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949B1 -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949B1
KR101953949B1 KR1020160082708A KR20160082708A KR101953949B1 KR 101953949 B1 KR101953949 B1 KR 101953949B1 KR 1020160082708 A KR1020160082708 A KR 1020160082708A KR 20160082708 A KR20160082708 A KR 20160082708A KR 101953949 B1 KR101953949 B1 KR 101953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fixing
bolts
nu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2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3189A (ko
Inventor
이창호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2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949B1/ko
Publication of KR20180003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3/00Features common to bolt and nut
    • F16B33/02Shape of thread; Special thread-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사산이 받는 응력을 분산시키며, 외부의 진동에 의해 볼트와 너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헤드부와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부로 이루어지는 고정 볼트와, 상기 고정 볼트의 몸체부에 결합되기 위한 고정 너트와, 상기 고정 볼트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제1 지지 볼트 및 상기 고정 너트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제2 지지 볼트를 포함하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 {BOLT AND NUT'S TIGHTEN STRUCTURE}
본 발명은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나사산이 받는 응력을 분산시키며, 외부의 진동에 의해 볼트와 너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트와 너트는 일반 기계분야나 건축분야, 조선관련 분야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체결부재 중 하나이다. 이러한 볼트너트 체결부재는 볼트를 피 고정물에 관통하도록 삽입한 다음, 반대편에서 너트를 조여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볼트와 너트는 나사산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체결력을 유지하여, 통상 2개 이상으로 분리되는 2개의 물체를 체결에 의해 결합시켜 주는 용도이다.
하지만 이 때, 상기와 같은 단순한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체결력이 약화되어 서서히 체결이 풀리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각종 기계장치나 구조물 등의 부품에 체결된 볼트와 너트가 풀리게 될 경우, 부품이 분리되면서 본래의 목적을 수행할 수 없거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또한 안전사고의 발생위험도 높아졌다.
이를 위해, 볼트의 나선축에 나선체결 되어 있는 너트가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풀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풀림방지 기능을 하는 와셔를 삽입하는 등의 풀림방지를 위한 볼트너트 체결구조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며, 풀림방지 볼트 및 너트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32938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종래기술은, 볼트 몸체부의 수나사산의 일부의 형상을 너트에 형성된 암나사산에 밀착되는 밀착부분을 형성하도록 변형하여 풀림방지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일반적인 너트를 그대로 사용한 상태에서도 볼트와 너트가 풀리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풀림방지용 볼트 및 너트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장시간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되는 경우 볼트 몸체부에 형성된 풀림 방지 구조인 밀착 부분이 마모되거나 변형되어, 풀림방지 기능이 충분히 지속되기 어려우며, 나사산이 받는 응력을 분산시키지 못하여 나사산의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나사산의 손상으로 인해 볼트와 너트의 교체가 자주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32938호 (2015.11.2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나사산이 받는 응력을 분산시키며, 외부의 진동에 의해 볼트와 너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헤드부와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부로 이루어지는 고정 볼트와, 상기 고정 볼트의 몸체부에 결합되기 위한 고정 너트와, 상기 고정 볼트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제1 지지 볼트 및 상기 고정 너트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제2 지지 볼트를 포함하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볼트와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볼트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볼트는 상기 고정 볼트의 조립 방향과 반대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볼트는 상기 고정 너트의 조립 방향과 반대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볼트 중 일부는 왼나사산을 형성하며, 나머지 일부는 오른나사산을 형성한다.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볼트 중 일부는 왼나사산을 형성하며, 나머지 일부는 오른나사산을 형성한다.
