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885B1 - 풀림방지너트 - Google Patents

풀림방지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885B1
KR102016885B1 KR1020190045020A KR20190045020A KR102016885B1 KR 102016885 B1 KR102016885 B1 KR 102016885B1 KR 1020190045020 A KR1020190045020 A KR 1020190045020A KR 20190045020 A KR20190045020 A KR 20190045020A KR 102016885 B1 KR102016885 B1 KR 102016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bolt
nut
loosening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상열
Original Assignee
문상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상열 filed Critical 문상열
Priority to KR1020190045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8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885B1/ko
Priority to EP20790816.1A priority patent/EP3957871A4/en
Priority to CN202080035129.XA priority patent/CN113811694A/zh
Priority to PCT/KR2020/002506 priority patent/WO202021382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34Locking by deformable inserts or lik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 F16B39/1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made of thin sheet material or formed as spring-wash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12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with thread-engaging surfaces formed by inserted coil-springs, discs, or the like; Independent pieces of wound wire used as nuts; Threaded inserts for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주면의 하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산부(12)가 있고 상기 내주면의 상부에는 코일스프링(14)이 안착되는 확경부(17)가 형성된 풀림방지너트(11)에 있어서, 상기 내주면의 상부에는 나사산부(12)의 내경보다 큰 확경부(17)가 형성되고, 상기 확경부(17)의 내주면에 다수의 홈부(18)가 형성되며, 상기 확경부(17)에 안착된 코일스프링(4)의 내경은 상기 나사산부(12)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홈부(18)에 삽입되는 코일스프링(14)의 상부 단부에는 걸림턱(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너트이다.

