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134B1 -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이것을 사용한 전선 및 와이어 하니스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이것을 사용한 전선 및 와이어 하니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134B1
KR102020134B1 KR1020177030019A KR20177030019A KR102020134B1 KR 102020134 B1 KR102020134 B1 KR 102020134B1 KR 1020177030019 A KR1020177030019 A KR 1020177030019A KR 20177030019 A KR20177030019 A KR 20177030019A KR 102020134 B1 KR102020134 B1 KR 102020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wire
less
aluminum alloy
alloy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0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0485A (ko
Inventor
다츠노리 시노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후지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후지꾸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후지꾸라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6/071976 external-priority patent/WO2017018439A1/ja
Publication of KR20170130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01B1/023Alloys based on alumi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C22C21/02Alloys based on aluminium with silicon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C22C21/06Alloys based on aluminium with magnesium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22C21/08Alloys based on aluminium with magnesium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with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4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02Single bars, rods, wires, or str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45Cable-harn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Si 를 0.15 질량% 이상 0.25 질량% 이하, Fe 를 0.6 질량% 이상 0.9 질량% 이하, Cu 를 0.05 질량% 이상 0.15 질량% 이하, Mg 를 0.3 질량% 이상 0.55 질량% 이하, Ti, V 및 B 를 합계로 0.015 질량% 이하 함유하고, 인장 강도가 170 MPa 이하이고, 평균 결정립경이 5 ㎛ 이하인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이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이것을 사용한 전선 및 와이어 하니스{ALUMINUM ALLOY CONDUCTIVE WIRE, ELECTRIC WIRE USING SAME, AND WIRE HARNESS}
본 발명은,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이것을 사용한 전선 및 와이어 하니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의 도어와 같이 개폐를 행하는 부분이나 자동차의 엔진 주위 등에서 사용되는 와이어 하니스의 전선에는, 도전선으로서 구리선 대신에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이 사용되도록 되어 왔다.
이와 같은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으로는, 예를 들어 Mg 와, Si 와, Cu, Fe, Cr, Mn 및 Zr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원소를 포함하고, 인장 강도가 150 MPa 이상이며 또한 최대 결정립경이 50 ㎛ 이하인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229485호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은, 내열 시험 후에 강도가 저하되어, 내열성 면에서 개선의 여지를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우수한 내열성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이것을 사용한 전선 및 와이어 하니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는, Si, Fe, Cu 및 Mg 의 함유율을 특정한 범위로 하고, Ti, V 및 B 의 합계 함유율을 특정한 값 이하로 하고, 인장 강도 및 평균 결정립경을 특정한 값 이하로 하는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알아냈다.
즉, 본 발명은, Si 를 0.15 질량% 이상 0.25 질량% 이하, Fe 를 0.6 질량% 이상 0.9 질량% 이하, Cu 를 0.05 질량% 이상 0.15 질량% 이하, Mg 를 0.3 질량% 이상 0.55 질량% 이하, Ti, V 및 B 를 합계로 0.015 질량% 이하 함유하고, 인장 강도가 170 MPa 이하이고, 평균 결정립경이 5 ㎛ 이하인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이다.
본 발명의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은, 우수한 내열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에 있어서는, Ti, V 및 B 의 합계 함유율이 0 질량%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에 있어서는, Ti, V 및 B 의 합계 함유율이 0 질량% 여도 된다.
상기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에 있어서는, 인장 강도가 130 MPa 이상 165 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에 있어서는, 인장 강도가 130 MPa 이상 165 MPa 이하이며 또한 평균 결정립경이 3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을 고온으로 가열한 후에 그 인장 강도가 과대해지는 것을 보다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을 갖는 전선이다.
이 전선에 의하면,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이 우수한 내열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우수한 내열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선을 복수 개 구비하는 와이어 하니스이다.
