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260B1 - 수저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수저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260B1
KR102015260B1 KR1020190070492A KR20190070492A KR102015260B1 KR 102015260 B1 KR102015260 B1 KR 102015260B1 KR 1020190070492 A KR1020190070492 A KR 1020190070492A KR 20190070492 A KR20190070492 A KR 20190070492A KR 102015260 B1 KR102015260 B1 KR 102015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s
spoon
cutlery
washing
spo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용현
Original Assignee
강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용현 filed Critical 강용현
Priority to KR1020190070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2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 A47L15/13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using sonic or ult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other means
    • A47L15/3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other means by rotating only
    • A47L15/33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other means by rotating only with moving baskets submerged in the cleaning fl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2Cutlery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이 끝난 숟가락과 젓가락을 세척하여 건조한 후 불규칙적으로 뒤섞인 숟가락과 젓가락을 투입하면 형상에 따라 숟가락과 젓가락을 분류하여 젓가락을 낙하시킨 후 숟가락만 수납하고 낙하된 젓가락은 무게 중심 위치에 따라 동일한 단부를 가지도록 재분류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세척, 건조 및 분류 작업이 모두 자동화된 수저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브러시, 진동, 충격 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수저의 이물질을 세척이 완료된 수저를 숟가락(2)과 젓가락(3)으로 자동 분류하는 수저분류부(1);를 포함하고, 상기 수저분류부(1)는, 진동을 이용하여 숟가락(2)과 젓가락(3)을 정렬하되 젓가락(3)은 아래쪽으로 낙하하고 숟가락(2)은 남아 있도록 하는 수저분리부(10)와; 진동을 이용하여 젓가락(3)을 길이 방향을 따라 정렬하는 젓가락정렬부(20)와; 수저분리부(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젓가락(3)과 분리된 숟가락(2)이 저장되는 숟가락 저장부(40)와; 이송된 젓가락(3)의 무게 중심 위치에 따라 양측으로 분리시켜 젓가락(3)이 일정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하는 분리부재(30)와; 양측으로 분리된 젓가락(3)들이 각각 단부 방향이 일치된 형태로 수집 저장되도록 하는 한 쌍의 젓가락 저장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저 세척장치{Washing Machine for Spoons and Chopsticks}
본 발명은 수저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이 끝난 숟가락과 젓가락을 세척하여 건조한 후 불규칙적으로 뒤섞인 숟가락과 젓가락을 투입하면 형상에 따라 숟가락과 젓가락을 분류하여 젓가락을 낙하시킨 후 숟가락만 수납하고 낙하된 젓가락은 무게 중심 위치에 따라 동일한 단부를 가지도록 재분류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세척, 건조 및 분류 작업이 모두 자동화된 수저 세척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쌀을 주식으로 하는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아시아권 국가는 식사도구로 수저(숟가락, 젓가락)를 가장 일반적으로 쓰고 있다.
이러한 숟가락과 젓가락은 사용후 세척 및 건조가 완료되어야만 재사용이 가능하며, 세척 및 건조 후에는 수작업을 통해 순가락과 젓가락을 분리하여 수저통에 수용하게 된다.
여기서, 세척과 건조가 완료된 숟가락과 젓가락을 수저통에 각각 정렬 보관시키기 위해서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분리시키는 분리작업을 먼저 수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분리작업은 매우 단순하면서도 반복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작업능률을 떨어뜨리며, 특히, 식당에는 많은 수의 숟가락과 젓가락이 비치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분리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아 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분리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는 많은 숟가락과 젓가락을 분리하기 위해 단순노동을 수행하게 되어 피로를 더욱 크게 느끼게 되고, 이러한 단점으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능률은 더욱 떨어질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수저를 세척하는 수저세척장치와 세척이 끝난 수저를 숟가락과 젓가락으로 분리하여 정렬 및 수납하는 수저분류장치가 개발된 바 있으나, 대부분이 수저세척장치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분리하여 수납할 수 없고, 수저분류장치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분류하여 수납하기는 하지만 젓가락의 배치 방향을 일치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투입구가 상부일측에 형성된 본체와, 본체 내부를 세척실과 행굼실로 구획하는 격벽과, 세척실의 내부에 설치된 제1 컨베이어장치와, 이 제1 컨베이어장치의 상측에 설치되어 수저를 세척하는 브러시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된 세제통과,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의 단부에 배치되어 제1 컨베이어장치에 의해 공급된 수저를 행굼실로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상기 행굼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수단으로 공급된 수저를 이송하는 제2 컨베이어장치와, 이 제2 컨베이어장치의 주위에 설치되어 이 제2 컨베이어장치로 이송되는 수저에 고압의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노즐과, 