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815B1 - 잠금 요소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잠금 요소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815B1
KR102022815B1 KR1020187016646A KR20187016646A KR102022815B1 KR 102022815 B1 KR102022815 B1 KR 102022815B1 KR 1020187016646 A KR1020187016646 A KR 1020187016646A KR 20187016646 A KR20187016646 A KR 20187016646A KR 102022815 B1 KR102022815 B1 KR 102022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nector
locking element
plug
locking
b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6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5678A (ko
Inventor
마틴 뤽케마이어
안드레아스 되링
Original Assignee
하르팅 에렉트로닉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르팅 에렉트로닉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하르팅 에렉트로닉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75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5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7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annular latching means, e.g. ring snapping in an annular groov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바디 및 슬라이딩 요소(1)를 구비한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 바디는 플러그 측 및 접속 측을 가지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 측으로부터 접속 측까지 플러그 커넥터를 통해 연장되는 플러그 축(A)을 형성하며, 이 경우 슬라이딩 요소(1)는 베이스 바디를 둘러싸면서, 베이스 바디 상에서 플러그 축(A)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플러그 커넥터는 또한 잠금 요소(2)를 구비하며, 상기 잠금 요소(2)는 플러그 커넥터의 슬라이딩 요소(1)와 접속 측 사이에 배치되고, 이 경우 잠금 요소(2)는 베이스 바디 상에서 개방 위치와 로킹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Description

잠금 요소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잠금 요소(securing element)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출발한다.
이와 같은 플러그 커넥터는, 라인들을 서로 가역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 경우, 플러그 커넥터는 라인의 단부들에 고정되고, 플러그 커넥터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접촉 요소들이 라인 내 개별 도체에 제공된다. 접촉 요소는 플러그 커넥터가 또 다른 일 대응 플러그 커넥터와 연결될 때 대응 플러그 커넥터 내에 있는 상응하는 접촉 요소와 접촉할 수 있다.
대응 플러그 커넥터와의 확실한 연결을 보장하기 위하여, 플러그 커넥터는 대부분, 플러그 커넥터들 상호간의 래칭(latching)을 가능하게 하는 래칭 수단을 이용한다. 래칭 상태를 풀기 위하여, 종래 기술에는 다양한 메커니즘이 공지되어 있다. 자주 이용되는 메커니즘은 소위 푸시-풀 로킹 메커니즘(push-pull locking mechanism)이다. 이 경우, 플러그 커넥터는 대응 플러그 커넥터와 연결 시 자동으로 래칭된다. 누름(push) 동작에 의해 래칭이 이루어진다. 로킹 메커니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슬라이딩 요소에서의 당김(pull) 동작에 의해 해제된다. 슬라이딩 요소가 플러그 결합 방향과 반대로 슬라이딩될 때, 플러그 커넥터를 래칭하기 위한 메커니즘이 작동되어, 플러그 커넥터가 대응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풀린다.
종래 기술에는, 모두 유사한 원리를 따라 래칭 및 래칭 해제되는 다양한 푸시-풀 플러그 커넥터가 공지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를 대응 플러그 커넥터 상에 삽입함으로써, 2개의 플러그 커넥터가 서로 래칭된다. 슬라이딩 요소에서의 당김 동작에 의해 래칭 상태가 풀리고, 플러그 커넥터가 인출될 수 있다.
공지된 해결책에서는, 구조의 단순성이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사실이 단점으로 작용한다. 플러그 커넥터의 간단한 인출에 의해서, 플러그 커넥터는 대응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풀려서 접촉 해제될 수 있다. 적용예에 따라, 이와 같은 상황은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고, 의도하지 않은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예컨대 복수의 푸시-풀 플러그 커넥터가 매우 좁은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플러그 커넥터의 인출 시 이웃하는 플러그 커넥터가 실수로 함께 풀려서 접촉 해제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실수에 의한 로킹 해제 및 접촉 해제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는 푸시-풀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를 풀기 위해 반드시 하나 이상의 또 다른 핸들이 작동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더욱이, 간단한 조작을 위해 한 손을 이용한 조작도 가능해야 한다.
