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4580A - 로크너트 - Google Patents

로크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4580A
KR20140074580A KR1020120142686A KR20120142686A KR20140074580A KR 20140074580 A KR20140074580 A KR 20140074580A KR 1020120142686 A KR1020120142686 A KR 1020120142686A KR 20120142686 A KR20120142686 A KR 20120142686A KR 20140074580 A KR20140074580 A KR 20140074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bolt
nut
spiral coil
down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1971B1 (ko
Inventor
조한백
Original Assignee
(주)금산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산이엔씨 filed Critical (주)금산이엔씨
Priority to KR1020120142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971B1/ko
Priority to US14/370,562 priority patent/US9618030B2/en
Priority to PCT/KR2013/000322 priority patent/WO2013109042A1/ko
Publication of KR20140074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2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steel wire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12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with thread-engaging surfaces formed by inserted coil-springs, discs, or the like; Independent pieces of wound wire used as nuts; Threaded inserts for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a plate, spring, wire or ring immovable with regard to the bolt or object and mainly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bolt
    • F16B39/106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a plate, spring, wire or ring immovable with regard to the bolt or object and mainly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bolt with a deformable locking element, e.g. disk or pin above the bolt head or nut, flattened into a hole or cavity within which the bolt head or nut is positio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스프링의 양단을 고정수단에 의해 확경된 상태가 유지되게 로크너트의 비나사가공부에 내장되었다가 작업자의 선택에 의해 수동으로 고정수단이 해제되어 코일스프링이 축경되어 너트와 체결된 볼트의 나선부와 접촉하게 하고 다른 고정수단에 의해 코일스프링의 일단을 고정하여 코일스프링이 확경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구조를 로크너트에 제공함으로써, 결합대상물이 위치설정이 잘못되거나, 볼트와 로크너트의 체결순서가 잘못되거나, 결합대상물에 이물이 유입되는 등의 경우에 체결된 볼트와 로크너트를 풀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되어도, 로크너트를 푸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자원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작업자가 한 손만으로 볼트와 로크너트를 서로 체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고소작업시에 작업자에게 편안하고 안전한 작업으로 취급하게 하는 작용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로크너트{lock nut}
본 발명은 로크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상태에서 볼트에 체결될 수 있고, 체결이 확정된 후에 의도적으로 신뢰성을 가지고서 풀림이 가능하지 않은 조임 상태로 만들 수 있고, 볼트에 의해 결합된 대상물의 해체 시에 의도적인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볼트로부터 체결해제될 수 있는 로크너트에 관한 것이다.
로크너트가 볼트로부터 풀림이 방지되지 위해서는 볼트와 너트 사이에 코일 스프링을 개재한 방안들과, 조임시에 나사선의 국소부를 파손시키는 방안과, 볼트의 나사선 일부와 너트의 나사선 국소부 사이에 삽입물을 개재하는 방안이 있다.
나사선의 일부를 파손시키는 방안과 삽입물을 개재하는 방안은 국서부에서만 풀림방향의 스톱퍼부 역활을 하게 되어 작은 외력에 의해서도 상기 스톱퍼부가 파괴되면 용이하게 너트가 볼트에 대해서 풀리어 질 수 있기 때문에, 기계적 안정성이 최우선되는 교량, 철도레일, 원자력발전소, 배전반 등의 고정장치에 적용될 수가 없다.
