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424B1 -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강판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강판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424B1
KR102020424B1 KR1020180019719A KR20180019719A KR102020424B1 KR 102020424 B1 KR102020424 B1 KR 102020424B1 KR 1020180019719 A KR1020180019719 A KR 1020180019719A KR 20180019719 A KR20180019719 A KR 20180019719A KR 102020424 B1 KR102020424 B1 KR 102020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ut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material removal
scr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9804A (ko
Inventor
최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019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424B1/ko
Publication of KR20190099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23C2/003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batch coating of substrate
    • C23C2/00322Details of mechanisms for immersing or removing substrate from molten liquid bath, e.g. basket or lifting mechanism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B08B1/005
    • B08B1/0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40Plates; Stri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은 가열로와 도금조 사이에 설치되어 피도금판을 통과시키는 스나우트에 구비되는 회동부재 및 상기 스나우트 내면에 접하며, 상기 회동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스나우트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는 스크래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금강판 제조장치는 가열로와 도금용액이 채워진 도금조 사이로 피도금판을 통과시켜 도금하는 도금강판 제조장치로서, 상기 가열로와 상기 도금조 사이에 연계되며 일단부가 상기 도금용액에 침지되어 상기 피도금판을 대기와 차단하는 스나우트 및 상기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강판 제조장치{Ash removing unit in snout and plated steel sheet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thereof}
본 발명은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강판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판, 특히 냉연강판 표면에 특정 용융금속, 예를 들어 용융아연 등을 도금하는 도금강판은 강판의 내식성 등이 우수하며, 그 외관도 미려하다.
특히, 근래에 들어 이와 같은 도금강판은 전자제품이나 자동차용 강판으로 사용되면서 보다 고품질의 도금 강판 제조에 대한 기술개발이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도금강판 등의 피도금판의 대표적인 도금공정은 연속 아연 도금 공정으로써, 예를 들어, 페이 오프 릴(Pay Off Reel)에서 풀린 피도금판이 용접기와 입측 루퍼를 거쳐 가열로(Furnace)에서 열처리 된 후, 용융아연 등의 도금용액이 충진된 도금조(Pot)를 통과하면서 도금이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가열로에서 열처리된 피도금판은 약 400℃ 이상의 고온 상태이기 때문에 대기 중에서 쉽게 산화될 수 있으며, 따라서 피도금판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대기와 접촉하지 않도록 스나우트(Snout)를 통과하여 도금조로 공급된다.
이때 스나우트는 용융아연도금 공정 중 고온으로 열처리가 된 강판(Strip)이 도금조에 인입되기 전, 강판 표면에 산화물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열로에서 도금조로 강판이 이동되는 경로에서 산소 농도 약 100ppm 이하의 무산소 분위기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도금조에서 발생되는 아연 증기 등의 도금용액 증기가 스나우트 내부로 침투하여 들어오게 되는데, 이에 의하여 스나우트 내부에 애쉬(Ash)라는 고착물 등이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애쉬는 스나우트 상부에 고착되어 응집되며, 응고물이 부피가 증가함에 따라 스나우트 내면에서 떨어지게 되고, 이렇게 탈락된 애쉬는 강판 표면으로 낙하여 강판에 애쉬부착 등의 결함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스나우트 표면에 고착된 애쉬를 제거를 하여, 두 가지 방법이 사용되었다.