상기 왼나사산이 형성된 지지 볼트와 상기 오른나사산이 형성된 지지 볼트는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볼트의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가 접촉하는 피고정물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제1 고정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판에는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볼트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1 홈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볼트의 끝단부가 상기 제1 홈에 삽입되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 너트와 고정 너트가 접촉하는 피고정물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제2 고정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판에는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볼트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2 홈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볼트의 끝단부가 상기 제2 홈에 삽입되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볼트는, 상기 고정 볼트의 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고정 볼트의 헤드부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끝단이 피고정물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볼트는, 상기 고정 볼트의 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고정 너트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끝단이 피고정물에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에 따르면, 고정 볼트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제1 지지 볼트 및 고정 너트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제2 지지 볼트를 포함함으로써,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볼트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볼트의 나사산이 받는 응력을 복수의 제1 지지 볼트를 통해 분산시킬 수 있고, 상기 고정 너트가 받는 응력을 복수의 제2 지지 볼트를 통해 분산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나사산의 손상이 방지되어 볼트와 너트의 수명 및 교체 기간이 길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볼트와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볼트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플랜지(flange)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볼트와 너트의 나사산이 받는 응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지지 볼트가 상기 고정 볼트의 조립 방향과 반대로 조립되거나, 복수의 제2 지지 볼트가 상기 고정 너트의 조립 방향과 반대로 조립됨으로써, 고정 볼트 또는 고정 너트가 풀리는 방향으로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회전이 발생하더라도, 조립 방향이 반대인 제1 지지 볼트 또는 제2 지지 볼트에서는 조임이 발생함에 따라 효과적으로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볼트 중 일부는 왼나사산을 형성하며, 나머지 일부는 오른나사산을 형성하거나,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볼트 중 일부는 왼나사산을 형성하며, 나머지 일부는 오른나사산을 형성함으로써,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볼트의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가 접촉하는 피고정물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제1 고정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판에는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볼트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1 홈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볼트의 끝단부가 상기 제1 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정 볼트가 피고정물에 밀착 결합될 수 있으며, 고정 볼트의 나사산이 받는 응력을 제1 지지 볼트에 더욱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너트와 고정 너트가 접촉하는 피고정물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제2 고정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판에는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볼트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2 홈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볼트의 끝단부가 상기 제2 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정 너트가 피고정물에 밀착 결합될 수 있으며, 고정 너트의 나사산이 받는 응력을 제2 지지 볼트에 더욱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우선, 도1 및 도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본 발명의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고정 볼트의 헤드부가 위치한 쪽을 상측, 고정 볼트의 몸체부에 결합되는 고정 너트가 위치한 쪽을 하측으로 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는 개략적으로 고정 볼트(100), 고정 너트(200), 복수의 제1 지지 볼트(300), 복수의 제2 지지 볼트(400), 제1 고정판(500) 및 제2 고정판(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고정 볼트(100)와 고정 너트(200)는 종래의 볼트 및 너트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고정 볼트(100)는 헤드부(120)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부(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헤드부(120)는 사각형, 원통형, 접시형 등 어떤 형상이라도 무관하며, 본 일 실시예에서는 육각형으로 형성되고 있다. 상기 몸체부(140)에 형성된 수나사산은 왼나사산 또는 오른나사산 중 어느 것이라도 무관하나, 본 일 실시예에서는 오른나사산으로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고정 너트(200)는 상기 고정 볼트의 몸체부(140)에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피고정물에 형성된 구멍에 고정 볼트의 몸체부(140)가 관통한 다음 고정 너트(200)가 반대편에서 상기 몸체부(140)에 결합함으로써 볼트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 너트(200)의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 볼트의 몸체부(140)에 형성된 수나사산에 끼워 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 너트(200)의 모양은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어떤 형상이라도 무관하며, 본 일 실시예에서는 고정 볼트(100)와 동일하게 육각형으로 형성되고 있다.