이 와이어 하니스는, 전선이 우수한 내열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우수한 내열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평균 결정립경」이란, 본 발명의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을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절단하고, 그 때 관찰되는 단면을, 집속 이온 빔 (Focused Ion Beam : FIB) 을 사용한 주사 이온 현미경 (Scanning Ion Microscope : SIM) 으로 관찰하고, 그 때 관찰되는 SIM 이미지에 서로 평행한 10 개의 직선을 긋고, 각 직선이 횡단하는 결정립의 수를 측정한 경우에, 이하의 식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평균 결정립경을 말한다.
평균 결정립경=10 × L/N
(상기 식 중, L 은 결정립을 횡단하고 있는 직선의 길이를 나타내고, N 은 전체 직선이 횡단한 결정립의 총수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인장 강도」는, JIS C3002 에 준거하여 실시되는 인장 시험에 의해 측정되는 인장 강도를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내열성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이것을 사용한 전선 및 와이어 하니스가 제공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전선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와이어 하니스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10) 은, Si (규소) 를 0.15 질량% 이상 0.25 질량% 이하, Fe (철) 를 0.6 질량% 이상 0.9 질량% 이하, Cu (구리) 를 0.05 질량% 이상 0.15 질량% 이하, Mg (마그네슘) 를 0.3 질량% 이상 0.55 질량% 이하, Ti (티탄), V (바나듐) 및 B (붕소) 를 합계로 0.015 질량% 이하 함유하고, 인장 강도가 170 MPa 이하이고, 평균 결정립경이 5 ㎛ 이하이다. 여기서, Si, Fe, Cu 및 Mg 의 함유율, 그리고 Ti, V 및 B 의 합계 함유율은,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10) 의 질량을 기준 (100 질량%) 으로 한 것이다.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10) 은, Si 를 0.15 질량% 이상 0.25 질량% 이하 함유한다. Si 의 함유율을 0.15 질량% 이상 0.25 질량% 이하로 하는 것은, Si 의 함유율이 0.15 질량% 미만인 경우와 비교해서 인장 강도과 연신을 양립시킬 수 있고, Si 의 함유율이 0.25 질량% 보다 많은 경우와 비교해서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10) 이 도전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Si 의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0.16 질량% 이상 0.22 질량% 이하이다.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10) 은, Fe 를 0.6 질량% 이상 0.9 질량% 이하 함유한다. Fe 의 함유율을 0.6 질량% 이상 0.9 질량% 로 하는 것은, Fe 의 함유율이 0.6 질량% 미만인 경우와 비교해서 인장 강도과 연신을 양립시킬 수 있고, Fe 의 함유율이 0.9 질량% 보다 많은 경우와 비교해서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10) 이 도전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Fe 의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0.68 질량% 이상 0.82 질량% 이하이다.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10) 은, Cu 를 0.05 질량% 이상 0.15 질량% 이하 함유한다. Cu 의 함유율을 0.05 질량% 이상 0.15 질량% 이하로 하는 것은, Cu 의 함유율이 0.05 질량% 미만인 경우와 비교해서 인장 강도과 연신을 양립시킬 수 있고, Cu 의 함유율이 0.15 질량% 보다 많은 경우와 비교해서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10) 이 도전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Cu 의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0.06 질량% 이상 0.12 질량% 이하이다.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10) 은, Mg 를 0.3 질량% 이상 0.55 질량% 이하 함유한다. Mg 의 함유율을 0.3 질량% 이상 0.55 질량% 이하로 하는 것은, Mg 의 함유율이 0.3 질량% 미만인 경우와 비교해서 인장 강도과 연신을 양립시킬 수 있고, Mg 의 함유율이 0.55 질량% 보다 많은 경우와 비교해서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10) 이 도전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Mg 의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0.31 질량% 이상 0.52 질량% 이하이다.
