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834B1 - 안정성이 강화된 휴대용 좌변대 - Google Patents

안정성이 강화된 휴대용 좌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834B1
KR102022834B1 KR1020190088170A KR20190088170A KR102022834B1 KR 102022834 B1 KR102022834 B1 KR 102022834B1 KR 1020190088170 A KR1020190088170 A KR 1020190088170A KR 20190088170 A KR20190088170 A KR 20190088170A KR 102022834 B1 KR102022834 B1 KR 102022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body
seating
cover
coupling
toile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영
Original Assignee
정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준영 filed Critical 정준영
Priority to KR1020190088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8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834B1/ko
Priority to PCT/KR2020/004549 priority patent/WO2021015394A1/ko
Priority to CN202010401090.0A priority patent/CN112274050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05Auxiliary or porta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6Mounting devices for seat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성이 강화된 휴대용 좌변대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는 착좌영역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설치영역이 마련된 판형(板形)으로, 몸체를 접거나 펼치기 위한 제1접철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1착좌몸체; 상부에는 착좌영역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설치영역이 마련된 판형(板形)으로, 몸체를 접거나 펼치기 위한 제2접철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2착좌몸체; 및 상기 제1착좌몸체의 일단과 상기 제2착좌몸체의 일단을 연결 또는 분리하며, 상기 제1착좌몸체 및 제2착좌몸체에 비해 연성재질로 마련되며, 진공압에 의해 좌변대 설치대상에 흡착 결합 가능한 제1흡착판을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제1연결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정성이 강화된 휴대용 좌변대 {PORTABLE TOILET SEAT HAVING REINFORCED STABILITY}
본 발명은 좌변기 좌대 위에 설치 가능한 안정성이 강화된 휴대용 좌변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공중화장실과 같이 외부에서 화장실을 이용할 때 좌변기, 특히 직접적으로 피부가 접촉하는 좌대에 상존하는 많은 병원균들에 대한 우려가 증가함에 따라, 사용 전에 휴지를 이용에 좌대를 닦아 살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클리너(Cleaner)에서부터 좌대 위에 덮는 비닐 형태의 일회용 변기커버, 더 나아가 좌대 위에 설치하며 휴대가 가능한 형태의 접이식 좌변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해결책에 제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휴대용 좌변대의 경우, 많은 제품들이 시중에 판매 중인데 대부분 좌대의 형상에 대응되어 좌대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형태로 개발되어 실질적으로 피부가 닿는 착좌영역 대비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영역이 많았으며, 접더라도 부피가 커서 휴대가 불편한 문제들이 지속적으로 언급되어 왔다.
그 뿐만 아니라, 기존의 휴대용 좌변대들의 경우 정해진 규격을 갖추어 사출 성형되어 각종 다양한 변기 규격 모두에 대응되지 못해 특정 변기에는 설치되지 못하고 한정적으로만 사용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기존의 휴대용 좌변대들의 경우 좌변대의 상측 피부 접촉면이 너무 딱딱하거나, 미끄럽거나, 차갑거나 혹은 이물감이 지속적으로 느껴져 착좌상태의 불편함을 호소하는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언급되어 왔다.
이에 따라, 종래의 휴대용 좌변대가 가지고 있던 휴대의 불편함, 설치 가능 좌변기의 범위 한정, 사용상의 각종 불편함 등의 많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새로운 형태의 휴대용 좌변대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발명자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8-0112807호의 "휴대용 좌변대"를 통해 어떤 형태 혹은 크기의 좌변기에도 쉽게 대응 설치 가능하며, 설치환경의 개선과 동시에 피부가 직접 접촉하는 좌변대 상측 착좌 영역에 관해 안정적이고 편안한 착좌상태를 지속할 수 있으며, 크기를 효율적으로 최소화하여 휴대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휴대용 좌변대를 제시한 바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종래의 휴대용 좌변대를 비롯한 관련 선행문헌들이 지닌 각종 문제점을 선출원 특허와 같이 기본적으로 해소함은 물론이고, 더 나아가 휴대용 좌변대의 사용 대상에 따른 착좌 자세 및 환경를 고려하여 도출된 기술적 특징들을 적용함으로써, 안정적인 설치 및 고정 능력, 편안한 착좌상태의 제공 능력, 사용 형태에 따른 접철 및 펼침 상태의 유지 능력 등을 한 단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는 기술을 본 발명을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첫째, 본 발명의 목적은 좌변기의 좌대 위에 휴대용 좌변대가 펼쳐져 더욱 안정적으로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착좌 상태에서 움직임이 있더라도 쉽게 최초 설치 위로부터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휴대용 좌변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둘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좌변기의 좌대 위에 휴대용 좌변대가 펼쳐져 설치된 후, 사용자가 착좌를 시도하는 과정 혹은 착좌 상태에서 움직임을 가지는 과정에서 휴대용 좌변대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 피부가 잡히거나 긁혀지지 않도록 하여 편안한 착좌상태를 지속할 수 있는 휴대용 좌변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셋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좌변대가 설치를 위해 펼쳐지거나 휴대를 위해 접철되는 상태의 유지가 구조적 특성에 의해 더욱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휴대용 좌변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넷째, 본 발명의 목적은 실질적으로 공중화장실의 각기 다른 좌변기 규격에 대응되어 좌대 위에 설치됨으로써, 어떤 형태 혹은 크기의 좌변기에도 쉽게 대응 설치 가능한 휴대용 좌변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적으로 불필요한 몸체 영역을 최소화하고, 착좌몸체 자체의 접힘 구조 및 착좌몸체-연결체 간의 접철 구조의 구현에 있어 크기를 효율적으로 최소화하여 휴대성을 증대시킨 휴대용 좌변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장실 환경에 반복 노출되고, 직접적으로 좌변기 좌대와 접촉하게 되는 좌변대 자체의 위생문제를 해소 가능한 휴대용 좌변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정성이 강화된 휴대용 좌변대는, 상부에는 착좌영역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설치영역이 마련된 판형(板形)으로, 몸체를 접거나 펼치기 위한 제1접철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1착좌몸체; 상부에는 착좌영역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설치영역이 마련된 판형(板形)으로, 몸체를 접거나 펼치기 위한 제2접철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2착좌몸체; 및 상기 제1착좌몸체의 일단과 상기 제2착좌몸체의 일단을 연결 또는 분리하며, 상기 제1착좌몸체 및 제2착좌몸체에 비해 연성재질로 마련되며, 진공압에 의해 좌변대 설치대상에 흡착 결합 가능한 제1흡착판을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제1연결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체는, 상부에서 하측으로 함입되거나, 하부에서 상측으로 함입된 제1주름홈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1주름부; 상기 제1주름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착좌몸체의 일단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1연결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제1주름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착좌몸체의 일단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2연결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2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착좌몸체는, 일단에 상기 제1연결부분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1결합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착좌몸체는, 일단에 상기 제2연결부분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3결합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3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정성이 강화된 휴대용 좌변대는, 상기 제1착좌몸체가 상기 제1접철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몸체 영역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어 각 몸체 영역의 상부에 덮여지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1커버; 및 상기 제2착좌몸체가 상기 제2접철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몸체 영역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어 각 몸체 영역의 상부에 덮여지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2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커버는, 상기 제1접철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제1착좌몸체의 각 몸체 영역 상부를 덮는 제1커버몸체부; 및 상기 제1커버몸체부의 하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탄성재질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유동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착좌몸체는 상기 제1커버몸체부가 상기 제1착좌몸체의 상부에 덮여짐에 따라, 상기 제1유동방지부가 삽입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삽입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제1유동방지부는 상기 제1삽입 구멍에 대응되어 삽입 고정될 시, 상기 제1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돌출됨으로써 상기 제1착좌몸체가 상기 제1접철부분에 의해 펼친 상태에서 좌변대 설치대상에 접촉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제2접철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제2착좌몸체의 각 몸체 영역 상부를 덮는 제2커버몸체부; 및 상기 제2커버몸체부의 하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탄성재질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유동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착좌몸체는 상기 제2커버몸체부가 상기 제2착좌몸체의 상부에 덮여짐에 따라, 상기 제2유동방지부가 삽입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삽입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제2유동방지부는 상기 제2삽입 구멍에 대응되어 삽입 고정될 시, 상기 제2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돌출됨으로써 상기 제2착좌몸체가 상기 제2접철부분에 의해 펼친 상태에서 좌변대 설치대상에 접촉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커버몸체부는 상기 제1접철부분 측 단부가 상기 제1접철부분 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줄어들며 굴곡진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커버몸체부는 상기 제2접철부분 측 단부가 상기 제2접철부분 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줄어들며 굴곡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착좌몸체는, 상기 제1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강도 보강살을 이루는 제1보강리브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착좌몸체는, 상기 제2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강도 보강살을 이루는 제2보강리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착좌몸체는,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탄성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제1보강리브부의 보강살 일부에 끼움 결합되는 제1유동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착좌몸체는,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탄성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제2보강리브부의 보강살 일부에 끼움 결합되는 제2유동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2실시예에 따른 안정성이 강화된 휴대용 좌변대는, 상부에는 착좌영역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설치영역이 마련된 판형(板形)으로, 몸체를 접거나 펼치기 위한 제1접철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1착좌몸체; 상부에는 착좌영역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설치영역이 마련된 판형(板形)으로, 몸체를 접거나 펼치기 위한 제2접철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2착좌몸체; 상부에는 착좌영역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설치영역이 마련된 판형(板形)으로, 몸체를 접거나 펼치기 위한 제3접철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3착좌몸체; 상기 제1착좌몸체의 일단과 상기 제2착좌몸체의 일단을 연결 또는 분리하며, 상기 제1착좌몸체 내지 제3착좌몸체에 비해 연성재질로 마련되며, 진공압에 의해 좌변대 설치대상에 흡착 결합 가능한 제1흡착판을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제1연결체; 상기 제1착좌몸체의 타단과 상기 제3착좌몸체의 일단을 연결 또는 분리하며, 상기 제1착좌몸체 내지 제3착좌몸체에 비해 연성재질로 마련되며, 진공압에 의해 좌변대 설치대상에 흡착 결합 가능한 제2흡착판을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제2연결체; 및 상기 제2착좌몸체의 타단과 상기 제3착좌몸체의 타단을 연결 또는 분리하며, 상기 제1착좌몸체 내지 제3착좌몸체에 비해 연성재질로 마련되는 제3연결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체는, 상부에서 하측으로 함입되거나, 하부에서 상측으로 함입된 제1주름홈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1주름부; 상기 제1주름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착좌몸체의 일단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1연결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제1주름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착좌몸체의 일단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2연결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2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연결체는, 상부에서 하측으로 함입되거나, 하부에서 상측으로 함입된 제2주름홈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2주름부; 상기 제2주름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착좌몸체의 타단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3연결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3연결부; 및 상기 제2주름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3착좌몸체의 일단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4연결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4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3연결체는, 상하로 개방된 파지구멍이 구비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착좌몸체의 타단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5연결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5연결부; 및 상기 파지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3착좌몸체의 