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823B1 - 차량용 내장재 패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내장재 패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823B1
KR102019823B1 KR1020180068680A KR20180068680A KR102019823B1 KR 102019823 B1 KR102019823 B1 KR 102019823B1 KR 1020180068680 A KR1020180068680 A KR 1020180068680A KR 20180068680 A KR20180068680 A KR 20180068680A KR 102019823 B1 KR102019823 B1 KR 102019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grinding
raw material
polyurethane
imp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8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0643A (ko
Inventor
권태현
Original Assignee
씨아이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아이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아이티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60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0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layer of regularly- arranged cells, e.g. a honeycomb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8Electrical discharge treatment, e.g. corona, plasma treatment;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2038/0052Other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2B2038/0084Foa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14Corona, ionisation, electrical discharge, plasma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내장재 패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트렁크 패널, 선루프 커버, 선바이저 등으로 사용되는 차량용 내장재 패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 패널 제조방법은, (a)종이 재질의 허니컴 부재 양면에 촙매트(chop mat)를 적층하여 보드를 형성하는 단계; (b)상기 촙매트 표면에 저압발포기를 이용하여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상기 보드에 폴리우레탄층을 형성하는 단계; (c)상기 폴리우레탄층이 형성된 상기 보드의 외곽 부분을 연삭장치를 이용하여 연삭가공하는 단계; 및 (d)상기 폴리우레탄층 표면에 표면재를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내장재 패널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interior material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내장재 패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트렁크 패널, 선루프 커버, 선바이저 등으로 사용되는 차량용 내장재 패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내장재 패널인 인스트루먼트패널, 도어트림패널, 패키지패널 등의 내장재는 경질의 기재와 연질의 표피지로 구성되며, 경질의 기재는 주로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에이비에스(ABS), 우드화이버, 우드스톡, 레진펠트 등의 소재를 매트 상태로 제작하고, 표피지는 폴리비닐크로라이드(PVC), 필름지나 폴리에틸렌 폼 또는 부직포 등을 상기 매트의 상하로 적층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내장재를 제조하는 공정은 1차로 레진펠트 등을 매트 또는 패널 상태로 성형한 후 상하부 성형금형 사이에 삽입한 후 가압하여 성형을 완료하고, 이와 같이 성형된 제품은 트리밍 또는 펀칭 금형을 이용하여 패드 상태의 제품을 만든다. 이와 같이 제조된 패드 상태의 제품에 부직포 등의 표피재를 부착한 후 피어싱 금형을 통하여 자동차용 내장재 패널의 제조가 완료된다.
자동차 내장재 패널 중 하나로서 자동차 내부에서 선루프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선루프용 커버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내장재 패널 중 선루프용 커버의 분해사시도이다.
종래의 선루프용 커버는 골판지로 구성된 허니컴(honey comb)과 상기 허니컴을 사이에 두고 차례로 겹쳐지는 촙매트(chop mat)와 글라스티슈(glass tissue) 그리고 슬라스티슈 외측으로부터 도포되는 발포수지로 구성되며 발포수지의 도포 후 가압성형하여 제조한다.
허니컴은 일반 골판지를 약 3~7mm로 절단하여 세로로 세운 상태로 접착구성하며 접착 후 원하는 규격으로 재단하여 사용한다.
촙매트는 글라스화이바 원사를 10~60mm로 절단하여 결속재로서 일반접착제를 혼합한 다음 얇게 편 상태로 가압롤러 사이로 통과시켜 성형하고 성형 후 건조시켜 원하는 규격으로 재단하여 사용한다.
글라스티슈는 유리섬유를 잘게 분쇄하여 결속재인 일반접착제를 혼합한 다음 얇게 편 상태로 가압롤러 사이로 통과시켜 성형하고 성형 후 건조시켜 원하는 규격으로 재단하여 사용한다.