또한,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10) 에서는, Ti, V 및 B 의 합계 함유율이 0.015 질량% 이하이다. Ti, V 및 B 의 합계 함유율을 0.015 질량% 이하로 하는 것은, Ti, V 및 B 의 합계 함유율을 0.015 질량% 보다 크게 하는 경우에 비해서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10) 이 도전성이 더 우수하기 때문이다. Ti, V 및 B 의 합계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0.011 질량% 이하이다. 또, Ti, V 및 B 의 합계 함유율은 0.015 질량% 이하이면 된다. 따라서, Ti, V 및 B 의 합계 함유율은 0 질량% 이거나 0 질량% 보다 커도 된다. 단, Ti, V 및 B 의 합계 함유율이 0 질량%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Ti, V 및 B 의 합계 함유율이 0 질량% 인 것은, Ti, V 및 B 의 함유율이 모두 0 질량% 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Ti, V 및 B 의 합계 함유율이 0 질량% 보다 큰 경우, Ti, V 및 B 중 Ti 의 함유율만 0 질량% 여도 되고, V 의 함유율만 0 질량% 여도 되고, B 의 함유율만 0 질량% 여도 된다.
또,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10) 에 있어서는, 인장 강도가 170 MPa 이하이다. 이 경우, 인장 강도가 170 MPa 를 초과하는 경우에 비해서 더 우수한 내열성이 얻어진다. 인장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130 MPa 이상 165 MPa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5 MPa 이상 160 MPa 이하이다.
또한,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10) 에 있어서는, 평균 결정립경이 5 ㎛ 이하이다. 이 경우, 평균 결정립경이 5 ㎛ 를 초과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더 우수한 내열성이 얻어진다. 평균 결정립경은 바람직하게는 3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이하이다. 단, 평균 결정립경은 0.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10) 의 연신이 더 커지는 경향이 있다.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10) 에 있어서는, 인장 강도가 130 MPa 이상 165 MPa 이하인 경우, 평균 결정립경은 3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10) 을 고온으로 가열한 후에 그 인장 강도가 과대해지는 것을 보다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평균 결정립경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이하이다. 단, 평균 결정립경은 0.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10) 의 연신이 더 커지는 경향이 있다.
또,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10) 의 선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0.14 ∼ 0.45 mm 이다.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의 제조 방법>
다음으로,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10) 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10) 은, Si 를 0.15 질량% 이상 0.25 질량% 이하, Fe 를 0.6 질량% 이상 0.9 질량% 이하, Cu 를 0.05 질량% 이상 0.15 질량% 이하, Mg 를 0.3 질량% 이상 0.55 질량% 이하, Ti, V 및 B 를 합계로 0.015 질량% 이하 함유하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되는 와이어 로드를 형성하는 와이어 로드 형성 스텝과, 이 와이어 로드에 대하여 열 처리 공정 및 와이어 드로잉 공정을 포함하는 처리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10) 을 얻는 처리 스텝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서술한 와이어 로드 형성 스텝 및 처리 스텝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와이어 로드 형성 스텝]
와이어 로드 형성 스텝은, 상기 서술한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되는 와이어 로드를 형성하는 공정이다.
상기 와이어 로드는,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용탕에 대하여 연속 주조 압연이나 빌릿 주조 후의 열간 압출 등을 실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처리 스텝]
처리 스텝은, 와이어 로드에 대하여 상기 처리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10) 을 얻는 스텝이다.
(처리 공정)
처리 공정은, 와이어 드로잉 공정 및 열 처리 공정을 포함하는 공정이다.
처리 공정은, 와이어 드로잉 공정 및 열 처리 공정을 포함하고 있으면 된다. 처리 공정의 순서의 구체적인 양태로는, 예를 들어 이하의 (1) ∼ (5) 의 양태를 들 수 있다. 여기서, 왼쪽부터 오른쪽을 향해 차례로 각 공정이 실시된다.
