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860B1 - 방향조절와이어 고정기능이 강화된 연성 카테터 - Google Patents
방향조절와이어 고정기능이 강화된 연성 카테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8860B1 KR102018860B1 KR1020170093639A KR20170093639A KR102018860B1 KR 102018860 B1 KR102018860 B1 KR 102018860B1 KR 1020170093639 A KR1020170093639 A KR 1020170093639A KR 20170093639 A KR20170093639 A KR 20170093639A KR 102018860 B1 KR102018860 B1 KR 1020188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rection control
- control wire
- tip
- flexible catheter
- wi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embedded materials for reinforcement, e.g. wires, coils, braids
- A61M25/005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embedded materials for reinforcement, e.g. wires, coils, braids having a variable stiffness along the longitudinal axis, e.g. by varying the pitch of the coil or brai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61M2025/015—Details of the distal fixation of the movable mechanical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025/0186—Catheters with fixed wires, i.e. so called "non-over-the-wire cath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강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밴딩부가 구비되는 삽입부, 삽입부 끝단에 구비되는 삽입부 팁, 삽입부와 연결되는 조작부, 조작부로부터 삽입부 팁까지 연결되는 워킹채널 및 일단은 조작부와 연결되며, 타단은 삽입부 팁의 일부를 둘러감아 거치되는 고정부가 구비되며, 조작부에 의해 당겨지는 길이에 따라 밴딩부를 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방향조절와이어를 포함하는 연성 카테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조절와이어 고정기능이 강화된 연성 카테터는 방향조절와이어가 경성의 삽입부 팁에 고정되며, 이때 삽입부 팁의 일부를 둘러감아 체결될 수 있다. 특히 별도의 고정을 위해 차지하는 별도의 구성요소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5mm이하의 직경을 갖는 세경 내시경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결국 반복하여 사용하더라도 방향조절와이어가 이탈 또는 파손되지 않으며, 과도한 조작에도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연성 카테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조절와이어 고정기능이 강화된 연성 카테터는 방향조절와이어가 경성의 삽입부 팁에 고정되며, 이때 삽입부 팁의 일부를 둘러감아 체결될 수 있다. 특히 별도의 고정을 위해 차지하는 별도의 구성요소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5mm이하의 직경을 갖는 세경 내시경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결국 반복하여 사용하더라도 방향조절와이어가 이탈 또는 파손되지 않으며, 과도한 조작에도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연성 카테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향조절와이어 고정기능이 강화된 연성 카테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세경 내시경에 적용되는 방향조절와이어의 고정기능이 강화된 연성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카테터(Catheter)는 주로 외과 시술시 체강 또는 장기 내로 삽입하기 위한 튜브형의 기구이며, 프로브(Prove)라고도 한다. 카테터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재질, 크기,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 중 경도에 따라 딱딱한 경성 카테터와 탄성이 있는 연성 카테터로 구분될 수 있다.
카테터는 내부의 워킹채널을 통하여 광섬유를 삽입하여 신체기관 내부를 촬영하거나, 처치구를 삽입하여 적절한 처치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병변부위에 대한 적절한 각도로 접근할 수 있도록 카테터 끝단에 조향이 이루어지며, 조향을 위해 와이어 등이 이용되고 있다.
전술한 연성 카테터와 관련하여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31,523호가 공개되어 있다.
