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389B1 - 아민류를 함유한 제형에서 이취 마스킹이 가능한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민류를 함유한 제형에서 이취 마스킹이 가능한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389B1
KR102015389B1 KR1020190017989A KR20190017989A KR102015389B1 KR 102015389 B1 KR102015389 B1 KR 102015389B1 KR 1020190017989 A KR1020190017989 A KR 1020190017989A KR 20190017989 A KR20190017989 A KR 20190017989A KR 102015389 B1 KR102015389 B1 KR 102015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dehyde
fragrance
composition
dimethyl
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9984A (ko
Inventor
김후덕
이지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190019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3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데하이드 향료 성분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민류를 함유한 제형을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이취, 불쾌취를 억제할 수 있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그린계열의 알데하이드 향료를 포함함으로써 아민을 포함하는 양이온성 물질로 인해 발생하는 이취, 불쾌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플로랄계열 또는 시트러스계열의 향료를 혼합함으로써 향기가 고급스러우며 잔향성 증진 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아민류를 함유한 제형에서 이취 마스킹이 가능한 향료 조성물{Fragrance composition for deodorizing in formulation comprising an amine}
본 발명은 알데하이드 향료 성분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민류 화합물을 함유한 제형을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이취, 불쾌취를 마스킹할 수 있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용품, 화장품은 청결하고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한다. 그 기능과 효능을 증대시키기 위해 다양한 원료와 소재를 배합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중 일부 원료는 긍정적인 기능 이외에 이취, 불쾌취 등이 있어 사용성 및 감성적 욕구를 저해한다.
특히, 제품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폴리머의 아민류는 부패취, 꼬린내 등을 유발하는 경우 많다. 이러한 이취는 아주 작은 정도라도 제품의 중요한 하자로 인식되기 때문에 개선되어야 하는 사항이다. 또한, 제품의 이취, 불쾌취는 직접적으로 구매력에 영향을 미치고 사용 후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낮추는 역효과가 있어 많은 기업에서 제어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제제의 이취를 마스킹하기 위해 사용되는 향료는 휘발도(b.p)가 250℃ 이하인 향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휘발도가 낮은 향료물질은 강하고 쉽게 휘발되는 특징이 있어 순간적인 이취 마스킹은 가능하나 제품 사용 후 또는 보관 중에 느껴지는 이취의 마스킹 효과가 지속적이지 못한 한계가 있다. 또한 향의 특징이 단순하여 향을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우수한 감성품질 구현 및 차별화에 한계가 있다.
제품의 이취, 불쾌취를 낮추는 통상적인 방법으로는 부향율을 높이는 것이다. 그러나 지나치게 높은 부향율은 제품의 안정성과 경시에 따른 변취 유발 가능성이 높고 제품의 원가를 높여 한계가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잔향을 증대시켜 이취를 마스킹하는 방법이다. 잔향성을 높이는 다른 방법으로는 끓는점이 250℃ 이상인 원료와 용해도를 나타내는 ClogP가 3 이상인 원료의 비율이 높은 향료를 사용하는 것이다(미국 특허 제6,086,903호). 향료가 휘발되어 느껴지는 것이 증기압에 의한 특징인데, 이러한 증기압(vapor pressure)은 물질의 끓는점(boiling point)과 반비례 관계에 있으므로, 향료의 끓는점이 높을수록 잔향이 증가되는 특성이 있다. ClogP는 단일 향료를 옥탄올에 녹였을 때와 물에 녹였을 때 용해도의 비를 나타내는 값 P에 log를 취한 값으로, ClogP 값이 클수록 친유성을 갖는 향료이므로 워시 오프 제품에서 세정 시 물과 함께 휩쓸려 내려가는 향의 양이 적어져 잔향이 많이 남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향료를 사용하면, 제품 사용 중의 향 발산이 약하며, 향취 계열에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다.
