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793B1 - 디스플레이 패널과 합착재 도포장치 및 합착재 도포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과 합착재 도포장치 및 합착재 도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793B1
KR102015793B1 KR1020120128392A KR20120128392A KR102015793B1 KR 102015793 B1 KR102015793 B1 KR 102015793B1 KR 1020120128392 A KR1020120128392 A KR 1020120128392A KR 20120128392 A KR20120128392 A KR 20120128392A KR 102015793 B1 KR102015793 B1 KR 102015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or
substrate
section
speed
b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1155A (ko
Inventor
손해준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8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793B1/ko
Priority to US14/044,366 priority patent/US9126385B2/en
Priority to CN201310481709.3A priority patent/CN103801490B/zh
Publication of KR20140061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1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32B7/14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applied in spaced arrangements, e.g. in strip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777Edge fe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기판과 제2기판을 합착하기 위한 합착층을 형성하되, 직선구간과 코너구간을 포함하는 합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합착재 도포방법으로서, 상기 직선구간에서 제1거리로 이격되는 합착도트들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기판 상에 합착도트들을 형성하기 위한 합착재를 도포하는 도포부를 제1속도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도포부가 상기 직선구간에서 상기 코너구간으로 진입하면, 상기 코너구간에서 상기 제1거리보다 큰 제2거리로 이격되는 합착도트들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도포부를 상기 제1속도보다 빠른 제2속도로 가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합착재 도포방법, 합착재 도포장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코너구간에서 합착층의 두께를 얇게 하여 합착층이 기판 내부로 침투하여 표시영역을 가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가 표시하는 화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과 합착재 도포장치 및 합착재 도포방법{DISPLAY PANEL, BONDING AGENT DISPENSING APPARATUS AND BONDING AGENT DISPENSING METHOD}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 기판을 합착시키는 합착재 도포장치와 합착재 도포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순히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다른 다양한 기능이 추가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그 일종으로 스크린을 통해 직접 입력정보를 받을 수 있는 터치스크린 기능이 추가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전계 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발광 표시 장치(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있다. 이 중 양산화 기술, 구동수단의 용이성, 고화질의 구현이라는 장점에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광을 받고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위칭 소자로서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표시하고 있다. 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 또는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장치 이외에도, 노트북 컴퓨터, 테블릿 컴퓨터, 네비게이션, 또는 각종 휴대용 정보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부기판과 상부기판에 합착되는 하부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기판과 상기 하부기판의 사이에는 액정층이 형성된다.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이 터치스크린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상부기판의 상부 또는 사기 하부기판의 하부에 터치기판이 합착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합착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1기판(110)과, 제1기판(110) 상에 형성되는 합착층(140)을 구비한다.
상기 합착층(140)은 상기 제1기판(110)과 상기 제1기판(110)과 마주하도록 합착되는 제2기판(미도시)를 합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합착층(140)은 도포라인(130)을 따라 합착재가 도포되면서 형성된다. 상기 도포라인(130)은 제1직선구간(131)과, 상기 제1직선구간(131)에 수직하는 제2직선구간(132)과, 상기 제1직선구간(131)과 상기 제2직선구간(132)을 연결하는 코너구간(133)으로 이루어진다.
종래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합착층(140)을 형성할 때, 상기 제1직선구간(131), 상기 코너구간(133) 및 상기 제2직선구간(132) 순으로 합착재가 도포되어 합착층(140)이 형성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합착재는 상기 제1직선구간(131)에 먼저 도포된 후에, 상기 코너구간(133)에 도포되고,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제2직선구간(132)에 도포된다.
상기 도포라인(130)을 따라 합착재가 도포되는 경우, 상기 도포라인(130)의 형상에 따라 상기 코너구간(133)에는 합착재가 두 번 도포될 수 밖에 없다.
특히, 상기 제1직선구간(131), 상기 제2직선구간(132) 및 상기 코너구간(133)에서 합착층(140)이 동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합착재가 도포된다. 따라서, 상기 코너구간(133)에는 상기 제1직선구간(131) 및 상기 제2직선구간(132)과 동일한 양의 합착재가 두 번 도포된다. 결국, 상기 코너구간(133)에서 상기 합착층(140)의 두께는 상기 제1직선구간(131) 및 상기 제2직선구간(132)에 비해 더 두꺼워질 수 밖에 없다. 또는, 상기 코너구간(133)에서 상기 합착층(140)의 높이는 상기 제1직선구간(131) 및 상기 제2직선구간(132)에 비해 더 높아질 수 밖에 없다. 이러한 현상은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상기 제1기판(110)과 상기 제2기판(미도시)가 합착될 때, 상기 코너구간(133)의 합착층(140)은 상기 제1기판(110)과 상기 제2기판(미도시)에 의해 눌리면서 퍼지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그 중심부에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영역(Active Area)이 형성되는데, 상기 코너구간(133)의 상기 합착층(140)이 퍼지면서 상기 표시영역을 가리게 된다. 상기 합착층(140)은 상기 제1직선구간(131) 및 상기 제2직선구간(132)과 달리 합착재가 두 번 도포되어 합착층(140)의 두께가 더 두껍거나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결국, 상기 합착층(14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되는 화상의 일부를 가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표시하는 화상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상기 코너구간(133)의 합착층(140)이 퍼지면서 상기 제1기판(110)의 외측으로 흘러 나가면서 경화되면, 상기 제1기판(110)과 상기 제2기판(미도시)를 합착한 후에 상기 제1기판(110)의 외측에서 경화된 상기 합착층(140)을 제거하는 공정이 별도로 필요하다. 