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600B1 - 실시간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시간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600B1
KR102018600B1 KR1020170036095A KR20170036095A KR102018600B1 KR 102018600 B1 KR102018600 B1 KR 102018600B1 KR 1020170036095 A KR1020170036095 A KR 1020170036095A KR 20170036095 A KR20170036095 A KR 20170036095A KR 102018600 B1 KR102018600 B1 KR 102018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ident
user
information
road situ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7591A (ko
Inventor
백성군
Original Assignee
백성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성군 filed Critical 백성군
Priority to KR1020170036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600B1/ko
Publication of KR20180107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5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responding to signals from another vehicle, e.g. emergency vehicle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04M1/7257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실시간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이 제공된다. 사용자 단말기는 주행 중인 자동차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는 동안 사고가 발생하면, 현재 위치 정보, 사고 발생 시간, 사고 종류 및 사용자 ID를 포함하는 사고 정보를 전송하고, 도로 상황 공유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고 정보를 수신하여 DB(Database)에 저장하고, 도로 상황 공유 서비스에 가입한 타 사용자의 단말기로 사고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정보를 공유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실시간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System for sharing road state on real time}
본 발명은 실시간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에서 발생한 사고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기 위한 실시간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시 인구의 증가와 도심의 복잡화, 내부 경제 활동 확대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도시 교통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도시 교통 수요는 대개 이동 거리로 측정된다. 컨설팅사 아서 디 리틀의 예측에 따르면 전 세계의 도시 내 이동 거리는 2010년 총 25조8000억 km에서 2050년 67조1000억 km로 160%나 늘어날 전망이다. 이에 따라 교통 정체로 길에서 낭비되는 시간은 같은 기간 동안 1인당 연간 58.4시간에서 106.3시간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도시 교통 수요 전망과 더불어, 차량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교통 사고의 비율과 교통 정체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교통 사고의 증가는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로 이어지며, 교통 정체는 통행의 불편함과 대기 오염 등의 문제로 이어진다.
따라서, 도로 상에서 차량의 교통 사고가 발생하였거나 차량 결함과 같은 일반 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 정보를 공유하여 2차 교통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면서, 차량 사고에 의한 정체 문제도 함께 방지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571352호(2015.11.18. 등록)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동차의 교통 사고나 차량 결함과 같은 일반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다른 자동차들과 공유함으로써 추가적으로 교통 사고가 발생하거나 차량 정체가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실시간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실시간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은, 주행 중인 자동차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는 동안 사고가 발생하면, 현재 위치 정보, 사고 발생 시간, 사고 종류 및 사용자 ID를 포함하는 사고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고 정보를 수신하여 DB(Database)에 저장하고, 도로 상황 공유 서비스에 가입한 타 사용자의 단말기로 상기 사고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사고 정보를 공유하도록 하는 도로 상황 공유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자동차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센싱하는 GPS 센서; 상기 위치 정보가 정해진 사고 판단 기준 시간 동안 동일하게 센싱되면, 사고 발생 여부를 질의하는 팝업창을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팝업창을 통해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응답하면, 상기 사고 정보를 작성하는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부; 및 상기 작성된 사고 정보를 상기 도로 상황 공유 서버로 전송하는 단말기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사고 발생을 목격한 주변인의 요청에 의해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주변인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사고 주변 정보를 작성하고, 상기 작성된 사고 주변 정보를 상기 도로 상황 공유 서버로 전송하는 주변 단말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타 사용자의 단말기는, 상기 사고의 발생 지점을 중심으로 설정된 반경까지를 정체구간으로 자동 등록하고, 상기 타 사용자의 자동차가 상기 설정된 반경 내에 진입하면, 정체구간 알림 팝업창을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타 사용자의 단말기는, 상기 타 사용자의 자동차가 상기 사고의 발생 지점으로부터 설정된 반경 내에 진입하면, 사고 발생 지점 부근에 진입하였음을 스피커 및 화면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타 사용자에게 알려주되, 상기 사고 발생 지점에 근접할수록 알림의 강도를 높인다.