한편, 선루프용 커버, 트렁크 패널 등과 같은 차량용 내장재 패널은 경량화 및 고강도 특성이 요구되며, 제조방법을 개선하여 생산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0794호(2002.04.06.) 등록특허공보 제10-0493758호(2005.06.03.)
본 발명은 차량용 내장재 패널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차량용 내장재 패널의 강도를 높이고 경량화시킬 수 있는 차량용 내장재 패널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 패널 제조방법은, (a)종이 재질의 허니컴 부재 양면에 촙매트(chop mat)를 적층하여 보드를 형성하는 단계; (b)상기 촙매트 표면에 저압발포기를 이용하여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상기 보드에 폴리우레탄층을 형성하는 단계; (c)상기 폴리우레탄층이 형성된 상기 보드의 외곽 부분을 연삭장치를 이용하여 연삭가공하는 단계; 및 (d)상기 폴리우레탄층 표면에 표면재를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단계 (b)는, 로보트암이 상기 보드를 파지하여 상기 보드를 발포실로 이동시키고, 상기 발포실에서 상기 로보트암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보드의 양면에 폴리우레탄(PU)을 발포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보드를 성형금형에 안착시켜 상기 성형금형에 의해 상기 보드의 외형을 성형함과 동시에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압발포기는, 폴리우레탄 발포를 위하여 제1 원료와 제2 원료가 혼합되어 배출되는 믹싱헤드와, 상기 제1 원료와 제2 원료를 상기 믹싱헤드로 공급하는 원료공급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믹싱헤드는, 복수의 기어가 설치되는 기어실 및 상기 제1 원료와 제2 원료가 유입되어 혼합되는 혼합실이 형성되고, 폴리우레탄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기어실에 장착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혼합모터와, 상기 기어실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기어에 의해 회전하는 제1 피동기어와, 상기 기어실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기어에 의해 회전하는 제2 피동기어와, 상기 혼합실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피동기어와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하며, 복수의 제1 회전날개가 형성되는 제1 임펠러와, 상기 혼합실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피동기어와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하며, 상기 제1 회전날개의 위치와 엇갈리는 위치에 복수의 제2 회전날개가 형성되는 제2 임펠러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임펠러는 상기 제1 원료가 공급되는 제1 호스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임펠러에는 상기 제1 호스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제1 원료가 상기 혼합실로 배출되도록 제1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임펠러는 상기 제2 원료가 공급되는 제2 호스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임펠러에는 상기 제2 호스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제2 원료가 상기 혼합실로 배출되도록 제2 배출공이 형성된다.
상기 단계 (d)는, 상기 표면재에 폴리우레탄 점착제를 점착 후 상기 표면재를 프레스 금형에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프레스 금형에 상기 보드를 안착시킨 후 히터로 상기 보드와 표면재를 가열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스 금형으로 상기 보드와 표면재를 가압하여 접합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삭장치는, 상기 보드의 하부에서 상기 보드를 흡착하여 고정하는 복수의 흡착고정부와, 상기 흡착고정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복수의 회전구동부를 매개로 연결되는 복수의 회전암과, 상기 회전암의 말단에 결합되어 상기 보드의 둘레 표면을 연삭하는 연삭부와, 상기 연삭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위치하여 상기 연삭부와 함게 이동하면서 연삭작업에 의해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는 진공흡입부와, 상기 회전암을 작동시켜 상기 연삭부를 상기 보드의 둘레를 따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삭부가 상기 보드의 둘레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진공흡입부는 상기 연삭부가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치우치도록 이동한다.