상기 과제는, 독립 청구항 1의 특징부에 기재된 특징들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명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은 소위 푸시-풀 플러그 커넥터이다. 플러그 커넥터는 베이스 바디를 구비하며, 이 베이스 바디 내에는 연결될 케이블 및 접촉 요소가 수용된다. 베이스 바디는 슬라이딩 요소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이 슬라이딩 요소는 플러그 커넥터의 액추에이터로서 기능을 하는 동시에 대응 플러그 커넥터와의 래칭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이용된다.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 측 및 접속 측을 형성한다. 접속 측은, 플러그 커넥터의 베이스 바디 내로의 라인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플러그 커넥터 내에서, 라인의 코어들(core)이 접촉 요소들과 연결된다. 접촉 요소들은 재차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측으로 안내되어, 이곳에서 대응 플러그 커넥터와의 접촉을 가능하게 한다. 플러그 커넥터를 관통하여 플러그 축이 중심에서 플러그 측으로부터 접속 측으로 연장된다.
대응 플러그 커넥터와의 확실한 래칭을 실현하기 위하여, 플러그 커넥터는, 대응 플러그 커넥터와 상호 작용하고 의도치 않은 접촉 해제를 방지하는 래칭 수단을 포함한다. 플러그 커넥터와 대응 플러그 커넥터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슬라이딩 요소가 플러그 커넥터에 제공된다. 슬라이딩 요소는 정해진 범위만큼 베이스 바디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슬라이딩 요소가 플러그 방향과 반대로 플러그 측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접속 측을 향해 슬라이딩됨으로써, 슬라이딩 요소가 플러그 커넥터의 래칭 수단에 작용한다. 이로써, 플러그 커넥터와 대응 플러그 커넥터 간의 래칭 상태가 풀리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는, 마찬가지로 플러그 커넥터의 베이스 바디 상에 장착된 추가 잠금 요소를 포함한다. 이 잠금 요소는 두 위치 사이에서, 즉, 개방 위치와 로킹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 경우, 잠금 요소는, 슬라이딩 요소가 로킹 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딩 요소가 플러그 측 최종 위치로부터 접속 측 최종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개방 위치에서는, 잠금 요소가 슬라이딩 요소의 운동을 릴리스하여, 대응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 해제 및 풀림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잠금 요소가 플러그 커넥터 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로 인해, 잠금 요소는 개방 위치로부터 로킹 위치로 회전될 수 있고, 그 역의 경우도 가능하다. 이는, 사용자에 의한 제2의 손을 전혀 필요로 하지 않는 매우 간단한 조작을 위해 이용된다. 바람직하게 잠금 요소는, 플러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환형으로 형성되어 플러그 커넥터를 둘러싼다.
슬라이딩 요소의 운동을 차단하기 위해, 잠금 요소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차단 영역을 갖는다. 잠금 요소의 로킹 위치에서는, 차단 영역이 슬라이딩 요소의 운동 영역 내에 있다. 이로써, 잠금 상태를 풀기 위한 슬라이딩 요소의 슬라이딩 운동이 저지될 수 있다. 차단 영역은, 잠금 요소 및 플러그 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멀어지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잠금 요소의 위치(개방 위치 또는 로킹 위치)에 따라, 차단 영역은 슬라이딩 요소의 운동 경로 내에 있거나, 슬라이딩 요소를 릴리스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는, 잠금 요소가 2개 또는 4개의 차단 영역을 갖는다. 이 경우, 차단 영역들은 잠금 요소의 둘레에 걸쳐 균일하게 배치된다. 특히, 개방된 상태에서 사각형 플러그 커넥터와 그의 슬라이딩 요소의 4개의 모서리에서 운동 가능한 4개의 차단 영역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직사각형 슬라이딩 요소는, 자신의 모서리 영역에 4개의 차단 영역이 수용되어 삽입되도록, 슬라이딩될 수 있다.