타단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6연결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6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착좌몸체는, 일단에 상기 제1연결부분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1결합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1결합부; 및 타단에 상기 제3연결부분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2결합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2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착좌몸체는, 일단에 상기 제2연결부분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3결합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3결합부; 및 타단에 상기 제5연결부분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4결합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4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착좌몸체는, 일단에 상기 제4연결부분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5결합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5결합부; 및 타단에 상기 제6연결부분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6결합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6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정성이 강화된 휴대용 좌변대는, 상기 제1착좌몸체가 상기 제1접철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몸체 영역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어 각 몸체 영역의 상부에 덮여지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1커버; 상기 제2착좌몸체가 상기 제2접철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몸체 영역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어 각 몸체 영역의 상부에 덮여지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2커버; 및 상기 제3착좌몸체가 상기 제3접철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몸체 영역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어 각 몸체 영역의 상부에 덮여지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3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커버는, 상기 제1접철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제1착좌몸체의 각 몸체 영역 상부를 덮는 제1커버몸체부; 및 상기 제1커버몸체부의 하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탄성재질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유동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착좌몸체는 상기 제1커버몸체부가 상기 제1착좌몸체의 상부에 덮여짐에 따라, 상기 제1유동방지부가 삽입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삽입 구멍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유동방지부는 상기 제1삽입 구멍에 대응되어 삽입 고정될 시, 상기 제1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돌출됨으로써 상기 제1착좌몸체가 상기 제1접철부분에 의해 펼친 상태에서 좌변대 설치대상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제2접철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제2착좌몸체의 각 몸체 영역 상부를 덮는 제2커버몸체부; 및 상기 제2커버몸체부의 하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탄성재질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유동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착좌몸체는 상기 제2커버몸체부가 상기 제2착좌몸체의 상부에 덮여짐에 따라, 상기 제2유동방지부가 삽입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삽입 구멍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유동방지부는 상기 제2삽입 구멍에 대응되어 삽입 고정될 시, 상기 제2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돌출됨으로써 상기 제2착좌몸체가 상기 제2접철부분에 의해 펼친 상태에서 좌변대 설치대상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커버는, 상기 제3접철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제3착좌몸체의 각 몸체 영역 상부를 덮는 제3커버몸체부; 및 상기 제3커버몸체부의 하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탄성재질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유동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착좌몸체는 상기 제3커버몸체부가 상기 제3착좌몸체의 상부에 덮여짐에 따라, 상기 제3유동방지부가 삽입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삽입 구멍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3유동방지부는 상기 제3삽입 구멍에 대응되어 삽입 고정될 시, 상기 제3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돌출됨으로써 상기 제3착좌몸체가 상기 제3접철부분에 의해 펼친 상태에서 좌변대 설치대상에 접촉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커버몸체부는 상기 제1접철부분 측 단부가 상기 제1접철부분 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줄어들며 굴곡진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커버몸체부는 상기 제2접철부분 측 단부가 상기 제2접철부분 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줄어들며 굴곡진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3커버몸체부는 상기 제3접철부분 측 단부가 상기 제2접철부분 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줄어들며 굴곡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착좌몸체는, 상기 제1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강도 보강살을 이루는 제1보강리브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착좌몸체는, 상기 제2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강도 보강살을 이루는 제2보강리브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착좌몸체는, 상기 제3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강도 보강살을 이루는 제3보강리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착좌몸체는,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탄성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제1보강리브부의 보강살 일부에 끼움 결합되는 제1유동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착좌몸체는,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탄성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제2보강리브부의 보강살 일부에 끼움 결합되는 제2유동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착좌몸체는,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탄성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제3보강리브부의 보강살 일부에 끼움 결합되는 제3유동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착좌몸체 간을 연결하는 연결체의 하면에 흡착수단이 마련되어 좌변기 좌대 상에 설치 시 높은 수준의 흡착력을 제공함으로써, 휴대용 좌변대의 설치 상태에 대한 안정성 및 유동방지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둘째, 착좌몸체의 하면으로 돌출되는 커버의 유동방지부가 소정의 마찰력을 가지고 좌변기 좌대 상에 휴대용 좌변대를 설치 시 좌대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휴대용 좌변대의 설치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만들 수 있다.
셋째, 실시에 따라 착좌몸체의 구조적 강화를 위해 마련된 보강 리브부에 별도의 유동방지부재를 결합시킴으로써, 좌변기 좌대 상에 휴대용 좌변대를 설치 시 좌대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휴대용 좌변대의 설치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만들 수 있다.
넷째, 착좌몸체의 하면에 접힌 구조 시 상호 마주하여 고정 결합 가능한 구조가 커버와 연계되어 마련됨으로써, 착좌몸체가 접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속가능하며, 장시간 보관 시 혹은 갑작스런 충격 전달 시 착좌몸체의 접힌 상태가 쉽게 해제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다섯째, 착좌몸체, 연결체, 커버 등의 구성은 상호 결합 고정 및 결합 해제 가능한 구조를 갖춤에 따라 개별 분리하여 세척 및 살균 처리함에 용이하다.
여섯째, 착좌몸체, 연결체, 커버 등의 각종 휴대용 좌변대의 구성들을 보관하는 보관 용기는 항균성분을 포함하거나 항균성분의 지속적/주기적 제공이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어 휴대용 좌변대의 화장실 환경 노출 후 즉각적인 항균 처리가 가능하며, 궁극적으로 지속적 사용에도 우수한 위생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곱째, 착좌몸체의 상면에 결합되는 커버가 소정의 탄성을 갖추어 쿠션효과를 제공함은 물론이고, 소정의 발열 혹은 보온 성능의 제공 또한 가능하여 휴대용 좌변대의 착좌상태를 편안하게 만들 수 있다.
여덟째, 착좌몸체의 접힘형태 및 연성 재질의 연결체와 착좌몸체의 접철형태가 크기를 최소화하는 형태로 제공 가능해 휴대용 좌변대의 휴대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아홉째, 착좌몸체의 결합부와 연결체의 연결체 간의 연결 구조가 다수의 결합 부분 및 다수의 연결 부분을 기반으로 하여 좌변대 연결 형태의 다중 변위가 가능하고, 연성 재질로 마련되는 연결체의 재질적 특성을 통해 좌변대 전체의 구조적 유연성을 높일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휴대용 좌변대는 어떠한 규격 및 형태의 좌변대 좌대 상에도 대응되어 설치 가능하고, 이는 결과적으로 설치 및 착좌 상태의 안정성 수준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의 상측 구조 및 연결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의 하측 구조 및 연결 형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 내 제1착좌몸체와 제1커버의 구조 및 상호 간의 결합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 내 제2착좌몸체와 제2커버의 구조 및 상호 간의 결합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 내 제1착좌몸체와 제1유동방지부재의 구조 및 상호 간의 결합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의 접철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의 상측 구조 및 연결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 내 제1착좌몸체, 제1연결체 및 제2착좌몸체의 구조 및 상호 간의 결합 형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 내 제1착좌몸체, 제2연결체 및 제3착좌몸체의 구조 및 상호 간의 결합 형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 내 제2착좌몸체, 제3연결체 및 제3착좌몸체의 구조 및 상호 간의 결합 형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 내 제1착좌몸체와 제1커버의 구조 및 상호 간의 결합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 내 제2착좌몸체와 제2커버의 구조 및 상호 간의 결합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 내 제3착좌몸체와 제3커버의 구조 및 상호 간의 결합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 내 제1착좌몸체와 제1유동방지부재의 구조 및 상호 간의 결합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의 접철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1.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의 구조 및 사용형태에 관한 설명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정성이 강화된 휴대용 좌변대(이하, "휴대용 좌변대"라 함)(100)는 제1착좌몸체(110); 제2착좌몸체(120); 제1연결체(140); 제1커버(170); 제2커버(150); 및 항균성 보관용기(미도시);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100)는 착좌 상태의 유지가 쉽게 이루어지 어느 정도 좌변기 이용이 익숙한 성인의 사용을 위한 실시 형태로, 제3착좌몸체, 제2연결체 및 제3연결체의 구성을 배제하고 간단하고 가벼운 최소한의 구성만으로 충분한 안정적 착좌 상태 및 위생 수준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제1착좌몸체(110)는 도1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는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신체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착좌영역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좌변기의 좌대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설치영역이 마련된 판형(板形)을 이룬다.
여기서, 제1착좌몸체(110)는 도3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전체를 접거나 펼치기 위한 제1접철부분(110G)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진다.
이러한, 제1접철부분(110G)은 실시 형태에 따라 제1착좌몸체(110)의 너비??향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고, 제1착좌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으며, 너비와 길이 방향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비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착좌몸체(110)의 너비??향을 따라 제1접철부분(110G)이 형성된 경우, 제1착좌몸체(110)는 접혀져 너비간격은 같지만 길이가 짧아진 형태로 변형되어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라 제1착좌몸체(110)는 다수의 제1접철부분(110G)을 갖추어 여러 겹으로 접혀질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다양한 제1접철부분(110G)의 실시 형태는 사용자가 휴대용 좌변대(100)를 휴대하고자 하는 가방의 형태나 크기에 맞춰 설정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제1접철부분(110G)은 제1착좌몸체(110) 상부면의 길이방향 혹은 너비방향 일부영역이 하측으로 함입되어 접철 가능 여유 공간을 제공하는 홈 형태를 형성함으로써, 제1착좌몸체(110)를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각 영역이 마주하며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접철부분(110G)의 홈 구조는 하나의 실시 형태에 불과하고, 실시에 따라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3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Hinge)구조의 경첩이나 서로 상이한 극을 가지는 자성부재가 각 구획된 몸체 영역별로 설치되는 형태로도 구현 가능하여 특정 구조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구체적으로, 제1착좌몸체(110)는 제1결합부(111), 적어도 둘 이상의 제1고정부(113), 제1보강리브부(114), 제1유동방지부재(115) 및 제1커버결합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제1결합부(111)는 제1착좌몸체(110)의 일단에 형성되며,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후 설명될 제1연결체(140)의 제1연결부(142)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제1연결부분(142C)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1결합부분(111C)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진다.
여기서, 제1결합부(111)의 제1결합부분(111C)은 둘 이상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1착좌몸체(110)와 제1연결체(140)간의 상호 연결구조에 있어 거리 및 각도가 조정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적 가변성을 부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100)가 어떤 크기 혹은 형태의 좌변기의 좌대에도 대응되어 설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제1고정부(113)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착좌몸체(110)가 제1접철부분(110G)에 의해 접힌 상태에서 상호 고정 결합이 가능하도록 제1착좌몸체(110)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추후 설명될 제1커버(170)의 제1유동방지부(172)와 쌍을 이루어 마련되는 구성으로, 돌출된 형태의 제1유동방지부(172)와 대응되어 함입된 결합홈의 형태로 구비된다.