상기 타 사용자의 단말기는, 상기 정체구간 내에 상기 차량이 사고 발생 지점까지 이동한 이동 경로를 표시하여 정체 도로를 더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의 교통 사고나 차량 결함과 같은 일반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다른 자동차들과 공유함으로써 추가적으로 교통 사고가 발생하거나 차량 정체가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고, 나아가, 차량 정체가 이미 발생한 사고 지점을 회피하도록 함으로써 도로 상황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실시간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을 간략히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에서 도로 상황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 중 사용자 단말기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 중 도로 상황 공유 서버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의 도로 상황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 중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한 흐름도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어떤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구현됨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그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하드웨어 어떤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간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의 각각의 구성은 기능 및 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며, 반드시 각각의 구성이 별도의 물리적 장치로 구분되거나 별도의 코드로 작성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DB라 함은, 각각의 DB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DB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DB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DB는 Linked-list, Tree, 관계형 DB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DB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간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은 소정의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에 설치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실시간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을 간략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동차가 주행 중 사고가 발생하면, 자동차에 탑승한 사용자의 단말기(이하, '사용자 단말기'라 함)(100)는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고가 발생한 지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사고 정보를 도로 상황 공유 서버(200)로 전송한다.
도로 상황 공유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사고 정보를 사용자의 ID 또는 자동차의 ID에 매핑하여 DB(Database)에 저장한다. 또한, 도로 상황 공유 서버(200)는 DB에 저장된 사고 정보 중 사고가 발생한 위치 정보를 도로 상황 공유 서비스에 가입한 타 사용자의 단말기(이하, '타 사용자 단말기'라 함)(300)로 전송한다.
도로 상황 공유 서비스는 주행 중인 자동차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 이를 여러 사용자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사고가 발생한 지점을 정체구간으로 자동 등록하여 도로 상황이 더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타 사용자 단말기들(300)는 사고가 발생한 위치를 포함하는 주변 지역을 정체구간으로 자동등록하고, 정체구간에 근접할수록 사고 발생 지역임을 알리는 알림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타 사용자는 자동차로 주행중인 경우, 사고가 발생한 위치 정보 또는 자동 등록된 정체구간을 참조하여 사고 발생 지역으로 진입하는 것을 사전에 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고 발생 지점의 주변에 위치한 주변인의 단말기(이하, '주변 단말기'라 함)(500)는 사고 발생을 목격한 주변인의 요청에 의해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주변인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사고 주변 정보를 작성하고, 작성된 사고 주변 정보를 도로 상황 공유 서버(200)로 전송한다.
도로 상황 공유 서버(200)는 수신된 사고 주변 정보 중 주변인의 현재 위치 정보를 도로 상황 공유 서비스에 가입한 타 사용자 단말기들(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도로 상황 공유 서버(200)는 주변인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된 반경(예를 들어, 5km) 내에 위치하는 타 사용자 단말기들(300)에게 주변인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사고 정보로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로 상황 공유 서비스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와 타 사용자 단말기들(300)에는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사용자와 타 사용자는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도로 상황 공유 서비스에 가입하고, 도로 상황 공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다양한 환경 설정을 수행한다.
또한, 도 1에는 데이터 흐름이 일방향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양방향으로의 데이터 흐름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고 정보를 도로 상황 공유 서버(200)로 전송할 뿐만 아니라, 타 사용자 단말기들(300)에서 제공되는 사고 정보를 서버(200)를 통해 수신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에서 도로 상황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의 APP(100)는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타 사용자 단말기들(300)에 설치 및 실행되는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으로, 식별번호는 편의상 '100'을 사용한다. APP(100)는 도로 상황 공유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 시스템 관리, 회원을 위한 소규모 게시판 관리, 자동차 주행과 관련된 지도 및 GPS 분석, Server(200)와 Web(400)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따른 푸쉬 알림 및 환경 설정과 같은 기본 설정 제어 관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APP(100)는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타 사용자 단말기들(300)에서 처리가능한 정보들을 Server(200)로 전송한다. 특히, APP(100)는 자동차에서 사고가 발생하였음이 사용자로부터 등록되면, 사고 정보를 작성하여 Server(200)로 전송한다. 사고 정보는 사고가 발생한 현재 위치 정보, 사고 발생 시간, 사고 종류 및 사용자 ID를 포함한다.