이렇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제조하는 고정이 복잡해지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코너구간에서 합착층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합착재 도포장치 및 합착재 도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합착재 도포방법은 제1기판과 제2기판을 합착하기 위한 합착층을 형성하되, 직선구간과 코너구간을 포함하는 합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합착재 도포방법으로, 상기 직선구간에서 제1거리로 이격되는 합착도트들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기판 상에 합착도트들을 형성하기 위한 합착재를 도포하는 도포부를 제1속도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도포부가 상기 직선구간에서 상기 코너구간으로 진입하면, 상기 코너구간에서 상기 제1거리보다 큰 제2거리로 이격되는 합착도트들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도포부를 상기 제1속도보다 빠른 제2속도로 가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합착되기 위한 제1기판과 제2기판; 및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을 합착시키기 위한 합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합착층은 상기 제1기판이 갖는 변(邊)들 중에서 제1변에 평행한 제1직선구간 및 상기 제1변에 수직하게 연결된 제2변에 평행한 제2직선구간에서 각각 제1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제1직선구간과 상기 제2직선구간을 연결하는 코너구간에서 상기 제1두께보다 얇은 제2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합착재 도포장치는 제1기판과 제2기판을 합착하기 위한 복수개의 합착도트를 상기 제1기판 상에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기판 쪽으로 합착재를 도포하는 도포부; 상기 제1기판 상에서 합착도트들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도록 상기 도포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제1직선구간에서 제1거리로 이격되는 합착도트들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직선구간에서 상기 도포부가 제1속도로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포부가 상기 제1직선구간에서 코너구간으로 진입하면, 상기 코너구간에서 상기 제1거리보다 큰 제2거리로 이격되는 합착도트들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코너구간에 진입한 도포부가 상기 제1속도보다 빠른 제2속도로 가속하도록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코너구간에서 합착층의 두께를 얇게 하여 합착층이 기판 내부로 침투하여 표시영역을 가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가 표시하는 화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합착층을 나타내는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기판과 합착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5 및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합착재 도포장치가 제1직선구간에서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합착재 도포장치가 코너구간에서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합착재 도포장치의 도포부에 공급되는 전원의 파형을 도시한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합착재 도포장치가 방향전환구간에서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합착재 도포장치의 도포부의 도포라인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합착재 도포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합착층을 나타내는 사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합착되기 위한 제1기판(110)과 제2기판(120), 상기 제1기판(110)과 상기 제2기판(120)을 합착시키기 위한 합착층(140)을 포함한다.
상기 제1기판(110)과 상기 제2기판(120)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합착되며, 상기 제1기판(110)과 상기 제2기판(120) 사이에 상기 제1기판(110)과 상기 제2기판(120)을 합착시키기 위한 합착층(140)이 형성된다.
상기 제1기판(11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네 개의 변을 가진다. 상기 합착층(140)에서 상기 제1기판(110)의 네 개의 변(邊)들 중 하나의 변인 제1변에 평행하게 합착재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부분을 제1직선구간(131)이라 한다. 또한, 상기 합착층(140)에서 상기 제1기판(110)의 제1변에 수직한 제2변에 수직한 제2변에 평행하게 합착재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부분을 제2직선구간(132)이라 한다. 상기 합착층(140)에서 상기 제1직선구간(131)에 해당하는 부분과 상기 제2직선구간(132)에 해당하는 부분은 서로 직교하게 된다.
상기 합착층(140)에서 상기 제1직선구간(131)과 상기 제2직선구간(132)을 연결하는 부분을 코너구간(133)이라 한다. 상기 코너구간(133)에서 상기 합착층(140)의 두께는 상기 제1직선구간(131)과 상기 제2직선구간(132)에서 상기 합착층(140)의 두께에 비해 좁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직선구간(131)과 상기 제2직선구간(132)에서 상기 합착층(140)의 두께를 제1두께라고 정의하고, 상기 코너구간(133)에서 상기 합착층(140)의 두께를 제2두께라고 정의하면, 상기 제2두께는 상기 제1두께에 비해 얇게 형성된다.
앞서 살펴본 바에 의하면 상기 코너구간(133)에서는 합착재가 두 번 도포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의하면, 상기 코너구간(133)에 합착재가 두 번 도포되더라도 상기 코너구간(133)에서 상기 합착층(140)의 두께는 상기 제1직선구간(131) 및 상기 제2직선구간(132)에서 상기 합착층(140)의 두께와 유사하거나 오히려 얇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너구간(133)에서 상기 합착층(140)의 높이는 상기 제1직선구간(131) 및 상기 제2직선구간(132)에서 상기 합착층(140)의 높이와 유사하거나 오히려 낮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의하면 상기 코너구간(133)에 합착재가 두 번 도포되더라도 상기 코너구간(133)의 합착층(140)의 두께가 상기 제1직선구간(131)과 상기 제2직선구간(132)의 합착층(140)의 두께에 비해 얇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기판(110)과 상기 제2기판(120)이 합착되어 상기 합착층(140)을 가압하더라도 상기 코너구간(133)의 합착층(140)이 상기 제1기판(110)의 중심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합착층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표시영역(Active Area)을 가리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표시하는 화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기판(110)과 상기 제2기판(120)이 합착되어 상기 합착층(140)을 가압하더라도 상기 코너구간(133)의 합착층(140)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외측으로 흘러나가면서 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외측으로 흘러나가 경화된 합착층(140)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제거하는 별도의 공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제조하는 공정이 단순화되고, 이로 인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제1기판(110), 상기 제2기판(120), 및 상기 합착층(140)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1기판(110)과 상기 제2기판(120)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합착되는 한 쌍의 기판이다. 상기 제1기판(1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사용되는 기판이다. 상기 제1기판(110)은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가 형성된 기판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기판(11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터치스크린으로 기능하게 하기 위한 터치기판일 수 있다. 상기 제1기판(1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일반적으로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2기판(120)은 상기 제1기판(110)과 합착되는 기판이다. 상기 제2기판(12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사용되는 기판이다. 상기 제2기판(120)은 컬러필터층이 형성된 기판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기판(12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터치스크린으로 기능하게 하기 위한 터치기판일 수 있다. 상기 제2기판(12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일반적으로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기판(110)과 상기 제2기판(120)은 서로 합착되는 기판으로서 상기 제1기판(110)과 상기 제2기판(120)의 크기는 대략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합착층(140)은 상기 제1기판(110)과 상기 제2기판(120)을 합착시킨다. 상기 합착층(140)은 상기 제1기판(110)과 상기 제2기판(120)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기판(110)과 상기 제2기판(120)을 합착시킨다.
