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2661B1 - 스티어러블 카테터 - Google Patents

스티어러블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2661B1
KR102582661B1 KR1020210046701A KR20210046701A KR102582661B1 KR 102582661 B1 KR102582661 B1 KR 102582661B1 KR 1020210046701 A KR1020210046701 A KR 1020210046701A KR 20210046701 A KR20210046701 A KR 20210046701A KR 102582661 B1 KR102582661 B1 KR 102582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atheter body
catheter
wire
steer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0330A (ko
Inventor
이세철
이종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에스와이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에스와이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에스와이메드
Priority to KR1020210046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661B1/ko
Publication of KR20220140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09Making of catheters or other medical or surgical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54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regions for increasing flexi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1Tip steering devices having flexible regions as a result of using materials with different mechan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4Tip steering devices having flexible regions as a result of inner reinforcement means, e.g. struts or r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티어러블 카테터는 카테터바디, 상기 카테터바디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카테터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튜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티어러블 카테터{Steerable Cathether}
본 발명은 제작을 위한 공정을 간소화하면서 카테터의 조작이 용이한 스티어러블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테터는 인체의 장기 또는 혈관과 인체의 외부를 연결하는 고무 또는 금속제의 관을 말한다. 그리고 시술자가 카테터를 인체 내부의 시술지점에 삽입을 한 상태에서, 약물을 주입하거나, 인체의 체내 용액을 배출을 하거나, 해당 지점의 시술을 위한 다양한 도구가 카테터를 통하여 인체의 내부로 진입을 하는 등의 목적으로 사용이 된다.
시술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구조 및 형태의 카테터가 사용이 되고 있고, 시술지점의 구조, 형태, 시술지점까지의 경로 등에 따라 특정 형태로 미리 성형이 된 카테터가 사용이 되거나 시술자의 조작에 의하여 특정 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카테터가 다수 개시되어 있다.
도1은 종래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카테터의 제작과정을 간단하게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2는 도1의 제작과정을 통하여 제작된 카테터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스티어러블 카테터는 카테터 바디(1)의 전단에 링 형태의 고정부(4) 및 고정부(4)와 연결된 와이어(5)를 구비하며, 시술자가 와이어(5)를 당김에 따라 원하는 방향으로 카테터의 방향을 전환한다.
즉, 카테터 바디(1)의 내부에는 시술을 위한 장비 등이 관통하기 위한 중공공간(a)이 형성되고, 와이어(5)가 관통하여 배치되는 홀(b)이 형성된다.
이러한 스티어러블 카테터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카테터 바디(1)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중공공간(a) 및 홀(b)에 대응되는 필름을 구비한 상태에서 카테터 바디(1)를 성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구체적으로 도1(a)에서와 같이 중공공간(a) 및 홀(b)를 형성하기 위한 튜브(2,3)를 배치한 상태에서 선택된 소재를 리플로우(reflow)하는 공정을 통하여 진행이 된다.
특히 스티어러블 카테터의 경우 카테터 바디(1) 유연성이 있는 의료용 합성수지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튜브(2, 3) 역시 유연성이 있는 테프론 소재의 튜브가 일반적으로 사용이 된다.
성형된 카테터 바디(1)의 외부로 노출되는 테프론 튜브를 제거를 하고(도1(b)), 와이어(5)가 연결된 고정부(4)를 홀(b)에 삽입한 다음(도1의(c)), 고정부(4)를 둘러싸도록 2차적으로 카테터 바디를 성형하는 과정(도1(d))를 통하여 제작이 된다.
그러나 카테터 바디(1)의 성형을 위한 리플로우과정에서 채택된 합성수지가 수축을 하고, 이에 따라 홀(b)의 형성을 위한 테프론 소재의 튜브(2) 역시 수축을 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와이어(5)가 튜브(2)와 접촉을 하게 되고, 사용자가 와이어(5)를 조작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도2 참조).
특히, 종래의 제작과정의 경우 카테터 바디의 성형을 위하여 2회의 리플로우 과정을 거치게 되고, 수축에 따른 와이어(5)와 튜브(2)와 접촉 현상은 더 심하게 발생할 수 밖에 없고, 제작 후 카테터의 방향 전환이 잘 안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1110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티어러블 카테터의 제작과정을 간단하게 하면서도 카테터 바디의 리플로우과정에서 와이어와 홀의 접촉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스티어러블 카테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티어러블 카테터는 카테터바디, 상기 카테터바디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카테터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튜브를 포함한다.
상기 튜브는 제1연성을 가지는 제1튜브 및 제2연성을 가지고, 상기 제1튜브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2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테터바디는 강성파트 및 상기 강성파트의 전단에 구비되는 연성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튜브는 강성파트에 구비되고, 상기 제2튜브는 강성파트 및 연성파트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성파트에 위치하는 제2튜브의 내측에 구비되고, 코일 형태로 이루어진 제3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러블 카테터는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카테터의 제작 과정 중 리플로우 공정에서 카테터의 수축이 있더라도 카테터의 방향전환을 위한 와이어가 삽입되는 관통홀에 충분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와이어가 삽입되는 관통홀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낮은 원가의 별도의 튜브를 활용하여 제조원가 및 제조공정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종래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카테터의 제작과정을 간단하게 나타내는 도면;
도2는 도1의 제작과정을 통하여 제작된 카테터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스티어러블 카테터를 제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4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스티어러블 카테터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스티어러블 카테터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스티어러블 카테터를 제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티어러블 카테터는 카테터 바디(50), 고정부(10), 와이어(20), 제1튜브(30) 및 제2튜브(40)를 포함한다.
카테터 바디(50)는 내부에 시술을 위한 장비 등이 통과할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된 공간(50a)이 형성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와이어(20)가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관통홀(50b)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카테터 바디(50)는 원통형으로 형성이 되고, 카테터 바이(50)에 2개의 관통홀(50b)가 형성이 되게 된다.
