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9334A - 도료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도료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9334A
KR20210129334A KR1020200047134A KR20200047134A KR20210129334A KR 20210129334 A KR20210129334 A KR 20210129334A KR 1020200047134 A KR1020200047134 A KR 1020200047134A KR 20200047134 A KR20200047134 A KR 20200047134A KR 20210129334 A KR20210129334 A KR 20210129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unit
product
colo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7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9334A/ko
Publication of KR20210129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93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023Filling multiple liquids in a container
    • B67C3/026Filling the liquids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6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 B65B57/145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fo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discharging completed packages from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25Means for filling simultaneously, e.g. in a rotary filling apparatus or multiple rows of contai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케이스 형태로, 전면에 색상별 도료제품이 분류되어 수납될 수 있는 복수의 제품보관부가 형성되는 본체부, 복수의 색상안료 및 도료원료가 구비되고, 기 설정된 배합비율에 따라 도료용기에 복수의 색상안료 및 도료원료를 선택적으로 주입하여 배합하고 밀봉하여 색상별 도료제품을 생산하는 도료제품 생산부 및 생산된 도료제품을 색상에 따라 복수의 제품보관부 중 대응하는 제품보관부로 이송하여 수납하는 이송부재를 포함하는 도료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료 공급장치{AN APPARATUS FOR SUPPLYING PAINT}
본 발명은 도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도장 작업에 요구되는 색상을 갖는 도료제품을 즉석에서 제공할 수 있는 도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료는 상온에서 페인트나 에나멜과 같이 고체 또는 액체 물질을 표면에 도포하여 탄력성 있는 건조된 피막을 형성시킴으로써, 물체의 표면을 보호하고 미화하거나 기능성을 발휘하는 유동성 물질이다.
이와 같은 도료를 이용한 도장 작업에 있어서는 사전에 대상물에 도장하고자하는 도료의 색상을 맞추는 조색 작업이 요구된다.
조색(Color Matching)이란 요구되는 용도에서 필요한 도료의 색상을 맞추어 주는 것을 지칭하는 것인데, 일반적으로 도료로서 활용될 수 있는 안정하고 신뢰성있는 착색안료는 한정되어 있음에 반해 사용자가 요구하는 색상은 매우 다양하므로 이러한 요구를 적시에 충족시키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종래의 조색 작업은 그 대부분이 목적하는 도료의 색상이 결정되면 필요한 착색안료를 페인트에 적절히 혼합하거나, 색상에 따라 신너 등의 용제를 혼합하고 육안으로 확인하여 색상의 농도를 조절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조색 작업은 작업자의 경험과 관능검사에 의존하여 수행됨으로써 목적하는 색상을 정확히 맞추기가 상당히 어려려 도장 불량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고, 이 경우 재도장 작업을 수행해야 함으로써 색상안료 및 도료원료의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최근에는 문제점의 해소를 위해 제작공정에서 적절히 활용될 수 있는 조색기기가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현장작업에서는 전혀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없었다.
등록특허 제10-2016937호(등록일: 2019.08.27.) "조색 장치"
본 발명에서는 도료 공급장치, 구체적으로는 작업자의 도장 작업에 요구되는 색상을 갖는 도료제품을 항시 동일한 색상으로 제조할 수 있고, 즉석에서 공급할 수 있는 도료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스 형태로, 전면에 색상별 도료제품이 분류되어 수납될 수 있는 복수의 제품보관부가 형성되는 본체부, 복수의 색상안료 및 도료원료가 구비되고, 기 설정된 배합비율에 따라 도료용기에 복수의 색상안료 및 도료원료를 선택적으로 주입하여 배합하고 밀봉하여 색상별 도료제품을 생산하는 도료제품 생산부 및 생산된 도료제품을 색상에 따라 복수의 제품보관부 중 대응하는 제품보관부로 이송하여 수납하는 이송부재를 포함하는 도료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도료제품 생산부와 이송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작업자로부터 입력된 작업자 정보에 따라 작업자의 도장 작업에 적합한 색상의 도료제품을 판단하여 복수의 제품보관부 중 대응하는 색상의 도료제품이 수납된 제품보관부를 통해 도료제품을 제공하는 도료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는 작업자의 도장 작업에 적합한 색상의 도료제품이 없는 경우, 도료제품 생산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작업자의 도장 작업에 적합한 색상의 도료제품을 제조하는 