상기 합착층(140)은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1기판(110)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기판(110)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합착재가 도포되어 상기 합착층(140)이 형성된다. 상기 합착층(140)은 상기 제1직선구간(131), 상기 코너구간(133), 상기 제2직선구간(132) 순으로 합착재가 도포되면서 형성된다.
상기 합착층(140)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제1직선구간(131) 및 상기 제2직선구간(132)에서 폭보다 상기 코너구간(133)의 폭이 더 얇게 형성된다.
상기 제1기판(110)은 사각형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제1기판(110)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형성되는 상기 합착층(140) 역시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결국 상기 제1기판(110)은 총 4개의 직선구간을 구비하고, 이를 각각 제1직선구간(131), 제2직선구간(132), 제3직선구간(133) 및 제4직선구간(136)으로 정의한다. 또한, 상기 제1직선구간(131)과 제2직선구간(132)을 연결하는 구간을 제1코너구간(133)으로, 상기 제2직선구간(132)과 제3직선구간(133)을 연결하는 구간을 제2코너구간(135)으로, 상기 제3직선구간(133)과 상기 제4직선구간(136)을 연결하는 구간을 제3코너구간(137)으로, 상기 제4직선구간(136)과 상기 제1직선구간(131)을 연결하는 구간을 제4코너구간(138)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2코너구간(135), 상기 제3코너구간(137) 및 상기 제4코너구간(138) 역시 상기 제1코너구간(133)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1직선구간(131), 상기 제2직선구간(132) 상기 제2직선구간(132) 및 상기 제4직선구간(136)의 두께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각 코너에서 합착층(140)이 퍼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표시하는 화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합착층(140)을 나타내는 사진이 도 13에 첨부되어 있다. 도 2의 종래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합착층(140)에 비해 코너구간(133)의 합착층(140)의 두께 및 높이가 제1직선구간(131) 및 제2직선구간(131)의 합착층(140)의 두께 및 높이와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합착재 도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합착재 도포장치는 상기 제1기판(110)과 상기 제2기판(120)을 합착하기 위한 합착재를 상기 제1기판(110) 상에 도포하기 위한 도포부(2), 상기 도포부(2)를 이동시키는 이동부(3), 상기 이동부(3)를 제어하는 제어부(4)를 포함한다.
도 5 및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도포부(2)는 상기 제1기판(110) 상에 합착재를 도포한다. 상기 도포부(2)는 상기 제1기판(110)에 합착재를 도포하여 상기 제1기판(110) 상에 상기 합착층(140)을 형성한다. 상기 도포부(2)는 상기 제1기판(110) 상에 합착도트(10)가 형성되도록 비연속적으로 합착재를 분사한다. 결국, 상기 도포부(2)는 합착도트(10) 형태로 합착재를 상기 제1기판(110)에 도포한다.
상기 도포부(2)는 상기 합착재를 상기 합착도트(10) 형태로 도포하기 위한 제팅밸브(Jetting Valve)일 수 있다. 상기 도포부(2)는 전원이 연결되면 동작하면서 합착재를 분사한다. 반대로, 상기 도포부(2)는 연결된 전원이 제거되면 바로 동작을 멈추고 합착재 분사를 멈춘다.
제팅밸브 타입의 도포부는 이동하면서 합착재를 상기 합착도트(10) 형태로 분사한다. 결국, 상기 도포부(2)에 의해 상기 제1기판(110)에 도포되는 합착도트(10)는 서로 이격되어 소정의 거리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상기 도포부(2)는 상기 제1기판(110)을 향해 합착재를 도포할 수 있도록 갠트리(20)에 지지된다. 즉, 상기 갠트리(20)는 상기 도포부(2)를 지지한다. 상기 도포부(2)는 상기 갠트리(20)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도포부(2)는 상기 갠트리(20)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한다.
도 5, 도 7 및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이동부(3)는 상기 도포부(2)를 이동시킨다. 상기 이동부(3)에 의해 상기 도포부(2)가 이동하면서, 상기 제1기판(110)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합착재를 도포하고, 이에 따라 상기 합착층(140)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이동부(3)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 등을 이용한 실린더방식, 랙기어와 피니언기어 등을 이용한 기어방식, 볼스크류 등을 이용한 볼스크류방식, 풀리와 벨트 등을 이용한 벨트방식, 코일과 영구자석 등을 이용한 리니어모터 방식 등을 이용하여 상기 도포부(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부(3)는 상기 도포부(2)를 승강시킬 수도 있다. 상기 도포부(2)는 상기 이동부(3)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부(3)는 도 11에 도시된 상기 도포라인(130)을 따라 상기 도포부(2)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1기판(110) 상에 합착재를 도포하여 상기 합착층(140)을 형성시킨다. 상기 도포라인(130)은 상기 합착층(140)을 형성하기 위해 제1직선구간(131), 상기 제1직선구간(131)에 수직한 상기 제2직선구간(132) 및 상기 제1직선구간(131)과 상기 제2직선구간(132)을 연결하는 코너구간(133)을 포함한다.
