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447B1 - 유치보관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치보관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447B1
KR102019447B1 KR1020180137099A KR20180137099A KR102019447B1 KR 102019447 B1 KR102019447 B1 KR 102019447B1 KR 1020180137099 A KR1020180137099 A KR 1020180137099A KR 20180137099 A KR20180137099 A KR 20180137099A KR 102019447 B1 KR102019447 B1 KR 102019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resin composition
base
teeth
transparent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설빈
Original Assignee
이설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설빈 filed Critical 이설빈
Priority to KR1020180137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4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54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1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ast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이들이나 반려동물의 유치를 손상되지 않도록 잘 간직할 수 있으며, 외관도 미려하여 장식성이 우수하며 아이들이나 반려동물을 사랑하는 마음을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유치보관장신구 및 이러한 유치보관장신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유치보관장신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유치보관장신구 제조방법은,
아이의 유치 또는 반려동물의 유치를 소독액에 침지시켜서 1차 소독하는 단계; 상기 1차 소독된 유치를 표백제에 넣어서 미백처리하는 미백단계; 상기 미백처리된 유치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된 유치의 표면을 자외선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로 코팅하고, 경화시켜서 유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된 유치를 상기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로 몰딩하여 유치몰딩체를 만드는 단계; 및 상기 유치몰딩체를 장신구부재와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치보관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Accessory for tooth storag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that}
본 발명은 유치보관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이들이나 반려동물의 유치를 손상되지 않도록 간직할 수 있으며, 외관도 미려하여 장식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유치보관장신구 및 이러한 유치보관장신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유치보관장신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저출산의 경향에 따라 아이를 1, 2명만 낳는 가정이 늘어나면서 예전보다 자녀들에 대한 애착심이 많아지고 더욱 애지중지하게 된다. 따라서 아이들의 성장과정을 발생되는 물품들에 대해서도 큰 의미를 부여하고, 아이들의 성장과정을 추억하기 위해 그러한 물품들을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가 많다.
유치도 아이들의 성장과정을 추억할 수 있는 물품 중의 하나인데, 특히, 첫 유치를 뺀 날은 아이들에게도 잊지 못할 날이지만, 부모들도 아이가 벌써 이렇게 컸거나 하는 대견함, 사랑스러움 등의 다양한 감정을 느끼게 하는 의미있는 날이며, 유치가 이러한 추억을 기억하게 하므로 유치를 쉽게 버리지 못하게 되고, 보관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유치를 제대로 보관할 방법이 없어서 유치를 휴지나 비닐봉지 등으로 싸서 서랍에 넣어두는 경우가 많은데, 유치를 제대로 보관하지 못하면 유치에 남아 있던 유기물이 부패하여 곰팡이가 생기기도 하고, 유치가 변색되고 깨지는 등 유치가 손상되어, 결국에는 유치를 그냥 버리게 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개나 고양이를 비롯하여 반려동물을 키우는 이들이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인데, 반려동물을 키우는 이들에게 있어서 반려동물은 자식이나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이들도 반려동물의 유치를 보관하고자 하는 이들이 많다.
