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937B1 - 조색 장치 - Google Patents

조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937B1
KR102016937B1 KR1020170110906A KR20170110906A KR102016937B1 KR 102016937 B1 KR102016937 B1 KR 102016937B1 KR 1020170110906 A KR1020170110906 A KR 1020170110906A KR 20170110906 A KR20170110906 A KR 20170110906A KR 102016937 B1 KR102016937 B1 KR 102016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unit
color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4176A (ko
Inventor
서영교
정도현
홍성도
최동일
Original Assignee
자동차부품연구원
최동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동차부품연구원, 최동일 filed Critical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10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937B1/ko
Publication of KR20190024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3Visual insp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200/00Type of product being used or applied
    • B60B2200/20Furniture or medical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pectrometry And Color Measur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색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샘플판과 조색판이 안착되는 받침부와, 받침부의 각도를 변경하는 조절부와, 조절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조색 작업을 통해 획득된 도료가 목적하는 색상인지 여부를 신속하게 비교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색 장치{DEVICE OF MIXING COLOR}
본 발명은 조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색 작업을 통해 획득된 도료가 목적하는 색상인지 여부를 신속하게 비교하여 도장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조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복수개의 부품으로 차체에 장착되어 외관을 형성하며, 사용자의 취향을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색상으로 도장이 되어 출시되고 있다.
한편, 자동차 외관 파손으로 교체가 필요한 경우, 작업 현장에서 교체 대상물이 파손된 자동차와 동일한 색상이 되도록 도장 작업을 실시한다.
그러나, 조색 작업시 목적하는 색상 여부를 신속하게 확인하기 어려워 도장 불량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105639호(2011.09.27. 공개, 발명의 명칭 : 휴대형 조색시편 건조기)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조색 작업을 통해 획득된 도료가 목적하는 색상인지 여부를 신속하게 비교하여 도장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조색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색 장치는: 샘플판과 조색판이 안착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각도를 변경하는 조절부; 및 상기 조절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부는 상기 샘플판과 상기 조색판이 안착되는 받침판부; 및 상기 샘플판과 상기 조색판을 고정하는 받침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부는 상기 받침판부에 장착되어 측정된 각도를 표시하는 받침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받침부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조절조인트부; 및 상기 조절조인트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조절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조절부가 장착되는 지지판부; 상기 지지판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막대부; 상기 지지막대부에 장착되고, 지면과 접촉되어 회전 가능한 지지바퀴부; 및 상기 지지막대부를 연결하고, 도구가 보관되는 지지선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색 장치는: 상기 조색판을 건조시키는 건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조부는 공기를 공급하는 건조공급부; 상기 건조공급부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건조가열부; 상기 건조가열부와 연결되고, 공기를 안내하는 건조유도부; 및 상기 건조유도부와 연결되고, 상기 받침부에 장착되어 상기 조색판에 공기를 토출하는 건조토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색 장치는 받침부에 샘플판과 조색판이 안착되므로, 작업자는 샘플판과 조색판의 색상을 비교하여 조색 작업의 완료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색 장치는 조절부에 의해 받침판부의 설치 각도가 조절되고, 받침표시부가 받침판부에 장착되어 받침판부의 설치 각도를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색 장치는 건조부에 의해 조색판이 신속하게 건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색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색 장치에서 받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색 장치에서 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색 장치에서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색 장치에서 건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색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색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색 장치(1)는 받침부(10)와, 조절부(20)와, 지지부(30)를 포함한다.
받침부(10)에는 샘플판(110)과 조색판(120)이 안착된다. 일 예로, 샘플판(110)은 목적하는 색상이 도장된 시편을 의미하고, 조색판(120)은 조색 작업에 의해 획득된 도료를 도장하기 위한 판재를 의미할 수 있다. 작업자는 조색판(120)에 조색 작업을 마친 도료를 도장한 후, 샘플판(110)과 조색판(120)을 비교하여 동일 색상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조절부(20)는 받침부(10)의 각도를 변경한다. 일 예로, 조절부(20)는 받침부(10)의 저면에 장착되어 받침부(1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받침부(10)의 설치 각도가 변경되면, 받침부(10)에 안착된 조색판(120)의 설치 각도가 변경되어 주변광에 의한 조색판(120)의 인지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30)는 조절부(20)를 지지한다. 일 예로, 지지부(30)는 지면과 같은 고정물에 안착되고, 필요에 따라 지면을 따라 이동되어 받침부(10)를 작업 현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색 장치에서 받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10)는 받침판부(11)와, 받침고정부(12)를 포함한다.