하지만 코일스프링을 개재한 방안은 너트에 고정된 상기 코일스프링의 전체 내주면이 조임상태로 상기 볼트의 나선부와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기계적 안정성이 최우선되는 교량, 철도레일, 원자력발전소, 배전반 등의 고정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볼트와 너트 사이에 나선 코일 스프링이 개재되어 있는 종래의 로크너트는 한국등록특허 제10-701782호 및 제10-701643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로크너트는 체결방향에서의 상류측의 너트의 내주면에 볼트와 체결되는 나사가공부를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나사가공부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서 나선 코일 스프링이 일정 간격을 두고서 내접되게 되는 비나사가공부를 체결방향에서의 하류측에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로크너트의 상기 비나사가공부는 상기 비나사가공부에 내접된 나선 코일 스프링이 상기 로크너트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방향에서의 상류단 단차부와 하류단 단차부를 축경시켜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로크너트에 있어서, 볼트의 중심축선 방향으로 노출된 하류단 단차부의 면에 요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요부에는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의 하류단에서 직경바깥방향으로 절곡된 하류절곡부에 삽입고정되게 되고,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의 상류단은 상기 비나사가공부에 내접되어 상기 상류단 단차부에서 볼트의 중심축선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은 상기 볼트의 나선부와 체결될 수 있는 내주면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로크너트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볼트를 상기 로크너트에 삽입하여 조임방향으로 돌리면, 먼저 상기 나사가공부와 체결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볼트를 조임방향으로 계속 돌리게 되면, 볼트의 나선부와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이 서로 체결되면서, 상기 볼트의 나선부와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이 면접촉되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을 조임방향으로 비틀게 되며, 이에 의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의 하류절곡부가 상기 요부에 고정된 관계로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이 확경되게 되어, 상기 볼트의 나선부의 선단이 원활하게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을 관통하게 되며, 그리고 상기 볼트의 조임방향으로의 돌림을 멈추게 되면, 상기 확경된 나선 코일 스프링이 축경되어 상기 볼트의 나선부와 탄성적으로 외접되어 체결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이 탄성적으로 상기 볼트의 나선부를 조이고 있어서, 어떠한 비의도적인 외력에 의해 상기 로크너트가 상기 볼트에서 풀어지지 않게 된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로크너트는, 예를 들면 유지보수를 위해 너트를 볼트에서 풀어야 할 경우에 상기 너트를 비조임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의 하류절곡부가 상기 요부에 고정된 관계로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이 축경되게 되어 상기 너트를 비조임방향으로 돌리는 것을 어렵게 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로크너트를 큰 힘으로 비조임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의 하류절곡부가 절단되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과 분리되게 되며, 상기 하류절곡부가 떨어져 나간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은 아무리 너트를 비조임 방향으로 돌려도 상기 비나사가공부 내에서 이탈되지 않고 잔류하게 되어 결국, 축경되어 상기 볼트의 나선부와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로크너트를 파손시키지 않고서는 상기 로크너트는 볼트로부터 풀려 질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나선 코일 스프링의 상류단부를 상기 하류단부와 같이 직경바깥방향으로 절곡하여 상류절곡부로 만들고, 상기 상류절곡부에 마주하는 비나사가공부에 직경방향으로 관통하는 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상류절곡부가 상기 장공 내에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 로크너트를 비조임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의 하류절곡부가 상기 요부에 고정된 관계로,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이 전체적으로 축경되면서 상기 상류절곡부가 상기 비나사가공부의 내주면을 따라 비조임방향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장공의 측벽에 걸음되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이 전체적으로 확경되게 하는 것이 제안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제안은 상기 상류절곡부가 상기 비나사가공부의 내주면을 따라 비조임 방향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장공의 측벽에 걸음될 시에, 결국,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의 양단이 상류절곡부와 하류절곡부 모두 고정되어 있어서, 상류절곡부측은 확경될 수 있지만, 하류절곡부 측은 여전히 축경되어 있어서, 로크너트를 볼트에서 풀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의 상류단 측만을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의 다른 부위보다 직경을 크게 하여, 로크너트가 비조임 방향으로 돌려질 시에,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의 상류단이 축경되어서 볼트의 나선부를 조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제안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지제안은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의 상류단 측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의 다른 부위보다 직경이 큰 관계로,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의 다른 부위가 결국 비나사가공부에서 종래보다 많이 방사상 안쪽으로 이격되게 되어, 로크너트의 전체적인 크기를 종래보다 비대하게 하여 재료비를 증가시켜, 제조단가를 증대시킨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지며,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의 굵기를 얇게 하면 그 만큼 탄성적으로 볼트의 나선부를 조이는 힘이 종래보다 작아져 신뢰성 있는 풀림방지기능을 제공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이 로크너트의 조임시에 확경되었다가 축경되고, 그리고 로크너트의 체결해제시에 확경되었가 축경되어 이를 반복하게 되면, 기계적 안정성이 최우선되는 교량, 철도레일, 원자력 발전소, 배전반 등의 고정장치에 적용되게 될 때, 안전사고가 발생될 염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로크너트가 본 출원인에 특허출원되어 등록된 특허등록 제10-1151721호에 제안된 바 있다.