이처럼 향이 소비자의 감성품질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끼치므로, 아민류를 함유한 제형에서 발생하는 이취 또는 불쾌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원하는 향취와 강도를 모두 얻기는 매우 어려워 현재 소비자의 감성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아민을 함유한 양이온폴리머, 양이온계면활성제 등의 양이온성 원료를 함유한 제품에서 부패취, 꼬린내 등의 이취, 불쾌취를 마스킹할 수 있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취, 불쾌취가 제거된 퍼스널 케어 조성물 또는 홈 케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알데하이드 향료를 포함하는 아민류의 이취 억제용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알데하이드 향료는 알데하이드기를 작용기(functional group)로 갖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아민류 화합물을 함유한 퍼스널 케어 또는 홈 케어 조성물에서 이취, 불쾌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하던 중, 아민류 화합물과 함께 알데하이드 향료를 조성물에 포함시키는 경우 이취가 마스킹되며 단조로운 향에서 벗어나 고급스러운 향의 감성품질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통상적으로 생활용품 또는 화장품 제품 등의 이취를 마스킹하기 위해서 조합향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조합향료는 알데하이드 향료 성분을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완성된 조합향료의 성분으로 사용되는 알데하이드 향료는 2-[(4-메틸페닐)메틸렌]-헵타날(미모사 헵타날)(2-[(4-Methylphenyl)methylene]-heptanal(mimosa heptanal)), 2,6-노나다이에날(2,6-nonadienal), 옥타날(Octanal), 노나날(Nonanal), 8,9,10-언데세날(8,9,10-undecenal), 2-도데세날(만다린 알데하이드)(2-Dodecenal(Mandarine aldehyde)), 9-언데세날(9-undecenal), 10-언데세날 (10-undecenal), 언데카날(Undecanal), 아독살(2,6,10-트리메틸-9-언데세날)(Adoxal(2,6,10-trimethylundec-9-enal)), Ald. C-12(Lauric), 2-메틸 언데카날(2-Methyl Undecanal)(MNA, Ald. C-12), Ald. C-14, 아니식 알데하이드(Anisic aldehyde), 버가말(3,7-다이메틸-2-메틸렌-6-옥테날)(Bergamal(3,7-Dimethyl-2-methylene-6-octenal)), 칸톡살(2-메틸-3-(4-메톡시페닐)프로파날)(Canthoxal(2-Methyl-3-(4-methoxyphenyl)propanal)), 시트랄(Citral), 쿠미닉 ald.(Cuminic ald.), 시클라멘 ald.(Cyclamen ald.), 사이클맥스(3-(p-쿠메닐)프로피온알데하이드)(Cyclemax(3-(p-cumenyl)propionaldehyde)), 시말(Cymal), 데실 알데하이드(Decyl aldehyde), 플로라히드랄(Florahydral), 플로랄 슈퍼(4,8-디메틸-4,9-데카다이에날)(Floral super(4,8-Dimethyl-4,9-decadienal)), 플로랄오존(3-(o-(and p-)에틸페닐)-2,2,-디메틸프로피온알데하이드)(Floralozone(3-(o-(and p-)Ethylphenyl)-2,2-dimethylpropionaldehyde)), 플로로팔(Floropal), 겔알데하이드(5,9-디메틸-4,8-데카다이에날)(Geraldehyde(5,9-Dimethyl-4,8-decadienal)), 헬리오날(알파-메틸-1,3-벤조다이옥솔-5-프로파날)(Helional(alpha-Methyl-1,3-benzodioxole-5-propanal)), 트랜스-2-헥세날(trans-2-hexenal), 시스-3-헥세날(cis-3-hexenal), 헥실 신나믹 알데하이드(Hexyl cinnamic aldehyde), 하이드록시시트로넬랄(Hydroxycitronellal), 이소사이클로시트랄((2,4,6-) & (3,5,6-)트리메틸-3-사이클로헥센-1-카복스알데하이드)(Isocyclocitral((2,4,6-) & (3,5,6-)Trimethyl-3-cyclohexene-1-carboxaldehyde)), 리목살(β,4-디메틸사이클로-3-헥센-1-프로판-1-알)(Limoxal(β,4-dimethylcyclohex-3-ene-1-propan-1-al)), 라일랄(3-and 4-(4-히드록시-4-메틸-펜틸)사이클로헥센-1-카복스알데하이드)(Lyral(3-and 4-(4-Hydroxy-4-methyl-pentyl)cyclohexene-1-carboxaldehyde)), 멜라플러(5,5-디메틸-옥타히드로-2-나프탈렌카복스알데하이드)(Melafleur(5,5-Dimethyl-octahydro-2-naphthalenecarboxaldehyde)), 멜로존(옥타히드로-4,7-메타노-1H-인덴카브알데하이드)(Melozone(octahydro-4,7-methano-1H-indenecarbaldehyde)), 메틸 노닐 아세트알데하이드(Methyl nonyl acetaldehyde), 뮤젯 알데하이드(((3,7-디메틸-6-옥테닐)옥시)아세트알데하이드)(Muguet aldehyde(((3,7-Dimethyl-6-octenyl)oxy)acetaldehyde)), 미락 알데하이드(3-(and 4-)(4-메틸-3-펜틸)사이클로-3-헥센-1-카복스알데하이드)(Myrac aldehyde(3-(and 4-)(4-Methyl-3-pentyl)cyclohex-3-ene-1-carboxaldehyde)), P. T. 