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067B1 - 휴대용 좌변대 - Google Patents

휴대용 좌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067B1
KR102027067B1 KR1020180112807A KR20180112807A KR102027067B1 KR 102027067 B1 KR102027067 B1 KR 102027067B1 KR 1020180112807 A KR1020180112807 A KR 1020180112807A KR 20180112807 A KR20180112807 A KR 20180112807A KR 102027067 B1 KR102027067 B1 KR 102027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body
seating
cover
fold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재선
Original Assignee
변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재선 filed Critical 변재선
Priority to KR1020180112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0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05Auxiliary or porta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6Auxiliary or portable seats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8Adjustably-mounted seat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좌변대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는 착좌영역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설치영역이 마련된 판형(板形)으로, 몸체를 접거나 펼치기 위한 제1접철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1착좌몸체; 상부에는 착좌영역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설치영역이 마련된 판형(板形)으로, 몸체를 접거나 펼치기 위한 제2접철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2착좌몸체; 및 상기 제1착좌몸체의 일단과 상기 제2착좌몸체의 일단을 연결 또는 분리하며, 상기 제1착좌몸체 및 제2착좌몸체에 비해 연성재질로 마련되는 제1연결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좌변대 {PORTABLE TOILET SEAT}
본 발명은 좌변기 좌대 위에 설치 가능한 휴대용 좌변대에 관한 것이다.
공중화장실 좌대에 상존하는 병원균에 관한 연구 조사 보고서를 보면 실제 국내 공중 화장실 좌변기를 대상으로 한 검사에서 대장균을 비롯한 각종 세균 31종이 검출 되었으며, 세균 오염도의 정도가 지하철 손잡이의 44배, 화장실 손잡이 11배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패혈증을 유발할 수 있는 아시네토박터와 포도상구균이 검출된 장소도 있어서, 공중화장실을 이용함에 있어 사용자의 세균 감염과 같은 건강 문제 발생 위험도를 낮출 수 있는 보건상의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공중화장실 이용 시 좌변기의 시트를 살균 처리할 수 있는 크리너(Cleaner)에서부터 좌변기 시트 위에 덮는 비닐 형태의 일회용 변기커버, 더 나아가 휴대 가능한 접이식 좌변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해결책에 제시되고 있다.
이 중에서도 휴대 가능한 접이식 좌변대의 경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유아용으로 휴대가 용이하게 4개의 판재가 힌지 구조를 기반으로 접철되는 구조를 갖춘 휴대 좌변대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25696호의 "유아용 휴대 변기시트"(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가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휴대 가능한 접이식 좌변대의 경우, 접철 구조에 의해 휴대 가능하게 접히거나 설치를 위해 펼칠 수는 있지만, 정해진 고정 규격으로 사출 형성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각종 변기 규격에 모두 대응되어 사용이 불가능하여 설치 가능한 변기가 한정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휴대 가능한 접이식 좌변대의 경우, 사용자가 좌변기 좌대 위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횟수가 증가하고, 화장실 내에서 노출되는 정도가 늘어남에 따라 접이식 좌변대 자체가 비위생적으로 상태로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휴대 가능한 접이식 좌변대의 경우, 사용자가 좌변기 좌대 위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피부 접촉면이 너무 딱딱하거나, 미끄럽거나, 차갑거나 혹은 이물감이 지속적으로 느껴져 착좌상태의 불편함을 호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 나아가,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휴대 가능한 접이식 좌변대의 경우, 전체적인 구조가 좌변기의 좌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마련되거나, 좌대를 충분히 덮을 수 있는 형상 및 크기로 마련되어, 전체 구조 내 피부가 접촉하는 착좌영역 대비 불필요하게 마련된 부분이 많음에 따라 결과적으로 휴대성 저하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첫째, 본 발명의 목적은 실질적으로 공중화장실의 각기 다른 좌변기 규격에 대응되어 좌대 위에 설치됨으로써, 어떤 형태 혹은 크기의 좌변기에도 쉽게 대응 설치 가능한 휴대용 좌변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둘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장실 환경에 반복 노출되고, 직접적으로 좌변기 좌대와 접촉하게 되는 좌변대 자체의 위생문제를 해소 가능한 휴대용 좌변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셋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좌변의 좌대 위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설치환경의 개선과 함께, 피부가 직접 접촉하는 좌변대 상측 착좌 영역에 관해 안정적이고 편안한 착좌상태를 지속할 수 있는 휴대용 좌변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넷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적으로 불필요한 몸체 영역을 최소화하고, 착좌몸체 자체의 접힘 구조 및 착좌몸체-연결체 간의 접철 구조의 구현에 있어 크기를 효율적으로 최소화하여 휴대성을 증대시킨 휴대용 좌변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는, 상부에는 착좌영역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설치영역이 마련된 판형(板形)으로, 몸체를 접거나 펼치기 위한 제1접철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1착좌몸체; 상부에는 착좌영역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설치영역이 마련된 판형(板形)으로, 몸체를 접거나 펼치기 위한 제2접철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2착좌몸체; 및 상기 제1착좌몸체의 일단과 상기 제2착좌몸체의 일단을 연결 또는 분리하며, 상기 제1착좌몸체 및 제2착좌몸체에 비해 연성재질로 마련되는 제1연결체;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는, 상기 제1착좌몸체의 상부에 덮여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커버; 및 상기 제2착좌몸체의 상부에 덮여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커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커버는 상기 제1착좌몸체가 제1접철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몸체 영역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어 각 몸체 영역을 덮으며,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제2착좌몸체가 제2접철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몸체 영역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어 각 몸체 영역을 덮는다.
아울러, 상기 제1커버는, 상기 제1커버를 상기 제1착좌몸체의 상부에 고정 또는 해제하는 제1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제2커버를 상기 제2착좌몸체의 상부에 고정 또는 해제하는 제2탈착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체는, 상하로 개방된 분사구멍이 구비되는 분사부; 상기 분사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착좌몸체의 일단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1연결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1연결부; 및 상기 분사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착좌몸체의 일단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2연결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2연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착좌몸체는, 일단에 상기 제1연결부분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1결합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착좌몸체는, 일단에 상기 제2연결부분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3결합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3결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착좌몸체는, 상기 제1착좌몸체가 상기 제1접철부분에 의해 접힌 상태에서 상호 고정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쌍을 이루어 마련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1고정부; 및 상기 제1착좌몸체가 상기 제1접철부분에 의해 펼친 상태에서 좌변대 설치대상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1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유동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착좌몸체는, 상기 제2착좌몸체가 상기 제2접철부분에 의해 접힌 상태에서 상호 고정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쌍을 이루어 마련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2고정부; 및 상기 제2착좌몸체가 상기 제2접철부분에 의해 펼친 상태에서 좌변대 설치대상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2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유동방지부;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1착좌몸체는, 상기 제1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강도 보강살을 이루는 제1보강리브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착좌몸체는, 상기 제2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강도 보강살을 이루는 제2보강리브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는, 내부에 소정의 보관공간을 가지고 개폐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며, 항균성분을 포함하는 항균성 보관용기;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는, 상부에는 착좌영역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설치영역이 마련된 판형(板形)으로, 몸체를 접거나 펼치기 위한 제1접철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1착좌몸체; 상부에는 착좌영역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설치영역이 마련된 판형(板形)으로, 몸체를 접거나 펼치기 위한 제2접철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2착좌몸체; 상부에는 착좌영역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설치영역이 마련된 판형(板形)으로, 몸체를 접거나 펼치기 위한 제3접철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3착좌몸체; 상기 제1착좌몸체의 일단과 상기 제2착좌몸체의 일단을 연결 또는 분리하며, 상기 제1착좌몸체 내지 제3착좌몸체에 비해 연성재질로 마련되는 제1연결체; 상기 제1착좌몸체의 타단과 상기 제3착좌몸체의 일단을 연결 또는 분리하며, 상기 제1착좌몸체 내지 제3착좌몸체에 비해 연성재질로 마련되는 제2연결체; 및 상기 제2착좌몸체의 타단과 상기 제3착좌몸체의 타단을 연결 또는 분리하며, 상기 제1착좌몸체 내지 제3착좌몸체에 비해 연성재질로 마련되는 제3연결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는, 상기 제1착좌몸체의 상부에 덮여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커버; 상기 제2착좌몸체의 상부에 덮여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커버; 및 상기 제3착좌몸체의 상부에 덮여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커버;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1커버는 상기 제1착좌몸체가 제1접철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몸체 영역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어 각 몸체 영역을 덮으며,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제2착좌몸체가 제2접철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몸체 영역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어 각 몸체 영역을 덮으며, 상기 제3커버는 상기 제3착좌몸체가 제3접철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몸체 영역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어 각 몸체 영역을 덮는다.