도료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도료제품 생산부는 복수의 도료용기가 수납되고 낱개씩 공급하는 용기 공급부, 복수의 색상안료 및 도료원료가 구비되고, 기 설정된 배합비율에 따라 도료용기에 복수의 색상안료 및 도료원료를 선택적으로 주입하는 주입부, 도료용기에 주입된 색상안료 및 도료원료를 교반하여 도료를 제조하는 교반부 및 복수의 용기뚜껑이 수납되고 용기뚜껑을 이용하여 도료가 수용된 도료용기를 밀봉하는 밀봉부를 포함하는 도료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이송부재는 도료제품을 파지하거나 파지 해제하도록 구비되는 파지부, 파지부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1 이송부, 파지부를 전후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 및 파지부를 좌우 방향으로 이송하고, 선택적으로 파지부를 도료제품 생산부 또는 제품보관부을 향하도록 회전시키는 제3 이송부를 포함하여, 파지부를 통해 도료제품 생산부에 의해 생산된 도료제품을 파지하고, 제1 이송부, 제2 이송부 및 제3 이송부를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도료제품을 파지한 파지부를 복수의 제품보관부 중 대응하는 제품보관부로 이송함으로써 도료제품을 대응하는 제품보관부에 수납하는 도료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료 공급장치는, 작업자의 도장 작업에 요구되는 색상을 갖는 도료제품을 즉석에서 제공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조색비에 따라 색상안료를 혼합하여 작업자의 도장 작업에 필요한 색상의 도료제품을 제조할 수 있고, 항시 동일한 색상의 도료를 제공할 수 있어, 도장 작업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점도 및 경화시간을 조절하여 도료제품을 제조할 수 있어 작업자의 도장 작업에 적합한 도료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공급장치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공급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제품 생산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재를 통해 도료제품을 이송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공급장치의 사용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공급장치(10)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공급장치(1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제품 생산부(2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재(3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2를 기준으로, 본체부(100)에서 제품보관부(110)가 형성된 쪽을 전방, 그 반대편을 후방, 주입구가 구비된 쪽을 우측, 밀봉부(240)가 구비된 쪽을 좌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공급장치(10)는, 본체부(100), 도료제품 생산부(200), 이송부재(30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케이스 형태로 형성되어 본 실시예에 따른 도료 공급장치(10)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측에 도료제품 생산부(200), 이송부재(300) 및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의 전면에는 정보 제공을 위한 디스플레이부(120)가 구비될 수 있고, 색상별 도료제품(p)이 분류되어 본체부(100)의 안쪽으로부터 수납될 수 있는 복수의 제품보관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제품보관부(110)에는 작업자가 도료제품(p)의 색깔을 확인하고 외부에서 꺼낼 수 있도록 투명 재질의 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의 내측에는 도료제품 생산부(200)가 구비되는 제1 구역(s1)과, 이송부재(300)가 구비되는 제2 구역(s2)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구역(s2)은 제1 구역(s1)과 제품보관부(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료제품 생산부(200)는 본체부(10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색상안료 및 도료원료를 구비하여 기 설정된 배합비율에 따라 도료용기(c)에 복수의 색상안료 및 도료원료를 선택적으로 주입하고 배합 및 밀봉하여 색상별 도료제품(p)을 생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료제품 생산부(200)는, 복수의 도료용기(c)가 수납되고 낱개씩 공급하는 용기 공급부(210)와, 복수의 색상안료 및 도료원료가 구비되고, 기 설정된 배합비율에 따라 도료용기(c)에 복수의 색상안료 및 도료원료를 선택적으로 주입하는 주입부(220)와, 도료용기(c)에 주입된 색상안료 및 도료원료를 교반하여 도료를 제조하는 교반부(230)와, 복수의 용기뚜껑이 수납되고 용기뚜껑을 이용하여 도료가 수용된 도료용기(c)를 밀봉하는 밀봉부(240)와, 용기 공급부(210)로부터 반입되는 도료용기(c)를 순차적으로 주입부(220), 교반부(230) 및 밀봉부(240)로 이송하고 반출하는 회전 이송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용기 공급부(210)는 본체부(100)의 제1 구역(s1)에서 전방쪽에 배치되어, 높이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도료용기(c)를 수납할 수 있고, 적층된 도료용기(c)를 낱개씩 회전 이송부(25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주입부(220)는 본체부(100)의 제1 구역(s1)에서 일측면에 배치되고, 색상별 색상안료와 종류별 도료원료가 각각 카트리지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카트리지에 개별적으로 구비된 주입구를 통해 복수의 색상안료 및 도료원료 중 필요한 색상안료와 도료원료를 선택적으로 도료용기(c)에 주입할 수 있다.