상기 연삭부는, 상기 회전암의 말단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장착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브러쉬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와 진공흡입부 사이에는 상기 진공흡입부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상기 진공흡입부는 복수의 지지부에 의해 상기 커버와 연결되어 상기 커버를 중심으로 유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진공흡입부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밀어내는 복수의 푸시부가 장착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커버에 힌지결합되는 제1 링크부와, 일단이 상기 제1 링크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진공흡입부에 힌지결합되는 제2 링크부와, 상기 제1 링크부와 제2 링크부를 연결하여 상기 제1 링크부와 제2 링크부 사이의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패널 제조방법은 차량용 내장재 패널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차량용 내장재 패널의 강도를 높이고 경량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내장재 패널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드의 연삭작업 순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드 자동 연삭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착고정부를 제외한 보드 자동 연삭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삭부 및 진공흡입부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삭부 및 진공흡입부가 연삭작업에 의해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압발포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압발포기의 믹싱헤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패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차량용 내장재 패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트렁크 패널, 선루프 커버, 선바이저 등으로 사용되는 차량용 내장재 패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용 내장재 패널 중 하나인 차량의 러기지 보드(luggage board)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패널 제조방법은 수입 및 검사 단계, 보드 제작단계, 보드 성형 및 트림 단계, 연삭가공 단계, 표면재 접착 단계, 서브 파트 조립 단계로 이루어진다.
수입 및 검사 단계는 보드(100)의 재료가 되는 종이 재질의 허니컴 부재(110)와 촙매트(120)(chop mat)를 수입 및 검사한다.
허니컴 부재(110)는 골판지 등으로 제작되며 벌집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촙매트(120)는 글라스화이바 원사를 절단하여 결속재로서 일반접착제를 혼합한 다음 얇게 편 상태로 가압롤러 사이로 통과시켜 성형 후 건조하여 제작된다.
보드 제작 단계는 허니컴 부재(110)의 양면에 촙매트(120)를 적층하여 보드(100)를 제작한다.
보드 성형 및 트림 단계는 촙매트(120) 표면에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보드(100)에 폴리우레탄층(130)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로보트암이 보드(100)를 파지하여 보드(100)를 발포실로 이동시키고, 발포실에서 로보트암에 의해 지지되는 보드(100) 양면에 폴리우레탄(PU)을 발포성형한다. 그리고 보드(100)를 성형금형에 안착시켜 성형금형에 의해 폴리우레탄층(130)이 형성되어 있는 보드(100)의 외형을 성형함과 동시에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한다. 즉 보드(100) 외형의 성형과 동시에 트림이 이루어진다.
보드(100)에 폴리우레탄을 발포성형하기 위한 저압발포기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기 본체(150-1), 원료공급펌프 및 믹싱헤드(150-2)로 이루어진다.
발포기 본체(150-1)에는 제1 원료 저장탱크, 제2 원료 저장탱크, 원료공급펌프 및 제어부 등이 설치된다.
원료공급펌프는 폴리우레탄을 발포성형하기 위한 원료인 폴리올(제1 원료)과 이소시아네이트(제2 원료)를 각각 믹싱헤드(150-2)로 공급한다.
믹싱헤드(150-2)는 헤드지지대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믹싱헤드(150-2)는 원료공급펌프로부터 제1 원료와 제2 원료를 각각 전달받아 혼합한다.
구체적으로 믹싱헤드(150-2)는 하우징(151), 구동기어(152), 혼합모터(153), 제1 피동기어(154), 제1 임펠러(155), 제2 피동기어(156) 및 제2 임펠러(157)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51)에는 기어실(151-1)과 혼합실(151-2)이 서로 구분되어 형성되고, 혼합실(151-2)의 하단에 폴리우레탄 배출구(151-3)가 형성된다. 기어실(151-1)에는 구동기어(152), 제1 피동기어(154) 및 제2 피동기어(156)가 설치되고, 혼합실(151-2)에는 제1 원료와 제2 원료가 유입되어 혼합된다. 그리고 혼합실(151-2)에는 하우징(151)의 내주면에 복수의 고정날개(151-4)가 돌출형성된다.
구동기어(152)는 기어실(151-1)에 장착되어 제1 피동기어(154)와 제2 피동기어(156)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하우징(151)에는 구동기어(152)를 회전시키는 혼합모터(153)가 장착된다.