Server(200)는 APP(100)로부터 전송받은 사고 정보를 수집하여 DB에 저장하고, DB에 저장된 서버 자료를 APP(100)에게 전송한다. Server(200)가 APP(100)에게 전송하는 서버 자료는 타 사용자 단말기들(300)로부터 수신된 사고 정보 중 사고 발생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Server(200)는 APP(100)로부터 사고 정보를 수신하기도 하고, 타 사용자의 자동차에서 또는 타 사용자의 주변 도로에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이 사고가 발생한 위치 정보를 타 사용자의 단말기(300)나 타 사용자 단말기(300)의 주변에 위치한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아 APP(100)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Server(200)는 관리 자료를 Web(400)에게 전송한다. 관리 자료는 예를 들어, APP(100)로부터 전송받은 사고 정보에 포함된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의 버전 정보를 포함한다.
Web(400)은 도로 상황 공유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 관리, 게시판 관리 및 회원들의 단말기로 보낼 푸쉬 관리를 수행한다. 또한, Web(400)은 Server(200)로부터 수신한 관리 자료를 분석하여 도로 상황 공유 서비스 관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Web(400)은 관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타 사용자 단말기들(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버전이 최신 버전보다 하위 버전이면, 최신 버전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파일을 포함하는 관리 자료를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타 사용자 단말기들(300)로 전송한다.
또한, Web(400)은 Server(200)로 자료를 보내준 사람의 ID, e-mail 주소, 사고 정보 위치 자료 등도 관리자료로서 관리 및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Web(400)은 Server(200)에 등록된 정보를 시각화하고 관리의 편리성을 위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 중 사용자 단말기(100)와 도로 상황 공유 서버(2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먼저, 도로 상황 공유 서비스에 가입하기 위해 사용자가 설정하는 내용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기(100)와 타 사용자 단말기들(300)의 사용자는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회원가입을 하고, 선택 사고 반경 설정을 한다. 선택 사고 반경은, 타 사용자의 자동차에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 무조건적으로 사고가 발생한 위치 정보를 제공받지 않고, 사고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된 반경 이내에 사용자가 위치할 경우에만 사고가 발생한 위치 정보를 제공받기 위해 설정하는 정보이다. 사용자는 사고 반경으로서 1km, 3km, 5km 등 원하는 반경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에는 필수 사고 반경이 설정되어 있다. 필수 사고 반경이 예를 들어, 500m인 경우,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100)가 사고 위치를 중심으로 반경 500m에 진입하면 다시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알려준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이거나, 네비게이션과 같이 차량에 탈부착가능한 소형 단말기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단말기 통신부(110), 단말기 UI(User interface)부(120), 단말기 저장부(130),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140),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부(150) 및 단말기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단말기 통신부(110)는 사용자가 탑승한 자동차가 주행하는 중 사고가 발생하면,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부(150)에서 작성된 사고 정보를 통신망(10)을 통해 도로 상황 공유 서버(200)로 전송한다.
단말기 UI부(120)는 사용자와 사용자 단말기(100) 간의 인터페이싱 경로를 제공하며, 터치 패널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말기 UI부(120)는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부(150)에서 제공하는 화면, 팝업창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표시된 화면 또는 팝업창을 통해 사고와 관련된 정보, 명령 등을 입력받는다.
단말기 저장부(130)에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동작 및 실행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다. 또한, 단말기 저장부(130)에는 GPS 센서(140)에 의해 센싱되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가 센싱된 시간과 함께 저장된다. 사용자가 자동차에 탑승되어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는 곧 자동차의 위치 정보로 사용된다.
GPS 센서(14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및 방향 정보를 주기적으로 예를 들어, 1초마다 센싱한다.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부(150)는 저장된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GPS 센서(140)로부터 센싱되는 위치정보(예를 들어, x좌표와 y좌표)를 주기적으로 확인한다.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부(150)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 범위 동안 수신되는 위치 정보가 동일하거나 위치 정보의 변화율이 적으면, 사고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화면을 생성한다.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부(150)는 이전에 수신된 위치 정보와 현재 수신된 위치 정보의 차이가 사전에 정해진 기준 거리보다 작으면, 위치 정보의 변화율이 적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어, 사전에 설정된 시간 범위가 예를 들어, 5초이고, 기준 거리가 1m인 경우,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부(150)는 5초 이상 위치 정보가 1m 이상 변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사고가 발생하였습니까'를 묻는 제1질의 화면을 팝업창 형태로 생성한다.
