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8655A - 레버식 커넥터 - Google Patents

레버식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8655A
KR20140098655A KR1020130127516A KR20130127516A KR20140098655A KR 20140098655 A KR20140098655 A KR 20140098655A KR 1020130127516 A KR1020130127516 A KR 1020130127516A KR 20130127516 A KR20130127516 A KR 20130127516A KR 20140098655 A KR20140098655 A KR 20140098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lock
lever
lock
hous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9870B1 (ko
Inventor
가즈미 오카
히데토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8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8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5Pivoting lever comprising supplementary/additional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버가 뜻하지 않게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레버(40)에는, 걸림 위치, 걸림 해제 위치 및 록 해제 위치로 변위 가능한 레버 록부(46)가 마련되어 있다. 걸림 위치에서는, 레버 록부(46)의 걸림부(51)가 레버 록 수용부(18)의 피걸림부(22)에 걸려서 맞물림으로써, 레버 록부(46)가 맞물림 해제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이 규제된다. 걸림 해제 위치에서는, 상대 하우징(60)의 강제 변위부(64)에 의해 걸림부(51)가 맞물림 해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변위되어 피걸림부(22)와의 걸림이 해제된다. 록 해제 위치에서는, 상대 하우징(60)의 록 해제부(63)에 의해 레버 록부(46)가 맞물림 해제 방향으로 변위되어 레버 록부(46)가 레버 록 수용부(18)와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레버(40)의 감합 위치로의 회동을 허용한다.

Description

레버식 커넥터{LEVER TYPE CONNECTOR}
본 발명은 레버식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레버식 커넥터는, 상대 하우징(특허문헌 1에서는 「수측 커넥터 하우징」이라고 함)에 감합 가능한 하우징(특허문헌 1에서는 「암측 커넥터 하우징」이라고 함)과, 하우징에 대하여 초기 위치와 감합 위치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레버(특허문헌 1에서는 「회동 레버」라고 함)를 구비하고 있다. 레버에는 굽힘 가능한 레버 록부(특허문헌 1에서는 「가요편」이라고 함)가 마련되고, 하우징에는 레버 록 수용부(특허문헌 1에서는 「노치」라고 함)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대 하우징에는 록 해제부(특허문헌 1에서는 「리브」라고 함)가 마련되어 있다. 레버 록부가 레버 록 수용부에 탄성적으로 맞물림으로써 레버가 초기 위치에 유지된다. 한편, 양 하우징의 감합 개시시에, 록 해제부가 레버 록부의 선단과 간섭함으로써, 레버 록부가 레버 록 수용부와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밀어내어지고, 이것에 의해 레버의 감합 위치로의 회동이 허용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9-120862호 공보
그런데, 하우징이 상대 하우징에 감합되기 전의 단체(單體) 상태일 때, 예컨대 레버에 대하여 감합 위치를 향해서 큰 외력(공회전하는 힘)이 작용하면, 레버 록부와 레버 록 수용부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레버가 감합 위치를 향해서 뜻하지 않게 회동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 레버가 뜻하지 않게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대 하우징과 감합 가능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초기 위치와 감합 위치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상대 하우징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감합 위치로 회동됨으로써, 상기 상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감합을 진행시키는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에는 레버 록부가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레버 록 수용부가 마련되고, 상기 상대 하우징에는 록 해제부가 마련되며, 상기 레버 록부가 상기 레버 록 수용부에 탄성적으로 맞물림으로써 상기 레버가 상기 초기 위치에 유지되는 커넥터로서, 상기 레버 록부에는 걸림부가 마련되고, 상기 레버 록 수용부에는 피(被)걸림부가 마련되며, 상기 상대 하우징에는 강제 변위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레버 록부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피걸림부에 걸려서 맞물리게 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는 맞물림 해제 방향으로의 변위가 규제되는 걸림 위치와, 상기 강제 변위부에 의해 상기 걸림부가 상기 맞물림 해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변위됨으로써 상기 걸림부가 상기 피걸림부와의 걸림이 해제되는 걸림 해제 위치와, 상기 록 해제부에 의해 상기 레버 록부가 상기 맞물림 해제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상기 레버 록부가 상기 레버 록 받침부와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상기 레버의 상기 감합 위치로의 회동을 허용하는 록 해제 위치로, 순차적으로 변위하는 것에 특징을 갖는다.