첫번째로는 맥동파를 이용하여, 스나우트 외부에서 물리적인 힘으로 충격 또는 진동을 가하여 고착된 애쉬를 탈락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었고, 두번째로는 스나우트 내에 질소 등의 가스를 고압으로 공급하여 애쉬를 제거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진동 또는 가스를 이용하여 애쉬를 탈락시키는 기술이나, 이러한 기술들은 간접적으로 애쉬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애쉬를 탈락시키는 것으로 스나우트 내부의 애쉬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애쉬 제거가 완벽하게 이루어지기 위한 과도한 진동 또는 가스의 공급에 따라서는, 다른 구성들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장치 전체의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강판 제조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한국출원번호 제10-2006-0012438호
본 발명은 스나우트 내부의 애쉬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강판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접적으로 애쉬를 제거함에 따른 애쉬 제거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다른 구성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켜 장치 전체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강판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은 가열로와 도금조 사이에 설치되어 피도금판을 통과시키는 스나우트에 구비되는 회동부재 및 상기 스나우트 내면에 접하며, 상기 회동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스나우트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는 스크래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의 상기 스크래핑부재는, 상기 회동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스나우트 내면을 따라 이동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계되며, 상기 스나우트 내면에 일단부가 접하는 스크래퍼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의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스나우트 내면 중 적어도 상벽부 내면에 접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의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스나우트 내면에 접하는 일단부인 접촉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쐐기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의 상기 스크래퍼는, 종 방향에 대하여는 상기 스나우트 내면에 접하는 일단부인 접촉단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며, 횡 방향에 대하여는 상기 접촉단부의 양쪽 에지 부분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의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스나우트 내면에 접하는 일단부인 접촉단부에 인접하여 발열되는 열선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의 상기 스크래핑부재는, 상기 스크래퍼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삽입봉과, 상기 삽입봉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밀착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의 상기 삽입봉에는 상기 삽입홀에 내향하여 형성된 홀플랜지에 걸리도록 외향하여 형성되는 봉플랜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의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스나우트의 측벽부에 결합되며, 회전력이 제공되는 회전롤부, 상기 회전롤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스나우트의 측벽부에 결합되는 수동롤부 및 상기 회전롤부와 상기 수동롤부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스크래핑부재가 연결되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의 상기 이동부는, 체인 형태 또는 밸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의 상기 회전롤부는, 상기 수동롤부의 직경에 대응한 직경으로 구비되며, 일측이 상기 스나우트의 상벽부에 인접하고, 타측이 상기 스나우트의 하벽부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의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스나우트의 측벽부 외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의 상기 스크래핑부재는, 상기 스나우트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스나우트의 측벽부에 형성된 슬릿홀을 관통하여 상기 회동부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의 상기 회동부재를 감싸게 제공되며, 상기 회동부재가 구비된 영역을 무산소 환경으로 형성시키는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의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회동부재를 감싸며, 상기 스나우트의 외면에 결합되는 박스부 및 상기 박스부에 연결되며, 상기 박스부의 내부 영역에 산소가 결여된 분위기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의 상기 스크래핑부재는, 상기 스나우트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상기 회동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스나우트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금강판 제조장치는 가열로와 도금용액이 채워진 도금조 사이로 피도금판을 통과시켜 도금하는 도금강판 제조장치로서, 상기 가열로와 상기 도금조 사이에 연계되며 일단부가 상기 도금용액에 침지되어 상기 피도금판을 대기와 차단하는 스나우트 및 상기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강판 제조장치는 스나우트 내부의 애쉬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강판 제조장치는 직접적으로 애쉬를 제거함에 따른 애쉬 제거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다른 구성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켜 장치 전체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을 포함하는 도금강판 제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스나우트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의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에서 스크래핑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및 애쉬를 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부여된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1)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강판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나우트(2) 내부의 애쉬 등의 이물질(A)을 제거할 수 있으며, 더하여 직접적으로 스나우트(2) 내면에 고착된 애쉬를 제거함으로써 애쉬 제거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또한 다른 구성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켜 장치 전체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1)을 포함하는 도금강판 