카테터 바디(50)는 사용자의 와이어 조작에 따라 휘어지면서 방향이 전환이 되도록 제작이 되어야 하고, 이를 위한 공지의 소재를 공지의 리플로우 공정을 통하여 제작이 되게 된다. 그리고 중공된 공간(50a) 및 관통홀(50b)는 후술하는 것과 튜브(30, 40)를 통하여 형성이 되게 된다.
고정부(10)는 카테터 바디(50)의 끝부분에 고정이 되고, 와이어(20)와 결합이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와이어(20)를 당김에 따라 카테터 바디(50)의 끝단이 당기는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방향이 전환이 되게 된다.
고정부(1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카테터 바디(50)의 형상에 따라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카테터 바디(50)의 전단부에 고정이 되게 된다.
와이어(20)는 고정부(10)에 결합이 되고, 사용자가 고정부(10)를 통하여 카테터 바디(50)에 외력을 인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와이어(20)의 개수는 제한이 없고, 본 실시예에서는 2개가 구비되어 카테터 바디(50)를 2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조작이 가능하다.
튜브(30,40)는 카테터 바디(50)의 제작과정에서 내부에 중공된 공간(50a) 및 관통홀(50b)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1연성을 가지는 제1튜브(30) 및 제2연성을 가지고 제1튜브(30)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2튜브(40)를 포함한다.
제1튜브(30)는 카테터 바디(50)의 내측에 관통홀(50b)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1튜브(30)는 제1연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비되고, 제1연성은 후술하는 제2튜브(40)의 제2연성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스티어러블 카테터의 경우 카테터 바디(50)가 휘어지면서 방향이 전환이 되므로, 카테터 바디(50)의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튜브들의 경우 연성이 좋은 소재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연성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테프론 소재의 튜브의 경우 카테터 바디의 리플로우 과정에서 카테터 바디의 수축에 위하여 홀이 좁아져서 와이어와 접촉을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제1튜브(3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테프론 소재의 튜브보다 경도 및 녹는점이 높으며, 표면 마찰이 적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PI(Polyimide)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튜브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카테터 바디의 리플로우 과정에서 테프론 튜브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카테터 바디의 수축에 의한 눌림의 영향이 적어, 와이어(20)가 마찰 없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 확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제2튜브(40)는 제1튜브(30)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제1튜브보다 연성이 좋은 재질이 사용되고, 예들 들어 카테터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테프론 소재의 튜브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카테터 바디(50) 내부에 시술을 위한 장비 등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50a)이 형성되는 바, 카테터 바디 내부에 공간(50a)를 형성하기 위한 튜브(41) 및 관통홀(50b)를 형성하기 위한 튜브(42)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도3을 참조하여, 발명의 스티어러블 카테터를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2개의 와이어(20)가 고정된 원통 형상의 고정부(10)(도3(a))에 제1연성을 가지는 제1튜브(30)를 삽입한다(도3(b)). 그리고 관통홀(50b)을 위한 제2튜브(41)를 제1튜브(30)의 외측에 삽입을 하고, 카테터 바디(50) 내부에 중공된 공간(50a)을 형성하기 위한 제2튜브(42)가 원통형의 고정부(10)를 통과하도록 배치한다(도3(c)). 그리고 카테터 바디(50)를 성형하기 위한 소재가 상기 고정부(10), 제1튜브(30) 및 제4튜브(40)를 둘러싸도록 성형을 한 다음 리플로우 공정을 통하여 제작을 하게 된다(도3(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기존에 고정부 등을 둘러싸도록 카테터 바디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2번의 리플로우 과정을 거치지 않고 한번의 리플로우 과정을 통하여 제작을 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리플로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제1튜브(30) 및 제2튜브(40)의 수축 및 이에 따른 와이어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의 확보가 안되는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카테터 바디(50)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튜브보다 연성이 낮은(또는 경도가 높은) 제1튜브(30)를 제2튜브(40)의 내측에 배치를 하여 카테터 바디(50)의 리플로우 과정에서의 수축으로 인하여 관통홀(50b)의 직경이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스티어러블 카테터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은 상기 설명한 제1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을 한다.
도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카테터 바디(150)는 연성파트(151) 및 강성파트(152)를 포함한다. 연성파트(151)는 와이어(20)의 조작에 의하여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연성이 있는 소재로 제작이 되고, 강성파트(152)는 상대적으로 강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카테터 바디(150)에서 실질적으로 휘어지는 전단 부분과 후단부분을 구분하고, 전단부분은 잘 휘어지는 소재를 선택하여 제작을 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제1튜브(130)는 강성파트(152)에만 구비되고, 연성파트(151)에는 구비되지 않는다. 즉 연성파트(151)에는 제2튜브(41)만 구비되고, 강성파트(152)에는 내측에 제1튜브(130) 및 외측에 제2튜브(41)가 구비되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1튜브(130)은 제2튜브(4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경도가 큰 소재가 사용된다. 따라서 제1튜브(130)가 구비되는 경우 제2튜브(41)만 구비되는 경우에 비하여 카테터 바디(150)를 변형시키기 위해서는 더 많은 외력을 인가해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외력에 의하여 변형이 이루어져야 하는 연성파트(151)에는 변형의 용이성을 위하여 제2튜브(41)만 구비하고, 실질적으로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는 강성파트(152)에는 성형 과정에서 카테터 바디(150)가 수축을 하더라도 관통홀(50b) 형성을 위한 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제1튜브(130) 및 제2튜브(41)를 같이 구비하게 된다.
한편, 도3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제작을 할 때 제1튜브(130)는 연성파트(151)가 시작되는 부분까지만 배치를 하고, 제2튜브(41)는 고정부(10)의 위치까지 배치를 하여 제작을 하게 된다.
도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스티어러블 카테터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은 상기 설명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실시예와 달리 연성파트(151)에 위치하는 제2튜브(41)의 내측에 코일 형태의 제3튜브(260)를 구비한다.
코일 형태의 제3튜브(260)의 경우, 코일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1튜브(130)에 비하여 연성파트(151)의 변형에 대한 저항이 적게 된다. 그리고 제2튜브(41)만 구비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카테터 바디(150)의 리플로우 과정에서의 수축을 하더라도 제2튜브(41)의 내측을 지지하여 와이어(20)가 저항 없이 움직일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 고정부 20: 와이어
30: 제1튜브 40: 제2튜브
50: 카테터 바디