복수의 제1 지지 볼트(300)는 상기 고정 볼트(10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 볼트의 헤드부(12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고정 볼트의 몸체부(14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헤드부(120)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볼트(300)의 끝단은 상기 헤드부(120)를 관통하여 피고정물(10)에 접촉된다.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볼트(300)는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일 실시예에서는 6개의 제1 지지 볼트(300)가 육각형으로 형성된 상기 헤드부(120)의 꼭지점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볼트(300) 각각은 제1 헤드부(320)와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몸체부(3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헤드부(320)는 육각형, 사각형 등 어느 형상이라도 무관하나, 본 일 실시예에서는 제1 지지 볼트를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손쉽게 고정하거나 풀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되어, 일자 또는 십자의 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제1 지지 볼트(30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고정 볼트(100)의 나사산이 받는 응력을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볼트(300)를 통해 분산시킬 수 있다. 즉,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상기 고정 볼트(100)가 풀리는 방향, 상측으로 힘이 가해질 경우, 고정 볼트의 헤드부(120) 뿐만 아니라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볼트(300)도 응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 볼트의 나사산이 받는 응력이 감소하여 나사산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고정 볼트가 견딜 수 있는 최대 응력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볼트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볼트(300)는 너트에 의해 고정되어지지 않으며, 상기 고정 볼트의 헤드부(120)에 형성된 암나사공에 틀어 넣음으로써 결합되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볼트(300)를 설치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헤드부(120)에 각 제1 지지 볼트의 수나사에 알맞는 암나사공을 형성한 후, 각 제1 지지 볼트를 틀어 넣어 결합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볼트(300)는 상기 고정 볼트(100)의 조립 방향과 반대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볼트의 몸체부(140)는 오른나사산을 형성하고 있어 오른쪽 방향으로 조립되어지는바,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볼트의 각 몸체부(340)는 상기 고정 볼트(100)의 조립 방향과 반대로 조립될 수 있도록 왼나사산을 형성하여 왼쪽 방향으로 조립되도록 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정 볼트의 몸체부(140)가 왼나사산을 형성하여 왼쪽 방향으로 조립되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볼트의 각 몸체부(340)는 오른나사산을 형성하여 오른쪽 방향으로 조립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볼트(100)가 풀리는 방향으로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회전이 발생하더라도, 조립 방향이 반대인 복수의 제1 지지 볼트(300)에서는 조임이 발생함에 따라 효과적으로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지지 볼트(400)는 상기 고정 너트(20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고정 볼트의 몸체부(14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에서 상측으로 고정 너트(200)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볼트(400)의 끝단은 상기 고정 너트(200)를 관통하여 피고정물(10)에 접촉된다.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볼트(400)는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일 실시예에서는 6개의 제2 지지 볼트(400)가 육각형으로 형성된 상기 고정 너트(200)의 꼭지점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볼트(400)는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볼트(300)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볼트(300)와 복수의 제2 지지 볼트(400)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반대 방향으로 피고정물(10)에 접촉됨으로써, 피고정물(10)에 대해 상기의 고정 볼트(100) 및 고정 너트(200)를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볼트(400) 각각은 제2 헤드부(420)와 나사산이 형성된 제2 몸체부(4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헤드부(420)는 육각형, 사각형 등 어느 형상이라도 무관하나, 본 일 실시예에서는 제2 지지 볼트를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손쉽게 고정하거나 풀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되어, 일자 또는 십자의 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제2 지지 볼트(40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고정 너트(200)가 받는 응력을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볼트(400)를 통해 분산시킬 수 있다. 즉,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상기 고정 너트(200)가 풀리는 방향, 하측으로 힘이 가해질 경우, 고정 너트(200) 뿐만 아니라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볼트(400)도 응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 너트가 받는 응력이 감소하여 암나사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고정 너트가 견딜 수 있는 최대 응력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볼트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볼트(400)는 너트에 의해 고정되어지지 않으며, 상기 고정 너트(200)에 형성된 암나사공에 틀어 넣음으로써 결합되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볼트(400)를 설치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고정 너트(200)에 각 제2 지지 볼트의 수나사에 알맞는 암나사공을 형성한 후, 각 제2 지지 볼트를 틀어 넣어 결합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볼트(400)는 상기 고정 너트(200)의 조립 방향과 반대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볼트의 몸체부(140)는 오른나사산을 형성하고 있어 오른쪽 방향으로 조립되며, 고정 너트(200) 또한 오른쪽 방향으로 조립되어지는바,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볼트의 각 몸체부(440)는 상기 