만약, 신호 대기로 인해 5초 이상 정차한 경우, 사용자는 제1질의 화면에서 '아니오'를 터치하거나 또는 아무런 액션을 취하지 않을 수 있다.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부(150)는 '아니오'가 선택되거나 아무런 선택이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GPS 센서(140)로부터 센싱되는 위치 정보가 지속적으로 변동되면, 자동차가 다시 주행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1질의 화면의 표시를 취소한다.
그러나, 제1질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예'를 선택하면,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부(150)는 사고 종류를 묻는 제2질의 화면을 생성한다. 제2질의 화면에는 사고 종류로서 '교통 사고, 도로 정체, 기타'가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 중 하나를 선택한다.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고 종류와 현재 위치 정보, 사고 발생 시간, 사용자 ID 및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 버전 정보를 포함하는 사고 정보를 작성한다. 사용자 ID는 사용자가 도로 상황 공유 서비스에 가입할 때 등록한 ID이다.
단말기 제어부(16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상술한 동작을 포함하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말기 제어부(160)는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부(150)의 요청에 따라, 작성된 사고 정보를 도로 상황 공유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단말기 통신부(110)를 제어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도로 상황 공유 서버(200)는 서버 통신부(210), DB(Database)(220) 및 서버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서버 통신부(210)는 단말기 제어부(160)로부터 사고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서버 통신부(210)는 도로 상황 공유 서비스에 가입한 타 사용자 단말기들(300)로부터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DB(220)는 수신된 사고 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한다. [표 1]은 사고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Field 정보(설명) 특징점 부연설명
ACNUM 사고등록횟수 Auto_increment 자동으로 사고등록횟수가 증가함
ID 사용자 아이디
ACCIDENT_TYPE 사고타입(교통사고, 도로정체, 기타)
LO_X 지도맵의 x좌표값
LO_Y 지도맵의 y좌표값
EDITDATE 현재 사용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버전 정보 On update
CURRENT_TIMESTAMP
현재 사용중인 어플의 버전이 낮으면 자동 업데이트함.
LOCATION x좌표와 y좌표를 취합한 위치
[표 1]에서 예를 들어, ACNUM은 사용자에게 발생한, 즉, 사용자의 차량에서 발생하여 등록된 사고등록횟수로서, 동일한 ID로 사고 정보가 수신될 경우 자동으로 증가한다. LO_X는 센싱된 위치 정보 중 x좌표이고, EDITDATE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의 버전 정보이다.
또한, DB(220)는 도로 상황 공유 서비스에 가입한 타 사용자 단말기들(300)의 전화번호와 같은 식별정보, 타 사용자들이 설정한 사고 반경 및 타 사용자들의 ID를 저장한다. 또한, DB(220)는 타 사용자 단말기들(300)로부터 제공받은 타 사용자 단말기들(300)의 위치정보를 타 사용자들의 ID에 매핑하여 저장 및 업데이트한다.
또한, DB(220)는 [표 2]와 같은 서버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저장한다.
Field 부연설명
VERSION 현재 개발된 앱의 버전을 서버에서 확인하도록 하는 정보
STATE 현재 서버 상태를 알려주는 자료
[표 2]를 참조하면, DB(220)는 최근에 개발된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의 버전 정보(VERSION)와 현재 서버 상태를 알려주는 STATE 정보를 저장한다. VERSION 정보는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정보로서, 시스템 개발 시 사용자가 마켓(즉, 서버)에 접속하지 않고도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의 버전 정보를 확인하여 자동 업데이트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STATE 정보는 도로 상황 공유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딩이 되면,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막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100)에게 다운로딩 중임을 알려주기 위한 정보이다.
서버 제어부(230)는 도로 상황 공유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서버 제어부(23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사고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저장하도록 DB(220)를 제어한다.
서버 제어부(23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사고 정보가 수신되면, 도로 상황 공유 서비스에 가입한 모든 타 사용자 단말기들(300)로 사고가 발생한 위치 정보(LOCATION, (x, y))를 전송하도록 서버 통신부(210)를 제어한다.
