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191B1 - 위험차량 실시간 추적 시스템 및 추적 방법 - Google Patents

위험차량 실시간 추적 시스템 및 추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191B1
KR102385191B1 KR1020200037611A KR20200037611A KR102385191B1 KR 102385191 B1 KR102385191 B1 KR 102385191B1 KR 1020200037611 A KR1020200037611 A KR 1020200037611A KR 20200037611 A KR20200037611 A KR 20200037611A KR 102385191 B1 KR102385191 B1 KR 102385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angerous
tracking system
information
veh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0641A (ko
Inventor
기창민
기혜정
지문세
Original Assignee
기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창민 filed Critical 기창민
Priority to KR1020200037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191B1/ko
Publication of KR20210120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G08G1/205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monitored vehicles as destination, e.g. accidents, stolen, rent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8Detecting or categorising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실시간 추적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서, 제1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1 차량이 촬영한 영상에서 추출한 제2 차량의 차량번호 및 위치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차량이 수배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차량이 수배차량인 경우 위험차량 데이터베이스(DB)에 위험차량으로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차량 또는 복수의 타 차량들 중 하나 이상의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2 차량의 차량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상기 제2 차량의 위치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 실시간 추적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위험차량 실시간 추적 시스템 및 추적 방법 {Real-time dangerous vehicle tracking system and tracking method}
본 발명은 도로에서 위험차량을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추적 시스템 및 추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배차량, 음주운전차량, 졸음운전차량 등 다양한 종류의 위험차량을 판별하고 실시간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위험차량 실시간 추적 시스템 및 추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차량과 관련된 사건 및 사고 또한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도난차량을 이용하여 저질러지는 강력범죄가 발생하고 있는데 도난 차량을 신속히 추적하기 위해 차량의 번호판을 조회하여 범죄차량이나 도난차량 등 수배차량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시스템이나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운전자가 수동으로 카메라를 조작하여 촬영하거나 고정된 주기로 촬영하므로 위험차량이 주위에 있을 때 위험차량을 신속하게 촬영할 수 없었고 범죄나 도난에 연루된 수배차량 위주로 차량을 추적하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위험차량을 포괄하여 추적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 추적 시스템은 수배차량을 발견하면 경찰청에 통지하는 것에 그쳤으므로 수배차량에 인접한 차량들에게 이를 알려서 인접 차량들이 수배차량을 회피하도록 하고 운전자와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는 방안은 고려되지 않았다.
특허문헌1: 한국 공개특허 제2004-0028456호 (2004년 4월 3일 공개) 특허문헌2: 한국 공개특허 제2014-0027697호 (2014년 3월 7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수배차량 뿐만 이나라 졸음운전차량, 음주운전차량, 교통법규 위반차량 등 다양한 종류의 위험차량을 실시간 추적할 수 있는 위험차량 실시간 추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실시간 추적 방법으로서, 제1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1 차량이 촬영한 영상에서 추출한 제2 차량의 차량번호 및 위치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차량이 수배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차량이 수배차량인 경우 위험차량 데이터베이스(DB)에 위험차량으로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차량 또는 복수의 타 차량들 중 하나 이상의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2 차량의 차량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상기 제2 차량의 위치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 실시간 추적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실시간 추적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차량 실시간 추적 방법이, 제1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1 차량이 촬영한 제2 차량의 영상 또는 이미지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또는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2 차량의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2 차량이 수배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차량이 수배차량인 경우 위험차량 데이터베이스(DB)에 위험차량으로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차량 또는 복수의 타 차량들 중 하나 이상의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2 차량의 차량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상기 제2 차량의 위치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배차량, 졸음운전차량, 음주운전차량, 교통법규 위반차량 등 다양한 종류의 위험차량을 실시간 추적할 수 있으며, 위험차량 발견시 단순히 경찰서나 공공기관에 알리는 것 뿐만 아니라 위험차량 주위의 차량들에게 위험차량과의 거리에 따른 알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험차량과의 