(1) 열 처리 공정→와이어 드로잉 공정→열 처리 공정
(2) 열 처리 공정→와이어 드로잉 공정→열 처리 공정→와이어 드로잉 공정→열 처리 공정
(3) 열 처리 공정→와이어 드로잉 공정→열 처리 공정→와이어 드로잉 공정→열 처리 공정→와이어 드로잉 공정→열 처리 공정→와이어 드로잉 공정→열 처리 공정
(4) 와이어 드로잉 공정→열 처리 공정→와이어 드로잉 공정→열 처리 공정
(5) 와이어 드로잉 공정→열 처리 공정→와이어 드로잉 공정→열 처리 공정→와이어 드로잉 공정→열 처리 공정
단, 처리 공정의 순서는, 상기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구체적인 양태의 각각에 있어서, 와이어 드로잉 공정을 추가로 실시해도 된다. 이 경우, 와이어 드로잉 공정 후에 열 처리 공정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와이어 드로잉 공정은, 와이어 로드, 와이어 로드를 와이어 드로잉하여 얻어지는 와이어 드로잉재, 또는 와이어 드로잉재를 추가로 와이어 드로잉하여 얻어지는 와이어 드로잉재 (이하, 「와이어 로드」, 「와이어 드로잉재」및 「와이어 드로잉재를 추가로 와이어 드로잉하여 얻어지는 와이어 드로잉재」를 「선재」라고 한다) 등의 직경을 저감시키는 공정이다. 와이어 드로잉 공정은, 열간 와이어 드로잉이거나 냉간 와이어 드로잉이어도 되는데, 통상은 냉간 와이어 드로잉이다.
또 와이어 드로잉 공정의 대상이 되는 선재의 직경이 큰 경우 (예를 들어 3 mm 이상인 경우) 에는, 와이어 드로잉 공정에 있어서, 와이어 드로잉에 의해 발생한 변형을 제거하기 위해서, 도중부터 열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 처리 공정은, 선재를 열 처리하는 공정이다. 특히, 와이어 드로잉 공정 후에 실시되는 열 처리 공정은, 와이어 드로잉 공정에서 선재 내에 발생한 변형을 제거하기 위해서 실시되는 것이다.
인장 강도를 170 MPa 이하로 하고 또한 평균 결정립경을 5 ㎛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열 처리 공정에 있어서의 열 처리 온도는 통상 350 ℃ 이하로 하고, 열 처리 공정에 있어서의 열 처리 시간은 통상 1 분 ∼ 18 시간으로 하면 된다.
특히 열 처리 공정 중 마지막에 실시되는 열 처리 공정 (이하, 「최종 열 처리 공정」이라고 한다) 에서는, 선재를 300 ℃ 이하에서 열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열 처리 온도가 300 ℃ 를 초과하는 경우에 비해서 평균 결정립경이 작은 선재가 얻어진다. 단, 최종 열 처리 공정에 있어서의 선재의 열 처리 온도는, 강도가 보다 충분히 저하되기 때문에, 20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 열 처리 공정에 있어서의 열 처리 시간은 1 시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와이어 드로잉재의 열 처리를 1 시간 미만 실시하는 경우에 비해서 전체 길이에 걸쳐서 더 균질인 선재가 얻어진다. 단, 열 처리 시간은 12 시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알루미늄 합금에 있어서, Ti, V 및 B 의 합계 함유율은 0.015 질량% 이하이면 된다. 따라서, Ti, V 및 B 의 합계 함유율은 0 질량% 이거나 0 질량% 보다 커도 된다. 단, Ti, V 및 B 의 합계 함유율이 0 질량%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와이어 로드에 있어서 균열이 잘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한, 와이어 드로잉 공정에 있어서 선재의 단선이 잘 일어나지 않게 된다.
<전선>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전선에 대해서 도 2 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전선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 (20) 은, 상기 서술한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10) 을 갖는다.
이 전선 (20) 은,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10) 이 우수한 내열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우수한 내열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전선 (20) 은 통상 상기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10) 을 피복하는 피복층 (11) 을 추가로 갖는다. 피복층 (11) 은,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 수지나 폴리올레핀 수지에 난연제 등을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 등으로 구성된다.
<와이어 하니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와이어 하니스에 대해서 도 3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와이어 하니스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 하니스 (30) 는 상기 전선 (20) 을 복수 개 구비한다.