부시날(P. T. bucinal), 페닐 아세트알데하이드(Phenyl acetaldehyde), 페녹시 아세트알데하이드(Phenoxy acetaldehyde), 페닐 아세트알데하이드 디메틸 아세탈(Phenyl acetaldehyde dimethyl acetal), 1-메틸-4-(4-메틸-3-펜테닐)사이클로-3-헥센-1-카복스알데하이드(1-Methyl-4-(4-methyl-3-pentenyl)cyclohex-3-ene-1-carboxaldehyde), 언데실 알데하이드(Undecyl aldehyde), 언데실레닉 알데하이드(Undecylenic aldehyde), 벨토리프(3,6-디메틸사이클로-3-헥센-1-카복스알데하이드)(Vertoliff(3,6-Dimethylcyclohex-3-ene-1-carboxaldehyde)), 제3-급 부틸-α-메틸 히드로시나믹 알데하이드(제3-급 Butyl-α-methyl hydrocinnanic aldehyde), 톨릴 아세트알데하이드(팔마닐)(Tolyl acetaldehyde(Parmanyl)), 버트랄(옥타히드로-1H-4,7-메타노인덴-5-카브알데하이드)(Vertral(Octahydro-1H-4,7-methanoindene-5-carbaldehyde)), 보로날((2E)-2-메틸-4-(2,6,6-트리메틸사이클로-1-헥센-1-일)-2-부테날)(Boronal ((2E)-2-Methyl-4-(2,6,6-trimethylcyclohex-1-en-1-yl) but-2-enal)), 센테날(옥타히드로-5-메톡시-4,7-메타노-1H-인덴-2-카복스알데하이드)(Scentenal(Octahydro-5-methoxy-4,7-methano-1H-indene-2-carboxaldehyde)), 트리페날(벤젠프로파날)(Trifernal(Benzenepropanal)), 아칼레아 TT(2-[(4-메틸페닐)메틸렌]-헵타날)(Acalea TT(2-[(4-methylphenyl)methylene]-heptanal)), 아세탈 CD(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 글리세릴아세탈(Acetal CD(Phenylacetaldehyde glycerylacetal)), 보울저날(3-(4-털트-부틸페닐)프로파날)(Bourgeonal(3-(4-tert-Butylphenyl)propanal)), 세토날®(2-메틸-4-(2,6,6-트리메틸-2(1)-사이클로헥세-1-닐)부타날)(Cetonal®(2-Methyl-4-(2,6,6-trimethyl-2(1)-cyclohexen-1-yl)butanal)), Citral Lemarome®(N((E/Z)-3,7-디메틸-2,6-옥타다이에날((E/Z)-3,7-Dimethyl-2,6-octadienal)), 시트로넬랄(3,7-디메틸옥-6-테날)(Citronellal(3,7-dimethyloct-6-enal)), Citrathal® TECH(3,7-디메틸-2,6-옥타다이에날(3,7-Dimethyl-2,6-octadienal)), 데세날-4-트랜스((E)-4-데세날)(Decenal-4-Trans((E)-4-Decenal)), 데세날-9(9-데세날)(Decenal-9(9-Decenal)), 레구미날(프로파날-3-헥세닐 메틸 아세탈)(Leguminal(Propanal-3-hexenyl methyl acetal)), Liffarome™(시스-3-헥세-1-닐 메틸 카르보네이트(cis-3-Hexen-1-yl methyl carbonate)), 메프라날(3-메틸-5-페닐펜타날)(Mefranal(3-Methyl-5-phenylpentanal)), 멜로날(2,6-디메틸헵-5-테날)(Melonal(2,6-Dimethylhept-5-enal)), 미랄덴(4(3)-(4-메틸펜-3-테닐)사이클로헥-3-센카르바알데하이드)(Myraldene(4(3)-(4-Methylpent-3-enyl)cyclohex-3-enecarbaldehyde)), 프로파네살((5E)-2,6,10-트리메틸언데카-5,9-다이에날)(Profarnesal((5E)-2,6,10-Trimethylundeca-5,9-dienal)), 시링가 알데하이드((4-메틸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Syringa Aldehyde((4-Methylphenyl)acetaldehyde)), 테트라하이드로 시트랄(3,7-디메틸옥타날)(Tetrahydro Citral(3,7-Dimethyloctanal)), Triplal®(2,4-디메틸-3-사이클로헥센-1-카르복스알데하이드(2,4-Dimethyl-3-cyclohexene-1-carboxaldehyde)), 베르토시트랄(2,4-디메틸사이클로헥-3-센-1-카르바알데하이드)(Vertocitral(2,4-Dimethylcyclohex-3-ene-1-carbaldehyde)), 및 베르토리프 ISO(3,6(및 4,6)-디메틸사이클로헥-3-센-1-카르복스알데하이드)(Vertoliff ISO(3,6(and 4,6)-dimethylcyclohex-3-ene-1-carboxaldehyde)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향료는 서로 다른 향의 특징을 나타낼 뿐 아니라 서로 다른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상기 알데하이드 향료는 그린계열의 향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민류의 이취 억제용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에 플로랄계열의 향료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민류의 이취 억제용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에 시트러스계열의 향료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민류의 이취 억제용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는 향료 성분들 가운데 아민류의 이취를 효과적으로 마스킹하는 향료의 최적 조합을 찾음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그린계열의 향이 가장 우수한 마스킹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고, 그린계열의 향에 플로랄계열의 향이 더해질 때 더욱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향의 감성품질의 완성을 위해서는 시트러스계열의 향이 부가될 수 있다.
