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241B1 - 온도에 따른 압연 코일의 찌그러짐 방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온도에 따른 압연 코일의 찌그러짐 방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241B1
KR102021241B1 KR1020180123682A KR20180123682A KR102021241B1 KR 102021241 B1 KR102021241 B1 KR 102021241B1 KR 1020180123682 A KR1020180123682 A KR 1020180123682A KR 20180123682 A KR20180123682 A KR 20180123682A KR 102021241 B1 KR102021241 B1 KR 102021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applying
hot rolled
coil
rolled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길
도형협
박봉준
송치웅
신영문
정현묵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3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2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6Special arrangements with regard to simultaneous or subsequent treatment of the material
    • G06F17/5009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에 따른 압연 코일의 찌그러짐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압연 코일을 생산할 강종에 대한 특성 정보를 입력 받는 강종 정보 입력부; 상기 강종 정보 입력부를 통해 열연 코일을 생산할 강종에 대한 특성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강종에 대한 특성 정보를 이용해 열연 코일을 모사하는 제어부; 상기 모사한 열연 코일에 지정된 자중 압력을 인가하는 자중 압력 인가부; 상기 모사한 열연 코일에 자중 압력을 인가할 때 복수의 권취온도 구간에 대응하는 온도를 인가하는 온도 인가부; 및 시뮬레이션 시간 동안 상기 모사된 열연 코일이 찌그러지는지 체크하고, 찌그러지는 경우에 시간의 경과에 따른 찌그러짐량이나 변형량을 측정하는 찌그러짐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시뮬레이션 시간 동안에 총변형량이 기 지정된 기준값보다 작을 때의 온도를 해당 강종에 대한 안정 권취온도로 설정한다.

Description

온도에 따른 압연 코일의 찌그러짐 방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TING DEFORMATION OF ROLLED STEEL PLATE ACCORDING TO TEMPERATURE}
본 발명은 온도에 따른 압연 코일의 찌그러짐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권취기에서 압연 코일을 빼낼 때 자중에 의한 찌그러짐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권취온도를 예측하여 상기 권취온도에 의해 압연 코일을 권취함으로써 찌그러짐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에 따른 압연 코일의 찌그러짐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간압연 시 열연 소재인 강판은 압연한 후 냉각을 하고, 권취기(coiler)에서 코일링 함으로써 열연코일로 제조되는데, 상기 강판 소재인 슬라브를 열간 압연기에서 소정의 두께로 압연한 뒤 냉각 시스템이 구비된 런 아웃 테이블(Run-Out Table : ROT)에서 적정 온도까지 냉각하여 상변태 시킨 후, 두루마리 코일 형태로 권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열연공정을 거쳐 권취된 코일은 코일 야적장으로 옮겨져 대기중에 방치되고 상온까지 냉각되어 제품화된다.
상기와 같이 압연이 완료된 열연 코일에 발생할 수 있는 형상 결함 중 대표적인 것이 코일 짱구(중력 방향 찌그러짐)이다.