제1 피동기어(154)는 기어실(151-1)에 장착되어 구동기어(152)에 의해 회전한다. 그리고 제1 임펠러(155)는 제1 피동기어(154)와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한다. 이러한 제1 임펠러(155)는 혼합실(151-2)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1 임펠러(155)에는 복수의 제1 회전날개(155-1)가 형성된다. 제1 회전날개(155-1)는 고정날개(151-4)와 엇갈리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임펠러(155)는 제1 원료가 공급되는 제1 호스(H1)와 연결된다. 즉 제1 임펠러(155)는 제1 호스(H1)를 통해 원료공급펌프로부터 제1 원료를 공급받는다. 제1 임펠러(155)에는 제1 유입구(155-2)가 제1 피동기어(154)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고, 제1 연결부(155-3)에 의해 제1 유입구(155-2)와 제1 호스(H1)가 연결된다. 제1 연결부(155-3)는 회전하는 제1 유입구(155-2)와 회전하지 않는 제1 호스(H1)를 연결한다. 그리고 제1 임펠러(155)에는 제1 배출공(155-4)이 형성되며, 제1 호스(H1)를 통해 제1 임펠러(155) 내부로 전달되는 제1 원료는 제1 배출공(155-4)을 통해 혼합실(151-2)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제1 배출공(155-4)과 제2 배출공(157-4)을 통해 혼합실(151-2)로 배출되는 제1 원료와 제2 원료는 혼합실(151-2)에서 혼합되어 배출구(151-3)로 배출된다.
제2 피동기어(156)는 기어실(151-1)에 장착되어 구동기어(152)에 의해 회전한다. 제2 피동기어(156)는 구동기어(152)를 중심으로 제1 피동기어(154)와 반대편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2 임펠러(157)는 제2 피동기어(156)와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한다. 이러한 제2 임펠러(157)는 혼합실(151-2)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2 임펠러(157)에는 복수의 제2 회전날개(157-1)가 형성된다. 제2 회전날개(157-1)는 제1 회전날개(155-1) 및 고정날개(151-4)와 엇갈리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임펠러(157)는 제2 원료가 공급되는 제2 호스(H2)와 연결된다. 즉 제2 임펠러(157)는 제2 호스(H2)를 통해 원료공급펌프로부터 제2 원료를 공급받는다. 제2 임펠러(157)에는 제2 유입구(157-2)가 제2 피동기어(156)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고, 제2 연결부(157-3)에 의해 제2 유입구(157-2)와 제2 호스(H2)가 연결된다. 제2 연결부(157-3)는 회전하는 제2 유입구(157-2)와 회전하지 않는 제2 호스(H2)를 연결한다. 그리고 제2 임펠러(157)에는 제2 배출공(157-4)이 형성되며, 제2 호스(H2)를 통해 제2 임펠러(157) 내부로 전달되는 제2 원료는 제2 배출공(157-4)을 통해 혼합실(151-2)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제1 원료와 제2 원료는 제1 배출공(155-4)과 제2 배출공(157-4)을 통해 혼합실(151-2)로 배출되어 혼합된다. 제1 원료와 제2 원료가 제1 배출공(155-4) 및 제2 배출공(157-4)을 통해 혼합실(151-2)로 배출될 제1 임펠러(155)와 제2 임펠러(157)는 회전한다. 그리고 제1 회전날개(155-1)와 고정날개(151-4), 제2 회전날개(157-1)와 고정날개(151-4), 제1 회전날개(155-1)와 제2 회전날개(157-1)가 각각 서로 엇갈리게 교차하면서 제1 원료와 제2 원료가 혼합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믹싱헤드(150-2)를 이용하여 폴리우레탄을 발포성형함으로써, 제1 원료와 제2 원료를 고르게 혼합하여 양질의 폴리우레탄을 생성할 수 있다.
연삭가공 단계는 폴리우레탄층(130)이 형성된 보드(100)의 외곽 부분을 연삭가공한다. 연삭가공단계를 통해 보드(100)의 외곽 부분의 버(burr)나 이물질 등을 제거하고 폴리우레탄층(130)이 형성된 보드(100)와 표면재(140)의 접착성을 높일 수 있다.