제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금강판 제조장치는 가열로(3)와 도금용액이 채워진 도금조(4) 사이로 피도금판(S)을 통과시켜 도금하는 도금강판 제조장치로서, 상기 가열로(3)와 상기 도금조(4) 사이에 연계되며 일단부가 상기 도금용액에 침지되어 상기 피도금판(S)을 대기와 차단하는 스나우트(2) 및 상기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의 도금강판 제조장치는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1)을 포함하여, 스나우트(2) 내면에 고착된 애쉬(Ash) 등의 이물질(A)을 직접적으로 스나우트(2)에서 탈락시킬 수 있어, 애쉬 등의 이물질(A) 제거 효율을 높이고, 종래의 기술에서 진동 또는 가스 분사에 의해서 애쉬 등을 제거함에 따라 다른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1)은 회동부재(100), 스크래핑부재(200) 등을 포함하여 상기 스나우트(2) 내면에 부착된 애쉬 등의 이물질(A)을 직접 긁어서 제거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스나우트(2)는 강판(strip) 등의 피도금판(S)이 통과하는 구성으로 가열로(3)와 도금조(4) 사이에서 이동되는 피도금판(S)이 산화되지 않도록 무산소 환경을 형성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스나우트(2)는 상기 가열로(3)와 도금조(4) 사이를 연결하게 구비되며, 상기 도금조(4)에는 아연용액 등의 피도금판(S)에 도금하기 위한 도금용액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로(3)는 상기 스나우트(2)를 통하여 상기 도금조(4)로 피도금판(S)을 전달하기 전에 상기 피도금판(S)을 열처리하게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1)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1)은 가열로(3)와 도금조(4) 사이에 설치되어 피도금판(S)을 통과시키는 스나우트(2)에 구비되는 회동부재(100) 및 상기 스나우트(2) 내면에 접하며, 상기 회동부재(100)에 연결되어 상기 스나우트(2)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는 스크래핑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원의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1)은 회동부재(100), 스크래핑부재(200) 등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스나우트(2) 내면에 부착된 애쉬 등의 이물질(A)을 직접 긁어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해서 상기 애쉬 등의 제거 효율을 높이고, 주변의 다른 구성에 진동 또는 가스 분사 등의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회동부재(100)는 상기 스크래핑부재(20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회동부재(100)는 상기 스크래핑부재(200)가 상기 애쉬 등을 긁을 때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회동부재(100)는 회전롤부(110), 수동롤부(120), 이동부(130)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스크래핑부재(200)는 상기 스나우트(2) 내면에 부착된 애쉬 등의 이물질(A)에 직접 접촉되어 상기 애쉬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스크래핑부재(200)는 상기 회동부재(100)에 연결되어 상기 스나우트(2) 내면을 따라 이동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스크래핑부재(200)는 지지프레임(210), 스크래퍼(220)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3,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더하여, 본원의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1)은 상기 회동부재(100) 등이 상기 스나우트(2) 외면에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스나우트(2) 내부의 밀폐 환경을 유지시키기 위해서, 실링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1)의 상기 회동부재(100)를 감싸게 제공되며, 상기 회동부재(100)가 구비된 영역을 무산소 환경으로 형성시키는 실링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산소 환경은 상기 피도금판(S)에 산화가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저산소인 환경을 의미하며, 일례로 산소 농도 약 100ppm 이하의 환경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상기 실링부재(300)가 상기 회동부재(100) 주변을 밀폐시키는 이유는, 상기 회동부재(100)는 상기 스나우트(2) 외면에 구비되고, 상기 회동부재(100)와 연결된 상기 스크래핑부재(200)는 스나우트(2) 내부에 제공되므로, 상기 스나우트(2)의 적어도 일부는 개공된 부분을 포함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실링부재(300)가 이러한 개공부를 포함한 상기 회동부재(100) 주변을 밀폐함으로써, 상기 스나우트(2) 내부의 밀폐 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실링부재(300)는 구체적으로 박스부(310), 가스공급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1)의 상기 실링부재(300)는, 상기 회동부재(100)를 감싸며, 상기 스나우트(2)의 외면에 결합되는 박스부(310) 및 상기 박스부(310)에 연결되며, 상기 박스부(310)의 내부 영역에 산소가 결여된 분위기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박스부(310)는 상기 회동부재(100)를 직접적으로 감싸게 구비되는 구성으로, 일례로 일측면이 상기 스나우트(2)에 결합되어 상기 스나우트(2)에 결합된 면만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박스부(310)는 상기 회동부재(100)에 상기 스크래핑부재(200)가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스나우트(2)에 형성되는 슬릿홀(2d)도 감싸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공급부(320)는 상기 회동부재(100)를 감싸는 상기 박스부(310)가 형성하는 공간에 질소 등의 산소가 결여된 분위기가스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의해서 상기 박스부(310) 내부의 환경은 무산소 환경을 형성하게 되어, 상기 스나우트(2) 내부의 무산소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도 3은 도 2에서 스나우트(2)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1)의 평면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1)의 상기 스크래핑부재(200)는, 상기 회동부재(100)에 결합되어 상기 스나우트(2) 내면을 따라 이동되는 지지프레임(210) 및 상기 지지프레임(210)에 연계되며, 상기 스나우트(2) 내면에 일단부가 접하는 스크래퍼(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상기 스나우트(2) 내면에 부착된 애쉬 등의 이물질(A)을 직접 긁어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210)은 상기 회동부재(100)의 구동력을 상기 스크래퍼(22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지지프레임(210)은 상기 회동부재(100)에 결합되며,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회동부재(100)의 체인 형태 또는 밸트 형태로 구비되는 이동부(130)에 결합되게 된다. 이러한 결합을 위해서 상기 지지프레임(210)은 상기 이동부(130)에 나사결합되거나, 본딩 또는 용접 등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210)은 상기 스나우트(2)의 양측에 구비되는 상기 회동부재(100)에 양단부가 결합되게 제공되어, 한 쌍의 상기 회동부재(100)가 동기화되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스나우트(2)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게 된다.