도 1에는 족관절과 같이, 좁은 체강내부로 삽입되는 세경 카테터에 적용되는 방향조절와이어의 고정부분이 나타나 있다. 이 경우 카테터 자체의 직경이 5mm 이하로 구성되며, 컴팩트한 구성을 갖게 된다. 그러나 직경이 작아 고정기능이 약하며, 반복사용시에 방향조절와이어의 끝단이 파손되어 이탈이 쉽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카테터의 방향조절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향조절와이어 고정기능이 강화된 연성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체강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밴딩부가 구비되는 삽입부, 삽입부 끝단에 구비되는 삽입부 팁, 삽입부와 연결되는 조작부, 조작부로부터 삽입부 팁까지 연결되는 워킹채널 및 일단은 조작부와 연결되며, 타단은 삽입부 팁의 일부를 둘러감아 거치되는 고정부가 구비되며, 조작부에 의해 당겨지는 길이에 따라 밴딩부를 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방향조절와이어를 포함하는 연성 카테터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는 올가미 형태로 구성되어 삽입부 팁에 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방향조절와이어는 제1 방향조절와이어 및 제2 방향조절와이어로 구성되며, 제1 방향조절와이어 및 제2 방향조절와이어는 각각 반대 방향으로 밴딩부를 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제1 방향조절와이어의 고정부는 삽입부 팁의 둘레를 따라 소정길이로 배치되고, 끝단이 제2 방향조절와이어의 일 지점과 고정되며, 제2 방향조절와이어의 고정부는 제1 방향조절와이어와 반대방향으로 삽입부 팁의 둘레에 소정길이로 배치되고, 끝단이 제1 방향조절와이어의 일 지점과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부는 연성재질로 구성되며, 삽입부 팁은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삽입부 팁은 외경에 단차를 두어 삽입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연결부가 구비되며, 연결부는 삽입부가 수축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보스부가 구비되고, 보스부에는 삽입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와이어 홈이 구비되며, 방향조절와이어는 와이어 홈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부는 튜브형태로 구성되며, 삽입부의 내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지지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지지스프링은 밴딩부에 위치하는 부분의 피치가 다른 부분보다 더 넓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스프링의 일측은 삽입부 팁과 고정되며, 지지스프링의 타측과 연결되어 지지스프링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도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부 팁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체결부가 구비되며, 고정부는 보스부에 거치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 팁에는 외측면에 형성된 고정부 홈이 구비되며, 방향조절와이어의 고정부는 고정부 홈에 거치될 수 있다.
한편, 삽입부 및 삽입부 팁의 외경은 5mm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밴딩부는 삽입부의 다른 부분보다 연성이 크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조절와이어 고정기능이 강화된 연성 카테터는 반복사용하더라도 방향조절와이어가 이탈 또는 파손되지 않으며, 과도한 조작에도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연성 카테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방향조절와이어의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인 연성 카테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삽입부의 끝단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은 경도조절부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방향조절와이어 및 삽입부 팁이 나타난 사시도이다.
도 9는 고정부의 변형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팁 구조와 와이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인 연성 카테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삽입부의 끝단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은 경도조절부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방향조절와이어 및 삽입부 팁이 나타난 사시도이다.
도 9는 고정부의 변형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팁 구조와 와이어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향조절와이어(400) 고정기능이 강화된 연성 카테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각각의 구성요소의 명칭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변형된 실시예를 채용하더라도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에 부가된 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들 부호가 기재된 도면상의 도시 내용이 각각의 구성요소를 도면내의 범위로 한정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도면상의 구성을 일부 변형한 실시예가 채용되더라도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일반적인 기술자 수준에 비추어 보아, 당연히 포함되어야 할 구성요소로 인정되는 경우, 이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인 연성 카테터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삽입부(100)의 끝단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향조절와이어(400) 고정기능이 강화된 연성 카테터는 삽입부(100), 조작부(300), 워킹채널(600), 경도도절부 및 방향조절와이어(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삽입부(100)는 조직이나 체강으로 삽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삽입부(10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심부에 있는 체강 또는 조직에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삽입부(100)는 삽입튜브(110) 및 삽입부 팁(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삽입부(100)의 직경은 원활한 밴딩이 이루어지며 좁은 입구를 통하여 병변부위에 접근할 수 있도록 3mm 이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삽입부(100) 내부의 구성은 차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을 살펴보면, 삽입튜브(110)는 조작부(300)의 일측과 연결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삽입튜브(110)의 형상은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내부에 경도조절스프링(510) 및 워킹채널(600)이 배치될 수 있도록 빈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튜브(110)는 끝단에 소정길이로 형성된 밴딩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밴딩부(120)는 후술할 방향조절와이어(400)를 조절하면 밴딩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밴딩부(120)는 구조적으로 삽입튜브의 다른 부분과 차이가 없을 수 있으며, 후술할 경도조절스프링(510)에 의해 밴딩부가 작용할 수 있다. 