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241B1 -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생산을 위한 글로브 박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생산을 위한 글로브 박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241B1
KR102019241B1 KR1020190067863A KR20190067863A KR102019241B1 KR 102019241 B1 KR102019241 B1 KR 102019241B1 KR 1020190067863 A KR1020190067863 A KR 1020190067863A KR 20190067863 A KR20190067863 A KR 20190067863A KR 102019241 B1 KR102019241 B1 KR 102019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box
solvent
solid
state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영
Original Assignee
(주)엠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오텍 filed Critical (주)엠오텍
Priority to KR1020190067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2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1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in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2Soli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21/00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21/02Glove-boxes, i.e. chambers in which manipulations are performed by the human hands in gloves built into the chamber walls; Glov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0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the material being a slurry or paste applied onto moving elements, e.g. chains, plates, for drying thereon, and subsequently removed therefr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 F26B5/041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for drying flowable materials, e.g. suspensions, bulk goods, in a continuous operation, e.g. with locks or other air tight arrangements for charging/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68Solid electrolytes inorganic
    • H01M2300/0071Ox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obo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생산을 위한 글로브 박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전고체 물질과 제1 솔벤트(Solvent)를 혼합한 제1 슬러리(S1)를 교반하여 반응시키는 반응기(150)를 구비한 교반용 글로브 박스(100)와;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교반용 글로브 박스(100)를 거친 제1 슬러리(S1)를 건조하여 제1 솔벤트가 제거된 상태의 물질(S2)을 제조하는 건조장치(250)를 구비한 진공 건조부(200)와; 상기 진공 건조부(200)를 거친 제1 솔벤트가 제거된 상태의 물질(S2)을 일정온도로 소결하여 소결체(S3)를 제조하는 소결장치(350)를 구비한 소결용 글로브 박스(300)와; 상기 소결장치(350)를 거친 소결체(S3)를 건식 분쇄 또는 제2 솔벤트를 혼합하여 습식 분쇄를 통해 전고체 분말(S4)을 제조하는 밀링장치(450)를 구비한 밀링용 글로브 박스(400)와; 전고체 분말(S4)에 제2 솔벤트를 혼합되어 뭉쳐질수 있는 상태로 안정성이 향상된, 반죽형 성형체(S5)을 제조하는 반죽형 성형체 제조부(550)가 구비된 제5 글로브 박스(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생산용 글로브 박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생산을 위한 글로브 박스 시스템 { Glove Box Producing Battery Solid Electrolyte }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수분(H2O) 산소(O2)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를 수분 산소로부터 접촉을 차단한 상태에서 제조할 수 있는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생산을 위한 글로브 박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글로브박스는 대기중의 수분에 민감한 물질을 포장하거나 또는 수분이나 산소에 민감한 화합을 불활성 기체 분위기에서 안전하게 작업하는 등의 용도로 곤안된 장치로서 통상의 글로브박스는 글로브박스 본체, 조절유닛, 보조챔버, 진공펌프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글로브박스 본체는 작업자가 손을 넣고 작업하는 글로브, 정면창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조절유닛은 불활성기체 및 진공 조절 장치들을 포함하고 있다.