받침판부(11)에는 샘플판(110)과 조색판(120)이 안착된다. 일 예로, 받침판부(11)는 상측이 평탄면을 형성하는 직사각형이 될 수 있다. 받침판부(11)에는 샘플판(110)과 조색판(120)의 안착 위치를 유도하기 위한 판가이드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판가이드부(111)는 샘플판(110)과 조색판(120)의 두께와 대응되는 홈 형상을 하여 샘플판(110)과 조색판(120)이 삽입될 수 있다.
받침고정부(12)는 샘플판(110)과 조색판(120)을 고정한다. 일 예로, 받침고정부(12)는 샘플판(110) 또는 조색판(120)의 가장자리를 커버하는 고정틀부(121)와, 고정틀부(121)를 받침판부(11)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샘플판(110)과 조색판(120)이 금속재질의 판재인 경우, 받침고정부(12)는 받침판부(11)에 내장되는 자성체가 될 수 있다. 그 외, 샘플판(110)과 조색판(120)을 일시적으로 받침판부(11)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10)는 받침표시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표시부(13)는 받침판부(11)에 장착되어 측정된 각도를 표시한다. 일 예로, 받침표시부(13)는 받침판부(11)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받침판부(11)의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받침표시부(13)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방식으로 받침판부(11)의 각도를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색 장치에서 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20)는 조절조인트부(21)와 조절가변부(22)를 포함한다.
조절조인트부(21)는 받침부(10)에 장착된다. 일 예로, 조절조인트부(21)는 받침판부(11)의 저면에 장착될 수 있다. 조절조인트부(21)는 볼조인트 방식으로 조절가변부(22)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받침판부(11)가 다양한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조절포인트부(21)는 받침판부(11)의 모서리 지점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조절가변부(22)는 조절조인트부(21)에 각각 장착되고, 지지부(30)에 연결되어 길이가 조절된다. 일 예로, 조절가변부(22)는 유압실린더 또는 모터 방식으로 각각의 길이가 조절되어 받침판부(11)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그 외, 조절가변부(22)는 주름관 형상을 하거나, 복수개의 링크 결합을 통해 받침판부(1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색 장치에서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30)는 지지판부(31)와, 지지막대부(32)와, 지지바퀴부(33)와, 지지선반부(34)를 포함한다.
지지판부(31)에는 조절부(20)가 장착된다. 일 예로, 지지판부(31)는 판재 형상을 하여 받침판부(11)의 하방에 배치되고, 조절가변부(22)의 하단부는 지지판부(31)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지지막대부(32)는 지지판부(31)에 형성되어 지지판부(31)를 지지한다. 일 예로, 4개의 지지막대부(32)가 지지판부(31)의 저면에 결합되고,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막대부(32)는 자체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어 받침부(10) 자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지지바퀴부(33)는 지지막대부(32)에 장착되고, 지면과 접촉되어 회전 가능하다. 일 예로, 지지바퀴부(33)는 각각의 지지막대부(32) 하단부에 장착되고 잠금 해제 상태에서는 지면과 접촉되어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바퀴부(33)는 잠금 상태에서 회전이 제한되어 받침부(1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지지선반부(34)는 지지막대부(32)를 연결하고, 도구가 보관된다. 일 예로, 지지선반부(34)는 복수개의 지지막대부(32)에 장착되고, 복수개의 샘플판(110)과 조색판(120)이 보관될 수 있다. 그 외, 조색을 위한 도구 및 도장을 위한 도구 등이 보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색 장치에서 건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색 장치(1)는 건조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조부(40)는 조색판(120)을 건조시킨다. 일 예로, 작업자가 조색 작업을 통해 획득한 도료를 스프레이 건을 통해 조색판(120)에 도장을 하면, 건조부(40)에 의해 조색판(120)에 도장된 도료가 신속하게 건조되어, 건조된 도료에 대한 색상을 샘플판(110)과 비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부(40)는 건조공급부(41)와, 건조가열부(42)와, 건조유도부(43)와, 건조토출부(44)를 포함하고, 가열된 공기를 통해 조색판(120)에 도장된 도료를 신속하게 건조시킨다.