상기 특허등록에 제안된 로크너트는 너트의 조임시에는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의 하류절곡부가 걸음지점이 되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이 전체적으로 확경되게 하고, 너트의 조임해제시에 하류절곡부가 걸음지점이 해제되면서 상류절곡부가 걸음지점이 되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이 전체적으로 확경되게 되는 구성을 가지고서, 탄성적인 조임력을 해치지 않고서도, 너트의 조임을 용이하게 하면서, 비의도적인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조임 해제되지 않게 하고, 의도적인 외력에 의해서만 너트가 용이하게 조임 해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러한 작용을 제조단가를 증대시킴 없이 가능하게 하고, 너트를 일회용으로 만들어서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는 작용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결합대상물을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시킬 때에는 결합대상물이 위치설정이 잘못되거나, 볼트와 너트의 체결순서가 잘못되거나, 결합대상물에 이물이 유입되는 등의 경우에 체결된 볼트와 너트를 풀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되어 수많은 로크너트를 사용하지도 못하고 버려야만 하여서 자원낭비가 심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너트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공구에 의해 코일 스프링의 상류절곡부를 가압하여 코일스프링을 확경시키는 방안이 제안될 수 있지만, 작업자로 하여금 한 손으로 상기 공구를 잡고서 상기 상류절곡부를 가압함과 동시에 다른 한 손으로 볼트나 너트를 체결하여야 하는 작업환경을 요구하여 고소작업시에 작업자에게 위험하고 성가신 작업으로 취급된다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로크너트가 본 출원인에 특허출원되어 등록된 특허등록 제10-1178129호에 제안된 바 있다.
상기 특허등록에 제안된 로크너트는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의 하류단을 절곡하여 너트에 고정하고,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의 상류단을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의 확경된 상태를 유지하는 탈착가능한 1차스톱퍼와 너트가 조임해제방향으로 회전될 시에 축경되는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의 하류단을 고정할 수 있는 2차스톱퍼를 상기 너트에 마련함으로써, 너트의 조임시에는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의 하류절곡부가 걸음지점이 되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이 전체적으로 확경되게 하고, 너트의 조임해제시에 하류절곡부가 걸음지점이 해제되면서 상류절곡부가 걸음지점이 되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이 전체적으로 확경되게 되는 구성을 가지고서, 탄성적인 조임력을 해치지 않고서도, 너트의 조임을 용이하게 하면서, 비의도적인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조임 해제되지 않게 하고, 의도적인 외력에 의해서만 너트가 용이하게 조임 해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로크너트는 제1 및 제2스톱퍼가 너트의 비나사가공부에 펀치가공 및 드릴가공을 요하고, 아울러 상기 드릴가공된 관통구멍에 핀을 탈착가능하게 하여야 하고, 나선 코일 스프링의 하류단을 너트의 요부에서 일정 조임해제외력에 의해 빠져나오게 하는 구성이 필요하여 로크너트의 제조단가를 증대시킨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코일스프링의 양단을 고정수단에 의해 확경된 상태가 유지되게 로크너트의 비나사가공부에 내장되었다가 작업자의 선택에 의해 수동으로 고정수단이 해제되어 코일스프링이 축경되어 너트와 체결된 볼트의 나선부와 접촉하게 하고 다른 고정수단에 의해 코일스프링의 일단을 고정하여 코일스프링이 확경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구조를 로크너트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결합대상물이 위치설정이 잘못되거나, 볼트와 로크너트의 체결순서가 잘못되거나, 결합대상물에 이물이 유입되는 등의 경우에 체결된 볼트와 로크너트를 풀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되어도, 로크너트를 푸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자원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작업자가 한 손만으로 볼트와 로크너트를 서로 체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고소작업시에 작업자에게 편안하고 안전한 작업으로 취급하게 하는 작용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나선 코일 스프링을 도시한 조임상태의 개념도,
도 2는 도 1의 나선 코일 스프링을 도시한 조임해제상태의 개념도,
도 3은 도 1의 나선 코일 스프링이 너트에 수용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나선 코일 스프링이 너트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및
도 5는 나선 코일 스프링이 확경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 4의 사시도,
도 6은 나선 코일 스프링이 축경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변경 실시예의 나선 코일 스프링을 확경된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변경 실시예의 나선 코일 스프링을 축경된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 및
도 9는 도 5의 하류단 단차부에 아치부와 캠면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실시예의 로크 너트가 부호 1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로크너트(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 코일 스프링(1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하류단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직경바깥방향으로 절곡된 하류단 절곡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상류단(12)은 상기 하류단 절곡부(11)와 직경방향에서 마주하는 곳 위치되어 있다.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은 볼트(50)의 나선부(51)가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상류단(12)에서 하류단을 관통하여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과 체결될 수 있도록 나선형상으로 감겨져 있다.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류단 절곡부(11)가 이후에 설명되는 너트(20)에 형성된 요부(21)에 삽입고정된 상태에서 볼트(50)를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상류단에 접촉시켜서 조임방향(도 1에서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볼트(50)의 나선부(51)와 마찰적으로 접촉하여서, 확경되어 용이하게 볼트(50)가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하류단으로 진입하는 것을 허용한다.