하기 표 1에 그린계열의 향료, 플로랄계열의 향료 및 시트러스계열의 향료 성분들을 표기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향료 성분은 하기 표 1에 나타난 성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19016289167-pat00001
Figure 112019016289167-pat00002
상기 그린계열의 향료는 트랜스-2-헥세날(trans-2-hexenal), 시스-3-헥세날(cis-3-hexenal), 2,6-노나다이에날(2,6-nonadienal), 아독살(2,6,10-트리메틸언데-9-세날)(Adoxal(2,6,10-Trimethylundec-9-enal)), 노나날(Nonanal), 이소사이클로시트랄(Isocyclo citral), 프로파날-3-헥세닐 메틸 아세탈(Propanal-3-hexenyl methyl acetal), 시스-3-헥세-1-닐 메틸 카르보네이트(cis-3-Hexen-1-yl methyl carbonate), 2,6-디메틸헵-5-테날(2,6-Dimethylhept-5-enal), 트리사이클로[5.2.1.02,6]데칸-3-카르바알데하이드(tricyclo[5.2.1.02,6]decane-3-carbaldehyde), 2,6-노나다이에날(2,6-Nonadienal), 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Phenylacetaldehyde), p-톨릴아세트알데하이드(p-Tolylacetaldehyde), 2,4-디메틸-3-사이클로헥센-1-카르복스알데하이드(2,4-Dimethyl-3-cyclohexene-1-carboxaldehyde), 2,4-디메틸사이클로헥-3-센-1-카르바알데하이드(2,4-Dimethylcyclohex-3-ene-1-carbaldehyde), 3,6-디메틸사이클로헥-3-센-1-카르복스알데하이드(3,6-dimethylcyclohex-3-ene-1-carboxaldehyde), 3,6(및 4,6)-디메틸사이클로헥-3-센-1-카르복스알데하이드(3,6(and 4,6)-dimethylcyclohex-3-ene-1-carboxaldehyde) 및 옥타하이드로-1H-4,7-메타노인덴-5-카르바알데하이드(Octahydro-1H-4,7-methanoindene-5-carbaldehyde)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 사용 시 고급스러운 향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그린계열의 향료는 2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플로랄계열의 향료는 보다 효과적으로 아민류의 이취를 마스킹하기 위해 사용되며, 2-[(4-메틸페닐)메틸렌]-헵타날(2-[(4-methylphenyl)methylene]-heptanal), 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Phenylacetaldehyde), 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 글리세릴아세탈(Phenylacetaldehyde glycerylacetal), 버르가말(Bergamal), 보로날(Boronal), 보울저날(Bourgeonal), 2-메틸-4-(2,6,6-트리메틸-2(1)-사이클로헥세-1-닐)부타날(2-Methyl-4-(2,6,6-trimethyl-2(1)-cyclohexen-1-yl)butanal), 사이클라멘 알데하이드(Cyclamen Aldehyde), 3-(p-큐메닐)프로피온알데하이드(3-(p-cumenyl)propionaldehyde), 4,8-디메틸-4,9-데카다이에날(4,8-Dimethyl-4,9-decadienal), 3-(o-(및 p-)에틸페닐)-2,2-디메틸프로피온알데하이드(3-(o-(and p-)Ethylphenyl)-2,2-dimethylpropionaldehyde), 3-(3-이소프로필페닐)부타날(3-(3-Isopropylphenyl)butanal), 헬리오날(Helional), 10-언데세날(10-undecenal), 라일랄(Lyral), 멜라플러(Melafleur), 뮤젯 알데하이드(Muguet aldehyde), 프로파네살(Profarnesal) 및 시링가알데하이드((4-메틸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Syringa Aldehyde((4-Methylphenyl)acetaldehyde))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시트러스계열의 향료는 향의 감성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E/Z)-3,7-디메틸-2,6-옥타다이에날((E/Z)-3,7-Dimethyl-2,6-octadienal), 시트로넬랄(Citronellal), 3,7-디메틸-2,6-옥타다이에날(3,7-Dimethyl-2,6-octadienal), 데세날-4-트랜스(Decenal-4-Trans), 데세날-9(Decenal-9), 겔알데하이드(Geraldehyde), 리목살(Limoxal), 만다린 알데하이드(Mandarine Aldehyde), 메프라날(Mefranal), 마이랄덴(Myraldene) 및 테트라하이드로 시트랄(Tetrahydro Citral)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ClogP가 4 이하인 향료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0 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ClogP는 단일 향료를 옥탄올에 녹였을 때와 물에 녹였을 때 용해도의 비를 나타내는 값 P에 log를 취한 값을 의미한다. 보다 우수한 아민류의 이취 마스킹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ClogP가 4 이하인 향료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0 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70 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알데하이드 향료는 향료 총 중량 대비 5 중량% 내지 5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알데하이드 향료가 향료 총 중량 대비 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이취 마스킹 효과가 미미하며, 50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향료의 기호성이 감소한다.
본 발명은 상기 알데하이드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 또는 홈 케어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퍼스널 케어 조성물은 스킨, 에센스, 로션, 아이크림 또는 크림 등의 스킨 케어 조성물; 염모제, 샴푸, 컨디셔너, 트리트먼트 또는 헤어에센스 등의 헤어 케어 조성물; 또는 바디클렌저, 바디로션 또는 비누 등의 바디 케어 조성물;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료가 투입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홈 케어 조성물은 세제, 섬유유연제 등의 섬유 케어 조성물, 주방세제 또는 방향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료가 투입되는 홈 케어 조성물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홈 케어 제품 또는 퍼스널 케어 제품에는 양이온성 원료로서 통상적으로 양이온성 폴리머,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성 폴리머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목적과 기능에 따라 사용되는 종류와 투입량이 달라진다. 상기 양이온성 원료는 제품 중에 사용 후 향기의 잔향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통상적으로 워시오프 후 잔향을 유지하기 위한 제품으로는 샴푸, 헤어컨디셔너, 염모제와 같은 모발 제품, 세제, 섬유유연제와 같은 패브릭 케어 제품군 등이 있다. 염색을 위한 염모제는 염색 성분이 양이온성 물질로 구성되어 있어 이취를 가지므로 잔향성 유지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향료 조성물과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헤어 케어 조성물을 제공한다.
헤어 케어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세트리모니움클로라이드, 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 디세틸디메틸암모니움클로라이드 및 에스테르 쿼트로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헤어 케어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코코암포카르복시글리시네이트 및 코코암포카르복시프로피오네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헤어 케어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라우릴산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라우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 및 야자유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헤어 케어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는 구아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하이드록시프로필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및 4급 하이드록시 에틸셀룰로오즈로 이루어진 천연 양이온성 폴리머 군; 및 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폴리머, 아크릴아미드디메틸이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코폴리머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로 이루어진 합성 양이온성 폴리머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향료 조성물과 양이온성 폴리머, 양쪽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섬유 케어 조성물을 제공한다.