건조공급부(41)는 공기를 공급하고, 건조가열부(42)는 건조공급부(42)와 연결된다. 건조가열부(42)는 건조공급부(41)와 연결되고, 지지부(30)에 장착되어 공기를 가열한다. 일 예로, 건조공급부(41)는 건조가열부(42)와 연결되는 호스가 될 수 있다. 그 외 건조공급부(41)는 강제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건조가열부(42)는 지지판부(31)에 장착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히터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그 외, 건조가열부(42)는 공기를 순간적으로 가열하기 위해 다양한 가열 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
건조유도부(43)는 건조가열부(42)와 연결되고, 공기를 안내한다. 일 예로, 건조유도부(43)는 건조공급부(41)와 동일한 호스가 사용될 수 있으며, 건조가열부(42)를 통해 가열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건조토출부(44)는 건조유도부(43)와 연결되고, 받침부(10)에 장착되어 조색판(120)에 공기를 토출한다. 일 예로, 건조토출부(44)는 받침판부(11)의 상측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건조토출부(44)에는 복수개의 토출구가 형성되어 조색판(120)에 도장된 도료를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한편, 건조부(40)는 받침판부(11)에 내장되고,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받침판부(11)를 가열시켜 조색판(120)을 건조시키는 열선이 될 수 있다. 그 외, 건조부(40)는 다양한 방식으로 조색판(120)을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색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는 지지바퀴부(33)의 잠금을 해제한 후, 작업장으로 받침부(10)를 이동시키고, 지지바퀴부(33)의 잠금을 통해 작업장에 받침부(10)를 고정시킨다.
상기한 상태에서 받침판부(11)의 상측에 샘플판(110)을 안착시키고, 받침고정부(12)를 통해 샘플판(110)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받침판부(11)의 상측에 조색판(120)을 안착시키고, 받침고정부(12)를 통해 조색판(120)을 고정시킨다.
조색판(120)을 고정한 후, 조색 작업을 통해 획득한 도료를 조색판(120)에 도장하는 작업을 실시한다. 그리고, 조색판(120)에 대한 도장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샘플판(110)과 조색판(120)의 도장 색상을 비교한다.
만일, 샘플판(110)과 조색판(120)의 도장 색상이 일치하면, 조색 작업을 완료하고, 제품에 대한 실제 도장 작업을 실시한다. 그러나, 샘플판(110)과 조색판(120)의 도장 색상이 일치하지 않으면, 일치할 때 까지 조색 작업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지지부(30)에 장착되는 조절부(20)는 길이가 가변되고 받침부(1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로 인해, 받침부(10)의 설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받침판부(11)의 외측에는 받침표시부(13)가 장착되므로, 작업자는 받침표시부(13)를 확인하여 현재 받침판부(11)의 설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받침판부(11)의 설치 각도가 변경되면, 받침판부(11)에 안착되는 샘플판(110)과 조색판(120)의 설치 각도가 변경된다. 이로 인해, 작업 환경에 따라 주변광 상태가 달라지더라도 샘플판(110)과 조색판(120)에 대한 색상 식별력이 보장되도록 설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조색판(120)에 도장된 도료가 신속하게 건조되도록, 조색판(120)이 받침판부(11)에 장착되면 건조부(40)를 가동시킨다. 건조부(40)가 가동되면, 건조가열부(42)를 통해 가열된 공기가 건조토출부(44)를 통해 조색판(120)에 토출되어 조색판(120)에 도장된 도료의 신속한 건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색 장치(1)는 받침부(10)에 샘플판(110)과 조색판(120)이 안착되므로, 작업자는 샘플판(110)과 조색판(120)의 색상을 비교하여 조색 작업의 완료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색 장치(1)는 조절부(20)에 의해 받침판부(11)의 설치 각도가 조절되고, 받침표시부(13)가 받침판부(12)에 장착되어 받침판부(11)의 설치 각도를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색 장치(1)는 건조부(40)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토출되어 조색판(120)이 신속하게 건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받침부 11 : 받침판부
12 : 받침고정부 20 : 조절부
21 : 조절조인트부 22 : 조절가변부
30 : 지지부 31 : 지지판부
32 : 지지막대부 33 : 지지바퀴부
34 : 지지선반부 40 : 건조부
41 : 건조공급부 42 : 건조가열부
43 : 건조유도부 44 : 건조토출부
110 : 샘플판 120 : 조색판

Claims (7)

  1. 샘플판과 조색판이 안착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각도를 변경하는 조절부;
    상기 조절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조색판을 건조시키는 건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샘플판과 상기 조색판이 안착되는 받침판부;
    상기 샘플판과 상기 조색판을 고정하는 받침고정부; 및
    상기 받침판부에 장착되어 측정된 각도를 표시하는 받침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부는
    공기를 공급하는 건조공급부;
    상기 건조공급부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건조가열부;
    상기 건조가열부와 연결되고, 공기를 안내하는 건조유도부; 및
    상기 건조유도부와 연결되고, 상기 받침부에 장착되어 상기 조색판에 공기를 토출하는 건조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판부는 상측이 평탄면을 형성하고, 상기 샘플판과 상기 조색판의 두께와 대응되는 홈 형상을 하여 상기 샘플판과 상기 조색판의 안착 위치를 유도하는 판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고정부는