여기서, 쌍을 이루는 제1커버(170)의 제1유동방지부(172)와 제1착좌몸체(110)의 제1고정부(113)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착좌몸체(110)의 제1접철부분(110G)을 기준으로 하여 상호 대칭되어 제1착좌몸체(110)의 접힘 구조에서 상호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암/수 구조에 의한 상호 고정 결합이 가능한 형태로 마련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에 따라 제1커버(170)의 제1유동방지부(172)와 제1착좌몸체(110)의 제1고정부(113)가 쌍을 이루는 형태는 볼록구조와 이에 대응되어 끼워지는 오목구조의 형태, 서로 반대되는 자성을 띠는 형태 혹은 걸림구조(걸림턱, 걸림돌기 등)와 이에 대응되어 걸림 공간을 제공하는 홈(또는 홀)구조 등 특정 암/수 고정 결합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1보강리브부(114)는 제1착좌몸체(110)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강도 보강살을 이루는 구성으로, 보강살의 형성 구조는 특정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나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철부분(110G)을 기준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보강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보강살이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보강리브부(114)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철부분(110G)을 기준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보강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보강살의 교차점이 제1고정부(113)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이 제1착좌몸체(110)의 전체적 강도 보강에 효과적이다.
그리고 제1유동방지부재(115)는 실리콘, 고무 혹은 경화된 액상 우레탄 등과 같이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탄성재질로 마련되며, 제1보강리브부(114)의 보강살 일부에 끼움 결합되는 별도의 추가 부재이다.
이와 같은 제1유동방지부재(115)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착좌몸체(110)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강도 보강살 및 테두리를 형성하고 있는 제1보강리브부(114)에 고정 결합되기 위해 이에 대응되어 함입된 결합홈을 갖추고 있으며, 결합될 시 제1착좌몸체(110) 하부에 비해 높은 수준의 마찰력을 제공하여 제1착좌몸체(110)가 설치 시 더욱 안정적인 유동방지성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100)가 설치되는 좌변기 좌대의 미끄러움 상태를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제1유동방지부재(115)를 제1착좌몸체(110) 하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유동방지성을 추가로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착좌몸체(11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170)의 제1커버몸체부(171)가 제1착좌몸체(110)의 상부에 덮여짐에 따라, 추후 설명될 제1커버(170)의 제1유동방지부(172)가 삽입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삽입 구멍(110H)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1유동방지부(172)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삽입 구멍(110H)의 공간을 통과하여 결합 시 제1착좌몸체(110)와 제1커버(170)의 결합력을 높임은 물론이고, 더욱 중요하게 제1유동방지부(172)가 제1착좌몸체(110)의 하부로 돌출됨으로써 휴대용 좌변대(100)가 설치되는 좌변기 좌대의 표면에 접촉하여 소정의 마찰력 및 이에 따른 유동방지성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제1삽입 구멍(110H)의 개방된 공간의 구멍 형태 및 개수는 제1커버(170)에 연장 형성된 돌출형 구조의 제1유동방지부(172)의 구조와 대응되어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제1커버결합부(116)는 제1착좌몸체(110)의 상하 방향을 따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소정의 구멍형태의 결합 공간으로, 추후 설명될 제1커버(170)의 제1탈착부(173)가 삽입되어 제1착좌몸체(110)와 제1커버(170)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제1커버결합부(116)에 제1탈착부(173)가 삽입되면 제1착좌몸체(110)와 제1커버(170)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제1커버결합부(116)에 제1탈착부(173)가 삽입 해제되면 제1착좌몸체(110)와 제1커버(170)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제2착좌몸체(120)는 도1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는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신체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착좌영역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좌변기의 좌대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설치영역이 마련된 판형(板形)을 이룬다.
여기서, 제2착좌몸체(120)는 앞 서 설명한 제1착좌몸체(110)와 동일한 구성 및 구조를 갖춤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여기서, 제2착좌몸체(120)는 도4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전체를 접거나 펼치기 위한 제2접철부분(120G)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진다.
이러한, 제2접철부분(120G)은 실시 형태에 따라 제2착좌몸체(120)의 너비??향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고, 제2착좌몸체(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으며, 너비와 길이 방향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2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비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착좌몸체(120)의 너비??향을 따라 제2접철부분(120G)이 형성된 경우, 제2착좌몸체(120)는 접혀져 너비간격은 같지만 길이가 짧아진 형태로 변형되어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라 제2착좌몸체(120)는 다수의 제1접철부분(120G)을 갖추어 여러 겹으로 접혀질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다양한 제1접철부분(120G)의 실시 형태는 사용자가 휴대용 좌변대(100)를 휴대하고자 하는 가방의 형태나 크기에 맞춰 설정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제2접철부분(120G)은 제2착좌몸체(120) 상부면의 길이방향 혹은 너비방향 일부영역이 하측으로 함입되어 접철 가능 여유 공간을 제공하는 홈 형태를 형성함으로써, 제2착좌몸체(120)를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각 영역이 마주하며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접철부분(120G)의 홈 구조는 하나의 실시 형태에 불과하고, 실시에 따라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4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Hinge)구조의 경첩이나 서로 상이한 극을 가지는 자성부재가 각 구획된 몸체 영역별로 설치되는 형태로도 구현 가능하여 특정 구조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구체적으로, 제2착좌몸체(120)는 제2결합부(121), 적어도 둘 이상의 제2고정부(123), 제2보강리브부(124), 제2유동방지부재(미도시) 및 제2커버결합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제2결합부(121)는 제2착좌몸체(120)의 일단에 형성되며, 도2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후 설명될 제1연결체(140)의 제2연결부(143)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제2연결부분(143C)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2결합부분(121C)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진다.
여기서, 제2결합부(121)의 제2결합부분(121C)은 둘 이상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2착좌몸체(120)와 제1연결체(140)간의 상호 연결구조에 있어 거리 및 각도가 조정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적 가변성을 부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100)가 어떤 크기 혹은 형태의 좌변기의 좌대에도 대응되어 설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제2고정부(123)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착좌몸체(120)가 제2접철부분(120G)에 의해 접힌 상태에서 상호 고정 결합이 가능하도록 제2착좌몸체(120)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추후 설명될 제2커버(180)의 제2유동방지부(182)와 쌍을 이루어 마련되는 구성으로, 돌출된 형태의 제2유동방지부(182)와 대응되어 함입된 결합홈의 형태로 구비된다.
여기서, 쌍을 이루는 제2커버(180)의 제2유동방지부(182)와 제2착좌몸체(120)의 제2고정부(123)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착좌몸체(120)의 제2접철부분(120G)을 기준으로 하여 상호 대칭되어 제2착좌몸체(120)의 접힘 구조에서 상호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암/수 구조에 의한 상호 고정 결합이 가능한 형태로 마련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에 따라 제2커버(180)의 제2유동방지부(182)와 제2착좌몸체(120)의 제2고정부(123)가 쌍을 이루는 형태는 볼록구조와 이에 대응되어 끼워지는 오목구조의 형태, 서로 반대되는 자성을 띠는 형태 혹은 걸림구조(걸림턱, 걸림돌기 등)와 이에 대응되어 걸림 공간을 제공하는 홈(또는 홀)구조 등 특정 암/수 고정 결합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2보강리브부(124)는 제2착좌몸체(120)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강도 보강살을 이루는 구성으로, 보강살의 형성 구조는 특정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나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접철부분(120G)을 기준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보강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보강살이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보강리브부(124)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접철부분(120G)을 기준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보강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보강살의 교차점이 제2고정부(123)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이 제2착좌몸체(120)의 전체적 강도 보강에 효과적이다.
그리고 제2유동방지부재(미도시)는 앞 서 설명한 제1유동방재부재(115)와 동일한 특성을 갖춘 부재로서, 실리콘, 고무 혹은 경화된 액상 우레탄 등과 같이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탄성재질로 마련되며, 제2보강리브부(124)의 보강살 일부에 끼움 결합되는 별도의 추가 부재이다.
이와 같은 제2유동방지부재(미도시)는 제1유동방재부재(115)와 결합 방식이 같되 결합 대상이 상이하며, 구체적으로 제2착좌몸체(120)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강도 보강살 및 테두리를 형성하고 있는 제2보강리브부(124)에 고정 결합되기 위해 이에 대응되어 함입된 결합홈을 갖추고 있으며, 결합될 시 제2착좌몸체(120) 하부에 비해 높은 수준의 마찰력을 제공하여 제2착좌몸체(120)가 설치 시 더욱 안정적인 유동방지성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100)가 설치되는 좌변기 좌대의 미끄러움 상태를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제2유동방지부재(미도시)를 제2착좌몸체(120) 하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유동방지성을 추가로 높일 수 있다.
또한, 제2착좌몸체(12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커버(180)의 제2커버몸체부(181)가 제2착좌몸체(120)의 상부에 덮여짐에 따라, 추후 설명될 제2커버(180)의 제2유동방지부(182)가 삽입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삽입 구멍(120H)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2유동방지부(182)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삽입 구멍(120H)의 공간을 통과하여 결합 시 제2착좌몸체(120)와 제2커버(180)의 결합력을 높임은 물론이고, 더욱 중요하게 제2유동방지부(182)가 제2착좌몸체(120)의 하부로 돌출됨으로써 휴대용 좌변대(100)가 설치되는 좌변기 좌대의 표면에 접촉하여 소정의 마찰력 및 이에 따른 유동방지성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제2삽입 구멍(120H)의 개방된 공간의 구멍 형태 및 개수는 제2커버(180)에 연장 형성된 돌출형 구조의 제2유동방지부(182)의 구조와 대응되어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제2커버결합부(126)는 제2착좌몸체(120)의 상하 방향을 따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소정의 구멍형태의 결합 공간으로, 추후 설명될 제2커버(180)의 제2탈착부(183)가 삽입되어 제2착좌몸체(120)와 제2커버(180)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제2커버결합부(126)에 제2탈착부(183)가 삽입되면 제2착좌몸체(120)와 제2커버(180)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제2커버결합부(126)에 제2탈착부(183)가 삽입 해제되면 제2착좌몸체(120)와 제2커버(180)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제1연결체(140)는 제1착좌몸체(110)의 일단(제1결합부(111))과 제2착좌몸체(120)의 일단(제3결합부(121))을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몸체로서, 제1착좌몸체(110) 및 제2착좌몸체(120)에 비해 연성재질로 마련된다.