차량의 러기지 보드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보드(100)를 성형한 후 보드(100) 표면에 표면재(140)를 접착시킬 때, 보드(100)의 표면에 보드(100)의 성형시 발생하는 버(burr)나 이물질 등이 있으면 표면재(140)의 접착성이 떨어지게 된다. 특히, 보드(100)의 가장자리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 접착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버(burr)나 이물질 등을 완전히 제거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의 연삭가공 단계는 연삭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실시된다. 이러한 연삭장치를 이용한 연삭가공 단계는 자동으로 보드(100)의 둘레를 따라 이동하면서 보드(100)의 가장자리 표면에 버(burr)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러기지 보드의 생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삭장치는 흡착고정부(200), 회전암(300), 연삭부(400), 진공흡입부(60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흡착고정부(200), 회전암(300), 연삭부(400), 진공흡입부(600) 및 제어부는 작업부스(미도시) 내부에 설치된다.
흡착고정부(200)는 보드(100)의 하부에서 보드(100)를 흡착하여 고정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100)는 복수의 흡착고정부(200) 상부에 올려지고, 흡착고정부(200)의 진공작동에 의해 보드(100)가 흡착 고정되게 함으로써, 보드(100)의 하부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연삭작업을 실시할 때 보드(100)가 유동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흡착고정부(200)는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바닥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수평이동하여 보드(100)를 작업부스 내외로 이동시킬 수 있다.
회전암(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고정부(200)의 상부에 위치하며 복수의 회전구동부를 매개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회전암(300)은 제1 내지 제5 회전암으로 이루어지고, 회전구동부는 제1 내지 제6 회전구동부로 이루어진다. 제1 회전암(11)은 제1 회전구동부(321)에 의해 작업부스의 벽면에 장착되고, 제1 회전구동부(321)는 제1 회전암(311)을 x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제2 회전암(312)은 제2 회전구동부(322)에 의해 제1 회전암(311)과 연결되고, 제2 회전구동부(322)는 제2 회전암(312)을 x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제3 회전암(313)은 제3 회전구동부(323)에 의해 제2 회전암(312)에 연결되고, 제3 회전구동부(323)는 제3 회전암(313)을 y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제4 회전암(314)은 제4 회전구동부(324)에 의해 제3 회전암(313)에 연결되고, 제4 회전구동부(324)는 제4 회전암(314)을 x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제5 회전암(315)은 제5 회전구동부(325)에 의해 제4 회전암(314)에 연결되고, 제5 회전구동부(325)는 제5 회전암(315)을 x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연삭부(400)는 제6 회전구동부(326)에 의해 제5 회전암(315)에 연결되고, 제6 회전구동부(326)는 연삭부(400)를 y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흡착고정부(200)에 의해 흡착 고정되는 보드(100)의 상면은 x-y 평면과 평행하고, 제1 내지 제5 회전암 및 연삭부(400)가 제1 내지 제6 회전구동부에 의해 소정 각도로 회전함으로써 제1 내지 제5 회전암 및 연삭부(400)의 회전 동작의 조합에 의해 연삭부(400)가 보드(100)의 둘레를 따라 수평 이동할 수 있다.
연삭부(400)는 회전암(300)의 말단에 결합되어 보드(100)의 둘레 표면을 연삭한다. 이러한 연삭부(400)는 커버(410), 구동모터(420) 및 브러쉬(430)로 이루어진다.