한 특수한 일 실시예에서는, 잠금 요소가 플러그 커넥터의 베이스 바디 상에서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측에 있는 케이블 나사 연결부와 슬라이딩 요소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는, 잠금 요소가 플러그 커넥터의 래칭 해제를 위해 슬라이딩 요소의 운동 경로 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회전 가능한 잠금 요소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의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과제가 매우 바람직하게 해결되고, 종래 기술에 공지된 문제점들이 제거된다. 플러그 커넥터가 실수로 풀려서 접촉 해제되는 상황이 간단한 방식으로 방지될 수 있는 한편, 플러그 커넥터의 조작은 더욱 간단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도면들에 도시되고,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잠금 요소가 개방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잠금 요소가 로킹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슬라이딩 요소가 작동된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개방된 상태의 잠금 요소를 절개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잠긴 상태의 잠금 요소를 절개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각각의 도면은 부분적으로 간소화된 개략적인 도해를 포함한다. 부분적으로는, 동일하지만 경우에 따라 동일하지 않은 요소들에 대해서 동일한 참조 부호가 사용된다. 동일한 요소의 상이한 도면들은 상이한 축척으로 도시되었을 수 있다.
도 1은, 잠금 요소(2)가 개방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 축(A)을 따라서 연장되는 베이스 바디로부터 형성된다. 도 1의 후방 좌측 영역에서는 플러그 커넥터가 플러그 측을 형성한다. 그 반대편의 전방 우측 영역에서는 플러그 커넥터가 접속 측을 형성한다. 접속 측은 케이블 나사 연결부에 의해 형성된다.
플러그 커넥터의 베이스 바디는 슬라이딩 요소(1)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다. 슬라이딩 요소(1)는 플러그 축(A)을 따라 소정의 범위만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슬라이딩 요소(1)가 접속 측의 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 내에 있는 로킹부가 개방되어, 대응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연결이 풀릴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측에 있는 케이블 나사 연결부와 슬라이딩 요소(1) 사이에는 본 발명에 따라 잠금 요소(2)가 배치된다. 환형으로 형성된 잠금 요소(2)는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영역을 둘러싸며, 플러그 커넥터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잠금 요소(2)는 2개의 (본 도면에서는 1개만 볼 수 있는) 차단 영역(3)을 포함한다. 이들 차단 영역(3)은 잠금 요소(2) 상에서 상호 맞은편에 일체로 형성된다. 본 도면에 도시된 잠금 요소(2)의 개방된 위치에서는, 차단 영역(3)이 슬라이딩 요소(1)의 모서리 영역에 놓여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 요소(1)는 차단 영역(3) 위를 가로질러서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측의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도 2는, 잠금 요소(2)가 로킹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본 도면에서는, 잠금 요소(2)가 플러그 커넥터 상에서 개방된 위치에 대해 대략 45°만큼 회전되어 있다. 잠금 요소(2)의 회전에 의해 차단 영역(3)은, 슬라이딩 요소가 접속 측의 방향으로 더는 슬라이딩될 수 없도록 상기 슬라이딩 요소(1) 전방에 위치한다. 플러그 커넥터는 풀릴 수 없고, 로킹 해제될 수도 없다.
슬라이딩 요소(1)가 작동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본 도면에서는, 잠금 요소(2)가 도 1에 상응하게 개방된 위치에 있다. 그와 동시에, 슬라이딩 요소(1)는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측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내부에 놓여 있는 래칭 수단이 풀리게 된다. 본 도면에서는, 슬라이딩 요소(1)의 모서리 영역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요소(1)의 운동을 릴리스하는 (여기서는 1개만 볼 수 있는)차단 영역(3)을 확인할 수 있다.