여기서 코일 짱구란, 코일 내외경이 진원이 아닌 타원으로 변한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코일에 발생하는 짱구는 야적장에서 발생할 수도 있으나, 통상적으로는 야적장에서 냉각중 발생되는 것보다는 권취기에서 코일링된 압연 코일을 빼낼 때 주로 발생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3-0042798호(2003.06.02.공개, 고탄소강 열연코일의 짱구코일 발생 방지를 위한 저온압연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권취기에서 압연 코일을 빼낼 때 자중에 의한 찌그러짐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권취온도를 예측하여 상기 권취온도에 의해 압연 코일을 권취함으로써 찌그러짐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에 따른 압연 코일의 찌그러짐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온도에 따른 압연 코일의 찌그러짐 방지 장치는, 압연 코일을 생산할 강종에 대한 특성 정보를 입력 받는 강종 정보 입력부; 상기 강종 정보 입력부를 통해 열연 코일을 생산할 강종에 대한 특성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강종에 대한 특성 정보를 이용해 열연 코일을 모사하는 제어부; 상기 모사한 열연 코일에 지정된 자중 압력을 인가하는 자중 압력 인가부; 상기 모사한 열연 코일에 자중 압력을 인가할 때 복수의 권취온도 구간에 대응하는 온도를 인가하는 온도 인가부; 및 시뮬레이션 시간 동안 상기 모사된 열연 코일이 찌그러지는지 체크하고, 찌그러지는 경우에 시간의 경과에 따른 찌그러짐량이나 변형량을 측정하는 찌그러짐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시뮬레이션 시간 동안에 총변형량이 기 지정된 기준값보다 작을 때의 온도를 해당 강종에 대한 안정 권취온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시뮬레이션을 통해 설정한 권취온도를 지정된 정보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거나, 실제 권취기에 인가하여 권취온도를 직접 설정하는 권취온도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사한 열연 코일에 지정된 자중 압력을 인가할 때, 미리 지정된 복수의 온도를 인가하여 반복적으로 미리 지정된 시뮬레이션 시간 동안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찌그러짐량은, 강종에 따라 권취온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권취온도가 낮을수록 짱구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권취온도가 높을수록 짱구 발생 가능성이 낮아지거나, 반대로 권취온도가 높을수록 짱구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권취온도가 낮을수록 짱구 발생 가능성이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온도에 따른 압연 코일의 찌그러짐 방지 방법은, 제어부가 강종 정보 입력부를 통해 압연 코일을 생산할 강종에 대한 특성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강종 정보 입력부를 통해 열연 코일을 생산할 강종에 대한 특성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강종에 대한 특성 정보를 이용해 열연 코일을 모사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자중 압력 인가부를 통해 상기 모사한 열연 코일에 지정된 자중 압력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사한 열연 코일에 자중 압력을 인가할 때 온도 인가부를 통해 복수의 권취온도 구간에 대응하는 온도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시뮬레이션 시간 동안 상기 모사된 열연 코일이 찌그러지는지 체크하고, 찌그러지는 경우에 찌그러짐 검출부를 통해 시간의 경과에 따른 찌그러짐량이나 변형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시뮬레이션 시간 동안에 총변형량이 기 지정된 기준값보다 작을 때의 온도를 해당 강종에 대한 안정 권취온도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해당 강종에 대한 안정 권취온도로 설정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시뮬레이션을 통해 설정한 권취온도를 지정된 정보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거나, 실제 권취기에 인가하여 권취온도를 직접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사한 열연 코일에 지정된 자중 압력을 인가할 때, 상기 제어부는, 미리 지정된 복수의 온도를 인가하여 반복적으로 미리 지정된 시뮬레이션 시간 동안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찌그러짐량은, 강종에 따라 권취온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권취온도가 낮을수록 짱구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권취온도가 높을수록 짱구 발생 가능성이 낮아지거나, 반대로 권취온도가 높을수록 짱구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권취온도가 낮을수록 짱구 발생 가능성이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권취기에서 압연 코일을 빼낼 때 자중에 의한 찌그러짐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권취온도를 예측하여 상기 권취온도에 의해 압연 코일을 권취함으로써 찌그러짐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에 따른 압연 코일의 찌그러짐 방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에 따른 압연 코일의 찌그러짐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흐름도.
도 3은 일반적으로 권취기에 감겨있는 열연 코일과 권취기에서 빼내 이송 절차를 진행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사된 열연 코일과 이 모사된 열연 코일에 자중 압력을 인가하여 코일이 좌굴되는 권취온도 구간 물성을 모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일 강종의 열연 코일에 대한 권취온도에 따른 찌그러짐량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하여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 크립 물성 평가를 위한 글리블 장치를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도에 따른 압연 코일의 찌그러짐 방지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에 따른 압연 코일의 찌그러짐 방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온도에 따른 압연 코일의 찌그러짐 방지 장치는, 강종 정보 입력부(110), 자중 압력 인가부(120), 온도 인가부(130), 제어부(140), 타이머부(150), 찌그러짐 검출부(160), 및 권취온도 출력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강종 정보 입력부(110)는 압연 코일을 생산할 강종에 대한 특성 정보를 입력 받는다.
