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373B1 - 엘리베이터 카 내의 인원수 표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카 내의 인원수 표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373B1
KR102021373B1 KR1020170075113A KR20170075113A KR102021373B1 KR 102021373 B1 KR102021373 B1 KR 102021373B1 KR 1020170075113 A KR1020170075113 A KR 1020170075113A KR 20170075113 A KR20170075113 A KR 20170075113A KR 102021373 B1 KR102021373 B1 KR 102021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people
elevator
display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5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6318A (ko
Inventor
박성영
여창혁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75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373B1/ko
Publication of KR20180136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76Load weighing or car passenger cou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장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을 누르면 호출된 승강장의 층을 확인하고 카 내부의 인원수를 확인하여 승차 가능 인원수를 산출하여 호출된 층의 승강장 표시부에서 현재 승차 인원수와 승차 가능 인원수를 표시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카 내의 인원수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카 내의 인원수 표시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 개폐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카 도어 개/폐 감지부; 상기 엘리베이터의 카 내의 인원수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인원수 감지부; 각층의 승강장에 설치되어 승/하강하기 위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 호출버튼; 상기 엘리베이터의 카 내부에 설치되어 초과 승차한 인원수와 초과 승차시 하차 안내를 문자 또는 음성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 카 내부 표시부; 각층의 승강장에 설치되어 현재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승차 인원수 및 승차 가능 인원수를 문자 또는 음성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 승강장 표시부; 및 상기 카 도어 개/폐 감지부로부터 상기 카 도어 개폐 감지신호를, 상기 인원수 감지부로부터 상기 카 내의 인원수 감지신호를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 호출버튼으로부터 승/하강 호출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상기 카 도어의 개방 및 닫힘, 상기 카 내의 인원수 및 호출된 승강장의 층을 각각 확인하여, 상기 카 내부 표시부 및 승강장 표시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어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카 내의 인원수 표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NUMBER OF PEOPLE IN CAR OF ELEVATOR }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 내의 인원수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강장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을 누르면 호출된 승강장의 층을 확인하고 카 내부의 인원수를 확인하여 승차 가능 인원수를 산출하여 호출된 층의 승강장 표시부에서 현재 승차 인원수와 승차 가능 인원수를 표시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카 내의 인원수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동력을 사용하여 사람이나 화물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이다. 통상 승객용 엘리베이터는 900 ~ 1,800kg을 운반할 수 있으며, 화물용 엘리베이터는 45,000kg까지 나를 수 있다. 승객용 엘리베이터는 화재에 견딜 수 있는 강철로 된 이중문을 달며, 안에 비상벨·인터폰·전화 등이 설치되어 있어 위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게 하였다.
국내 실용신안 공고 1994-0001001호 공보에는 비상의 경우 감시반에서 감시자가 어느 호기를 먼저 선택하여 귀착시킬 것인가를 탑승인원 표시장치를 통해 판단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탑승인원 표시회로가 개시되어 있다. 이 엘리베이터 탑승인원 표시회로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부하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부하감지부와, 상기 엘리베이터 부하감지부의 출력신호를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압변환부와, 상기 전압변환부의 출력전압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입력전압신호처리부(23)와, 상기 입력전압신호처리부(23)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메모리(29)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비교처리를 통해 탑승인원을 계산해 내는 마이콤(24)과, 상기 마이콤(24)의 탑승 인원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부하표시기 구동부(27)를 통해 부하감시표시부(28)에 표시하는 디코더(30)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엘리베이터 탑승인원 표시회로는 엘리베이터 카 내의 탑승인원을 계산하여 감시반에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감시반 내의 감시자가 엘리베이터의 귀착여부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나, 감시반 내의 감시자의 제어에 의해서만 엘리베이터의 귀착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에 탑승인원 초과시 각 승강장에 있는 사람은 현재 엘리베이터 카 내의 탑승인원을 알 수 없으므로 탑승인원이 만원이거나 만원에 근접하는 경우 승차하지도 못하면서 대기할 수 있으므로 시간 낭비가 될 경우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람이 불필요하게 승강장에서 대기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효율적으로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엘리베이터 