이 와이어 하니스 (30) 는, 전선 (20) 이 우수한 내열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우수한 내열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와이어 하니스 (30) 는 통상 상기 전선 (20) 을 한 묶음으로 하기 위한 테이프 (31) 를 추가로 갖는다. 테이프 (31) 는, 피복층 (11) 과 동일한 재료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테이프 (31) 대신에 튜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28 및 비교예 1 ∼ 23)
Si, Fe, Cu, Mg, Ti, V 및 B 를 표 1 또는 3 에 나타내는 함유율 (단위는 질량%) 이 되도록 알루미늄과 함께 용해시키고, 프로페르치법에 의해 연속 주조 압연함으로써 선 직경 9.5 mm 의 와이어 로드를 얻었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와이어 로드를, 하기 A ∼ D 의 4 종류의 처리 공정을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을 얻었다.
A : 300 ℃ × 1 시간의 열 처리→선 직경 3.2 mm 까지 와이어 드로잉→270 ℃ × 8 시간의 열 처리→표 2 또는 4 에 나타내는 최종 선 직경까지 와이어 드로잉→표 2 또는 4 에 나타내는 최종 열 처리의 온도 및 시간으로 열 처리
B : 270 ℃ × 8 시간의 열 처리→선 직경 3.2 mm 까지 와이어 드로잉→270 ℃ × 8 시간의 열 처리→선 직경 1.2 mm 까지 와이어 드로잉→270 ℃ × 8 시간의 열 처리→표 2 또는 4 에 나타내는 최종 선 직경까지 와이어 드로잉→표 2 또는 4 에 나타내는 최종 열 처리의 온도 및 시간으로 열 처리
C : 300 ℃ × 1 시간의 열 처리→표 2 또는 4 에 나타내는 최종 선 직경까지 와이어 드로잉→표 2 또는 4 에 나타내는 최종 열 처리의 온도 및 시간으로 열 처리
D : 선 직경 3.2 mm 까지 와이어 드로잉→300 ℃ × 10 시간의 열 처리→선 직경 1.2 mm 까지 와이어 드로잉→310 ℃ × 10 시간의 열 처리→표 2 또는 4 에 나타내는 최종 선 직경까지 와이어 드로잉→표 2 또는 4 에 나타내는 최종 열 처리의 온도 및 시간으로 열 처리
이렇게 해서 얻어진 실시예 1 ∼ 28 및 비교예 1 ∼ 23 의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에 대해서 그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절단하고, 그 때 관찰되는 단면을, FIB 를 사용한 SIM 으로 관찰하고, 그 때 관찰되는 SIM 이미지에 서로 평행한 10 개의 직선을 긋고, 각 직선이 횡단하는 결정립의 수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이하의 식에 기초하여 평균 결정립경을 산출하였다.
평균 결정립경=10 × L/N
(상기 식 중, L 은 결정립을 횡단하고 있는 직선의 길이를 나타내고, N 은 전체 직선이 횡단한 결정립의 총수를 나타낸다)
결과를 표 2 및 4 에 나타낸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에 대해서 JIS C3002 에 준거한 인장 시험을 실시하여, 인장 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 및 4 에 나타낸다.
(내열성)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실시예 1 ∼ 28 및 비교예 1 ∼ 23 의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에 대해서 내열 시험을 실시하였다. 내열 시험은, 상기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을 150 ℃ 에서 1000 시간 유지함으로써 실시하였다. 그리고, 내열 시험 후의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에 대해서 JIS C3002 에 준거한 인장 시험을 실시하여, 인장 강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내열 시험 전후의 인장 강도, 및 하기 식에 기초하여 내열 시험 전의 인장 강도에 대한 내열 시험 후의 인장 강도의 잔존율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2 및 4 에 나타낸다.