따라서 아이들이나 반려동물의 유치를 변색되거나 손상되지 않고 위생적으로 잘 보관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52838호(2004. 10. 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아이들이나 반려동물의 유치를 손상되지 않도록 잘 간직할 수 있으며, 외관도 미려하여 장식성이 우수하며 아이들이나 반려동물을 사랑하는 마음을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유치보관장신구 및 이러한 유치보관장신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유치보관장신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아이의 유치 또는 반려동물의 유치를 소독액에 침지시켜서 1차 소독하는 단계; 상기 1차 소독된 유치를 표백제에 넣어서 미백처리하는 미백단계; 상기 미백처리된 유치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된 유치의 표면을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로 코팅하고, 경화시켜서 유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된 유치를 상기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로 몰딩하여 유치몰딩체를 만드는 단계; 및 상기 유치몰딩체를 장신구부재와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치보관장신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유치보관장신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유치몰딩체를 만드는 단계는 상기 유치몰딩체에 대응되는 형상의 캐비티를 가지는 몰드를 준비하는 과정; 상기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을 상기 캐비티의 일부만 채우도록 주입하고 경화시켜서, 상기 캐비티 내부에 1차 몰딩부를 만드는 과정; 상기 캐비티에 상기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된 유치를 주입하고, 상기 자외선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을 추가로 주입하고 경화시키는 과정; 및 상기 몰드에서 경화된 유치몰딩체를 탈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아이의 유치 또는 반려동물의 유치를 소독액에 침지시켜서 1차 소독하는 과정; 상기 1차 소독된 유치를 표백제에 넣어서 미백처리하는 미백과정; 상기 미백처리된 유치를 건조시키는 과정; 상기 건조된 유치의 표면을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로 코팅하고, 경화시켜서 유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과정;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을 가지는 장신구부재를 준비하는 과정; 상기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코팅층을 상기 수용공간의 일부만 채우도록 주입하고 경화시켜서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1차 몰딩부를 만드는 과정; 및 상기 수용공간의 1차 몰딩부 위에 상기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된 유치와 상기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을 주입하고 경화시켜서, 상기 유치가 자외선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로 몰딩된 유치몰팅체를 만드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치보관장신구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아이의 유치 또는 반려동물의 유치를 소독액에 침지시켜서 1차 소독하는 과정; 상기 1차 소독된 유치를 표백제에 넣어서 미백처리하는 미백과정; 상기 미백처리된 유치를 건조시키는 과정; 상기 건조된 유치의 표면을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로 코팅하고, 경화시켜서 유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과정; 테두리형상으로 되어 상, 하부로 개방된 수용공간을 가지는 장신구부재를 준비하는 과정; 상기 장시구부재의 저면에 이형필름을 부착하여 상기 수용공간의 저면을 커버하는 과정; 상기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코팅층을 상기 수용공간의 일부만 채우도록 주입하고 경화시켜서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1차 몰딩부를 만드는 과정; 및 상기 수용공간의 1차 몰딩부 위에 상기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된 유치와 상기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을 주입하고 경화시켜서, 상기 유치가 자외선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로 몰딩된 유치몰팅체를 만드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치보관장신구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아이들이나 반려동물의 유치를 변색되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잘 간직할 수 있으며, 외관이 미려하여 장식성이 우수하여 장신구로서 기능도 우수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서는 유치를 자외선 경화형 수지조성물로 몰딩하여 펜던트, 팔찌, 반지, 귀걸이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장신구를 만들 수 있는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한 장신구를 착용하면 아이들이나 반려동물을 사랑하는 마음을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유치를 소독하고 미백한 다음, 자외선 경화형 수지조성물로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한 다음에 자외선 경화형 수지조성물로 몰딩하여 장신구를 만들기 때문에, 유치가 공기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유치가 손상될 우려가 없고 유치를 장기간 잘 간직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조공정을 보인 사진
도 11 내지 도 16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다른 타입의 장신구를 보인 사진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신구를 보인 사진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조공정을 보인 사진
도 21 내지 도 23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를 보인 사진
도 24 내지 2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제공공정을 보인 사진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을 보인 사진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아이의 유치를 이용하여 펜던트를 만드는 것을 예시하는데,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1차 소독과정
아이들의 유치나 반려동물의 유치를 구연산 또는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1차로 소독한다.
구연산과 과산화수소는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우수한 살균소독력을 가지므로 본 발명에서 사용이 바람직하다. 구연산을 동량의 물에 용해시킨 것 또는 과산화수소를 동량의 물로 희석시킨 것에 유치를 2~3일 정도 침지시켜서 소독시킨다. 도 1은 이러한 1차 소독과정을 보인 사진이다.
