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414B1 - 연료 소각 장치 - Google Patents

연료 소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414B1
KR102016414B1 KR1020170176808A KR20170176808A KR102016414B1 KR 102016414 B1 KR102016414 B1 KR 102016414B1 KR 1020170176808 A KR1020170176808 A KR 1020170176808A KR 20170176808 A KR20170176808 A KR 20170176808A KR 102016414 B1 KR102016414 B1 KR 102016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uel transfer
blade
mobil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5318A (ko
Inventor
김현석
정낙훈
김재관
김종원
임효남
김성우
황윤지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6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414B1/ko
Publication of KR20190075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6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63J2099/001Burning of transported goods, e.g. fuel, boil-off or refuse
    • B63J2099/003Burning of transported goods, e.g. fuel, boil-off or refuse of cargo oil or fuel, or of boil-off gases, e.g. for propulsive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9/00Specific waste
    • F23G2209/14Gaseous waste or fu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Abstract

연료 소각 장치를 제공한다. 연료 소각 장치는 삽입 및 방출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복수의 연료 이송관을 포함하고, 소각시키고자 하는 연료를 이송하는 연료 이송부와, 상기 이송된 연료를 점화시키는 점화부, 및 상기 복수의 연료 이송관 중 일부 연료 이송관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된 연료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일부 연료 이송관을 이동시키는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료 소각 장치{Fuel incine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연료 소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또는 드릴쉽(drillship)과 같은 해양 구조물은 연료를 보관하기 위한 연료 탱크를 구비할 수 있다. 연료 탱크의 내부는 밀폐된 공간으로서 LNG와 같은 액체 연료가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액체 연료는 외부 요인에 의하여 또는 자연적으로 그 일부가 기화하여 가스로 전환될 수 있다. 가스는 연료 탱크의 내부에 채워지는데, 가스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연료 탱크의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연료 탱크의 내부의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해상 구조물에 플레어 시스템(flare system)이 구비될 수 있다. 플레어 시스템은 연료 탱크에 수용된 가스를 소각시키는 시스템으로서, 연료 탱크에서 가스가 방출되어 소각됨에 따라 연료 탱크의 내부의 압력이 감소될 수 있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0280호 (2017.05.1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연료 소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연료 소각 장치의 일 면(aspect)은 삽입 및 방출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복수의 연료 이송관을 포함하고, 소각시키고자 하는 연료를 이송하는 연료 이송부와, 상기 이송된 연료를 점화시키는 점화부, 및 상기 복수의 연료 이송관 중 일부 연료 이송관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된 연료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일부 연료 이송관을 이동시키는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연료 이송부는, 고정 연료 이송관, 및 상기 고정 연료 이송관에 지지되고, 상기 이송된 연료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고정 연료 이송관에 대하여 이동하는 이동 연료 이송관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 연료 이송관은 복수 개가 구비되고, 직접적으로 결합된 2개의 이동 연료 이송관 중 제 1 이동 연료 이송관은 제 2 이동 연료 이송관에 지지되고, 상기 이송된 연료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제 2 이동 연료 이송관에 대하여 이동한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이송된 연료를 관통시키는 관통홀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된 연료를 가이드하여 상기 블레이드로 집중되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소각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소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연료 이송관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이송부의 전개 및 축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통하여 연료가 통과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에 의하여 이송하는 연료가 가이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소각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소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연료 소각 장치(10)는 연료 이송부(100), 점화부(200) 및 블레이드(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료 이송부(100)는 소각시키고자 하는 연료를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연료 이송부(100)는 연료의 이송 경로인 중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소각시키고자 하는 연료는 기화된 연료일 수 있다. 연료 이송부(100)는 상하 방향으로 긴 관의 형태를 가지면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연료의 이송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연료 소각 장치(10)가 설치되는 해양 구조물(미도시)은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FLNG(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또는 드릴쉽(drillship)일 수 있다.
해양 구조물은 LNG와 같은 액체 연료를 수용하기 위한 연료 탱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액체 연료가 기화하는 경우 가스에 의하여 연료 탱크 내부의 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
연료 탱크 내부의 압력 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연료 소각 장치(10)는 연료를 소각시킬 수 있다. 즉, 연료 소각 장치(10)는 연료 탱크의 내부에 수용된 가스를 전달받아 소각시키는 것으로서, 연료 이송부(100)는 가스 즉, 기화된 연료의 이송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연료 이송부(100)는 삽입 및 방출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복수의 연료 이송관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연료 이송관은 연료의 이송 경로인 중공홀을 포함하는데, 하나의 연료 이송관의 중공홀에 다른 하나의 연료 이송관이 삽입되거나 방출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3개의 연료 이송관을 포함하여 연료 이송부(100)가 구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2개의 연료 이송관을 포함하거나 4개 이상의 연료 이송관을 포함하여 연료 이송부(100)가 구성될 수도 있다.