상기 스크래퍼(220)는 상기 스나우트(2) 내면에 부착된 애쉬 등에 직접 접촉하여 상기 애쉬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스크래퍼(220)는 상기 지지프레임(210)에 결합되어 상기 스나우트(2) 내면을 따라 이동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크래퍼(220)는 상기 애쉬 등의 제거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쐐기 형태, 일단부의 양측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단면이 역삼각형인 형태 등으로 제공될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1)의 상기 회동부재(100)는, 상기 스나우트(2)의 측벽부(2a) 외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100)가 상기 스나우트(2)의 외면에 형성됨에 의해서, 상기 회동부재(100)는 상기 스나우트(2) 내부의 아연 증기 등의 도금용액 증기에 의한 영향을 최대한 적게 받기 때문에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회동부재(100)는 상기 스나우트(2)의 외면에 결합되고, 상기 스크래핑부재(200)는 상기 스나우트(2)의 내부에 구비되므로, 상기 회동부재(100)와 상기 스크래핑부재(200)가 연결되기 위해서 상기 스크래핑부재(200)의 지지프레임(210)의 일부는 상기 스나우트(2)를 관통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스나우트(2)에는 슬릿홀(2d)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1)의 상기 스크래핑부재(200)는, 상기 스나우트(2)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스나우트(2)의 측벽부(2a)에 형성된 슬릿홀(2d)을 관통하여 상기 회동부재(100)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긴 홀인 슬릿홀(2d)로 형성되는 이유는 상기 스크래핑부재(200)가 직선 왕복 운동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스크래핑부재(200)는 상기 스나우트(2)의 내면을 따라 직선 왕복 운동을 하며, 이에 따라 상기 스나우트(2) 내면에 부착된 애쉬 등을 긁으면서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1)의 상기 스크래핑부재(200)는, 상기 스나우트(2)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상기 회동부재(100)와 결합되어, 상기 스나우트(2)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스크래핑부재(200)의 직선 왕복 운동에 따른 애쉬의 제거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스크래핑부재(200)의 스크래퍼(220)는 쐐기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일단부의 양측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단면이 역삼각형인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역삼각형 형태는 일단부 양측부 각각에서 애쉬 등을 긁어 내어, 애쉬 제거 효율을 높이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1)의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여기서, 도 4는 상기 회동부재(100)의 이동부(130)가 밸트 형태로 구비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상기 회동부재(100)의 이동부(130)가 체인 형태로 구비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1)의 상기 스크래퍼(220)는, 상기 스나우트(2) 내면 중 적어도 상벽부(2b) 내면에 접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스나우트(2) 내부에서 도금용액 증기에 의해서 형성되는 애쉬는 상기 스나우트(2)의 상벽부(2b) 내면에 대다수가 고착되기 때문에 상기 스나우트(2)의 상벽부(2b)를 상기 스크래퍼(220)가 긁도록 한정한 것이다.