섬유 케어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는 양이온성 구아,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 폴리머, 아크릴아미드-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 코폴리머, PVP-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아크릴산-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 코폴리머, 아크릴아미드-디메틸아미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 클로라이드 코폴리머 및 트리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머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섬유 케어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알킬아미도프로필베타인, 알킬디메틸베타인, 알킬모노암포아세테이트, 코코암포카르복시 글리시네이트, 사코시네이트 및 알킬 암포디아세테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향료 조성물과 프리커서 및 커플러를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염모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프리커서는 2-클로로-파라페닐렌디아민, N-메톡시에틸-파라페닐렌디아민, 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파라페닐렌디아민, 2-(2-하이드록시에틸)-파라페닐렌디아민, 2,6-디메틸-파라페닐렌디아민, 4,4'-디아미노디페닐아민, 1,3-비스(N-(2-하이드록시에틸)-N-(4-아미노페닐)아미노)-2-프로판올, PEG-3,3,2'-파라페닐렌디아민, 파라아미노페놀, 파라메틸아미노페놀, 3-메틸-4-아미노페놀, 2-아미노메틸-4-아미노페놀, 2-(2-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메틸)-4-아미노페놀, 오르토아미노페놀, 2-아미노-5-메틸페놀, 2-아미노-6-메틸페놀, 2-아미노-5-아세타미드페놀, 3,4-디아미노벤조산, 5-아미노살리실산, 2,4,5,6-테트라아미노피리미딘, 2,5,6-트리아미노-4-하이드록시피리미딘, 4,5-디아미노-1-(4'-클로로벤질)피라졸, 4,5-디아미노-1-하이드록시에틸피라졸과 이들 염, o-아미노페놀, p-아미노페놀, 염산톨루엔-2,5-디아민, 염산 p-페닐렌디아민, 톨루엔-2,5-디아민, p-페닐렌디아민, 황산 p-메칠아미노페놀, 황산 o-아미노페놀, 황산 p-아미노페놀, 황산톨루엔-2,5-디아민 및 황산 p-페닐렌디아민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염모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커플러는 메타페닐렌디아민, 2,4-디아미노페녹시에탄올, 2-아미노-4-(2-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아니솔, 2,4-디아미노-5-메틸페네톨, 2,4-디아미노-5-(2-하이드록시에톡시)톨루엔, 2,4-디메톡시-1,3-디아미노벤젠, 2,6-비스(2-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톨루엔, 2,4-디아미노-5-플루오로톨루엔, 1,3-비스(2,4-디아미노페녹시)프로판, 메타아미노페놀, 2-메틸-5-아미노페놀, 2-메틸-5-(2-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페놀, 2,4-디클로로-3-아미노페놀, 2-클로로-3-아미노-6-메틸페놀, 2-메틸-4-클로로-5-아미노페놀, N-시클로펜틸-메타아미노페놀, 2-메틸-4-메톡시-5-(2-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페놀, 2-메틸-4-플루오로-5-아미노페놀, 레조르신, 2-메틸레조르신, 4-클로로레조르신, 1-나프톨, 1,5-디하이드록시나프탈렌, 1,7-디하이드록시나프탈렌, 2,7-디하이드록시나프탈렌, 2-이소프로필-5-메틸페놀, 4-하이드록시인돌, 5-하이드록시인돌, 6-하이드록시인돌, 7-하이드록시인돌, 6-하이드록시벤조모르폴린, 3,4-메틸렌디옥시페놀, 2-브로모-4,5-메틸렌디옥시페놀, 3,4-메틸렌디옥시아닐린, 1-(2-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3,4-메틸렌디옥시벤젠, 2,6-디하이드록시-3,4-디메틸피리딘, 2,6-디메톡시-3,5-디아미노피리딘, 2,3-디아미노-6-메톡시피리딘, 2-메틸아미노-3-아미노-6-메톡시피리딘, 2-아미노-3-하이드록시피리딘, 2,6-디아미노피리딘 및 이들의 염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그린계열의 알데하이드 향료를 포함함으로써 아민을 포함하는 양이온성 물질로 인해 발생하는 이취, 불쾌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플로랄계열 또는 시트러스계열의 향료를 혼합함으로써 향기가 고급스러우며 잔향성 증진 효과가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아민류에 의한 이취가 가장 강하고 상대적으로 평가가 즉시 이루어지는 염색제를 실시예로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염색제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하기 표 2에 나타난 각각의 조성으로 알데하이드 향료를 포함하는 향료 베이스 1 내지 3을 제조하였다.