예컨대 이미 압연 코일을 생산하고 있는 강종의 경우에는 오랜 시간 동안에 축적된 경험치에 의해 찌그러짐(즉, 짱구)이 발생하지 않는 공정 조건이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새로운 강종을 이용하여 압연 코일을 생산하고자 할 경우에는 그동안 축적된 경험치가 없기 때문에 찌그러짐(즉, 짱구)이 발생하지 않는 안정적인 공정 조건이 정립되기 전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이러한 압연 코일 생산 시행착오를 가능한 한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참고로 열연 코일은 수백m 수준의 mm단위 두께 판을 권취기를 통한 연속적인 감기를 통해 실린더 타입의 20톤 내외의 중량을 지닌 내경이 뚤린 형태로 생산된다(도 3의 (a) 참조).
이때 열연 코일은 권취전 ROT(Run Out Table)라는 냉각대를 거쳐 권취되는데, 냉각 중 혹은 권취 후 약한 하중에도 불구하고 서서히 좌굴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를 보통 짱구(asymmetric contraction, slumping, collapse)라고 하며, 이 현상은 쉽게 설명하면 상변태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권취 후 냉각 중 좌굴 등 영구변형이 일어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열연 코일 생산 완료 후 이송 및 차공정 투입에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즉, 크레인 등으로 코일 내경을 지지하여 이송 등 절차를 진행함에 있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도 3의 (b) 참조).
도 3은 일반적으로 권취기에 감겨있는 열연 코일과 권취기에서 빼내 이송 절차를 진행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이다.
특히 새로운 강종을 이용하여 압연 코일을 생산하고자 할 경우, 기존에는 새로운 강종에 대하여 그동안 축적된 경험치가 없기 때문에 찌그러짐(즉, 짱구)이 발생하지 않는 안정적인 공정 조건이 정립되기 전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러한 새로운 강종에 의한 압연 코일 생산 시행착오를 가능한 한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강종 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열연 코일을 생산할 강종에 대한 특성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강종에 대한 특성 정보를 이용해 열연 코일을 모사한다(도 4의 (a) 참조).
상기 자중 압력 인가부(120)는 상기 제어부(140)가 모사한 열연 코일에 미리 지정된 압력(즉, 자중 압력)을 인가한다.
이때 상기 자중 압력 인가부(120)는 실제 열연 코일에 압력(즉, 자중 압력)을 인가하는 것이 아니라,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모사한 열연 코일에 지정된 압력(즉, 자중 압력)을 인가한다(도 4의 (b) 참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사된 열연 코일과 이 모사된 열연 코일에 자중 압력을 인가하여 코일이 좌굴되는 권취온도 구간 물성을 모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즉,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사된 열연 코일의 하부에 자중에 의한 응력이 인가되는 상태를 시뮬레이션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상기 온도 인가부(130)는 상기 모사된 열연 코일에 자중 압력을 인가할 때 복수의 권취온도 구간에 대응하는 온도(즉, 가상의 온도)를 인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모사된 열연 코일에 자중 압력을 인가할 때 미리 지정된 복수의 온도(즉, 복수의 권취온도)를 인가하여 반복적으로 지정된 시간 동안(예 : 200초)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다만 상기 시뮬레이션 시간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지정된 시간 권취기에서 빼낸 열연 코일이 대기하고 있는 시간에 해당한다. 즉, 이 시간 동안 찌그러짐(즉, 짱구)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계속해서 안정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타이머부(150)는 상기 시뮬레이션 시간(예 : 200초)을 체크한다.