하우징이 감합전의 단체 상태에 있을 때, 가령 레버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레버 록부가 걸림 위치에 있으면, 레버 록부의 걸림부가 레버 록 수용부의 피걸림부에 걸려서 맞물림으로써, 레버 록부가 맞물림 해제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이 규제되어, 레버 록부와 레버 록 수용부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레버가 감합 위치를 향해서 뜻하지 않게 회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대 하우징과의 감합시에는, 상대 하우징의 강제 변위부에 의해 걸림부가 피걸림부와의 걸림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변위되어 레버 록부가 걸림 해제 위치에 이르고, 또한 상대 하우징의 록 해제부에 의해 레버 록부가 레버 록 수용부와의 맞물림을 해제하여 록 해제 위치에 이르며, 이것에 의해 레버의 감합 위치로의 회동 조작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실시예 1의 레버식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레버식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양 하우징의 감합 개시시에, 강제 변위부에 의해 걸림부가 피걸림부와의 걸림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강제 변위된 상태를 정면도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또한, 록 해제부에 의해 레버 록부가 레버 록 수용부와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굽힘 변형된 상태를 측면도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걸림부가 피걸림부에 걸려서 맞물리고, 레버 록부가 걸림 위치에 유지된 상태를 정면도 방향에서 본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양 하우징의 감합 개시시에, 강제 변위부에 의해 걸림부가 피걸림부와의 걸림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강제 변위된 상태를 정면도 방향에서 본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또한, 록 해제부에 의해 레버 록부가 레버 록 수용부와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굽힘 변형된 상태를 정면도 방향에서 본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상대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상대 하우징에서의 록 해제부 및 강제 변위부의 부분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레버에서의 레버 록 수용부의 부분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2의 레버식 커넥터에 있어서, 레버 록부가 걸림 위치(A)로부터 걸림 해제 위치(B)를 거쳐서 록 해제 위치(C)에 이르고, 이로써 레버 록부와 레버 록 수용부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이하에 나타낸다.
상기 레버 록부는, 상기 레버 록 수용부측으로 돌출된 레버 록 본체를 가지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레버 록 본체의 외면에 상기 레버 록 본체의 돌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되어 있고, 상기 레버 록 수용부는, 상기 레버 록 본체의 돌출 방향을 따르는 레버 록 수용 본체를 가지며, 상기 피걸림부는 상기 레버 록 수용 본체의 내면에 상기 레버 록 본체의 돌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움푹 들어간 형태로 되어 있고, 상기 걸림 위치에서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피걸림부 내에 진입하여 상기 레버 록 본체가 상기 레버 록 수용 본체 내에 위치하며, 상기 걸림 해제 위치에서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피걸림부로부터 빠져나와 상기 걸림부와 상기 레버 록 본체의 전체가 상기 레버 록 수용 본체 내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레버 록부와 레버 록 수용부의 각각의 구성이 각별하게 복잡해지지는 않고, 스페이스 효율도 양호해진다.
상기 강제 변위부와 상기 록 해제부가 서로 인접하여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대 하우징측의 구성도 특히 복잡해지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 1~도 11에 의해 설명한다. 실시예 1의 레버식 커넥터는, 상대 하우징(60)과 감합 가능한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대하여 초기 위치와 감합 위치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레버(40)를 구비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방향에 관해서는, 양 하우징(10, 60)의 서로의 감합면측을 전방으로 하고, 상하방향에 관해서는, 도 2를 기준으로 한다.
