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848B1 - 압축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 - Google Patents

압축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848B1
KR102022848B1 KR1020187022346A KR20187022346A KR102022848B1 KR 102022848 B1 KR102022848 B1 KR 102022848B1 KR 1020187022346 A KR1020187022346 A KR 1020187022346A KR 20187022346 A KR20187022346 A KR 20187022346A KR 102022848 B1 KR102022848 B1 KR 102022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level
level sensor
container
crankshaft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2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3943A (ko
Inventor
켄 나미키
마사시 묘가하라
촘프눗 왓챠라프레챠옹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사이암 콤프레서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사이암 콤프레서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03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2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10Other safety mea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resistance of resistors due to contact with conductor fluid
    • G01F23/241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resistance of resistors due to contact with conductor fluid for discrete levels
    • G01F23/242Mounting arrangements for electr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5/00Fluid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ressor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압축기에 있어서, 액면 센서(30)는 급유 기구에 의한 급유가 가능한 최저한의 액면을 검출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액면 센서(30)는 용기(21)의 내벽의 1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액면 센서(30)는 전극(34)의 긴 방향이 전극(34)의 중심(Z)부터 크랭크축(24)의 중심축에의 수선에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액면 센서(30)는 전극(34)의 긴 방향이 크랭크축(24)의 축방향에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압축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
본 발명은 압축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밀폐용기 내에 냉동기유를 유지하고, 운전중에 크랭크축을 이용하여 냉동기유를 압축 기구의 각 활주부에 공급하는 압축기에 있어서, 냉동기유와 냉매와의 혼합액의 액면 높이 및 냉동기유와 냉매와의 혼합비를 검출하는 정전용량형 액면 검출기가 설치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 4-54417호 공보
종래의 압축기에서는 혼합액의 액면 높이를 검출하는 센서가 상부에, 냉동기유와 냉매와의 혼합비를 검출하는 센서가 하부에 형성되도록, 정전용량형 액면 검출기가 동일 폭으로 길이가 다른 3장의 전극판을 조합시켜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액면 검출기에서는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가 어렵다. 압축기의 운전중은 밀폐용기 내의 혼합액에 의한 유체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액면 검출기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액면 검출기가 혼합액에 잠겨 있는 경우, 혼합액의 흐름이 방해되어 압축 기구에의 급유 효율이 저하될 우려도 있다. 또한, 밀폐용기 내의 다른 구조부품의 배치에 따라서는 액면 검출기의 배치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특히, 혼합액의 액면 높이를 정확하게 검출하기 위해서는 검출하여야 할 액면 높이의 범위에 걸쳐서 액면 검출기의 상부가 배치될 필요가 있는데, 그 범위의 하방에 액면 검출기의 하부를 배치하는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가 없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압축기에 있어서 용기 내의 냉동기유와 냉매와의 혼합액에 의한 유체력의 작용에 기인하는 액면 센서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압축기는 저부에 냉동기유와 냉매와의 혼합액이 저류된 용기와,
상기 용기에 수납된 전동기와,
상기 전동기의 회전축으로서, 회전중에 상기 용기의 저부로부터 상기 혼합액을 퍼올리는 크랭크축과,
상기 혼합액의 액면이 기준의 높이에 달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긴 형상의 전극을 가지며, 상기 전극의 긴 방향의 양단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방향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액면 센서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압축기에 있어서 용기 내의 냉동기유와 냉매와의 혼합액에 의한 유체력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위치 및 자세로 액면 센서가 설치되기 때문에, 그 유체력의 영향에 기인하는 액면 센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냉동 사이클 장치의 회로도.
도 2는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냉동 사이클 장치의 회로도.
도 3은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 4는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압축기의 액면 센서의 사시도.
도 5는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압축기의 액면 센서의 배치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6은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압축기의 액면 센서의 배치와 용기 내의 액면 높이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압축기의 액면 센서의 출력과 용기 내의 액면 높이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8은 실시의 형태 1의 변형례에 관한 압축기의 액면 센서의 배치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9는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압축기의 하부의 종단면도 및 A-A 단면도.
도 10은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압축기의 액면 센서의 부분 사시도.
도 11은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압축기의 액면 센서의 배치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12는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압축기의 액면 센서의 사시도.