특징 향료명 향료 베이스 1 향료 베이스 2 향료 베이스 3
green Adoxal 10.0 10.0 10.0
trans-2-hexenal 2.0 2.0 2.0
cis-3-hexenal 1.0 1.0 1.0
2, 6-nonadienal 2.0 2.0 2.0
Leguminal 15.0 10.0 10.0
Triplal® 12.0 10.0 10.0
Vertral 8.0 5.0 5.0
floral hydroxy citronellal - 3.0 5.0
cyclamen ald. - 3.0 5.0
helional - 5.0 5.0
lyral - 3.0 5.0
melafleur - 5.0 5.0
hexyl cinnamic aldehyde - 1.0 2.0
jasmal - 3.0 5.0
Muguet aldehyde - 5.0 5.0
Vertral - 2.0 3.0
citrus citronellal - - 2.0
citral - - 2.0
Mandarine Aldehyde - - 6.0
용제 DPG 50.0 20.0 10.0
Total 100.0 100.0 100.0
상기 표 2에 나타난 향료 베이스 3종을 하기 표 3에 나타난 중량비로 일반 향료에 혼합하여 제조예 1 내지 9의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일반 향료는 지보당(Givaudan)에서 공급받은 엔젤베리(Angel berry) 향료를 사용하였다. 상기 엔젤베리 향료의 성분으로는 Linalool(dimethyl-1,6-octadien-3-ol), 1,3,4,6,7,8-hexahydro-4,6,6,7,8,8- hexamethylindeno[5,6-c]pyran, Benzyl 2-hydroxybenzoate, 2-Tert-butylcyclohexyl acetate, Cyclopentaneaceticacid, 3-oxo-2-pentyl methylester, Geraniol((2E)-3,7-dimethyl-2,6-octadien-1-ol), 4-(2,6,6-Trimethylcyclohex-1-en-1-yl)but-3-en-2-one, 3-Methyl-4-(2,6,6-trimethyl-2-cyclohexen-1-yl)-3-buten-2-one, 2-Phenoxyethyl 2-methylpropanoate, Hexyl acetate 및 6-Acetyl-1,1,2,4,4,7-hexamethyl-1,2,3,4-tetrahydronaphthalene 등을 혼합한 향료 조성물이다.
구분
(중량%)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3 제조예4 제조예5 제조예6 제조예7 제조예8 제조예9
일반 향료 95.0 95.0 95.0 80.0 80.0 80.0 50.0 65.0 60.0
향료 베이스1 5.0 20.0 50.0
향료 베이스2 5.0 20.0 50.0
향료 베이스3 5.0 20.0 50.0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상기 표 3에 나타난 제조예 1 내지 9의 향료 조성물을 하기 표 4에 나타난 염모제 1제에 각각 0.7 중량%씩 부향하여 염모제 1제 조성물 9종(실시예 1 내지 9)을 제조하였다. 비교예로 향료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 및 기존 제품의 향료를 포함하는 비교예 2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의 향료 부분은 향의 용제로 주로 사용되는 디프로필렌글리콜(DPG)을 사용하였으며, 비교예 2의 기존 제품의 향료는 일반적인 염모제의 향을 사용하였다.
구분 No. 성분명 함량(%)
1제 1 톨루엔-2,5-디아민 0.50
2 레조르시놀 0.40
3 메타아민페놀 0.10
4 코코일글루탐산나트륨 7.20
5 알킬(8~16)글루코사이드 2.00
6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2.00
7 폴리옥시에틸렌트리데실에테르 0.50
8 프로필렌글리콜 4.00
9 에탄올 9.50
10 암모니아 1.68
11 탄산수소암모늄 8.00
12 모노에탄올아민 2.40
13 아스코르브산 적량
14 무수아황산나트륨 적량
15 에데트산 4 나트륨 2 수염 적량
16 향료 0.70
17 정제수 To 100.0
2제 1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0.70
2 폴리옥시에틸렌(40)세틸아테르 0.46
3 세탄올 0.74
4 미리스틸알코올 0.21
5 하이드럭시에탄디포스폰산 0.04
6 황산옥시퀴놀린 0.01
7 수산화나트륨 적량
8 과산화수소 5.70
9 정제수 To 100.0
실험예: 아민의 이취 관능 평가
상기 표 4의 1제 50g 및 2제 30g을 혼합한 후, 일반 염모제처럼 헤어 트레스에 도포하여 염색을 하였고 염색 직후, 20분 후 및 워시오프 후 각 3단계에 걸쳐 아민의 이취를 평가하였다.
관능 평가는 직접 염색 경험이 있는 20~40대 1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이 31.5세인 남자 5명, 여자 10명이다. 관능 평가의 기준은 하기와 같다.
- 관능 평가 기준 -
1점: 아민의 이취(오징어냄새와 유사)가 매우 강함.
2점: 아민의 이취가 강함.
3점: 아민의 이취가 보통.
4점: 아민의 이취가 약함.
5점: 아민의 이취가 아주 약함.
