를 갖고,
    상기 외부접속단자는 상기 노치부를 통해 상기 콘타미네이션 커버보다 상기 일방측으로 연장되는 모터.
  2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마그넷은 상기 샤프트의 상기 일방측에 위치하는 모터.
  27.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마그넷은 상기 샤프트의 상기 일방측에 위치하는 모터.
  28.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마그넷은 상기 샤프트의 상기 일방측에 위치하는 모터.
  29.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마그넷은 상기 샤프트의 상기 일방측에 위치하는 모터.
  30.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마그넷은 상기 샤프트의 상기 일방측에 위치하는 모터.
  31.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마그넷은 상기 샤프트의 상기 일방측에 위치하는 모터.
  32. 제 6 항에 기재된 모터를 구비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33. 제 7 항에 기재된 모터를 구비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34. 제 8 항에 기재된 모터를 구비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35. 제 9 항에 기재된 모터를 구비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36. 제 10 항에 기재된 모터를 구비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37. 제 11 항에 기재된 모터를 구비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38. 제 12 항에 기재된 모터를 구비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1020177027689A 2015-03-31 2016-03-29 모터,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1020246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71367A JP6543999B2 (ja) 2015-03-31 2015-03-31 モータ、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JP-P-2015-071367 2015-03-31
PCT/JP2016/060181 WO2016158978A1 (ja) 2015-03-31 2016-03-29 モータ、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699A KR20170120699A (ko) 2017-10-31
KR102024616B1 true KR102024616B1 (ko) 2019-09-24

Family

ID=57006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7689A KR102024616B1 (ko) 2015-03-31 2016-03-29 모터,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94014B2 (ko)
JP (1) JP6543999B2 (ko)
KR (1) KR102024616B1 (ko)
CN (1) CN107431409B (ko)
DE (1) DE112016001510T5 (ko)
WO (1) WO20161589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1988A1 (ja) * 2016-09-16 2018-03-22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US10300609B2 (en) 2016-12-15 2019-05-28 Boston Dynamics, Inc. Motor and controller integration for a legged robot
JP6972482B2 (ja) * 2017-06-26 2021-11-24 Kyb株式会社 電子機器
WO2019003551A1 (ja) * 2017-06-30 2019-01-03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製造装置及びモータの製造方法
JP2019022312A (ja) * 2017-07-14 2019-02-07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製造方法及びモータ
CN211830415U (zh) * 2017-08-04 2020-10-30 日本电产株式会社 马达
CN111033956B (zh) * 2017-09-29 2022-02-01 日本电产株式会社 汇流条单元以及马达
JPWO2019064878A1 (ja) * 2017-09-29 2020-10-22 日本電産株式会社 バスバーユニット、モータ
CN111386650B (zh) * 2017-11-28 2024-03-29 Lg伊诺特有限公司 马达
DE102018204297A1 (de) * 2018-03-21 2019-09-26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 Antriebseinheit mit mindestens zwei Leiterplatinen
CN111919366B (zh) * 2018-03-29 2023-05-16 日本电产株式会社 马达
JP2020031477A (ja) * 2018-08-21 2020-02-27 シナノケンシ株式会社 電動機
CN110970207A (zh) * 2018-09-30 2020-04-07 广东德昌电机有限公司 印刷电路板以及使用该印刷电路板的电机
JP2020108183A (ja) * 2018-12-26 2020-07-09 日本電産テクノモータ株式会社 モータ
JP6951691B2 (ja) * 2019-11-14 2021-10-20 株式会社安川電機 真空用ロボット、真空用モータ、真空モータ用エンコーダ、
EP4089892A4 (en) * 2020-01-09 2023-06-28 LG Innotek Co., Ltd. Motor
DE102020202987A1 (de) 2020-03-10 2021-09-16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Steuervorrichtung zur Ansteuerung eines Elektromotors und Aktuatorbaugruppe