여기서, 도료원료는 도료의 주재료인 주제와, 주제를 화학반응에 의해 고화시키는 부재료인 경화제가 각각 카트리지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색상안료는 색상별로 각각 카트리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주입부(220)는 도료원료 및 색상안료를 희석시키기 위한 물 또는 신나 등의 용제를 선택적으로 도료용기(c)에 주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주입부(220)는 기 설정된 배합비율에 맞추어 주제와 경화제로 이루어지는 도료원료를 선택적으로 도료용기(c)에 주입할 수 있고, 기 설정된 조색비에 따라 색상안료를 선택적으로 도료용기(c)에 주입할 수 있다.
또한, 교반부(230)는 본체부(100)의 제1 구역(s1)에서 후방쪽에 배치되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회전 동작하는 교반날개를 통해 도료용기(c)에 주입된 색상안료 및 도료원료를 교반하고 분산하여 도료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밀봉부(240)는 본체부(100)의 제1 구역(s1)에서 타측면에 배치되어, 복수의 용기뚜껑을 수납할 수 있고, 용기뚜껑을 1개씩 픽업하여 도료가 수용된 도료용기(c)를 밀봉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일 예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제1 구역(s1)에서 전방쪽에 배치된 용기 공급부(210)를 기준으로, 우측면에 주입부(220), 후방쪽에 교반부(230) 및 좌측면에 밀봉부(240)가 배치된 형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제1 구역(s1)의 중앙부에 회전 이송부(250)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 이송부(250)는 제1 구역(s1)의 중앙 바닥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직지지대(251)와, 수직지지대(251)의 상부에 수평하게 구비되고 끝단에 도료용기(c)가 안착되는 용기 안착부(253)가 형성되는 수평지지대(252)와, 수직지지대(251)를 회전시켜 수평지지대(252)의 용기 안착부(253)를 용기 공급부(210), 주입부(220), 교반부(230) 및 밀봉부(240)로 이송하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미도시)는 수직지지대(251)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전 이송부(250)는 구동부(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수직지지대(251) 및 수평지지대(252)가 일정 각도씩 회전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수평지지대(252)에 구비된 용기 안착부(253)가 용기 공급부(210), 주입부(220), 교반부(230) 및 밀봉부(240)를 경유할 수 있다,
즉, 용기 안착부(253)가 용기 공급부(2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용기 공급부(210)로부터 배출되는 도료용기(c)가 용기 안착부(253)에 안착될 수 있고, 수직지지대(251) 및 수평지지대(252)가 회전하여 용기 안착부(253)가 주입부(220)의 하측에 배치되면 용기 안착부(253)에 안착된 도료용기(c)에 색상안료 및 도료원료가 주입될 수 있다.
더불어, 수직지지대(251) 및 수평지지대(252)가 회전하여 용기 안착부(253)가 교반부(230)의 하측에 배치되면 교반부(230)에 의해 도료용기(c)에 주입된 색상안료 및 도료원료가 교반될 수 있고, 다시 수직지지대(251) 및 수평지지대(252)가 회전하여 용기 안착부(253)가 밀봉부(240)의 하측에 배치되면 밀봉부(240)에 의해 도료용기(c)가 밀봉될 수 있다.