도 13은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압축기의 액면 센서의 배치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도 을 이용하여 설명하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실시의 형태의 설명에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 관해서는 그 설명을 적절히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장치, 기구, 부품 등의 구성에 관해 그 재질, 형상, 크기 등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1.
(구성의 설명)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냉동 사이클 장치(1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냉방 운전시의 냉매 회로(11)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난방 운전시의 냉매 회로(11)를 도시하고 있다.
냉동 사이클 장치(10)는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공기 조화기이지만, 냉장고, 히트 펌프 사이클 장치라는 공기 조화기 이외의 장치라도 좋다.
냉동 사이클 장치(10)는 냉매가 순환하는 냉매 회로(11)를 구비한다. 냉동 사이클 장치(10)는 또한, 압축기(12)와, 4방밸브(13)와, 실외 열교환기인 제1 열교환기(14)와, 팽창 밸브인 팽창기구(15)와, 실내 열교환기인 제2 열교환기(16)를 구비한다. 압축기(12)와, 4방밸브(13)와, 제1 열교환기(14)와, 팽창기구(15)와, 제2 열교환기(16)는 냉매 회로(11)에 접속되어 있다.
압축기(12)는 냉매를 압축한다. 4방밸브(13)는 냉방 운전시와 난방 운전시에서 냉매가 흐르는 방향을 전환한다. 제1 열교환기(14)는 냉방 운전시에는 응축기로서 동작하고, 압축기(12)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킨다. 즉, 제1 열교환기(14)는 압축기(12)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이용하여 열교환을 행한다. 제1 열교환기(14)는 난방 운전시에는 증발기로서 동작하고, 실외 공기와 팽창기구(15)에서 팽창한 냉매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여 냉매를 가열한다. 팽창기구(15)는 응축기에서 방열한 냉매를 팽창시킨다. 제2 열교환기(16)는 난방 운전시에는 응축기로서 동작하고, 압축기(12)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킨다. 즉, 제2 열교환기(16)는 압축기(12)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이용하여 열교환을 행한다. 제2 열교환기(16)는 냉방 운전시에는 증발기로서 동작하고, 실내 공기와 팽창기구(15)에서 팽창한 냉매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여 냉매를 가열한다.
냉동 사이클 장치(10)는 또한, 컨트롤러(17)를 구비한다.
컨트롤러(17)는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 컴퓨터이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컨트롤러(17)와 압축기(12)와의 접속밖에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컨트롤러(17)는 압축기(12)뿐만 아니라, 냉매 회로(11)에 접속된 압축기(12) 이외의 요소에 접속되어도 좋다. 컨트롤러(17)는 접속되어 있는 요소의 상태를 감시하거나, 제어하거나 한다.
냉매 회로(11)를 순환하는 냉매로서는 R32, R125, R134a, R407C, R410A 등의 HFC(Hydro Fluoro Carbon)계 냉매가 사용된다. 또는 R1123, R1132(E), R1132(Z), R1132a, R1141, R1234yf, R1234ze(E), R1234ze(Z) 등의 HFO(Hydro Fluoro Olefin)계 냉매가 사용된다. 또는 R290(프로판), R600a(이소부탄), R744(2산화탄소), R717(암모니아) 등의 자연 냉매가 사용된다. 또는 기타의 냉매가 사용된다. 또는 이들의 냉매 중 2종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압축기(12)의 구성을 설명한다.
압축기(12)는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밀폐형 압축기이다. 압축기(12)는 구체적으로는 스크롤 압축기이지만, 로터리 압축기, 또는 레시프로 압축기라도 좋다.
압축기(12)는 용기(21)와, 압축 기구(22)와, 전동기(23)와, 크랭크축(24)과, 제1 축받이(26)와, 제2 축받이(27)와, 액면 센서(30)를 구비한다.
용기(21)는 구체적으로는 밀폐용기이다. 용기(21)의 저부에는 냉동기유와 냉매와의 혼합액(25)이 저류되어 있다. 용기(21)에는 냉매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관(41)과, 냉매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관(42)이 부착되어 있다.
압축 기구(22)는 용기(21)에 수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압축 기구(22)는 용기(21)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전동기(23)도, 용기(21)에 수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동기(23)는 용기(21)의 내측에서 압축 기구(22)보다 하방이면서 용기(21)의 저부보다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전동기(23)는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유도 전동기이지만, 브러시레스 DC(Direct Current) 모터 등 유도 전동기 이외의 모터라도 좋다.