커버(410)는 회전암(300)의 말단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커버(410)는 제6 회전구동부(326)에 의해 제5 회전암(315)의 말단에 결합된다. 그리고 커버(410)는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로 개방된 커버(410) 내부에서 브러쉬(430)가 회전한다. 그리고 구동모터(420)는 커버(410)에 장착되고 브러쉬(430)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커버(410)의 외측에는 복수의 푸시부(500)가 장착된다. 푸시부(500)는 진공흡입부(600)를 밀어내기 위한 것으로 전원이 연결되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커버(41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푸시부(500)가 장착되고, 네 개의 푸시부(500)는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공흡입부(600)를 밀어낸다. 이에 따라 네 개의 푸시부(500)에 의해 진공흡입부(600)가 전후, 좌우 네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진공흡입부(600)는 연삭부(400)의 둘레를 감싸도록 위치하여 연삭부(400)와 함께 이동한다. 진공흡입부(600)와 커버(410) 사이에는 진공흡입부(600)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진공흡입부(600)는 복수의 지지부(700)에 의해 커버(410)와 연결되어 커버(410)를 중심으로 유동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진공흡입부(600)는 진공펌프와 연결되어 연삭작업에 의해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한다.
구체적으로 진공흡입부(600)는 네 개의 지지부(700)에 의해 커버(410)에 유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지지부(700)는 제1 링크부(710), 제2 링크부(720) 및 탄성부(730)로 이루어진다. 제1 링크부(710)는 커버(410)의 외측에 축결합되어 커버(410)에 결합된 제1 링크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2 링크부(720)는 일단이 제1 링크부(710)의 타단에 축결합되고, 타단이 진공흡입부(600)의 내측에 축결합되어 진공흡입부(600)에 결합된 제2 링크의 타단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탄성부(730)는 제1 링크부(710)와 제2 링크부(720)를 연결하여 제1 링크부(710)와 제2 링크부(720) 사이의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700)에 의해 커버(410)에 연결되는 진공흡입부(600)는 도 4(b)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삭부(400)가 보드(100)의 둘레를 따라 이동할 때 푸시부(500)에 의해 연삭부(400)가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치우치도록 이동한다.
제어부는 제1 내지 제6 회전구동부를 작동시켜 제1 내지 제5 회전암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연삭부(400)를 보드(100)의 둘레를 따라 이동시킨다. 또한, 제어부는 연삭부(400)의 이동방향에 따라 네 개의 푸시부(500) 중 어느 하나를 작동시켜 진공흡입부(600)를 연삭부(400)가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치우치도록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연삭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선대로 보드(100)의 둘레를 따라 이동하면서 연삭작업을 실시하고, 연삭부(400)의 이동방향에 따라 푸시부(500)의 작동에 의하여 진공흡입부(600)가 연삭부(400)의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와 같이 연삭부(400)가 이동하면서 연삭작업이 이루어질 때, 진공흡입부(600)가 연삭부(400)의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인 후방으로 치우치게 됨으로써, 연삭부(400)가 지나간 후 발생하여 남아있는 분진을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다. 동시에 연삭부(400)의 전방에 위치한 진공흡입부(600)는 연삭부(400)와 근접하게 되어 연삭작업에 의해 발생하는 분진을 가까운 거리에서 바로 흡입할 수 있다.
표면재 접착 단계는 폴리우레탄층(130) 표면에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표면재(140)를 접착시킨다. 구체적으로 표면재(140)에 폴리우레탄 점착제를 점착 후 표면재(140)를 프레스 금형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프레스 금형에 보드(100)를 안착시킨 후 히터로 보드(100)와 표면재(140)를 가열한다. 이후, 프레스가 하강하여 보드(100)와 표면재(140)를 가압하여 접합시킨다. 그리고 프레스가 상승한 후 서로 접합된 보드(100)와 표면재(140)를 프레스 금형으로부터 탈형하여 차량용 내장재 패널을 완성한다.
서브 파트 조립 단계는 핸들조립 및 부직포테이프를 부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차량용 내장재 패널 중 러기지 보드 제조방법으로서, 패널의 상부 및 하부에 핸들 또는 스트랩을 체결한다.