거리에 따라 인근 차량을 촬영하고 차량정보를 추적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수집 주기를 가변하도록 구성하여 각 차량의 차량정보 수집 단말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용함과 동시에 위험차량의 실시간 위치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추적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차량 실시간 추적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차량 실시간 추적 시스템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차량 데이터베이스 및 정보제공차량 데이터베이스를 설명하는 도면,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차량 실시간 추적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차량 정보 알림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집주기 변경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를 포함한다', '~로 이루어진다', 및 '~로 구성된다'는 표현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에서, 용어 '소프트웨어'는 컴퓨터에서 하드웨어를 움직이는 기술을 의미하고, 용어 '하드웨어'는 컴퓨터를 구성하는 유형의 장치나 기기(CPU, 메모리, 입력 장치, 출력 장치, 주변 장치 등)를 의미하고, 용어 '단계'는 소정의 목을 달성하기 위해 시계열으로 연결된 일련의 처리 또는 조작을 의미하고, 용어 '프로그램' 또는 '앱'은 컴퓨터로 처리하기에 합한 명령의 집합을 의미하고, 용어 '프로그램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또는 앱을 설치하고 실행하거나 유통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그램 또는 앱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용어 데이터나 정보의 '관리'는 데이터나 정보의 수신, 송신, 저장, 수정, 및 삭제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 '~부', '~모듈', '~유닛', '~블록', '~보드'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물리적, 기능적, 또는 논리적 단위를 의미할 수 있고 이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 '컴퓨터' 또는 '컴퓨팅 장치'는 윈도우, 맥, 또는 리눅스와 같은 운영체제,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응용프로그램들, 기억장치(예를 들면, HDD, SDD), 및 모니터를 구비한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는 예를 들면, 데스크탑 컴퓨터나 노트북과 같은 것일 수 있으나, 이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원 발명은 데스크탑 컴퓨터나 노트북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모바일 단말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PDA와 같은 모바일 무선통신기기 중 하나일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라고 함은 집적회로(IC)를 이용한 반도체 기억장치, 자기 기록 방식을 이용한 자기 기억 장치, 및/또는 광디스크를 이용한 광 기억장치일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기록매체를 직접 읽는 컴퓨터에 포함되어 설치되거나 또는 컴퓨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통신망(예를 들면, 광역 통신망(WAN), 도시권 통신망(MAN), 근거리 통신망(LAN), 및/또는 개인 통신망(PAN))을 통해서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 'A'가 구성요소 'B'에게 임의의 신호나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전송한다는 것은 구성요소 A가 구성요소 B에게 직접 전송하거나 또는 구성요소 A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서 구성요소 B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 A와 구성요소 B가 '동작적으로' 서로 관련(또는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구성요소 A 및 B가 서로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차량 실시간 추적 시스템(이하 간단히 "추적 시스템"이라고도 함)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추적 시스템에 동작적으로 연결된 구성요소들의 일부를 함께 도시하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차량 실시간 추적 시스템(100)은 네트워크(50)를 통해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운영 시스템(60), 공공기관 시스템(70), 및 내비게이션 운영 시스템(80)과 통신하도록 연결되고 또한 다수의 차량들(10,30,40)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50)는 이동통신망이나 인터넷망 등의 유선/무선으로 통신가능한 임의의 통신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도면에서 "A"로 표시한 차량(10)(이하 "제1 차량"이라고도 함)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정보 수집 단말(11) 및 카메라(12)를 포함한다. 카메라(12)는 차량(10)의 전방 또는 후방 또는 좌측이나 우측 방향으로 동영상을 촬영하거나 스틸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카메라(12)는 제1 차량(10)의 앞에서 운행중이고 "B"로 표시한 제2 차량(20)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12)는 예컨대 차량에 설치하는 블랙박스, 대시보드 카메라, IP 카메라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차량 운전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이나 휴대용 기기에 내장된 카메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차량정보 수집 단말(11)은 카메라(12)가 촬영한 동영상 또는 스틸 이미지에서 차량의 번호판을 식별하고 차량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정보 수집 단말(11)은 공지의 번호판 자동 인식(ALPR) 프로그램이 내장된 장치일 수 있다. 차량정보 수집 단말(11)은 이렇게 추출한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네트워크(50)를 통해 위험차량 실시간 추적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차량정보"는 예를 들어 차량번호 및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차량번호는 카메라(12)로 촬영한 영상이나 스틸 이미지에서 추출한 것이고, 위치정보는 예컨대 차량정보 수집 단말(11), 카메라(12) 또는 제1 차량(10)이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취득한 GPS 데이터일 수 있다. 