카 내의 인원수 표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엘리베이터 카 내의 인원수 표시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 개폐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카 도어 개/폐 감지부; 상기 엘리베이터의 카 내의 인원수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인원수 감지부; 각층의 승강장에 설치되어 승/하강하기 위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 호출버튼; 상기 엘리베이터의 카 내부에 설치되어 초과 승차한 인원수와 초과 승차시 하차 안내를 문자 또는 음성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 카 내부 표시부; 각층의 승강장에 설치되어 현재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승차 인원수 및 승차 가능 인원수를 문자 또는 음성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 승강장 표시부; 및 상기 카 도어 개/폐 감지부로부터 상기 카 도어 개폐 감지신호를, 상기 인원수 감지부로부터 상기 카 내의 인원수 감지신호를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 호출버튼으로부터 승/하강 호출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상기 카 도어의 개방 및 닫힘, 상기 카 내의 인원수 및 호출된 승강장의 층을 각각 확인하여, 상기 카 내부 표시부 및 승강장 표시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어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엘리베이터 카 내의 인원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원수 감지부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감지센서, 체온 감지센서, 영상 촬영 장치 및 무게 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엘리베이터 카 내의 인원수 표시 방법은 카 도어 개/폐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카 도어의 개방을 확인하는 카 도어 개방 확인 단계; 인원수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카 내부의 인원수를 확인하는 제 1 인원수 확인 단계; 상기 제 1 인원수 확인 단계에서 확인된 카 내부 인원수가 설정된 인원수 이상이 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카 내부 인원수 결정 단계; 상기 확인된 카 내부 인원수가 상기 설정된 인원수 이상이 되면, 카 내부 표시부 및 정지된 층의 승강장 표시부에서 초과 인원수 및 하차를 표시하는 제 1 표시 단계; 상기 카 도어 개/폐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카 도어의 닫힘을 확인하는 카 도어 닫힘 확인 단계;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으로부터 승/하강 호출신호가 있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호출 여부 결정 단계; 상기 승/하강 호출신호가 있으면 호출된 승강장의 층을 확인하는 승강장 층 확인 단계; 상기 인원수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카 내부의 인원수를 확인하는 제 2 인원수 확인 단계; 상기 제 2 인원수 확인 단계에서 확인된 카 내부의 인원수와 설정된 최대 탑승 가능 인원수의 차이에 의해 승차 가능 인원수를 산출하는 승차 가능 인원수 산출 단계; 및 상기 호출된 층의 승강장 표시부에서 상기 제 2 인원수 확인 단계에서 확인된 현재의 승차 인원수 및 상기 승차 가능 인원수 산출 단계에서 산출된 승차 가능 인원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엘리베이터 카 내의 인원수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 내부 인원수 결정 단계에서 확인된 카 내부 인원수가 설정된 인원수 미만이면 상기 카 도어 닫힘 확인 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엘리베이터 카 내의 인원수 표시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개/폐 감지부에서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 개폐를 감지하고, 인원수 감지부에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카 내의 인원수를 감지하며, 엘리베이터 호출버튼에서 각층의 승강장에 설치되어 승/하강하기 위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며, 카 내부 표시부에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카 내부에 설치되어 초과 승차한 인원수와 초과 승차시 하차 안내를 문자 또는 음성으로 표시하며, 승강장 표시부에서 각층의 승강장에 설치되어 현재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승차 인원수 및 승차 가능 인원수를 문자 또는 음성으로 표시하며, 제어반이 상기 카 도어 개/폐 감지부로부터 상기 카 도어 개폐 감지신호를, 상기 인원수 감지부로부터 상기 카 내의 인원수 감지신호를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 호출버튼으로부터 승/하강 호출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상기 카 도어의 개방 및 닫힘, 상기 카 내의 인원수 및 호출된 승강장의 층을 각각 확인하여, 상기 카 내부 표시부 및 승강장 표시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람이 불필요하게 승강장에서 대기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효율적으로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카 내의 인원수 표시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카 내의 인원수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카 내의 인원수 표시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카 내의 인원수 표시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 도어 개/폐 감지부(100), 인원수 감지부(110), 엘리베이터 호출버튼(120), 카 내부 표시부(300), 승강장 표시부(310) 및 제어반(200)을 포함한다.
카 도어 개/폐 감지부(100)는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 개폐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주로 광센서가 사용된다.
인원수 감지부(110)는 엘리베이터의 카 내부의 인원수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초음파 센서, 적외선 감지센서, 체온 감지센서, 영상 촬영 장치 및 무게 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호출버튼(120)은 각층의 승강장에 설치되어 승/하강하기 위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기 위해 승/하강 호출 신호를 발생하는 역할을 한다.