상기 찌그러짐 검출부(160)는 상기 시뮬레이션 시간 동안 상기 모사된 열연 코일이 좌굴(즉, 찌그러짐)되는지 체크하고, 좌굴(즉, 찌그러짐)되는 경우에 시간의 경과에 따른 좌굴량(즉, 찌그러짐량)을 측정한다.
이때 상기 좌굴량(즉, 찌그러짐량)은 권취온도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다(도 5 참조). 예컨대 동일한 강종에 대해서 도 5의 (a)는 온도(즉, 권취온도 T1)를 가장 낮게(예 : 620도) 설정한 경우로서 총변형량(즉, 찌그러짐량)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즉, 짱구 발생 高), 도 5의 (b)는 온도(즉, 권치온도 T2)를 조금 더 높게(예 : 700도) 설정한 경우로서 총변형량(즉, 찌그러짐량)이 조금 낮게 나타났으며(즉, 짱구 발생 低), 도 5의 (c)는 온도(즉, 권치온도 T3)를 가장 높게(예 : 800도) 설정한 경우로서 총변형량(즉, 찌그러짐량)이 가장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즉, 짱구 미발생).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일 강종의 열연 코일에 대한 권취온도에 따른 찌그러짐량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다만 상기 시뮬레이션에서는 온도(즉, 권취온도)가 낮을수록 짱구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온도(즉, 권취온도)가 높을수록 짱구 발생 가능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다른 강종에서는 반대로 온도(즉, 권취온도)가 높을수록 짱구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온도(즉, 권취온도)가 낮을수록 짱구 발생 가능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이때 상기 짱구 미발생의 판단은 지정된 시간 동안의 상기 총변형량이 기 지정된 기준값보다 작은지 여부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시뮬레이션 시간 동안에 총변형량이 기 지정된 기준값보다 작을 때(즉, 짱구 미발생으로 판단될 때)의 온도를 해당 강종에 대한 권취온도로 설정한다. 즉, 상기 설정된 권취온도로 실제 열연 코일을 권취할 경우에 권취기에서 열연 코일을 빼내더라도 자중에 의한 찌그러짐(즉, 짱구)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권취온도 출력부(170)는 상기 시뮬레이션을 통해 설정한(즉, 시뮬레이션을 통해 산출한) 온도를 지정된 정보 출력 수단(예 : 모니터 등)을 통해 출력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구성요소(110 ~ 160)를 별도의 기능을 가진 수단으로서 설명하였으나, 실질적으로는 상기 제어부(140)가 상기 구성요소(110 ~ 160)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씨피유(CPU)를 포함하는 컴퓨터나 서버 형태로 구현되거나, 압축 클립(Creep) 물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글리블(GLEEBLE)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도 6 참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에 따른 압연 코일의 찌그러짐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강종 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압연 코일을 생산할 강종에 대한 특성 정보를 입력 받는다(S101).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강종 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열연 코일을 생산할 강종에 대한 특성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강종에 대한 특성 정보를 이용해 열연 코일을 모사하고, 자중 압력 인가부(120)를 통해 상기 모사한 열연 코일에 미리 지정된 압력(즉, 자중 압력)을 인가한다(S102).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모사된 열연 코일에 자중 압력을 인가할 때, 온도 인가부(130)를 통해 복수의 권취온도 구간에 대응하는 온도(즉, 가상의 온도)를 인가한다(S103).
즉,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모사된 열연 코일에 자중 압력을 인가할 때 미리 지정된 복수의 온도(즉, 복수의 권취온도)를 인가하여 반복적으로 지정된 시간(즉, 시뮬레이션 시간) 동안(예 : 200초)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지정된 시간 권취기에서 빼낸 열연 코일이 대기하고 있는 시간에 해당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시간에 따른 찌그러짐을 측정한다(S104).