그리고 상기 제1커버는, 상기 제1커버를 상기 제1착좌몸체의 상부에 고정 또는 해제하는 제1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제2커버를 상기 제2착좌몸체의 상부에 고정 또는 해제하는 제2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커버는, 상기 제3커버를 상기 제3착좌몸체의 상부에 고정 또는 해제하는 제3탈착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체는, 상하로 개방된 분사구멍이 구비되는 분사부; 상기 분사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착좌몸체의 일단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1연결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1연결부; 및 상기 분사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착좌몸체의 일단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2연결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2연결부;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2연결체는, 상부에서 하측으로 함입되거나, 하부에서 상측으로 함입된 제1주름홈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1주름부; 상기 제1주름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착좌몸체의 타단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3연결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3연결부; 및 상기 제1주름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3착좌몸체의 일단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4연결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4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연결체는, 상부에서 하측으로 함입되거나, 하부에서 상측으로 함입된 제2주름홈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2주름부; 상기 제2주름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착좌몸체의 타단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5연결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5연결부; 및 상기 제2주름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3착좌몸체의 타단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6연결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6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착좌몸체는, 일단에 상기 제1연결부분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1결합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1결합부; 및 타단에 상기 제3연결부분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2결합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착좌몸체는, 일단에 상기 제2연결부분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3결합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3결합부; 및 타단에 상기 제5연결부분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4결합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4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착좌몸체는, 일단에 상기 제4연결부분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5결합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5결합부; 및 타단에 상기 제6연결부분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6결합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6결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착좌몸체는, 상기 제1착좌몸체가 상기 제1접철부분에 의해 접힌 상태에서 상호 고정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쌍을 이루어 마련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1고정부; 및 상기 제1착좌몸체가 상기 제1접철부분에 의해 펼친 상태에서 좌변대 설치대상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1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유동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착좌몸체는, 상기 제2착좌몸체가 상기 제2접철부분에 의해 접힌 상태에서 상호 고정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쌍을 이루어 마련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2고정부; 및 상기 제2착좌몸체가 상기 제2접철부분에 의해 펼친 상태에서 좌변대 설치대상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2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유동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착좌몸체는, 상기 제3착좌몸체가 상기 제3접철부분에 의해 접힌 상태에서 상호 고정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3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쌍을 이루어 마련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3고정부; 및 상기 제3착좌몸체가 상기 제3접철부분에 의해 펼친 상태에서 좌변대 설치대상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3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유동방지부;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1착좌몸체는, 상기 제1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강도 보강살을 이루는 제1보강리브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착좌몸체는, 상기 제2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강도 보강살을 이루는 제2보강리브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착좌몸체는, 상기 제3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강도 보강살을 이루는 제3보강리브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는, 내부에 소정의 보관공간을 가지고 개폐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며, 항균성분을 포함하는 항균성 보관용기;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착좌몸체의 결합부와 연결체의 연결체 간의 연결 구조가 다수의 결합 부분 및 다수의 연결 부분을 기반으로 하여 좌변대 연결 형태의 다중 변위가 가능하고, 연성 재질로 마련되는 연결체의 재질적 특성을 통해 좌변대 전체의 구조적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
둘째, 위에 언급된 첫 번째 효과를 통해 본 발명의 휴대용 좌변대는 어떠한 규격 및 형태의 좌변대 좌대 상에도 대응되어 설치 가능하고, 이는 결과적으로 설치 및 착좌 상태의 안정성 수준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셋째, 착좌몸체, 연결체, 커버 등의 구성은 상호 결합 고정 및 결합 해제 가능한 구조를 갖춤에 따라 개별 분리하여 세척 및 살균 처리함에 용이하다.
넷째, 착좌몸체, 연결체, 커버 등의 각종 휴대용 좌변대의 구성들을 보관하는 보관 용기는 항균성분을 포함하거나 항균성분의 지속적/주기적 제공이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어 휴대용 좌변대의 화장실 환경 노출 후 즉각적인 항균 처리가 가능하다.
다섯째, 위에 언급한 셋째 및 넷째 효과를 통해 본 발명의 휴대용 좌변되는 지속적 사용에도 우수한 위생상태를 유지 가능하다.
여섯째, 착좌몸체의 하면에 구비되는 유동방지부가 소정의 마찰력을 가지고 좌변기 좌대 상에 설치 시 좌대 표면에 접촉하여 휴대용 좌변대의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만들 수 있다.
일곱째, 착좌몸체의 상면에 결합되는 커버가 소정의 탄성을 갖추어 쿠션효과를 제공함은 물론이고, 소정의 발열 혹은 보온 성능의 제공 또한 가능하여 휴대용 좌변대의 착좌상태를 편안하게 만들 수 있다.
여덟째, 착좌몸체의 하면에 접힌 구조 시 상호 마주하여 고정 결합 가능한 한 쌍 이상의 고정부가 마련되어 착좌몸체가 접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속가능함에 따라 장시간 보관 시 혹은 갑작스런 충격 전달 시 착좌몸체의 접힌 상태가 쉽게 해제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아홉째, 착좌몸체의 접힘형태 및 연성 재질의 연결체와 착좌몸체의 접철형태가 크기를 최소화하는 형태로 제공 가능해 휴대용 좌변대의 휴대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열째, 휴대용 좌변대의 설치 시 설치 형태 상 최 선단에 위치하게 되는 제1연결체의 중앙에 분사구멍을 갖춘 분사부가 마련되어 휴대용 좌변대에 착좌상태에서도 소변 처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의 상측 구조 및 설치형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 내 제1착좌몸체, 제1연결체 및 제2착좌몸체 간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개념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의 하측 구조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의 제1착좌몸체가 접힘 결합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개념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의 제1착좌몸체가 펼침 설치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개념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의 접철 및 보관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의 제1접철부분 및 제2접철부분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평명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의 상측 구조 및 설치형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 내 제1착좌몸체, 제1연결체 및 제2착좌몸체 간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개념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 내 제1착좌몸체, 제2연결체 및 제3착좌몸체 간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개념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 내 제2착좌몸체, 제3연결체 및 제3착좌몸체 간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개념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의 하측 구조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의 접철 및 보관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1.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의 구조 및 사용형태에 관한 설명
도1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좌변대(100)는 제1착좌몸체(110); 제2착좌몸체(120); 제1연결체(130); 제1커버(140); 제2커버(150); 및 항균성 보관용기(160);을 포함한다.
제1착좌몸체(11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는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신체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착좌영역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좌변기의 좌대(S)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설치영역이 마련된 판형(板形)을 이룬다.
여기서, 제1착좌몸체(110)는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전체를 접거나 펼치기 위한 제1접철부분(110G)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진다.
이러한, 제1접철부분(110G)은 실시 형태에 따라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착좌몸체(110)의 너비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고,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착좌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으며, 너비와 길이 방향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착좌몸체(110)의 너비방향을 따라 제1접철부분(110G)이 형성된 경우, 제1착좌몸체(110)는 접혀져 너비간격은 같지만 길이가 짧아진 형태로 변형되어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착좌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접철부분(110G)이 형성된 경우, 제1착좌몸체(110)는 접혀져 길이는 같지만 너비가 짧아진 형태로 변형되어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라 제1착좌몸체(110)는 다수의 제1접철부분(110G)을 갖추어 여러 겹으로 접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제1접철부분(110G)의 실시 형태는 사용자가 휴대용 좌변대(100)를 휴대하고자 하는 가방의 형태나 크기에 맞춰 설정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제1접철부분(110G)은 도1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착좌몸체(110) 상부면의 길이방향 혹은 너비방향 일부영역이 하측으로 함입되어 접철 가능 여유 공간을 제공하는 홈 형태를 형성함으로써, 제1착좌몸체(110)를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각 영역이 마주하며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제1접철부분(110G)의 홈 구조는 하나의 실시 형태에 불과하고, 실시에 따라 힌지(Hinge)구조의 경첩이나 서로 상이한 극을 가지는 자성부재가 각 구획된 몸체 영역별로 설치되는 형태로도 구현 가능하여 특정 구조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구체적으로, 제1착좌몸체(110)는 제1결합부(111), 적어도 둘 이상의 제1고정부(112), 제1유동방지부(113) 및 제1보강리브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제1결합부(111)는 제1착좌몸체(110)의 일단에 형성되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후 설명될 제1연결체(130)의 제1연결부(132)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제1연결부분(132C)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1결합부분(111C)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진다.