2) 미백과정
1차 소독처리한 유치를 미백처리한다. 유치를 미백처리하면 한층 더 보기 좋은 장신구를 만들 수 있다. 본 과정은 유치를 흔히, '락스'라고 통칭되는 염소계 표백제에 침지시켜서 이루어지는데, 염소계 표백제(락스)를 동량의 물로 희석시킨 것에 유치를 침지시킨다.
유치를 염소계 표백제에 과도하게 오래 침지시키면, 치아가 부식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1일을 초과하지 않도록 침지시킨다. 물론, 이러한 미백과정에서 치아가 추가로 소독된다. 도 2는 미백과정을 보인 사진이다.
3) 건조과정
미백처리된 유치 표면에 묻은 물기를 제거하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자연건조시켜서 유치의 물기를 완전히 제거시킨다. 유치를 건조기 등을 사용하여 건조시키면 유치가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유치를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햇볕으로 건조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유치가 태양광에 의해 한번 더 소독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4) 유치복원 및 표면코팅과정
유치의 표면을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로 코팅하고 경화시켜서, 유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시킨다.
유치에 미세한 기공이 있기 때문에, 유치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몰딩하면, 유치의 기공 속의 공기에 의해 몰딩에 기포가 형성되어 외관이 보기 좋지 않게 될 수도 있다. 또한, 유치가 울퉁불퉁하기 때문에 유치를 몰딩과정에서 수지조성물이 유치 표면에 잘 묻지 못하여 유치가 제대로 몰딩되지 못하고 유치와 수지조성물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유치가 공기에 노출되어 변질될 우려가 높아진다.
그러나 유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면, 유치의 표면의 틈이나 굴곡이 메워져서 유치 표면이 미끈하게 되므로 몰딩과정에서 수지조성물이 유치에 잘 묻게 되어 유치가 제대로 몰딩되고, 유치 표면의 코팅층에 의해 유치가 공기에 노출되는 것도 방지되므로 유치가 손상될 우려가 없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은 올리고머 또는 모노머 상태의 수지성분에 부착증진제, 광개시제, 소포제 등이 혼합된 것으로서, 아크릴계, 에폭시계, 우레탄계 등 투명성이 확보되는 공지된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을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2액형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을 사용한다.
한편, 유치가 여러 조각으로 깨진 경우에는 유치의 깨진 조각을 붙여서 유치를 원래형태로 복원시킨 다음에 유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한다. 유치조각을 붙일 때에는 상기와 같은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을 사용한다. 도 3은 깨진 유치를 보인 사진이고, 도 4는 깨진 유치조각을 붙여서 유치를 원래 형태로 복원시킨 것을 보인 사진이다.
5) 유치를 몰딩하여 유치몰딩체를 만드는 과정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된 유치를 상기 과정에서 사용한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로 몰딩하여 유치몰딩체를 만든다.
먼저, 유치를 몰딩하고자 하는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캐비티(성형공간)를 가지는 몰드를 만들고, 이 몰드를 사용하여 유치를 몰딩한다. 상기 몰드에는 캐비티와 연통되는 주입구를 가지도록 실리콘으로 제조된다.
본 과정에서는 완성된 유치몰딩체에서 유치가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원하는 위치에 자리 잡도록 몰딩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 먼저, 도 5에 게재된 바와 같이, 상기 몰드(10)의 캐비티에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을 캐비티의 일부만 채워지도록 주입하고, 몰드(10)를 이리 저리 굴려서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을 캐비티 내측 면에 묻힌 다음,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을 경화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몰드(10)의 캐비티 내측 면에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이 경화된 1차 몰딩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치를 몰드(10)의 캐비티에 집어넣으면, 이미 캐비티 내부에 형성된 1차 몰딩부에 의해 유치(2)가 캐비티 내측 면에서 이격되고, 이에 따라 유치(2)가 한쪽으로 쏠리는 것이 방지되므로 유치(2)의 위치를 잡기가 용이하다.