그리고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류단 절곡부(11)가 상기 너트(20)에 형성된 요부(21)에 삽입고정되고 볼트(50)가 삽입관통된 상태에서 볼트(50)를 조임해제방향(도 2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볼트(50)의 나선부(51)와 마찰적으로 접촉하여서, 축경되어 용이하게 볼트(50)가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상류단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너트(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50)와의 체결방향에서의 상류측의 너트의 내주면에 볼트(50)와 체결되는 나사가공부(22)를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나사가공부(22)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서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이 방사상 안쪽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서 내접되게 수용되는 비나사가공부(23)를 체결방향에서의 하류측에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너트(20)의 상기 비나사가공부(23)는 상기 비나사가공부(23)에 내접된 나선 코일 스프링(10)이 상기 너트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방향에서의 상류단 단차부(23a)와 하류단 단차부(23b)를 축경시켜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너트(20)에 있어서, 볼트(50)의 중심축선 방향으로 노출된 하류단 단차부(23b)의 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요부(21)와 다른 하나의 요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나의 요부(21)와 상기 다른 하나의 요부(21')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하류단 절곡부(11)가 선택적으로 탈착가능하게 삽입되게 되고,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상류단(12)은 상기 비나사가공부(23)에 내접되어 상기 상류단 단차부(23a)에 탄성적으로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비나사가공부(23)에 형성된 스톱퍼(S)와도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상기 스톱퍼(S)는 상기 상류단 단차부(23a)에서 상기 하류단 단차부(23b) 쪽으로 돌출된 돌출부이거나 또는 상기 비나사가공부(23)의 내주면에서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된 돌출부이다.
상기 하나의 요부(21)에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하류단 절곡부(11)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스톱퍼(S)에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하류단이 탄성적으로 가압접촉되어 있으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이 확경된 상태가 유지되게 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다른 하나의 요부(21')에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하류단 절곡부(11)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스톱퍼(S)에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하류단이 탄성적으로 가압접촉되어 있으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이 축경된 상태가 유지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원리는, 나선 코일 스프링의 상류단이 시계방향(체결방향)으로 가압되고 하류단이 반시계방향(풀림방향)으로 가압되면 확경되고, 그리고 나선 코일 스프링의 상류단이 반시계방향(풀림방향)으로 가압되고 하류단이 시계방향(체결방향)으로 가압되면 축경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하나의 요부(21)는 상기 스톱퍼(S)에 의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상류단(12)이 고정된 지점을 위치고정점으로 하여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이 확경되었을 때,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하류단이 위치되는 상기 하류단 단차부(23b)의 부위에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다른 하나의 요부(21')는 상기 스톱퍼(S)에 의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상류단(12)이 고정된 지점을 위치고정점으로 하여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이 축경(볼트(50)의 나선부(51)에 대하여 외접된 상태, 즉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이 어떠한 외력도 받지 않은 자유로운 상태)되어 되었을 때,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하류단이 위치되는 상기 하류단 단차부(23b)의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다른 하나의 요부(21')는 상기 하나의 요부(21)에 대하여 체결방향에서 하류쪽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로크너트(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상류단(12)이 상기 스톱퍼(S)와 접촉하고 있고 하류단 절곡부(11)가 상기 하나의 요부(21)에 삽입되어 있는 제1모드(나선 코일 스프링이 확경된 상태의 도 5참조)로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을 위치결정한다.