도 5 및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제어부(4)는 상기 이동부(3)를 제어하여 상기 도포부(2)가 구간에 따라 다른 속도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어부(4)는 상기 도포부(2)가 상기 제1직선구간(131)에서 제1속도로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부(3)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상기 도포부(2)는 상기 제1기판(110) 상에 상기 합착도트(10)가 제1거리(L1)로 이격되도록 상기 합착도트(10)를 도포한다. 상기 제1직선구간(131)에서 상기 제1거리(L1)로 이격되도록 도포된 상기 합착도트(10)는 상기 제1기판(110)과 상기 제2기판(120)이 합착되면 제1두께를 가지게 된다. 즉, 상기 합착도트(10)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합착층(140)은 상기 제1두께를 가지게 된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어부(4)는 상기 도포부(2)가 상기 제1직선구간(131)에서 상기 코너구간(133)으로 진입하면, 상기 도포부(2)가 제2속도로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부(3)를 제어한다. 상기 제2속도는 상기 제1속도에 비해 빠른 속도이다. 이에 의해 상기 도포부(2)는 상기 제1기판(110) 상에 상기 합착도트(10)가 제2거리(L2)로 이격되도록 상기 합착도트(10)를 도포한다. 상기 코너구간(133)에서 상기 도포부(2)는 상기 제1속도에 비해 빠른 제2속도로 상기 합착도트(10)를 도포하므로, 상기 코너구간(133)에서 상기 합착도트(10)간 이격거리는 상기 제1직선구간(131)에서 상기 합착도트(10)간 이격거리에 비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거리(L2)는 상기 제1거리(L1)에 비해 크게 형성된다. 상기 코너구간(133)에서 상기 제2거리(L2)로 이격되어 도포된 상기 합착도트(10)는 상기 제1기판(110)이 상기 제2기판(120)이 합착되면 제2두께를 가지게 된다. 즉, 상기 합착도트(10)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합착층(140)은 상기 제2두께를 가진다. 상기 코너구간(133)에서 상기 합착도트(10) 사이의 이격거리인 상기 제2거리(L2)는 상기 제1직선구간(131)에서 상기 합착도트(10) 사이의 이격거리인 상기 제1거리(L1)에 비해 크기 때문에, 상기 코너구간(133)에서 상기 합착도트(10)의 밀집도는 상기 제1직선구간(131)에서 상기 합착도트(10)의 밀집도에 비해 작다. 결국, 상기 코너구간(133)에서 상기 합착도트(10)의 두께는 상기 제1직선구간(131)에서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코너구간(133)에서 상기 합착도트(10)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합착층(140)의 두께 역시 상기 제1직선구간(131)에 비해 얇게 형성된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1직선구간(131)과 상기 제2직선구간(132)이 만나는 점을 제1꼭지점(133a)이라고 정의한다. 상기 합착층(140)은 상기 제1기판(110)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서 형성되므로 상기 제1꼭지점(133a)까지 형성되면 족하다. 따라서, 상기 도포부(2)는 상기 제1꼭지점(133a)까지만 상기 합착도트(10)를 도포한다. 즉, 상기 제1꼭지점(133a)을 지나도 상기 도포부(2)는 상기 이동부(3)에 의해 계속 이동을 하지만, 상기 도포부(2)는 상기 제1꼭지점(133a)을 지나서는 상기 합착도트(10)를 도포하지 않는다. 상기 도포부(2)가 상기 제1꼭지점(133a)을 지나서도 계속하여 상기 합착도트(10)를 분사하면 상기 제1기판(110)의 외측으로 상기 합착도트(10)가 흘러나갈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도포부(2)를 구동시키는 전원부(미도시)가 공급하는 전원의 주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전원부는 상기 도포부(2)에 전원을 펄스 형태로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전원부가 상기 도포부(2)에 전원을 공급하면 상기 도포부(2)는 상기 합착재를 도포하고, 상기 전원부가 상기 도포부(2)에 전원을 차단하면, 상기 도포부(2)는 상기 합착재 도포를 멈춘다.
상기 그래프에서 x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y축은 상기 전원부에 의해 펄스 형태로 공급되는 전원을 도시한다. 도 9에서 위의 그래프는 제1직선구간(131)에서 상기 전원부가 상기 도포부(2)에 공급하는 전원을 도시한다. 반면, 도 9에서 아래 그래프는 코너구간(133)에서 상기 전원부가 상기 도포부(2)에 공급하는 전원을 도시한다.