이와 같이 몰드(10)의 캐비티에 유치(2)를 집어넣고 상기 수지조성물을 조금씩 주입하면서 유치(2)의 위치를 잡아준다. 필요에 따라 이 과정에서 다른 장식재료를 캐비티에 집어넣어서 유치몰딩체(20)를 장식할 수도 있으며, 또한,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에 색소를 첨가하고 색소가 첨가된 수지조성물을 캐비티에 일부 주입하여 유치몰딩체(20)를 다채롭게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이 과정에서 유치(2)와 더불어 다른 장식재료들을 추가로 넣어서 유치와 함께 몰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유치(2)를 몰딩시켜서 유치몰딩체(20)를 만들고, 유치몰딩체(20)를 몰드(10)에서 탈형시킨다. 도 6과 도 7은 이와 같은 방법으로 만들어진 유치몰딩체(20)를 보인 사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몰드(10)의 캐비티가 볼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유치몰딩체(20)가 볼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유치몰딩체(20)가 볼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6) 유치몰딩체(20) 표면 다듬기과정
도 7에 게재된 바와 같이, 유치몰딩체(20)에는 상기 몰드의 캐비티 주입로에 의해 불필요하게 돌출된 부분이 형성되므로, 사포 등을 사용하여 유치몰딩체(20)의 표면을 다듬어 준다.
7) 장신구부재를 준비하는 과정;
유치몰딩체(20)를 결합시키기 위한 장신구부재(30)를 준비하는데, 상기 장신구부재는 몸에 착용하기 위한 줄, 링, 핀 등이 연결되거나 또는 이들을 연결할 수 있는 고리 등을 가진다. 즉, 장신구로 펜던트를 만들고자 하는 경우에는 펜던트 줄을 연결하기 위한 고리가 구비된 장신구부재를 준비하고, 장신구로 반지를 만들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가락에 낄 수 있는 링이 구비된 장신구부재를 구비한다. 그리고 장신구로 팔찌를 만들고자 하는 경우에는 팔찌의 줄을 연결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고리가 구비된 장신구 부재를 준비하고, 장신구로 귀걸이를 만들고자 하는 경우에는 귀에 작용할 수 있는 핀이 구비된 장신구부재를 준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펜던트를 만드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므로 도 8에 게재된 바와 같이 장신구부재(30)가 펜던트 줄을 걸기 위한 고리가 형성된 것이 사용된다.
8) 유치몰딩체(20)를 장신구부재(30)에 결합시키는 과정
유치몰딩체(20)를 장신구부재(30)에 결합시켜서 장신구를 완성한다. 본 과정에서는 상기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유치몰딩체(20)를 장신구부재(30)에 부착시키는데, 유치몰딩체(20)의 장신구부재(30)와 부착되는 부분에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을 도포하고 장신구부재(30)와 밀착시켜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고정시킨다. 도 9는 장신구부재(30)에 유치몰딩체(20)를 부착시켜서 자외선으로 경화시키는 과정을 보인 사진이고, 도 10은 유치몰딩체(20)와 장신구부재(30)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진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유치몰딩체(20)가 부착된 장신구부재(30)에 펜던트줄을 걸어서 펜던트를 완성한다.