이후, 차량용 내장재 패널의 최종 검사 및 적재 공정을 진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패널 제조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보드, 110 : 허니컴 부재,
120 : 촙매트, 130 : 폴리우레탄층,
140 : 표면재, 150-1 : 발포기 본체,
150-2 : 믹싱헤드, 151 : 하우징,
151-1 : 기어실, 151-2 : 혼합실,
151-3 : 배출구, 151-4 : 고정날개,
152 : 구동기어, 153 : 혼합모터,
154 : 제1 피동기어, 155 : 제1 임펠러,
155-1 : 제1 회전날개, 155-2 : 제1 유입구,
155-3 : 제1 연결부, 155-4 : 제1 배출공,
156 : 제2 피동기어, 157 : 제2 임펠러,
157-1 : 제1 회전날개, 157-2 : 제1 유입구,
157-3 : 제1 연결부, 157-4 : 제1 배출공,
200 : 흡착고정부, 300 : 회전암,
400 : 연삭부, 410 : 커버,
420 : 구동모터, 430 : 브러쉬,
500 : 푸시부, 600 : 진공흡입부,
700 : 지지부, 710 : 제1 링크부,
720 : 제2 링크부, 730 : 탄성부,

Claims (8)

  1. (a)종이 재질의 허니컴 부재 양면에 촙매트(chop mat)를 적층하여 보드를 형성하는 단계;
    (b)상기 촙매트 표면에 저압발포기를 이용하여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상기 보드에 폴리우레탄층을 형성하는 단계;
    (c)상기 폴리우레탄층이 형성된 상기 보드의 외곽 부분을 연삭장치를 이용하여 연삭가공하는 단계; 및
    (d)상기 폴리우레탄층 표면에 표면재를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b)는,
    로보트암이 상기 보드를 파지하여 상기 보드를 발포실로 이동시키고, 상기 발포실에서 상기 로보트암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보드의 양면에 폴리우레탄(PU)을 발포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보드를 성형금형에 안착시켜 상기 성형금형에 의해 상기 보드의 외형을 성형함과 동시에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패널 제조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압발포기는,
    폴리우레탄 발포를 위하여 제1 원료와 제2 원료가 혼합되어 배출되는 믹싱헤드와,
    상기 제1 원료와 제2 원료를 상기 믹싱헤드로 공급하는 원료공급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믹싱헤드는,
    복수의 기어가 설치되는 기어실 및 상기 제1 원료와 제2 원료가 유입되어 혼합되는 혼합실이 형성되고, 폴리우레탄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기어실에 장착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혼합모터와,
    상기 기어실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기어에 의해 회전하는 제1 피동기어와,
    상기 기어실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기어에 의해 회전하는 제2 피동기어와,
    상기 혼합실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피동기어와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하며, 복수의 제1 회전날개가 형성되는 제1 임펠러와,
    상기 혼합실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피동기어와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하며, 상기 제1 회전날개의 위치와 엇갈리는 위치에 복수의 제2 회전날개가 형성되는 제2 임펠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패널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임펠러는 상기 제1 원료가 공급되는 제1 호스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임펠러에는 상기 제1 호스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제1 원료가 상기 혼합실로 배출되도록 제1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임펠러는 상기 제2 원료가 공급되는 제2 호스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임펠러에는 상기 제2 호스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제2 원료가 상기 혼합실로 배출되도록 제2 배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패널 제조방법.