또는, 서버 제어부(230)는 타 사용자 단말기들(300)의 현재 위치를 DB(220)에서 확인하고, 사고가 발생한 지점을 중심으로 사전에 설정된 선택 사고 반경 내에 위치하는 타 사용자 단말기들만을 선별한 후, 선별된 타 사용자 단말기들에게만 사고 발생 위치 정보를 전송하도록 서버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타 사용자 단말기(300)의 사용자인 타 사용자가 선택 사고 반경으로서 3km를 설정한 경우, DB(220)에 저장된 타 사용자 단말기(300)의 위치가 사고 발생 위치를 중심으로 3km 이내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서버 제어부(230)는 타 사용자 단말기(300)로 사고 발생 위치 정보를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서버 제어부(230)는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고가 발생한 차량의 이동 경로 정보(예를 들어, 사고가 발생한 시점부터 이전 정해진 시간까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동 경로 정보를 타 사용자 단말기들(3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차량의 이동 경로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GPS로부터 알 수 있다.
또한, 서버 제어부(230)는 DB(22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정보(EDITDATE)가 최근의 버전(VERSION)보다 낮으면,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이 자동 업데이트되도록 한다.
한편, 타 사용자 단말기들(300)은 도로 상황 공유 서버(200)로부터 사고 발생 위치 정보와 사고 차량의 이동 경로 정보를 수신하면, 타 사용자 단말기들(300)에 설치된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이 사고 발생 위치를 중심으로 정체 구간을 자동 설정한다. 예를 들어,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은 사고 발생 위치를 중심으로 필수 사고 반경으로 설정된 반경 500m 이내를 정체구간으로 자동 설정한다. 그리고, 타 사용자 단말기들(300)은 차량의 이동 경로 정보(예를 들어, x좌표와 y좌표 로그)를 이용하여, 정체구간으로 설정된 원의 360도 반경에서 사고가 발생한 차량의 이동 경로를 지도에 더 표시하고, 표시된 이동 경로를 정체 도로로 더 강조 표시할 수 있다.
도로 상황 공유 서버(200)로부터 사고 발생 위치 정보가 수신된 후, 타 사용자의 자동차가 사전에 설정된 필수 사고 반경 내에 진입하거나, 사고가 발생한 차량의 이동 경로에 근접하면, 타 사용자 단말기들(300)은 '사고 발생 지점에 근접하고 있습니다'와 같은 정보를 음성 또는 안내 메시지로 알려준다.
또한, 타 사용자 단말기들(300)도 GPS 센서로부터 현재의 위치 정보를 수신 및 수집한다. 따라서, 타 사용자 단말기들(300)은 타 사용자의 자동차가, 자동 등록된 정체구간에 근접하면(예를 들어, 정체구간에 진입하기 1km 전), '전방에 사고로 인한 정체구간이 있습니다'라는 정보를 음성 및 화면으로 알려준다. 타 사용자의 자동차가 사고 반경 내에 진입한 경우보다 정체 구간에 근접한 경우가, 사고 발생 위치와 더 가까우므로, 타 사용자 단말기들(300)은 정체 구간에 근접한 경우, 음성의 강도를 더 세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동작은 타 사용자 단말기들(300)에 설치된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의 도로 상황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GPS 센서(140)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한다(S505). 위치 정보는 (x, y) 좌표 형태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수집되는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위치 정보의 변화량, 즉, 변화된 거리를 산출한다(S510).
S510단계에서 산출된 변화된 거리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 거리 미만이면(S515-Yes),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탑승한 자동차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사고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화면, 예를 들어, '사고가 발생하였습니까'를 묻는 화면을 생성하여 표시한다(S520).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제1질의 화면에서 '네'를 선택하면(S525-Yes), 사고 종류를 묻는 제2질의 화면을 생성하여 표시한다(S530).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제2질의 화면에 표시된 사고 종류 중 하나를 선택하면(S535), 선택된 사고 종류, 현재 위치 정보, 사고 발생 시간, 사용자 ID 및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 버전 정보를 포함하는 사고 정보를 작성한다(S540).
사용자 단말기(100)는 작성된 사고 정보를 도로 상황 공유 서버(200)로 전송한다(S545). 상술한 S505단계 내지 S545단계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된다.