이때 상기 회동부재(100)는 체인 형태 또는 밸트 형태로 폐루프를 형성하는 띠 형상의 이동부(130)에 결합되므로, 상기 스크래퍼(220)는 상기 스나우트(2)의 상벽부(2b)에 인접한 이동부(130)의 부분에 결합될 수도 있으나, 동일 구동력을 상기 스나우트(2) 하벽부(2c)에 고착되는 애쉬 등의 이물질(A)을 제거하기 위해서도 활용하기 위해서 상기 스나우트(2)의 하벽부(2c)에 인접한 이동부(130)의 부분에도 결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회동부재(100)의 회전롤부(11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이동부(130)가 폐루프를 형성하며 이동될 때 상기 스나우트(2)이 상벽부(2b) 내면 및 상기 스나우트(2)의 하벽부(2c) 내면 모두에 대하여 애쉬 등의 이물질(A) 제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상기 스크래퍼(220)는 상기 스나우트(2)의 측벽부(2a) 내면을 긁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1)의 상기 회동부재(100)는, 상기 스나우트(2)의 측벽부(2a)에 결합되며, 회전력이 제공되는 회전롤부(110), 상기 회전롤부(110)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스나우트(2)의 측벽부(2a)에 결합되는 수동롤부(120) 및 상기 회전롤부(110)와 상기 수동롤부(120)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스크래핑부재(200)가 연결되는 이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100)는 상기 스크래핑부재(200)를 상기 스나우트(2) 내면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애쉬 등을 긁어내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회전롤부(110)의 회전력을 상기 이동부(130)에 의해서 직선 운동으로 변형하여 상기 스크래핑부재(200)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130)는 상기 회전롤부(110)와 상기 수동롤부(120)에 띠 형태로 체결되어 상기 회전롤부(110)의 회전에 따라 캐터필러 또는 컨베이어처럼 구동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부(130)의 실시예로는 체인 형태 또는 밸트 형태가 있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1)의 상기 이동부(130)는, 체인 형태 또는 밸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부(130)가 밸트 형태인 경우에는 상기 회전롤부(110), 수동롤부(120)는 별도의 돌기를 포함하지 않는 롤러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상기 이동부(130)가 체인 형태인 경우에는 상기 회전롤부(110), 수동롤부(120)는 스프로킷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1)의 상기 회전롤부(110)는, 상기 수동롤부(120)의 직경에 대응한 직경으로 구비되며, 일측이 상기 스나우트(2)의 상벽부(2b)에 인접하고, 타측이 상기 스나우트(2)의 하벽부(2c)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스나우트(2)의 상벽부(2b) 및 하벽부(2c)에 인접하여 상기 이동부(130)가 이동할 수 있게 구비되며, 이에 따라 상기 이동부(130)에 결합된 스크래핑부재(200)는 상기 스나우트(2)의 상벽부(2b) 및 하벽부(2c) 모두에 대하여 애쉬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스나우트(2)의 상벽부(2b) 및 하벽부(2c)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이동부(130)가 체인 형태 또는 밸트 형태로 폐루프를 형성하는 띠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스크래핑부재(200)의 스크래퍼(220)는 상기 스나우트(2)의 상벽부(2b)에 인접한 이동부(130)의 부분에 결합될 수도 있으나, 동일 구동력을 상기 스나우트(2) 하벽부(2c)에 고착되는 애쉬 등의 이물질(A)을 제거하기 위해서도 활용하기 위해서 상기 스나우트(2)의 하벽부(2c)에 인접한 이동부(130)의 부분에도 결합되어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1)에서 스크래핑부재(200)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및 애쉬를 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여기서 도 6은 상기 스크래핑부재(200)의 스크래퍼(220)가 쐐기 형태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상기 스크래핑부재(200)의 스크래퍼(220)가 일단부의 양측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단면이 역삼각형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1)의 상기 스크래퍼(220)는, 상기 스나우트(2) 내면에 접하는 일단부인 접촉단부(221)로 갈수록 좁아지는 쐐기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크래퍼(220)는 상기 스나우트(2)의 내면에 접하는 일단부가 뾰족한 쐐기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스나우트(2)의 내면에 부착된 상기 애쉬와 상기 스나우트(2) 내면 사이에 침투하기 용이하기 때문에, 상기 애쉬 등의 이물 제거 효율을 높이게 된다.