압축 기구(22)와 전동기(23)는 크랭크축(2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크랭크축(24)은 전동기(23)의 회전축임과 함께, 혼합액(25)에 포함되는 냉동기유를 압축 기구(22)의 각 활주부에 공급하는 급유 기구(28)이기도 한다. 즉, 크랭크축(24)은 회전중에 용기(21)의 저부로부터 혼합액(25)을 퍼올린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혼합액(25)에 포함되는 냉동기유가 차압 급유 방식에 의해 크랭크축(24)의 내부를 통과하여 압축 기구(22)의 각 활주부에 공급되어 압축 기구(22)의 각 활주부를 윤활한다. 냉동기유로서는 합성유인 POE(폴리올에스테르), PVE(폴리비닐에테르), AB(알킬벤젠) 등이 사용된다.
크랭크축(24)의 하부에는 혼합액(25)을 개구로부터 흡입하는 흡입부(29)가 마련되어 있다. 흡입부(29)는 구체적으로는 오일 파이프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차압 급유 방식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오일 펌프는 불필요하지만, 흡입부(29)로서 오일 펌프를 크랭크축(24)의 하부에 마련하고, 오일 펌프에 의한 급유 방식을 채용하여도 좋다. 오일 펌프에 의한 급유 방식에서는 혼합액(25)에 포함되는 냉동기유가 크랭크축(24)의 회전에 수반하여 오일 펌프에 의해 퍼올려져서 압축 기구(22)의 각 활주부에 공급되어 압축 기구(22)의 각 활주부를 윤활한다.
압축 기구(22)는 크랭크축(24)을 통하여 전달되는 전동기(23)의 회전력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냉매를 압축한다. 이 냉매는 구체적으로는 흡입관(41)에 흡입된 저압의 가스 냉매이다. 압축 기구(22)에서 압축된 고온이면서 고압의 가스 냉매는 압축 기구(22)로부터 용기(21) 내에 토출된다. 압축 기구(22)로부터 토출된 가스 냉매는 용기(21) 내의 공간으로부터 토출관(42)을 통과하여 외부의 냉매 회로(11)에 토출된다.
제1 축받이(26)는 전동기(23)보다도 상방의 위치에서 크랭크축(24)에 끼워져서, 크랭크축(24)을 회전 자유롭게 유지하고 있다. 제1 축받이(26)와 크랭크축(24)과의 사이에는 급유 기구(28)인 크랭크축(24)의 내부에 퍼올려진 혼합액(25)에 포함되는 냉동기유가 공급됨으로써 유막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축받이(27)는 전동기(23)보다도 하방의 위치에서 크랭크축(24)에 끼워져서, 크랭크축(24)을 회전 자유롭게 유지하고 있다. 제2 축받이(27)와 크랭크축(24)과의 사이에는 급유 기구(28)인 크랭크축(24)의 내부에 퍼올려진 혼합액(25)에 포함되는 냉동기유가 공급됨으로써 유막이 형성되어 있다.
액면 센서(30)는 급유 기구(28)에 의한 급유가 가능한 최저한의 액면을 검출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액면 센서(30)에는 리드선(31)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리드선(31)의 타단은 용접에 의해 용기(21)에 고정된 단자(32)에 접속되어 있다. 단자(32)는 용기(21)의 외부에 있는 컨트롤러(17)와 배선(33)으로 접속되어 있다. 컨트롤러(17)는 리드선(31), 단자(32), 배선(33)을 순번대로 통하여 액면 센서(30)의 상태를 전기 신호로서 검출함으로써, 혼합액(25)의 액면이 기준의 높이에 달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그리고, 컨트롤러(17)는 검출 결과, 즉, 혼합액(25)의 액면이 기준의 높이에 달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압축기(12)의 운전을 제어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액면 센서(30)의 구성을 설명한다.