여기서, 제1결합부(111)의 제1결합부분(111C)은 둘 이상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1착좌몸체(110)와 제1연결체(130)간의 상호 연결구조에 있어 거리 및 각도가 조정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적 가변성을 부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100)가 어떤 크기 혹은 형태의 좌변기의 좌대(S)에도 대응되어 설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제1고정부(112)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착좌몸체(110)가 제1접철부분(110G)에 의해 접힌 상태에서 상호 고정 결합이 가능하도록 제1착좌몸체(110)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쌍을 이루어 마련되는 구성으로, 둘 이상(한 쌍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쌍을 이루는 제1고정부(112)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착좌몸체(110)의 제1접철부분(110G)을 기준으로 하여 상호 대칭되어 제1착좌몸체(110)의 접힘 구조에서 상호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암/수 구조에 의한 상호 고정 결합이 가능한 형태로 마련된다.
따라서 쌍을 이루는 제1고정부(112)는 볼록구조와 이에 대응되어 끼워지는 오목구조의 형태, 서로 반대되는 자성을 띠는 형태 혹은 걸림구조(걸림턱, 걸림돌기 등)와 이에 대응되어 걸림 공간을 제공하는 홈(또는 홀)구조 등 특정 암/수 고정 결합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1유동방지부(113)는 제1착좌몸체(110)가 제1접철부분(110G)에 의해 펼친 상태에서 좌변대 설치대상(좌변대의 좌대, S)에 접촉하도록 제1착좌몸체(110)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돌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유동방지부(113)는 실리콘, 고무 혹은 경화된 액상 우레탄과 같이 좌변대 설치대상(좌변대의 좌대, S)에 접촉하여 소정의 탄성변형력, 접착력 및 마찰력의 제공이 가능한 소재로 마련되며, 실시에 따라 앞 서 설명한 제1고정부(112)의 한 쌍 중 하나로 마련되어 동시에 2가지 기능의 제공이 가능한 형태로 실시 가능하다.
제1유동방지부(113)는 소재적 특성에 의해 안정적으로 좌변대 설치대상(좌변대의 좌대, S)에 안착된 후, 소정의 탄성력을 기반으로 한 쿠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접착력 및 마찰력을 기반으로한 유동방지 역할도 수행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112)의 한 쌍 중 하나에 고무 패킹과 같은 형태의 제1유동방지부(113)가 설치됨에 따라, 제1유동방지부(113) 본연의 역할 수행과 동시에 제1고정부(112)의 한 쌍 중 나머지 제1고정부(112)와의 고정 결합이 가능한 구조를 갖추게 된다.
그리고 제1보강리브부(114)는 제1착좌몸체(110)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강도 보강살을 이루는 구성으로, 보강살의 형성 구조는 특정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나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철부분(110G)을 기준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보강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보강살이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보강리브부(114)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철부분(110G)을 기준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보강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보강살의 교차점이 제1고정부(112)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이 제1착좌몸체(110)의 전체적 강도 보강에 효과적이다.
제2착좌몸체(12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는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신체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착좌영역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좌변기의 좌대(S)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설치영역이 마련된 판형(板形)을 이룬다.
여기서, 제2착좌몸체(120)는 앞 서 설명한 제1착좌몸체(110)와 동일한 구성 및 구조를 갖춤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제2착좌몸체(12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전체를 접거나 펼치기 위한 제2접철부분(120G)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진다.
이러한, 제2접철부분(120G)은 실시 형태에 따라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착좌몸체(120)의 너비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고,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착좌몸체(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으며, 너비와 길이 방향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착좌몸체(120)의 너비방향을 따라 제2접철부분(120G)이 형성된 경우, 제2착좌몸체(120)는 접혀져 너비간격은 같지만 길이가 짧아진 형태로 변형되어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착좌몸체(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접철부분(120G)이 형성된 경우, 제2착좌몸체(120)는 접혀져 길이는 같지만 너비가 짧아진 형태로 변형되어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라 제2착좌몸체(120)는 다수의 제2접철부분(120G)을 갖추어 여러 겹으로 접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제2접철부분(120G)의 실시 형태는 사용자가 휴대용 좌변대(100)를 휴대하고자 하는 가방의 형태나 크기에 맞춰 설정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제2접철부분(120G)은 도1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착좌몸체(120) 상부면의 길이방향 혹은 너비방향 일부영역이 하측으로 함입되어 접철 가능 여유 공간을 제공하는 홈 형태를 형성함으로써, 제2착좌몸체(120)를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각 영역이 마주하며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제2접철부분(120G)의 홈 구조는 하나의 실시 형태에 불과하고, 실시에 따라 힌지(Hinge)구조의 경첩이나 서로 상이한 극을 가지는 자성부재가 각 구획된 몸체 영역별로 설치되는 형태로도 구현 가능하여 특정 구조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구체적으로, 제2착좌몸체(120)는 제3결합부(121), 적어도 둘 이상의 제2고정부(122), 제2유동방지부(123) 및 제2보강리브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제3결합부(121)는 제2착좌몸체(120)의 일단에 형성되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후 설명될 제1연결체(130)의 제2연결부(133)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제2연결부분(133C)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3결합부분(121C)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진다.
여기서, 제3결합부(121)의 제3결합부분(121C)은 둘 이상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2착좌몸체(120)와 제1연결체(130)간의 상호 연결구조에 있어 거리 및 각도가 조정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적 가변성을 부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100)가 어떤 크기 혹은 형태의 좌변기의 좌대(S)에도 대응되어 설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제2고정부(122)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착좌몸체(120)가 제2접철부분(120G)에 의해 접힌 상태에서 상호 고정 결합이 가능하도록 제2착좌몸체(120)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쌍을 이루어 마련되는 구성으로, 둘 이상(한 쌍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쌍을 이루는 제2고정부(122)는 제2착좌몸체(120)의 제2접철부분(120G)을 기준으로 하여 상호 대칭되어 제2착좌몸체(120)의 접힘 구조에서 상호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암/수 구조에 의한 상호 고정 결합이 가능한 형태로 마련된다.
따라서 쌍을 이루는 제2고정부(122)는 볼록구조와 이에 대응되어 끼워지는 오목구조의 형태, 서로 반대되는 자성을 띠는 형태 혹은 걸림구조(걸림턱, 걸림돌기 등)와 이에 대응되어 걸림 공간을 제공하는 홈(또는 홀)구조 등 특정 암/수 고정 결합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2유동방지부(123)는 제2착좌몸체(120)가 제2접철부분(120G)에 의해 펼친 상태에서 좌변대 설치대상(좌변대의 좌대, S)에 접촉하도록 제2착좌몸체(120)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돌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유동방지부(123)는 실리콘, 고무 혹은 경화된 액상 우레탄과 같이 좌변대 설치대상(좌변대의 좌대, S)에 접촉하여 소정의 탄성변형력, 접착력 및 마찰력의 제공이 가능한 소재로 마련되며, 실시에 따라 앞 서 설명한 제2고정부(122)의 한 쌍 중 하나로 마련되어 동시에 2가지 기능의 제공이 가능한 형태로 실시 가능하다.