잔존율(%)=100 × 내열 시험 후의 인장 강도/내열 시험 전의 인장 강도
또, 표 2 및 4 에 있어서, 잔존율이 95 % 이상인 것에 대해서는 우수한 내열성을 갖는 것으로 하여 합격으로 하고, 「○」로 표기하였다. 또한 잔존율이 95 % 미만인 것에 대해서는 내열성이 열등한 것으로 하여 불합격으로 하고, 표 2 및 4 에 있어서 「×」로 표기하였다.
Figure 112017102670828-pct00001
Figure 112017102670828-pct00002
Figure 112017102670828-pct00003
Figure 112017102670828-pct00004
표 2 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실시예 1 ∼ 28 의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은 모두 잔존율이 95 % 이상으로, 내열성 면에서 합격 기준을 충족시킴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표 4 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비교예 1 ∼ 23 의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은, 잔존율이 95 % 미만으로, 내열성 면에서 합격 기준에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에 의하면, 우수한 내열성을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10…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20…전선
30…와이어 하니스

Claims (7)

  1. Si 를 0.16 질량% 이상 0.25 질량% 이하, Fe 를 0.6 질량% 이상 0.9 질량% 이하, Cu 를 0.05 질량% 이상 0.15 질량% 이하, Mg 를 0.3 질량% 이상 0.55 질량% 이하, Ti, V 및 B 를 합계로 0.015 질량% 이하 함유하고,
    인장 강도가 124.9 MPa 이상 170 MPa 이하이고,
    평균 결정립경이 0.5 ㎛ 이상 5 ㎛ 이하인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2. 제 1 항에 있어서,
    Ti, V 및 B 의 합계 함유율이 0 질량% 보다 크고 0.015 질량% 이하인,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3. 제 1 항에 있어서,
    Ti, V 및 B 의 합계 함유율이 0 질량% 인,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4. 제 1 항에 있어서,
    인장 강도가 130 MPa 이상 165 MPa 이하인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5. 제 4 항에 있어서,
    인장 강도가 130 MPa 이상 165 MPa 이하이며 또한 평균 결정립경이 0.5 ㎛ 이상 3 ㎛ 이하인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을 갖는 전선.
  7. 제 6 항에 기재된 전선을 복수 개 구비하는 와이어 하니스.
KR1020177030019A 2015-07-29 2016-07-27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이것을 사용한 전선 및 와이어 하니스 KR1020201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49662 2015-07-29
JPJP-P-2015-149662 2015-07-29
JPJP-P-2016-086712 2016-04-25
JP2016086712A JP2017031500A (ja) 2015-07-29 2016-04-25 アルミニウム合金導電線、これを用いた電線及びワイヤハーネス
PCT/JP2016/071976 WO2017018439A1 (ja) 2015-07-29 2016-07-27 アルミニウム合金導電線、これを用いた電線及びワイヤハーネ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485A KR20170130485A (ko) 2017-11-28
KR102020134B1 true KR102020134B1 (ko) 2019-09-09

Family

ID=57987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0019A KR102020134B1 (ko) 2015-07-29 2016-07-27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이것을 사용한 전선 및 와이어 하니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197650A1 (ko)
EP (1) EP3330391A4 (ko)
JP (1) JP2017031500A (ko)
KR (1) KR102020134B1 (ko)
CN (1) CN10761471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81273B (zh) * 2015-11-30 2017-05-01 財團法人金屬工業研究發展中心 鋁合金導線及其製造方法
CN108161273A (zh) * 2018-03-06 2018-06-15 东北大学 一种Al-Mg-Zn-Mn铝合金焊丝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93374B2 (ja) * 2010-07-20 2013-05-0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合金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4155819A1 (ja) * 2013-03-29 2014-10-0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合金導体、アルミニウム合金撚線、被覆電線、ワイヤーハーネスおよびアルミニウム合金導体の製造方法
JP2015021156A (ja) * 2013-07-18 2015-02-02 株式会社フジクラ Al合金導電線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1505B2 (ja) * 1999-09-09 2007-09-26 古河スカイ株式会社 深絞り加工用アルミニウム合金軟質板の製造方法
WO2009054457A1 (ja) * 2007-10-23 2009-04-30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自動車用アルミ電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155464B2 (ja) * 2011-04-11 2013-03-0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合金線、アルミニウム合金撚り線、被覆電線、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CN102222546B (zh) * 2011-06-24 2012-10-03 航天电工技术有限公司 抗蠕变铝合金导体联锁式铠装光纤复合低压电缆