잠금 요소(2)의 개방된 위치 및 로킹된 위치가 도 4 및 도 5에 다시 한 번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단면도는 각각 잠금 요소(2)를 플러그 축(A)에 대해 횡방향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4에서는, 차단 영역들(3)이 슬라이딩 요소(1)의 모서리 영역 내로 어떻게 삽입되는지를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잠금 요소(2)가 대략 45°만큼 회전된 결과, 차단 영역들(3)이 슬라이딩 요소(1)의 측면들 전방으로 회전되어 있다. 이로써, 슬라이딩 요소(1)의 운동이 차단되고, 플러그 커넥터의 풀림이 방지된다.
도 4 및 도 5에서는 추가로, 잠금 요소(2)가 베이스 바디 상에 구속되어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 바디는, 각각 개방된 위치 또는 로킹된 위치를 규정하는 마디부(nub, 4)를 포함한다. 잠금 요소(2)는, 두 위치에 래칭시키기 위해, 대응 홈부들(5)에 의해 마디부들(4)에 래칭될 수 있다. 이로써, 잠금 요소(2)는 개방 위치 및 로킹 위치에 래칭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 요소(1)가 실수로 릴리스되거나 차단될 가능성이 방지된다.

Claims (10)

  1. 베이스 바디, 슬라이딩 요소(1) 및 대응 플러그 커넥터와의 확실한 래칭을 위한 래칭 수단을 구비한 플러그 커넥터로서,
    상기 베이스 바디가 플러그 측 및 접속 측을 가지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 측으로부터 접속 측까지 플러그 커넥터를 통해 연장되는 플러그 축(A)을 형성하며,
    슬라이딩 요소(1)는, 이 슬라이딩 요소가 접속 측을 향해 슬라이딩됨으로써 커넥터의 래칭 수단에 작용하여 플러그 커넥터와 대응 플러그 커넥터 간의 래칭을 해제하도록, 상기 베이스 바디를 둘러싸면서 상기 베이스 바디 상에서, 플러그 축(A)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슬라이딩 요소(1)의 슬라이딩을 차단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우발적인 잠금 해제를 방지하는 잠금 요소(2)를 구비하고, 상기 잠금 요소(2)는 슬라이딩 요소(1)와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측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잠금 요소(2)는 베이스 바디 상에서 개방 위치와 로킹 위치 간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잠금 요소(2)는 플러그 커넥터 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잠금 요소(2)는 플러그 커넥터 상에 플러그 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요소(2)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베이스 바디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잠금 요소(2)가 하나 이상의 차단 영역(3)을 가지며, 상기 차단 영역(3)은 잠금 요소(2)의 플러그 축(A)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잠금 요소(2)가 2개의 차단 영역(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차단 영역들(3)이 잠금 요소(2)의 서로 맞은 편에 놓인 2개의 원형 세그먼트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8. 제6항에 있어서, 잠금 요소(2)가, 상기 잠금 요소(2)의 둘레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 배치된 4개의 차단 영역(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9. 제5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차단 영역(3)이 개방 위치에서 슬라이딩 요소(1)의 운동을 릴리스하며, 하나 이상의 차단 영역(3)이 로킹 위치에서 슬라이딩 요소(1)의 운동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요소(2)가, 플러그 커넥터의 슬라이딩 요소(1)와 케이블 나사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KR1020187016646A 2015-11-19 2016-11-09 잠금 요소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 KR1020228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120025.2 2015-11-19
DE102015120025.2A DE102015120025A1 (de) 2015-11-19 2015-11-19 Steckverbinder mit Sicherungselement
PCT/DE2016/100529 WO2017084654A1 (de) 2015-11-19 2016-11-09 Steckverbinder mit sicherungs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678A KR20180075678A (ko) 2018-07-04
KR102022815B1 true KR102022815B1 (ko) 2019-09-18

Family

ID=57421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6646A KR102022815B1 (ko) 2015-11-19 2016-11-09 잠금 요소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73158B2 (ko)
EP (1) EP3378132A1 (ko)
KR (1) KR102022815B1 (ko)
CN (1) CN108352655B (ko)
DE (1) DE102015120025A1 (ko)
WO (1) WO20170846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04251A1 (de) 2021-02-23 2022-08-25 HARTING Electronics GmbH Push-Pull-Steckverbinder mit Verriegel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71479A1 (de) * 2005-12-19 2007-06-28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 steckverbindung