연료 이송부(100)는 고정 연료 이송관(110) 및 이동 연료 이송관(121, 1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 연료 이송관(110)은 이동 연료 이송관(121, 122)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고정 연료 이송관(110)은 지면 또는 별도의 구조물(미도시)에 고정된 것일 수 있다.
이동 연료 이송관(121, 122)은 고정 연료 이송관(110)에 지지되고, 이송된 연료의 압력에 의하여 고정 연료 이송관(11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동 연료 이송관(121, 122)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이동 연료 이송관(121, 122)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동 연료 이송관 A가 이동 연료 이송관 B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삽입되는 경우 이동 연료 이송관 A와 B는 직접적으로 결합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이동 연료 이송관 B가 이동 연료 이송관 C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삽입되는 경우 이동 연료 이송관 B와 C는 직접적으로 결합된 것이지만, 이동 연료 이송관 A와 C는 간접적으로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직접적으로 결합된 2개의 이동 연료 이송관 중 제 1 이동 연료 이송관(121)은 제 2 이동 연료 이송관(122)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 1 이동 연료 이송관(121)은 이송된 연료의 압력에 의하여 제 2 이동 연료 이송관(122)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하나의 고정 연료 이송관(110) 및 2개의 이동 연료 이송관으로 연료 이송부(100)가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2개의 이동 연료 이송관은 직접적으로 결합된 제 1 이동 연료 이송관(121) 및 제 2 이동 연료 이송관(122)을 포함하며, 제 1 이동 연료 이송관(121) 및 제 2 이동 연료 이송관(122)은 전술한 결합 관계로 동작할 수 있다.
블레이드(300)는 복수의 연료 이송관 중 일부 연료 이송관에 구비되어 이송된 연료의 압력에 의하여 일부 연료 이송관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블레이드(300)는 이동 연료 이송관(121, 122)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송 중인 연료가 블레이드(300)에 부딪히는 경우 미는 압력이 블레이드(300)를 통하여 이동 연료 이송관(121, 122)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이송 중인 연료의 압력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블레이드(300)는 중공홀을 포함하는 깔때기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블레이드(300)의 외측 가장자리는 이동 연료 이송관(121, 122)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몸체는 하측을 향하여 경사지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블레이드(300)의 형상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송 중인 연료의 압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형상이라면 블레이드(300)는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점화부(200)는 이송된 연료를 점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연료는 점화부(200)에 의하여 점화되어 소각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연료 이송관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2 이동 연료 이송관(122)은 고정 연료 이송관(11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소각시키고자 하는 연료는 고정 연료 이송관(110)의 하단으로 진입하여 고정 연료 이송관(110)의 중공홀(SH)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연료는 계속 이동하여 제 2 이동 연료 이송관(122)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전달된 연료 중 일부는 제 2 이동 연료 이송관(122)의 중공홀(MH2)을 통하여 계속 진행하고, 다른 일부는 블레이드(300)에 부딪힐 수 있다.
연료가 블레이드(300)에 부딪힘에 따라 미는 힘이 작용하고, 이어서 제 2 이동 연료 이송관(122)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고정 연료 이송관(110) 및 제 2 이동 연료 이송관(122)은 각각 걸림부(HK) 및 걸림 돌기(H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이동 연료 이송관(122)은 걸림 돌기(HP2)가 걸림부(HK)에 걸릴 때까지 이동할 수 있다. 제 2 이동 연료 이송관(122)의 걸림 돌기(HP2)가 고정 연료 이송관(110)의 걸림부(HK)에 걸림에 따라 제 2 이동 연료 이송관(122)이 고정 연료 이송관(110)에서 완전히 방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이동 연료 이송관(121)은 제 2 이동 연료 이송관(122)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소각시키고자 하는 연료는 제 2 이동 연료 이송관(122)의 하단으로 진입하여 제 2 이동 연료 이송관(122)의 중공홀(MH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해당 연료는 고정 연료 이송관(110)으로부터 전달된 것일 수 있다. 연료는 계속 이동하여 제 1 이동 연료 이송관(121)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전달된 연료 중 일부는 제 1 이동 연료 이송관(121)의 중공홀(MH1)을 통하여 계속 진행하여 외부로 방출되고, 다른 일부는 블레이드(300)에 부딪힐 수 있다. 방출된 연료는 점화부(200)에 의하여 점화되어 소각될 수 있다.