선행기술로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등록특허 제10-0815466호 승강장치가 구비된 글로브 박스, 제10-1052460호 클린룸 기능이 구비된 글로브박스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 제10-1090185호 글로브 박스용 게이트 도어 등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17-0084707호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 및 이를 적용한 전고체 전지를 개시한다. 공개특허 제10-2017-0084707호는 "전고체 전지는 기존에 리튬 이차전지에서 사용되는 액체 전해질을 고체로 대체한 전지를 의미하며, 전지내 가연성의 용매를 사용하지 않아 종래 전해액의 분해반응 등에 의한 발화나 폭발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므로 안전성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음극 소재로 Li 금속 또는 Li 합금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지의 질량 및 부피에 대한 에너지 밀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전고체 전지의 고체 전해질 중에서 무기물계 고체 전해질은 황화물계와 [0007] 산화물계로 구분할 수 있다. 현재 가장 많은 기술 개발이 진행된 고체 전해질은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이며, 이 고체 전해질의 이온전도도는 유기 전해액에 근접한 수준의 이온전도도를 가진 재료까지 개발이 되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은 인(P) 원소를 함유하며, 대기 중 수분 및 산소와 반응하여 성능이 급격하게 열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대기 중 저장성이 저하되고, 취급상의 어려움이 있으며, 물과 반응해 황화수소(H2S)와 같은 유독 가스가 발생하기 때문에 안전성 및 안정성의 문제를 일으킨다"고 기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수분(H2O) 산소(O2)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를 수분 산소로부터 접촉을 차단한 상태에서 제조할 수 있는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생산을 위한 글로브 박스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황(S) 성분을 포함하는 설파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생산에 있어서 냄새 등 제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해 가스의 외부 배출 및 작업자 수감(악뤼 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생산을 위한 글로브 박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생산을 위한 글로브 박스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전고체 물질과 제1 솔벤트(Solvent)를 혼합한 제1 슬러리(S1)를 교반하여 반응시키는 반응기(150)를 구비한 교반용 글로브 박스(100)와;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교반용 글로브 박스(100)를 거친 제1 슬러리(S1)를 건조하여 제1 솔벤트가 제거된 상태의 물질(S2)을 제조하는 건조장치(250)를 구비한 진공 건조부(200)와;
상기 진공 건조부(200)를 거친 제1 솔벤트가 제거된 상태의 물질(S2)을 일정온도로 소결하여 소결체(S3)를 제조하는 소결장치(350)를 구비한 소결용 글로브 박스(300)와;
상기 소결장치(350)를 거친 소결체(S3)를 건식 분쇄 또는 제2 솔벤트를 혼합하여 습식 분쇄를 통해 전고체 분말(S4)을 제조하는 밀링장치(450)를 구비한 밀링용 글로브 박스(400)와 ;
상기 전고체 분말(S4)에 제2 솔벤트를 혼합되어 뭉쳐질수 있는 상태로 안정성이 향상된, 반죽형 성형체(S5)을 제조하는 반죽형 성형체 제조부(550)가 구비된 제5 글로브 박스(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생산용 글로브 박스 시스템.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수분(H2O) 산소(O2)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를 수분 산소로부터 접촉을 차단한 상태에서 제조할 수 있는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생산을 위한 글로브 박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황(S) 성분을 포함하는 설파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생산에 있어서 냄새 등 제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해 가스의 외부 배출 및 작업자 수감(악뤼 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생산을 위한 글로브 박스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생산을 위한 글로브 박스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생산을 위한 글로브 박스 전체 구성도.
도 3(a, b, c, d, e, f, g)은 본 발명의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생산을 위한 글로브 박스 중 건조용 글로브 박스 상세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슬러리 건조 장치 기능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글로브 박스 시스템을 이용한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제조 방법 흐름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생산을 위한 글로브 박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생산을 위한 글로브 박스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생산을 위한 글로브 박스 전체 구성도이고, 도 3(a, b, c, d, e, f, g)은 본 발명의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생산을 위한 글로브 박스 중 건조용 글로브 박스 상세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서 반죽이란 분말 가루에 물 솔벤트 등의 액체를 혼합하여 뭉쳐질수 있게 된 상태의 물질을 말한다.
도 1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생산을 위한 글로브 박스는, 교반용 글로브 박스(100)와 진공 건조부(200)와 소결용 글로브 박스(300)와 밀링용 글로브 박스(400)와 제5 글로브 박스(500)를 구비한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용 글로브 박스(100)는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전고체 물질과 제1 솔벤트(Solvent)를 혼합한 제1 슬러리(S1)를 교반하여 반응시키는 반응기(150)를 구비한다.
진공 건조부(200)는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교반용 글로브 박스(100)를 거친 제1 슬러리(S1)를 건조하여 제1 솔벤트가 제거된 상태의 물질(S2)을 제조하는 건조장치(250)를 구비한다.
또한, 진공 건조부(200)는 진공 회전식 건조장치(250)의 하부에 진공 건조에 의해 제1 솔벤트가 제거된 상태의 물질(S2)이 낙하되면 이를 받아서 소결용 글로브 박스(300) 측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310)을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컨베이어(310)의 단부는 소결용 글로브 박스(300) 내부로 통로 측면에서 연결된다. 또는, 이송 컨베이어(310)의 단부에 인접한 위치 및 소결용 글로브 박스(300) 내부 중 하부 우치에 엘리베이터(330)가 구비되어 전송된 제1 솔벤트가 제거된 상태의 물질(S2)을 받아서 작업자가 글로브(G)를 통하여 소결장치(350)로 이송가능하도록 한다.