그 다음, 상기 로크너트(100)의 나사가공부(22)에 볼트(50)의 나선부(51)를 삽입하면서 볼트(50)를 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볼트(50)의 나선부(51)가 상기 나사가공부(22)를 관통하면서 상기 나사가공부(22)와 체결되게 되고, 상기 볼트(50)를 조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볼트(50)의 나선부(51)가 상기 스톱퍼핀(24)와 상기 하나의 요부(21)에 의해 확경된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에 장애를 받지 않고, 상기 볼트(50)의 나선부(51)가 용이하게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을 관통하게 되어, 상기 로크너트(100)는 볼트(50)와 체결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결합대상물이 위치설정이 잘못되거나, 볼트(50)와 로크너트(100)의 체결순서가 잘못되거나, 결합대상물에 이물이 유입되는 등의 경우에 체결된 볼트(50)와 로크너트(100)를 풀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되면, 통상의 볼트와 너트와 같이 조임해제방향으로 볼트(50)를 돌려서 볼트(50)와 로트너트(100) 간의 체결을 해제한다.
그리고 재차 상기 볼트(50)와 로크너트(100)를 체결하고 그 체결상태가 아무 이상이 없는 경우에, 작업자가 상기 하나의 요부(21)에서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하류단 절곡부(11)를 빼내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이 전체적으로 축경되면서 그 하류단 절곡부(11)가 체결방향에서 하류쪽으로 위치이동되어 상기 다른 하나의 요부(21') 위에 위치결정되고, 그 다음, 작업자가 위치이동된 상기 하류단 절곡부(11)를 상기 다른 하나의 요부(21')에 삽입 고정하는 제2모드(나선 코일 스프링이 축경된 상태의 도 6참조)를 만든다.
상기 제2모드에서는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이 상기 볼트(50)의 나선부(51)의 골부에 안착되어 상기 나선부(51)를 방사방향 안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게 되어서, 어떠한 비의도적인 외력에 의해 상기 로크너트(100)와 상기 볼트(50) 간의 체결이 해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 상태에서, 유지보수를 위해 상기 로크너트(100)를 볼트(50)에서 풀어야 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상기 제1모드로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을 위치결정하면, 상기 로크너트(100)를 파손시킴 없이 상기 로크너트(100)와 볼트(50) 간의 체결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로크너트(100)의 작용에 의해, 결합대상물이 위치설정이 잘못되거나, 볼트와 로크너트의 체결순서가 잘못되거나, 결합대상물에 이물이 유입되는 등의 경우에 체결된 볼트와 로크너트를 풀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되어도, 로크너트를 푸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자원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작업자가 상기 나선 코일스프링을 축경시키는 작업과 볼트와 로크너트를 서로 체결하는 작업은 한 손만으로 가능하게 하여 고소작업시에 작업자에게 편안하고 안전한 작업으로 취급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 더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나의 요부(21)와 상기 다른 하나의 요부(21') 사이의 상기 하류단 단차부(23b) 부위에 볼트(50)의 두부쪽으로 완만하게 오목한 아치부(50)가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아치부(50)의 양단과 이어지는 상기 하나의 요부(21) 와 상기 다른 하나의 요부(21') 각각에는, 조임방향 또는 비조임방향으로의 일정 힘이 작용되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상기 하류단 절곡부(11)가 상기 하나의 요부(21) 와 상기 다른 하나의 요부(21')에서 빠져나와 상기 아치부(50)에 위치될 수 있도록 미끄럼 캠면(60)이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하류단 절곡부(11)을 하나의 요부(21)나 다른 하나의 요부(21')에서 이탈시키기 위해 작업자의 손이나 송곳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오로지 볼트 또는 너트의 조임 및 풀림 공구 만으로도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을 확경 및 축경시킬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의 변경 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나의 