즉 차량정보 수집 단말(11), 카메라(12), 또는 제1 차량(10) 중 어느 하나에 GPS 수신기가 구비된 경우 이 GPS 수신기에 의해 산출된 위치정보이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차량정보는 차량의 종류와 색상 등의 다른 부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종류에 관한 정보는 예컨대 승용차, 트럭, 버스, 오토바이 등으로 기분류된 종류 중 어떤 종류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차량정보 수집 단말(11)이 카메라(12)가 촬영한 영상이나 스틸 이미지를 판독하여 제2 차량의 차종을 식별하여 얻을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차량 종류에 관한 정보가 차량의 모델(예를 들어 "그랜저" 또는 "소나타" 등의 모델명)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색상도 예컨대 차량정보 수집 단말(11)이 카메라(12)의 촬영 영상이나 이미지를 분석하여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획득 방법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정보 수집 단말(11)은 차량에 설치되는 전용의 하드웨어 장치로 구현되거나 차량 내에서 실행가능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차량정보 수집 단말(11)과 카메라(12)가 일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차량정보 수집 단말(11)은 영상이나 스틸 이미지에서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기능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차량정보 수집 단말(11)은 촬영한 영상이나 스틸 이미지를 위험차량 실시간 추적 시스템(100)으로 전송하고, 차량번호 추출 동작이 위험차량 실시간 추적 시스템(100)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면에 "C"로 표시된 차량(30)(이하 "제3 차량"이라고도 함)은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31)을 장착하고 ADAS 운영 시스템(60)과 통신가능한 차량이다. 일 실시예에서 ADAS(31)는 전방추돌경보, 차선이탈경보 등의 일반적인 ADAS가 갖는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운전태도나 운전상태 등을 능동적으로 감시하여 이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즉, 제3 차량(30))이 교통법규를 위반하였는지, 음주운전이나 졸음운전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기능도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ADAS(31)는 제3 차량(30)이 교통법규 위반, 졸음운전, 및/또는 음주운전 등에 해당하는 위험차량이라고 판단한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ADAS 운영 시스템(60)에 전송할 수 있다.
ADAS 운영 시스템(60)은 이 운영 시스템(60)과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다수의 차량들로부터 이러한 각 차량의 운전상태에 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신하며, 만일 어느 차량이 교통법규 위반, 졸음운전, 및/또는 음주운전에 해당하는 위험차량이라는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차량에 대한 차량정보를 위험차량 실시간 추적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전송되는 차량정보는 예컨대 차량번호, 위치정보, 및 위험의 종류(예컨대 해당 차량이 교통법규 위반, 졸음운전, 또는 음주운전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부가적으로 차량 종류나 차량 색상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D"로 표시한 차량(40)(이하에서 "제4 차량"이라고도 함)은 내비게이션(41)을 장착하고 내비게이션 운영 시스템(80)과 통신가능한 차량이다. 일 실시예에서 내비게이션(41)은 통상의 내비게이션 장치가 갖는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 위험차량으로 식별된 차량을 내비게이션 화면에 표시하거나 알람음을 발신하고 위험차량을 회피하여 운전자에게 대안적인 경로를 제시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공기관 시스템(70)은 위험차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공공기관이다. 예를 들어, 제1 차량(10)에 의해 촬영된 제2 차량(20)이 범죄 차량인지, 도난 차량인지, 세금미납 차량인지 여부 등을 조회하여 추적하고자 할 경우 공공기관 시스템(70)은 이러한 위험차량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갖고 있는 경찰청, 도로교통관제소, 세무서, WASS(수배차량검색시스템) 운영기관 등의 공공기관일 수 있고, 이러한 각각의 공공기관 시스템(70)은 수배차량 등의 위험차량 정보를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위험차량 실시간 추적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정보 수집 단말(11), ADAS(31), 및 내비게이션(41)이 각기 별개의 차량(10,30,40)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제 구현시에는 각 차량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11,31,41) 중 적어도 둘 이상의 구성요소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제1 차량(10)에 차량정보 수집 단말(11)과 ADAS(31)이 장착될 수도 있고 제4 차량(40)에 차량정보 수집 단말(11)과 내비게이션(41)이 장착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차량'은 승용차에 제한되지 않으며 승용차, 택시, 버스, 트럭, 오토바이, 자전거, 및 경찰차나 앰뷸런스, 소방차 등의 특수차량 등 임의의 이동수단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차량 실시간 추적 시스템(100)의 예시적 기능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위험차량 실시간 추적 시스템(100)은 서버장치(110) 및 데이터베이스(120)를 포함한다. 서버장치(110)는 차량번호 비교부(111), 실시간 위치 산출부(112), 수집주기 제어부(113), 및 위험차량 알림부(114)를 포함할 수 있고 서버(120)는 수배차량 데이터베이스(DB)(121), 위험차량 DB(122), 및 정보제공차량 DB(123)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번호 비교부(111)는 차량번호를 수배차량 DB(121)에 저장된 수배차량 리스트와 비교하여 해당 차량이 수배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추적 시스템(100)이 제1 차량(10)으로부터 제2 차량(20)에 대한 차량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2 차량(20)의 차량번호가 수배차량 리스트에 있는지를 판단하여 수배차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수배차량 DB(121)는 예컨대 경찰청이나 WASS 운영기관 등의 공공기관 시스템(70)으로부터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신한 수배차량 리스트를 저장한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제1 차량(10)의 차량정보 수집 단말(11)이 영상이나 스틸 이미지에서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기능을 갖지 않는 경우 추적 시스템(100)은 제1 차량(10)으로부터 영상이나 스틸 이미지를 수신하며, 차량번호 비교부(111)는 수신한 영상이나 스틸 이미지에서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동작도 수행할 수 있다.