도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결용 글로브 박스(300)는 진공 건조부(200)를 거친 제1 솔벤트가 제거된 상태의 물질(S2)을 일정온도로 소결하여 소결체(S3)를 제조하는 소결장치(350)를 구비한다. 작업자는 글로브를 통하여 인입 인출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소결장치(350) 내부에 제어판이 구비된 경우 제어할 수 있다.
도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링용 글로브 박스(400)는 소결장치(350)를 거친 소결체(S3)를 제2 솔벤트를 혼합하여 습식 분쇄를 통해 전고체 분말(S4)을 제조하는 밀링장치(450)를 구비한다. 밀링장치(450)는 소결체(S3)에 제2 솔벤트를 분사하면서 밀링을 통해 소결 단계 전보다 더 작고 균일한 특성을 갖는 입자를 생성한다.
밀링장치(450)의 작업 대상은 믹스 탱크(750)로 이송되고, 믹스 탱크(750)는 밀링장치(450)와 반죽형(반건조) 성형체 제조부(550) 사이에 위치한다. 믹스 탱크(750)는 교반구단을 구비한다. 교반 수단은 전고체 분말의 제2 솔벤트 내 분산 작용을 보조한다.
도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글로브 박스(500)는 전고체 분말(S4)에 제2 솔벤트를 혼합되어 뭉쳐질수 있는 상태로 안정성이 향상된, 반죽형 성형체(S5)을 제조하는 반죽형 성형체 제조부(550)가 구비된다.
정량 이송 펌프(730)는 단위 시간당 정량을 반죽형 성형체 제조부(550)로 전송하고 반죽형 성형체 제조부(550)는 제2 솔벤트 및 전고체 분말 혼합물에서 제2 솔벤트를 제거 건조 시키되, 출력물이 액체를 일정 이상 함유하여 진흙 덩어리나 밀가루 반죽처럼 뭉쳐질 질수 있을 만큼만 건조시킨다. 액체 성분을 일정 이상 함유하여야 전고체 분말이 화학적으로 안정하기 때문에 포장 보관 이동이 용이하게 때문이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생산을 위한 글로브 박스에 있어서, 교반용 글로브 박스(100)와 진공 건조부(200) 사이에 제1 이송라인(610)이 형성되고, 제1 이송라인(610) 상에 제1 이송펌프(630)가 구비되어 진공 건조부(200) 쪽으로 슬러리(S1)를 이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밀링용 글로브 박스(400)와 제5 글로브 박스(500) 사이에 제3 이송라인(710)이 형성된다. 제3 이송라인(710) 상의 제3 이송펌프(730)가 제5 글로브 박스(500) 쪽으로 전고체 분말(S4) 또는 제2 솔벤트와 혼합된 전고체 분말(S4)을 이송한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생산을 위한 글로브 박스에 있어서, 제3 이송라인(710) 상에 제3 이송펌프(730)로부터 이송된 제2 솔벤트와 혼합된 전고체 분말(S4)이 임시 저장되는 믹스 탱크(750)가 구비된다. 믹스 탱크(750)와 반죽형 성형체 제조부(550) 사이에 정량 펌프(770)가 구비되고, 정량 펌프(770)는 단위 시간당 정량을 반죽형 성형체 제조부(550)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죽형 성형체 제조부(550)는 건조 작업을 마친 상태에서 일정 이상 솔벤트 성분을 포함하는 최종 작업물을 덩어리 형태로 하부로 출력하게 된다. 반죽형 성형체 제조부(550)의 하부 또는 팩킹 글로브 박스(800) 하부에 엘리베이터(530)가 구비되어 출력물을 다시 상승 시켜주면 작업자가 팩킹 글로브 박스(800)으로 이송시키거나 상승한 상태에서 패킹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반죽형 성형체 제조부(550)의 하부에 컨베이어가 있는 경우 컨베이어의 단부는 팩킹 글로브 박스(800) 내부로 연결되고, 팩킹 글로브 박스(800) 하부에 엘리베이터(530)가 구비되어 출력물을 다시 상승 시켜주면 작업자가 패킹 작업을 수행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도 1, 도 2. 특히 도 3(a, b, c, d, e, f,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생산을 위한 글로브 박스에 있어서, 진공 건조부(200)의 내부에 위치하여 제1 슬러리(S1)에서 제1 솔벤트를 제거하는 건조장치(250)는, 제1 슬러리(S1)가 투입되는 용기부(260)와, 유리용기(251)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부(270)와, 회전수단부(270)에 의해 회전되고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는 회전몸체부(280)와, 용기부(260)의 내부 공간에 진공을 형성시키고 상기 회전몸체부(280)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진공수단부(290)와, 용기부(260) 하부에 위치한 가열수단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도 2. 