밴딩부(120)의 길이는 체강내에 접근해야 하는 경로 등 신체의 해부학적인 구조에 대응하여 수술 목적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수치는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밴딩부(120)가 삽입튜브(110)의 다른 부분과 차이가 없는 구성이 나타나 있으나, 밴딩부(120)의 재질은 다른 부분보다 연성이 높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삽입부 팁(200)은 삽입튜브(110) 끝단에서 삽입튜브(110)의 일단과 견고하게 연결되어 연결된 구성요소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삽입부 팁(200)에는 외경에 단차를 두어 형성되는 삽입부(100)가 구비되며, 삽입부 팁(200)에는 삽입튜브(110)의 내면과 접촉하여 고정될 수 있는 보스부(220)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삽입부 팁(200)이 삽입튜브(110)로 삽입된 후 삽입튜브(110)의 끝단을 수축시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삽입부 팁(200)에는 후술할 방향조절와이어(400)가 둘레를 둘러가며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 홈(210)이 구비될 수 있다. 삽입부 팁(200)은 삽입튜브(110)의 재질보다 경도가 높은 재질로 구성되어 외력에 의한 변화를 최소화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100) 홈의 재질은 인체에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티타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조작부(300)는 삽입부(100)의 일단에 연결되며, 수술자는 조작부(300)를 파지한 상태로 수술 또는 진단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조작부(300)는 하우징, 조향레버(310), 연결포트(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은 조작부(3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며, 손으로 파지가 용이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연성 카테터를 파지한 상태에서 조직 내외부로 진퇴동작을 수행할 때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길이방향으로 다소 굴곡진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의 내부에는 조향레버(310)가 구비된다. 조향레버(310)는 파지한 상태에서 조작으로 삽입부(100)를 밴딩할 수 있도록 레버의 일부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다. 조향레버(310)는 하우징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조향레버(310)의 일측은 방향조절와이어(400)가 거치되어 있어, 조향레버(310)의 회전량에 따라 삽입부(100)의 조향각이 결정된다. 이때, 조향레버(310)의 조작의 한계치는 삽입부(100)의 밴딩부(120)의 길이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조향레버(310)의 구성은 캠구조를 포함한 다양한 기구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연결포트(3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후술할 워킹채널(600)의 일단과 연결되어 처치구 또는 광파이버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연결포트(320)는 워킹채널(600)로 유체를 공급하거나 석션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외부의 기기와 연결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외부 장치의 고정을 위하여 연결포트(320)의 외측에 나사산과 같은 체결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워킹채널(600), 경도조절스프링(510)과 방향조절와이어(400)는 삽입부(100)의 내측에 구비되며 각각의 일단이 삽입부 팁(200)에 연결되며, 타단은 각각 연결포트(320), 경도조절부(500), 조향레버(310)와 연결된다.
워킹채널(600)은 처치구나 수술시 유출입되는 유체의 이동통로가 될 수 있다. 워킹채널(600)은 외부로부터 조작부(300)를 통하여 삽입된 처치구가 삽입부 팁(200)측으로 출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워킹채널(600)의 일단은 조작부(300)의 끝단과 연결되며, 타단은 삽입부 팁(200)에 연결되어 구성된다. 워킹채널(600)의 타단은 삽입부 팁(200)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이때 워킹채널(600)의 외면과 삽입홀의 내면 사이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워킹채널(600)은 삽입부(100)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복수로 구성되어 내시경 및 처치구를 동시에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워킹채널(600)의 내경은 카테터의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경도조절스프링(510)은 스프링형태로 구성되며, 삽입튜브(110) 내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삽입튜브(110)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달라지도록 구성되어 삽입부(100)의 경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삽입부(100)가 전체적으로 연성으로 이루어지므로 방향조절와이어(400)의 조작시 밴딩부(12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도 어느정도 밴딩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경도조절스프링(510)은 나머지 부분의 밴딩을 최소화한다. 즉 내부의 밴딩부(120)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상대적으로 작게 하여 밴딩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밴딩부(120)는 삽입부(100) 중 밴딩부(120)에 대한 지지력은 약하며 나머지 부분에는 지지력이 강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에 따라 피치가 달라지게 된다. 경도조절스프링(510)은 일단이 삽입부 팁(200)에 고정연결되며, 타단은 경도조절부(500)와 고정되어 연결된다.