또한, 다시 수직지지대(251) 및 수평지지대(252)가 회전하여 용기 안착부(253)가 용기 공급부(210)의 하측에 배치되면, 후술되는 이송부재(300)에 의해 밀봉된 도료용기(c), 즉 도료제품(p)이 제품보관부(110)로 이송되어 수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이송부(250)에 구비된 수평지지대(252)가 십자, 즉 "+"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끝단에 용기 안착부(253)가 형성되어, 총 4개의 용기 안착부(253)가 구비될 수 있으며, 4개의 용기 안착부(253)는 각각 용기 공급부(210), 주입부(220), 교반부(230) 및 밀봉부(240)에 대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용기 공급, 색상안료 및 도료원료 주입, 교반 및 밀봉 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도료제품(p)의 생산 공정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회전 이송부(250)에 구비된 용기 안착부(253)에는 교반부(230)에 의한 도료 교반과정에서 도료용기(c)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조절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일 예로써 온도조절부(미도시)는 열선 코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이송부재(300)는 본체부(100) 내측의 제2 구역(s2)에 구비되어, 도료제품 생산부(200)에 의해 생산된 도료제품(p)을 색상에 따라 복수의 제품보관부(110) 중 대응하는 제품보관부(110)로 이송하여 수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송부재(300)는 도료제품(p)을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310)와, 파지부(310)를 상하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부(320)와, 파지부(310)를 전후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330) 및 파지부(310)를 좌우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3 이송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파지부(310)는 집게 형태로 이루어져 회전 이송부(250)의 용기 안착부(253)에 안착된 도료제품(p)을 파지하거나 파지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이송부(320)는 제2 구역(s2)의 일측 바닥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승강축(321)과, 승강축(32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판(322)과, 지지판(322)의 상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100)의 전면을 기준으로 승강축(321)이 제2 구역(s2) 내에서 좌측에 구비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제2 이송부(330)는 제1 이송부(320)의 지지판(322) 상에 전후 폭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 레일부(331)와, 지지판(322)의 좌우 길이와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제1 레일부(331)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보조 지지판(332)과, 보조 지지판(332)의 전후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이송부(340)는 보조 지지판(332) 상에 좌우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 레일부(341)와, 상부에 파지부(310)가 결합되고, 제2 레일부(341)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블록(342)과, 이송블록(342)의 좌우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3 구동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파지부(310)는 이송블록(34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이송블록(342)에는 파지부(310)를 회전시키는 제4 구동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파지부(310)는 회전 이송부(250)의 용기 안착부(253)에 안착된 도료제품(p)을 파지한 다음, 이송블록(342)에서 180°회전하여 파지한 도료제품(p)을 제품보관부(110)에 수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재(300)를 통해 도료제품(p)을 이송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5의 (a)를 참조하면, 이송부재(300)를 통해 도료제품 생산부(200)에서 생산된 도료제품(p)을 제품보관부(110)로 이송하는 과정에서는, 먼저 제1 이송부(320)를 구동시켜 지지판(322)을 승강시킴으로써 파지부(310)를 용기 안착부(253)에 안착된 도료제품(p)과 대응하는 높이로 위치시킬 수 있다.
더불어, 제2 이송부(330)를 구동시켜 지지판(322)에 구비된 제1 레일부(331)를 따라 보조 지지판(332)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제3 이송부(340)를 구동시켜 보조 지지판(332)에 구비된 제2 레일부(341)를 따라 이송블록(342)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송블록(342)에 구비된 파지부(310)를 용기 안착부(253)에 안착된 도료제품(p) 쪽으로 이송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도료제품(p)을 파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를 참조하면, 파지부(310)를 통해 도료제품(p)을 파지한 다음에는, 이송블록(342)에 구비된 파지부(310)를 제품보관부(110) 쪽으로 향하도록 180°회전시킬 수 있다.
더불어, 제1 내지 제3 이송부(320,330,340)를 구동시켜, 파지부(310)에 의해 파지된 도료제품(p)을 색상에 따라 복수의 제품보관부(110) 중 대응하는 제품보관부(110)로 이송하여 수납할 수 있다.