또는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1)의 상기 스크래퍼(220)는, 종 방향에 대하여는 상기 스나우트(2) 내면에 접하는 일단부인 접촉단부(221)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며, 횡 방향에 대하여는 상기 접촉단부(221)의 양쪽 에지 부분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크래퍼(220) 형태는 단면이 개략적으로 역삼각형인 형태이고, 상기 스나우트(2) 내면에 접하는 상기 스크래퍼(220)의 일단부는 평평하고, 그 일단부의 양측부는 뾰죡한 형태가 된다. 이에 의하면 상기 스나우트(2) 내부에서 직선 왕복 이동되는 스크래퍼(220)의 이동 방향에 상관 없이 상기 스나우트(2) 내면에 부착된 애쉬 등의 이물질(A)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즉, 도 7의 (b)에 도시된 실시예로 설명하면, 좌측으로 갈때는 상기 스크래퍼(220)의 상단부의 좌측에 형성된 뾰족한 좌측부에 의해서 애쉬를 제거하게 되고, 우측으로 갈때는 상기 스크래퍼(220)의 상단부의 우측에 형성된 뾰족한 우측부에 의해서 애쉬를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스크래퍼(220)가 상기 애쉬 등을 제거할 때 상기 스나우트(2)의 내면에 부착된 애쉬의 탈락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스크래퍼(220)에는 열선(222)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1)의 상기 스크래퍼(220)는, 상기 스나우트(2) 내면에 접하는 일단부인 접촉단부(221)에 인접하여 발열되는 열선(22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상기 애쉬 등의 용융이 가능한 이물질(A)은 일부 용융 상태를 형성하여, 상기 스나우트(2) 내면에 대한 부착력을 저감시켜 탈락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열선(222)은 전기 저항에 의한 열선(222)일 수도 있고, 이를 위해서 상기 열선(222)은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래퍼(220)가 상기 애쉬 등의 이물질(A) 제거 효율을 높이려면 상기 스나우트(2) 내면과 상기 애쉬 사이의 틈으로 상기 스크래퍼(220)가 용이하게 침투해야 되는데, 이를 위해서 상기 스크래핑부재(200)는 밀착스프링(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1)의 상기 스크래핑부재(200)는, 상기 스크래퍼(220)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삽입봉(223)과, 상기 삽입봉(223)이 삽입되는 삽입홀(211)이 형성된 상기 지지프레임(210) 사이에 구비되는 밀착스프링(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밀착스프링(230)이 탄성력을 상기 스크래퍼(220)에 부여하여, 상기 스크래퍼(220)의 일단부를 상기 스나우트(2)의 내면에 밀착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상기 스크래퍼(220)는 상기 애쉬와 상기 스나우트(2) 내면의 틈으로 더욱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밀착스프링(230)에 의한 상기 스크래퍼(220)의 밀착 동작을 위해서, 상기 스크래퍼(220)의 삽입봉(223)에는 봉플랜지(224)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삽입홀(211)에는 홀플랜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1)의 상기 삽입봉(223)에는 상기 삽입홀(211)에 내향하여 형성된 홀플랜지(212)에 걸리도록 외향하여 형성되는 봉플랜지(2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홀플랜지(212)와 봉플랜지(224)는 상기 스크래퍼(220)를 일정 간격 상기 지지프레임(210)에 수용하거나 돌출하게 구성하면서도 상기 스크래퍼(220)의 완전한 이탈을 방지하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 2: 스나우트
3: 가열로 4: 도금조
100: 회동부재 110: 회전롤부
120: 수동롤부 130: 이동부
200: 스크래핑부재 210: 지지프레임
211: 삽입홀 212: 홀플랜지
220: 스크래퍼 221: 접촉단부
222: 열선 223: 삽입봉
224: 봉플랜지 230: 밀착스프링
300: 실링부재 310: 박스부
320: 가스공급부

Claims (17)

  1. 가열로와 도금조 사이에 설치되어 피도금판을 통과시키는 스나우트에 구비되는 회동부재; 및
    상기 스나우트 내면에 접하며, 상기 회동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스나우트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는 스크래핑부재;
    를 포함하는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핑부재는,
    상기 회동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스나우트 내면을 따라 이동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계되며, 상기 스나우트 내면에 일단부가 접하는 스크래퍼;
    를 포함하는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스나우트 내면 중 적어도 상벽부 내면에 접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
  4. 제2항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스나우트 내면에 접하는 일단부인 접촉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쐐기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는, 종 방향에 대하여는 상기 스나우트 내면에 접하는 일단부인 접촉단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며, 횡 방향에 대하여는 상기 접촉단부의 양쪽 에지 부분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
  6. 제2항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스나우트 내면에 접하는 일단부인 접촉단부에 인접하여 발열되는 열선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핑부재는,
    상기 스크래퍼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삽입봉과, 상기 삽입봉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밀착스프링;
    을 포함하는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봉에는 상기 삽입홀에 내향하여 형성된 홀플랜지에 걸리도록 외향하여 형성되는 봉플랜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스나우트의 측벽부에 결합되며, 회전력이 제공되는 회전롤부;
    상기 회전롤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스나우트의 측벽부에 결합되는 수동롤부; 및