요부(21)와 상기 다른 하나의 요부(21') 중 상기 다른 하나의 요부(21')를 배제시키고, 상기 스톱퍼(S)가 구비된 비나사가공부(23) 부위에 나선방향으로 기다란 관통구멍(30)을 형성시키고,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하류단 절곡부(11)와 같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상류단(12)을 직경바깥방향으로 절곡시켜 절곡부(12')로 만들어, 그 절곡부(12')가 상기 관통구멍(30)을 관통하게 하고, 상기 관통구멍(30)을 구획형성하는 벽부들중 상기 너트(20)의 중심축선 방향에서 윗벽(31) 또는 아래벽(32)에 상기 너트(20)의 중심축선 방향으로 돌출된 스톱퍼(S')를 형성시키되, 상기 관통구멍(30)을 구획형성하는 벽부들중 반시계방향 측에 위치된 측벽(33)에서 상기 스톱퍼(S')가 시계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하고, 그 이격 거리는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상류단(12)의 절곡부(12')가 상기 스톱퍼(S')에 걸음되었을 때 확경된 상태가 되고, 상기 절곡부(12')가 상기 스톱퍼(S')를 넘어서 상기 측벽(33)과 상기 스톱퍼(S') 사이에 위치되었을 때 축경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변경 실시예의 로크너트(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오 같은 상기 제1모드(나선 코일 스프링의 확경된 상태)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제2모드(나선 코일 스프링의 축경된 상태)를 수동으로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어서, 상기 실시예와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즉 먼저,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상류단(12)의 절곡부(12')가 상기 스톱퍼(S')와 접촉하고 있고 하류단 절곡부(11)가 상기 하나의 요부(21)에 삽입되어 있는 제1모드(나선 코일 스프링이 확경된 상태의 도 7참조)로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을 위치결정한다.
그 다음, 상기 로크너트(100)의 나사가공부(22)에 볼트(50)의 나선부(51)를 삽입하면서 볼트(50)를 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볼트(50)의 나선부(51)가 상기 나사가공부(22)를 관통하면서 상기 나사가공부(22)와 체결되게 되고, 상기 볼트(50)를 조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볼트(50)의 나선부(51)가 상기 스톱퍼핀(24)와 상기 하나의 요부(21)에 의해 확경된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에 장애를 받지 않고, 상기 볼트(50)의 나선부(51)가 용이하게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을 관통하게 되어, 상기 로크너트(100)는 볼트(50)와 체결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결합대상물이 위치설정이 잘못되거나, 볼트(50)와 로크너트(100)의 체결순서가 잘못되거나, 결합대상물에 이물이 유입되는 등의 경우에 체결된 볼트(50)와 로크너트(100)를 풀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되면, 통상의 볼트와 너트와 같이 조임해제방향으로 볼트(50)를 돌려서 볼트(50)와 로트너트(100) 간의 체결을 해제한다.
그리고 재차 상기 볼트(50)와 로크너트(100)를 체결하고 그 체결상태가 아무 이상이 없는 경우에, 작업자가 상기 절곡부(12')를 잡아서 상기 스톱퍼(S')를 건너뛰게 하여 상기 절곡부(12')가 상기 측벽(33)과 상기 스톱퍼(S') 사이에 위치되게 하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이 전체적으로 축경되면서 상기 제2모드를 만든다.
상기 제2모드에서는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이 상기 볼트(50)의 나선부(51)의 골부에 안착되어 상기 나선부(51)를 방사방향 안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게 되어서, 어떠한 비의도적인 외력에 의해 상기 로크너트(100)와 상기 볼트(50) 간의 체결이 해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 상태에서, 유지보수를 위해 상기 로크너트(100)를 볼트(50)에서 풀어야 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상기 절곡부(12)를 잡아서 체결방향으로 압축하여 상기 스톱퍼(S')를 건너뛰게 하여 상기 스톱퍼(S')에 걸음되게 하여 상기 제1모드로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을 위치결정하면, 상기 로크너트(100)를 파손시킴 없이 상기 로크너트(100)와 볼트(50) 간의 체결을 해제할 수 있다.