액면 센서(30)는 전술한 리드선(31)의 일단이 접속된 긴 형상의 전극(34)을 갖는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전극(34)으로서, 한 쌍의 사각형 판형상의 전극(34)이, 서로의 판면이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액면 센서(30)는 한 쌍의 절연체(35)를 또한 갖는다. 일방의 절연체(35)는 양방의 전극(34)의 긴 방향의 일단부를 서로 간격이 벌어지도록 고정하고 있다. 타방의 절연체(35)는 양방의 전극(34)의 긴 방향의 타단부를 서로 간격이 벌어지도록 고정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액면 센서(30)의 배치를 설명한다.
액면 센서(30)는 용기(21)의 내벽의 1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액면 센서(30)는 용기(21)의 내벽에 직접 부착되어도 좋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용기(21)의 내벽의 형상에 맞추어서 절곡된 판형상의 고정부재(43)를 통하여 용기(21)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다.
전극(34)의 긴 방향의 양단은 크랭크축(24)의 회전방향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있다. 즉, 크랭크축(24)의 중심축상에 중심이 있는 동심원에 있어서 전극(34)의 중심(Z)이 0도의 위치에 있다고 한 때, 전극(34)의 긴 방향의 일단에 있는 점(X)은 0도 보다도 작은 각도의 위치에 있고, 전극(34)의 긴 방향의 타단에 있는 점(Y)은 0도 보다도 큰 각도의 위치에 있다. 즉, 평면시에서, 전극(34)의 긴 방향의 일단에 있는 점(X)부터 크랭크축(24)의 중심축에의 수선(垂線)과, 전극(34)의 긴 방향의 타단에 있는 점(Y)부터 크랭크축(24)의 중심축에의 수선이 이루는 각(θ)은 0도 보다도 크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 액면 센서(30)는 전극(34)의 긴 방향의 양단부터 크랭크축(24)의 중심축에의 거리가 동등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액면 센서(30)는 전극(34)의 긴 방향이 전극(34)의 중심(Z)부터 크랭크축(24)의 중심축에의 수선에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달리 말하면, 액면 센서(30)는 전극(34)의 긴 방향의 양단에 있는 점(X, Y)을 잇는 직선이, 크랭크축(24)의 중심축상에 중심이 있는 원에 접하고, 그 접점이 전극(34)의 중심(Z)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액면 센서(30)는 전극(34)의 긴 방향이 크랭크축(24)의 축방향에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전극(34)이 사각형 판형상이기 때문에, 전극(34)의 짧은 변 방향이 크랭크축(24)의 축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액면 센서(30)는 크랭크축(24)의 중심축 부근 또는 크랭크축(24)의 중심축과 용기(21)의 내벽과의 중간 부근에 설치되어도 좋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용기(21)의 내벽에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용기(21) 내의 다른 구조부품의 배치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쉽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5에 굵은선 화살표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압축기(12)의 운전 중, 용기(21) 내에서는 냉동기유와 냉매와의 혼합액(25)이, 크랭크축(24)의 회전방향에 따라 흐른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전극(34)의 긴 방향의 양단이 크랭크축(24)의 회전방향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있다. 그 때문에, 액면 센서(30)가 혼합액(25)에 의한 유체력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진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액면 센서(30)가 혼합액(25)의 흐름을 방해하기 어려워진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특히,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전극(34)의 긴 방향이 전극(34)의 중심(Z)부터 크랭크축(24)의 중심축에의 수선에 직교하고 있고, 전극(34) 방향이 혼합액(25)의 흐름과 거의 평행하게 된다. 그 때문에, 액면 센서(30)가 혼합액(25)에 의한 유체력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진다는 효과가 높아진다. 액면 센서(30)가 혼합액(25)의 흐름을 방해하기 어려워진다는 효과도 높아진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전극(34)의 긴 방향이 크랭크축(24)의 축방향에 직교하고 있고, 전극(34)의 상하 방향의 치수가 작다. 그 때문에, 액면 센서(30)가 혼합액(25)에 의한 유체력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진다는 효과가 한층 높아진다. 액면 센서(30)가 혼합액(25)의 흐름을 방해하기 어려워진다는 효과도 한층 높아진다. 전극(34)이 상하 방향으로 차지하는 스페이스가 작기 때문에, 액면 센서(30)의 배치가 용이해진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전극(34)의 상하 방향의 치수는 혼합액(25)의 액면을 검출하기 위해 필요한 표면적을 확보하기 위한 최소한의 크기가 확보되어 있으면 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긴 형상의 전극(34)이, 크랭크축의 지름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전극(34)의 하단이, 흡입부(29)의 개구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다. 즉, 전극(34)은 급유 기구(28)에 의해 급유를 할 수 없게 되는 액면 높이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동작의 설명)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컨트롤러(17)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태(S1)에서, 혼합액(25)의 액면 높이는 통상 액면 높이의 범위 내이다. 액면 센서(30)는 혼합액(25)에 완전히 잠겨 있다.