즉, 상기 찌그러짐 검출부(160)는 상기 시뮬레이션 시간 동안 상기 모사된 열연 코일이 좌굴(즉, 찌그러짐)되는지 체크하고, 좌굴(즉, 찌그러짐)되는 경우에 시간의 경과에 따른 좌굴량(즉, 찌그러짐량)을 측정한다.
참고로 상기 좌굴량(즉, 찌그러짐량)은 설정 온도(즉, 권취온도)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다(도 5 참조).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지정된 시뮬레이션 시간이 경과되지 않을 경우(S105의 아니오), 상기 자중 압력의 인가 단계(S102), 온도 인가 단계(S103), 및 시간에 따른 찌그러짐 측정 단계(S104)는 미리 지정된 시뮬레이션 시간 동안 반복된다(S102 ~ S105).
한편 상기 제어부(140)는 지정된 시뮬레이션 시간이 경과될 경우(S105의 예), 상기 측정된 찌그러짐량에 기초하여 안정 권취온도를 판단한다(S106)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시뮬레이션 시간 동안에 총변형량이 기 지정된 기준값보다 작을 때(즉, 짱구 미발생으로 판단될 때)의 온도를 해당 강종에 대한 안정 권취온도로 설정한다. 즉, 상기 안정 권취온도로 실제 열연 코일을 권취할 경우에 권취기에서 열연 코일을 빼내더라도 자중에 의한 찌그러짐(즉, 짱구)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다만 상기 안정 권취온도는 열연 코일을 생산할 강종에 따라, 온도(즉, 권취온도)가 낮을수록 짱구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온도(즉, 권취온도)가 높을수록 짱구 발생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으며, 반대로 온도(즉, 권취온도)가 높을수록 짱구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온도(즉, 권취온도)가 낮을수록 짱구 발생 가능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안정 권취온도에 의해 실제 권취기의 권취온도를 설정함으로써(S107), 상기 설정된 권취온도로 실제 열연 코일을 권취할 경우에 권취기에서 열연 코일을 빼내더라도 자중에 의한 찌그러짐(즉, 짱구)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다만 상기 설정된 권취온도로 실제 권취기의 권취온도를 곧바로 설정하지 않고, 권취온도 출력부(170)를 통해 상기 시뮬레이션을 통해 설정한(즉, 시뮬레이션을 통해 산출한) 온도를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게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권취기에서 압연 코일을 빼낼 때 자중에 의한 찌그러짐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권취온도를 예측하여 상기 권취온도에 의해 압연 코일을 권취함으로써 찌그러짐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 강종 정보 입력부
120 : 자중 압력 인가부
130 : 온도 인가부
140 : 제어부
150 : 타이머부
160 : 찌그러짐 검출부
170 : 권취온도 출력부

Claims (8)

  1. 압연 코일을 생산할 강종에 대한 특성 정보를 입력 받는 강종 정보 입력부;
    상기 강종 정보 입력부를 통해 열연 코일을 생산할 강종에 대한 특성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강종에 대한 특성 정보를 이용해 열연 코일을 모사하는 제어부;
    상기 모사한 열연 코일에 지정된 자중 압력을 인가하는 자중 압력 인가부;
    상기 모사한 열연 코일에 자중 압력을 인가할 때 복수의 권취온도 구간에 대응하는 온도를 인가하는 온도 인가부; 및
    시뮬레이션 시간 동안 상기 모사된 열연 코일이 찌그러지는지 체크하고, 찌그러지는 경우에 시간의 경과에 따른 찌그러짐량이나 변형량을 측정하는 찌그러짐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시뮬레이션 시간 동안에 총변형량이 기 지정된 기준값보다 작을 때의 온도를 해당 강종에 대한 안정 권취온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에 따른 압연 코일의 찌그러짐 방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을 통해 설정한 권취온도를 지정된 정보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거나, 실제 권취기에 인가하여 권취온도를 직접 설정하는 권취온도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에 따른 압연 코일의 찌그러짐 방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사한 열연 코일에 지정된 자중 압력을 인가할 때,
    미리 지정된 복수의 온도를 인가하여 반복적으로 미리 지정된 시뮬레이션 시간 동안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에 따른 압연 코일의 찌그러짐 방지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찌그러짐량은,
    강종에 따라 권취온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권취온도가 낮을수록 짱구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권취온도가 높을수록 짱구 발생 가능성이 낮아지거나,
    반대로 권취온도가 높을수록 짱구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권취온도가 낮을수록 짱구 발생 가능성이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에 따른 압연 코일의 찌그러짐 방지 장치.