염색 직후의 관능 평가 결과는 하기 표 5에, 염색 20분 후 관능 평가 결과는 하기 표 6에, 워시오프 후 관능 평가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구분 비교예1 비교예2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평균 1.32 1.98 2.45 2.54 2.54 2.93 3.01 3.02 3.27 3.29 3.20
표준편차 0.62 0.62 0.56 0.64 0.70 0.80 0.70 0.72 0.80 0.59 0.86
구분 비교예1 비교예2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평균 1.47 2.13 2.80 2.93 2.93 3.37 3.45 3.43 3.60 3.61 3.53
표준편차 0.64 0.64 0.68 0.59 0.70 0.70 0.70 0.72 0.83 0.74 0.83
구분 비교예1 비교예2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평균 2.87 3.00 3.40 3.48 3.48 4.08 4.10 4.10 4.08 4.44 4.42
표준편차 0.64 0.65 0.63 0.62 0.62 0.74 0.63 0.70 0.64 0.70 0.72
상기 표 5의 결과를 볼 때, 염색 직후의 아민의 이취에서는 무향처리한 비교예 1과 기존 향료를 처리한 비교예2 사이에는 유의차가 있으며, 알데하이드 향료의 함량이 높을수록 아민의 이취 마스킹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상기 표 5 및 표 6의 결과를 볼 때,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염색 직후, 20분 후의 결과를 비교해보면 염색제를 도포한 직후보다는 20분 방치 후 아민의 이취가 좀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알데하이드 향료를 포함시킨 실시예 1 내지 9의 경우에는 염색 20분 후에 아민의 이취가 동등하거나 다소 약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표 7의 결과를 볼 때, 염색제를 씻어 낸 후 아민의 이취는 향료가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1보다 일반적인 향을 포함한 비교예 2가 이취의 마스킹 정도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어, 향료에 의해 통상적인 이취 마스킹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알데하이드 향료 조성물을 포함한 실시예 1 내지 9의 경우, 비교예 2에 비해 이취 마스킹 효과가 보다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가 0.976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알데하이드 향료의 함량이 높을수록 아민의 이취 마스킹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7)

  1. 알데하이드 향료; 및
    아민류 양이온성 폴리머, 아민류 양쪽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알데하이드 향료는 그린계열의 향료인 트랜스-2-헥세날(trans-2-hexenal), 시스-3-헥세날(cis-3-hexenal), 2,6-노나다이에날(2,6-nonadienal), 아독살(2,6,10-트리메틸언데-9-세날)(Adoxal(2,6,10-Trimethylundec-9-enal)), 노나날(Nonanal), 이소사이클로시트랄(Isocyclo citral), 프로파날-3-헥세닐 메틸 아세탈(Propanal-3-hexenyl methyl acetal), 시스-3-헥세-1-닐 메틸 카르보네이트(cis-3-Hexen-1-yl methyl carbonate), 2,6-디메틸헵-5-테날(2,6-Dimethylhept-5-enal), 트리사이클로[5.2.1.02,6]데칸-3-카르바알데하이드(tricyclo[5.2.1.02,6]decane-3-carbaldehyde), 2,6-노나다이에날(2,6-Nonadienal), 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Phenylacetaldehyde), p-톨릴아세트알데하이드(p-Tolylacetaldehyde), 2,4-디메틸-3-사이클로헥센-1-카르복스알데하이드(2,4-Dimethyl-3-cyclohexene-1-carboxaldehyde), 2,4-디메틸사이클로헥-3-센-1-카르바알데하이드(2,4-Dimethylcyclohex-3-ene-1-carbaldehyde), 3,6-디메틸사이클로헥-3-센-1-카르복스알데하이드(3,6-dimethylcyclohex-3-ene-1-carboxaldehyde), 3,6(및 4,6)-디메틸사이클로헥-3-센-1-카르복스알데하이드(3,6(and 4,6)-dimethylcyclohex-3-ene-1-carboxaldehyde) 및 옥타하이드로-1H-4,7-메타노인덴-5-카르바알데하이드(Octahydro-1H-4,7-methanoindene-5-carbaldehy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아민류의 이취가 억제된 섬유 케어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플로랄계열의 향료인 2-[(4-메틸페닐)메틸렌]-헵타날(2-[(4-methylphenyl)methylene]-heptanal), 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Phenylacetaldehyde), 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 글리세릴아세탈(Phenylacetaldehyde glycerylacetal), 버르가말(Bergamal), 보로날(Boronal), 보울저날(Bourgeonal), 2-메틸-4-(2,6,6-트리메틸-2(1)-사이클로헥세-1-닐)부타날(2-Methyl-4-(2,6,6-trimethyl-2(1)-cyclohexen-1-yl)butanal), 사이클라멘 알데하이드(Cyclamen Aldehyde), 3-(p-큐메닐)프로피온알데하이드(3-(p-cumenyl)propionaldehyde), 4,8-디메틸-4,9-데카다이에날(4,8-Dimethyl-4,9-decadienal), 3-(o-(및 p-)에틸페닐)-2,2-디메틸프로피온알데하이드(3-(o-(and p-)Ethylphenyl)-2,2-dimethylpropionaldehyde), 3-(3-이소프로필페닐)부타날(3-(3-Isopropylphenyl)butanal), 헬리오날(Helional), 10-언데세날(10-undecenal), 라일랄(Lyral), 멜라플러(Melafleur), 뮤젯 알데하이드(Muguet aldehyde), 프로파네살(Profarnesal) 및 시링가알데하이드((4-메틸페닐)아세트알데하이드)(Syringa Aldehyde((4-Methylphenyl)acetaldehy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민류의 이취가 억제된 섬유 케어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시트러스계열의 향료인 (E/Z)-3,7-디메틸-2,6-옥타다이에날((E/Z)-3,7-Dimethyl-2,6-octadienal), 시트로넬랄(Citronellal), 3,7-디메틸-2,6-옥타다이에날(3,7-Dimethyl-2,6-octadienal), 데세날-4-트랜스(Decenal-4-Trans), 데세날-9(Decenal-9), 겔알데하이드(Geraldehyde), 리목살(Limoxal), 만다린 알데하이드(Mandarine Aldehyde), 메프라날(Mefranal), 마이랄덴(Myraldene) 및 테트라하이드로 시트랄(Tetrahydro Citra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민류의 이취가 억제된 섬유 케어 조성물.