상태(S2)에서도, 혼합액(25)의 액면 높이는 통상 액면 높이의 범위 내이다. 액면 센서(30)는 일부가 혼합액(25)에 잠겨 있다.
상태(S3)에서, 혼합액(25)의 액면 높이는 경계 액면 높이의 범위 내이다. 액면 센서(30)는 혼합액(25)에 잠겨 있지 않지만, 흡입부(29)는 간신히 혼합액(25)에 잠겨 있다.
상태(S4)에서, 혼합액(25)의 액면 높이는 급유 불가 액면 높이의 범위 내이다. 액면 센서(30) 및 흡입부(29)의 모두, 혼합액(25)에 잠겨 있지 않기 때문에, 급유 기구(28)에 의한 급유가 불가능하다.
컨트롤러(17)는 리드선(31), 단자(32) 및 배선(33)을 통하여 한 쌍의 전극(34) 사이의 정전용량을 측정한다. 컨트롤러(17)는 측정한 정전용량으로부터, 혼합액(25)의 액면 높이의 상태를 검출한다. 컨트롤러(17)는 상태(S3)를 검출한 경우, 냉동기유가 냉매 회로(11)로부터 용기(21)에 돌아오도록 압축기(12)의 운전 주파수를 증가시키든지, 또는 압축기(12)의 운전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상태(S4)의 발생, 즉, 혼합액(25)의 액면 높이가 급유 기구(28)에 의한 급유가 불가능한 액면 높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압축기(12)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는 압축기(12)의 운전 주파수를 증가시킨 경우, 상태(S2)가 검출된 시점에서 압축기(12)의 운전 주파수를 통상의 운전 주파수로 되돌린다.
(실시의 형태의 효과의 설명)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압축기(12)에서 용기(21) 내의 냉동기유와 냉매와의 혼합액(25)에 의한 유체력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위치 및 자세로 액면 센서(30)가 설치되기 때문에, 그 유체력의 영향에 기인하는 액면 센서(3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액면 센서(30)가 혼합액(25)의 흐름과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혼합액(25)의 유체력에 의한 액면 센서(30)의 전극(34)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12)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혼합액(25)의 액면 높이가 급유 기구(28)에 의한 급유가 불가능한 액면 높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12)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용기(21) 내의 혼합액(25)의 액면 높이가 압축기(12)의 신뢰성을 보증할 수 있는 최저한의 액면 높이가 되는 위치에 액면 센서(30)가 설치되기 때문에, 압축기(12)의 높이 방향에서의 액면 센서(30)의 사이즈를 종래의 것보다도 작게 할 수 있다.
(다른 구성)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면 센서(30)가 용기(21)의 내벽의 1개소에 설치되지만, 변형례로서, 액면 센서(30)는 크랭크축(24)의 회전방향에서 용기(21)의 내벽의 2개소 이상에 설치되어도 좋다. 이 변형례에 관해 주로 본 실시의 형태와의 차이를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의 형태의 변형례에 관한 압축기(12)의 액면 센서(30)의 배치를 설명한다.
액면 센서(30)는 용기(21)의 내벽의 3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액면 센서(30)는 용기(21)의 내벽에 직접 부착되어도 좋지만, 본 변형례에서는 용기(21)의 내벽의 형상에 맞추어서 절곡된 판형상의 고정부재(43)를 통하여 용기(21)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다.
본 변형례에 의하면, 용기(21) 내의 다른 구조부품의 배치에 의해 충분한 사이즈의 액면 센서(30)의 배치가 곤란해지는 경우에, 작은 사이즈의 복수의 액면 센서(30)를 배치 가능한 장소에 나누어 배치함으로써, 같은 정밀도의 액면 높이의 검출이 가능해진다. 즉, 작은 사이즈의 복수의 액면 센서(30)를 배치함으로써, 용기(21) 내의 비어 있는 스페이스에 전극(34)을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부품의 스페이스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전극(34)의 배치가 가능해진다. 충분한 전극(34)의 표면적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액면 검출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액면 센서(30)는 용기(21)의 내벽의 적어도 1개소에 설치되어 있으면 되고, 용기(21)의 내벽의 2개소 또는 4개소 이상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실시의 형태 2.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해 주로 실시의 형태 1과의 차이를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압축기(12)의 구성을 설명한다.