10; 나선 코일 스프링, 20; 너트, 50; 볼트

Claims (5)

  1. 나선 코일 스프링(10)을 너트(20) 내에 수용하여 포함하고 있는 로크너트(100)에 있어서,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하류단에는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직경바깥방향으로 절곡된 하류단 절곡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은 볼트(50)가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상류단(12)에서 하류단을 관통하여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과 체결될 수 있도록 나선형상으로 감겨져 있으며,
    상기 너트(20)는 볼트(50)와의 체결방향에서의 상류측의 너트의 내주면에 볼트(50)와 체결되는 나사가공부(22)를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나사가공부(22)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서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이 방사상 안쪽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서 내접되게 수용되는 비나사가공부(23)를 체결방향에서의 하류측에 포함하고,
    상기 너트(20)의 상기 비나사가공부(23)는 체결방향에서의 상류단 단차부(23a)와 하류단 단차부(23b)를 축경시켜 포함하고 있고,
    볼트(50)의 중심축선 방향으로 노출된 하류단 단차부(23b)의 면에는 하나의 요부(21)와 다른 하나의 요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나의 요부(21)와 상기 다른 하나의 요부(21')에는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하류단 절곡부(11)가 선택적으로 탈착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상류단(12)은 상기 비나사가공부(23)에 내접되어 상기 상류단 단차부(23a)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있고,
    상기 상류단 단차부(23a) 또는 상기 상류단 단차부(23a)에 인접한 상기 비나사가공부(23)에는 상기 상류단(12)과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스톱퍼(s)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다른 하나의 요부(21')는 상기 하나의 요부(21)에 대하여 체결방향에서 하류쪽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요부(21)에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하류단 절곡부(11)가 삽입되어 있으면, 상기 스톱퍼(S)에 의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상류단(12)이 고정된 지점을 위치고정점으로 하여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이 확경되고, 그리고 상기 다른 하나의 요부(21')에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하류단 절곡부(11)가 삽입되어 있으면, 상기 스톱퍼(S)에 의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상류단(12)이 고정된 지점을 위치고정점으로 하여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이 축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너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요부(21)와 상기 다른 하나의 요부(21') 사이의 상기 하류단 단차부(23b) 부위에 볼트(50)의 두부쪽으로 오목한 아치부(50)가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아치부(50)의 양단과 이어지는 상기 하나의 요부(21) 와 상기 다른 하나의 요부(21') 각각에는, 미끄럼 캠면(6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너트.
  4. 나선 코일 스프링(10)을 너트(20) 내에 수용하여 포함하고 있는 로크너트(100)에 있어서,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하류단에는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직경바깥방향으로 절곡된 하류단 절곡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은 볼트(50)가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상류단(12)에서 하류단을 관통하여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과 체결될 수 있도록 나선형상으로 감겨져 있으며,
    상기 너트(20)는 볼트(50)와의 체결방향에서의 상류측의 너트의 내주면에 볼트(50)와 체결되는 나사가공부(22)를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나사가공부(22)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서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이 방사상 안쪽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서 내접되게 수용되는 비나사가공부(23)를 체결방향에서의 하류측에 포함하고,
    상기 너트(20)의 상기 비나사가공부(23)는 체결방향에서의 상류단 단차부(23a)와 하류단 단차부(23b)를 축경시켜 포함하고 있고,
    볼트(50)의 중심축선 방향으로 노출된 하류단 단차부(23b)의 면에는 요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요부(21)에는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하류단 절곡부(11)가 고정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상류단(12)은 직경바깥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21')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21')와 마주하는 비나사가공부(23)에는 상기 절곡부(21')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구멍(3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멍(30)을 구획형성하는 벽부들중 상기 너트(20)의 중심축선 방향에서 윗벽(31) 또는 아래벽(32)에 상기 너트(20)의 중심축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절곡부(21')가 걸음되게 스톱퍼(S')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톱퍼(S')는 상기 관통구멍(30)을 구획형성하는 벽부들중 반시계방향 측에 위치된 측벽(33)에서 시계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너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거리는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상류단(12)의 절곡부(12')가 상기 스톱퍼(S')에 걸음되었을 때 확경된 상태가 되고, 상기 절곡부(12')가 상기 스톱퍼(S')를 넘어서 상기 측벽(33)과 상기 스톱퍼(S') 사이에 위치되었을 때 축경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너트.