US20090264003A1 (en) * 2008-04-17 2009-10-2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having a sleeve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9064A (en) 1978-10-25 1980-10-21 Trw Inc. Polarizing adapter sleeves for electrical connectors
US4782971A (en) * 1987-08-11 1988-11-08 Hill Mary V Device for preventing the unauthorized use of an electrical apparatus
DE502005010582D1 (de) * 2005-09-01 2011-01-05 Optosys Ag Kabeldurchführung
DE102005057444B3 (de) * 2005-12-01 2007-03-01 Spinner Gmbh Push-Pull-Koaxialsteckverbinder
SG141248A1 (en) * 2006-09-08 2008-04-28 Mea Technologies Pte Ltd Electrical connector
US7507105B1 (en) * 2007-07-17 2009-03-24 Ventek, Llc Hazardous area coupler device
JP4767923B2 (ja) * 2007-07-27 2011-09-07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組立体
CN201312021Y (zh) * 2008-09-12 2009-09-16 郑春开 一种电缆连接器
DE102010064071B3 (de) * 2010-12-23 2012-05-24 Tyco Electronics Amp Gmbh Klemmring, Kabelverschraubung und Verfahren zum Montieren einer Kabelverschraubung
DE102013112103A1 (de) 2013-11-04 2015-05-21 Phoenix Contact Gmbh & Co. Kg Push-Pull-Steckverbinder mit zusätzlichem Verriegelungsele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71479A1 (de) * 2005-12-19 2007-06-28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 steckverbindung
US20090264003A1 (en) * 2008-04-17 2009-10-2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having a sleeve member
JP2012508948A (ja) 2008-11-12 2012-04-1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コーポレイション スリーブ部材を有する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73158B2 (en) 2020-12-22
US20200259295A1 (en) 2020-08-13
WO2017084654A1 (de) 2017-05-26
KR20180075678A (ko) 2018-07-04
EP3378132A1 (de) 2018-09-26
CN108352655A (zh) 2018-07-31
DE102015120025A1 (de) 2017-05-24
CN108352655B (zh) 202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0669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male terminal protector
EP3005486B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2421403B1 (ko) 커넥터 조립체
DE102014206431A1 (de)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CPA) und Steckverbinderanordnung mit einer CPA
DE112013006506T5 (de) Hebeltyp-Verbinder
US20140017925A1 (en) Connector
KR102468468B1 (ko)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 지지체 내에 접촉 파트너들을 고정하기 위한 이차 로크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
US7918677B2 (en) Female connector for self-locking connector system
US9979146B2 (en) Connector housing assembly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2022815B1 (ko) 잠금 요소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
DE102018124876A1 (de) Sekundärsicherung, elektrischer Steckverbinder und elektrische Steckverbindung
JP2019129148A (ja) コネクタ
JP2023529403A (ja) 接続アセンブリ、および、回転可能な位置保証手段を有するコネクタ
EP3756249B1 (de) Steckverbinder mit polarisationselement sowie ein system und ein verfahren zum montieren, zum stecken und zum trennen dieses steckverbinders
EP3249759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mate-assist lever and integrated cpa
US20220344867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9595788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flexible latch actuated by a ramp on a release collar
JP7144293B2 (ja) コネクタ
EP3171462B1 (en) Electric connector with secondary locking member and electric connector assembly
CN111971858A (zh) 电插头插座装置
JP2005166575A (ja) コネクタ
US20240053550A1 (en) Push-pull plug with lock
KR20140098655A (ko) 레버식 커넥터
JP7084250B2 (ja) コネクタ構造
US8894432B1 (en) Connect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