상대 하우징(60)은 합성 수지제이며 블록형의 형태로 되어 있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내부에 복수의 단자 삽입부(61)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 삽입부(61)에는, 도시하지 않은 상대 단자 피팅이 삽입되어 맞물린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대 하우징(60)의 상하 양면의 폭방향 중앙부에는, 한 쌍의 캠 팔로워(6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대 하우징(60)의 상면 양면의 각각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 팔로워(62)를 사이에 두고 폭방향 양측 중, 폭방향 일측에 록 해제부(63) 및 강제 변위부(64)가 마련되고, 폭방향 타측에 가이드 리브(65)가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리브(65)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되어 있고, 캠 팔로워(62)와 인접하는 위치 이외에도 상대 하우징(60)의 외면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 리브(65)는, 양 하우징(10, 60)의 감합 과정에서 하우징(10)의 후술하는 가이드 리브 수용부(19)에 감합되고, 이에 의해 양 하우징(10, 60)의 감합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록 해제부(63)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되어 있고, 그 전단이 가이드 리브(65)의 전단보다도 후방에 바로 가까이 위치해 있다. 록 해제부(63)의 전단에는, 외측을 향해서 후방으로 경사진 테이퍼형의 해제 안내면(66)이 형성되어 있다. 양 하우징(10, 60)의 감합 과정에서는, 후술하는 레버 록부(46)가 록 해제부(63)의 해제 안내면(66)에서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레버 록부(46)가 굽힘 변형되고, 이에 의해 레버 록부(46)와 후술하는 레버 록 수용부(18)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강제 변위부(64)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 해제부(63)의 폭방향 일단측에 인접하여 일체로 연결되고, 또한 록 해제부(63)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판 조각형의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강제 변위부(64)는, 록 해제부(63)보다 폭이 좁고 또한 록 해제부(63)보다 높이가 낮게 되어 있다. 강제 변위부(64)의 전단에는, 폭방향 타측[록 해제부(63)측]을 향해서 후방으로 경사진 테이퍼형의 변위 안내면(67)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은 합성 수지제이며,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록형의 하우징 본체(11)와, 하우징 본체(11)의 전단 외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통형상의 후드부(12)를 갖고 있다. 하우징 본체(11)의 내부에는, 상대 하우징(60)의 각 단자 삽입부(61)와 대향하는 위치에, 복수의 캐비티(13)가 형성되어 있다. 각 캐비티(13) 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단자 피팅이 삽입되어 맞물린다. 또한, 각 캐비티(13) 내에 단자 피팅이 정규 삽입되면, 단자 피팅의 전단측의 탭형 부분이 후드부(12) 내에 돌출되어 배치되고, 상대 단자 피팅과 접속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예 1의 경우, 각 캐비티(13) 및 각 단자 삽입부(61)는, 도시하지 않은 서브 하우징에 형성되는 경우도 있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11) 및 상대 하우징(60)에는, 각각 서브 하우징을 수용 가능한 서브 하우징 수용실(14) 및 상대 서브 하우징 수용실(68)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드부(12)의 상하 양벽의 폭방향 중앙부에는, 그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움푹 들어간 한 쌍의 도입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도입부(15)의 내부는, 폭방향으로 한 쌍의 칸막이벽(16)에 의해 구획되고, 양 칸막이벽(16) 사이에, 캠 팔로워(62)가 진입 가능한 캠 팔로워 수용부(17)가 마련되며, 폭방향 일측의 칸막이벽(16)과 그것에 대향하는 도입부(15)의 폭방향 일측 가장자리의 사이에 레버 록 수용부(18)가 마련되고, 또한 폭방향 타측의 칸막이벽(16)과 그것에 대향하는 도입부(15)의 폭방향 타측 가장자리의 사이에 가이드 리브 수용부(19)가 마련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하우징(10, 60)의 감합시에, 캠 팔로워 수용부(17)에는 캠 팔로워(62)가 여유를 갖고 삽입된 상태로 삽입되고, 레버 록 수용부(18)에는 록 해제부(63) 및 강제 변위부(64)가 각각 삽입되며[도 3은 강제 변위부(64)가 삽입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록 해제부(63)가 삽입되는 경우는 도 7을 참조], 가이드 리브 수용부(19)에는 가이드 리브(65)가 감합 상태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 리브 수용부(19)는, 각 가이드 리브(65)와 대향하는 위치에, 후드부(12)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다.
레버 록 수용부(18)는, 도 5~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드부(12)의 상하 양벽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레버 록 수용 본체(21)와, 레버 록 수용 본체(21)의 폭방향 양측의 내면 중, 도입부(15)의 폭방향 일측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내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피걸림부(22)로 구성되어 있다.
레버 록 수용 본체(21)의 개구폭은, 가이드 리브 수용부(19)의 개구폭과 거의 동일하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 록부(46)의 폭치수[후술하는 레버 록 본체(49)와 걸림부(51)의 각각의 폭치수를 가산한 값]보다 조금 크게 되어 있다.
피걸림부(22)는,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며, 레버 록 수용 본체(21)의 내측단에 위치하여 후드부(12)의 내주면에서 개구된 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피걸림부(22)에는, 레버(40)의 후술하는 걸림부(51)가 감합 상태로 삽입되고(도 5를 참조), 양 하우징(10, 60)의 감합시에 강제 변위부(64)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도 6을 참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걸림부(22)의 내면 중, 폭방향을 따라서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는 면은, 걸림부(51)의 걸림면(52)과 면접촉 가능한 피걸림면(23)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상하 양면에는, 한 쌍의 지지축(24)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도 1에는 하나만 도시).