이때에는, 도료제품(p)을 수납하고자 하는 제품보관부(110)로 파지부(31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제1 이송부(320)를 구동시켜 지지판(322)을 승강시킴으로써 파지부(310)를 해당 제품보관부(110)의 위치와 대응하는 높이로 위치시킬 수 있고, 동시에 제2 이송부(330) 및 제3 이송부(340)를 구동시켜 파지부(310)가 구비된 이송블록(342)을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료제품(p)을 파지한 파지부(310)를 해당 제품보관부(110)로 삽입할 수 있으며, 파지부(310)의 파지 동작을 해제하여 해당 제품보관부(110)에 도료제품(p)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복수의 제품보관부(110)에 도료제품(p)을 색상별로 분류하여 수납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미도시)는 본체부(100)에 구비되어 도료제품 생산부(200) 및 이송부재(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더불어 본체부(100)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20)에는 도료 공급장치(10)를 동작시키기 위한 각종 메뉴가 제공될 수 있고, 제조되는 도료제품(p)의 배합비율, 조색비, 색상, 점도 및 경화시간 등에 대한 관련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각종 도료에 대한 배합비율, 점도, 경화 시간 및 적용 대상 등의 기본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20)는 조작 가능한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고, 터치스크린 기능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 별도의 조작패드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도료 공급장치(10)에는 본체부(100)의 전면에 인식부(130)가 구비될 수 있고, 인식부(130)는 작업자가 소지한 RFID 또는 IC칩 등의 인식태그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인식부(130)에 작업자가 소지한 RFID 또는 IC칩 등의 인식태그가 인식되면, 제어부(미도시)는 인식된 작업자 정보에 기초하여 자체적으로 구비된 메모리부(미도시)나 외부의 관리서버(미도시)로부터 작업자의 일정에 따른 도장 작업 정보를 불러올 수 있고, 도장 작업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에 요구되는 적절한 색상의 도료제품(p)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미도시)에는 메모리부(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고, 메모리부(미도시)에 도료의 종류별로 배합비율, 온도조건 및 교반조건 등의 레시피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더불어, 메모리부(미도시)에는 제조 가능한 도료 정보가 저장되고 업데이트될 수 있는데, 일 예로써, 도료사로부터 제공되는 안료 및 원료 제품 정보, 제조된 도료의 물성에 대한 정보, 제조된 도료 제품의 작업성 평가 정보 및 도장 대상에 따른 도료 적용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정보는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제공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작업자가 도장 작업에 필요한 도료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에는 제어부(미도시)와 연동하는 통신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제어부(미도시)는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의 관리서버(미도시)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관리서버(미도시)는 조선소의 관리서버(미도시)로서 조선소에 근무하는 작업자들의 인적정보와, 작업자들 각각의 일정에 따른 도장 작업 정보 등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도장 작업 정보에는 작업자의 일정에 따른 작업 시간, 도장 대상, 작업 위치 및 작업에 요구되는 도료 색상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의 메모리부(미도시)에는 관리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작업자 정보가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사원증 등에 구비된 인식태그를 본체부(100) 외측의 인식부(130)에 인식시키면, 제어부(미도시)는 인식정보와 대응되는 작업자 정보를 추출하고, 관리서버(미도시)로부터 해당 작업자의 일정에 따른 도장 작업 정보를 불러올 수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도장 작업 정보에 포함된 작업 시간, 도장 대상, 작업 위치 및 작업에 요구되는 도료 색상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도료제품 생산부(200) 및 이송부재(30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적합한 도료제품(p)을 제조하고, 제조된 도료제품(p)을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공급장치(10)의 사용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작업자의 인식태그가 인식부(130)에 인식되면 작업자 정보를 통해 작업자의 일정에 따른 도장 작업 정보를 불러올 수 있다(S110).
구체적으로, 작업자가 자신이 소지한 사원증에 구비된 인식태그를 본체부(100) 전면에 구비된 인식부(130)에 인식시키면,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인식된 작업자 정보에 기초하여 메모리부(미도시)나 외부의 관리서버(미도시)로부터 작업자의 일정에 따른 도장 작업 정보를 불러올 수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해당 작업자의 일정에 따른 도장 작업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에게 필요한 색상의 도료제품(p)을 판단할 수 있다(S120).
즉,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작업자의 도장 작업 정보에 포함된 해당 작업자의 일정에 따른 작업 시간, 도장 대상, 작업 위치 및 작업에 요구되는 도료 색상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도장 작업에 적합한 도료제품(p)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복수의 제품보관부(110)에 색상별로 수납된 도료제품(p) 중에 적합한 도료제품(p)이 구비되어 있는지 판단하고(S130), 해당 도료제품(p)이 있는 경우 복수의 제품보관부(110) 중 해당 도료제품(p)이 수납된 제품보관부(110)를 개방하여 작업자에게 해당 도료제품(p)을 제공할 수 있다(S140).