  5. 제어부가 강종 정보 입력부를 통해 압연 코일을 생산할 강종에 대한 특성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강종 정보 입력부를 통해 열연 코일을 생산할 강종에 대한 특성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강종에 대한 특성 정보를 이용해 열연 코일을 모사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자중 압력 인가부를 통해 상기 모사한 열연 코일에 지정된 자중 압력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사한 열연 코일에 자중 압력을 인가할 때 온도 인가부를 통해 복수의 권취온도 구간에 대응하는 온도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시뮬레이션 시간 동안 상기 모사된 열연 코일이 찌그러지는지 체크하고, 찌그러지는 경우에 찌그러짐 검출부를 통해 시간의 경과에 따른 찌그러짐량이나 변형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시뮬레이션 시간 동안에 총변형량이 기 지정된 기준값보다 작을 때의 온도를 해당 강종에 대한 안정 권취온도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에 따른 압연 코일의 찌그러짐 방지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강종에 대한 안정 권취온도로 설정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시뮬레이션을 통해 설정한 권취온도를 지정된 정보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하거나, 실제 권취기에 인가하여 권취온도를 직접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에 따른 압연 코일의 찌그러짐 방지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모사한 열연 코일에 지정된 자중 압력을 인가할 때,
    상기 제어부는,
    미리 지정된 복수의 온도를 인가하여 반복적으로 미리 지정된 시뮬레이션 시간 동안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에 따른 압연 코일의 찌그러짐 방지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찌그러짐량은,
    강종에 따라 권취온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권취온도가 낮을수록 짱구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권취온도가 높을수록 짱구 발생 가능성이 낮아지거나,
    반대로 권취온도가 높을수록 짱구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권취온도가 낮을수록 짱구 발생 가능성이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에 따른 압연 코일의 찌그러짐 방지 방법.
KR1020180123682A 2018-10-17 2018-10-17 온도에 따른 압연 코일의 찌그러짐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2021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682A KR102021241B1 (ko) 2018-10-17 2018-10-17 온도에 따른 압연 코일의 찌그러짐 방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682A KR102021241B1 (ko) 2018-10-17 2018-10-17 온도에 따른 압연 코일의 찌그러짐 방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1241B1 true KR102021241B1 (ko) 2019-09-11

Family

ID=67949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682A KR102021241B1 (ko) 2018-10-17 2018-10-17 온도에 따른 압연 코일의 찌그러짐 방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2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83364A (zh) * 2020-08-26 2020-11-24 西南交通大学 绕组轴向移位下振荡波测试平台及测评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4820A (ja) * 1997-05-21 1998-12-02 Nippon Steel Corp 線材捲取温度制御方法
JP2004344934A (ja) * 2003-05-22 2004-12-09 Daido Steel Co Ltd 圧延加工の金属組織予測方法
KR100643372B1 (ko) * 2005-12-21 2006-11-10 주식회사 포스코 냉연 압연 공정의 판파단 예측 경고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45158A (ko) * 2005-10-26 2007-05-02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권취 온도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JP2010214464A (ja) * 2009-03-19 2010-09-30 Hitachi Ltd 熱間圧延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および圧延履歴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
KR20120044119A (ko) * 2010-10-27 2012-05-07 현대제철 주식회사 열연코일의 형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다단냉각방법