블레이드(300)에 부딪힌 연료는 미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해당 힘에 의하여 제 1 이동 연료 이송관(121)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 1 이동 연료 이송관(121) 및 제 2 이동 연료 이송관(122)은 각각 걸림 돌기(HP1) 및 걸림부(HK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이동 연료 이송관(121)은 걸림 돌기(HP1)가 걸림부(HK2)에 걸릴 때까지 이동할 수 있다. 제 1 이동 연료 이송관(121)의 걸림 돌기(HP1)가 제 2 이동 연료 이송관(122)의 걸림부(HK2)에 걸림에 따라 제 1 이동 연료 이송관(121)이 제 2 이동 연료 이송관(122)에서 완전히 방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이송부의 전개 및 축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연료 이송부(100)는 전개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소각시키고자 하는 연료의 이동이 발생된 경우 해당 연료의 압력에 의하여 이동 연료 이송관(121, 122)이 상승하여 연료 이송부(100)가 전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적인 연료 이송부(100)의 길이가 증가할 수 잇다.
한편, 소각시키고자 하는 연료의 이동이 중단된 경우 연료의 압력이 소멸하고, 이로 인하여 이동 연료 이송관(121, 122)이 하강하여 연료 이송부(100)가 축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적인 연료 이송부(100)의 길이가 감소될 수 있다.
길이가 증가한 상태에서 연료가 소각되기 때문에 소각된 연료에 의한 화염이 지면에서 멀어지고, 이로 인하여 화염의 열에 의한 영향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연료를 소각하지 않는 상태에서 연료 이송부(100)는 길이가 감소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통하여 연료가 통과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301)는 관통홀(310)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310)은 소각시키기 위하여 이송되는 연료를 관통시킬 수 있다. 이송 중인 연료는 블레이드(30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 때, 압력이 지나치게 큰 경우 블레이드(300)가 파손되거나 블레이드(300)와 이동 연료 이송관(121, 122)간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310)은 블레이드(301)에 전달되는 연료의 일부를 관통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블레이드(301)에 가해지는 압력이 약화되고 블레이드(301)의 파손 및 블레이드(301)와 이동 연료 이송관(121, 122)간의 결합 해제가 방지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에 의하여 이송하는 연료가 가이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가이드부(400)는 내측 가이드(410) 및 외측 가이드(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내측 가이드(410) 및 외측 가이드(420)는 서로 다른 크기의 깔때기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외측 가이드(420)의 내경은 내측 가이드(41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내측 가이드(410) 및 외측 가이드(420)의 몸체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내측 가이드(410)는 외측 가이드(420)의 내부에 배치되는데, 내측 가이드(410) 및 외측 가이드(420)의 하측 가장자리간의 거리는 상측 가장자리간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내측 가이드(410) 및 외측 가이드(420)의 하측 가장자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OP1)를 통하여 연료가 진입하고, 내측 가이드(410) 및 외측 가이드(420)의 상측 가장자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OP2)를 통하여 연료가 진출할 수 있다. 이하, 연료가 진입하는 개구를 진입구(OP1)라 하고, 연료가 진출하는 개구를 진출구(OP2)라 한다.
가이드부(400)는 소각시키기 위하여 이송되는 연료를 가이드하여 블레이드(300)로 집중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진입구(OP1)를 통하여 진입한 연료가 진출구(OP2)를 통하여 진출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큰 압력으로 연료가 방출되고, 방출된 연료가 블레이드(300)에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가이드부(400)는 고정 연료 이송관(110)에 구비될 수 있다. 고정 연료 이송관(110)으로 진입한 연료 중 일부는 가이드부(400)로 전달될 수 있다. 가이드부(400)는 진입구(OP1)를 통하여 연료를 입력받고, 진출구(OP2)를 통하여 연료를 출력할 수 있다.
진출구(OP2)의 위치는 고정 연료 이송관(110)에 결합된 제 2 이동 연료 이송관(122)의 블레이드(300)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진출구(OP2)를 통하여 출력된 연료는 블레이드(300)로 전달되고, 블레이드(300)는 보다 큰 압력을 제 2 이동 연료 이송관(122)에 전달하게 된다.