제2유동방지부(123)는 소재적 특성에 의해 안정적으로 좌변대 설치대상(좌변대의 좌대, S)에 안착된 후, 소정의 탄성력을 기반으로 한 쿠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접착력 및 마찰력을 기반으로한 유동방지 역할도 수행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2고정부(122)의 한 쌍 중 하나에 고무 패킹과 같은 형태의 제2유동방지부(123)가 설치됨에 따라, 제2유동방지부(123) 본연의 역할 수행과 동시에 제2고정부(122)의 한 쌍 중 나머지 제2고정부(122)와의 고정 결합이 가능한 구조를 갖추게 된다.
그리고 제2보강리브부(124)는 제2착좌몸체(120)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강도 보강살을 이루는 구성으로, 보강살의 형성 구조는 특정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나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접철부분(120G)을 기준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보강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보강살이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보강리브부(124)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접철부분(120G)을 기준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보강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보강살의 교차점이 제2고정부(122)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이 제2착좌몸체(210)의 전체적 강도 보강에 효과적이다.
제1연결체(130)는 제1착좌몸체(110)의 일단(제1결합부(111))과 제2착좌몸체(120)의 일단(제3결합부(121))을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몸체로서, 제1착좌몸체(110) 및 제2착좌몸체(120)에 비해 연성재질로 마련된다.
여기서, 제1연결체(130)는 실리콘, 고무 혹은 경화된 액상 우레탄과 같이 소정의 탄성 변형력의 제공이 가능한 소재로 마련됨이 바람직하고, 이는 탄성 변형력을 기반으로 한 제1연결체(130)의 구조변형을 통해 제1착좌몸체(110) 및 제2착좌몸체(120)의 연결형태에 있어 구조적 가변성을 부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100)가 어떤 크기 혹은 형태의 좌변기의 좌대(S)에도 대응되어 설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더 나아가, 이와 같은 제1연결체(130)의 재질적 특성은 휴대용 좌변대(100)가 아래 설명될 보관용기(160)에 보관되기 위해 접철을 수행함에 있어, 작업의 용이성을 높이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압축시킨 형태의 접철이 수행될 수 있게 하여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100) 자체의 휴대성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제1연결체(130)의 재질적 특성은 소정의 접착력 및 마찰력을 갖추고 있어 휴대용 좌변대(100)가 좌변기의 좌대(S)에 설치 된 후 설치 위치의 유동방지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체(130)는 분사부(131), 제1연결부(132) 및 제2연결부(133)를 포함한다.
먼저, 분사부(131)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개방된 분사구멍(131H)이 구비되는 연결체(130)의 중앙부분으로서, 휴대용 좌변대(100)가 좌변대 설치대상(좌변대의 좌대, S)에 설치되어 남성 사용자가 좌변기를 이용하는 상태에서 소변 배출함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구체적으로, 제1연결체(13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착좌몸체(110) 및 제2착좌몸체(120)을 연결하는 위치가 휴대용 좌변대(100)의 설치 시 선단에 해당하여, 분사구멍(131H)이 연결체(130)의 중앙부분에 구비되지 않을 시, 남성 사용자의 소변 배출이 전부 또는 일부 막혀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분사구멍(131H)을 통해 소정의 개방공간을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1연결부(132)는 분사부(13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제1착좌몸체(110)의 일단(제1결합부(111))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1연결부분(132C)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진다.
여기서, 제1연결부(132)의 제1연결부분(132C)은 둘 이상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1착좌몸체(110)와 제1연결체(130)간의 상호 연결구조에 있어 거리 및 각도가 조정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적 가변성을 부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100)가 어떤 크기 혹은 형태의 좌변기의 좌대에도 대응되어 설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2연결부(133)는 분사부(131)의 타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제2착좌몸체(120)의 일단(제3결합부(121))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2연결부분(133C)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진다.
여기서, 제2연결부(133)의 제2연결부분(133C)은 둘 이상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2착좌몸체(120)와 제1연결체(130)간의 상호 연결구조에 있어 거리 및 각도가 조정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적 가변성을 부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100)가 어떤 크기 혹은 형태의 좌변기의 좌대에도 대응되어 설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제1연결부분(132C)과 제1결합부분(111C) 및 제2연결부분(133C)과 제3결합부분(121C)의 상호 연결 형태는 볼록구조와 이에 대응되어 끼워지는 오목구조의 형태, 서로 반대되는 자성을 띠는 형태 혹은 걸림구조(걸림턱, 걸림돌기 등)와 이에 대응되어 걸림 공간을 제공하는 홈(또는 홀)구조 등 특정 암/수 연결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다.
제1커버(140)는 제1착좌몸체(110)의 상부에 덮여지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된다.
제1커버(140)의 형태는 쿠션 커버부재, 모직 커버부재, 가죽 커버부재 등 특정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소정의 탄성력 및 온열의 제공이 가능한 소재 및 형태로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다.
이러한, 제1커버(140)는 제1착좌몸체(110)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덮여질 수도 있고, 실시에 따라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1커버(140)는 제1착좌몸체(11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어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제1커버(140)를 주기적으로 사용자가 분리하여 세척 및 살균 작업하기에 쉽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커버(140)는 제1커버(140)를 제1착좌몸체(110)의 상부에 고정 또는 해제하는 제1탈착부(141)를 포함한다. 이에 대응하여 제1착좌몸체(11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140)의 제1탈착부(141)와의 탈착 결합을 위해 상부면 상에 제1커버결합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탈착부(141)와 제1커버결합부(115)의 탈착 결합 형태는 벨크로(Velcro) 결합을 위한 고리면과 걸림면의 형태, 반복 점착이 가능한 스티커 형태, 볼록구조와 이에 대응되어 끼워지는 오목구조의 형태, 서로 반대되는 자성을 띠는 형태 혹은 걸림구조(걸림턱, 걸림돌기 등)와 이에 대응되어 걸림 공간을 제공하는 홈(또는 홀)구조 등 특정 탈착 결합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다.
아울러, 제1커버(140)는 제1착좌몸체(110)가 제1접철부분(110G)에 의해 구획되는 몸체 영역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어 각 몸체 영역을 덮는다.
예를 들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착좌몸체(110)가 제1접철부분(110G)에 의해 2개의 영역으로 구획된 경우, 제1커버(140)는 2개로 마련되어 각 영역을 덮는 형식을 띨 수 있다. 이는 제1접철부분(110G)에 의해 제1착좌몸체(110)가 접혀 졌을 때, 제1커버(140)의 크기가 접혀진 제1착좌몸체(110)의 전체 상측면의 크기와 대응되지 않아 벗겨지거나 늘어나서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고 불필요한 부피를 줄여 휴대성 증대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제2커버(150)는 제2착좌몸체(120)의 상부에 덮여지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된다.
제2커버(150)의 형태는 쿠션 커버부재, 모직 커버부재, 가죽 커버부재 등 특정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소정의 탄성력 및 온열의 제공이 가능한 소재 및 형태로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다.
이러한, 제2커버(150)는 제2착좌몸체(120)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덮여질 수도 있고, 실시에 따라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2커버(150)는 제2착좌몸체(12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어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제2커버(150)를 주기적으로 사용자가 분리하여 세척 및 살균 작업하기에 쉽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커버(150)는 제2커버(150)를 제2착좌몸체(120)의 상부에 고정 또는 해제하는 제2탈착부(151)를 포함한다. 이에 대응하여 제2착좌몸체(12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커버(150)의 제2탈착부(151)와의 탈착 결합을 위해 상부면 상에 제2커버결합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탈착부(151)와 제2커버결합부(125)의 탈착 결합 형태는 벨크로(Velcro) 결합을 위한 고리면과 걸림면의 형태, 반복 점착이 가능한 스티커 형태, 볼록구조와 이에 대응되어 끼워지는 오목구조의 형태, 서로 반대되는 자성을 띠는 형태 혹은 걸림구조(걸림턱, 걸림돌기 등)와 이에 대응되어 걸림 공간을 제공하는 홈(또는 홀)구조 등 특정 탈착 결합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다.
아울러, 제2커버(150)는 제2착좌몸체(120)가 제2접철부분(120G)에 의해 구획되는 몸체 영역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어 각 몸체 영역을 덮는다.