특히 도 3(a, b, c, d, e, f,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생산을 위한 글로브 박스에 있어서, 진공 건조부(200)에 상기 건조장치(250)의 하부 위치에 상기 용기부(251)를 승강시키는 제1 엘리베이터(21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장치(250)는 진공수단부(290)로 용기부(260) 내부에 진공을 형성시킨 상태에서 회전수단부(270)로 회전몸체부(280) 및 용기부(260) 결합체를 회전시키면서 내용물 중의 액체를 증발(Enaporation) 시킨다. 회전몸체부(280)는 지면과 수직 또는 수평이 아니고 지면 수평선 대비 20 ~ 70°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도 3(a, b, c, d, e, f, g)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생산을 위한 글로브 박스에 있어서, 내용물의 건조는, 1) 하강(초기) 상태의 제1 엘리베이터(210) 상부에 위치한 용기부(260)에 내용물(슬러리)이 주입되는 주입 단계(S210)와, 2) 상기 제1 엘리베이터(210)가 상승하여 용기부(260) 상부의 주입구(261)가 상기 회전몸체부(280)의 하단에 근접하는 엘리베이터 상승 단계(S220)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3) 용기부의 주입구(261)에 위치한 밀봉수단(263)과 회전몸체부(280)의 하단에 설치된 피밀봉수단(283)이 결합되어 진공수단부(290)의 진공이 용기부(260)의 내부 공간에 전달될 수 있게 밀봉되는 밀봉 결합 단계(S230)와, 4) 제1 엘리베이터(210)가 하강하여 용기부(260) 하부의 지지를 철회하는 엘리베이터 하강 단계(S240)가 진행된다.
다음으로, 5) 상기 회전수단부(270)가 회전몸체부(280) 및 용기부(260) 결합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단계(S250)와, 6) 용기부(260)의 하부에 위치하는 가열수단부(240)가 상기 용기부(260)를 가열하는 가열 건조 단계(S260)가 진행된다.
도 3(a, b, c, d, e, f,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생산을 위한 글로브 박스에 있어서, 제1 엘리베이터(210)는, 하부의 모터와 볼 스크류로 구성된 승강수단(미도시)와, 상기 승강수단(미도시)에 의해 승강되는 하우징부(211)와, 상기 하우징부(211)의 상측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된 전후 방향 슬라이더(213)와, 전후 방향 슬라이더(213)의 상부에 고정된 용기 지지부(215)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엘리베이터 상승 단계(S220) 이후 밀봉 결합 단계(S230) 전에 상기 전후 방향 슬라이더(213)가 회전몸체부(280)의 하단에 설치된 피밀봉수단(283) 쪽으로 전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결을 위한 열처리 과정은 400 내지 850 ℃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열처리의 온도가 범위 미만이면 화합물의 제조 자체가 어려워질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 초과하면 화합물의 입자가 커져 이로 인해 이온전도도가 저하되거나 균일한 크기의 입자 제조가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균일한 입자 혼합을 위해 기계적 밀링이 수행된다. 기계적 밀링으로 롤밀링(roll milling), 볼밀링(ball milling) 또는 제트 밀(jet milling) 등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글로브 박스 시스템을 이용한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제조 방법은 솔벤트 반응 단계(S110)와 진공 건조 단계(S120)와 소결체 제조 단계(S130)와 밀링 단계(S140)와 반죽형(반건조) 성형체 제조 단계(S150)를 포함한다.
먼저, 솔벤트 반응 단계(S110)에서, 반응기(150)가 내부에 구비되고 외부와 차단된 상태의 교반용 글로브 박스(100) 안에서 전고체 물질과 제1 솔벤트(Solvent)를 혼합한 제1 슬러리(S1)를 교반하여 반응시킨다.