한편, 해당 도료제품(p)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도료제품 생산부(200)를 통해 도료제품(p)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에는, 작업자의 일정에 따른 도장 작업 정보를 이용하여 메모리부(미도시)에서 적합한 도료의 레시피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S150).
즉,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작업자의 도장 작업 정보에 포함된 해당 작업자의 일정에 따른 작업 시간, 도장 대상, 작업 위치 및 작업에 요구되는 도료 색상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도장 작업에 적합한 도료의 레시피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에는 제조되는 도료의 레시피 데이터에 따른 배합비율, 온도조건 및 교반조건 등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미도시)는 도료의 레시피 데이터에 따라, 도료제품 생산부(200)를 제어하여 작업자의 도장 작업에 필요한 색상을 갖는 도료제품(p)을 제조할 수 있다(S160).
이때에는, 회전 이송부(250)에 의해 용기 공급부(210)에서 공급되는 도료용기(c)가 주입부(220)로 이송되면, 주입부(220)에서는 레시피 데이터의 배합비율 및 조색비율에 따라 도료용기(c)에 복수의 색상안료 및 도료원료를 선택적으로 주입할 수 있다.
이어서, 회전 이송부(250)에 의해 해당 도료용기(c)가 교반부(230)로 이송되면 교반부(230)에서 레시피 데이터의 교반조건 및 온도조건에 따라 도료용기(c)에 주입된 색상안료 및 도료원료를 교반 및 분산시켜 도료를 제조할 수 있다.
다음, 제조된 도료가 수용된 도료용기(c)가 밀봉부(240)로 이송되면 밀봉부(240)에서 용기뚜껑을 씌워 도료용기(c)를 밀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료제품 생산부(200)에 의해 생산된 도료제품(p)은 이송부재(300)에 의해 색상에 따라 복수의 제품보관부(110) 중 대응하는 제품보관부(110)로 이송되어 수납될 수 있다(S170).
이때, 이송부재(300)는 파지부(310)를 통해 도료제품 생산부(200)에 의해 생산된 도료제품(p)을 파지하고, 제1 내지 제3 이송부(320,330,340)를 통해 도료제품(p)을 파지한 파지부(310)를 이동시킴으로써, 색상별로 분류된 복수의 제품보관부(110) 중 대응하는 제품보관부(110)로 도료제품(p)을 이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 제품보관부(110)에 도료제품(p)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도료제품(p)이 수납된 제품보관부(110)를 개방하여 작업자에게 해당 도료제품(p)을 제공할 수 있다(S18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료 공급장치(10)는, 작업자의 도장 작업에 요구되는 색상을 갖는 도료제품(p)을 즉석에서 제공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조색비에 따라 색상안료를 혼합하여 작업자의 도장 작업에 필요한 색상의 도료제품(p)을 제조할 수 있고, 항시 동일한 색상의 도료를 제공할 수 있어, 도장 작업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점도 및 경화시간을 조절하여 도료제품(p)을 제조할 수 있어 작업자의 도장 작업에 적합한 도료제품(p)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도료 공급장치 100 : 본체부
110 : 제품보관부 120 : 디스플레이부
130 : 인식부 200 : 도료제품 생산부
210 : 용기 공급부 220 : 주입부
230 : 교반부 240 : 밀봉부
250 : 회전 이송부 300 : 이송부재
310 : 파지부 320 : 제1 이송부
330 : 제2 이송부 340 : 제3 이송부

Claims (5)

  1. 케이스 형태로, 전면에 색상별 도료제품이 분류되어 수납될 수 있는 복수의 제품보관부가 형성되는 본체부;
    복수의 색상안료 및 도료원료가 구비되고, 기 설정된 배합비율에 따라 도료용기에 상기 복수의 색상안료 및 도료원료를 선택적으로 주입하여 배합하고 밀봉하여 색상별 도료제품을 생산하는 도료제품 생산부; 및
    상기 생산된 도료제품을 색상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품보관부 중 대응하는 제품보관부로 이송하여 수납하는 이송부재를 포함하는 도료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제품 생산부와 상기 이송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작업자로부터 입력된 작업자 정보에 따라 상기 작업자의 도장 작업에 적합한 색상의 도료제품을 판단하여 상기 복수의 제품보관부 중 대응하는 색상의 도료제품이 수납된 제품보관부를 통해 상기 도료제품을 제공하는 도료 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자의 도장 작업에 적합한 색상의 도료제품이 없는 경우,
    상기 도료제품 생산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작업자의 도장 작업에 적합한 색상의 도료제품을 제조하는 도료 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제품 생산부는,
    복수의 도료용기가 수납되고 낱개씩 공급하는 용기 공급부;
    복수의 색상안료 및 도료원료가 구비되고, 기 설정된 배합비율에 따라 도료용기에 복수의 색상안료 및 도료원료를 선택적으로 주입하는 주입부;
    상기 도료용기에 주입된 색상안료 및 도료원료를 교반하여 도료를 제조하는 교반부; 및