예를 들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착좌몸체(120)가 제2접철부분(120G)에 의해 2개의 영역으로 구획된 경우, 제2커버(150)는 2개로 마련되어 각 영역을 덮는 형식을 띨 수 있다. 이는 제2접철부분(120G)에 의해 제2착좌몸체(120)가 접혀 졌을 때, 제2커버(150)의 크기가 접혀진 제2착좌몸체(120)의 전체 상측면의 크기와 대응되지 않아 벗겨지거나 늘어나서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고 불필요한 부피를 줄여 휴대성 증대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휴대용 좌변대(10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진 제1착좌몸체(110)(경우에 따라 제1커버(140) 결합된 상태), 접혀진 제2착좌몸체(120)(경우에 따라 제2커버(150) 결합된 상태) 및 제1연결체(130)의 항균 보관을 위해 항균성 보관용기(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항균성 보관용기(160)는 내부에 소정의 보관공간(160T)을 가지고 개폐 가능한 형태로 마련된다.
아울러, 항균성 보관용기(160)는 항균성분을 포함하여, 보관공간(160T)에 수납된 제1착좌몸체(110), 제2착좌몸체(120), 제1연결체(130), 제1커버(140) 및 제2커버(1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항균 처리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항균성 보관용기(160)는 용기 사출 성형 전에 용기 제조의 기반이 되는 수지 조성물 내에 항균동 혹은 은이온과 같은 항균제를 첨가하거나, 용기 내부 표면상에 아르곤 혹은 질소 등의 이온 빔을 조사하여 이온층을 형성하거나, 용기 내부 표면상에 항균 효소 혹은 프로폴리스 등과 같은 항균성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분자 코팅액을 분사하여 항균 코팅층을 형성하거나, 편백나무입자와 같은 항균 입자가 포함된 별도의 항균 시트 층을 용기 내부에 설치 등 특정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항균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항균성 보관용기(160) 내부에 보관된 제1착좌몸체(110), 제2착좌몸체(120), 제1연결체(130), 제1커버(140) 및 제2커버(1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은 반복적인 휴대용 좌변대(100)의 사용에 따라 화장실 환경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세균, 곰팡이 및 바이러스 증식에 의한 비위생적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지속적으로 위생적인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다.
2.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의 구조 및 사용형태에 관한 설명
도8 내지 도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200)를 설명하면, 휴대용 좌변대(200)는 제1실시예와 같이 제1착좌몸체(210); 제2착좌몸체(220); 제1연결체(240); 제1커버(270); 제2커버(280); 및 항균성 보관용기(295);을 포함하고, 제1실시예와 달리 제3착좌몸체(230); 제2연결체(250); 제3연결체(260); 및 제3커버(290);가 추가적으로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서는 앞서 언급한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200)의 제1착좌몸체(210) 내 제1접철부부(210G), 제1결합부(211), 제1고정부(213), 제1유동방지부(214), 제1보강리브부(215) 및 제1커버결합부(216)의 구성적 특징은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100)의 제1착좌몸체(110) 내 제1접철부부(110G), 제1결합부(111), 제1고정부(112), 제1유동방지부(113), 제1보강리브부(114) 및 제1커버결합부(115)의 구성적 특징에 대한 상기 기재와 동일하게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200)의 제1착좌몸체(210)는 제2결합부(212)를 더 포함한다.
제2결합부(212)는 제1착좌몸체(210)의 타단에 형성되며, 도8, 도10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후 설명될 제2연결체(250)의 제3연결부(252)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제3연결부분(252C)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2결합부분(212C)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진다.
여기서, 제2결합부(212)의 제2결합부분(212C)은 둘 이상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1착좌몸체(210)와 제2연결체(250)간의 상호 연결구조에 있어 거리 및 각도가 조정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적 가변성을 부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200)가 어떤 크기 혹은 형태의 좌변기의 좌대(S)에도 대응되어 설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200)의 제2착좌몸체(220) 내 제2접철부부(220G), 제3결합부(221), 제2고정부(223), 제2유동방지부(224), 제2보강리브부(225) 및 제2커버결합부(226)의 구성적 특징은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100)의 제2착좌몸체(120) 내 제2접철부부(120G), 제3결합부(121), 제2고정부(122), 제2유동방지부(123), 제2보강리브부(124) 및 제2커버결합부(125)의 구성적 특징에 대한 상기 기재와 동일하게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200)의 제2착좌몸체(220)는 제4결합부(222)를 더 포함한다.
제4결합부(222)는 제2착좌몸체(220)의 타단에 형성되며, 도8, 도11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후 설명될 제3연결체(260)의 제5연결부(262)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제5연결부분(262C)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4결합부분(222C)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진다.
여기서, 제4결합부(222)의 제4결합부분(222C)은 둘 이상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2착좌몸체(220)와 제3연결체(260)간의 상호 연결구조에 있어 거리 및 각도가 조정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적 가변성을 부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200)가 어떤 크기 혹은 형태의 좌변기의 좌대(S)에도 대응되어 설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3착좌몸체(230)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는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신체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착좌영역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좌변기의 좌대(S)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설치영역이 마련된 판형(板形)을 이룬다.
여기서, 제3착좌몸체(230)는 도8, 도12 및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전체를 접거나 펼치기 위한 제3접철부분(230G)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진다.
이러한, 제3접철부분(230G)은 실시 형태에 따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착좌몸체(230)의 너비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고, 제3착좌몸체(2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으며, 너비와 길이 방향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착좌몸체(230)의 너비방향을 따라 제3접철부분(230G)이 형성된 경우, 제3착좌몸체(230)는 접혀져 너비간격은 같지만 길이가 짧아진 형태로 변형되어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라 제3착좌몸체(230)는 다수의 제3접철부분(230G)을 갖추어 여러 겹으로 접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제3접철부분(230G)의 실시 형태는 사용자가 휴대용 좌변대(200)를 휴대하고자 하는 가방의 형태나 크기에 맞춰 설정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제3접철부분(230G)은 도8 및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착좌몸체(230) 상부면의 길이방향 혹은 너비방향 일부영역이 하측으로 함입되어 접철 가능 여유 공간을 제공하는 홈 형태를 형성함으로써, 제3착좌몸체(230)를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각 영역이 마주하며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제3접철부분(230G)의 홈 구조는 하나의 실시 형태에 불과하고, 실시에 따라 힌지(Hinge)구조의 경첩이나 서로 상이한 극을 가지는 자성부재가 각 구획된 몸체 영역별로 설치되는 형태로도 구현 가능하여 특정 구조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구체적으로, 제3착좌몸체(230)는 제5결합부(231), 제6결합부(232), 적어도 둘 이상의 제3고정부(233), 제3유동방지부(234) 및 제15강리브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제5결합부(231)는 제3착좌몸체(230)의 일단에 형성되며,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후 설명될 제2연결체(250)의 제4연결부(253)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제4연결부분(253C)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5결합부분(231C)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진다.
여기서, 제5결합부(231)의 제5결합부분(231C)은 둘 이상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3착좌몸체(230)와 제2연결체(250)간의 상호 연결구조에 있어 거리 및 각도가 조정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적 가변성을 부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200)가 어떤 크기 혹은 형태의 좌변기의 좌대(S)에도 대응되어 설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제6결합부(232)는 제3착좌몸체(230)의 타단에 형성되며,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후 설명될 제3연결체(260)의 제6연결부(263)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제6연결부분(263C)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6결합부분(232C)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진다.
여기서, 제6결합부(232)의 제6결합부분(232C)은 둘 이상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3착좌몸체(230)와 제3연결체(260)간의 상호 연결구조에 있어 거리 및 각도가 조정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적 가변성을 부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200)가 어떤 크기 혹은 형태의 좌변기의 좌대(S)에도 대응되어 설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제3고정부(233)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착좌몸체(230)가 제3접철부분(230G)에 의해 접힌 상태에서 상호 고정 결합이 가능하도록 제3착좌몸체(230)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쌍을 이루어 마련되는 구성으로, 둘 이상(한 쌍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쌍을 이루는 제3고정부(233)는 제3착좌몸체(230)의 제3접철부분(230G)을 기준으로 하여 상호 대칭되어 제3착좌몸체(230)의 접힘 구조에서 상호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암/수 구조에 의한 상호 고정 결합이 가능한 형태로 마련된다.