방향조절와이어(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향레버(310)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조향레버(310)를 조작함에 따라 당겨지는 길이의 변화로 밴딩부(120)를 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방향조절와이어(400)는 조작하고자 하는 방향에 따른 개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반대되는 두 방향으로 조작을 원하는 경우 두 개의 방향조절와이어(400)가 연결될 수 있으며, 조향레버(310)의 조작방향을 전환하면 방향조절와이어(400)가 선택적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만 이와같은 구성은 두방향일 때의 예일 뿐 조작방향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를 다시 살펴보면, 방향조절와이어(400)의 일단에는 삽입부 팁(200)과 연결되는 고정부(410)가 구비되어 있다. 고정부(410)는 강성재질인 삽입부 팁(200)의 일부를 둘러감아 고정된다. 이때 제1 방향조절와이어(400)와 제2 방향조절와이어(400)가 구비되며, 고정부(410)는 제1 방향조절와이어(400)의 끝단에서는 삽입부(100)의 길이방향에서 꺾인 후 삽입부(100)의 둘레방향으로 약 180도 회전한 뒤 다시 꺾인 후 제2 방향조절와이어(400)와 연결된다. 제2 방향조절와이어(400)의 고정부(410)는 제1 방향조절와이어(400)와 대칭적으로 구성되며, 끝단이 제1 방향조절와이어(400)와 연결된다. 고정부(410)는 가 삽입부 팁(200)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삽입부 팁(200)에 구비된 고정부 홈(210)에 거치된다. 이때 제1 방향조절와이어의 고정부와 제2 방향조절와이어의 고정부가 결합하여 올가미 형태로 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을 살펴보면, 제1 방향조절와이어(400)를 잡아당겼을 때 삽입부(100)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고정부(410)와 고정부 홈(210)이 거치되어 있는 부분이 전체적으로 거치되어 밴딩이 이루어지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방향조절와이어(400)를 잡아당기면 고정부(410) 중 고정부 홈(210)과 접촉하는 모든 지점(P) 응력이 분산되며, 이때 와이어 자체와 삽입부(100)의 마찰력에 의해 지지되며, 끝단 연결부위에 응력이 집중되지 않으므로 반복사용하더라도 방향조절와이어(400)의 끝단이 파손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경도조절부(500)의 작동상태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워킹채널의 배치가 도 3에서와 달리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예가 나타나있다.
도 7은 경도조절부(500)의 작동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경도조절부(500)를 회전시키면 경도조절스프링(510)도 회전하게 되며, 회전에 따라 스프링의 외경이 달라지게 되며, 외경이 증가하는 경우 삽입튜브(110)의 내면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강해지고, 반대로 외경이 감소하는 경우 지지력이 약해지게 된다. 지지력이 강해지면 전체적으로 밴딩량이 줄어들게 되며(도 7 (b)), 반대로 지지력이 약해지면 전체적인 밴딩량이 증가(도 7 (c))한다. 또한, 경도조절스프링(510)은 밴딩부(120)의 길이를 일부 조절 가능하게 된다. 회전에 따라 밴딩부(120)의 피치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대적으로 피지가 작은 나머지 부분에서의 영향은 크게 없으나, 밴딩부(120)에 대응하는 부분에 피치 변화량이 커지므로 상대적으로 지지력에 변화가 커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당. 다른 실시예에서도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방향조절와이어(400) 및 삽입부 팁(200)이 나타난 사시도이며, 도 9는 고정부(410)의 변형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는 고정부(410)의 휘감는 부분과 직선부분의 연결이 완만하게 절곡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절곡부분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삽입부 팁(200)에는 삽입부(100) 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보스부(220)에도 각각 와이어 홈(25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방향조절와이어(400)의 고정부(410)에 응력이 집중되지 않도록 와이어 홈(250)의 폭이 각각 다르게 형성되며, 고정부 홈(210) 측으로 갈수록 보스부(220)에 형성된 와이어 홈(250)의 폭이 넓어질 수 있다. 한편, 와이어 홈(250)의 폭이 일정범위를 넘는 경우 홈을 두 개로 분리하여 각각의 홈에 방향조절와이어(400) 하나씩이 거치되도록 구성된다. 와이어 홈(250)의 폭이 넓은 경우 삽입튜브(110)와의 연결이 약해줄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9에는 고정부(410)가 방향조절와이어(400)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고정부(410)는 올가미 형태로 구성되며, 각각의 방향조절와이어(400)의 일지점에 연결된다. 이 경우, 삽입부 팁(200)에는 고정부(410)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240)(도 9 (a)) 또는 와이어 홈(250)(도 9 (b))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거치된 이후 외측에서 삽입튜브(110)가 거치되므로 외측으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팁 구조와 와이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삽입부 팁(200)은 제1 부재(201), 제2 부재(202) 및 제3 부재(20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부재(201)는 삽입부(100)의 끝단측에 위치하며, 조립 후 외부에 노출되며, 삽입부 팁(200)의 외형을 구성한다.