    복수의 용기뚜껑이 수납되고 상기 용기뚜껑을 이용하여 상기 도료가 수용된 도료용기를 밀봉하는 밀봉부를 포함하는 도료 공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도료제품을 파지하거나 파지 해제하도록 구비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1 이송부;
    상기 파지부를 전후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 및
    상기 파지부를 좌우 방향으로 이송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파지부를 상기 도료제품 생산부 또는 상기 제품보관부을 향하도록 회전시키는 제3 이송부를 포함하여,
    상기 파지부를 통해 상기 도료제품 생산부에 의해 생산된 도료제품을 파지하고, 상기 제1 이송부, 상기 제2 이송부 및 상기 제3 이송부를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상기 도료제품을 파지한 파지부를 상기 복수의 제품보관부 중 대응하는 제품보관부로 이송함으로써 상기 도료제품을 상기 대응하는 제품보관부에 수납하는 도료 공급장치.
KR1020200047134A 2020-04-20 2020-04-20 도료 공급장치 KR202101293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134A KR20210129334A (ko) 2020-04-20 2020-04-20 도료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134A KR20210129334A (ko) 2020-04-20 2020-04-20 도료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334A true KR20210129334A (ko) 2021-10-28

Family

ID=78232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134A KR20210129334A (ko) 2020-04-20 2020-04-20 도료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93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272B1 (ko) * 2022-06-10 2023-01-31 박민종 자동화된 도료 교반 장치를 구비한 도장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937B1 (ko) 2017-08-31 2019-09-02 자동차부품연구원 조색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937B1 (ko) 2017-08-31 2019-09-02 자동차부품연구원 조색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272B1 (ko) * 2022-06-10 2023-01-31 박민종 자동화된 도료 교반 장치를 구비한 도장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9546B2 (en) Color integrated and mobile paint systems for producing paint from a plurality of prepaint components
US8568016B2 (en) Mobile paint system utilizing slider attribute prompts and reflectance memory storage
KR20210129334A (ko) 도료 공급장치
KR101780690B1 (ko) 폐쇄 용기 내에 담긴 유체 컬러링 제품의 자동 준비 및 분산을 위한 기계
US11344856B2 (en) Modular produc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formulations
EP2393884A1 (en) In-store tintable non-infrared-absorptive paint and stain system
EP3438215A1 (en) Tinting water-borne and solvent-borne paints and stains with powdered colorants
US20090099695A1 (en) Color integrated and mobile paint systems for producing paint from a plurality of prepaint components
US20210179415A1 (en) Tinting water-borne and solvent-borne paints and stains with water-only colorants
WO2020057464A1 (zh) 汽车修补漆重量体积混合调色方法、取料机构及自动调色机
KR102460569B1 (ko) 용기 이동 기구
KR20210126281A (ko) 도료 배합장치
KR102049699B1 (ko) 차량용 페인트 조색기
CN211892492U (zh) 油墨混色装置及喷墨打印设备
KR101783744B1 (ko) 실크스크린 인쇄 장치
KR20210117455A (ko) 도료 배합장치
US20220010149A1 (en) Paint tinting adjuvant with siccative for powder colorant system
US20220010148A1 (en) Paint tinting adjuvant with siccative for liquid colorant system
CN215139118U (zh) 一种用于化工染料混合生产设备
CN212758180U (zh) 一种快速搅拌涂料的设备
CN210729274U (zh) 一种水性多彩涂料用具有调节流量结构的混合设备
JPH0362902A (ja) 電子部品の表面処理装置
CN211892476U (zh) 打印油墨混色装置及喷墨打印设备
CN108339719A (zh) 涂色装置
RU2776169C2 (ru) Модульная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а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состав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