레버(40)는 합성 수지제이며,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방향을 따르는 조작부(41)와, 조작부(41)의 상하 양단으로부터 대략 평행하게 돌출된 한 쌍의 아암부(42)를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문형 판형상을 이루고 있다. 양 아암부(42)에는, 한 쌍의 축받이부(43)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레버(40)는, 하우징(10)에 걸쳐지도록 장착되고, 축받이부(43)에 지지축(24)이 끼워 넣어져 지지된 상태에서, 지지축(24)의 축 둘레로 초기 위치와 감합 위치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아암부(42)에는,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어 아암부(42)의 외주 가장자리에서 개구된 캠 홈(44)이 형성되어 있다. 캠 홈(44)은, 아암부(42)를 두께 방향(X)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되어 있고, 그 홈면에서 상대 하우징(60)의 캠 팔로워(62)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아암부(42)에는, 캠 홈(44)의 입구를 외측으로부터 덮는 브리지부(45)가 가설(架設)되어 있다. 브리지부(45)에 의해 아암부(42)의 강성의 저하가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양 아암부(42)에는, 한 쌍의 레버 록부(46)가 마련되어 있다. 레버 록부(46)는, 아암부(42)를 두께 방향(X)으로 관통하는 대략 U자형의 슬릿(47) 내에 굽힘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레버 록부(46)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 홈(44)의 입구가 개구되는 아암부(42)의 외주 가장자리측을 향해서 캔틸레버형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8)와, 연장부(48)의 연장 선단측으로부터 두께 방향(X)의 내측[대향하는 아암부(42)가 위치하는 측]으로 돌출된 레버 록 본체(49)와, 레버 록 본체(49)의 돌출 선단측으로부터 두께 방향(X)과 교차하는 폭방향(Y)으로 돌출된 걸림부(51)로 구성되어 있다.
연장부(48)는,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이며,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거의 일정한 폭치수를 갖고 있다. 또한, 연장부(48)는, 슬릿(47) 내에서 아암부(42)의 본체 부분[아암부(42) 중의 레버 록부(46)를 제외한 부분]의 두께 범위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연장부(48)는, 아암부(42)의 본체 부분에 이어지는 기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두께 방향(X) 및 폭방향(Y)으로 굽힘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레버 록 본체(49)는, 마찬가지로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이며,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부(48)의 연장 선단측의 내면에 일체로 연결되어 기립된 형태로 되어 있다. 레버 록 본체(49)의 기단부는, 연장부(48)와 폭이 동일하면서 그 돌출 방향으로 대략 일정한 폭치수를 갖는 한편, 레버 록 본체(49)의 선단부는, 걸림부(51)가 연결되는 측과는 반대측의 선단 모서리부가 비스듬히 절취된 절취면(53)을 갖는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걸림부(51)는, 피걸림부(22)와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며, 연장부(48)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길이 방향(Z)에 관해서 레버 록 본체(49)와 거의 동일한 치수를 갖고 있다. 걸림부(51)의 외면 중, 폭방향(Y)으로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는 폭이 좁은 외면은, 걸림면(52)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레버 록부(46)는, 이하에 상세히 기술하는 바와 같이, 양 하우징(10, 60)의 감합 과정에서, 걸림부(51)가 피걸림부(22)에 걸려서 맞물리는 걸림 위치(도 5를 참조)와, 걸림 위치로부터 폭방향(Y)의 타측(맞물림 해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변위하여, 걸림부(51)와 피걸림부(22)의 걸림이 해제되는 걸림 해제 위치(도 6을 참조)와, 걸림 해제 위치로부터 두께 방향(X)의 외측(맞물림 해제 방향)으로 변위하여, 레버 록부(46)와 레버 록 수용부(18)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록 해제 위치(도 7을 참조)로, 순차적으로 이행(移行)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실시예 1의 레버식 커넥터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하우징(10)에 레버(40)가 조립되어 초기 위치에 유지된다. 그렇게 하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40)의 캠 홈(44)의 입구가 하우징(10)의 도입부(15)와 내외에서 연통하여 전방으로 개구된 상태가 된다. 또한, 초기 위치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 록부(46)의 레버 록 본체(49)가 레버 록 수용부(18)의 레버 록 수용 본체(21)에 탄성적으로 진입하고, 레버 록부(46)의 걸림부(51)가 레버 록 수용부(18)의 피걸림부(22)에 감합 상태로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가령 레버(40)에 대하여 감합 위치측으로의 외력(공회전하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레버 록 본체(49)가 레버 록 수용 본체(21)의 폭방향(Y)의 일측 가장자리에 접촉함으로써, 레버(40)가 감합 위치측을 향해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만일, 레버(40)에 대하여 감합 위치측으로의 큰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걸림부(51)의 걸림면(52)이 피걸림부(22)의 피걸림면(23)에 접촉함으로써, 레버 록부(46)가 두께 방향(X)의 외측으로 굽힘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로써 레버 록 본체(49)와 레버 록 수용 본체(21)의 맞물림이 확실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가령 레버(40)를 초기 위치에 장착한 하우징(10)이 상대 하우징(60)과 감합되기 전의 단체 상태에서, 커넥터가 반송(搬送)되더라도, 레버 록부(46)가 상기와 같이 걸림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한, 레버(40)가 감합 위치를 향해서 회동되지는 않는다.