KR20140081575A (ko) * 2012-12-21 2014-07-01 주식회사 포스코 권취 코일의 변형 방지를 위한 냉각 제어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코일의 권취 방법
KR20160142956A (ko) * 2015-06-03 2016-12-14 동국제강주식회사 열간압연용 압연롤 냉각장치 및 압연롤 냉각수량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4820A (ja) * 1997-05-21 1998-12-02 Nippon Steel Corp 線材捲取温度制御方法
JP2004344934A (ja) * 2003-05-22 2004-12-09 Daido Steel Co Ltd 圧延加工の金属組織予測方法
KR20070045158A (ko) * 2005-10-26 2007-05-02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권취 온도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0643372B1 (ko) * 2005-12-21 2006-11-10 주식회사 포스코 냉연 압연 공정의 판파단 예측 경고장치 및 그 방법
JP2010214464A (ja) * 2009-03-19 2010-09-30 Hitachi Ltd 熱間圧延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および圧延履歴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
KR20120044119A (ko) * 2010-10-27 2012-05-07 현대제철 주식회사 열연코일의 형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다단냉각방법
KR20140081575A (ko) * 2012-12-21 2014-07-01 주식회사 포스코 권취 코일의 변형 방지를 위한 냉각 제어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코일의 권취 방법
KR20160142956A (ko) * 2015-06-03 2016-12-14 동국제강주식회사 열간압연용 압연롤 냉각장치 및 압연롤 냉각수량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83364A (zh) * 2020-08-26 2020-11-24 西南交通大学 绕组轴向移位下振荡波测试平台及测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32779B2 (ja) 継目無管の製造方法、継目無管の製造装置、偏肉情報導出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hen et al. Calculation of rolling pressure distribution and force based on improved Karman equation for hot strip mill
JP2007216246A (ja) 熱間圧延における金属帯の形状制御方法
KR102021241B1 (ko) 온도에 따른 압연 코일의 찌그러짐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446367B1 (ko) 균일한 특성을 위한 권취 방법
Pastor et al. Residual stresses and initial imperfections in non-linear analysis
KR20120138237A (ko) 금속 코일 적재 방법 및 적재 장치
JP4701742B2 (ja) 金属帯の形状予測方法ならびに予測形状に基づく形状判定方法および形状矯正方法
Yang et al. Experimental study and numerical simulation of pipe-on-pipe impact
JP4988916B2 (ja) 熱間圧延ストリップの巻取方法及び巻取装置
JP5971293B2 (ja) 調質圧延機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2016215219A (ja) コイル挿入装置及びコイル挿入方法
JP2955420B2 (ja) 極薄ステンレス鋼帯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Ganguly et al. Modeling and simulation of void closure during steckel mill rolling for steel plate
JP6295932B2 (ja) 金属帯の形状制御方法及び形状制御装置
Pschera et al. Modelling the Forming Limit during Cross‐Rolling of Seamless Pipes Using a Modified Continuum Damage Mechanics Approach
Hinton et al. An airy function to rapidly predict stresses in wound metal strip having asymmetric thickness profile
JP2009034705A (ja) 熱間ローラ矯正における被矯正材の降伏応力および弾性係数の推定方法ならびにローラレベラの操業方法
JP7294228B2 (ja) 圧延支援モデルの生成方法、圧延支援方法、継目無鋼管の製造方法、機械学習装置、及び圧延支援装置
JP2008068307A (ja) 条鋼材の熱間圧延方法
Ilmola et al. The effect of internal contact pressure on thermal contact conductance during coil cooling
JP5971292B2 (ja) 調質圧延機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6729181B2 (ja) 鋼板の形状矯正方法および形状矯正装置
Gergess et al. Curving structural steel girders by two-point bending
KR20090050651A (ko) 압연 조업자의 숙련도 향상을 위한 레벨링 시뮬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