카 내부 표시부(300)는 제어반(200)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문자 또는 음성을 출력하는 장치로서, 특히 엘리베이터의 카 내부에 설치되어 초과 승차한 인원수와 초과 승차시 하차 안내를 문자 또는 음성으로 표시하는 역할을 하며, 음성 출력 장치를 내장한 LED, LCD 및 PDP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승강장 표시부(310)는 제어반(200)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문자 또는 음성을 출력하는 장치로서, 특히 각층의 승강장에 설치되어 현재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승차 인원수 및 승차 가능 인원수를 문자 또는 음성으로 표시하는 역할을 하며, 음성 출력 장치를 내장한 LED, LCD 및 PDP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반(200)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 전체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예컨대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반(200)은 카 도어 개/폐 감지부(100)로부터 카 도어 개폐 감지신호를, 인원수 감지부(110)로부터 카 내의 인원수 감지신호를 그리고 엘리베이터 호출버튼(120)으로부터 승/하강 호출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내부에 저장된 알고리듬에 의해 논리적 연산을 수행하여 카 도어의 개방 및 닫힘, 카 내부의 인원수 및 호출된 승강장의 층을 각각 확인하여, 카 내부 표시부(300) 및 승강장 표시부(31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카도어 개/폐 감지부(100), 인원수 감지부(110),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120), 카 내부 표시부(300) 및 승강장 표시부(310)는 제어반(200)과 유, 무선 통신가능하며, 통신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카 내의 인원수 표시 장치에 구현되는 엘리베이터 카 내의 인원수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카 내의 인원수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로서, 여기서 S는 스텝(step)을 나타낸다.
먼저, 제어반(200)은 카 도어 개/폐 감지부(10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카 도어가 개방됨을 확인하면(S10), 인원수 감지부(11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카 내부의 인원수를 확인한다(S20).
이어서, 제어반(200)은 상기 스텝(S20)에서 확인된 카 내부의 인원수가 설정된 인원수 이상이 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S30).
상기 스텝(S30)에서 확인된 카 내부의 인원수가 상기 설정된 인원수 이상이 되면(YES), 제어반(200)에서 카 내부 표시부(300) 및 정지된 층의 승강장 표시부(31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초과 인원수를 표시함과 아울러 하차 안내를 표시한다(S40).
이후, 제어반(200)은 카 도어 개/폐 감지부(10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카 도어의 닫힘을 확인하면(S50),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120)으로부터 승/하강 호출신호가 있는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S60).
상기 스텝(S60)에서 승/하강 호출신호가 있으면(YES), 제어반(200)은 호출된 승강장의 층을 확인하고(S70), 인원수 감지부(11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카 내부의 인원수를 확인한다(S80).
이후, 제어반(200)은 상기 스텝(S80)에서 확인된 카 내부의 인원수와 설정된 최대 탑승 가능 인원수의 차이에 의해 승차 가능 인원수를 산출한 후(S90), 호출된 층의 승강장 표시부(31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서 상기 스텝(S80)에서 확인된 현재의 카 내부의 승차 인원수 및 상기 스텝(S90)에서 산출된 승차 가능 인원수를 표시한다(S100).
상기 스텝(S100) 이후 상기 스텝(S10)으로 진행된다.
한편, 상기 스텝(S30)에서 확인된 카 내부 인원수가 설정된 인원수 미만이면(NO), 상기 스텝(S50)으로 진행된다.
한편, 상기 스텝(S60)에서 승/하강 호출신호가 없으면(NO), 본 스텝(S60)을 반복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카 내의 인원수 표시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개/폐 감지부에서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 개폐를 감지하고, 인원수 감지부에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카 내의 인원수를 감지하며, 엘리베이터 호출버튼에서 각층의 승강장에 설치되어 승/하강하기 위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며, 카 내부 표시부에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카 내부에 설치되어 초과 승차한 인원수와 초과 승차시 하차 안내를 문자 또는 음성으로 표시하며, 승강장 표시부에서 각층의 승강장에 설치되어 현재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승차 인원수 및 승차 가능 인원수를 문자 또는 음성으로 표시하며, 제어반이 상기 카 도어 개/폐 감지부로부터 상기 카 도어 개폐 감지신호를, 상기 인원수 감지부로부터 상기 카 내의 인원수 감지신호를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 호출버튼으로부터 승/하강 호출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상기 카 도어의 개방 및 닫힘, 상기 카 내의 인원수 및 호출된 승강장의 층을 각각 확인하여, 상기 카 내부 표시부 및 승강장 표시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람이 불필요하게 승강장에서 대기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효율적으로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도면과 명세서에는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으며,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카도어 개/폐 감지부
110: 인원수 감지부
120: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
200: 제어반
300: 카 내부 표시부
310: 승강장 표시부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 개폐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카 도어 개/폐 감지부;
    상기 엘리베이터의 카 내의 인원수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인원수 감지부;
    각층의 승강장에 설치되어 승/하강하기 위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 호출버튼;
    상기 엘리베이터의 카 내부에 설치되어 초과 승차한 인원수와 초과 승차시 하차 안내를 문자 또는 음성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 카 내부 표시부;
    각층의 승강장에 설치되어 현재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승차 인원수 및 승차 가능 인원수를 문자 또는 음성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 승강장 표시부;