계속해서, 하우징(10)을 상대 하우징(60)에 정면으로 마주 대하게 하고, 그 상태에서, 양 하우징(10, 60)을 서로 감합한다. 감합 개시시에는, 레버(40)의 캠 홈(44)의 입구 내에, 캠 팔로워 수용부(17)를 통하여 상대 하우징(60)의 캠 팔로워(62)가 진입하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리브 수용부(19) 내에 가이드 리브(65)가 진입하면서, 레버 록 수용부(18)의 피걸림부(22) 내에 강제 변위부(64)가 진입한다. 그렇게 하면, 걸림부(51)가 강제 변위부(64)와 접촉하여 변위 안내면(67)에서 미끄럼 이동하고, 이에 따라서 연장부(48)가 기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폭방향(Y)의 타측으로 강제적으로 탄성 변위된다. 이렇게 하여 레버 록부(46)가 걸림 해제 위치에 이르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부(51)가 피걸림부(22)로부터 압출(押出)되어 레버 록 수용 본체(21)측으로 이행되고 강제 변위부(64)의 폭방향(Y)의 타측면에 올라탄 상태가 된다. 한편, 레버 록부(46)가 걸림 해제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동안, 상대 하우징(60)의 록 해제부(63)는, 레버 록 수용 본체(21) 내에 위치하는 레버 록 본체(49)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레버 록 수용 본체(21)와는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이어서, 하우징(10)에 상대 하우징(60)이 보다 깊게 감합된다. 그렇게 하면, 레버 록 수용 본체(21)가 록 해제부(63)와 접촉하여 해제 안내면(66)에서 미끄럼 이동하고, 이에 따라서 연장부(48)가 기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두께 방향(X)의 외측으로 강제적으로 탄성 변위된다. 레버 록부(46)가 록 해제 위치에 이르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 록 본체(49)를 포함하는 레버 록부(46) 전체가 레버 록 수용부(18)로부터 압출되어 아암부(42)의 슬릿(47)측으로 후퇴하고, 또한 레버 록 본체(49)가 록 해제부(63)의 외측면에 올라탄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레버(40)의 초기 위치에서의 록 상태가 완전히 해제되어, 레버(40)의 감합 위치로의 회동이 허용되게 된다.