두 도면을 비교하면 동일한 주기를 가지나, 상기 전원부가 상기 도포부(2)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간이 상기 코너구간(133)에서 짧아진다. 이렇게 하면, 상기 도포부(2)에서 상기 합착재를 분사하는 시간이 짧아지고, 상기 합착재를 분사하지 않는 시간은 길어지게 된다. 이렇게 하면, 상기 코너구간(133)에서 상기 제1기판(110)에 형성되는 상기 합착도트(10) 사이의 이격거리가 상기 제1직선구간(131)에서 보다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포부(2)를 더 빠른 속도로 이동시키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도포부(2)는 그 이동속도를 조절하지 않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부가 상기 도포부(2)의 분사시간을 조절하여 상기 합착도트(10)의 이격거리를 상기 제1거리(L1)에서 상기 제2거리(L2)로 변경하게 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도포부(2)의 이동속도 조절과 함께, 상기 도포부(2)의 분사시간을 조절하여 상기 합착도트(10)의 이격거리를 상기 제1거리(L1)에서 상기 제2거리(L2)로 변경하게 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도포부에 공급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시간을 동일하게 하나, 주기를 길게 해도 위와 같이 상기 합착도트(10)의 이격거리를 상기 제1거리(L1)에서 상기 제2거리(L2)로 변경하게 할 수도 있다. 주기를 길게 하면 결국 상기 도포부(2)가 상기 합착재를 도포하지 않는 시간을 연장시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제어부(4)는 상기 방향전환구간(133b)으로 진입하면, 상기 도포부(2)가 제3속도로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부(3)를 제어한다. 상기 제3속도는 상기 제2속도에 비해 느린 속도이다. 상기 도포부(2)는 상기 제1꼭지점(133a)을 지난 후로는 상기 제1기판(110) 상에 합착도트(10)를 도포하지 않으므로 상기 방향전환구간(133b)에서 상기 도포부(2)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것은 상기 합착도트(10) 사이의 이격거리와는 무관하다.
상기 방향전환구간(133b)에서 상기 도포부(2)의 속도를 상기 제2속도에서 제3속도로 감속하지 않으면 상기 도포부(2)는 관성에 의해 상기 전환점(133c)에서 바로 방향을 전화하지 못하고 상기 전환점(133c)을 지나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코너구간(133)에 다시 진입하고, 재진입한 상기 코너구간(133)을 지나 상기 제2직선구간(132)에 진입하더라도 도포라인(130)보다 안쪽에 합착재를 도포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도포라인(130)보다 안쪽으로 합착재를 도포하면 상기 제1기판(110)이 상기 제2기판(120)이 합착되면서 상기 합착재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합착층(140)을 가압할 때, 상기 합착층(140)이 퍼지면서 표시영역을 가릴 수도 있다. 이는 결국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표시하는 화상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포부(2)는 상기 전환점(133c)에서 정확하게 방향 변경을 하여 상기 도포라인(130)을 따라 합착재를 도포해야 한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도포부(2)의 이동에 의한 관성을 줄이도록 상기 방향전환구간(133b)에서 상기 제어부(4)는 상기 도포부가 상기 제2속도보다 느린 제3속도로 감속되도록 상기 이동부(3)를 제어한다.
상기 도포부(2)가 상기 방향전환구간(133b)에서 느린 속도(제3속도)로 이동하면 상기 전환점(133c)에서 정확하게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도포라인(1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5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도포부(2)는 상기 방향전환구간(133b) 및 상기 전환점(133c)을 지나 다시 코너구간(133)으로 진입한다. 상기 제어부(4)는 상기 코너구간(133)으로 다시 진입하는 상기 도포부(2)가 다시 상기 제2속도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부(3)를 제어한다.
상기 도포부(2)는 상기 코너구간(133) 내에서 상기 제1꼭지점(133a)을 다시 지나게 되도, 상기 제1꼭지점(133a)을 지나면서부터 다시 합착도트(10)을 상기 제1기판(110)에 도포한다. 이때, 상기 도포부(2)는 상기 제2속도로 이동하므로 상기 제1기판(110)에 형성되는 상기 합착도트(10)는 상기 제2거리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합착도트(10)에 의해 형성되는 합착층(140)은 상기 제2두께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코너구간(133)에는 이미 상기 도포부(2)에 의해 상기 제2거리로 이격되도록 상기 합착도트(1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도포부(2)는 이미 상기 제1기판(110)에 도포된 상기 합착도트(10)와 중첩되도록 다시 합착도트(10)를 도포하게 된다. 따라서, 각각 도포로 형성되는 상기 합착도트(10)는 상기 제2거리로 이격되지만, 도포가 두 번 되므로 상기 제2거리(L2)보다 짧은 이격거리로 상기 합착도트(10)가 이격된다. 결국, 상기 합착도트(10)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합착층(140)의 두께도 상기 제2두께에 비해 두꺼워 진다. 다만, 상기 제2거리(L2)는 상기 제1거리(L1)에 비해 크고, 합착도트(10)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합착층(140)의 두께도 제2두께로 상기 제1두께에 비해 얇은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기판(110)과 상기 제2기판(120)이 합착되면서 상기 합착층(140)을 가압하여 상기 합착층(140)이 퍼지더라도 상기 표시영역을 가릴 정도로 퍼지지는 않는다.
도 5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제어부(4)가 상기 도포부(2)가 상기 코너구간(133)을 지나 상기 제2직선구간(132)으로 진입하면, 상기 도포부(2)가 상기 제1속도로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부(3)를 제어한다. 상기 제1속도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제2속도에 비해 느린 속도이다. 이에 의해 상기 도포부(2)는 상기 제1기판(110) 상에 상기 합착도트(10)가 상기 제1거리(L1)로 이격되도록 상기 합착도트(10)를 도포한다. 또한, 상기 제2직선구간(132)에서 상기 합착도트(10)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합착층(140)은 상기 제1두께를 가진다.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도포부(2)가 상기 제1기판(110) 전체에 합착재를 도포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상기 코너구간을 제1코너구간이라고 하고, 상기 방향전환구간을 제1방향전환구간이라고 다시 정의한다.
상기 도포부(2)는 제4코너구간(138)에서 시작하여 상기 제1직선구간(131)으로 진입한 후 상기 제1코너구간(133)을 지나 상기 제1방향전환구간(133b)을 통과한다. 그 후, 다시 제1코너구간(133)을 지나 상기 제2직선구간(132)으로 진입한다.