KR1020120142686A 2012-01-20 2012-12-10 로크너트 KR101421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686A KR101421971B1 (ko) 2012-12-10 2012-12-10 로크너트
US14/370,562 US9618030B2 (en) 2012-01-20 2013-01-16 Lock nut
PCT/KR2013/000322 WO2013109042A1 (ko) 2012-01-20 2013-01-16 로크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686A KR101421971B1 (ko) 2012-12-10 2012-12-10 로크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580A true KR20140074580A (ko) 2014-06-18
KR101421971B1 KR101421971B1 (ko) 2014-07-23

Family

ID=51127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686A KR101421971B1 (ko) 2012-01-20 2012-12-10 로크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9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885B1 (ko) * 2019-04-17 2019-08-30 문상열 풀림방지너트
KR20210090366A (ko) * 2020-01-10 2021-07-20 주식회사 케이에스엘엔씨 풀림 방지용 스프링이 결합된 볼트
KR102289855B1 (ko) * 2020-09-08 2021-08-13 문상열 풀림방지너트
KR102289859B1 (ko) * 2020-05-26 2021-08-13 문상열 풀림방지너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264B1 (ko) * 2018-03-27 2019-11-25 (주)케이에스엘엔씨 풀림방지 너트
KR102221619B1 (ko) * 2020-04-14 2021-03-02 주식회사 케이에스엘엔씨 풀림 방지 너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643B1 (ko) 2005-12-30 2007-04-06 (주)성실기계 풀림방지너트
KR100701782B1 (ko) 2006-12-07 2007-03-29 (주)성실기계 풀림방지너트
KR100902061B1 (ko) * 2009-02-23 2009-06-09 주식회사 임진에스티 파워 클러치 너트
KR20110044425A (ko) * 2009-10-23 2011-04-29 강인자 파워 클러치 너트의 코일스프링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885B1 (ko) * 2019-04-17 2019-08-30 문상열 풀림방지너트
WO2020213828A1 (ko) * 2019-04-17 2020-10-22 문상열 풀림방지너트
CN113811694A (zh) * 2019-04-17 2021-12-17 文相烈 防松螺母
KR20210090366A (ko) * 2020-01-10 2021-07-20 주식회사 케이에스엘엔씨 풀림 방지용 스프링이 결합된 볼트
KR102289859B1 (ko) * 2020-05-26 2021-08-13 문상열 풀림방지너트
WO2021241984A1 (ko) * 2020-05-26 2021-12-02 문상열 풀림방지너트
KR102289855B1 (ko) * 2020-09-08 2021-08-13 문상열 풀림방지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1971B1 (ko) 201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1971B1 (ko) 로크너트
US10060465B2 (en) Anti-loosening bolt
US8784027B2 (en) Ratchet locking mechanism for threaded fastener
JP2016509179A (ja) ロックワッシャ組立体
JP2014515082A (ja) 盲リベットボルト
KR20140055028A (ko) 풀림방지기능을 구비한 체결용 볼트와 너트
US6896463B2 (en) Spindle nut retainer
KR101178129B1 (ko) 일회용 로크너트
JP2006336809A (ja) 皿ボルトによる締結構造及びこの締結構造に用いる緩止めテーパリング、並びにテーパナットによる締結構造及びこの締結構造に用いる緩止めテーパリング
EP3017204B1 (en) Fastening element and fastening assembly
WO2013109042A1 (ko) 로크너트
KR101954491B1 (ko) 플랜지의 결합부재용 풀림 확인 장치
WO2020099896A1 (en) A fastener
WO2017020870A1 (zh) 一种车轮
KR101874773B1 (ko) 그렙너트
KR101500263B1 (ko) 풀림방지용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
JP2007092925A (ja) ボルト
KR101817948B1 (ko) 풀림방지너트
EP1054708A1 (en) Safety line anchor
KR102087632B1 (ko) 너트 풀림방지 장치
KR101291232B1 (ko) 로크너트를 이용하여 내진기능을 가진 폐쇄회로 텔레비전장치
KR101214106B1 (ko) 풀림방지너트를 이용한 내진기능 자동제어반
JP2012251648A (ja) ねじ締結体
KR101373190B1 (ko) 풀림방지너트를 이용한 내진기능 수배전설비
JP3140085U (ja) ロックナッ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