실시간 위치 산출부(112)는 수배차량 등의 위험차량으로 식별된 차량들에 대해 각 위험차량의 정보를 위험차량 DB(122)에 등록하고 실시간 위치를 산출하여 위험차량 DB(122)를 업데이트한다.
위험차량 DB(122)는 예를 들어 도3(a)에 도시한 것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3(a)의 실시예에서 위험차량 DB(122)는 위험차량으로 등록되는 차량들의 차량번호, 차량종류, 차량색상, 위험종류, 위치 등을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차량 종류는 차량이 승용차, 트럭, 버스, 오토바이 등으로 기분류된 종류 중 어떤 것인지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대안적으로 차량의 모델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종류와 차량색상에 관한 정보는 제1 차량(10)의 차량정보 수집 단말(11)로부터 얻을 수도 있고 공공기관 시스템(70)으로부터 얻을 수도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위험종류는 4가지, 즉 수배차량, 음주운전차량, 법규위반차량, 및 졸음운전차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차량번호 비교부(111)에서 수배차량 DB(121)와 비교하여 수배차량으로 식별된 경우 위험종류가 '수배차량'으로 등록된다. 나머지 위험종류, 즉 음주운전차량, 법규위반차량, 및 졸음운전차량은 ADAS 운영 시스템(60)으로부터 수신하는 위험차량에 관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ADAS(31)가 장착된 제3 차량(30)에서 ADAS(31)가 이 차량(30)이 음주운전차량이라고 판단하면 이 제3 차량(30)의 차량정보, 위치정보, 및 '음주운전차량'으로 구분된 위험종류 정보가 ADAS 운영 시스템(60)를 거쳐 추적 시스템(100)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추적 시스템(100)이 이 차량을 위험차량 DB(122)에 등록할 때 위험종류를 '음주운전차량'으로 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4개의 위험분류는 예시적인 것이며 발명의 구체적 실시 형태에 따라 위험차량을 다양한 위험종류로 분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위치정보는 위험차량의 현재 또는 가장 최근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제1 차량(10)이 위험차량(예컨대, 제2 차량(20))에 대한 차량정보를 추적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때 제1 차량(10)의 위치정보를 함께 전송하는데, 이 때 수신한 위치정보를 위험차량(제2 차량(20))의 위치정보로 간주할 수 있다.
실시간 위치 산출부(112)는 위험차량 DB(122)를 계속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차량 DB(122)에 기등록된 위험차량에 대한 위치정보를 추적 시스템(100)이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계속하여 수신하면 이에 기초하여 위험차량의 현재 위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차량 인근에서 차량정보 수집 단말(11)이 장착된 제1 차량(10)이 위험차량을 촬영하고 이를 추적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실시간 위치 산출부(112)는 위험차량의 차량정보를 제공한 차량(예컨대 도1에서 제1 차량(10))도 정보제공차량 DB(123)에 등록하여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3(b)에 도시한 것처럼 정보제공차량 DB(123)는 위험차량의 정보를 제공한 차량의 차량번호 및 위치정보를 저장한다. 제1 차량(10)은 카메라(12)를 이용하여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차량 인근을 계속하여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이나 스틸 이미지의 차량의 차량정보를 자신의 차량 정보와 함께 추적 시스템(100)으로 전송하고 있으므로, 추적 시스템(100)은 이에 기초하여 정보제공차량 DB(123)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예컨대 ADAS(31)가 장착된 제3 차량(30)이 음주운전차량으로 위험차량 DB(122)에 등록되는 경우, 제3 차량(30)의 ADAS(31)가 자신의 위치정보를 차량정보에 포함시켜 ADAS 운영 시스템(60)으로 전송하고, 추적 시스템(100)이 ADAS 운영 시스템(60)으로부터 이 정보를 수신하여 위험차량 DB(122)의 위치정보로 등록할 수 있다.