또한, 상기 도포부(2)는 상기 제2직선구간(132)에서 상기 제2코너구간(135)을 지나 상기 제2방향전환구간(135b)을 통과한 후, 다시 제2코너구간(135)을 지나 상기 제3직선구간(133)으로 진입한다.
다음으로, 상기 도포부(2)는 상기 제3직선구간(133)에서 상기 제3코너구간(137)을 지나 상기 제3방향전환구간(137b)을 통과한 후, 다시 제3코너구간(137)을 지나 상기 제4직선구간(136)으로 진입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도포부(2)는 상기 제4직선구간(136)에서 상기 제4코너구간(138)을 지나면서 상기 합착재의 도포를 종료한다.
직선구간(131, 132, 134, 136)에서, 상기 도포부(2)는 상기 제1속도로 이동하고, 상기 도포부(2)에서 상기 제1기판(110)에 도포되는 상기 합착도트(10)는 상기 제1거리(L1)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반면, 코너구간(133, 135, 137, 138)에서, 상기 도포부(2)는 상기 제2속도로 이동하고, 상기 도포부(2)에서 상기 제1기판(110)에 도포되는 상기 합착도트(10)는 상기 제2거리(L2)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다만, 상기 코너구간(133, 135, 137, 138)에서 상기 꼭지점(133a, 135a, 137a, 138a)을 기준으로 상기 도포부(2)가 상기 합착재를 도포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구간(133b, 135b, 137b, 138b)에서는 상기 도포부(2)는 상기 제3속도로 이동한다. 이 구간에서 상기 도포부는 상기 합착재를 도포하지는 않는다.
각 구간별 상기 제어부(4), 상기 이동부(3) 및 상기 도포부(2)의 구체적 동작은 앞에 설명한 바와 중첩되므로 생략한다.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합착재 도포장치는 제1제어부(41)와, 제2제어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41)는 상기 이동부(3)를 제어하여 상기 도포부(2)의 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말한다.
반면, 상기 제2제어부(42)는 상기 이동부(3)를 제어하지는 않으나, 본 발명에 따른 합착재 도포장치의 작동 중에 수집되는 각종 데이터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포부(2)의 이동 중에 상기 도포부(2)의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도포부(2)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계산한다. 이에 따라 상기 도포부(2)가 어느 속도로 이동하고, 어느 주기로 합착재를 도포하며, 어느 방향으로 이동해야 하는지를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계산 결과를 통해 상기 제2제어부(42)는 상기 도포부(2)의 이동 속도 데이터를 상기 제1제어부(41)로 전달하여 상기 제1제어부(41)가 상기 이동부(3)를 제어하게 한다. 또는, 상기 제2제어부(42)는 상기 위의 계산 결과를 통해 상기 도포부(2)의 전원 공급 주기 데이터를 상기 전원부(미도시)로 전달하여 상기 전원부가 상기 도포부(2)의 분사 주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상기 제1제어부(41)는 상기 이동부(3)의 이동만을 제어하고, 상기 제2제어부(42)는 각종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제어부를 분리하여 상기 도포부(2)에서 분사되는 상기 합착재 및 상기 합착도트(10)의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하고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합착재 도포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합착재 도포방법은 상기 제1기판(110)과 상기 제2기판(120)이 합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기판(110)에 합착재를 도포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합착재 도포방법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합착재 도포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합착재 도포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직선구간(131, 132, 134, 136)에서 제1거리(L1)로 이격되는 상기 합착도트(10)들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기판(110) 상에 합착도트(10)들을 형성하기 위한 합착재를 도포하는 상기 도포부(2)를 제1속도로 이동시킨다. 상기 도포부(2)를 제1속도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도포부(2)가 상기 직선구간(131, 132, 134, 136) 상에 위치할 때, 상기 제어부(4)가 상기 이동부(3)를 제어하여 상기 도포부(2)를 상기 제1속도로 이동시키게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상기 도포부(2)가 상기 직선구간(131, 132, 134, 136)에서 상기 코너구간(133, 135, 137, 138)으로 진입하면, 상기 코너구간(133, 135, 137, 138)에서 상기 제1거리(L1)보다 큰 상기 제2거리(L2)로 이격되는 합착도트(10)들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도포부(2)를 상기 제1속도보다 빠른 제2속도로 가속시킨다. 상기 도포부(2)를 상기 제2속도로 가속시키는 단계는 상기 도포부(2)가 상기 직선구간(131, 132, 134, 136)에서 상기 코너구간(133, 135, 137, 138)으로 진입하면, 상기 제어부(4)가 상기 이동부(3)를 제어하여 상기 도포부(2)를 상기 제2속도로 가속시키게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합착재 도포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포부(2)가 상기 코너구간(133, 135, 137, 138)에서 상기 도포부(2)가 이동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구간(133b, 135b, 137b, 138b)으로 진입하면, 상기 방향전환구간(133b, 135b, 137b, 138b)에 진입한 도포부(2)를 상기 제2속도보다 느린 제3속도로 감속시킨다. 상기 도포부(2)를 상기 제3속도로 감속시키는 단계는 상기 도포부(2)가 상기 코너구간(133, 135, 137, 138)에서 상기 방향전환구간(133b, 135b, 137b, 138b)으로 진입하면, 상기 제어부(4)가 상기 이동부(3)를 제어하여 상기 도포부(2)를 상기 제3속도로 감속시키게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합착재 도포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포부(2)가 상기 방향전환구간(133b, 135b, 137b, 138b)에서 상기 코너구간(133, 135, 137, 138)으로 진입하면, 상기 코너구간(133, 135, 137, 138)으로 진입한 도포부(2)를 상기 제2속도로 가속시킨다. 