고정 너트(200)의 조립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왼나사산을 형성하여 왼쪽 방향으로 조립되도록 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정 너트(200)가 왼쪽 방향으로 조립되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볼트의 각 몸체부(440)는 오른나사산을 형성하여 오른쪽 방향으로 조립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너트(200)가 풀리는 방향으로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회전이 발생하더라도, 조립 방향이 반대인 복수의 제2 지지 볼트(400)에서는 조임이 발생함에 따라 효과적으로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는 상기 고정 볼트의 헤드부(120)와 상기 헤드부(120)가 접촉하는 피고정물(10)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제1 고정판(5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판(500)에는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볼트(300)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1 홈(520)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홈(520)은 복수의 제1 지지 볼트(300)와 같은 갯수로, 같은 위치에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볼트(300)의 끝단부는 상기 각 제1 홈(520)에 삽입 관통되며, 피고정물(10)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제1 고정판(500)은 고정 볼트(100)가 피고정물(10)에 밀착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력이 있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 볼트의 헤드부(120)와 헤드부가 접촉하는 피고정물(10) 사이에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하며, 일부분에 공간이 발생하더라도 제1 고정판(500)의 탄성력에 의해 씰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판에 형성된 제1 홈(520)에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볼트(300)의 끝단부가 삽입됨으로써 하측으로 누르는 힘이 작용해 더욱 밀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고정 볼트의 나사산이 받는 응력을 제1 지지 볼트에 더욱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 너트(200)와 고정 너트가 접촉하는 피고정물(10) 사이에는 제2 고정판(600)이 삽입 설치된다. 상기 제2 고정판(600)에는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볼트(400)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2 홈(620)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홈(620)은 복수의 제2 지지 볼트(400)와 같은 갯수로, 같은 위치에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볼트(400)의 끝단부는 상기 각 제2 홈(620)에 삽입 관통되며, 피고정물(10)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제2 고정판(600)은 고정 너트(200)가 피고정물(10)에 밀착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력이 있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 너트(200)와 고정 너트가 접촉하는 피고정물(10) 사이에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하며, 일부분에 공간이 발생하더라도 제2 고정판(600)의 탄성력에 의해 씰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고정판에 형성된 제2 홈(620)에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볼트(400)의 끝단부가 삽입됨으로써 상측으로 누르는 힘이 작용해 더욱 밀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고정 너트의 나사산이 받는 응력을 제2 지지 볼트에 더욱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3 및 도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는 개략적으로 고정 볼트(100), 고정 너트(200), 복수의 제1 지지 볼트(1300), 복수의 제2 지지 볼트(1400), 제1 고정판(500) 및 제2 고정판(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 볼트(100), 고정 너트(200), 제1 고정판(500) 및 제2 고정판(60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상기와 같으며, 상이한 제1 지지 볼트 및 제2 지지 볼트를 중점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복수의 제1 지지 볼트(1300)는 상기 고정 볼트(10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 볼트의 헤드부(120)의 둘레를 따라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볼트(1300)는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일 실시예에서는 6개의 제1 지지 볼트(1300)가 육각형으로 형성된 상기 헤드부(120)의 꼭지점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볼트(1300) 각각은 제1 헤드부(1320)와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몸체부(13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헤드부(1320)는 육각형, 사각형 등 어느 형상이라도 무관하나, 본 일 실시예에서는 제1 지지 볼트를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손쉽게 고정하거나 풀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되어, 일자 또는 십자의 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볼트(1300) 중 일부는 왼나사산을 형성하며, 나머지 일부는 오른나사산을 형성한다. 즉,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볼트의 몸체부(1340) 중 일부는 외주면에 왼나사산을 형성하며, 나머지 일부는 오른나사산을 형성함으로써, 일부는 왼쪽 방향으로 조립되고, 나머지 일부는 오른쪽 방향으로 조립되어진다. 본 일 실시예에서는, 6개의 제1 지지 볼트(1300)가 육각형으로 형성된 상기 헤드부(120)의 꼭지점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바, 6개의 제1 지지 볼트 중 3개의 제1 지지 볼트의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왼나사산이 형성되고, 다른 3개의 제1 지지 볼트의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오른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왼나사산이 형성된 제1 지지 볼트와 오른나사산이 형성된 제1 지지 볼트는 교대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일정 방향으로 회전이 발생하더라도, 상기의 회전 방향과 반대의 조립 방향을 갖는 복수의 제1 지지 볼트(1300)에서는 조임이 발생함에 따라 효과적으로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볼트(1300)는 너트에 의해 고정되어지지 않으며, 상기 고정 볼트의 헤드부(120)에 형성된 암나사공에 틀어 넣음으로써 결합되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볼트(1300)를 설치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헤드부(120)에 각 제1 지지 볼트의 수나사에 알맞는 암나사공을 형성한 후, 각 제1 지지 볼트를 틀어 넣어 결합하게 된다.