계속해서, 조작부(41)를 집고서 레버(40)를 감합 위치를 향해 회동시킨다. 그렇게 하면, 캠 팔로워(62)가 캠 홈(44)의 홈면에서 미끄럼 이동하여, 레버(40)와 상대 하우징(60) 사이에 캠 작용이 발휘되고, 이에 의해 양 하우징(10, 60)이 낮은 조작력으로 감합되어 간다. 그 후, 레버(40)가 감합 위치에 도달하면, 양 하우징(10, 60)이 정규 감합 상태가 되어, 단자 피팅이 상대 단자 피팅과 정규 깊이로 도통 접속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의하면, 하우징(10)이 감합전의 단체 상태에 있을 때, 가령 레버(40)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레버 록부(46)가 걸림 위치에 있으면, 레버 록부(46)의 걸림부(51)가 레버 록 수용부(18)의 피걸림부(22)에 걸려서 맞물리게 됨으로써, 레버 록부(46)가 하우징(10)으로부터 이격되는 맞물림 해제 방향[두께 방향(X)의 외측]으로 변위하는 것이 규제되기 때문에, 레버 록부(46)와 레버 록 수용부(18)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레버(40)가 감합 위치를 향해 뜻하지 않게 회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양 하우징(10, 60)의 감합 개시시에, 상대 하우징(60)의 강제 변위부(64)에 의해 걸림부(51)가 피걸림부(22)와의 걸림을 해제하는 방향[폭방향(Y)의 타측]으로 강제적으로 변위되어 레버 록부(46)가 걸림 해제 위치에 이르고, 또한 록 해제부(63)에 의해 레버 록부(46)가 레버 록 수용부(18)와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록 해제 위치에 이르는 것에 의해, 레버(40)의 감합 위치로의 회동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걸림부(51)가 레버 록 본체(49)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되어 있고, 피걸림부(22)가 레버 록 수용 본체(21)의 내면에 움푹 들어간 형태로 되어 있으며, 걸림 위치에서는, 걸림부(51)가 피걸림부(22)에 진입하여 레버 록 본체(49)가 레버 록 수용 본체(21)에 위치하고, 걸림 해제 위치에서는, 걸림부(51)가 피걸림부(22)로부터 빠져나와 걸림부(51)와 레버 록 본체(49)가 모두 레버 록 수용 본체(21)에 위치하기 때문에, 레버 록부(46)와 레버 록 수용부(18)의 각각의 구성이 각별하게 복잡해지지는 않으며, 스페이스 효율도 양호해진다.
또한, 상대 하우징(60)에는 강제 변위부(64)와 록 해제부(63)가 서로 인접하여 일체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 하우징(60)측의 구성도 특별히 복잡해지지는 않는다.
<실시예 2>
도 12의 (A)~(C)는, 실시예 2의 레버식 커넥터를 나타낸다. 실시예 2에서는, 레버 록부(46A)의 형태가 실시예 1과 상이하지만, 그 밖에는 실시예 1과 대략 동일하므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레버 록 본체(49)는, 아암부(42)의 두께 방향(X)의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되어 있고, 그 돌출 선단측에, 폭방향(Y)의 양측으로 튀어나온 한 쌍의 돌기부(59)를 갖고 있다. 양 돌기부(59) 중, 폭방향(Y) 일측의 돌기부(59)는 걸림부(51)로서 기능한다.
레버 록부(46A)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걸림부(51)가 피걸림부(22)에 걸려서 맞물리는 걸림 위치[도 12의 (A)를 참조]와, 걸림부(51)가 강제 변위부(64)에 의해 피걸림부(22) 내로부터 압출되는 걸림 해제 위치[도 12의 (B)를 참조]와, 그 전체가 록 해제부(63)에 의해 레버 록 수용부(18) 내로부터 압출되는 록 해제 위치[도 12의 (C)를 참조]로 순차적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실시예 2의 경우, 가령 레버 록부(46A)가 걸림 위치에 있어서 과대한 외력을 받아 연장부(48)의 축 둘레로 기울어지면[도 12의 (A)의 이점쇄선을 참조], 양 돌기부(59)가 레버 록 수용부(18)의 폭방향(Y)의 양 측단에 접촉하여, 레버 록부(46A)가 레버 록 수용부(18)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 기술(記述)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다음과 같은 양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레버 록부를 록 해제 위치로 변위시키는 것을 유도하는 해제 안내면은, 록 해제부가 아니라, 레버 록 본체에 마련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해제 안내면은, 록 해제부와 레버 록 본체 양자 모두에 마련되는 것이어도 좋다.
(2) 레버 록부를 걸림 해제 위치로 변위시키는 것을 유도하는 변위 안내면은, 강제 변위부가 아니라, 걸림부에 마련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변위 안내면은, 강제 변위부와 걸림부 양자 모두에 마련되는 것이어도 좋다.
(3) 레버는, 문형의 판형상이 아니라, 평면형의 1장의 판으로서 구성되는 것이어도 좋다.
(4) 레버가 장착되는 하우징은, 암형 단자 피팅을 수용할 수 있는 암측 커넥터 하우징으로서 구성되는 것이어도 좋다.