이 제2 컨베이어장치의 단부에 배치되며 본체의 외부로 연장되어 제2 컨베이어장치에 의해 공급된 수저를 수집하여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가이드를 포함하며, 다량의 수저를 효율적으로 즉시 세척할 수 있는 수저세척기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수저를 담글 수 있도록 저장탱크를 형성한 1차세척부와, 상기 1차세척부에 저장된 수저를 투입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투입구와 배출구를 형성한 몸체 내측에 이송컨베이어를 형성한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수저를 세척하기 위하여 세척펌프에 의해 세척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이송컨베이어의 상,하측으로 형성하고 하측에 세척탱크를 형성한 세척부와, 상기 세척부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수저를 헹굼 할 수 있도록 헹굼펌프에 의해 헹굼액을 분사하는 헹굼노즐을 이송컨베이어 상, 하측에 형성하고 하측에는 헹굼탱크를 형성한 헹굼부와, 상기 헹굼부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수저에 물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블로어에 의해 바람을 분사하는 에어나이프를 이송컨베이어의 상,하측으로 형성한 건조부로 구성됨으로써, 숫가락과 젓가락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숫가락과 젓가락을 선별하여 배출할 수 있는 식기 세척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기체내의 일측에 상부양단이 흔들바로 기체에 회동가능케 장치되고 그 내부에 배수홈과 다공망체로 형성되는 반원형의 세척조가 마련되는 세척통과, 세척통의 하부에 연결구를 형성하고 회전모타의 회전축에 원판형 캠을 형성하며 캠과 연결구를 링크로 연결하여 세척통을 구동하는 구동부와, 세척통과 연결되는 입수배관과 배수배관 및 공기공급관과 세척수를 제어하는 다수의 밸브로 구성되는 세척수배관으로 구성되며, 모터를 구동하여 캠을 회전시킴으로써 세척통은 반원형곡선 요동운동을 하게 되고 세척조가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세척조내에서 수저가 세척수에 침수되어 세척됨과 동시에 수저가 정렬하게 되며 세척수를 세척통의 상방향으로 분사함으로써 수저는 요동에 의한 마찰과 수압에 의한 세척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세척 이물질을 상승하는 세척수에 의해 부유하여 걸름필터에 수용되므로 세척통 내의 세척수를 순환시켜 재사용할 수 있고 수저가 정렬되므로 취출이 편리한 수저세척기를 개시하고 있다.
KR 10-1999-0073438 A KR 10-2012-0047699 A KR 10-1364294 B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이 끝난 숟가락과 젓가락을 세척함과 아울러 세척 및 건조과정에서 불규칙적으로 뒤섞인 숟가락과 젓가락을 투입하면 형상에 따라 숟가락과 젓가락을 분류하여 젓가락을 낙하시킨 후 숟가락만 수납하고 낙하된 젓가락은 무게 중심 위치에 따라 동일한 단부를 가지도록 재분류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세척, 건조 및 분류 작업이 모두 자동화된 수저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저 세척장치는, 브러시, 진동, 충격 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수저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청수를 이용하여 수저에 대한 헹굼 작업을 수행하는 수저세척부와; 세척이 완료된 수저로부터 물기를 제거하는 건조부와; 건조가 완료된 수저를 숟가락과 젓가락으로 자동 분류하는 수저분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저분류부는 진동을 이용하여 숟가락과 젓가락을 정렬하되 젓가락은 아래쪽으로 낙하하고 숟가락은 남아 있도록 하는 수저분리부와; 진동을 이용하여 젓가락을 길이 방향을 따라 정렬하는 젓가락정렬부와; 수저분리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젓가락과 분리된 숟가락이 저장되는 숟가락 저장부와; 이송된 젓가락의 무게 중심 위치에 따라 양측으로 분리시켜 젓가락이 일정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하는 분리부재와; 양측으로 분리된 젓가락들이 각각 단부 방향이 일치된 형태로 수집 저장되도록 하는 한 쌍의 젓가락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저분리부는 전방 및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함체 형상의 몸체와, 몸체의 개구된 상부에 숟가락 파지부의 최대폭과 젓가락의 최대폭보다는 넓고 숟가락 헤드부의 폭보다는 좁은 간격을 가지도록 다수개의 가이드바를 길이방향으로 배열하여 젓가락만 분리되어 아래쪽으로 낙하하도록 하며 전방측이 후방측보다 낮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분리가이드와,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설정에 따라 몸체를 진동하는 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젓가락정렬부는 수저분리부의 개구된 하부의 하방에 위치되고 전방 및 상부가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방측이 후방측보다 낮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몸체와,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설정에 따라 몸체를 진동하는 진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저분리부는 분리가이드의 가이드바 사이에 걸린 숟가락을 설정에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밀어 낙하시키는 제1밀대와, 상기 몸체의 출구측에 설치되며 전방측이 후방측보다 낮아지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젓가락정렬부는 몸체에 위치한 젓가락을 설정에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밀어 낙하시키는 제2밀대와, 상기 몸체의 출구측에 설치되며 전방측이 후방측보다 낮아지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1경사판과, 상기 몸체에 형성된 구멍의 하부에 설치되며 후방측이 전방측보다 낮아지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2경사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젓가락정렬부의 전방측 하부에 배치되어, 이송된 젓가락의 무게중심의 위치에 따라 동일한 단부를 가지도록 양측으로 분리되게 삼각기둥 형상을 가지는 분리부재;가 더 포함되고, 상기 분리부재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젓가락저장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 수저세척부는 수저가 투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구멍이 일정 간격을 두고 종횡으로 형성된 세척통과, 내부에 상기 세척통이 수용되고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외통체와, 상기 세척통의 중심을 따라 설치됨과 아울러 