다음으로 진공 건조 단계(S120)에서, 건조장치(250)를 구비한 진공 건조부(200)를 사용하여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교반용 글로브 박스(100)를 거친 제1 슬러리(S1)를 건조하여 제1 솔벤트가 제거된 상태의 물질(S2)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소결체 제조 단계(S130)에서,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내부에 소결장치(350)가 구비된 소결용 글로브 박스(300) 안에서 상기 진공 건조부(200)를 거친 제1 솔벤트가 제거된 상태의 물질(S2)을 일정온도로 소결하여 소결체(S3)를 제조한다.
밀링 단계(S140)에서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내부에 밀링장치(450)가 구비된 밀링용 글로브 박스(400) 안에서, 상기 소결장치(350)를 거친 소결체(S3)를 제2 솔벤트를 혼합하여 습식 분쇄를 통해 전고체 분말(S4)을 제조한다.
반죽형 성형체 제조 단계(S150)에서, 반죽형 성형체 제조부(550)가 구비된 제5 글로브 박스(500) 안에서, 상기 전고체 분말(S4)에 제2 솔벤트를 혼합되어 뭉쳐질수 있는 상태로 안정성이 향상된, 반죽형 성형체(S5)을 제조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발명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부호는 단순히 발명의 이해를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권리범위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함을 밝히며 기재된 도면부호에 의해 권리범위가 좁게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교반용 글로브 박스 200: 건조용 글로브 박스
150: 반응기 210: 제1 엘리베이터
211: 하우징부 213: 전후 방향 슬라이더
215: 용기 지지부 250: 건조장치
240: 가열수단부
260: 용기부 261: 주입구
270: 회전수단부 280: 회전몸체부
283: 피밀봉수단 290: 진공수단부
300: 소결용 글로브 박스 350: 소결장치
400: 밀링용 글로브 박스 450: 밀링장치
500: 제5 글로브 박스 550: 반죽형 성형체 제조부
610: 제1 이송라인 630: 제 1 이송펌프
710: 제3 이송라인 730: 제3 이송펌프
750: 믹스 탱크 770: 정량 펌프
S1: 제1 슬러리 S2: 물질
S3: 소결체 S4: 전고체 분말
S5: 반죽형 성형체 S210: 주입 단계
S220: 엘리베이터 상승 단계 S230: 밀봉 결합 단계
S240: 엘리베이터 하강 단계 S250: 회전 단계
S260: 가열 건조 단계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생산을 위한 글로브 박스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전고체 물질과 제1 솔벤트(Solvent)를 혼합한 제1 슬러리(S1)를 교반하여 반응시키는 반응기(150)를 구비한 교반용 글로브 박스(100)와;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교반용 글로브 박스(100)를 거친 제1 슬러리(S1)를 건조하여 제1 솔벤트가 제거된 상태의 물질(S2)을 제조하는 건조장치(250)를 구비한 진공 건조부(200)와;

    상기 진공 건조부(200)를 거친 제1 솔벤트가 제거된 상태의 물질(S2)을 일정온도로 소결하여 소결체(S3)를 제조하는 소결장치(350)를 구비한 소결용 글로브 박스(300)와;

    상기 소결장치(350)를 거친 소결체(S3)를 제2 솔벤트를 혼합하여 습식 분쇄를 통해 전고체 분말(S4)을 제조하는 밀링장치(450)를 구비한 밀링용 글로브 박스(400)와;

    상기 전고체 분말(S4)에 제2 솔벤트를 혼합되어 뭉쳐질수 있는 상태로 안정성이 향상된, 반죽형 성형체(S5)을 제조하는 반죽형 성형체 제조부(550)가 구비된 제5 글로브 박스(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교반용 글로브 박스(100)와 진공 건조부(200) 사이에 제1 이송라인(61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이송라인(610) 상에 제1 이송펌프(630)가 구비되어 진공 건조부(200) 쪽으로 슬러리(S1)를 이송하고,
    밀링용 글로브 박스(400)와 제5 글로브 박스(500) 사이에 제3 이송라인(710)이 형성되고,
    상기 제3 이송라인(710) 상의 제3 이송펌프(730)가 제5 글로브 박스(500) 쪽으로 전고체 분말(S4) 또는 제2 솔벤트와 혼합된 전고체 분말(S4)을 이송하고,

    상기 진공 건조부(200)의 내부에 위치하여 제1 슬러리(S1)에서 제1 솔벤트를 제거하는 건조장치(250)는,
    상기 제1 슬러리(S1)가 투입되는 용기부(260)와,