  5.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알데하이드 향료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중량% 내지 5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민류의 이취가 억제된 섬유 케어 조성물.
  6.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ClogP가 4 이하인 향료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0 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민류의 이취가 억제된 섬유 케어 조성물.
  7. 삭제
KR1020190017989A 2013-12-17 2019-02-15 아민류를 함유한 제형에서 이취 마스킹이 가능한 향료 조성물 KR1020153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7168 2013-12-17
KR1020130157168 2013-12-1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041A Division KR101951784B1 (ko) 2013-12-17 2018-04-18 아민류를 함유한 제형에서 이취 마스킹이 가능한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984A KR20190019984A (ko) 2019-02-27
KR102015389B1 true KR102015389B1 (ko) 2019-08-28

Family

ID=53517371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640A KR20150070937A (ko) 2013-12-17 2014-11-10 아민류를 함유한 제형에서 이취 마스킹이 가능한 향료 조성물
KR1020170002307A KR101852293B1 (ko) 2013-12-17 2017-01-06 아민류를 함유한 제형에서 이취 마스킹이 가능한 향료 조성물
KR1020180045041A KR101951784B1 (ko) 2013-12-17 2018-04-18 아민류를 함유한 제형에서 이취 마스킹이 가능한 향료 조성물
KR1020190017989A KR102015389B1 (ko) 2013-12-17 2019-02-15 아민류를 함유한 제형에서 이취 마스킹이 가능한 향료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640A KR20150070937A (ko) 2013-12-17 2014-11-10 아민류를 함유한 제형에서 이취 마스킹이 가능한 향료 조성물
KR1020170002307A KR101852293B1 (ko) 2013-12-17 2017-01-06 아민류를 함유한 제형에서 이취 마스킹이 가능한 향료 조성물
KR1020180045041A KR101951784B1 (ko) 2013-12-17 2018-04-18 아민류를 함유한 제형에서 이취 마스킹이 가능한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2015007093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87214B2 (ja) * 2015-10-07 2021-06-16 クラシエホームプロダクツ株式会社 基剤臭が改善された組成物及び基剤臭改善方法
ES2835103T3 (es) * 2016-02-17 2021-06-21 Int Flavors & Fragrances Inc Nuevos compuestos organolépticos
WO2017171110A1 (ko) * 2016-03-29 2017-10-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아민류를 함유한 제형에서 이취 마스킹이 가능한 향료 조성물
WO2018048852A1 (en) 2016-09-06 2018-03-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including perfume and cyclodextrins
EP3509561B1 (en) * 2016-09-06 2021-07-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fume compositions
MX2019002544A (es) * 2016-09-06 2019-07-01 Procter & Gamble Composiciones en aerosol.
CA3035350C (en) 2016-09-06 2023-05-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ntiperspirant and deodorant compositions comprising a hydrophilic perfume compound complexed in a cyclodextri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3090A (ja) * 2000-04-20 2001-10-31 Haarmann & Reimer Kk 化学的消臭香料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727B1 (ko) * 2009-12-17 2014-11-21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악취 결합 중합체 및 악취 제어 성분을 포함하는 청향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3090A (ja) * 2000-04-20 2001-10-31 Haarmann & Reimer Kk 化学的消臭香料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887A (ko) 2017-01-16
KR20150070937A (ko) 2015-06-25
KR101951784B1 (ko) 2019-02-25
KR20180043226A (ko) 2018-04-27
KR20190019984A (ko) 2019-02-27
KR101852293B1 (ko) 2018-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5389B1 (ko) 아민류를 함유한 제형에서 이취 마스킹이 가능한 향료 조성물
EP2226063B1 (en) High intensity fragrances
JP4201472B2 (ja) 毛髪化粧料
JP2003300811A (ja) ロスマリン酸含有組成物
EP3206660B1 (en) Malodor reducing compositions
JP2003095895A (ja) 泡状整髪剤組成物
EP3725941A1 (en) Perfume composition for inhibiting odor
ES2625681T3 (es) Composición desodorante que comprende nitrilo violeta
KR101661511B1 (ko) 모발 처리제 및 이를 이용한 모발의 퍼머 또는 염색 방법
JP2002047151A (ja) 染毛剤組成物
JP2007137781A (ja) 化粧料及びその使用方法
KR102397919B1 (ko) 이취 억제용 향료 조성물
US11096877B2 (en) Perfume composition capable of masking odor of formulation containing amine
BR102014026002A2 (pt) propionatos de 3-(cicloex-1-en-1-ila) e seus usos em composições de perfume
JP2001151644A (ja) 頭皮臭用香料組成物
KR102006953B1 (ko) 향료 조성물
JP2002047153A (ja) 染毛剤組成物
US9816048B2 (en) Organoleptic compounds
JP4061255B2 (ja) 一剤式毛髪脱色及び該毛髪脱色剤を用いる毛髪脱色方法
JP6836554B2 (ja) 香粧品用白茶様香料組成物
JP2003104855A (ja) 毛髪化粧料
EP4371550A1 (en) Fragrance composition
JP2001072553A (ja) 毛髪化粧料組成物
CN111479549B (zh) 含8,8-二甲基-6,10-二氧杂螺[4.5]癸烷的芳香物质混合物
US11091418B2 (en) Organoleptic compou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