EP4037159A1 (en) 2021-02-02 2022-08-03 Black & Decker, Inc. Circuit board assembly for compact brushless motor
DE102022211426A1 (de) * 2022-10-27 2024-05-02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Elektromotor eines Kraftfahrzeug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6907A (ja) * 2009-03-25 2010-10-07 Mitsuba Corp ブラシレスモータ
JP2011041359A (ja) 2009-08-07 2011-02-24 Denso Corp 駆動回路内蔵型モータ
JP2013031298A (ja) 2011-07-28 2013-02-07 Nippon Densan Corp モータ
WO2014188803A1 (ja) * 2013-05-21 2014-11-27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56711B2 (en) * 2000-12-27 2004-06-29 Asmo Co., Ltd. Motor having control circuit board for controlling its rotation
JP3715896B2 (ja) * 2001-01-22 2005-11-16 アスモ株式会社 モータ
AU2003215001A1 (en) * 2002-02-04 2003-09-02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Electrical devices including a switched reluctance motor
JP2008148497A (ja) 2006-12-12 2008-06-26 Jtekt Corp バスバー構造体、バスバー構造、及び電動モータ
JP5004639B2 (ja) * 2007-04-10 2012-08-22 オリエンタルモーター株式会社 端子箱付電動機
US8294457B2 (en) * 2007-09-07 2012-10-23 Joral Llc Rotary magnetic encoder assembly, chip and method
JP5401902B2 (ja) * 2008-10-03 2014-01-29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JP2010104213A (ja) * 2008-10-27 2010-05-06 Mitsuba Corp ブラシレスモータ
JP5063722B2 (ja) * 2010-03-19 2012-10-31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式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4180170A (ja) * 2013-03-15 2014-09-25 Jtekt Corp モータ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6007878B2 (ja) * 2013-09-19 2016-10-1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回転電機
DE102014220201A1 (de) * 2014-10-06 2016-04-07 Bühler Motor GmbH Elektronisch kommutierter Gleichstrommotor, insbesondere für eine Ölpump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6907A (ja) * 2009-03-25 2010-10-07 Mitsuba Corp ブラシレスモータ
JP2011041359A (ja) 2009-08-07 2011-02-24 Denso Corp 駆動回路内蔵型モータ
JP2013031298A (ja) 2011-07-28 2013-02-07 Nippon Densan Corp モータ
WO2014188803A1 (ja) * 2013-05-21 2014-11-27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31409A (zh) 2017-12-01
KR20170120699A (ko) 2017-10-31
CN107431409B (zh) 2020-04-14
US20190077440A1 (en) 2019-03-14
JP2016192851A (ja) 2016-11-10
JP6543999B2 (ja) 2019-07-17
WO2016158978A1 (ja) 2016-10-06
DE112016001510T5 (de) 2018-03-08
US10494014B2 (en) 201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4616B1 (ko) 모터,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CN110601388B (zh) 马达
KR101752258B1 (ko) 모터
CN109983668B (zh) 马达和电动助力转向装置
US20070145838A1 (en) Mo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Housing
WO2016080127A1 (ja) モータ
WO2016159035A1 (ja) モータ
KR101888890B1 (ko) 모터
JP2014099971A (ja) モータ
JP2016208794A (ja) モータ
JP5940276B2 (ja) モータ
JP6287784B2 (ja) モータ
JP7155569B2 (ja) 駆動装置
JP2017208872A (ja) 回転電機
US10396643B2 (en) Motor
CN210297479U (zh) 马达单元以及电动泵装置
EP3457541A1 (en) Drive device
JP4165386B2 (ja) 電子部品の保持構造
JP2016082787A (ja) モータおよび駆動装置
JP5820686B2 (ja) モータ
JP7281641B2 (ja) モータユニット及び電動オイルポンプ
US20230094248A1 (en) Motor
JP2020114128A (ja) モータ、駆動装置、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モータの製造方法、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製造方法
JP3206066U (ja) センサ内蔵密封装置
JP2016226179A (ja) 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