    상기 샘플판과 상기 조색판의 가장자리를 커버하는 고정틀부; 및
    상기 고정틀부를 상기 받침판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토출부는 상기 받침판부의 상측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복수개의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받침부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조절조인트부; 및
    상기 조절조인트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조절가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조절부가 장착되는 지지판부;
    상기 지지판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막대부;
    상기 지지막대부에 장착되고, 지면과 접촉되어 회전 가능한 지지바퀴부; 및
    상기 지지막대부를 연결하고, 도구가 보관되는 지지선반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표시부는 상기 받침판부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받침판부의 각도를 측정하고,
    상기 조절조인트부는 상기 받침판부의 저면에 장착되고, 볼조인트 방식으로 상기 조절가변부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조절가변부는 유압실린더 또는 모터 방식으로 각각의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받침판부의 각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색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110906A 2017-08-31 2017-08-31 조색 장치 KR102016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906A KR102016937B1 (ko) 2017-08-31 2017-08-31 조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906A KR102016937B1 (ko) 2017-08-31 2017-08-31 조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176A KR20190024176A (ko) 2019-03-08
KR102016937B1 true KR102016937B1 (ko) 2019-09-02

Family

ID=65801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906A KR102016937B1 (ko) 2017-08-31 2017-08-31 조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9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9334A (ko) 2020-04-20 2021-10-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료 공급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665Y1 (ko) 2006-07-28 2006-10-26 백운천 전기,전자 제품용 조립형 건조장치
KR100812924B1 (ko) * 2007-04-18 2008-03-11 이정수 선박 도색용 열풍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2499A (ja) * 1982-08-18 1984-02-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乾燥機の制御装置
KR101590160B1 (ko) * 2014-02-21 2016-03-07 이인희 비색감정테이블
KR101578862B1 (ko) * 2014-05-21 2015-12-28 금호환경기계(주) 도장부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665Y1 (ko) 2006-07-28 2006-10-26 백운천 전기,전자 제품용 조립형 건조장치
KR100812924B1 (ko) * 2007-04-18 2008-03-11 이정수 선박 도색용 열풍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9334A (ko) 2020-04-20 2021-10-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료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176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9670B1 (en) Vertical pole spraying system
CN105899302B (zh) 模块化喷涂辊系统
US10406549B2 (en) System for treating a surface
CN108273674B (zh) 自动化无遮蔽油漆施加器
KR102016937B1 (ko) 조색 장치
US20160121460A1 (en) Adjustable Workpiece Repair And Buildup Stand
KR101046956B1 (ko) 바닥면 마감장치
US20060169203A1 (en) Coating machine
JP7001399B2 (ja) 輪郭付けられた面のための駆動式印刷ヘッドアセンブリ
KR20120066314A (ko) 상,하향 도장장치
KR100751702B1 (ko) 시저스 타입의 승ㆍ하강 리프트 기능을 가진 이동식 선체외판 자동 도장 시스템
CN107035115B (zh) 一种可精确调节位置的建筑室内装饰加工设备
KR20090113504A (ko) 선체블록 하부 자동 도장장치
KR102147789B1 (ko) 돌출차선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돌출차선 시공방법
KR20180106671A (ko) 자동차 부분도장 건조를 위한 멀티포인트 열처리 장치
CN209465241U (zh) 一种用于汽车表漆喷补装置
US5555649A (en) Apparatus for drying a painted surface
US2048777A (en) Paint drier
WO2014023987A1 (en) Supporting structure for straightening and repairing vehicle body elements
CN108906400A (zh) 一种喷漆辅助支架
WO2015041598A1 (en) Device having light exposure elements for surface treatment of object
CN220780953U (zh) 一种可自动转动的喷涂支架
KR20080026253A (ko) 이동식 적외선 건조기
CN108970878A (zh) 一种便携式固定气动流量调节阀与喷枪的安装架
CN216757073U (zh) 一种干燥效果好的水性漆用烘干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