복수의 제2 지지 볼트(1400)는 상기 고정 너트(20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하측에서 상측으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볼트(1400)는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일 실시예에서는 6개의 제2 지지 볼트(1400)가 육각형으로 형성된 상기 고정 너트(200)의 꼭지점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볼트(1400)는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볼트(1300)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볼트(1400) 각각은 제2 헤드부(1420)와 나사산이 형성된 제2 몸체부(14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헤드부(1420)는 육각형, 사각형 등 어느 형상이라도 무관하나, 본 일 실시예에서는 제2 지지 볼트를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손쉽게 고정하거나 풀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되어, 일자 또는 십자의 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볼트(1400) 중 일부는 왼나사산을 형성하며, 나머지 일부는 오른나사산을 형성한다. 즉,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볼트의 몸체부(1440) 중 일부는 외주면에 왼나사산을 형성하며, 나머지 일부는 오른나사산을 형성함으로써, 일부는 왼쪽 방향으로 조립되고, 나머지 일부는 오른쪽 방향으로 조립되어진다. 본 일 실시예에서는, 6개의 제2 지지 볼트(1400)가 육각형으로 형성된 상기 고정 너트(200)의 꼭지점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바, 6개의 제2 지지 볼트 중 3개의 제2 지지 볼트의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왼나사산이 형성되고, 다른 3개의 제2 지지 볼트의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오른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왼나사산이 형성된 제2 지지 볼트와 오른나사산이 형성된 제2 지지 볼트는 교대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일정 방향으로 회전이 발생하더라도, 상기의 회전 방향과 반대의 조립 방향을 갖는 복수의 제2 지지 볼트(1400)에서는 조임이 발생함에 따라 효과적으로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볼트(1400)는 너트에 의해 고정되어지지 않으며, 상기 고정 너트(200)에 형성된 암나사공에 틀어 넣음으로써 결합되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볼트(1400)를 설치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고정 너트(200)에 각 제2 지지 볼트의 수나사에 알맞는 암나사공을 형성한 후, 각 제2 지지 볼트를 틀어 넣어 결합하게 된다.