한편, 도로 상황 공유 서버(200)는 수신된 사고 정보를 DB(220)에 저장한다(S550).
그리고, 도로 상황 공유 서버(200)는 타 사용자 단말기들(300)의 현재 위치를 DB(220)에서 확인하고, 사고가 발생한 지점을 중심으로 사전에 설정된 사고 반경(예를 들어, 1km, 3km, 5km) 내에 위치하는 타 사용자 단말기들(300)을 확인한다(S555).
도로 상황 공유 서버(200)는 확인된 타 사용자 단말기들(300)에게 사고 발생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S560). S560단계에서 전송되는 사고 발생 위치 정보는 S545단계에서 수신된 사고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이다.
사고 발생 위치 정보를 수신한 타 사용자 단말기들(300)은 사고 발생 위치를 중심으로 필수 사고 반경을 이용하여 정체 구간을 자동 설정한다(S565).
그리고, 타 사용자 단말기들(300)은 타 사용자의 자동차가 사전에 설정된 선택 사고 반경 내에 진입하거나, S565단계에서 설정된 정체 구간에 근접하면 사고가 발생한 구간이 있음을 화면, 음성 또는 싸이렌 등으로 알린다. 상술한 S565단계 및 S570단계는, 타 사용자 단말기들(300)에 설치된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된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사용자에게 질의 화면을 표시하여 사고 정보를 도로 상황 공유 서버(200)로 전송하는 동작에 관한 것이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는 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직접 사고 정보를 작성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사고 정보를 도로 상황 공유 서버(200)로 전송한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사고가 발생한 자동차의 주변에 있는 주변인이 사고 정보를 작성할 수도 있다. 주변인은 주변 단말기(500)에 설치된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직접 사고 정보를 작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주변 단말기(500)는 주변 단말기(500)의 위치 정보를 사고 정보에 추가하고, 작성된 사고 정보를 도로 상황 공유 서버(200)로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 중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한 흐름도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실시간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의 전체 흐름은 '자동차 사고 정보, 사고 인식, 사고자 등록, 자동 정체 구간, 사고 등록 및 사용자 음성 알림'을 포함한다.
자동차 사고 정보는 사고 타입, (X, Y) 좌표, 위치 정보 및 위치 지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지정 정보는 차량의 사고 지점에서 GPS가 위치 인식을 못 하는 경우 사용자가 임의로 지도에 사고 지정하여 등록한 정보이다.
사고 인식은, 차량의 이동을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5초) 동안 인식하지 못 하면 사고로 인식한다.
사고자 등록은 사고가 발생한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한 다른 사용자의 위치를 등록하는 것이다.
자동 정체구간은 사고 발생 이점을 중심으로 반경 500m의 구간을 정체구간으로 정한다.
사고 등록은 사고 정보를 서버에 등록하고, 타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것이다.
사용자 음성 알림은 사이렌이나 음성을 통해 사고가 발생하였거나, 근접한 위치에 사고 발생 지점이 있음을 알린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의 도로 상황 공유 방법은 이를 구현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됨으로써, 컴퓨터를 통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도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의 도로 상황 공유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시간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의 도로 상황 공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간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을 제어하는 컴퓨터 상에서 수행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함께 제공한다.