상기 도포부(2)를 상기 제2속도로 다시 가속시키는 단계는 상기 도포부(2)가 상기 방향전환구간(133b, 135b, 137b, 138b)에서 상기 코너구간(133, 135, 137, 138)으로 진입하면, 상기 제어부(4)가 상기 이동부(3)를 제어하여 상기 도포부(2)를 상기 제2속도로 가속시키게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직선구간에서 상기 도포부를 제1속도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포부(2)가 상기 직선구간(131, 132, 134, 136)에서 제1주기로 합착재를 도포한다. 상기 도포부(2)가 상기 제1주기로 합착재를 도포하는 단계는 전원부(미도시)가 상기 도포부(2)에 상기 제1주기로 전원을 공급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코너구간에서 상기 도포부를 상기 제2속도로 가속시키는 단계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포부(2)가 상기 코너구간(133, 135, 137, 138)에서 상기 제1주기보다 긴 제2주기로 합착재를 도포한다. 상기 도포부(2)가 상기 제2주기로 합착재를 도포하는 단계는 전원부(미도시)가 상기 도포부(2)에 상기 제2주기로 전원을 공급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합착재 도포장치 2 : 도포부
3 : 이동부 4 : 제어부
10 : 합착도트
100 : 디스플레이 패널 110 : 제1기판
120 : 제2기판 130 : 도포라인
140 : 합착층

Claims (10)

  1. 제1기판과 제2기판을 합착하기 위한 합착층을 형성하되, 직선구간과 코너구간을 포함하는 합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합착재 도포방법으로,
    상기 직선구간에서 제1거리로 이격되는 합착도트들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기판 상에 합착도트들을 형성하기 위한 합착재를 도포하는 도포부를 제1속도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도포부가 상기 직선구간에서 상기 코너구간으로 진입하면, 상기 코너구간에서 상기 제1거리보다 큰 제2거리로 이격되는 합착도트들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도포부를 상기 제1속도보다 빠른 제2속도로 가속시키는 단계; 및
    상기 도포부가 상기 코너구간에서 상기 도포부가 이동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구간으로 진입하면, 상기 방향전환구간에 진입한 도포부를 상기 제2속도보다 느린 제3속도로 감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도포부는 상기 방향전환구간에서 상기 합착재를 도포하지 않는 합착재 도포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가 상기 방향전환구간에서 상기 코너구간으로 진입하면, 상기 코너구간으로 진입한 도포부를 상기 제2속도로 가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합착재 도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구간에서 상기 도포부를 제1속도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도포부가 상기 직선구간에서 제1주기로 합착재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구간에서 상기 도포부를 상기 제2속도로 가속시키는 단계는, 상기 도포부가 상기 코너구간에서 상기 제1주기보다 긴 제2주기로 합착재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합착재 도포방법.
  5.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합착되기 위한 제1기판과 제2기판; 및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을 합착시키기 위한 합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합착층은 상기 제1기판이 갖는 변(邊)들 중에서 제1변에 평행한 제1직선구간 및 상기 제1변에 수직하게 연결된 제2변에 평행한 제2직선구간에서 각각 제1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제1직선구간과 상기 제2직선구간을 연결하는 코너구간에서 상기 제1두께보다 얇은 제2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합착층의 제1두께는 상기 제1기판 상에 합착재를 도포하는 도포부가 제1속도로 이동하면서 합착재를 도포한 후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이 합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합착층의 제2두께는 상기 도포부가 상기 제1속도보다 빠른 제2속도로 가속되면서 합착재를 도포한 후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이 합착되어 형성되며,
    상기 코너구간에서 상기 도포부가 이동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구간으로 진입하면 상기 도포부가 상기 제2속도보다 느린 제3속도로 감속되되, 상기 합착재를 도포하지 않아서 상기 방향전환구간에는 상기 합착층이 형성되지 않는 디스플레이 패널.
  6. 제1기판과 제2기판을 합착하기 위한 복수개의 합착도트를 상기 제1기판 상에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기판 쪽으로 합착재를 도포하는 도포부;
    상기 제1기판 상에서 합착도트들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도록 상기 도포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제1직선구간에서 제1거리로 이격되는 합착도트들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직선구간에서 상기 도포부가 제1속도로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포부가 상기 제1직선구간에서 코너구간으로 진입하면, 상기 코너구간에서 상기 제1거리보다 큰 제2거리로 이격되는 합착도트들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코너구간에 진입한 도포부가 상기 제1속도보다 빠른 제2속도로 가속하도록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포부가 상기 코너구간에서 상기 도포부가 이동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구간으로 진입하면, 상기 방향전환구간에 진입한 도포부가 상기 제2속도보다 느린 제3속도로 감속되도록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도포부는 상기 방향전환구간에서 상기 합착재를 도포하지 않는 합착재 도포장치.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포부가 상기 방향전환구간에서 상기 코너구간으로 진입하면, 상기 도포부가 상기 제2속도로 가속하도록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는 합착재 도포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직선구간에서 상기 도포부가 제1주기로 합착재를 도포하고, 상기 코너구간에서 상기 도포부가 상기 제1주기보다 긴 제2주기로 합착재를 도포하도록 상기 도포부를 제어하는 합착재 도포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도포부가 상기 코너구간에서 상기 제1직선구간과 다른 방향을 향하는 제2직선구간으로 진입하면, 상기 도포부가 상기 제1속도로 감속하도록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는 합착재 도포장치.