더욱이, 제1연결체(14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압에 의해 좌변대 설치대상에 흡착 결합 가능한 제1흡착판(140S)을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제1연결체(140)은 실리콘, 고무 혹은 경화된 액상 우레탄과 같이 소정의 탄성 변형력의 제공이 가능한 소재로 마련됨이 바람직하고, 이는 탄성 변형력을 기반으로 한 제1연결체(140)의 구조변형을 통해 제1착좌몸체(110) 및 제2착좌몸체(120)의 연결형태에 있어 구조적 가변성을 부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100)가 어떤 크기 혹은 형태의 좌변기의 좌대에도 대응되어 설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더 나아가, 이와 같은 제1연결체(140)의 재질적 특성은 휴대용 좌변대(100)가 아래 설명될 보관용기(미도시)에 보관되기 위해 접철을 수행함에 있어, 작업의 용이성을 높이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압축시킨 형태의 접철이 수행될 수 있게 하여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100) 자체의 휴대성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제1연결체(140)의 재질적 특성은 소정의 접착력 및 마찰력을 갖추고 있어 휴대용 좌변대(100)가 좌변기의 좌대에 설치 된 후 설치 위치의 유동방지성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특성은 앞 서 설명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흡착판(140S)의 구비를 통해 더욱 확실히 강화된다.
이러한, 연결체(140)는 제1주름부(141), 제1연결부(142) 및 제2연결부(143)를 포함한다.
먼저, 제1주름부(141)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하측으로 함입되거나, 하부에서 상측으로 함입된 제1주름홈(141H)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1연결체(140)의 중앙부분이다.
여기서, 제1주름부(141)의 상면과 하면에 다수의 제1주름홈(141H)이 교차 형성됨으로써, 제1연결체(140)의 휘어짐, 접힘과 같은 구조적 변형성을 높여 제1연결체(140)를 기준으로 상호 연결된 제1착좌몸체(110)와 제2착좌몸체(120)의 접철이 더욱 유연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200)의 휴대성 증대에 기여한다.
다음으로, 제1연결부(142)는 제1주름부(14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제1착좌몸체(110)의 일단(제1결합부(111))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1연결부분(142C)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진다.
여기서, 제1연결부(142)의 제1연결부분(142C)은 둘 이상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1착좌몸체(110)와 제1연결체(140)간의 상호 연결구조에 있어 거리 및 각도가 조정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적 가변성을 부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100)가 어떤 크기 혹은 형태의 좌변기의 좌대에도 대응되어 설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2연결부(143)는 제1주름부(141)의 타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제2착좌몸체(120)의 일단(제3결합부(121))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2연결부분(143C)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진다.
여기서, 제2연결부(143)의 제2연결부분(143C)은 둘 이상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2착좌몸체(120)와 제1연결체(140)간의 상호 연결구조에 있어 거리 및 각도가 조정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적 가변성을 부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100)가 어떤 크기 혹은 형태의 좌변기의 좌대에도 대응되어 설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제1연결부분(142C)과 제1결합부분(111C) 및 제2연결부분(143C)과 제3결합부분(121C)의 상호 연결 형태는 볼록구조와 이에 대응되어 끼워지는 오목구조의 형태, 서로 반대되는 자성을 띠는 형태 혹은 걸림구조(걸림턱, 걸림돌기 등)와 이에 대응되어 걸림 공간을 제공하는 홈(또는 홀)구조 등 특정 암/수 연결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다.
또한, 앞 서 설명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흡착판(140S)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주름부(141)의 하부 측에 마련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에 따라 다수의 제1주름홈(141H)과 제1연결부(142)의 제1연결부분(142C) 사이 혹은 다수의 제1주름홈(141H)과 제2연결부(143)의 제2연결부분(143C) 사이 하부 측 공간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추가 혹은 변경되어 마련될 수 도 있다.
제1커버(17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착좌몸체(110)의 상부에 덮여지며, 제1접철부분(110G)에 의해 구획되는 몸체 영역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어 각 몸체 영역의 상부에 덮여지도록 적어도 둘 이상으로 마련된다.
다시 말해, 제1커버(170)은 제1착좌몸체(110)가 제1접철부분(110G)에 의해 구획되는 몸체 영역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어 각 몸체 영역을 덮는다.
예를 들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착좌몸체(110)가 제1접철부분(110G)에 의해 2개의 영역으로 구획된 경우, 제1커버(170)은 2개로 마련되어 각 영역을 덮는 형식을 띨 수 있다. 이는 제1접철부분(110G)에 의해 제1착좌몸체(110)가 접혀 졌을 때, 제1커버(170)의 크기가 접혀진 제1착좌몸체(110)의 전체 상측면의 크기와 대응되지 않아 벗겨지거나 늘어나서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고 불필요한 부피를 줄여 휴대성 증대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제1커버(170)의 형태는 쿠션 커버부재, 모직 커버부재, 가죽 커버부재 등 특정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소정의 탄성력 및 온열의 제공이 가능한 소재 및 형태로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다.
이러한, 제1커버(170)은 제1착좌몸체(110)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덮여질 수도 있고, 실시에 따라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1커버(170)은 제1착좌몸체(11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어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제1커버(170)을 주기적으로 사용자가 분리하여 세척 및 살균 작업하기에 쉽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커버(170)는 제1커버몸체부(171), 제1유동방지부(172) 및 제1탈착부(173)를 포함한다.
우선, 제1커버몸체부(171)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철부분(110G)에 의해 구획되는 제1착좌몸체(110)의 각 몸체 영역 상부를 덮는 몸체 구성으로 상부는 직접적으로 제1착좌몸체(110)의 상측에 노출되어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게 되고, 하부는 아래 설명될 제1유동방지부(172) 및 제1탈착부(173)가 연장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1유동방지부(172)는 각각의 제1커버몸체부(171)의 하부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 구조로서, 재질적으로는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재질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커버몸체부(171)의 아래로 돌출된 제1유동방지부(172)는 제1착좌몸체(110)와 제1커버(170)의 결합에 따라 제1삽입 구멍(110H)에 대응되어 삽입 고정될 시, 제1착좌몸체(110)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돌출됨으로써 제1착좌몸체(110)가 제1접철부분(110G)에 의해 펼친 상태에서 좌변대 설치대상(좌변기의 좌대)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소정의 탄성변형력, 접착력 및 마찰력의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1유동방지부(172)는 소재적 특성에 의해 안정적으로 좌변대 설치대상(좌변대의 좌대)에 안착된 후, 소정의 탄성력을 기반으로 한 쿠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접착력 및 마찰력을 기반으로 한 유동방지 역할도 수행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제1탈착부(173)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커버몸체부(171)의 하부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의 돌출 구조로서, 제1커버(170)를 제1착좌몸체(110)의 상부에 고정 또는 해제하기 위해 앞 서 설명한 제1커버결합부(116)과 암/수 결합 구조를 구축한다.
여기서, 제1탈착부(173)와 제1커버결합부(116)의 탈착 결합 형태는 벨크로(Velcro) 결합을 위한 고리면과 걸림면의 형태, 반복 점착이 가능한 스티커 형태, 볼록구조와 이에 대응되어 끼워지는 오목구조의 형태, 서로 반대되는 자성을 띠는 형태 혹은 걸림구조(걸림턱, 걸림돌기 등)와 이에 대응되어 걸림 공간을 제공하는 홈(또는 홀)구조 등 특정 탈착 결합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다.
그리고 앞 서 설명한, 제1커버몸체부(171)는 도3의 확대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철부분(110G) 측 단부가 제1접철부분(110G) 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줄어들며 굴곡진 형태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착좌몸체(110)의 각 몸체 영역이 제1접철부분(110G)을 기준으로 펼쳐졌을 때 각 몸체 영역 별 제1커버몸체부(171)의 제1접철부분(110G) 측 단부가 굴곡진 형태를 갖추지 않아 여유 공간을 형성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휴대용 좌변대(100)의 설치 후 착좌 상태를 유지하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조그마한 움직임을 가지더라도 제1착좌몸체(110) 및 제1커버(170)에 접촉한 사용자의 피부가 제1접철부분(110G) 혹은 각 몸체 영역 별 제1커버몸체부(171)의 제1접철부분(110G) 측 단부 사이 공간에 끼이거나 긁혀 상처를 내고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2커버(18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착좌몸체(120)의 상부에 덮여지며, 제2접철부분(120G)에 의해 구획되는 몸체 영역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어 각 몸체 영역의 상부에 덮여지도록 적어도 둘 이상으로 마련된다.
다시 말해, 제2커버(180)는 제2착좌몸체(120)가 제2접철부분(120G)에 의해 구획되는 몸체 영역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어 각 몸체 영역을 덮는다.
예를 들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착좌몸체(120)가 제2접철부분(120G)에 의해 2개의 영역으로 구획된 경우, 제2커버(180)은 2개로 마련되어 각 영역을 덮는 형식을 띨 수 있다.
이는 제2접철부분(120G)에 의해 제2착좌몸체(120)가 접혀 졌을 때, 제2커버(180)의 크기가 접혀진 제2착좌몸체(120)의 전체 상측면의 크기와 대응되지 않아 벗겨지거나 늘어나서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고 불필요한 부피를 줄여 휴대성 증대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제2커버(180)의 형태는 쿠션 커버부재, 모직 커버부재, 가죽 커버부재 등 특정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소정의 탄성력 및 온열의 제공이 가능한 소재 및 형태로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다.
이러한, 제2커버(180)는 제2착좌몸체(120)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덮여질 수도 있고, 실시에 따라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2커버(180)는 제2착좌몸체(12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어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제2커버(180)를 주기적으로 사용자가 분리하여 세척 및 살균 작업하기에 쉽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커버(180)는 제2커버몸체부(181), 제2유동방지부(182) 및 제2탈착부(183)를 포함한다.
우선, 제2커버몸체부(181)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접철부분(120G)에 의해 구획되는 제2착좌몸체(120)의 각 몸체 영역 상부를 덮는 몸체 구성으로 상부는 직접적으로 제2착좌몸체(120)의 상측에 노출되어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게 되고, 하부는 아래 설명될 제2유동방지부(182) 및 제2탈착부(183)가 연장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2유동방지부(182)는 각각의 제2커버몸체부(181)의 하부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 구조로서, 재질적으로는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재질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2커버몸체부(181)의 아래로 돌출된 제2유동방지부(182)는 제2착좌몸체(120)와 제2커버(180)의 결합에 따라 제2삽입 구멍(120H)에 대응되어 삽입 고정될 시, 제2착좌몸체(120)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돌출됨으로써 제2착좌몸체(120)가 제2접철부분(120G)에 의해 펼친 상태에서 좌변대 설치대상(좌변기의 좌대)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소정의 탄성변형력, 접착력 및 마찰력의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2유동방지부(182)는 소재적 특성에 의해 안정적으로 좌변대 설치대상(좌변대의 좌대)에 안착된 후, 소정의 탄성력을 기반으로 한 쿠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접착력 및 마찰력을 기반으로 한 유동방지 역할도 수행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제2탈착부(183)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2커버몸체부(181)의 하부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의 돌출 구조로서, 제2커버(180)를 제2착좌몸체(120)의 상부에 고정 또는 해제하기 위해 앞 서 설명한 제2커버결합부(126)과 암/수 결합 구조를 구축한다.