도 10은 고정 연료 이송관(110)에 가이드부(400)가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제 2 이동 연료 이송관(122)에도 가이드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 이동 연료 이송관(122)의 가이드부(400)는 제 1 이동 연료 이송관(121)의 블레이드(300)로 연료를 집중시킬 수 있다.
가이드부(400)가 이송된 연료를 블레이드(300)에 집중시킴에 따라 이동 연료 이송관(121, 122)의 하중이 크더라도 이동 연료 이송관(121, 122)의 상승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연료 소각 장치 100: 연료 이송부
110: 고정 연료 이송부 121, 122; 이동 연료 이송부
200: 점화부 300, 301: 블레이드
310: 관통홀 400: 가이드부
410: 내측 가이드 420: 외측 가이드

Claims (5)

  1. 삽입 및 방출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복수의 연료 이송관을 포함하고, 소각시키고자 하는 연료를 이송하는 연료 이송부;
    상기 이송된 연료를 점화시키는 점화부; 및
    상기 복수의 연료 이송관 중 일부 연료 이송관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된 연료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일부 연료 이송관을 이동시키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블레이드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일부 연료 이송관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내측 중심부는 상기 이송된 연료를 관통시키는 중공홀을 구비하는 연료 소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이송부는,
    고정 연료 이송관; 및
    상기 고정 연료 이송관에 지지되고, 상기 이송된 연료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고정 연료 이송관에 대하여 이동하는 이동 연료 이송관을 포함하는 연료 소각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연료 이송관은 복수 개가 구비되고,
    직접적으로 결합된 2개의 이동 연료 이송관 중 제 1 이동 연료 이송관은 제 2 이동 연료 이송관에 지지되고, 상기 이송된 연료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제 2 이동 연료 이송관에 대하여 이동하는 연료 소각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이송된 연료를 관통시키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연료 소각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된 연료를 가이드하여 상기 블레이드로 집중되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연료 소각 장치.
KR1020170176808A 2017-12-21 2017-12-21 연료 소각 장치 KR102016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808A KR102016414B1 (ko) 2017-12-21 2017-12-21 연료 소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808A KR102016414B1 (ko) 2017-12-21 2017-12-21 연료 소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318A KR20190075318A (ko) 2019-07-01
KR102016414B1 true KR102016414B1 (ko) 2019-08-30

Family

ID=67255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808A KR102016414B1 (ko) 2017-12-21 2017-12-21 연료 소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41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698B1 (ko) * 2015-10-30 2017-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이송라인의 퀵커넥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9067A (ja) * 1991-06-20 1993-03-30 Mitsui Constr Co Ltd ユニツト管
KR101772758B1 (ko) * 2015-04-07 2017-08-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101801753B1 (ko) 2015-10-30 2017-11-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력유닛이 구비된 플레어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698B1 (ko) * 2015-10-30 2017-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이송라인의 퀵커넥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318A (ko) 201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34724T3 (es) Lanza de inyeccion de carbon pulverizado.
KR102016414B1 (ko) 연료 소각 장치
ES2221468T3 (es) Aparato de tipo quemador y procedimiento para la combustion de gases.
KR101801753B1 (ko) 부력유닛이 구비된 플레어붐
CA2793162C (fr) Dispositif de declenchement d'avalanche
KR20190057181A (ko) 코안다 효과를 이용한 플레어 팁 장치
KR102050796B1 (ko) 연료 소각 장치
KR101474954B1 (ko) 폐가스 이송용 플레어 타워
JP2015071981A (ja) ロケット用エンジン燃焼試験装置
KR101398606B1 (ko) 소각 장치
NO20016361L (no) Sugehode for mudring
JPH05123415A (ja) 台車付消火栓
CA2292810A1 (fr) Dispositif pour provoquer la rupture d'une corniche de neige
KR100715242B1 (ko) 성화대용 버너
KR20220127653A (ko) 플레어 팁 장치
JP7152957B2 (ja) 舶用ボイラ及び舶用ボイラの改造方法
KR102459608B1 (ko) 고압 수소 배관용 안전장치
US20060199126A1 (en) Gas phase thermal unit
US20100242812A1 (en) Cyclonic incinerator
JP6644569B2 (ja) ボイラ及びこれを備えた浮体設備
FR2766554A1 (fr) Dispositif de securite pour reservoir destine a contenir un fluide inflammable, notamment un fluide sous pression
KR20190057182A (ko) 수직 기로가 형성된 플레어 팁 장치
CN115839438A (zh) 一种船舶水密舱壁高温穿舱装置
BE524509A (ko)
WO2022129754A1 (fr) Dispositif pour générer une onde de cho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