100: 사용자 단말기 200: 도로 상황 공유 서버
300: 타 사용자 단말기들 400: Web
500: 주변 단말기

Claims (5)

  1. 주행 중인 자동차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는 동안 사고가 발생하면, 도로 상황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현재 위치 정보, 사고 발생 시간, 사고 종류 및 사용자 ID를 포함하는 사고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필수 사고 반경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타 사용자로부터 선택 사고 반경(상기 선택 사고 반경>상기 필수 사고 반경)을 입력받아 설정하는 타 사용자의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고 정보를 수신하여 DB(Database)에 저장하고, 상기 도로 상황 공유 서비스에 가입한 상기 타 사용자의 단말기로 상기 사고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사고 정보를 공유하도록 하는 도로 상황 공유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상황 공유 서버는,
    상기 타 사용자의 단말기가 상기 사고의 발생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설정된 선택 사고 반경 내에 진입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타 사용자의 단말기로 사고 발생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타 사용자의 단말기가 상기 사고의 발생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설정된 필수 사고 반경 내에 진입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타 사용자의 단말기로 상기 사고 발생 위치 정보와 상기 주행 중인 차량이 사고 발생 지점까지 이동한 이동 경로를 더 전송하며,
    상기 타 사용자의 단말기는,
    상기 사고의 발생 지점을 중심으로 설정된 필수 사고 반경까지를 정체구간으로 자동 등록하고, 상기 타 사용자의 자동차가 상기 설정된 필수 사고 반경 내에 진입하면, 정체구간 알림 팝업창을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정체구간 내에 상기 주행 중인 차량이 사고 발생 지점까지 이동한 이동 경로를 표시하여 정체 도로를 더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자동차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센싱하는 GPS 센서;
    상기 위치 정보가 정해진 사고 판단 기준 시간 동안 동일하게 센싱되면, 사고 발생 여부를 질의하는 팝업창을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팝업창을 통해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응답하면, 상기 사고 정보를 작성하는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부; 및
    상기 작성된 사고 정보를 상기 도로 상황 공유 서버로 전송하는 단말기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 발생을 목격한 주변인의 요청에 의해 도로 상황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주변인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사고 주변 정보를 작성하고, 상기 작성된 사고 주변 정보를 상기 도로 상황 공유 서버로 전송하는 주변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36095A 2017-03-22 2017-03-22 실시간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 KR102018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095A KR102018600B1 (ko) 2017-03-22 2017-03-22 실시간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095A KR102018600B1 (ko) 2017-03-22 2017-03-22 실시간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591A KR20180107591A (ko) 2018-10-02
KR102018600B1 true KR102018600B1 (ko) 2019-09-05

Family

ID=63863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095A KR102018600B1 (ko) 2017-03-22 2017-03-22 실시간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6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4972A (ko) * 2020-03-12 2020-04-01 이도훈 도로 좌표를 이용한 선택적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8080A (ja) * 2001-01-11 2002-07-26 Denso Corp 事故発生位置報知システム及び車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990B1 (ko) * 2012-03-26 2018-03-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차량 사고 정보 수집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차량 사고 정보 수집 시스템
KR20140024084A (ko) * 2012-08-17 2014-02-28 안태영 교통 사고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635136B1 (ko) * 2014-09-17 2016-06-30 김주형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2차 차량사고 방지용 사고알림 장치 및 방법
KR101571352B1 (ko) 2014-12-01 2015-11-24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차량 사고 시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경고 메시지 전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8080A (ja) * 2001-01-11 2002-07-26 Denso Corp 事故発生位置報知システム及び車載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4972A (ko) * 2020-03-12 2020-04-01 이도훈 도로 좌표를 이용한 선택적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08071B1 (ko) * 2020-03-12 2022-06-10 이도훈 도로 좌표를 이용한 선택적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591A (ko) 201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7984B2 (en) System for providing traffic data and driving efficiency data
JP5931108B2 (ja) ナビゲーション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US929925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navigational assistance to a parking facility
CN113593215B (zh) 确定自主交通工具的拾取和目的地位置
US9805602B2 (en) Parking service
US10152679B2 (en) Wireless remote asset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8718910B2 (en) Crowd sourced traffic reporting
US9454903B2 (en) Road information sharing method, road information sharing system, road information sharing device, and road information sharing program
JP7225597B2 (ja) 広告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9836705B2 (en) Vehicle generated social network updates
CN101395449A (zh) 导航系统的移动台、服务器和操作方法
JP2020038318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20170229016A1 (en) Mobile automobile parking application
JP6121025B2 (ja) ナビゲーション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JP2005157410A (ja) 道路管理業務支援システム及び支援方法
KR102501642B1 (ko) 차량간 통신기능을 이용한 주차유도 방법 및 그 장치
JP2013156096A (ja) 情報共有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共有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018600B1 (ko) 실시간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
CN112050823A (zh) 一种导航目的地修正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KR102385191B1 (ko) 위험차량 실시간 추적 시스템 및 추적 방법
JP724785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7165966B2 (ja) 車両間情報共有方法
KR102244892B1 (ko) 단말에서 주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GB2533481A (en) Traffic control device detection
CN111242668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非临时性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