Description

풀림방지너트{Anti-releasing nut}
본 발명은 풀림방지너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볼트와 결합되어 임의적으로 그 결합이 풀리는 것이 방지되는 풀림방지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트와 너트는 자동차의 부속품 조립, 전자부품 조립, 가구의 조립 및 건설현장에서의 구조물 조립 등 다양한 분야에서 2개의 물체를 체결에 의해 결합시켜 준다. 그런데 이러한 볼트와 너트의 결합은 차량의 주행 등으로 인한 진동이나 외부충격 등에 의해 풀리게 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최근 들어서 자동차나 일반산업기계 등에 전자장치 장착이 확대되면서 고전류, 고전압이 필요하게 되었는데, 만약 전원연결부의 볼트와 너트의 결합이 느슨하게 되면 스파크 발생에 의한 화재나 전자장치 꺼짐 등으로 인해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과 같은 풀림방지너트가 제안되었는데, 종래 풀림방지너트는 내주면의 하부에 나사산(2)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확경부(7)가 형성되어 상기 확경부(7)의 내측에 코일스프링(4) 삽입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코일스프링(4)의 상측 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부(5)가 형성된다.
한편, 볼트(6)의 나사산(2)은 오른나사이고 코일스프링(4)은 주지된 바와 같이 볼트(6)의 나사산(2)에 삽입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풀림방지너트에 볼트(6)가 체결 시에는 볼트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고정된 너트(1) 내부의 코일스프링(4)은 상부 끝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코일스프링(4)의 나선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볼트(6)가 회전함으로써 코일스프링(4)의 내경은 확장하게 된다. 이 경우 코일스프링(4)의 내주면 측면부와 볼트(6) 나사산(2)의 측면부의 접촉부분에 대한 마찰력은 감소하여 볼트와의 너트의 체결이 용이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풀림방지너트에 체결된 볼트(6)를 분리시키려고 할 경우에는 볼트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할 때 너트(1)의 코일스프링(4)의 나선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려 하므로 코일스프링(4)의 내경은 축소하게 된다. 이 경우 코일스프링(4)의 내주면 측면부와 볼트(6) 나사산(2)의 측면부의 접촉부분에 대한 마찰력이 증가됨으로써 너트(1)로부터 볼트(6)가 풀리는 것이 제한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 풀림방지너트는 도 1과 같이 코일스프링(4)의 단부에 절곡부(5)가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볼트(6)를 풀기 위해 큰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절곡부(5)가 절단되면서 볼트(6)가 풀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0164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풀림방지너트에 볼트를 체결하거나 볼트에 풀림방지너트를 체결할 때에는 그 체결을 용이하게 하되, 풀림방지너트에 체결된 볼트나 볼트에 체결된 풀림방지너트를 풀려고 하는 회전력이 작용될 때에는 코일스프링 걸림턱의 양측 경사면이 너트의 홈부와 볼트 나사산의 측면 사이에 억지끼움되어 풀림방지너트의 풀림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주면의 하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산부(12)가 있고 상기 내주면의 상부에는 코일스프링(14)이 안착되는 확경부(17)가 형성된 풀림방지너트에 있어서,
상기 내주면의 상부에는 나사산부(12)의 내경보다 큰 확경부(17)가 형성되고, 상기 확경부(17)에 안착된 코일스프링(14)의 내경은 상기 나사산부(12)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되,
상기 확경부(17)의 내주면에서는 다수의 홈부(18)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18)에 삽입되는 코일스프링(14)의 상부 단부는 외측으로 절곡된 걸림턱(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너트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15)의 단면형상은 접시머리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홈부(18)의 단면형상은 V자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15)의 평면형상은 양면이 넓어지는 접시머리모양이고, 정면형상은 양면이 점차 좁아지는 쐐기모양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확경부(17) 상부는 상기 코일스프링(14)이 상측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단턱부(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너트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풀림방지너트에 볼트(16)를 체결하거나 볼트(16)에 풀림방지너트를 체결할 때에는 그 체결을 용이하게 하되, 풀림방지너트에 체결된 볼트(16)나 볼트(16)에 체결된 풀림방지너트를 풀려고 하는 외력이 작용될 때에는 코일스프링 걸림턱(15)이 볼트(16)의 나사산 측면과 홈부(18)의 경사면 사이에 억지끼움 됨으로써 코일스프링이 볼트(16)의 나사산 측면과의 마찰력이 극대화되어 풀림방지너트의 풀림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풀림방지너트의 일례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너트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풀림방지너트의 A-A 절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평면도 및 정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너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너트는 내주면의 하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산부(12)가 있고 상기 내주면의 상부에는 코일스프링(14)이 안착되는 확경부(17)가 형성된 풀림방지너트에 있어서, 상기 내주면의 상부에는 나사산부(12)의 내경보다 큰 확경부(17)가 형성되고, 상기 확경부(17)에 안착된 코일스프링(14)의 내경은 상기 나사산부(12)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되, 상기 확경부(17)의 내주면에서는 다수의 홈부(18)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18)에 삽입되는 코일스프링(14)의 상부 단부는 외측으로 절곡된 걸림턱(15)이 형성된 풀림방지너트이다.
한편, 볼트(16)는 오른나사이고 코일스프링(14)의 코일방향은 볼트(16)의 나선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풀림방지너트(11)에 볼트(16)가 하부에서 상부로 체결 시에는 볼트(1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고정된 너트(11) 내부의 코일스프링(14)은 걸림턱(15)이 홈부(18)고정된 상태에서 걸림턱(15)을 기준으로 한 코일스프링(14)의 코일방향과 볼트(16) 머리부를 중심으로 한 볼트(16)의 회전방향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이 됨으로써 코일스프링(14)은 볼트(16)로부터 풀리면서 그 내경은 확장되게 된다.
이 경우 코일스프링(14)의 내주면 측면부와 볼트(16) 나사산의 측면부의 접촉부분에 대한 마찰력이 최소화됨으로써 풀림방지너트(11)에 볼트(16)의 체결이 용이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볼트(16)에 체결된 풀림방지너트(11)를 풀려고 하는 회전력(좌측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볼트(16)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할 때(볼트 머리부를 나선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할 때) 풀림방지너트(11) 내의 코일스프링(14)은 볼트(16) 나선의 반대방향을 따라 볼트에 감기게 되고 이때 코일스프링(14) 상단의 걸림턱(15)이 홈부(18)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코일스프링(14)은 더욱 강력하게 볼트(16)를 감게되어 코일스프링(14)의 내경은 축소하게되고 결국, 볼트(16)는 좌측으로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어 풀림방지너트(11)의 풀림이 방지되는 것이다.
즉, 코일스프링(14)의 내주면 측면부와 볼트(16) 나사산의 측면부의 접촉부분을 크게 압착함에 따라 이들 사이의 마찰력 증가로 인하여 볼트(16)로부터 풀림방지너트(11)의 풀림이 방지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15)의 단면형상이 접시머리모양인 것은 접시머리모양의 우측 경사면이 상기 홈부(18)의 V자모양의 우측 경사면에 밀착되고, 접시머리모양의 좌측 경사면이 볼트(16)의 나사산 측면과 밀착됨으로써 상기 걸림턱(15)의 양측 경사면이 상기 홈부(18)와 볼트(16)의 나사산 측면 사이에 쐐기박음이 되어 마찰력을 극대화 시킴으로써 결국, 볼트(16)로부터 풀림방지너트(11)의 회전은 완전히 저지되어 그 풀림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걸림턱(15)의 평면형상은 양면이 넓어지는 접시머리모양이고, 정면형상은 양면이 점차 좁아지는 쐐기모양인 것에서,
걸림턱(15)의 평면형상의 양면이 넓어지는 접시머리모양은, 접시머리모양의 우측 경사면이 상기 홈부(18)의 V자모양의 우측 경사면에 밀착되고 접시머리모양의 좌측 경사면이 볼트(16)의 나사산 측면과 밀착되어 결국, 접시머리모양이 홈부(18)의 우측 경사면과 볼트(16)의 나사산 측면 사이에 쐐기박음되게 하여 볼트(16)로부터 풀림방지너트(11)의 좌회전이 불가하게 되어 풀림방지너트(11)의 풀림을 완전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걸림턱(15) 정면형상의 양면이 점차 좁아지는 쐐기모양으로 형성된 것은, 정면형상이 접시머리모양 일 경우 접시머리모양 상단 길이가 볼트(16)의 피치(pitch)보다 크게되어 상기 접시머리모양의 우측 경사면이 볼트(16)의 나사산 측면에 쐐기박음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므로 쐐기박음을 위해서는 걸림턱(15) 정면형상의 양면을 점차 좁아지도록 쐐기모양으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결국, 쐐기모양이 홈부(18)의 우측 경사면과 볼트(16)의 나사산 측면 사이에 쐐기박음되어 더욱 밀착되게 하여 볼트(16)로부터 풀림방지너트(11)의 좌회전이 불가능 하게 되어 풀림방지너트(11)의 풀림을 완전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확경부(17) 상부에 형성된 단턱부(13)는 상기 코일스프링(14)이 상측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 : 너트 12 : 나사산부
13 : 단턱부 14 : 코일스프링
15 : 걸림턱 16 : 볼트
17 : 확경부 18 : 홈부