ADAS(31)가 장착된 차량이 위험차량인 경우 추적 시스템(100)이 ADAS 운영 시스템(60)으로부터 이 차량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위험차량 DB(122)의 위치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실시간 위치 산출부(112)는 위험차량의 예상 동선을 예측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인근 차량에게 위험차량을 회피하는 우회경로를 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수집주기 제어부(113)는 제1 차량(10)이 카메라(12)로 인근 차량들을 촬영하는 주기 또는 촬영되는 영상에서 스틸 이미지를 추출하는 주기(이하 '수집 주기'라 함)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집주기 제어부(113)는 소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1 차량(10)의 수집 주기를 증감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1 차량(10)의 카메라(12) 또는 차량정보 수집 단말(11) 등과 같이 카메라(12)를 제어하는 장치로 전송하고 이에 기초하여 카메라(12)의 수집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
위험차량 알림부(114)는 위험차량 DB(122)에 등록된 위험차량에 인접한 차량이나 보행자 등에게 위험차량의 존재를 알리는 기능 및/또는 공공기관 시스템(70)에 위험차량의 위치를 알리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위험차량 실시간 추적 시스템(100)에서 수행하는 위험차량 실시간 추적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추적 시스템(100)은 단계(S10)에서 다수의 제1 차량(10)으로부터 차량정보를 수신한다. 각각의 제1 차량(10)으로부터 수신하는 차량정보는 예를 들어 제1 차량(10)이 촬영한 영상이나 스틸 이미지에서 추출한 제2 차량(20)의 차량번호, 제1 차량(10)의 위치정보, 및 제1 차량의 식별정보(예컨대 차량번호))를 포함한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차량정보는 제2 차량(20)의 차량 종류나 차량 색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량(10)으로부터 차량정보를 수신하면, 단계(S20)에서 차량번호 비교부(111)는 제2 차량(20)의 차량번호가 위험차량 DB(122)에 위험차량으로 기등록된 차량번호인지를 판단하고, 기등록된 경우 위험차량 DB(122)를 업데이트한다(단계 S40). 예컨대 위험차량 DB(122)에서 해당 위험차량의 위치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만일 제2 차량(20)의 차량번호가 기동록된 차량번호가 아닌 경우 단계(S30)에서 제2 차량(20)의 차량번호를 수배차량 DB(121)의 수배차량 리스트와 비교하여 수배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수배차량인 경우 해당 차량을 위험차량 DB(122)에 위험차량으로 등록하고, 그 후 복수의 제1 차량들(10) 중 하나 이상의 차량들로부터 상기 위험차량의 차량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위험차량 DB(122)의 위치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단계 S40).
한편 위험차량 실시간 추적 시스템(100)은 ADAS 운영 시스템(60)으로부터 위험차량에 관한 차량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단계 S15). 예를 들어 ADAS(31)가 장착된 제3 차량(30)에서 ADAS(31)가 자신의 차량(30)이 음주운전, 법규위반, 또는 졸음운전 등의 기설정된 위험종류에 속하는 위험차량이라고 판단한 경우 이 차량(30)의 차량정보(예를 들어 차량번호, 위치정보, 및 위험종류에 관한 정보)를 ADAS 운영 시스템(60)을 거쳐 추적 시스템(100)에 전송할 수 있고, 추적 시스템(100)은 단계(S40)에서 이러한 차량에 대해서도 위험차량 DB(122)에 등록하고 해당 차량에 대해 ADAS 운영 시스템(60)으로부터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차량정보를 계속 수신하여 위험차량 DB(122)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실시간 위치 산출부(112)는 위험차량의 위치정보를 업데이트할 뿐만 아니라 위험차량의 시간에 따른 위치 변동에 기초하여 예상 동선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량(10)에 의해 촬영된 제2 차량(20)이 위험차량인 경우, 이 차량(20)의 현재(또는 가장 최근의) 위치의 다음번 교차로에서 분기하는 도로까지를 예상 동선으로 가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차량(10)에 내비게이션(41)이 장착되어 있고 목적지까지 경로가 설정된 경우 이 설정된 경로를 예상 동선으로 간주할 수 있다.
그 후 추적 시스템(100)의 위험차량 알림부(114)는 위험차량의 현재 위치 또는 예상 동선에 따라 주위 운전자, 보행자 및/또는 공공기관 시스템(70)에 위험차량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단계 S60).