압축기(12)는 플레이트(36)를 또한 구비한다.
플레이트(36)는 용기(21)의 내부에 설치되고, 크랭크축(24)의 축방향에서 전동기(23)가 수납된 공간과 액면 센서(30)가 설치된 공간을 갈라놓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플레이트(36)는 중앙에 관통공이 마련된 원형 판형상이고, 액면 센서(30)보다도 높은 위치에서 제2 축받이(27)의 하면에 접하도록 크랭크축(24)에 끼워져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플레이트(36)에 의해 전동기(23)의 영향에 의한 용기(21) 내의 혼합액(25)의 액면 동작을 완만하게 할 수 있다. 즉, 용기(21) 내의 냉동기유와 냉매와의 혼합액(25)의 액면을 안정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액면의 흔들림에 의한 액면 높이의 검출 오차를 저감시킬 수 있다. 즉, 액면 센서(30)에 의한 액면 높이의 검출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실시의 형태 1과 같이, 액면 센서(30)가 용기(21)의 내벽의 1개소에 설치되지만, 실시의 형태 1의 변형례와 같이, 액면 센서(30)는 크랭크축(24)의 회전방향에서 용기(21)의 내벽의 2개소 이상에 설치되어도 좋다.
실시의 형태 3.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해 주로 실시의 형태 1과의 차이를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압축기(12)의 액면 센서(30)의 구성을 설명한다.
액면 센서(30)는 실시의 형태 1과 같이 긴 형상의 전극(34)을 갖지만, 전극(34)은 실시의 형태 1과 같은 사각형 판형상이 아니고, 긴 방향의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상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전극(34)으로서, 한 쌍의 원통형상의 전극(34)이, 일방의 내주면과 타방의 외주면이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액면 센서(30)는 실시의 형태 1과 같이 한 쌍의 절연체(35)를 또한 갖는다. 일방의 절연체(35)는 양방의 전극(34)의 긴 방향의 일단부를 서로 간격이 벌어지도록 고정하고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타방의 절연체(35)는 양방의 전극(34)의 긴 방향의 타단부를 서로 간격이 벌어지도록 고정하고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액면 센서(30)의 배치를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과 같이, 액면 센서(30)는 용기(21)의 내벽의 1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액면 센서(30)는 용기(21)의 내벽에 직접 부착되어도 좋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도, 용기(21)의 내벽의 형상에 맞추어서 절곡된 판형상의 고정부재(43)를 통하여 용기(21)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다.
실시의 형태 1과 같이, 액면 센서(30)는 전극(34)의 긴 방향이 전극(34)의 중심(Z)부터 크랭크축(24)의 중심축에의 수선에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액면 센서(30)는 전극(34)의 긴 방향이 크랭크축(24)의 축방향에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실시의 형태 1과 같은 사각형 판형상의 전극(34)보다도 작은 사이즈의 전극(34)으로 같은 표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액면 센서(30)의 배치에 필요한 스페이스를 축소할 수 있다. 따라서, 액면 센서(30)의 배치가 용이해진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실시의 형태 1과 같이, 액면 센서(30)가 용기(21)의 내벽의 1개소에 설치되지만, 실시의 형태 1의 변형례와 같이, 액면 센서(30)는 크랭크축(24)의 회전방향에서 용기(21)의 내벽의 2개소 이상에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압축기(12)가 실시의 형태 2와 같은 플레이트(36)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실시의 형태 4.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해 주로 실시의 형태 1과의 차이를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압축기(12)의 액면 센서(30)의 구성을 설명한다.