도 11 내지 도 16은 이와 같은 방법으로 만든 유치몰딩체를 다양한 형태의 장신구부재에 부착하여 제조한 장신구를 보인 사진으로서, 도 11 내지 도 14는 유치몰딩체를 이용하여 만든 펜던트를 보인 사진이고, 도 15와 16은 각각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만든 유치몰딩체를 이용하여 만든 반지와 귀걸이를 보인 사진이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장신구는 아이나 반려동물의 유치를 이용하여 외관이 미려한 장신구를 만들어서 유치를 오랫동안 잘 간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사진으로서, 유치몰딩체(20)를 이용하여 만든 팔찌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치몰딩체(20)가 사각판상을 갖도록 성형되어 구멍이 천공되며, 이 구멍을 이용하여 장신구부재(30)와 유치몰딩체(20)가 결합된다.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조과정을 보인 사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8에 게재된 바와 같이, 유치(2)를 몰딩할 수 있는 상향으로 개방된 오목한 그릇형상의 성형공간(32)을 가지는 장신구부재(30)를 사용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유치(2)를 몰딩하기 위해 별도의 몰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9에 게재된 바와 같이, 장신구부재(30)의 성형공간(32)에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을 붓는데, 성형공간(32) 일부만 채워지도록 상기 수지조성물을 붓고 경화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성형공간(32)의 바닥측에 1차 몰딩부가 형성된다. 성형공간(32)에 유치(2)를 넣고 자외선 경화성 수지조성물을 주입하면, 유치(2)가 성형공간(32)의 바닥에 가라 앉아서 유치(2)가 제대로 몰딩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유치(2)가 과도하게 깊숙이 위치되어 전면으로 잘 보이기 않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성형공간(32)의 1차 몰딩부를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1차 몰딩부를 만드는 과정에서 색소나 장식재료를 함께 넣어 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성형공간(32)에 1차 몰딩부를 만든 다음에 성형공간(32)의 1차 몰딩부 위에 전술한 바와 같이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된 유치(2)를 배치하고 자외선경화성 투명 수지조성물을 부으면서 유치를 잡아준다. 그리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수지조성물을 경화시켜서 유치몰딩체(20)를 만든다. 도 20은 장신구부재(30)에 유치몰딩체(20)가 완성된 사진이다.
도 21 내지 23은 이와 같은 방법으로 유치몰딩체(20)가 완성된 장신구부재(30)를 사용하여 만든 팔찌와 펜던트 사진이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서는 장신구부재(30)에 유치를 몰딩할 수 있는 성형공간(32)이 형성되므로 유치몰딩체(20)를 만들기 위해 별도의 몰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또한, 유치몰딩체(20)가 만들어지면서 장신구부재(30)와 결합되므로 유치몰딩체(20)를 장신구부재(30)와 결합시키는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가진다.
도 24 내지 2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제조과정을 보인 사진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로 개방되는 형태의 성형공간(32)을 가지는 장신구부재(30)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4에 게재된 바와 같이, 장신구부재(30)가 링형상으로 되어 성형공간(32)이 상하로 개방되므로, 장신구부재(30)의 배면에 이형필름을 부착하여 성형공간(32)의 저면을 커버시킨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성형공간(32)에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1차 몰딩부를 만들고, 이어서 유치몰딩체(20)를 만든다. 그리고 장신구부재(30)에 부착시켰던 이형필름을 제거한다.
도 25는 장신구부재(30)의 배면에 이형필름을 부착하고 성형공간(32)에 1차 몰딩부를 만들기 위해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을 주입한 상태를 보인 사진이고, 도 25는 장신구부재(30)에 유치몰딩체가 만들어진 상태를 보인 사진이고, 도 26은 상기 유치몰딩체에 장식재료를 더 부착시켜서 만든 제품을 보인 사진이다.