이와 관련하여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차량 정보 알림 단계(S60)의 구체적인 방법을 나타내었다. 도5를 참조하면, 추적 시스템(100)은 정보제공차량 DB(123)을 참조하여 위험차량에 인접한 차량들을 선택할 수 있다(S611). 예를 들어, 차량 운전자의 휴대폰 등의 모바일 장치에 위험차량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이 모바일 장치에서 제공하는 위치정보를 추적 시스템(100)이 계속 수신하여 업데이트하고 있는 경우, 추적 시스템(100)은 이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위험차량의 위치에 인접한 차량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차량정보 수집 단말(11)이 장착된 차량(10)인 경우 이 차량(10)에 대한 위치가 정보제공차량 DB(123)에 등록되어 있으므로 이에 기초하여 위험차량의 위치에 인접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 후 단계(S612)에서 추적 시스템(100)은 위험차량에 인접한 차량들에게 위험차량 정보(예컨대 차량번호, 차량종류, 차량색상, 및 위험종류)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일 실시예에서 추적 시스템(100)은 각 차량의 위험차량과의 거리에 따라 각기 다른 경보음이나 경보 내용으로 위험차량의 존재를 알릴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서, 내비게이션(41)이 설치된 차량에 대해 위험차량 정보 알림 단계(S60)를 수행할 경우, 추적 시스템(100)은 내비게이션 운영 시스템(80)에게 위험차량의 차량정보를 전송한다(단계 S621). 위험차량 차량정보를 수신한 내비게이션 운영 시스템(80)은 차량의 내비게이션(41) 화면에 위험차량 정보를 표시하고 알람음을 발신할 수 있다(단계 S622).
또한 이 경우 내비게이션(41)은 위험차량의 현재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위험차량을 회피하여 우회하는 경로를 제시할 수 있다(단계 S623). 예컨대 내비게이션(41) 상에서 소정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할 때 위험차량의 위치를 회피하는 조건을 추가하여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실시간 위치 산출부(112)가 위험차량의 현재 예상 동선을 산출한 경우 추적 시스템(100)이 내비게이션 운영 시스템(80)에게 위험차량의 예상 동선 정보도 전송할 수 있고, 내비게이션 운영 시스템(80)으로부터 예상 동선 정보를 수신한 내비게이션(41)은 위험차량의 현재 위치와 예상 동선을 모두 고려하여 위험차량을 회피하는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다시 도4를 참조하면, 단계(S40)에서 실시간 위치 산출부(112)가 위험차량을 등록하거나 위치정보를 업데이트하면, 수집주기 제어부(113)가 복수의 제1 차량(10)들에게 차량정보 수집 단말(11) 및/또는 카메라(12)의 수집 주기를 변경하는 제어신호를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수집 주기'는 예를 들어 카메라(12)로 인근 차량을 촬영하는 주기, 차량정보 수집 단말(11)이 촬영된 영상에서 스틸 이미지를 추출하는 주기, 영상이나 스틸 이미지에서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주기, 추출된 차량번호를 포함한 차량정보를 추적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는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집 주기를 변경하는 예시적 방법을 나타내었다. 도6을 참조하면, 우선 차량정보 수집 단말(11)을 장착한 차량들에 대해, 추적 시스템(100)은 정보제공차량 DB(123)을 참조하여 위험차량에 인접한 차량들을 선택할 수 있다(S711). 이 단계(S711)은 예컨대 도5의 단계(S611)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그 후 단계(S712)에서 추적 시스템(100)은 각각의 차량에게 위험차량과의 거리에 따른 수집주기 변경신호를 전송한다. 거리에 따른 수집주기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차량과의 거리가 소정의 제1 반경(예컨대 2km) 내에 없는 경우 수집주기가 30초이고, 제1 반경보다 작고 제2 반경보다 큰 거리인 경우(예컨대 2km 이내 500m 이상) 10초이고, 제2 반경보다 작은 경우(예컨대 500m 이내) 5초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거리나 수집주기의 구체적 수치는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물론이다.