제2 부재(202)는 제1 부재(201)의 일단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1 부재(201)와 제2 부재(202)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산(미도시) 또는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제2 부재(202)는 워킹채널(600)을 고정시키는 제3 부재(203) 및 방향조절와이어(400)를 삽입부 팁(20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 부재(202)에는 방향조절와이어(400)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와이어 홀(260)이 형성된다. 와이어 홀(260)은 한쌍이 하나의 방향조절와이어(400)를 고정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인접하여 형성되며 복수의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방향조절와이어(400)가 삽입부(100)의 끝단을 향하여 와이어 홀(260a)에 진입하였다가 인접한 다른 와이어 홀(260b)을 통과된다. 이후 방향조절와이어(400)의 끝단과 중간부분의 일지점이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방향조절와이어(400)가 한 쌍의 와이어 홀(260) 사이의 제2 부재(202)의 일부를 둘러감으면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방향조절와이어(400)의 끝단에서 발생하는 응력집중에 의해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와이어 홀의 개구부 측은 와이어의 응력집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테이퍼 가공이 될 수 있다. 또한, 각 와이어 홀의 내경보다 와이어 홀의 중심간의 거리가 더 작게 구성되는 경우, 한쌍의 와이어 홀의 내부 공간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방향조절와이어가 거치될 때 고리부분이 이탈하지 않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부재는 제2 부재 내부로 삽입되며, 복수의 워킹채널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방향조절와이어 고정기능이 강화된 연성 카테터는 방향조절와이어가 경성의 삽입부 팁에 고정되며, 이때 삽입부 팁의 일부를 둘러감아 체결될 수 있다. 특히 별도의 고정을 위해 차지하는 별도의 구성요소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5mm이하의 직경을 갖는 세경 내시경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결국 반복하여 사용하더라도 방향조절와이어가 이탈 또는 파손되지 않으며, 과도한 조작에도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연성 카테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삽입부
110: 삽입튜브
120: 밴딩부
200: 삽입부 팁
201: 제1 부재
202: 제2 부재
203: 제3 부재
210: 고정부 홈
220: 보스부
230: 삽입홀
240: 거치부
250: 와이어 홈
260: 와이어 홀
300: 조작부
310: 조향레버
320: 연결포트
400: 방향조절와이어
410: 고정부
500: 경도조절부
510: 경조조절스프링
600: 워킹채널
110: 삽입튜브
120: 밴딩부
200: 삽입부 팁
201: 제1 부재
202: 제2 부재
203: 제3 부재
210: 고정부 홈
220: 보스부
230: 삽입홀
240: 거치부
250: 와이어 홈
260: 와이어 홀
300: 조작부
310: 조향레버
320: 연결포트
400: 방향조절와이어
410: 고정부
500: 경도조절부
510: 경조조절스프링
600: 워킹채널
Claims (11)
- 체강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밴딩부가 구비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 끝단에 구비되는 삽입부 팁;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로부터 상기 삽입부 팁까지 연결되는 워킹채널; 및
일단은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삽입부 팁의 일부를 둘러감아 거치되는 고정부가 구비되며, 상기 조작부에 의해 당겨지는 길이에 따라 상기 밴딩부를 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방향조절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방향조절와이어가 구부러져 올가미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연성 카테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삽입부 팁에 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조절와이어를 포함하는 연성 카테터.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절와이어는 제1 방향조절와이어 및 제2 방향조절와이어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방향조절와이어 및 상기 제2 방향조절와이어는 각각 반대 방향으로 상기 밴딩부를 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방향조절와이어의 고정부는 상기 삽입부 팁의 둘레를 따라 소정길이로 배치되고, 끝단이 상기 제2 방향조절와이어의 일 지점과 고정되며,
상기 제2 방향조절와이어의 고정부는 상기 제1 방향조절와이어와 반대방향으로 상기 삽입부 팁의 둘레에 소정길이로 배치되고, 끝단이 상기 제1 방향조절와이어의 일 지점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조절와이어를 포함하는 연성 카테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연성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삽입부 팁은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조절와이어를 포함하는 연성 카테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 팁은 외경에 단차를 두어 상기 삽입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삽입부가 수축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보스부가 구비되며,
상기 보스부에는 상기 삽입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와이어 홈이 구비되며,
상기 방향조절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조절와이어를 포함하는 연성 카테터.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튜브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삽입부의 내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지지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스프링은 상기 밴딩부에 위치하는 부분의 피치가 다른 부분보다 더 넓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조절와이어를 포함하는 연성 카테터.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스프링의 일측은 상기 삽입부 팁과 고정되며,