10 : 하우징 11 : 하우징 본체
18 : 레버 록 수용부 21 : 레버 록 수용 본체
22 : 피걸림부 40 : 레버
44 : 캠 홈 42 : 아암부
46, 46A : 레버 록부 49 : 레버 록 본체
51 : 걸림부 60 : 상대 하우징
62 : 캠 팔로워 63 : 록 해제부
64 : 강제 변위부

Claims (3)

  1. 상대 하우징과 감합 가능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초기 위치와 감합 위치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상대 하우징과 결합한 상태로,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감합 위치로 회동됨으로써, 상기 상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감합을 진행시키는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에는 레버 록부가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레버 록 수용부가 마련되고, 상기 상대 하우징에는 록 해제부가 마련되며, 상기 레버 록부가 상기 레버 록 수용부에 탄성적으로 맞물림으로써 상기 레버가 상기 초기 위치에 유지되는 것인 커넥터로서,
    상기 레버 록부에는 걸림부가 마련되고, 상기 레버 록 수용부에는 피(被)걸림부가 마련되며, 상기 상대 하우징에는 강제 변위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레버 록부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피걸림부에 걸려서 맞물림으로써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는 맞물림 해제 방향으로의 변위가 규제되는 걸림 위치와, 상기 강제 변위부에 의해 상기 걸림부가 상기 맞물림 해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변위됨으로써 상기 걸림부가 상기 피걸림부와의 걸림이 해제되는 걸림 해제 위치와, 상기 록 해제부에 의해 상기 레버 록부가 상기 맞물림 해제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상기 레버 록부가 상기 레버 록 수용부와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상기 레버의 상기 감합 위치로의 회동을 허용하는 록 해제 위치로, 순차적으로 변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록부는, 상기 레버 록 수용부측으로 돌출된 레버 록 본체를 가지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레버 록 본체의 외면에 상기 레버 록 본체의 돌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되어 있고, 상기 레버 록 수용부는, 상기 레버 록 본체의 돌출 방향을 따르는 레버 록 수용 본체를 가지며, 상기 피걸림부는 상기 레버 록 수용 본체의 내면에 상기 레버 록 본체의 돌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움푹 들어간 형태로 되어 있고, 상기 걸림 위치에서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피걸림부 내에 진입하여 상기 레버 록 본체가 상기 레버 록 수용 본체 내에 위치하며, 상기 걸림 해제 위치에서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피걸림부로부터 빠져나와 상기 걸림부와 상기 레버 록 본체의 전체가 상기 레버 록 수용 본체 내에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변위부와 상기 록 해제부는 서로 인접하여 일체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커넥터.
KR1020130127516A 2013-01-31 2013-10-25 레버식 커넥터 KR1014498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17175 2013-01-31
JP2013017175A JP2014149954A (ja) 2013-01-31 2013-01-31 レバー式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655A true KR20140098655A (ko) 2014-08-08
KR101449870B1 KR101449870B1 (ko) 2014-10-08

Family

ID=51572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516A KR101449870B1 (ko) 2013-01-31 2013-10-25 레버식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4149954A (ko)
KR (1) KR1014498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94981B2 (ja) * 2015-05-11 2018-09-26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7139981B2 (ja) * 2019-02-01 2022-09-21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50625B4 (de) 2004-10-22 2011-07-28 Sumitomo Wiring Systems, Ltd., Mie Verbinder und Verbinderanordnung
JP4545052B2 (ja) 2005-06-22 2010-09-1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コネクタの連結構造
JP4497038B2 (ja) 2005-07-05 2010-07-07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4830920B2 (ja) 2007-03-09 2011-12-07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149954A (ja) 2014-08-21
KR101449870B1 (ko) 201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56205B2 (ja) 無応力コネクタ位置保証装置
JP4985172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8262410B2 (en) Electrical connector
JP4941064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5846105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EP1830436A1 (en) A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and assembling method
JP5945964B2 (ja) コネクタ
US20120115342A1 (en) Plug-and-socket connector with a blocking element
JP2008186772A (ja) 電気コネクタ
JP2008218302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4556134B2 (ja) コネクタ
JP5929829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5811078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3008644A (ja) コネクタ
KR101449870B1 (ko) 레버식 커넥터
JP5754388B2 (ja) コネクタ
JP2005183297A (ja) コネクタ
JP2008204663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4247055A (ja) コネクタ
JP2010027392A (ja) コネクタ
JP2007184164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1065932A (ja) 雌型コネクタ
JP4689628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7157642A (ja) コネクタ
JP6433388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ッセンブ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