  5. (a)종이 재질의 허니컴 부재 양면에 촙매트(chop mat)를 적층하여 보드를 형성하는 단계;
    (b)상기 촙매트 표면에 저압발포기를 이용하여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상기 보드에 폴리우레탄층을 형성하는 단계;
    (c)상기 폴리우레탄층이 형성된 상기 보드의 외곽 부분을 연삭장치를 이용하여 연삭가공하는 단계; 및
    (d)상기 폴리우레탄층 표면에 표면재를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d)는,
    상기 표면재에 폴리우레탄 점착제를 점착 후 상기 표면재를 프레스 금형에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프레스 금형에 상기 보드를 안착시킨 후 히터로 상기 보드와 표면재를 가열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스 금형으로 상기 보드와 표면재를 가압하여 접합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패널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삭장치는,
    상기 보드의 하부에서 상기 보드를 흡착하여 고정하는 복수의 흡착고정부와,
    상기 흡착고정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복수의 회전구동부를 매개로 연결되는 복수의 회전암과,
    상기 회전암의 말단에 결합되어 상기 보드의 둘레 표면을 연삭하는 연삭부와,
    상기 연삭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위치하여 상기 연삭부와 함게 이동하면서 연삭작업에 의해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는 진공흡입부와,
    상기 회전암을 작동시켜 상기 연삭부를 상기 보드의 둘레를 따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삭부가 상기 보드의 둘레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진공흡입부는 상기 연삭부가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치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패널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삭부는, 상기 회전암의 말단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장착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브러쉬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와 진공흡입부 사이에는 상기 진공흡입부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진공흡입부는 복수의 지지부에 의해 상기 커버와 연결되어 상기 커버를 중심으로 유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진공흡입부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밀어내는 복수의 푸시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패널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커버에 힌지결합되는 제1 링크부와, 일단이 상기 제1 링크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진공흡입부에 힌지결합되는 제2 링크부와, 상기 제1 링크부와 제2 링크부를 연결하여 상기 제1 링크부와 제2 링크부 사이의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패널 제조방법.
KR1020180068680A 2017-11-24 2018-06-15 차량용 내장재 패널 제조방법 KR1020198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090 2017-11-24
KR20170158090 2017-1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643A KR20190060643A (ko) 2019-06-03
KR102019823B1 true KR102019823B1 (ko) 2019-09-10

Family

ID=66849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680A KR102019823B1 (ko) 2017-11-24 2018-06-15 차량용 내장재 패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82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628B1 (ko) * 2015-09-23 2017-02-10 삼우티시에스 주식회사 자동차 트렁크보드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794Y1 (ko) 2001-12-31 2002-04-06 문형석 자동차용 내장재 패널
KR100493758B1 (ko) 2002-10-31 2005-06-03 주식회사 세운켐텍 자동차 선루프용 커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628B1 (ko) * 2015-09-23 2017-02-10 삼우티시에스 주식회사 자동차 트렁크보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643A (ko) 201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9711B2 (en) Method of making an interior trim part
JP6488335B2 (ja) サンドイッチ部品の製造並びにサンドイッチ部品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2073212B1 (ko) 차량용 러기지 보드
US10279512B2 (en) Method of making a laminated trim component at a molding station
CN104002879B (zh) 汽车备胎盖板及其加工工艺、加工设备
KR102019823B1 (ko) 차량용 내장재 패널 제조방법
CN111186200A (zh) 一种汽车用地毯及其制造方法
KR101306296B1 (ko) 올레핀계 스프레이형 접착제를 이용한 자동차용 내장부품 진공 성형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자동차용 내장부품
US10618203B2 (en) Method of making a trimmed, laminated trim component
KR102073209B1 (ko) 러기지 보드 자동 연삭장치
CN104163031B (zh) 汽车内饰顶棚的制造方法
US10166704B2 (en) Method of making a laminated trim component at a pair of spaced first and second molding stations
CN207736616U (zh) 车辆内饰件的制造模具
CN206357624U (zh) 一种车用吸音棉成型装置
CN212633277U (zh) 一种spc石塑地板涂胶装置
US10532499B2 (en) Method of making a laminated trim component
JP2000326343A (ja) 木目込み線を有するオーナメント組立体の製造方法
US6946043B1 (en) Filled article
KR102340928B1 (ko) 표피재 흡착구조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JPS5829234B2 (ja) 合成樹脂発泡成形物の製造装置
KR100307842B1 (ko) 자동차용 트림의 진공성형방법
JP5610564B2 (ja) 積層成形品の成形方法並びに成形装置
KR100577441B1 (ko) 매트 제조장치
KR102553281B1 (ko)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및 방법
CN213731168U (zh) 一种抛釉砖生产用降噪型打磨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