Claims (6)

  1. 아이의 유치 또는 반려동물의 유치를 소독액에 침지시켜서 1차 소독하는 단계-상기 1차 소독하는 단계는 구연산을 동량의 물에 용해시킨 것에 유치를 3일간 침지시켜서 소독하는 것을 포함함-;
    상기 1차 소독된 유치를 표백제에 넣어서 미백처리하는 미백단계;
    상기 미백처리된 유치를 통풍이 잘되는 장소에서 햇볕으로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된 유치의 표면을 2액형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로 코팅하고, 경화시켜서 유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된 유치를 상기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로 몰딩하여 유치몰딩체를 만드는 단계; 및
    상기 유치몰딩체를 장신구부재와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건조된 유치가 깨진 경우에는 상기 2액형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로 깨진 유치 조각을 붙인 후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유치몰딩체를 만드는 단계는,
    상기 유치몰딩체에 대응되는 형상의 캐비티를 가지는 몰드를 준비하는 과정;
    상기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을 상기 캐비티의 일부만 채우도록 주입하고 경화시켜서, 상기 캐비티 내부에 1차 몰딩부를 만드는 과정;
    상기 캐비티에 상기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된 유치를 주입하고, 상기 자외선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을 추가로 주입하고 경화시키는 과정; 및
    상기 몰드에서 경화된 유치몰딩체를 탈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유치몰딩체와 결합되는 상기 장신구부재는 몸에 착용이 가능한 링 또는 핀이 결합되거나, 링 또는 핀을 결합하는 고리 또는 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치보관장신구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137099A 2018-11-09 2018-11-09 유치보관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KR102019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099A KR102019447B1 (ko) 2018-11-09 2018-11-09 유치보관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099A KR102019447B1 (ko) 2018-11-09 2018-11-09 유치보관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9447B1 true KR102019447B1 (ko) 2019-09-06

Family

ID=67949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099A KR102019447B1 (ko) 2018-11-09 2018-11-09 유치보관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4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453A (ko) * 2021-03-19 2022-10-13 배소정 유해 봉입물 및 유해봉입물 제작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838B1 (ko) 2002-08-13 2004-10-14 홍성민 사랑니를 이용한 장신구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20060106204A (ko) * 2005-04-06 2006-10-12 도상우 자외선경화수지를 이용한 인조큐빅 및 그 제조방법
JP2008194384A (ja) * 2007-02-15 2008-08-28 Ikuya Kasashima 乳歯形態復元物の保存方法と乳歯形態復元物の保存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838B1 (ko) 2002-08-13 2004-10-14 홍성민 사랑니를 이용한 장신구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20060106204A (ko) * 2005-04-06 2006-10-12 도상우 자외선경화수지를 이용한 인조큐빅 및 그 제조방법
JP2008194384A (ja) * 2007-02-15 2008-08-28 Ikuya Kasashima 乳歯形態復元物の保存方法と乳歯形態復元物の保存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453A (ko) * 2021-03-19 2022-10-13 배소정 유해 봉입물 및 유해봉입물 제작방법
KR102570127B1 (ko) * 2021-03-19 2023-08-22 배소정 유해봉입물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00866A1 (en) Jewelry for Infant Teething
KR102019447B1 (ko) 유치보관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US20190160710A1 (en) Memorial object for preserving cremains and methods to produce
JP2006255367A (ja) メモリアル装身具
JP2007532365A (ja) 貝殻を有する装飾物を製造する方法
US8661849B2 (en) Deciduous teeth matrix jewelry and method of manufacture
JPH11128249A (ja) 歯用装飾部材、人工歯、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219009A (ja) 乳歯記念指環とその発展型となる立体指環
KR101360317B1 (ko) 내부에 수지가 충진된 펜던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993449B1 (ko) 겨자씨가 부착 고정된 장신구 및 물품의 제작방법 및겨자씨가 부착된 장신구 및 물품
US201701292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bricating artwork and decorative articles with molded cannabis plant parts
KR102089166B1 (ko) 프리저브드 꽃잎을 포함하는 동물 형상의 인형 및 이의 제조방법
JP7083182B2 (ja) 真珠層付き装飾用物品の製造方法
KR101821237B1 (ko) 장신구용 유치 보관함
WO2014018674A1 (en) Deciduous teeth matrix jewelry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0324992Y1 (ko) 신생아 배꼽도장
ES1227094U (es) Artículos de joyería y/o accesorios de uso personal o doméstico que comprenden leche materna
KR101684732B1 (ko) 봉제인형에 부착하는 장식용 인형 눈
KR200488676Y1 (ko) 레진-석고방향제
KR20230154123A (ko) 보존화를 이용한 액세서리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48150A (ko) 유해봉입물 제작방법
JP3099149U (ja) 装身具
ES2151843B1 (es)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la creacion de hojas y flores artificial es.
KR100529796B1 (ko) 자연소재를 이용한 장신구의 제조방법
KR20200046545A (ko) 탯줄보관장식물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