따라서 쌍을 이루는 제3고정부(233)는 볼록구조와 이에 대응되어 끼워지는 오목구조의 형태, 서로 반대되는 자성을 띠는 형태 혹은 걸림구조(걸림턱, 걸림돌기 등)와 이에 대응되어 걸림 공간을 제공하는 홈(또는 홀)구조 등 특정 암/수 고정 결합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3유동방지부(234)는 제3착좌몸체(230)가 제3접철부분(230G)에 의해 펼친 상태에서 좌변대 설치대상(좌변대의 좌대, S)에 접촉하도록 제3착좌몸체(230)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돌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3유동방지부(234)는 실리콘, 고무 혹은 경화된 액상 우레탄과 같이 좌변대 설치대상(좌변대의 좌대, S)에 접촉하여 소정의 탄성변형력, 접착력 및 마찰력의 제공이 가능한 소재로 마련되며, 실시에 따라 앞 서 설명한 제3고정부(233)의 한 쌍 중 하나로 마련되어 동시에 2가지 기능의 제공이 가능한 형태로 실시 가능하다.
제3유동방지부(234)는 소재적 특성에 의해 안정적으로 좌변대 설치대상(좌변대의 좌대, S)에 안착된 후, 소정의 탄성력을 기반으로 한 쿠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접착력 및 마찰력을 기반으로한 유동방지 역할도 수행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3고정부(234)의 한 쌍 중 하나에 고무 패킹과 같은 형태의 제3유동방지부(234)가 설치됨에 따라, 제3유동방지부(234) 본연의 역할 수행과 동시에 제3고정부(233)의 한 쌍 중 나머지 제3고정부(233)와의 고정 결합이 가능한 구조를 갖추게 된다.
그리고 제3보강리브부(235)는 제3착좌몸체(230)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강도 보강살을 이루는 구성으로, 보강살의 형성 구조는 특정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나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접철부분(230G)을 기준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보강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보강살이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3보강리브부(235)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철부분(110G)을 기준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보강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보강살의 교차점이 제1고정부(112)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이 제3착좌몸체(230)의 전체적 강도 보강에 효과적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200) 내 제1연결체(240)의 구성적 특징은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100) 내 제1연결체(130)의 구성적 특징에 대한 상기 기재와 동일하게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연결체(250)는 제1착좌몸체(210)의 타단(제2결합부(212))과 제3착좌몸체(230)의 일단(제5결합부(231))을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몸체로서, 제1착좌몸체(210), 제2착좌몸체(220) 및 제3착좌몸체(230)에 비해 연성재질로 마련된다.
여기서, 제2연결체(250)는 실리콘, 고무 혹은 경화된 액상 우레탄과 같이 소정의 탄성 변형력의 제공이 가능한 소재로 마련됨이 바람직하고, 이는 탄성 변형력을 기반으로 한 제2연결체(250)의 구조변형을 통해 제1착좌몸체(210) 및 제3착좌몸체(230)의 연결형태에 있어 구조적 가변성을 부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200)가 어떤 크기 혹은 형태의 좌변기의 좌대(S)에도 대응되어 설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더 나아가, 이와 같은 제2연결체(250)의 재질적 특성은 휴대용 좌변대(200)가 아래 설명될 보관용기(295)에 보관되기 위해 접철을 수행함에 있어, 작업의 용이성을 높이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압축시킨 형태의 접철이 수행될 수 있게 하여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200) 자체의 휴대성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제2연결체(250)의 재질적 특성은 소정의 접착력 및 마찰력을 갖추고 있어 휴대용 좌변대(200)가 좌변기의 좌대(S)에 설치 된 후 설치 위치의 유동방지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2연결체(250)는 제1주름부(251), 제3연결부(252) 및 제4연결부(253)를 포함한다.
먼저, 제1주름부(251)는 도10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하측으로 함입되거나, 하부에서 상측으로 함입된 제1주름홈(251H)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2연결체(250)의 중앙부분이다.
여기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주름부(251)의 상면과 하면에 다수의 제1주름홈(251H)이 교차 형성됨으로써, 제2연결체(250)의 휘어짐, 접힘과 같은 구조적 변형성을 높여 제2연결체(250)를 기준으로 상호 연결된 제1착좌몸체(210)과 제3착좌몸체(230)의 접철이 더욱 유연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200)의 휴대성 증대에 기여한다.
다음으로, 제3연결부(252)는 제1주름부(25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제1착좌몸체(210)의 타단(제2결합부(211))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3연결부분(252C)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진다.
여기서, 제3연결부(252)의 제3연결부분(252C)은 둘 이상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1착좌몸체(210)와 제3연결체(250)간의 상호 연결구조에 있어 거리 및 각도가 조정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적 가변성을 부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200)가 어떤 크기 혹은 형태의 좌변기의 좌대에도 대응되어 설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4연결부(253)는 제1주름부(251)의 타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제3착좌몸체(230)의 일단(제5결합부(231))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4연결부분(253C)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진다.
여기서, 제4연결부(253)의 제4연결부분(253C)은 둘 이상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3착좌몸체(230)와 제2연결체(250)간의 상호 연결구조에 있어 거리 및 각도가 조정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적 가변성을 부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200)가 어떤 크기 혹은 형태의 좌변기의 좌대에도 대응되어 설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제3연결부분(252C)과 제2결합부분(212C) 및 제4연결부분(253C)과 제5결합부분(231C)의 상호 연결 형태는 볼록구조와 이에 대응되어 끼워지는 오목구조의 형태, 서로 반대되는 자성을 띠는 형태 혹은 걸림구조(걸림턱, 걸림돌기 등)와 이에 대응되어 걸림 공간을 제공하는 홈(또는 홀)구조 등 특정 암/수 연결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다.
제3연결체(260)는 제2착좌몸체(220)의 타단(제4결합부(222))과 제3착좌몸체(230)의 타단(제6결합부(232))을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몸체로서, 제1착좌몸체(210), 제2착좌몸체(220) 및 제3착좌몸체(230)에 비해 연성재질로 마련된다.
여기서, 제3연결체(260)는 실리콘, 고무 혹은 경화된 액상 우레탄과 같이 소정의 탄성 변형력의 제공이 가능한 소재로 마련됨이 바람직하고, 이는 탄성 변형력을 기반으로 한 제제3연결체(260)의 구조변형을 통해 제2착좌몸체(220) 및 제3착좌몸체(230)의 연결형태에 있어 구조적 가변성을 부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200)가 어떤 크기 혹은 형태의 좌변기의 좌대(S)에도 대응되어 설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더 나아가, 이와 같은 제3연결체(260)의 재질적 특성은 휴대용 좌변대(200)가 아래 설명될 보관용기(295)에 보관되기 위해 접철을 수행함에 있어, 작업의 용이성을 높이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압축시킨 형태의 접철이 수행될 수 있게 하여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200) 자체의 휴대성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제3연결체(260)의 재질적 특성은 소정의 접착력 및 마찰력을 갖추고 있어 휴대용 좌변대(200)가 좌변기의 좌대(S)에 설치 된 후 설치 위치의 유동방지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3연결체(260)는 제2주름부(261), 제5연결부(262) 및 제6연결부(263)를 포함한다.
먼저, 제2주름부(261)는 도11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하측으로 함입되거나, 하부에서 상측으로 함입된 제2주름홈(261H)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3연결체(260)의 중앙부분이다.
여기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주름부(261)의 상면과 하면에 다수의 제2주름홈(261H)이 교차 형성됨으로써, 제2연결체(250)의 휘어짐, 접힘과 같은 구조적 변형성을 높여 제2연결체(250)를 기준으로 상호 연결된 제1착좌몸체(210)과 제3착좌몸체(230)의 접철이 더욱 유연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200)의 휴대성 증대에 기여한다.
다음으로, 제5연결부(262)는 제2주름부(26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제2착좌몸체(220)의 타단(제4결합부(222))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5연결부분(262C)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진다.
여기서, 제5연결부(262)의 제5연결부분(262C)은 둘 이상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2착좌몸체(220)와 제3연결체(260)간의 상호 연결구조에 있어 거리 및 각도가 조정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적 가변성을 부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200)가 어떤 크기 혹은 형태의 좌변기의 좌대에도 대응되어 설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6연결부(263)는 제2주름부(261)의 타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제3착좌몸체(230)의 타단(제6결합부(232))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6연결부분(263C)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진다.