액면 센서(30)는 실시의 형태 1과 같이 긴 형상의 전극(34)을 갖지만, 전극(34)이 평면시로 원호형상으로 만곡하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전극(34)으로서, 한 쌍의 만곡한 판형상의 전극(34)이, 서로의 판면이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액면 센서(30)는 실시의 형태 1과 같이 한 쌍의 절연체(35)를 또한 갖는다. 일방의 절연체(35)는 양방의 전극(34)의 긴 방향의 일단부를 서로 간격이 벌어지도록 고정하고 있다. 타방의 절연체(35)는 양방의 전극(34)의 긴 방향의 타단부를 서로 간격이 벌어지도록 고정하고 있다.
도 13을 참조하여 액면 센서(30)의 배치를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과 같이, 액면 센서(30)는 용기(21)의 내벽의 1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액면 센서(30)는 용기(21)의 내벽에 직접 부착되어도 좋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도, 용기(21)의 내벽의 형상에 맞추어서 절곡된 판형상의 고정부재(43)를 통하여 용기(21)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다.
실시의 형태 1과 같이, 액면 센서(30)는 전극(34)의 긴 방향이 전극(34)의 중심(Z)부터 크랭크축(24)의 중심축에의 수선에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액면 센서(30)는 전극(34)의 긴 방향이 크랭크축(24)의 축방향에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전극(34)이 크랭크축(24)의 회전방향에 따라 원호형상으로 만곡하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용기(21)의 내벽에 따라 액면 센서(30)를 배치할 수 있고, 또한, 액면 센서(30)가 혼합액(25)의 흐름과 거의 일치하는 형상이기 때문에, 혼합액(25)의 유체력에 의한 액면 센서(30)의 전극(34)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12)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용기(21)의 내벽에 따라 액면 센서(30)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액면 센서(30)가 다른 부품과 간섭하기 어렵다. 따라서, 액면 센서(30)의 배치가 용이해진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실시의 형태 1과 같이, 액면 센서(30)가 용기(21)의 내벽의 1개소에 설치되지만, 실시의 형태 1의 변형례와 같이, 액면 센서(30)는 크랭크축(24)의 회전방향에서 용기(21)의 내벽의 2개소 이상에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압축기(12)가 실시의 형태 2와 같은 플레이트(36)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들의 실시의 형태 중, 2개 이상의 실시의 형태를 조합시켜서 실시하여도 상관없다. 또는 이들의 실시의 형태 중, 하나의 실시의 형태 또는 2개 이상의 실시의 형태의 조합을 부분적으로 실시하여도 상관없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필요에 응하여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10 : 냉동 사이클 장치 11 : 냉매 회로
12 : 압축기 13 : 4방밸브
14 : 제1 열교환기 15 : 팽창기구
16 : 제2 열교환기 17 : 컨트롤러
21 : 용기 22 : 압축 기구
23 : 전동기 24 : 크랭크축
25 : 혼합액 26 : 제1 축받이
27 : 제2 축받이 28 : 급유 기구
29 : 흡입부 30 : 액면 센서
31 : 리드선 32 : 단자
33 : 배선 34 : 전극
35 : 절연체 36 : 플레이트
41 : 흡입관 42 : 토출관
43 : 고정부재

Claims (11)

  1. 저부에 냉동기유와 냉매의 혼합액이 저류된 용기와,
    상기 용기에 수납된 전동기와,
    상기 전동기의 회전축으로서, 회전중에 상기 용기의 저부로부터 상기 혼합액을 퍼올리는 크랭크축과,
    상기 혼합액의 액면이 기준의 높이에 달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긴 형상의 전극을 가지며, 상기 전극의 긴 방향의 양단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방향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액면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크랭크축의 하부에는 상기 혼합액을 개구로부터 흡입하는 흡입부가 마련되고,
    상기 액면 센서는 상기 전극으로서, 상기 크랭크축의 지름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고, 각각의 하단이 상기 흡입부의 개구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는 한 쌍의 긴 형상의 전극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크랭크축의 축방향에서 상기 전동기가 수납된 공간과 상기 액면 센서가 설치된 공간을 갈라놓는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3. 저부에 냉동기유와 냉매의 혼합액이 저류된 용기와,
    상기 용기에 수납된 전동기와,
    상기 전동기의 회전축으로서, 회전중에 상기 용기의 저부로부터 상기 혼합액을 퍼올리는 크랭크축과,
    상기 혼합액의 액면이 기준의 높이에 달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긴 형상의 전극을 가지며, 상기 전극의 긴 방향의 양단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방향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액면 센서와,
    상기 용기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크랭크축의 축방향에서 상기 전동기가 수납된 공간과 상기 액면 센서가 설치된 공간을 갈라놓는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긴 방향이 상기 전극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크랭크축의 중심축으로의 수선에 직교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긴 방향이 상기 크랭크축의 축방향에 직교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짧은 변 방향이 상기 크랭크축의 축방향과 일치하는 사각형 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긴 방향의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원호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면 센서는 상기 용기의 내벽의 적어도 1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면 센서는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방향에서 상기 용기의 내벽의 2개소 이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압축기와,