Claims (5)

  1. 내주면의 하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산부(12)가 있고 상기 내주면의 상부에는 코일스프링(14)이 안착되는 확경부(17)가 형성된 풀림방지너트에 있어서;
    상기 내주면의 상부에는 나사산부(12)의 내경보다 큰 확경부(17)가 형성되되, 상기 확경부(17)에 안착된 코일스프링(14)의 내경은 상기 나사산부(12)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확경부(17)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홈부(18)가 형성되되, 상기 홈부(18)의 단면형상은 V자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홈부(18)에 삽입되는 코일스프링(14)의 상부 단부는 외측으로 절곡된 걸림턱(15)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턱(15)의 단면형상은 접시머리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너트.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15)의 평면형상은 양면이 넓어지는 접시머리모양이고, 정면형상은 양면이 좁아지는 쐐기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너트.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확경부(17)의 상부는 상기 코일스프링(14)이 상측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단턱부(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너트.
KR1020190045020A 2019-04-17 2019-04-17 풀림방지너트 KR102016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020A KR102016885B1 (ko) 2019-04-17 2019-04-17 풀림방지너트
EP20790816.1A EP3957871A4 (en) 2019-04-17 2020-02-21 LOOSENING PREVENTION NUT
CN202080035129.XA CN113811694A (zh) 2019-04-17 2020-02-21 防松螺母
PCT/KR2020/002506 WO2020213828A1 (ko) 2019-04-17 2020-02-21 풀림방지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020A KR102016885B1 (ko) 2019-04-17 2019-04-17 풀림방지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6885B1 true KR102016885B1 (ko) 2019-08-30