다른 예로서, 차량정보 수집 단말(11)과 ADAS(31)가 모두 장착된 차량인 경우, 추적 시스템(100)은 ADAS 운영 시스템(60)을 통해 수집주기를 변경하는 신호를 각 차량에게 전송할 수 있다. 즉 단계(S721)에서 추적 시스템(100)은 위험차량의 위치정보를 ADAS 운영 시스템(60)에 전달하고, 단계(S722)에서 ADAS 운영 시스템(722)은 위험차량에 인접한 각 차량에게 거리에 따른 수집주기 변경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위험차량과의 거리에 따라 인근 차량을 촬영하고 차량정보를 추적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는 수집 주기를 가변함으로써 각 차량의 차량정보 수집 단말(11)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용함과 동시에 위험차량의 실시간 위치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추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상술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20, 30, 40: 차량
50: 네트워크
60: ADAS 운영 시스템
70: 공공기관 시스템
80: 내비게이션 운영 시스템
100; 위험차량 실시간 추적 시스템

Claims (8)

  1. 복수의 차량들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하도록 연결된 위험차량 실시간 추적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실시간 추적 방법으로서,
    상기 추적 시스템이, 제1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1 차량이 촬영한 영상에서 추출한 제2 차량의 차량번호 및 위치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
    상기 추적 시스템이, 상기 제2 차량이 수배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
    상기 추적 시스템이, 상기 제2 차량이 수배차량인 경우 위험차량 데이터베이스(DB)에 위험차량으로 등록하는 단계;
    상기 추적 시스템이, 상기 제1 차량 또는 복수의 타 차량들 중 하나 이상의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2 차량의 차량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상기 제2 차량의 위치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추적 시스템이, 제2 차량의 시간에 따른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제2 차량의 예상 동선을 산출하는 단계(S50);
    상기 추적 시스템이, 제2 차량의 현재 위치 또는 상기 예상 동선에 따라 제2 차량에 인접한 인접 차량에 제2 차량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60); 및
    상기 제2 차량의 인접 차량이 카메라 및 카메라로 촬영한 차량의 번호판을 식별하고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수집 단말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추적 시스템이, 상기 인접 차량에 수집주기를 변경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70);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 주기는, 상기 카메라의 촬영 주기, 상기 수집 단말이 촬영 이미지에서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주기, 추출된 차량번호를 포함한 차량정보를 상기 추적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주기 중 적어도 하나의 주기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 실시간 추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차량에게 제2 차량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60)가, 차량들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차량에 인접한 차량을 선택하는 단계(S611)를 포함하고,
    상기 추적 시스템은, 각각의 상기 인접 차량과 상기 제2 차량과의 거리에 따라 각기 다른 경보음이나 경보 내용을 각각의 상기 인접 차량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인, 차량 실시간 추적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 시스템이,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운영 시스템으로부터, 위험차량으로 식별된 제3 차량의 차량번호 및 위치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5);
    상기 추적 시스템이, 상기 위험차량 DB에 상기 제3 차량을 위험차량으로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적 시스템이, 상기 ADAS 운영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제3 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상기 제3 차량의 위치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차량 실시간 추적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차량 DB에 등록되는 위험차량은 적어도 수배차량, 음주운전차량, 법규위반차량, 및 졸음운전차량 중 하나로 분류되어 등록되는 것인, 차량 실시간 추적 방법.
  5. 복수의 차량들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하도록 연결된 위험차량 실시간 추적 시스템이 차량 실시간 추적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차량 실시간 추적 방법이,
    상기 추적 시스템이, 제1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1 차량이 촬영한 제2 차량의 영상 또는 이미지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추적 시스템이, 상기 영상 또는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2 차량의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적 시스템이, 상기 제2 차량이 수배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차량이 수배차량인 경우 위험차량 데이터베이스(DB)에 위험차량으로 등록하는 단계;
    상기 추적 시스템이, 상기 제1 차량 또는 복수의 타 차량들 중 하나 이상의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2 차량의 차량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상기 제2 차량의 위치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추적 시스템이, 제2 차량의 시간에 따른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제2 차량의 예상 동선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추적 시스템이, 제2 차량의 현재 위치 또는 상기 예상 동선에 따라 제2 차량에 인접한 인접 차량에 제2 차량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차량의 인접 차량이 카메라 및 카메라로 촬영한 차량의 번호판을 식별하고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수집 단말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추적 시스템이, 상기 인접 차량에 수집주기를 변경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 주기는, 상기 카메라의 촬영 주기, 상기 수집 단말이 촬영 이미지에서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주기, 추출된 차량번호를 포함한 차량정보를 상기 추적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주기 중 적어도 하나의 주기를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차량에게 제2 차량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60)가, 차량들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차량에 인접한 차량을 선택하는 단계(S611)를 포함하고,