여기서, 제6연결부(263)의 제6연결부분(263C)은 둘 이상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3착좌몸체(230)와 제3연결체(260)간의 상호 연결구조에 있어 거리 및 각도가 조정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적 가변성을 부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휴대용 좌변대(200)가 어떤 크기 혹은 형태의 좌변기의 좌대에도 대응되어 설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제5연결부분(262C)과 제4결합부분(222C) 및 제6연결부분(263C)과 제6결합부분(232C)의 상호 연결 형태는 볼록구조와 이에 대응되어 끼워지는 오목구조의 형태, 서로 반대되는 자성을 띠는 형태 혹은 걸림구조(걸림턱, 걸림돌기 등)와 이에 대응되어 걸림 공간을 제공하는 홈(또는 홀)구조 등 특정 암/수 연결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200) 내 제1커버(270) 및 제2커버(280)의 구성적 특징은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100) 내 제1커버(140) 및 제2커버(150)의 구성적 특징에 대한 상기 기재와 동일하게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커버(290)는 제3착좌몸체(230)의 상부에 덮여지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된다.
제3커버(290)의 형태는 쿠션 커버부재, 모직 커버부재, 가죽 커버부재 등 특정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소정의 탄성력 및 온열의 제공이 가능한 소재 및 형태로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다.
이러한, 제3커버(290)는 제3착좌몸체(230)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덮여질 수도 있고, 실시에 따라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3커버(290)는 제3착좌몸체(23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어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제3커버(290)를 주기적으로 사용자가 분리하여 세척 및 살균 작업하기에 쉽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3커버(290)는 제3커버(290)를 제3착좌몸체(230)의 상부에 고정 또는 해제하는 제3탈착부(291)를 포함한다. 이에 대응하여 제3착좌몸체(230)는 도10 및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커버(290)의 제3탈착부(291)와의 탈착 결합을 위해 상부면 상에 제3커버결합부(2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탈착부(291)와 제3커버결합부(236)의 탈착 결합 형태는 벨크로(Velcro) 결합을 위한 고리면과 걸림면의 형태, 반복 점착이 가능한 스티커 형태, 볼록구조와 이에 대응되어 끼워지는 오목구조의 형태, 서로 반대되는 자성을 띠는 형태 혹은 걸림구조(걸림턱, 걸림돌기 등)와 이에 대응되어 걸림 공간을 제공하는 홈(또는 홀)구조 등 특정 탈착 결합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다.
아울러, 제3커버(290)는 제3착좌몸체(230)가 제2접철부분(230G)에 의해 구획되는 몸체 영역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어 각 몸체 영역을 덮는다.
예를 들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착좌몸체(230)가 제3접철부분(230G)에 의해 2개의 영역으로 구획된 경우, 제3커버(290)는 2개로 마련되어 각 영역을 덮는 형식을 띨 수 있다. 이는 제3접철부분(230G)에 의해 제3착좌몸체(230)가 접혀 졌을 때, 제3커버(290)의 크기가 접혀진 제3착좌몸체(230)의 전체 상측면의 크기와 대응되지 않아 벗겨지거나 늘어나서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고 불필요한 부피를 줄여 휴대성 증대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200) 내 항균성 보관용기(295)의 재질적 특징(항균성 기능 부가와 관련된 특징)은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100) 내 항균성 보관용기(160)의 재질적 특징(항균성 기능 부가와 관련된 특징)에 대한 상기 기재와 동일하게 대응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항균성 보관용기(295)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진 제1착좌몸체(210)(경우에 따라 제1커버(270) 결합된 상태), 접혀진 제2착좌몸체(220)(경우에 따라 제2커버(280) 결합된 상태), 접혀진 제3착좌몸체(230)(경우에 따라 제3커버(290) 결합된 상태), 제1연결체(240), 제2연결체(250) 및 제3연결체(260)의 항균 보관을 위해 소정의 보관공간(295T)을 가지고 개폐 가능한 형태로 마련된 구성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200)는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100)와 구성적으로 제3착좌몸체(230) 및 제3착좌몸체(230)의 나머지 몸체(210, 220)간의 상호 연결을 위한 제2연결체(250) 및 제3연결체(260)의 구성에 차이를 보인다.
이는 좀 더 가볍고 휴대성을 중시하는 사용자에게는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100)를 제공하고, 좀 더 안정적이고 편안한 설치환경 및 착좌환경의 제공을 중시하는 사용자에게는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좌변대(200)를 제공해주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 : 좌변기 시트
100, 200 : 휴대용 좌변대
110. 210 : 제1착좌몸체
110G, 210G : 제1접철부분
111, 211 : 제1결합부
111C, 211C : 제1결합부분
212 : 제2결합부
212C : 제2결합부분
112, 213 : 제1고정부 113, 214 : 제1유동방지부
114, 215 : 제1보강리브부 115, 216 : 제1커버결합부
120, 220 : 제2착좌몸체
120G, 220G : 제2접철부분
121, 221 : 제3결합부
121C, 221C : 제2결합부분
222 : 제4결합부
222C : 제4결합부분
122, 223 : 제2고정부 123, 224 : 제2유동방지부
124, 225 : 제2보강리브부 125, 226 : 제2커버결합부
230 : 제3착좌몸체
230G : 제3접철부분
231 : 제5결합부
231C : 제5결합부분
232 : 제6결합부
232C : 제6결합부분
233 : 제3고정부 234 : 제3유동방지부
235 : 제3보강리브부 236 : 제3커버결합부
130, 240 : 제1연결체
131, 241 : 분사부 131H, 241H : 분사구멍
132, 242 : 제1연결부 132C, 242C : 제1연결부분
133, 243 : 제2연결부 133C, 243C : 제2연결부분
250 : 제2연결체
251 : 제1주름부 251H : 제1주름홈
252 : 제3연결부 252C : 제3연결부분
253 : 제4연결부 253C : 제4연결부분
260 : 제3연결체
261 : 제2주름부 261H : 제2주름홈
262 : 제5연결부 262C : 제5연결부분
263 : 제6연결부 263C : 제6연결부분
140, 270 : 제1커버
141, 271 : 제1탈착부
150, 280 : 제2커버
151, 281 : 제2탈착부
290 : 제3커버
291 : 제3탈착부
160, 295 : 항균성 보관용기
160T, 295T : 보관공간

Claims (19)

  1. 상부에는 착좌영역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설치영역이 마련된 판형(板形)으로, 몸체를 접거나 펼치기 위한 제1접철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1착좌몸체;
    상부에는 착좌영역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설치영역이 마련된 판형(板形)으로, 몸체를 접거나 펼치기 위한 제2접철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2착좌몸체; 및
    상기 제1착좌몸체의 일단과 상기 제2착좌몸체의 일단을 연결 또는 분리하며, 상기 제1착좌몸체 및 제2착좌몸체에 비해 연성재질로 마련되는 제1연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체는,
    상하로 개방된 분사구멍이 구비되는 분사부;
    상기 분사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착좌몸체의 일단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1연결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1연결부; 및
    상기 분사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착좌몸체의 일단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2연결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좌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좌변대는,
    상기 제1착좌몸체의 상부에 덮여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커버; 및
    상기 제2착좌몸체의 상부에 덮여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좌변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는 상기 제1착좌몸체가 제1접철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몸체 영역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어 각 몸체 영역을 덮으며,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제2착좌몸체가 제2접철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몸체 영역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어 각 몸체 영역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좌변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는,
    상기 제1커버를 상기 제1착좌몸체의 상부에 고정 또는 해제하는 제1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제2커버를 상기 제2착좌몸체의 상부에 고정 또는 해제하는 제2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좌변대.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착좌몸체는,
    일단에 상기 제1연결부분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1결합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착좌몸체는,
    일단에 상기 제2연결부분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3결합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3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좌변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착좌몸체는,
    상기 제1착좌몸체가 상기 제1접철부분에 의해 접힌 상태에서 상호 고정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쌍을 이루어 마련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1고정부; 및
    상기 제1착좌몸체가 상기 제1접철부분에 의해 펼친 상태에서 좌변대 설치대상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1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유동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착좌몸체는,
    상기 제2착좌몸체가 상기 제2접철부분에 의해 접힌 상태에서 상호 고정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쌍을 이루어 마련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2고정부; 및
    상기 제2착좌몸체가 상기 제2접철부분에 의해 펼친 상태에서 좌변대 설치대상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2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유동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좌변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착좌몸체는,
    상기 제1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강도 보강살을 이루는 제1보강리브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착좌몸체는,
    상기 제2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강도 보강살을 이루는 제2보강리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좌변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좌변대는,
    내부에 소정의 보관공간을 가지고 개폐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며, 항균성분을 포함하는 항균성 보관용기;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좌변대.