    상기 액면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혼합액의 액면이 상기 기준의 높이에 달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의해 상기 압축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
KR1020187022346A 2016-02-15 2016-02-15 압축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 KR1020228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54308 WO2017141322A1 (ja) 2016-02-15 2016-02-15 圧縮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943A KR20180103943A (ko) 2018-09-19
KR102022848B1 true KR102022848B1 (ko) 2019-09-23

Family

ID=59624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2346A KR102022848B1 (ko) 2016-02-15 2016-02-15 압축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444544B2 (ko)
KR (1) KR102022848B1 (ko)
CN (1) CN108700054B (ko)
CZ (1) CZ308987B6 (ko)
WO (1) WO20171413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901890D0 (en) * 2019-02-11 2019-04-03 Mexichem Fluor Sa De Cv Compositions
JP7265894B2 (ja) * 2019-03-11 2023-04-27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オイルセンサユニット、及び圧縮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01191A (ja) 2013-06-14 2015-01-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圧縮機の油面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4417A (ja) 1990-06-22 1992-02-21 Toshiba Corp コンプレッサの液面検出装置
JPH09113476A (ja) * 1995-10-18 1997-05-02 Idemitsu Kosan Co Ltd 冷媒圧縮機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3511775B2 (ja) * 1995-12-27 2004-03-2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流体機械の油検出装置
JP2006029160A (ja) * 2004-07-14 2006-0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型圧縮機
CN201013579Y (zh) * 2007-03-01 2008-01-30 无锡力源压缩机有限公司 Plc控制中压压缩机油位的控制器
JP2009138693A (ja) * 2007-12-10 2009-06-25 Mitsubishi Electric Corp 密閉形圧縮機
KR102137955B1 (ko) * 2014-01-17 2020-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리형 유면센서 및 이 유면센서를 구비한 압축기
CN204831468U (zh) * 2015-07-21 2015-12-02 上海日立电器有限公司 压缩机及其液位传感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01191A (ja) 2013-06-14 2015-01-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圧縮機の油面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700054A (zh) 2018-10-23
WO2017141322A1 (ja) 2017-08-24
KR20180103943A (ko) 2018-09-19
CN108700054B (zh) 2019-09-24
JPWO2017141322A1 (ja) 2018-04-26
CZ2018366A3 (cs) 2018-08-29
JP6444544B2 (ja) 2018-12-26
CZ308987B6 (cs) 202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2851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EP3249317B1 (en) Oil return circuit and oil return method for refrigerating cycle
CN107076466B (zh) 制冷循环装置
KR102022848B1 (ko) 압축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
JP6192806B2 (ja) 冷凍装置
CN112166253B (zh) 制冷装置
US8021125B2 (en) Hermetic compressor
US20050254977A1 (en) Hermetic compressor and refrigeration unit
KR102044315B1 (ko) 압축기
KR102320908B1 (ko) 압축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
JP6628815B2 (ja) 冷媒圧縮装置および冷凍装置
KR20200054262A (ko) 압축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
JP2009250223A (ja) 密閉型圧縮機及び冷凍装置
JP2005325733A (ja) 密閉型圧縮機
KR102509989B1 (ko) 압축기 및 그 제어 방법
JP6238835B2 (ja) 圧縮機、及びその圧縮機を備えたヒートポンプ装置
JP2009216026A (ja) 縦置き密閉型圧縮機および空気調和機
JP7356006B2 (ja) 冷凍装置
US20210102539A1 (en) Compressor
KR101992586B1 (ko) 압축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
JP2016090305A (ja) 液体検知器、圧縮機及び空気調和機
JP2005344612A (ja) 密閉型圧縮機および冷凍装置
JP2005330823A (ja) 密閉型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