    상기 추적 시스템은, 각각의 상기 인접 차량과 상기 제2 차량과의 거리에 따라 각기 다른 경보음이나 경보 내용을 각각의 상기 인접 차량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실시간 추적 방법이,
    상기 추적 시스템이,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운영 시스템으로부터, 위험차량으로 식별된 제3 차량의 차량번호 및 위치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추적 시스템이, 상기 위험차량 DB에 상기 제3 차량을 위험차량으로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적 시스템이, 상기 ADAS 운영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제3 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상기 제3 차량의 위치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차량 DB에 등록되는 위험차량이 적어도 수배차량, 음주운전차량, 법규위반차량, 및 졸음운전차량 중 하나로 분류되어 등록되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200037611A 2020-03-27 2020-03-27 위험차량 실시간 추적 시스템 및 추적 방법 KR102385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611A KR102385191B1 (ko) 2020-03-27 2020-03-27 위험차량 실시간 추적 시스템 및 추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611A KR102385191B1 (ko) 2020-03-27 2020-03-27 위험차량 실시간 추적 시스템 및 추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641A KR20210120641A (ko) 2021-10-07
KR102385191B1 true KR102385191B1 (ko) 2022-04-08

Family

ID=78114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611A KR102385191B1 (ko) 2020-03-27 2020-03-27 위험차량 실시간 추적 시스템 및 추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1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100B1 (ko) * 2023-06-29 2023-12-27 주식회사 휴데이터스 불법 차량을 단속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011B1 (ko) * 2013-11-21 2014-08-07 주식회사 알리온 차량용 블랙박스의 차량 인식정보 통합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8225178A1 (ja) 2017-06-07 2018-12-13 三菱電機株式会社 危険車両予測装置、危険車両警報システムおよび危険車両予測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8456A (ko) 2002-09-30 2004-04-03 한경구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위험차량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34012A (ko) * 2010-06-08 2011-12-14 주식회사 마인드웨어웤스 휴대용 통신기기를 이용하여 차량 추적, 차량 정보의 데이타 통신 및 차량 범죄 및 법규위반 예방이 가능한 차적조회 및 자동통지 방법
KR20140027697A (ko) 2012-08-27 2014-03-07 인포뱅크 주식회사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615206B1 (ko) * 2014-05-22 2016-05-12 김득화 차량검출장치
KR20160075051A (ko) * 2014-12-19 2016-06-29 안삼주 차량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86976A (ko) * 2017-01-24 2018-08-01 콘텔라 주식회사 저전력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졸음 및 과속 방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단말기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011B1 (ko) * 2013-11-21 2014-08-07 주식회사 알리온 차량용 블랙박스의 차량 인식정보 통합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8225178A1 (ja) 2017-06-07 2018-12-13 三菱電機株式会社 危険車両予測装置、危険車両警報システムおよび危険車両予測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641A (ko)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86018A1 (en) Electronic device for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7608388B (zh) 自主警车
US9596643B2 (en) Providing a user interface experience based on inferred vehicle state
JP6698945B2 (ja) 危険車両予測装置、危険車両警報システムおよび危険車両予測方法
JP6503218B2 (ja) 運転支援システム、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方法
US201801744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ffic violation avoidance
US884202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arly warning detection of emergency vehicles
US20180128231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launching engine start-stop function in vehicles
TWI547913B (zh) 即時駕駛輔助系統及方法
CN106463054A (zh) 高级驾驶辅助系统(adas)的自适应报警管理
US10692149B1 (en) Event based insurance model
US9495869B2 (en) Assistance to law enforcement through ambient vigilance
JP2016224477A (ja) 車載装置、運転モード制御システム、及び運転モード制御方法
JP2019008709A (ja) 車両、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構造
CN110880122A (zh) 信息处理装置以及信息处理方法
CN116959265A (zh) 交通信息提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0942652A (zh) 一种输出道路标识信息的方法及装置
JP7274840B2 (ja) データ収集装置、データ収集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収集方法
KR102385191B1 (ko) 위험차량 실시간 추적 시스템 및 추적 방법
CN110807648A (zh) 信息处理装置以及信息处理方法
JP2007010598A (ja) 地図情報更新方法及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4137682A (ja) 移動体端末の位置情報を用いた交通情報提供システム
US20220219699A1 (en) On-board apparatus, driving assistance method, and driving assistance system
US11391593B2 (en) Vehicle-mounted device, server, navigation system, recording medium storing map display program, and map display method
KR20210120647A (ko) 위험차량 실시간 추적 시스템 및 추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