상기 지지스프링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기 지지스프링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도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조절와이어를 포함하는 연성 카테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 팁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거치부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조절와이어를 포함하는 연성 카테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 팁에는 외측면에 형성된 고정부 홈이 구비되며,
상기 방향조절와이어의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 홈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조절와이어를 포함하는 연성 카테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 팁의 외경은 5mm이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조절와이어를 포함하는 연성 카테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부는 상기 삽입부의 다른 부분보다 연성이 크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조절와이어를 포함하는 연성 카테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3639A KR102018860B1 (ko) | 2017-07-24 | 2017-07-24 | 방향조절와이어 고정기능이 강화된 연성 카테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3639A KR102018860B1 (ko) | 2017-07-24 | 2017-07-24 | 방향조절와이어 고정기능이 강화된 연성 카테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1102A KR20190011102A (ko) | 2019-02-01 |
KR102018860B1 true KR102018860B1 (ko) | 2019-09-06 |
Family
ID=65367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3639A KR102018860B1 (ko) | 2017-07-24 | 2017-07-24 | 방향조절와이어 고정기능이 강화된 연성 카테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886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999317A (zh) * | 2019-05-21 | 2019-07-12 | 心凯诺医疗科技(上海)有限公司 | 一种可调节硬度的导管及介入装置 |
KR102582661B1 (ko) | 2021-04-09 | 2023-09-26 | 주식회사 오에스와이메드 | 스티어러블 카테터 |
CN113974530A (zh) * | 2021-12-07 | 2022-01-28 | 广州瑞派医疗器械有限责任公司 | 内窥镜蛇骨及内窥镜 |
KR20230122380A (ko) | 2022-02-14 | 2023-08-22 | 주식회사 오에스와이메드 | 스티어러블 카테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062354A (ja) * | 2009-09-17 | 2011-03-31 | Sumitomo Bakelite Co Ltd | カテーテル |
JP2015171430A (ja) * | 2014-03-11 | 2015-10-01 | 日本ゼオン株式会社 | 先端偏向可動カテーテル及び先端偏向可動カテーテル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0046B1 (ko) * | 2011-05-26 | 2013-09-17 | 남증희 | 조종가능한 카테터 |
KR101331523B1 (ko) | 2013-04-17 | 2013-11-20 | 주식회사 지에스엠코리아 | 양방향 조향이 가능한 카테터 |
-
2017
- 2017-07-24 KR KR1020170093639A patent/KR10201886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062354A (ja) * | 2009-09-17 | 2011-03-31 | Sumitomo Bakelite Co Ltd | カテーテル |
JP2015171430A (ja) * | 2014-03-11 | 2015-10-01 | 日本ゼオン株式会社 | 先端偏向可動カテーテル及び先端偏向可動カテーテルの製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1102A (ko) | 2019-0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18860B1 (ko) | 방향조절와이어 고정기능이 강화된 연성 카테터 | |
ES2652557T3 (es) | Introductor con sección de punta distal dirigible | |
JP5537748B1 (ja) | 内視鏡用湾曲管 | |
US10493240B2 (en) | Steerable catheter handle | |
US5306245A (en) | Articulating device | |
KR101364053B1 (ko) | 미세수술기구용 가이드 튜브 | |
EP2869750B1 (en) | Sinus endoscope | |
US10149608B2 (en) | Bending portion for endoscope and endoscope including bending portion for endoscope | |
KR20210077727A (ko) | 튜브 요소를 포함하는 조향가능한 기구 | |
TWI450740B (zh) | 醫療用導管 | |
JP2003319915A (ja) | 両方向性のマッピング・カテーテルおよび電気的活性度をマッピングする方法 | |
US20200330734A1 (en) | Medical tube | |
EP3666203B1 (en) | Deflectable insertion tool | |
WO2013140889A1 (ja) | カテーテル用ハンドル | |
KR101828289B1 (ko) | 와이어를 이용한 연성 카테터 | |
JP2010207251A (ja) | ガイドワイヤ | |
KR20140140048A (ko) | 전극 카테터 | |
JP6113682B2 (ja) | 医療機器用ハンドルおよび医療機器 | |
KR101860906B1 (ko) | 가이드 와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연성 카테터 | |
JP6697291B2 (ja) | 内視鏡湾曲管 | |
US20140331818A1 (en) | Flexible tubular shaft | |
JP7410327B2 (ja) | 医療機器 | |
WO2018229982A1 (ja) | 内視鏡用シースおよび内視鏡システム | |
JP3733019B2 (ja) | 内視鏡用処置具 | |
JP6343574B2 (ja) | カテーテ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