Claims (4)

  1. 카테터바디;
    상기 카테터바디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카테터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제1연성을 가지는 제1튜브 및 제2연성을 가지고, 상기 제1튜브의 외측에 상기 제1튜브가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제2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성은 상기 제2연성보다 작은 스티어러블 카테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바디는 강성파트 및 상기 강성파트의 전단에 구비되는 연성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튜브는 강성파트에 구비되고,
    상기 제2튜브는 강성파트 및 연성파트에 구비되는 스티어러블 카테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파트에 위치하는 제2튜브의 내측에 구비되고,
    코일 형태로 이루어진 제3튜브를 더 포함하는 스티어러블 카테터.
KR1020210046701A 2021-04-09 2021-04-09 스티어러블 카테터 KR102582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701A KR102582661B1 (ko) 2021-04-09 2021-04-09 스티어러블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701A KR102582661B1 (ko) 2021-04-09 2021-04-09 스티어러블 카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330A KR20220140330A (ko) 2022-10-18
KR102582661B1 true KR102582661B1 (ko) 2023-09-26

Family

ID=83803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701A KR102582661B1 (ko) 2021-04-09 2021-04-09 스티어러블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266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56197B1 (en) * 2013-05-07 2017-02-08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Steerable medical device having multiple curve profiles
KR102018860B1 (ko) 2017-07-24 2019-09-06 주식회사 지에스엠티 방향조절와이어 고정기능이 강화된 연성 카테터
KR102137994B1 (ko) * 2017-12-15 2020-07-28 주식회사 오에스와이메드 스티어러블 카테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330A (ko)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66407B2 (ja) カテーテル及びカテーテルの製造方法
US6582536B2 (en) Process for producing steerable sheath catheters
US6068622A (en) Single piece hub/strain relief that can be injection molded over a shaft
EP3021925B1 (en) Introducer with steerable distal tip section
US6212422B1 (en) Catheter having a high tensile strength braid wire constraint and method of manufacture
EP0453008B1 (en) Angiographic catheter
US20060264904A1 (en) Medical device
US3965909A (en) Angiographic cathete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8608736B2 (en) Steerable catheter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US9044574B2 (en) Catheter
US10695531B2 (en) Balloon catheter and medical elongated body
JP2004357805A (ja) カテーテル組立体
JP2011507664A (ja) カテーテルシャフト及び製造方法
WO2004056414A1 (en) A workable catheter
US9901712B2 (en) Cathe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582661B1 (ko) 스티어러블 카테터
JP2020157045A (ja) カテーテルのためのシャフトと製作方法
KR20230122380A (ko) 스티어러블 카테터
WO2022070540A1 (ja) カテーテル
JP2553401B2 (ja) カテーテル
KR102137994B1 (ko) 스티어러블 카테터
JP5834536B2 (ja) 内腔と外周が異なるテーパー構造を有するカテーテル
JP6937042B2 (ja) チューブステントデリバリーシステム
JPH04261666A (ja) カテーテル
JP2018201575A (ja) カテーテ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