여기서, 제2탈착부(183)와 제2커버결합부(126)의 탈착 결합 형태는 벨크로(Velcro) 결합을 위한 고리면과 걸림면의 형태, 반복 점착이 가능한 스티커 형태, 볼록구조와 이에 대응되어 끼워지는 오목구조의 형태, 서로 반대되는 자성을 띠는 형태 혹은 걸림구조(걸림턱, 걸림돌기 등)와 이에 대응되어 걸림 공간을 제공하는 홈(또는 홀)구조 등 특정 탈착 결합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다.
그리고 앞 서 설명한, 제2커버몸체부(181)는 도4의 확대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접철부분(120G) 측 단부가 제2접철부분(120G) 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줄어들며 굴곡진 형태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착좌몸체(120)의 각 몸체 영역이 제2접철부분(120G)을 기준으로 펼쳐졌을 때 각 몸체 영역 별 제2커버몸체부(181)의 제2접철부분(120G) 측 단부가 굴곡진 형태를 갖추지 않아 여유 공간을 형성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휴대용 좌변대(100)의 설치 후 착좌 상태를 유지하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조그마한 움직임을 가지더라도 제2착좌몸체(120) 및 제2커버(180)에 접촉한 사용자의 피부가 제2접철부분(120G) 혹은 각 몸체 영역 별 제2커버몸체부(181)의 제2접철부분(120G) 측 단부 사이 공간에 끼이거나 긁혀 상처를 내고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휴대용 좌변대(10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진 제1착좌몸체(110)(경우에 따라 제1커버(170) 결합된 상태), 접혀진 제2착좌몸체(120)(경우에 따라 제2커버(180) 결합된 상태) 및 제1연결체(140)의 항균 보관을 위해 항균성 보관용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항균성 보관용기(미도시)는 내부에 소정의 보관공간을 가지고 개폐 가능한 형태로 마련된다.
아울러, 항균성 보관용기(미도시)는 항균성분을 포함하여, 보관공간에 수납된 제1착좌몸체(110), 제2착좌몸체(120), 제1연결체(140), 제1커버(170) 및 제2커버(18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항균 처리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항균성 보관용기(미도시)는 용기 사출 성형 전에 용기 제조의 기반이 되는 수지 조성물 내에 항균동 혹은 은이온과 같은 항균제를 첨가하거나, 용기 내부 표면상에 아르곤 혹은 질소 등의 이온 빔을 조사하여 이온층을 형성하거나, 용기 내부 표면상에 항균 효소 혹은 프로폴리스 등과 같은 항균성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분자 코팅액을 분사하여 항균 코팅층을 형성하거나, 편백나무입자와 같은 항균 입자가 포함된 별도의 항균 시트 층을 용기 내부에 설치 등 특정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항균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항균성 보관용기(미도시) 내부에 보관된 제1착좌몸체(110), 제2착좌몸체(120), 제1연결체(140), 제1커버(170) 및 제2커버(18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은 반복적인 휴대용 좌변대(100)의 사용에 따라 화장실 환경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세균, 곰팡이 및 바이러스 증식에 의한 비위생적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지속적으로 위생적인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다.
2.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의 구조 및 사용형태에 관한 설명
도7 내지 도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정성이 강화된 휴대용 좌변대(이하, "휴대용 좌변대"라 함)(200)를 설명하면, 휴대용 좌변대(200)는 제1실시예와 같이 제1착좌몸체(210); 제2착좌몸체(220); 제1연결체(240); 제1커버(270); 제2커버(280); 및 항균성 보관용기(미도시);을 포함하고, 제1실시예와 달리 제3착좌몸체(230); 제2연결체(250); 제3연결체(260); 및 제3커버(290);가 추가적으로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서는 앞서 언급한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200)의 제1착좌몸체(210) 내 제1접철부분(210G), 제1삽입구멍(210H), 제1결합부(211), 제1고정부(213), 제1보강리브부(214), 제1유동방지부재(215) 및 제1커버결합부(216)의 구성적 특징은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100)의 제1착좌몸체(110) 내 제1접철부분(110G), 제1삽입구멍(110H), 제1결합부(111), 제1고정부(113), 제1보강리브부(114), 제1유동방지부재(115) 및 제1커버결합부(116)의 구성적 특징에 대한 상기 기재와 동일하게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200)의 제1착좌몸체(210)는 제2결합부(212)를 더 포함한다.
제2결합부(212)는 제1착좌몸체(210)의 타단에 형성되며, 도8, 도9 및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후 설명될 제2연결체(250)의 제3연결부(252)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제3연결부분(252C)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2결합부분(212C)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진다.
여기서, 제2결합부(212)의 제2결합부분(212C)은 둘 이상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1착좌몸체(210)와 제2연결체(250)간의 상호 연결구조에 있어 거리 및 각도가 조정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적 가변성을 부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200)가 어떤 크기 혹은 형태의 좌변기의 좌대에도 대응되어 설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200)의 제2착좌몸체(220) 내 제2접철부분(210G), 제2삽입구멍(220H), 제3결합부(221), 제2고정부(223), 제2보강리브부(224), 제2유동방지부재(미도시) 및 제2커버결합부(226)의 구성적 특징은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100)의 제2착좌몸체(120) 내 제2접철부분(120G), 제2삽입구멍(120H), 제3결합부(121), 제2고정부(123), 제2보강리브부(124), 제2유동방지부재(미도시) 및 제2커버결합부(126)의 구성적 특징에 대한 상기 기재와 동일하게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200)의 제2착좌몸체(220)는 제4결합부(222)를 더 포함한다.
제4결합부(222)는 제2착좌몸체(220)의 타단에 형성되며, 도8, 도10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후 설명될 제3연결체(260)의 제5연결부(262)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제5연결부분(262C)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4결합부분(222C)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진다.
여기서, 제4결합부(222)의 제4결합부분(222C)은 둘 이상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2착좌몸체(220)와 제3연결체(260)간의 상호 연결구조에 있어 거리 및 각도가 조정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적 가변성을 부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200)가 어떤 크기 혹은 형태의 좌변기의 좌대에도 대응되어 설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3착좌몸체(230)는 도7 및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는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신체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착좌영역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좌변기의 좌대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설치영역이 마련된 판형(板形)을 이룬다.
여기서, 제3착좌몸체(230)는 도7, 도13 및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전체를 접거나 펼치기 위한 제3접철부분(230G)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진다.
이러한, 제3접철부분(230G)은 실시 형태에 따라 제3착좌몸체(230)의 너비??향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고, 제3착좌몸체(2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으며, 너비와 길이 방향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7 및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비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착좌몸체(230)의 너비??향을 따라 제3접철부분(230G)이 형성된 경우, 제3착좌몸체(230)는 접혀져 너비간격은 같지만 길이가 짧아진 형태로 변형되어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라 제3착좌몸체(230)는 다수의 제3접철부분(230G)을 갖추어 여러 겹으로 접혀질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다양한 제3접철부분(230G)의 실시 형태는 사용자가 휴대용 좌변대(100)를 휴대하고자 하는 가방의 형태나 크기에 맞춰 설정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제3접철부분(230G)은 제3착좌몸체(230) 상부면의 길이방향 혹은 너비방향 일부영역이 하측으로 함입되어 접철 가능 여유 공간을 제공하는 홈 형태를 형성함으로써, 제3착좌몸체(230)를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각 영역이 마주하며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접철부분(230G)의 홈 구조는 하나의 실시 형태에 불과하고, 실시에 따라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7 및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Hinge)구조의 경첩이나 서로 상이한 극을 가지는 자성부재가 각 구획된 몸체 영역별로 설치되는 형태로도 구현 가능하여 특정 구조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구체적으로, 제3착좌몸체(230)는 제5결합부(231), 제6결합부(232) 적어도 둘 이상의 제3고정부(233), 제3보강리브부(234), 제3유동방지부재(미도시) 및 제3커버결합부(236)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제5결합부(231)는 제3착좌몸체(230)의 일단에 형성되며, 도9 및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후 설명될 제2연결체(250)의 제4연결부(253)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제4연결부분(253C)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5결합부분(231C)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진다.
여기서, 제5결합부(231)의 제5결합부분(231C)은 둘 이상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3착좌몸체(230)와 제2연결체(250)간의 상호 연결구조에 있어 거리 및 각도가 조정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적 가변성을 부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200)가 어떤 크기 혹은 형태의 좌변기의 좌대에도 대응되어 설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제3고정부(233)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착좌몸체(230)가 제3접철부분(230G)에 의해 접힌 상태에서 상호 고정 결합이 가능하도록 제3착좌몸체(230)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추후 설명될 제3커버(290)의 제3유동방지부(292)와 쌍을 이루어 마련되는 구성으로, 돌출된 형태의 제3유동방지부(292)와 대응되어 함입된 결합홈의 형태로 구비된다.
여기서, 쌍을 이루는 제3커버(290)의 제3유동방지부(292)와 제3착좌몸체(230)의 제3고정부(233)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착좌몸체(230)의 제3접철부분(230G)을 기준으로 하여 상호 대칭되어 제3착좌몸체(230)의 접힘 구조에서 상호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암/수 구조에 의한 상호 고정 결합이 가능한 형태로 마련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에 따라 제3커버(190)의 제3유동방지부(292)와 제3착좌몸체(230)의 제3고정부(233)가 쌍을 이루는 형태는 볼록구조와 이에 대응되어 끼워지는 오목구조의 형태, 서로 반대되는 자성을 띠는 형태 혹은 걸림구조(걸림턱, 걸림돌기 등)와 이에 대응되어 걸림 공간을 제공하는 홈(또는 홀)구조 등 특정 암/수 고정 결합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3보강리브부(234)는 제3착좌몸체(230)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강도 보강살을 이루는 구성으로, 보강살의 형성 구조는 특정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나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접철부분(230G)을 기준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보강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보강살이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3보강리브부(234)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접철부분(230G)을 기준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보강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보강살의 교차점이 제3고정부(233)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이 제3착좌몸체(230)의 전체적 강도 보강에 효과적이다.
그리고 제3유동방지부재(미도시)는 앞 서 설명한 제1유동방재부재(215,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유동방지부재(115)와 대응)와 동일한 특성을 갖춘 부재로서, 실리콘, 고무 혹은 경화된 액상 우레탄 등과 같이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탄성재질로 마련되며, 제3보강리브부(234)의 보강살 일부에 끼움 결합되는 별도의 추가 부재이다.