  10. 상부에는 착좌영역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설치영역이 마련된 판형(板形)으로, 몸체를 접거나 펼치기 위한 제1접철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1착좌몸체;
    상부에는 착좌영역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설치영역이 마련된 판형(板形)으로, 몸체를 접거나 펼치기 위한 제2접철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2착좌몸체;
    상부에는 착좌영역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설치영역이 마련된 판형(板形)으로, 몸체를 접거나 펼치기 위한 제3접철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3착좌몸체;
    상기 제1착좌몸체의 일단과 상기 제2착좌몸체의 일단을 연결 또는 분리하며, 상기 제1착좌몸체 내지 제3착좌몸체에 비해 연성재질로 마련되는 제1연결체;
    상기 제1착좌몸체의 타단과 상기 제3착좌몸체의 일단을 연결 또는 분리하며, 상기 제1착좌몸체 내지 제3착좌몸체에 비해 연성재질로 마련되는 제2연결체; 및
    상기 제2착좌몸체의 타단과 상기 제3착좌몸체의 타단을 연결 또는 분리하며, 상기 제1착좌몸체 내지 제3착좌몸체에 비해 연성재질로 마련되는 제3연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좌변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좌변대는,
    상기 제1착좌몸체의 상부에 덮여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커버;
    상기 제2착좌몸체의 상부에 덮여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커버; 및
    상기 제3착좌몸체의 상부에 덮여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좌변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는 상기 제1착좌몸체가 제1접철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몸체 영역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어 각 몸체 영역을 덮으며,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제2착좌몸체가 제2접철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몸체 영역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어 각 몸체 영역을 덮으며,
    상기 제3커버는 상기 제3착좌몸체가 제3접철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몸체 영역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어 각 몸체 영역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좌변대.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는,
    상기 제1커버를 상기 제1착좌몸체의 상부에 고정 또는 해제하는 제1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제2커버를 상기 제2착좌몸체의 상부에 고정 또는 해제하는 제2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커버는,
    상기 제3커버를 상기 제3착좌몸체의 상부에 고정 또는 해제하는 제3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좌변대.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체는,
    상하로 개방된 분사구멍이 구비되는 분사부;
    상기 분사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착좌몸체의 일단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1연결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1연결부; 및
    상기 분사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착좌몸체의 일단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2연결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좌변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체는,
    상부에서 하측으로 함입되거나, 하부에서 상측으로 함입된 제1주름홈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1주름부;
    상기 제1주름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착좌몸체의 타단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3연결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3연결부; 및
    상기 제1주름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3착좌몸체의 일단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4연결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4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연결체는,
    상부에서 하측으로 함입되거나, 하부에서 상측으로 함입된 제2주름홈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2주름부;
    상기 제2주름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착좌몸체의 타단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5연결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5연결부; 및
    상기 제2주름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3착좌몸체의 타단에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제6연결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6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좌변대.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착좌몸체는,
    일단에 상기 제1연결부분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1결합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1결합부; 및
    타단에 상기 제3연결부분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2결합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착좌몸체는,
    일단에 상기 제2연결부분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3결합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3결합부; 및
    타단에 상기 제5연결부분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4결합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4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착좌몸체는,
    일단에 상기 제4연결부분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5결합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5결합부; 및
    타단에 상기 제6연결부분과 상호 연결 가능 구조의 제6결합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지는 제6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좌변대.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착좌몸체는,
    상기 제1착좌몸체가 상기 제1접철부분에 의해 접힌 상태에서 상호 고정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쌍을 이루어 마련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1고정부; 및
    상기 제1착좌몸체가 상기 제1접철부분에 의해 펼친 상태에서 좌변대 설치대상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1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유동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착좌몸체는,
    상기 제2착좌몸체가 상기 제2접철부분에 의해 접힌 상태에서 상호 고정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쌍을 이루어 마련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2고정부; 및
    상기 제2착좌몸체가 상기 제2접철부분에 의해 펼친 상태에서 좌변대 설치대상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2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유동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착좌몸체는,
    상기 제3착좌몸체가 상기 제3접철부분에 의해 접힌 상태에서 상호 고정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3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쌍을 이루어 마련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3고정부; 및
    상기 제3착좌몸체가 상기 제3접철부분에 의해 펼친 상태에서 좌변대 설치대상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3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유동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좌변대.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착좌몸체는,
    상기 제1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강도 보강살을 이루는 제1보강리브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착좌몸체는,
    상기 제2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강도 보강살을 이루는 제2보강리브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착좌몸체는,
    상기 제3착좌몸체 하부의 설치영역 상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강도 보강살을 이루는 제3보강리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좌변대.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좌변대는,
    내부에 소정의 보관공간을 가지고 개폐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며, 항균성분을 포함하는 항균성 보관용기;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좌변대.
KR1020180112807A 2018-09-20 2018-09-20 휴대용 좌변대 KR102027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807A KR102027067B1 (ko) 2018-09-20 2018-09-20 휴대용 좌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807A KR102027067B1 (ko) 2018-09-20 2018-09-20 휴대용 좌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7067B1 true KR102027067B1 (ko) 2019-09-30

Family

ID=68098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807A KR102027067B1 (ko) 2018-09-20 2018-09-20 휴대용 좌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0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2061A1 (en) * 2019-11-18 2021-05-27 Mcconnell Thomas E Portable potty sea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419U (ko) * 1999-03-15 2000-10-16 박영진 휴대용 변기시트
JP2007260029A (ja) * 2006-03-28 2007-10-11 Sankoo:Kk 幼児用便座および幼児用便器
KR20120081854A (ko) * 2011-01-12 2012-07-20 변유환 크기 조절이 가능한 변기 시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419U (ko) * 1999-03-15 2000-10-16 박영진 휴대용 변기시트
JP2007260029A (ja) * 2006-03-28 2007-10-11 Sankoo:Kk 幼児用便座および幼児用便器
KR20120081854A (ko) * 2011-01-12 2012-07-20 변유환 크기 조절이 가능한 변기 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2061A1 (en) * 2019-11-18 2021-05-27 Mcconnell Thomas E Portable potty sea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86016A2 (en) Articulated foldable sandals
CA2643964A1 (en) Ergonomic side chair
US6795974B1 (en) Kneeling pad with cantilevered kneecup
KR102027067B1 (ko) 휴대용 좌변대
KR102022834B1 (ko) 안정성이 강화된 휴대용 좌변대
US6851131B1 (en) Portable toilet bowl cover
US3331085A (en) Auxiliary toilet seat
KR200399753Y1 (ko) 휴대용 좌변기
CN210541273U (zh) 一种洁垫马桶盖
US9936839B1 (en) Bilaterally collapsible bathing receptacle
JP3179623U (ja) 簡易トイレ
US20190254484A1 (en) Bathtub Edge Guard
JP2020006141A (ja) 浴室用椅子
KR101377618B1 (ko) 초박형으로 접철가능한 휴대용 변기커버
KR20210008612A (ko) 작업용 의자
KR200415279Y1 (ko) 좌선용 방석
US20210186277A1 (en) Portable urinal
CA2917669C (en) Bilaterally collapsible bathing receptacle
KR101271448B1 (ko) 휴대용 변기시트커버
KR200460471Y1 (ko) 의자용 좌판
KR20170083746A (ko) 작업의자
KR20130003220U (ko) 허리받침 기능이 있는 등받이 탄성 복원 의자
KR200398730Y1 (ko) 휴대용 양변기 좌판시트
KR19980019256U (ko) 좌변기용 발판
KR200223912Y1 (ko) 1회용 좌변기 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