10 : 피고정물 100 : 고정 볼트
120 : 헤드부 140 : 몸체부
200 : 고정 너트 300, 1300 : 복수의 제1 지지 볼트
320, 1320 : 제1 헤드부 340, 1340 : 제1 몸체부
400, 1400 : 복수의 제2 지지 볼트 420, 1420 : 제2 헤드부
440, 1440 : 제2 몸체부 500 : 제1 고정판
520 : 제1 홈 600 : 제2 고정판
620 : 제2 홈

Claims (11)

  1. 헤드부와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부로 이루어지는 고정 볼트;
    상기 고정 볼트의 몸체부에 결합되기 위한 고정 너트;
    상기 고정 볼트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제1 지지 볼트; 및
    상기 고정 너트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제2 지지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볼트와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볼트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볼트 중 일부는 왼나사산을 형성하며, 나머지 일부는 오른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볼트 중 일부는 왼나사산을 형성하며, 나머지 일부는 오른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왼나사산이 형성된 지지 볼트와 상기 오른나사산이 형성된 지지 볼트는 교대로 배치되며,
    상기 고정 볼트의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가 접촉하는 피고정물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제1 고정판; 및
    상기 고정 너트와 고정 너트가 접촉하는 피고정물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제2 고정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판에는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볼트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1 홈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볼트의 끝단부가 상기 제1 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 고정판에는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볼트와 대향하는 위치에 제2 홈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볼트의 끝단부가 상기 제2 홈에 삽입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볼트는, 상기 고정 볼트의 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고정 볼트의 헤드부와 상기 제1 고정판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끝단이 피고정물에 접촉되고,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볼트는, 상기 고정 볼트의 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고정 너트와 상기 제2 고정판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끝단이 피고정물에 접촉되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082708A 2016-06-30 2016-06-30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 KR101953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708A KR101953949B1 (ko) 2016-06-30 2016-06-30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708A KR101953949B1 (ko) 2016-06-30 2016-06-30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189A KR20180003189A (ko) 2018-01-09
KR101953949B1 true KR101953949B1 (ko) 2019-03-04

Family

ID=61000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708A KR101953949B1 (ko) 2016-06-30 2016-06-30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9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713Y1 (ko) 2004-01-03 2004-03-25 김헌규 너트 풀림방지구조
KR200387751Y1 (ko) 2005-04-11 2005-06-21 라복남 풀림방지 너트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0648A (ja) * 1995-08-28 1997-03-04 Tsubakimoto Emason:Kk 軸継手
KR19980030931U (ko) * 1996-11-30 1998-08-17 배순훈 체결볼트의 풀림방지장치
KR100945807B1 (ko) * 2008-03-28 2010-03-08 (주)씨에프 이엔티 나사 체결구조 및 그 나사 조립체
KR20100004685U (ko) * 2008-10-28 2010-05-07 현대제철 주식회사 풀림 방지용 볼트
KR101366168B1 (ko) * 2011-08-26 2014-02-24 강남훈 나사 체결 장치
KR20150132938A (ko) 2014-05-19 2015-11-27 주식회사 금강기업 풀림방지 볼트 및 너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713Y1 (ko) 2004-01-03 2004-03-25 김헌규 너트 풀림방지구조
KR200387751Y1 (ko) 2005-04-11 2005-06-21 라복남 풀림방지 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189A (ko) 2018-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0465B2 (en) Anti-loosening bolt
KR102243164B1 (ko) 체결 요소 및 체결 조립체
KR101505425B1 (ko) 풀림방지너트
JP2013087947A (ja) クロスボルト緩み止め組み合わせナット
KR20160130663A (ko) 볼트와 너트의 풀림방지구조
KR20120094457A (ko) 풀림방지 너트
JPH1061645A (ja) ロックナット
KR101513433B1 (ko) 와셔부에 홈을 형성하고 자석을 매설한 고장력 마그네틱 볼트 조립체
KR101817948B1 (ko) 풀림방지너트
KR20200009219A (ko) 풀림 방지 볼트 및 너트 보호캡.
KR20180043692A (ko) 풀림 방지 체결구
KR101953949B1 (ko)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
KR101628978B1 (ko) 풀림방지 와셔
KR20100007163U (ko) 볼트 유지 구조.
US7828500B2 (en) Threaded engagement element with self-locking threads
KR102098074B1 (ko) 볼트-너트 조립체
KR20130139050A (ko) 체결력을 높인 볼트너트 결합체
KR101416704B1 (ko) 볼트 풀림 방지구조
JP3182560U (ja) 多重緩み止めナット
KR20100080878A (ko) 볼트 유지 구조.
KR20100072524A (ko) 풀림방지용 와셔
KR102194640B1 (ko) 풀림 방지 기능을 강화한 볼트 어셈블리
KR20110135373A (ko) 너트와너트 사이에 스프링와셔를 삽입한 풀림방지 체결공법
CN206175450U (zh) 用于紧固件的防松装置
JP3199619U (ja) 緩み止めナ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