이와 같은 제3유동방지부재(미도시)는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유동방재부재215,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유동방지부재(115)와 대응)와 결합 방식이 같되 결합 대상이 상이하며, 구체적으로 제3착좌몸체(230)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강도 보강살 및 테두리를 형성하고 있는 제3보강리브부(234)에 고정 결합되기 위해 이에 대응되어 함입된 결합홈을 갖추고 있으며, 결합될 시 제3착좌몸체(230) 하부에 비해 높은 수준의 마찰력을 제공하여 제3착좌몸체(230)가 설치 시 더욱 안정적인 유동방지성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200)가 설치되는 좌변기 좌대의 미끄러움 상태를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제3유동방지부재(미도시)를 제3착좌몸체(230) 하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유동방지성을 추가로 높일 수 있다.
또한, 제3착좌몸체(230)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커버(290)의 제3커버몸체부(291)가 제3착좌몸체(230)의 상부에 덮여짐에 따라, 추후 설명될 제3커버(290)의 제3유동방지부(292)가 삽입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삽입 구멍(230H)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3유동방지부(292)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삽입 구멍(230H)의 공간을 통과하여 결합 시 제3착좌몸체(230)와 제3커버(290)의 결합력을 높임은 물론이고, 더욱 중요하게 제3유동방지부(292)가 제3착좌몸체(230)의 하부로 돌출됨으로써 휴대용 좌변대(200)가 설치되는 좌변기 좌대의 표면에 접촉하여 소정의 마찰력 및 이에 따른 유동방지성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제3삽입 구멍(230H)의 개방된 공간의 구멍 형태 및 개수는 제3커버(290)에 연장 형성된 돌출형 구조의 제3유동방지부(292)의 구조와 대응되어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제3커버결합부(236)는 제3착좌몸체(230)의 상하 방향을 따라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소정의 구멍형태의 결합 공간으로, 추후 설명될 제3커버(290)의 제3탈착부(293)가 삽입되어 제3착좌몸체(290)와 제1커버(290)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제3커버결합부(236)에 제3탈착부(293)가 삽입되면 제3착좌몸체(230)와 제3커버(290)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제3커버결합부(236)에 제3탈착부(293)가 삽입 해제되면 제3착좌몸체(230)와 제3커버(290)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200) 내 제1연결체(240)의 구성적 특징은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100) 내 제1연결체(140)의 구성적 특징에 대한 상기 기재와 동일하게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연결체(250)는 제1착좌몸체(210)의 타단(제2결합부(212))과 제3착좌몸체(230)의 일단(제5결합부(231))을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몸체로서, 제1착좌몸체(210), 제2착좌몸체(220) 및 제3착좌몸체(230)에 비해 연성재질로 마련된다.
더욱이, 제2연결체(250)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압에 의해 좌변대 설치대상에 흡착 결합 가능한 제2흡착판(250S)을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제2연결체(250)는 실리콘, 고무 혹은 경화된 액상 우레탄과 같이 소정의 탄성 변형력의 제공이 가능한 소재로 마련됨이 바람직하고, 이는 탄성 변형력을 기반으로 한 제2연결체(250)의 구조변형을 통해 제1착좌몸체(210) 및 제3착좌몸체(230)의 연결형태에 있어 구조적 가변성을 부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200)가 어떤 크기 혹은 형태의 좌변기의 좌대에도 대응되어 설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더 나아가, 이와 같은 제2연결체(250)의 재질적 특성은 휴대용 좌변대(200)가 아래 설명될 보관용기(미도시)에 보관되기 위해 접철을 수행함에 있어, 작업의 용이성을 높이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압축시킨 형태의 접철이 수행될 수 있게 하여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200) 자체의 휴대성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제1연결체(140)의 재질적 특성은 소정의 접착력 및 마찰력을 갖추고 있어 휴대용 좌변대(100)가 좌변기의 좌대에 설치 된 후 설치 위치의 유동방지성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특성은 앞 서 설명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흡착판(250S)의 구비를 통해 더욱 확실히 강화된다.
이러한, 제2연결체(250)는 제2주름부(251), 제3연결부(252) 및 제4연결부(253)를 포함한다.
먼저, 제2주름부(251)는 도7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하측으로 함입되거나, 하부에서 상측으로 함입된 제1주름홈(251H)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2연결체(250)의 중앙부분이다.
여기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주름부(251)의 상면과 하면에 다수의 제1주름홈(251H)이 교차 형성됨으로써, 제2연결체(250)의 휘어짐, 접힘과 같은 구조적 변형성을 높여 제2연결체(250)를 기준으로 상호 연결된 제1착좌몸체(210)과 제3착좌몸체(230)의 접철이 더욱 유연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200)의 휴대성 증대에 기여한다.
다음으로, 제3연결부(252)는 제1주름부(25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제1착좌몸체(210)의 타단(제2결합부(211))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3연결부분(252C)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진다.
여기서, 제3연결부(252)의 제3연결부분(252C)은 둘 이상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1착좌몸체(210)와 제3연결체(250)간의 상호 연결구조에 있어 거리 및 각도가 조정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적 가변성을 부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200)가 어떤 크기 혹은 형태의 좌변기의 좌대에도 대응되어 설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4연결부(253)는 제1주름부(251)의 타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제3착좌몸체(230)의 일단(제5결합부(231))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4연결부분(253C)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진다.
여기서, 제4연결부(253)의 제4연결부분(253C)은 둘 이상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3착좌몸체(230)와 제2연결체(250)간의 상호 연결구조에 있어 거리 및 각도가 조정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적 가변성을 부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200)가 어떤 크기 혹은 형태의 좌변기의 좌대에도 대응되어 설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제3연결부분(252C)과 제2결합부분(212C) 및 제4연결부분(253C)과 제5결합부분(231C)의 상호 연결 형태는 볼록구조와 이에 대응되어 끼워지는 오목구조의 형태, 서로 반대되는 자성을 띠는 형태 혹은 걸림구조(걸림턱, 걸림돌기 등)와 이에 대응되어 걸림 공간을 제공하는 홈(또는 홀)구조 등 특정 암/수 연결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다.
또한, 앞 서 설명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흡착판(250S)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주름부(251)의 하부 측에 마련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에 따라 다수의 제2주름홈(251H)과 제3연결부(252)의 제3연결부분(252C) 사이 혹은 다수의 제2주름홈(251H)과 제4연결부(253)의 제4연결부분(253C) 사이 하부 측 공간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추가 혹은 변경되어 마련될 수 도 있다.
제3연결체(260)는 제2착좌몸체(220)의 타단(제4결합부(222))과 제3착좌몸체(230)의 타단(제6결합부(232))을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몸체로서, 제1착좌몸체(210), 제2착좌몸체(220) 및 제3착좌몸체(230)에 비해 연성재질로 마련된다.
실시에 따라, 제3연결체(260)는 진공압에 의해 좌변대 설치대상에 흡착 결합 가능한 제3흡착판(미도시)을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3연결체(260)는 실리콘, 고무 혹은 경화된 액상 우레탄과 같이 소정의 탄성 변형력의 제공이 가능한 소재로 마련됨이 바람직하고, 이는 탄성 변형력을 기반으로 한 제제3연결체(260)의 구조변형을 통해 제2착좌몸체(220) 및 제3착좌몸체(230)의 연결형태에 있어 구조적 가변성을 부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200)가 어떤 크기 혹은 형태의 좌변기의 좌대에도 대응되어 설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더 나아가, 이와 같은 제3연결체(260)의 재질적 특성은 휴대용 좌변대(200)가 아래 설명될 보관용기(미도시)에 보관되기 위해 접철을 수행함에 있어, 작업의 용이성을 높이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압축시킨 형태의 접철이 수행될 수 있게 하여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200) 자체의 휴대성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제3연결체(260)의 재질적 특성은 소정의 접착력 및 마찰력을 갖추고 있어 휴대용 좌변대(200)가 좌변기의 좌대에 설치 된 후 설치 위치의 유동방지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3연결체(260)는 파지부(261), 제5연결부(262) 및 제6연결부(263)를 포함한다.
먼저, 파지부(261)는 도7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개방되어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이용해 도15와 같이 접철된 형태의 휴대용 좌변대(200)를 쉽게 파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파지구멍(261H)을 구비하는 제3연결체(260)의 중앙부분이다.
또한,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261)에 구비되는 개방된 형태의 파지구멍(261H)은 휘어짐, 접힘과 같은 구조적 변형성을 높여 제3연결체(260)를 기준으로 상호 연결된 제2착좌몸체(220)과 제3착좌몸체(230)의 접철이 더욱 유연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200)의 휴대성 증대에 기여한다.
다음으로, 제5연결부(262)는 파지부(26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제2착좌몸체(220)의 타단(제4결합부(222))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5연결부분(262C)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진다.
여기서, 제5연결부(262)의 제5연결부분(262C)은 둘 이상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2착좌몸체(220)와 제3연결체(260)간의 상호 연결구조에 있어 거리 및 각도가 조정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적 가변성을 부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200)가 어떤 크기 혹은 형태의 좌변기의 좌대에도 대응되어 설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6연결부(263)는 파지부(261)의 타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제3착좌몸체(230)의 타단(제6결합부(232))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6연결부분(263C)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진다.
여기서, 제6연결부(263)의 제6연결부분(263C)은 둘 이상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3착좌몸체(230)와 제3연결체(260)간의 상호 연결구조에 있어 거리 및 각도가 조정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적 가변성을 부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200)가 어떤 크기 혹은 형태의 좌변기의 좌대에도 대응되어 설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제5연결부분(262C)과 제4결합부분(222C) 및 제6연결부분(263C)과 제6결합부분(232C)의 상호 연결 형태는 볼록구조와 이에 대응되어 끼워지는 오목구조의 형태, 서로 반대되는 자성을 띠는 형태 혹은 걸림구조(걸림턱, 걸림돌기 등)와 이에 대응되어 걸림 공간을 제공하는 홈(또는 홀)구조 등 특정 암/수 연결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200) 내 제1커버(270) 및 제2커버(280)의 구성적 특징은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100) 내 제1커버(170) 및 제2커버(180)의 구성적 특징에 대한 상기 기재와 동일하게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커버(290)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착좌몸체(230)의 상부에 덮여지며, 제3접철부분(230G)에 의해 구획되는 몸체 영역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어 각 몸체 영역의 상부에 덮여지도록 적어도 둘 이상으로 마련된다.
다시 말해, 제3커버(290)는 제3착좌몸체(230)가 제3접철부분(230G)에 의해 구획되는 몸체 영역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어 각 몸체 영역을 덮는다.