Family

ID=67776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020A KR102016885B1 (ko) 2019-04-17 2019-04-17 풀림방지너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957871A4 (ko)
KR (1) KR102016885B1 (ko)
CN (1) CN113811694A (ko)
WO (1) WO2020213828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3828A1 (ko) * 2019-04-17 2020-10-22 문상열 풀림방지너트
KR102289859B1 (ko) * 2020-05-26 2021-08-13 문상열 풀림방지너트
KR102289855B1 (ko) * 2020-09-08 2021-08-13 문상열 풀림방지너트
KR102289856B1 (ko) * 2020-07-17 2021-08-13 문상열 풀림방지너트
KR20210115193A (ko) 2020-03-12 2021-09-27 서한산업(주) 풀림방지용 볼트너트어셈블리 및 그 제작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782B1 (ko) * 2006-12-07 2007-03-29 (주)성실기계 풀림방지너트
KR100701643B1 (ko) 2005-12-30 2007-04-06 (주)성실기계 풀림방지너트
KR20110085832A (ko) * 2010-01-21 2011-07-27 주식회사 임진에스티 세이퍼락 너트
KR101106506B1 (ko) * 2008-08-07 2012-01-20 박상량 평판 접이식 코일스프링, 이를 이용한 포고핀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82781A (ko) * 2011-01-14 2012-07-24 김태조 다이스 홈을 낸 너트
KR20140074580A (ko) * 2012-12-10 2014-06-18 (주)금산이엔씨 로크너트
KR101636818B1 (ko) * 2016-02-19 2016-07-08 (주)신명전력산업 풀림 방지 너트를 이용한 내진 기능 수배전반
JP3217336U (ja) * 2017-08-31 2018-08-02 コア ボルト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緩み止め部材を備えたダブルナット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44233C (de) * 1930-09-29 1932-02-15 August Sundh Schraubensicherung
CA2537611C (en) * 2006-02-24 2009-03-17 John E. Rode Lock nut system
US20110176887A1 (en) * 2010-01-21 2011-07-21 Im Young Woo Saferlock nut
CN104271967B (zh) * 2012-04-27 2016-04-20 株式会社Khi 防脱件
CN104265749B (zh) * 2014-09-30 2016-03-16 泉州市锦汽机械配件有限公司 一种防松自锁螺母及其生产方法
CN106151227A (zh) * 2015-04-24 2016-11-23 铃木康之 紧固螺母的防脱装置
KR102016885B1 (ko) * 2019-04-17 2019-08-30 문상열 풀림방지너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643B1 (ko) 2005-12-30 2007-04-06 (주)성실기계 풀림방지너트
KR100701782B1 (ko) * 2006-12-07 2007-03-29 (주)성실기계 풀림방지너트
KR101106506B1 (ko) * 2008-08-07 2012-01-20 박상량 평판 접이식 코일스프링, 이를 이용한 포고핀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85832A (ko) * 2010-01-21 2011-07-27 주식회사 임진에스티 세이퍼락 너트
KR20120082781A (ko) * 2011-01-14 2012-07-24 김태조 다이스 홈을 낸 너트
KR20140074580A (ko) * 2012-12-10 2014-06-18 (주)금산이엔씨 로크너트
KR101636818B1 (ko) * 2016-02-19 2016-07-08 (주)신명전력산업 풀림 방지 너트를 이용한 내진 기능 수배전반
JP3217336U (ja) * 2017-08-31 2018-08-02 コア ボルト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緩み止め部材を備えたダブルナッ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217336 U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3828A1 (ko) * 2019-04-17 2020-10-22 문상열 풀림방지너트
KR20210115193A (ko) 2020-03-12 2021-09-27 서한산업(주) 풀림방지용 볼트너트어셈블리 및 그 제작방법
KR102289859B1 (ko) * 2020-05-26 2021-08-13 문상열 풀림방지너트
WO2021241984A1 (ko) * 2020-05-26 2021-12-02 문상열 풀림방지너트
KR102289856B1 (ko) * 2020-07-17 2021-08-13 문상열 풀림방지너트
KR102289855B1 (ko) * 2020-09-08 2021-08-13 문상열 풀림방지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57871A4 (en) 2022-12-28
WO2020213828A1 (ko) 2020-10-22
EP3957871A1 (en) 2022-02-23
CN113811694A (zh) 2021-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6885B1 (ko) 풀림방지너트
US3438417A (en) Canting lock bolt
WO2018154795A1 (ja) 締結構造
US6514025B2 (en) Screw member with elastically deformable features
US20240110590A1 (en) ANTI-ROTATION and ANTI-LOOSENING WASHER, FASTENING CONNECTION MECHANISM and FASTENING METHOD Thereof
KR20190116779A (ko) 풀림방지 볼트, 너트
WO2020031252A1 (ja) ロックワッシャおよび締結構造
KR102289859B1 (ko) 풀림방지너트
KR20180043692A (ko) 풀림 방지 체결구
US3434520A (en) Dished washer lock for threaded element
KR102289856B1 (ko) 풀림방지너트
KR20010077809A (ko) 풀림 방지 볼트 조립체
JP6576901B2 (ja) ボルト・ナットの弛み止め構造
JP4837963B2 (ja) ねじの弛み止め構造
KR102289855B1 (ko) 풀림방지너트
KR102098074B1 (ko) 볼트-너트 조립체
KR200197004Y1 (ko) 풀림 방지 볼트 조립체
KR100237318B1 (ko) 풀림방지용 너트
KR19980083807A (ko) 풀림방지형 볼트, 너트 앗세이
US3126934A (en) Nut locking structures
KR102283353B1 (ko) 풀림방지너트
KR20130011244A (ko) 풀림방지 기능을 갖춘 볼트
KR101953949B1 (ko)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
CN109538605A (zh) 紧固件
JP2003301829A (ja) ボルト・ナットの緩み止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