    유리용기(251)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부(270)와,
    상기 회전수단부(270)에 의해 회전되고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는 회전몸체부(280)와,
    상기 용기부(260)의 내부 공간에 진공을 형성시키고 상기 회전몸체부(280)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진공수단부(290)와,
    상기 용기부(260) 하부에 위치한 가열수단부(240),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진공 건조부(200)에 상기 건조장치(250)의 하부 위치에 상기 용기부(260)를 승강시키는 제1 엘리베이터(210)가 더 구비되고,
    상기 건조장치(250)는 진공수단부(290)로 용기부(260) 내부에 진공을 형성시킨 상태에서 회전수단부(270)로 회전몸체부(280) 및 용기부(260) 결합체를 회전시키면서 내용물 중의 액체를 증발(Enaporation) 시키고,
    상기 회전몸체부(280)는 지면과 수직 또는 수평이 아니고 지면 수평선 대비 20 ~ 70°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내용물의 건조는,
    1) 하강(초기) 상태의 제1 엘리베이터(210) 상부에 위치한 용기부(260)에 내용물(슬러리)이 주입되는 주입 단계(S210)와,
    2) 상기 제1 엘리베이터(210)가 상승하여 용기부(260) 상부의 주입구(261)가 상기 회전몸체부(280)의 하단에 근접하는 엘리베이터 상승 단계(S220)와,
    3) 용기부의 주입구(261)에 위치한 밀봉수단(263)과 회전몸체부(280)의 하단에 설치된 피밀봉수단(283)이 결합되어 진공수단부(290)의 진공이 용기부(260)의 내부 공간에 전달될 수 있게 밀봉되는 밀봉 결합 단계(S230)와,
    4) 제1 엘리베이터(210)가 하강하여 용기부(260) 하부의 지지를 철회하는 엘리베이터 하강 단계(S240)와,
    5) 상기 회전수단부(270)가 회전몸체부(280) 및 용기부(260) 결합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단계(S250)와,
    6) 용기부(260)의 하부에 위치하는 가열수단부(240)가 상기 용기부(260)를 가열하는 가열 건조 단계(S260),
    를 거쳐 시행되고,

    상기 제1 엘리베이터(210)는,
    하부의 모터와 볼 스크류로 구성된 승강수단(미도시)와,
    상기 승강수단(미도시)에 의해 승강되는 하우징부(211)와,
    상기 하우징부(211)의 상측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된 전후 방향 슬라이더(213)와,
    상기 전후 방향 슬라이더(213)의 상부에 고정된 용기 지지부(215),
    로 구성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상승 단계(S220) 이후 밀봉 결합 단계(S230) 전에 상기 전후 방향 슬라이더(213)가 회전몸체부(280)의 하단에 설치된 피밀봉수단(283) 쪽으로 전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생산용 글로브 박스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생산용 글로브 박스 시스템은,
    반응기(150)가 내부에 구비되고 외부와 차단된 상태의 교반용 글로브 박스(100) 안에서 전고체 물질과 제1 솔벤트(Solvent)를 혼합한 제1 슬러리(S1)를 교반하여 반응시키는 반응 단계(S110)와;

    건조장치(250)를 구비한 진공 건조부(200)를 사용하여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교반용 글로브 박스(100)를 거친 제1 슬러리(S1)를 건조하여 제1 솔벤트가 제거된 상태의 물질(S2)을 제조하는 진공 건조 단계(S120)와;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내부에 소결장치(350)가 구비된 소결용 글로브 박스(300) 안에서 상기 진공 건조부(200)를 거친 제1 솔벤트가 제거된 상태의 물질(S2)을 일정온도로 소결하여 소결체(S3)를 제조하는 소결체 제조 단계(S130)와;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내부에 밀링장치(450)가 구비된 밀링용 글로브 박스(400) 안에서, 상기 소결장치(350)를 거친 소결체(S3)를 제2 솔벤트를 혼합하여 습식 분쇄를 통해 전고체 분말(S4)을 제조하는 밀링 단계(S140)와;

    반죽형(반건조) 성형체 제조부(550)가 구비된 제5 글로브 박스(500) 안에서, 상기 전고체 분말(S4)에 제2 솔벤트를 혼합되어 뭉쳐질수 있는 상태로 안정성이 향상된, 반죽형 성형체(S5)을 제조하는 반죽형 성형체 제조 단계(S150);
    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생산을 위한 글로브 박스 시스템.