KR1020120128392A 2012-11-13 2012-11-13 디스플레이 패널과 합착재 도포장치 및 합착재 도포방법 KR102015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392A KR102015793B1 (ko) 2012-11-13 2012-11-13 디스플레이 패널과 합착재 도포장치 및 합착재 도포방법
US14/044,366 US9126385B2 (en) 2012-11-13 2013-10-02 Display panel and adhesive coating apparatus and method
CN201310481709.3A CN103801490B (zh) 2012-11-13 2013-10-15 显示面板、粘结剂涂布装置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392A KR102015793B1 (ko) 2012-11-13 2012-11-13 디스플레이 패널과 합착재 도포장치 및 합착재 도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155A KR20140061155A (ko) 2014-05-21
KR102015793B1 true KR102015793B1 (ko) 2019-08-29

Family

ID=50681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392A KR102015793B1 (ko) 2012-11-13 2012-11-13 디스플레이 패널과 합착재 도포장치 및 합착재 도포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26385B2 (ko)
KR (1) KR102015793B1 (ko)
CN (1) CN1038014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0272B2 (en) * 2010-06-07 2013-11-26 Georgia-Pacific Gypsum Llc Acoustical sound proofing material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WO2019053537A1 (en) * 2017-09-15 2019-03-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RRAY LINKED CURVED LIQUID CRYSTAL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KR102401228B1 (ko) * 2020-10-12 2022-05-23 이재완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용 디스펜싱 장치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3866A (ja) 1998-09-18 2000-04-04 Hitachi Techno Eng Co Ltd ペースト塗布方法とペースト塗布機
JP2000271521A (ja) * 1999-03-24 2000-10-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ペースト塗布装置およびペースト塗布方法
JP2005218971A (ja) * 2004-02-06 2005-08-18 Hitachi Industries Co Ltd ペースト塗布機と塗布方法
US20050188920A1 (en) 2003-02-28 2005-09-01 Shibaura Mechatronics Corporation Paste applica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11025229A (ja) 2009-06-23 2011-02-10 Shibaura Mechatronics Corp ペースト塗布装置及びペースト塗布方法
US20120320327A1 (en) 2011-06-17 2012-12-20 Park Young-Bae Variable width sea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84061A (ja) 1988-01-14 1989-07-21 Nissan Motor Co Ltd 粘性材料塗布装置
JP2008046307A (ja) 2006-08-14 2008-02-28 Sharp Corp 液晶表示パネル
JP5154879B2 (ja) 2007-10-01 2013-02-27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体材料の塗布装置、塗布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214698B1 (ko) 2009-06-23 2012-12-21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페이스트 도포 장치 및 페이스트 도포 방법
KR101661289B1 (ko) * 2009-12-17 2016-09-30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도포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5468039B2 (ja) 2011-04-11 2014-04-0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3866A (ja) 1998-09-18 2000-04-04 Hitachi Techno Eng Co Ltd ペースト塗布方法とペースト塗布機
JP2000271521A (ja) * 1999-03-24 2000-10-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ペースト塗布装置およびペースト塗布方法
US20050188920A1 (en) 2003-02-28 2005-09-01 Shibaura Mechatronics Corporation Paste applica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05218971A (ja) * 2004-02-06 2005-08-18 Hitachi Industries Co Ltd ペースト塗布機と塗布方法
JP2011025229A (ja) 2009-06-23 2011-02-10 Shibaura Mechatronics Corp ペースト塗布装置及びペースト塗布方法
US20120320327A1 (en) 2011-06-17 2012-12-20 Park Young-Bae Variable width se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26385B2 (en) 2015-09-08
US20140134406A1 (en) 2014-05-15
KR20140061155A (ko) 2014-05-21
CN103801490B (zh) 2015-12-02
CN103801490A (zh) 201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5793B1 (ko) 디스플레이 패널과 합착재 도포장치 및 합착재 도포방법
JP6271289B2 (ja) 接着剤塗布装置、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装置及び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方法
KR20100025290A (ko) 디스펜서 및 이를 이용한 실런트 등의 도포 방법
US8613823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bonded member and bonded member manufacturing apparatus
CN105289948A (zh) 涂敷方法、涂敷装置、制造方法及制造装置
KR102091884B1 (ko) 워크 접합 방법 및 워크 접합 장치
KR20160070672A (ko) 기판 분단 방법 및 스크라이브 장치
KR101660062B1 (ko) 도포 장치 및 도포 방법
JP2013200430A (ja) 基板の貼り合わせ方法及び貼り合わせ装置
JP5902525B2 (ja) 基板の貼り合わせ方法及び貼り合わせ装置
KR101190939B1 (ko) 디스펜싱 제어방법
EP374765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joined member
CN201500625U (zh) 胶涂布装置
CN105903651B (zh) 一种封框胶涂布方法及装置
KR102241617B1 (ko) 기판 처리 장치
JPH10277469A (ja) 部材接着方法及び部材接着装置
JP5745152B1 (ja) 貼合機用液剤塗布装置及び貼合機用液剤塗布方法
JP5902524B2 (ja) 基板の貼り合わせ方法及び貼り合わせ装置
TW201031968A (en) Stage for a dispens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the stage and a dispensing head unit in the dispenser
JP2007033589A (ja) 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塗布装置
KR20160102766A (ko) 윈도우 글래스 합착 방법
KR101471455B1 (ko) 레진 합착 방법
KR20050066345A (ko) 액정 표시 패널의 시일재 경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화방법
KR100735092B1 (ko) 엘씨디 패널의 본딩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27873A (ko) 액정표시패널의 제조장치와 액정표시패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