WO2013147270A1 (ja) * 2012-03-29 2013-10-0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合金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71314B2 (ja) * 2013-08-09 2015-08-2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バスバー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3981399B (zh) * 2014-04-23 2017-10-27 湖北加德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制作电缆的铝合金材料
WO2016047627A1 (ja) * 2014-09-22 2016-03-3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93374B2 (ja) * 2010-07-20 2013-05-0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合金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4155819A1 (ja) * 2013-03-29 2014-10-0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合金導体、アルミニウム合金撚線、被覆電線、ワイヤーハーネスおよびアルミニウム合金導体の製造方法
JP2015021156A (ja) * 2013-07-18 2015-02-02 株式会社フジクラ Al合金導電線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30391A1 (en) 2018-06-06
US20180197650A1 (en) 2018-07-12
CN107614716A (zh) 2018-01-19
JP2017031500A (ja) 2017-02-09
EP3330391A4 (en) 2019-01-23
KR20170130485A (ko) 201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02517B1 (en) Aluminum alloy wire rod, aluminum alloy stranded wire, sheathed wire, wire harne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luminum alloy wire rod
CN110475885B (zh) 铝合金材料以及使用其的导电构件、电池用构件、紧固部件、弹簧用部件和结构用部件
KR102526541B1 (ko) 알루미늄 합금재 및 이것을 이용한 도전 부재, 전지용 부재, 체결 부품, 스프링용 부품 및 구조용 부품
US20120118607A1 (en) Electric wire or cable
JP6102987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線、アルミニウム合金撚線、被覆電線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
US10515738B2 (en) Copper alloy wire, copper alloy twisted wire, covered electric wire, and wiring harness
JP2012001813A (ja) アルミニウム合金導体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20134B1 (ko)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이것을 사용한 전선 및 와이어 하니스
JP2017218645A (ja) アルミニウム合金電線及びそれを用いた自動車用ワイヤーハーネス
KR102589529B1 (ko) 알루미늄 합금재 및 이를 사용한 편조 실드선, 도전 부재, 전지용 부재, 체결 부품, 스프링용 부품, 구조용 부품 및 캡타이어 케이블
WO2019181320A1 (ja) 銅合金線材及び銅合金線材の製造方法
KR102409809B1 (ko) 알루미늄 합금선의 제조 방법, 이것을 사용한 전선의 제조 방법 및 와이어 하니스의 제조 방법
JP2018150610A (ja) アルミニウム合金線、これを用いた電線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6635732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導電線の製造方法、アルミニウム合金導電線、これを用いた電線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16225159A (ja) アルミニウム電線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JP6329118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電線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JP6643886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導電線、これを用いた電線、ワイヤハーネス及びアルミニウム合金導電線の製造方法
JP6853872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導電線の製造方法、アルミニウム合金導電線、これを用いた電線及びワイヤハーネス
KR102088587B1 (ko) 알루미늄 합금 도전선, 이것을 사용한 전선 및 와이어 하네스
WO2017018439A1 (ja) アルミニウム合金導電線、これを用いた電線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19104969A (ja) アルミニウム合金線の製造方法、これを用いた電線の製造方法及び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方法
JP7022320B2 (ja) 銅合金線
JP6629016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導電線、これを用いた電線、ワイヤハーネス及びアルミニウム合金導電線の製造方法
JP2019104968A (ja) アルミニウム合金線の製造方法、これを用いた電線の製造方法及び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方法
JP2020186449A (ja) アルミニウム合金導電線の製造方法、これを用いた電線の製造方法及び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