KR1020190067863A 2019-06-10 2019-06-10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생산을 위한 글로브 박스 시스템 KR102019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863A KR102019241B1 (ko) 2019-06-10 2019-06-10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생산을 위한 글로브 박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863A KR102019241B1 (ko) 2019-06-10 2019-06-10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생산을 위한 글로브 박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9241B1 true KR102019241B1 (ko) 2019-11-04

Family

ID=68578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863A KR102019241B1 (ko) 2019-06-10 2019-06-10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생산을 위한 글로브 박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2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337B1 (ko) * 2020-05-12 2020-08-26 (주)엠오텍 밀폐형 글로브 박스 회전식 분말 소결 장치 및 방법
KR102247356B1 (ko) * 2019-11-29 2021-04-30 고대연 고체전해질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14111320A (zh) * 2021-11-25 2022-03-01 常州卓升干燥设备有限公司 一种物料干燥装置及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2533A (ja) * 2008-10-31 2010-06-17 Ohara Inc ガラスおよび結晶化ガラス
JP4955400B2 (ja) * 2004-01-06 2012-06-20 ヴェイパテック リミテッド 溶媒蒸発装置
KR20150039550A (ko) * 2013-10-02 2015-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황화물 고체 전해질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체 전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5400B2 (ja) * 2004-01-06 2012-06-20 ヴェイパテック リミテッド 溶媒蒸発装置
JP2010132533A (ja) * 2008-10-31 2010-06-17 Ohara Inc ガラスおよび結晶化ガラス
KR20150039550A (ko) * 2013-10-02 2015-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황화물 고체 전해질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체 전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356B1 (ko) * 2019-11-29 2021-04-30 고대연 고체전해질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148337B1 (ko) * 2020-05-12 2020-08-26 (주)엠오텍 밀폐형 글로브 박스 회전식 분말 소결 장치 및 방법
CN114111320A (zh) * 2021-11-25 2022-03-01 常州卓升干燥设备有限公司 一种物料干燥装置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9241B1 (ko)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생산을 위한 글로브 박스 시스템
EP3432320B1 (en) Solid electrolyte and method for producing solid electrolyte
CN104143656B (zh) 一种无机固体电解质膜/电极复合材料的制备方法
US11688879B2 (en) Sulfide-based solid electrolyte particles
US20140037535A1 (en) Method for Producing Lithium Sulfide for Lithium Ion Cell Solid Electrolyte Material
CN112125353B (zh) 锂离子电池用高镍三元正极材料的制备方法
CN105307979B (zh) 钛酸锂、其制备方法以及使用其的蓄电装置
US5597526A (en) Lithium cell treating apparatus
CN204538131U (zh) 干燥注液一体机
CN110088350A (zh) 等离子体喷涂装置和电池用电极的制造方法
EP3598462A1 (en) Method for producing solid electrolyte
CN108878962A (zh) 一种硫化物固态电解质及其制备方法
CN106558699A (zh) 锂离子二次电池用电极材料、其制造方法、锂离子二次电池用电极及锂离子二次电池
CN109192956A (zh) 磷酸锆锂快离子导体包覆镍钴铝酸锂正极材料及制备方法
CN113328072A (zh) 高镍三元锂离子电池正极材料及其生产方法
Smith et al. Sol–gel encapsulated lithium polysulfide catholyte and its application in lithium–sulfur batteries
KR20210029379A (ko) 전고체전지용 고체 전해질 생산을 위한 글로브 박스 시스템 및 방법
CN110767899B (zh) 锂离子电池复合正极材料的制备方法
CN116903660A (zh) 二氟双草酸磷酸锂的自动化安全制备方法
EP0730314B1 (en) Method of producing cathode active material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CN116960443A (zh) 含碳硫化物固态电解质、制备方法和全固态锂二次电池
CN108878766B (zh) 用于改性富锂正极材料的设备和方法
US5879829A (en) Lithium cell treating apparatus
CN112683057B (zh) 一种用于制备固态电解质材料的多模块真空设备
CN110291592A (zh) 用于处理流体废物的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