    상기 카 도어 개/폐 감지부로부터 상기 카 도어 개폐 감지신호를, 상기 인원수 감지부로부터 상기 카 내의 인원수 감지신호를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 호출버튼으로부터 승/하강 호출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상기 카 도어의 개방 및 닫힘, 상기 카 내의 인원수 및 호출된 승강장의 층을 각각 확인하여, 상기 카 내부 표시부 및 승강장 표시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어반을 포함하며,
    상기 인원수 감지부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감지센서, 체온 감지센서, 영상 촬영 장치 및 무게 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엘리베이터 카 내의 인원수 표시 장치를 이용한 인원수 표시 방법으로서:
    카 도어 개/폐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카 도어의 개방을 확인하는 카 도어 개방 확인 단계;
    인원수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카 내부의 인원수를 확인하는 제 1 인원수 확인 단계;
    상기 제 1 인원수 확인 단계에서 확인된 카 내부 인원수가 설정된 인원수 이상이 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카 내부 인원수 결정 단계;
    상기 확인된 카 내부 인원수가 상기 설정된 인원수 이상이 되면, 카 내부 표시부 및 정지된 층의 승강장 표시부에서 초과 인원수 및 하차를 표시하는 제 1 표시 단계;
    상기 카 도어 개/폐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카 도어의 닫힘을 확인하는 카 도어 닫힘 확인 단계;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으로부터 승/하강 호출신호가 있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호출 여부 결정 단계;
    상기 승/하강 호출신호가 있으면 호출된 승강장의 층을 확인하는 승강장 층 확인 단계;
    상기 인원수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카 내부의 인원수를 확인하는 제 2 인원수 확인 단계;
    상기 제 2 인원수 확인 단계에서 확인된 카 내부의 인원수와 설정된 최대 탑승 가능 인원수의 차이에 의해 승차 가능 인원수를 산출하는 승차 가능 인원수 산출 단계; 및
    상기 호출된 층의 승강장 표시부에서 상기 제 2 인원수 확인 단계에서 확인된 현재의 승차 인원수 및 상기 승차 가능 인원수 산출 단계에서 산출된 승차 가능 인원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 내의 인원수 표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카 내부 인원수 결정 단계에서 확인된 카 내부 인원수가 설정된 인원수 미만이면 상기 카 도어 닫힘 확인 단계로 진행되는, 엘리베이터 카 내의 인원수 표시 방법.
KR1020170075113A 2017-06-14 2017-06-14 엘리베이터 카 내의 인원수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2021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113A KR102021373B1 (ko) 2017-06-14 2017-06-14 엘리베이터 카 내의 인원수 표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113A KR102021373B1 (ko) 2017-06-14 2017-06-14 엘리베이터 카 내의 인원수 표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318A KR20180136318A (ko) 2018-12-24
KR102021373B1 true KR102021373B1 (ko) 2019-09-16

Family

ID=65010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113A KR102021373B1 (ko) 2017-06-14 2017-06-14 엘리베이터 카 내의 인원수 표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3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118B1 (ko) * 2021-02-04 2021-06-04 (주)에이앤티코리아 엘리베이터카의 만실 감시 및 운행제어 카메라 시스템
KR20240047089A (ko) 2022-10-04 2024-04-12 도의곤 엘리베이터 운행 상황 인지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1727A (ja) * 2004-06-21 2006-01-0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3172U (ko) * 1994-05-10 1995-12-16 엘리베이터의 부하상태 표시장치
KR980001788A (ko) * 1996-06-05 1998-03-30 이종수 엘리베이터 부하검출 예보장치 및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1727A (ja) * 2004-06-21 2006-01-0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318A (ko) 201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30279B1 (en) Elevator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ng elevator
EP2610202B1 (en) Monitor control device for elevator
US20180354746A1 (en) Hand detection for elevator operation
JP4842134B2 (ja) エレベータ監視システム
WO2006112194A1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5911339B2 (ja) エレベータの救出運転支援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021373B1 (ko) 엘리베이터 카 내의 인원수 표시 장치 및 방법
JP2014133641A (ja) エレベータ運転制御装置
EP2107030A1 (en) Elevator control system
JP2015020871A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JP2003276964A (ja) エレベータの火災時救出運転装置
KR20070088315A (ko) 엘리베이터 방범 장치
JP5562390B2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0184774A (ja) エレベータ装置
CN203806888U (zh) 电梯厅外满员显示装置
JP2014028674A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3309103A1 (en) Method for occupant evacuation operation utilizing multi-compartment elevators
JP2016150823A (ja) エレベータ点検装置
JP5781056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JP6729619B2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2014136624A (ja) エレベーター運転制御システム
JP5951687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KR10256272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EP3301054B1 (en) Optimized occupant evacuation operation by utilizing remaining capacity for multi-copartment elevators
JP5955517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