예를 들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착좌몸체(230)가 제3접철부분(230G)에 의해 2개의 영역으로 구획된 경우, 제3커버(290)는 2개로 마련되어 각 영역을 덮는 형식을 띨 수 있다.
이는 제3접철부분(230G)에 의해 제3착좌몸체(230)가 접혀 졌을 때, 제3커버(290)의 크기가 접혀진 제3착좌몸체(230)의 전체 상측면의 크기와 대응되지 않아 벗겨지거나 늘어나서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고 불필요한 부피를 줄여 휴대성 증대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제3커버(290)의 형태는 쿠션 커버부재, 모직 커버부재, 가죽 커버부재 등 특정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소정의 탄성력 및 온열의 제공이 가능한 소재 및 형태로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다.
이러한, 제3커버(290)는 제3착좌몸체(230)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덮여질 수도 있고, 실시에 따라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3커버(290)는 제3착좌몸체(23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어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제3커버(290)를 주기적으로 사용자가 분리하여 세척 및 살균 작업하기에 쉽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3커버(290)는 제3커버몸체부(291), 제3유동방지부(292) 및 제3탈착부(293)를 포함한다.
우선, 제3커버몸체부(291)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접철부분(230G)에 의해 구획되는 제3착좌몸체(230)의 각 몸체 영역 상부를 덮는 몸체 구성으로 상부는 직접적으로 제3착좌몸체(230)의 상측에 노출되어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게 되고, 하부는 아래 설명될 제3유동방지부(292) 및 제3탈착부(293)가 연장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3유동방지부(292)는 각각의 제3커버몸체부(291)의 하부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 구조로서, 재질적으로는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재질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3커버몸체부(291)의 아래로 돌출된 제3유동방지부(292)는 제3착좌몸체(230)와 제3커버(290)의 결합에 따라 제3삽입 구멍(230H)에 대응되어 삽입 고정될 시, 제3착좌몸체(230)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돌출됨으로써 제3착좌몸체(230)가 제3접철부분(230G)에 의해 펼친 상태에서 좌변대 설치대상(좌변기의 좌대)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소정의 탄성변형력, 접착력 및 마찰력의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3유동방지부(292)는 소재적 특성에 의해 안정적으로 좌변대 설치대상(좌변대의 좌대)에 안착된 후, 소정의 탄성력을 기반으로 한 쿠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접착력 및 마찰력을 기반으로 한 유동방지 역할도 수행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제3탈착부(293)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3커버몸체부(291)의 하부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의 돌출 구조로서, 제3커버(290)를 제3착좌몸체(230)의 상부에 고정 또는 해제하기 위해 앞 서 설명한 제3커버결합부(236)과 암/수 결합 구조를 구축한다.
여기서, 제3탈착부(293)와 제3커버결합부(236)의 탈착 결합 형태는 벨크로(Velcro) 결합을 위한 고리면과 걸림면의 형태, 반복 점착이 가능한 스티커 형태, 볼록구조와 이에 대응되어 끼워지는 오목구조의 형태, 서로 반대되는 자성을 띠는 형태 혹은 걸림구조(걸림턱, 걸림돌기 등)와 이에 대응되어 걸림 공간을 제공하는 홈(또는 홀)구조 등 특정 탈착 결합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다.
그리고 앞 서 설명한, 제3커버몸체부(291)는 도13의 확대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접철부분(230G) 측 단부가 제3접철부분(230G) 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줄어들며 굴곡진 형태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3착좌몸체(230)의 각 몸체 영역이 제3접철부분(230G)을 기준으로 펼쳐졌을 때 각 몸체 영역 별 제3커버몸체부(291)의 제3접철부분(230G) 측 단부가 굴곡진 형태를 갖추지 않아 여유 공간을 형성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휴대용 좌변대(200)의 설치 후 착좌 상태를 유지하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조그마한 움직임을 가지더라도 제3착좌몸체(230) 및 제3커버(290)에 접촉한 사용자의 피부가 제3접철부분(230G) 혹은 각 몸체 영역 별 제3커버몸체부(291)의 제3접철부분(230G) 측 단부 사이 공간에 끼이거나 긁혀 상처를 내고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200) 내 항균성 보관용기(미도시)의 재질적 특징(항균성 기능 부가와 관련된 특징)은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100) 내 항균성 보관용기(미도시)의 재질적 특징(항균성 기능 부가와 관련된 특징)에 대한 상기 기재와 동일하게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항균성 보관용기(미도시)는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진 제1착좌몸체(210)(경우에 따라 제1커버(270) 결합된 상태), 접혀진 제2착좌몸체(220)(경우에 따라 제2커버(280) 결합된 상태), 접혀진 제3착좌몸체(230)(경우에 따라 제3커버(290) 결합된 상태), 제1연결체(240), 제2연결체(250) 및 제3연결체(260)의 항균 보관을 위해 소정의 보관공간을 가지고 개폐 가능한 형태로 마련된 구성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200)는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100)와 구성적으로 제3착좌몸체(230) 및 제3착좌몸체(230)의 나머지 몸체(210, 220)간의 상호 연결을 위한 제2연결체(250) 및 제3연결체(260)의 구성에 차이를 보인다.
이는 좀 더 가볍고 휴대성을 중시하는 성인과 같은 사용자에게는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100)를 제공하고, 좀 더 안정적이고 편안한 설치환경 및 착좌환경의 제공을 중시하는 유아 및 어린이와 같은 사용자에게는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200)를 제공해주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 휴대용 좌변대
110. 210 : 제1착좌몸체
110G, 210G : 제1접철부분 110H, 210H : 제1삽입구멍
111, 211 : 제1결합부
111C, 211C : 제1결합부분
212 : 제2결합부
212C : 제2결합부분
113, 213 : 제1고정부 114, 214 : 제1보강리브부
115, 215 : 제1유동방지부재 116, 216 : 제1커버결합부
120, 220 : 제2착좌몸체
120G, 220G : 제2접철부분 120H, 220H : 제2삽입구멍
121, 221 : 제3결합부
121C, 221C : 제3결합부분
222 : 제4결합부
222C : 제4결합부분
123, 223 : 제2고정부 124, 224 : 제2보강리브부
126, 226 : 제2커버결합부
230 : 제3착좌몸체
230G : 제3접철부분 230H : 제3삽입구멍
231 : 제5결합부
231C : 제5결합부분
232 : 제6결합부
232C : 제6결합부분
233 : 제3고정부 234 : 제3보강리브부
236 : 제3커버결합부
140, 240 : 제1연결체
140S, 240S : 제1흡착판
141, 241 : 제1주름부 141H, 241H : 제1주름홈
142, 242 : 제1연결부 142C, 242C : 제1연결부분
143, 243 : 제2연결부 143C, 243C : 제2연결부분
250 : 제2연결체
250S : 제2흡착판
251 : 제2주름부 251H : 제2주름홈
252 : 제3연결부 252C : 제3연결부분
253 : 제4연결부 253C : 제4연결부분
260 : 제3연결체
261 : 파지부 261H : 파지구멍
262 : 제5연결부 262C : 제5연결부분
263 : 제6연결부 263C : 제6연결부분
170, 270 : 제1커버
171, 271 : 제1커버몸체부 172, 272 : 제1유동방지부
173, 273 : 제1탈착부
180, 280 : 제2커버
181, 281 : 제2커버몸체부 182, 282 : 제2유동방지부
183, 283 : 제2탈착부
290 : 제3커버
291 : 제3커버몸체부 292 : 제3유동방지부
293 : 제3탈착부

Claims (17)

  1. 상부에는 착좌영역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설치영역이 마련된 판형(板形)으로, 몸체를 접거나 펼치기 위한 제1접철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1착좌몸체;
    상부에는 착좌영역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설치영역이 마련된 판형(板形)으로, 몸체를 접거나 펼치기 위한 제2접철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2착좌몸체; 및
    상기 제1착좌몸체의 일단과 상기 제2착좌몸체의 일단을 연결 또는 분리하며, 상기 제1착좌몸체 및 제2착좌몸체에 비해 연성재질로 마련되며, 진공압에 의해 좌변대 설치대상에 흡착 결합 가능한 제1흡착판을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제1연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체는,
    상부에서 하측으로 함입되거나, 하부에서 상측으로 함입된 제1주름홈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1주름부;
    상기 제1주름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착좌몸체의 일단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1연결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제1주름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착좌몸체의 일단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2연결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강화된 휴대용 좌변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착좌몸체는,
    일단에 상기 제1연결부분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1결합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착좌몸체는,
    일단에 상기 제2연결부분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3결합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3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강화된 휴대용 좌변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좌변대는,
    상기 제1착좌몸체가 상기 제1접철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몸체 영역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어 각 몸체 영역의 상부에 덮여지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1커버; 및
    상기 제2착좌몸체가 상기 제2접철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몸체 영역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어 각 몸체 영역의 상부에 덮여지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2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강화된 휴대용 좌변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는,
    상기 제1접철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제1착좌몸체의 각 몸체 영역 상부를 덮는 제1커버몸체부; 및
    상기 제1커버몸체부의 하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탄성재질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유동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착좌몸체는 상기 제1커버몸체부가 상기 제1착좌몸체의 상부에 덮여짐에 따라, 상기 제1유동방지부가 삽입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삽입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제1유동방지부는 상기 제1삽입 구멍에 대응되어 삽입 고정될 시, 상기 제1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돌출됨으로써 상기 제1착좌몸체가 상기 제1접철부분에 의해 펼친 상태에서 좌변대 설치대상에 접촉하며,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제2접철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제2착좌몸체의 각 몸체 영역 상부를 덮는 제2커버몸체부; 및
    상기 제2커버몸체부의 하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탄성재질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유동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착좌몸체는 상기 제2커버몸체부가 상기 제2착좌몸체의 상부에 덮여짐에 따라, 상기 제2유동방지부가 삽입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삽입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제2유동방지부는 상기 제2삽입 구멍에 대응되어 삽입 고정될 시, 상기 제2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돌출됨으로써 상기 제2착좌몸체가 상기 제2접철부분에 의해 펼친 상태에서 좌변대 설치대상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강화된 휴대용 좌변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몸체부는 상기 제1접철부분 측 단부가 상기 제1접철부분 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줄어들며 굴곡진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제2커버몸체부는 상기 제2접철부분 측 단부가 상기 제2접철부분 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줄어들며 굴곡진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강화된 휴대용 좌변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착좌몸체는,
    상기 제1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강도 보강살을 이루는 제1보강리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착좌몸체는,
    상기 제2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강도 보강살을 이루는 제2보강리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강화된 휴대용 좌변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착좌몸체는,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탄성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제1보강리브부의 보강살 일부에 끼움 결합되는 제1유동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착좌몸체는,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탄성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제2보강리브부의 보강살 일부에 끼움 결합되는 제2유동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강화된 휴대용 좌변대.