    상기 회전롤부와 상기 수동롤부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스크래핑부재가 연결되는 이동부;
    를 포함하는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체인 형태 또는 밸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부는, 상기 수동롤부의 직경에 대응한 직경으로 구비되며, 일측이 상기 스나우트의 상벽부에 인접하고, 타측이 상기 스나우트의 하벽부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스나우트의 측벽부 외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핑부재는, 상기 스나우트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스나우트의 측벽부에 형성된 슬릿홀을 관통하여 상기 회동부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를 감싸게 제공되며, 상기 회동부재가 구비된 영역을 무산소 환경으로 형성시키는 실링부재;
    를 포함하는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회동부재를 감싸며, 상기 스나우트의 외면에 결합되는 박스부; 및
    상기 박스부에 연결되며, 상기 박스부의 내부 영역에 산소가 결여된 분위기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
    를 포함하는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핑부재는, 상기 스나우트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상기 회동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스나우트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
  17. 가열로와 도금용액이 채워진 도금조 사이로 피도금판을 통과시켜 도금하는 도금강판 제조장치로서,
    상기 가열로와 상기 도금조 사이에 연계되며 일단부가 상기 도금용액에 침지되어 상기 피도금판을 대기와 차단하는 스나우트; 및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
    을 포함하는 도금강판 제조장치.
KR1020180019719A 2018-02-20 2018-02-20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강판 제조장치 KR102020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719A KR102020424B1 (ko) 2018-02-20 2018-02-20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강판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719A KR102020424B1 (ko) 2018-02-20 2018-02-20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강판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804A KR20190099804A (ko) 2019-08-28
KR102020424B1 true KR102020424B1 (ko) 2019-09-10

Family

ID=67775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719A KR102020424B1 (ko) 2018-02-20 2018-02-20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강판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4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194B1 (ko) * 2022-04-25 2024-02-16 주식회사 포스코 스나우트의 드로스 제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5308A (ja) 2001-03-27 2002-10-03 Kawasaki Steel Corp 浴中ロール表面付着物除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3406A (ja) * 1995-05-30 1996-12-10 Kawasaki Steel Corp 熱処理ロールのスケール除去装置
KR100829802B1 (ko) * 2001-12-17 2008-05-16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욕조내 침전롤 표면 고착물 자동 제거장치
KR100608126B1 (ko) 2004-08-03 2006-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압축기
KR101387322B1 (ko) * 2011-12-14 2014-04-22 (주)포스코 스나우트 내부의 애쉬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5308A (ja) 2001-03-27 2002-10-03 Kawasaki Steel Corp 浴中ロール表面付着物除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804A (ko)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424B1 (ko) 스나우트의 이물 제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강판 제조장치
US3596043A (en) Method of seam welding overlapping workpieces
WO2009040234A3 (en) A device and a method for stabilization and visual monitoring of an elongated meallic strip
JP3784824B1 (ja) 電気メッキ処理システム
US2085737A (en) Can soldering machine
KR101987938B1 (ko) 용융아연 도금 설비의 롤 스크래퍼 장치
JP6093916B2 (ja) コンベヤベルトを電解研磨または電気めっき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387322B1 (ko) 스나우트 내부의 애쉬제거장치
JP2640797B2 (ja) 連続溶融メッキ用スナウト
JPH02305948A (ja) 連続溶融金属めっき用スナウト内部のドロス除去装置
JPH0211747A (ja) 連続溶融亜鉛めっき装置
JP2640795B2 (ja) 連続溶融メッキ用スナウト
JP3470416B2 (ja) 連続溶融金属めっき装置のスナウト
JPH0586446A (ja) 金属ストリツプに対する溶融金属メツキ方法
JP2895725B2 (ja) 溶融めっきドロス除去方法
JPH0683762U (ja) 溶融めっきシンクロールのスクレーパ装置
US1884842A (en) Can body soldering apparatus
JPS6120030Y2 (ko)
BE851025R (fr) Procede pour la galvanisation en continu des toles metalliques
JPH0516213Y2 (ko)
JPS6120027Y2 (ko)
KR100868434B1 (ko) 스트립의 도금층 제거장치
US2244236A (en) Method of solder tipping keys
JP5904338B2 (ja) ワイピングノズルの目詰り防止方法および目詰まり防止装置
JP2005236066A (ja) はんだ付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