  9. 상부에는 착좌영역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설치영역이 마련된 판형(板形)으로, 몸체를 접거나 펼치기 위한 제1접철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1착좌몸체;
    상부에는 착좌영역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설치영역이 마련된 판형(板形)으로, 몸체를 접거나 펼치기 위한 제2접철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2착좌몸체;
    상부에는 착좌영역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설치영역이 마련된 판형(板形)으로, 몸체를 접거나 펼치기 위한 제3접철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3착좌몸체;
    상기 제1착좌몸체의 일단과 상기 제2착좌몸체의 일단을 연결 또는 분리하며, 상기 제1착좌몸체 내지 제3착좌몸체에 비해 연성재질로 마련되며, 진공압에 의해 좌변대 설치대상에 흡착 결합 가능한 제1흡착판을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제1연결체;
    상기 제1착좌몸체의 타단과 상기 제3착좌몸체의 일단을 연결 또는 분리하며, 상기 제1착좌몸체 내지 제3착좌몸체에 비해 연성재질로 마련되며, 진공압에 의해 좌변대 설치대상에 흡착 결합 가능한 제2흡착판을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제2연결체; 및
    상기 제2착좌몸체의 타단과 상기 제3착좌몸체의 타단을 연결 또는 분리하며, 상기 제1착좌몸체 내지 제3착좌몸체에 비해 연성재질로 마련되는 제3연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강화된 휴대용 좌변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체는,
    상부에서 하측으로 함입되거나, 하부에서 상측으로 함입된 제1주름홈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1주름부;
    상기 제1주름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착좌몸체의 일단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1연결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제1주름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착좌몸체의 일단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2연결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연결체는,
    상부에서 하측으로 함입되거나, 하부에서 상측으로 함입된 제2주름홈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2주름부;
    상기 제2주름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착좌몸체의 타단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3연결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3연결부; 및
    상기 제2주름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3착좌몸체의 일단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4연결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4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강화된 휴대용 좌변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연결체는,
    상하로 개방된 파지구멍이 구비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착좌몸체의 타단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5연결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5연결부; 및
    상기 파지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3착좌몸체의 타단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6연결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6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강화된 휴대용 좌변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착좌몸체는,
    일단에 상기 제1연결부분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1결합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1결합부; 및
    타단에 상기 제3연결부분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2결합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착좌몸체는,
    일단에 상기 제2연결부분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3결합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3결합부; 및
    타단에 상기 제5연결부분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4결합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4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착좌몸체는,
    일단에 상기 제4연결부분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5결합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5결합부; 및
    타단에 상기 제6연결부분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6결합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6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강화된 휴대용 좌변대.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좌변대는,
    상기 제1착좌몸체가 상기 제1접철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몸체 영역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어 각 몸체 영역의 상부에 덮여지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1커버;
    상기 제2착좌몸체가 상기 제2접철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몸체 영역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어 각 몸체 영역의 상부에 덮여지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2커버; 및
    상기 제3착좌몸체가 상기 제3접철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몸체 영역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어 각 몸체 영역의 상부에 덮여지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3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강화된 휴대용 좌변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는,
    상기 제1접철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제1착좌몸체의 각 몸체 영역 상부를 덮는 제1커버몸체부; 및
    상기 제1커버몸체부의 하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탄성재질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유동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착좌몸체는 상기 제1커버몸체부가 상기 제1착좌몸체의 상부에 덮여짐에 따라, 상기 제1유동방지부가 삽입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삽입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제1유동방지부는 상기 제1삽입 구멍에 대응되어 삽입 고정될 시, 상기 제1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돌출됨으로써 상기 제1착좌몸체가 상기 제1접철부분에 의해 펼친 상태에서 좌변대 설치대상에 접촉하며,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제2접철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제2착좌몸체의 각 몸체 영역 상부를 덮는 제2커버몸체부; 및
    상기 제2커버몸체부의 하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탄성재질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유동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착좌몸체는 상기 제2커버몸체부가 상기 제2착좌몸체의 상부에 덮여짐에 따라, 상기 제2유동방지부가 삽입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삽입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제2유동방지부는 상기 제2삽입 구멍에 대응되어 삽입 고정될 시, 상기 제2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돌출됨으로써 상기 제2착좌몸체가 상기 제2접철부분에 의해 펼친 상태에서 좌변대 설치대상에 접촉하며,
    상기 제3커버는,
    상기 제3접철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제3착좌몸체의 각 몸체 영역 상부를 덮는 제3커버몸체부; 및
    상기 제3커버몸체부의 하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탄성재질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유동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착좌몸체는 상기 제3커버몸체부가 상기 제3착좌몸체의 상부에 덮여짐에 따라, 상기 제3유동방지부가 삽입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삽입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제3유동방지부는 상기 제3삽입 구멍에 대응되어 삽입 고정될 시, 상기 제3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돌출됨으로써 상기 제3착좌몸체가 상기 제3접철부분에 의해 펼친 상태에서 좌변대 설치대상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강화된 휴대용 좌변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몸체부는 상기 제1접철부분 측 단부가 상기 제1접철부분 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줄어들며 굴곡진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제2커버몸체부는 상기 제2접철부분 측 단부가 상기 제2접철부분 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줄어들며 굴곡진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제3커버몸체부는 상기 제3접철부분 측 단부가 상기 제2접철부분 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줄어들며 굴곡진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강화된 휴대용 좌변대.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착좌몸체는,
    상기 제1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강도 보강살을 이루는 제1보강리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착좌몸체는,
    상기 제2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강도 보강살을 이루는 제2보강리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착좌몸체는,
    상기 제3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강도 보강살을 이루는 제3보강리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강화된 휴대용 좌변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착좌몸체는,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탄성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제1보강리브부의 보강살 일부에 끼움 결합되는 제1유동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착좌몸체는,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탄성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제2보강리브부의 보강살 일부에 끼움 결합되는 제2유동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착좌몸체는,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탄성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제3보강리브부의 보강살 일부에 끼움 결합되는 제3유동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강화된 휴대용 좌변대.
KR1020190088170A 2019-07-22 2019-07-22 안정성이 강화된 휴대용 좌변대 KR102022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170A KR102022834B1 (ko) 2019-07-22 2019-07-22 안정성이 강화된 휴대용 좌변대
PCT/KR2020/004549 WO2021015394A1 (ko) 2019-07-22 2020-04-03 안정성이 강화된 휴대용 좌변대
CN202010401090.0A CN112274050B (zh) 2019-07-22 2020-05-13 强化稳定性的便携式马桶座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170A KR102022834B1 (ko) 2019-07-22 2019-07-22 안정성이 강화된 휴대용 좌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834B1 true KR102022834B1 (ko) 2019-09-18

Family

ID=68071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170A KR102022834B1 (ko) 2019-07-22 2019-07-22 안정성이 강화된 휴대용 좌변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22834B1 (ko)
CN (1) CN112274050B (ko)
WO (1) WO20210153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5394A1 (ko) * 2019-07-22 2021-01-28 정준영 안정성이 강화된 휴대용 좌변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81427B1 (en) 2022-06-22 2023-11-15 Levara Aps Transportable toilet seat for mobility inhibited pers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5988A (ja) * 2006-11-24 2008-06-05 Sankoo:Kk 便座シート及び該便座シートを備える携帯便器
JP2009136307A (ja) * 2007-12-03 2009-06-25 Oka Kk 便座蓋カバーとこれに用いる止着吸盤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46687Y (zh) * 1995-04-04 1997-02-05 林燕正 个人携带式马桶垫片
JP4439278B2 (ja) * 2004-02-05 2010-03-24 株式会社ティーレックス 幼児用便座収納具、及び、幼児用便座セット
JP4767060B2 (ja) * 2006-03-28 2011-09-07 株式会社サンコー 幼児用便座および幼児用便器
DE202007001206U1 (de) * 2007-01-26 2007-05-16 Gröters, Angelika Tragbares Toilettengestell
JP4618379B2 (ja) * 2009-01-13 2011-01-26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方法、再生装置、再生方法、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撮像記録装置及び撮像記録方法
KR101377618B1 (ko) * 2012-10-26 2014-03-25 주식회사이에이치 초박형으로 접철가능한 휴대용 변기커버
US20140208494A1 (en) * 2013-01-30 2014-07-31 Ginichi Ohira Portable Toilet Seat for Children
WO2015195987A1 (en) * 2014-06-18 2015-12-23 Grant Linda F Portable toilet seat adapter with an integrated carrying case
WO2018084418A1 (ko) * 2016-11-02 2018-05-11 임준호 화장실 겸용 접이식 의자
JP6953656B2 (ja) * 2017-07-14 2021-10-27 株式会社アスタリスク 折りたたみ携帯便座
KR102022834B1 (ko) * 2019-07-22 2019-09-18 정준영 안정성이 강화된 휴대용 좌변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5988A (ja) * 2006-11-24 2008-06-05 Sankoo:Kk 便座シート及び該便座シートを備える携帯便器
JP2009136307A (ja) * 2007-12-03 2009-06-25 Oka Kk 便座蓋カバーとこれに用いる止着吸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5394A1 (ko) * 2019-07-22 2021-01-28 정준영 안정성이 강화된 휴대용 좌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274050A (zh) 2021-01-29
WO2021015394A1 (ko) 2021-01-28
CN112274050B (zh) 202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0887B1 (ko) 자세 변경에 따라 변형 가능한 허리 받침용 의자
KR102022834B1 (ko) 안정성이 강화된 휴대용 좌변대
KR101517350B1 (ko) 착석시 바른자세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
CA2643964A1 (en) Ergonomic side chair
US8341796B1 (en) Personal hygiene device with extending handle and disposable wipe
US11241126B2 (en) Portable potty seat
US6851131B1 (en) Portable toilet bowl cover
USD503063S1 (en) Child's floor cushion
KR102027067B1 (ko) 휴대용 좌변대
JP7299716B2 (ja) 浴室用椅子
USD931650S1 (en) Seat cushion
KR200487119Y1 (ko) 양변기용 발받침대
USD513902S1 (en) Chair
KR101851100B1 (ko) 휴대형 소변기
GB2215203A (en) Drip tray for hair treatment
GB2483874A (en) Folding transfer board
CN210541273U (zh) 一种洁垫马桶盖
US20080244814A1 (en) Disposable Toilet Seat Cover
KR200399753Y1 (ko) 휴대용 좌변기
CN113017465A (zh) 坐便器用辅助盖
USD502607S1 (en) Electric massaging chair
JP3007186U (ja) 携帯式水洗便器
JPH0722129Y2 (ja) 正座補助器
JP3659849B2 (ja) フットレスト
KR200460471Y1 (ko) 의자용 좌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