청수 또는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의 노즐을 구비하며 상기 세척통에 설치된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분사기와, 상기 외통체의 선단 부분을 상하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모터와, 일단은 프레임에 회동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세척통의 중심에 연결되는 회전축과, 상기 세척통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을 회전 구동하는 회전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저 세척장치는 사용이 끝난 숟가락과 젓가락을 수저세척부에서 세척 및 헹굼하여 수저분류부로 배출하면 수저분류부에서 불규칙적으로 뒤섞인 숟가락과 젓가락을 길이방향으로 배열한 분리가이드를 가지는 수저분리부를 통해 숟가락과 젓가락으로 선분류하고, 무게 중심 위치에 따라 동일한 단부를 가지도록 젓가락을 재분류하여 숟가락과 젓가락을 바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완벽하게 분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저 세척장치는 수저분류부의 수저분리부를 통해 숟가락과 젓가락을 분리하여 젓가락을 젓가락정렬부로 낙하시키고 숟가락은 숟가락저장부에 수집되도록 함에 따라 숟가락과 젓가락을 분리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저 세척장치는 수저분류부의 젓가락정렬부에 구멍이 형성되어 젓가락의 집게부와 파지부의 중량 차이에 따라 달라지는 무게중심 위치를 이용하여 젓가락을 전방측의 제1젓가락저장부 또는 후방측의 제2젓가락저장부에 선택적으로 수집되도록 함에 따라 젓가락의 방향 조절을 위한 재분류작업이 생략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저 세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저 세척장치의 수저분류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저분류부를 측방에서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저분류부를 구성하는 수저분리부와 숟가락 저장부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따른 수저분류부를 구성하는 젓가락정렬부와 젓가락저장부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저분류부를 구성하는 수저세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저분류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수저분류부를 측방에서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9은 도 7에 도시된 수저분류부를 구성하는 젓가락정렬부와 젓가락저장부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방은 도 2를 기준으로 수저의 분류를 위해 이송되는 방향 또는 해당 부분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며, 후방은 이와 반대되는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부 또는 상방은 설치된 바닥면에 대하여 높이를 가지는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며, 하부 또는 하방은 이와 반대되는 부분 또는 그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더불어, 길이방향은 전방과 후방을 연결하여 수저가 분류를 위해 이송되는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저 세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저 세척장치는, 사용이 끝난 수저를 세척한 후 물기를 제거하고 불규칙적으로 뒤섞인 상태로 공급된 숟가락과 젓가락을 분리한 후 각각 정렬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수저 세척장치는, 크게 수저세척부(4)와 수저분류부(1)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수저세척부(4)는 브러시, 진동, 충격 또는 초음파 등을 이용하여 수저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청수를 이용하여 수저에 대한 헹굼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공지의 세척기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저세척부(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저가 투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구멍(41')이 일정 간격을 두고 종횡으로 형성된 세척통(41)과, 내부에 상기 세척통(41)이 수용되고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외통체(42)와, 상기 세척통(41)의 중심을 따라 설치됨과 아울러 청수 또는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의 노즐(43')을 구비하며 상기 세척통(41)에 설치된 모터(45)에 의해 회전되는 분사기(43)와, 상기 외통체(42)의 선단 부분을 상하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모터(44)와, 일단은 프레임(49)에 회동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세척통(41)의 중심에 연결되는 회전축(46)과, 상기 세척통(4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46)을 회전 구동하는 회전모터(4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모터(47)와 회전축(46)은 전동체인(48) 등의 전동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승강모터(44)와 회전모터(47)는 스텝모터로서 정해진 방식으로 작동되어 외통체를 승강시키고 세척통을 회전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세척통(41) 내에 사용이 끝난 숟가락(2)과 젓가락(3)을 투입하고, 물과 세제를 투입한 후 세척통(41)을 회전시킴으로써 숟가락(2)과 젓가락(3)을 세척하고, 외통체(42)의 단부를 아래쪽으로 기울여 물을 배출한 후 청수를 분사하여 헹굼작업을 수행하며, 헹굼수를 다시 배출하고 공기를 분사하여 숟가락(2)과 젓가락(3)의 물기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통체(42)를 수평 방향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세척통(41)에 숟가락(2)과 젓가락(3) 및 세제를 투입한다. 이어, 승강모터(44)를 이용하여 외통체(42)의 단부를 어느 정도 상승시킴으로써 외통체(42)로부터 물이 빠져나오지 않게 한 후, 분사기(43)의 노즐(43')을 통해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세척수가 외통체(42)에 어느 정도 채워짐과 아울러 세척통(41)의 구멍(41')을 통해 세척통(41)의 내부에도 채워지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회전모터(47)를 작동시켜 회전축(46) 및 세척통(41)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물과의 마찰에 의해 회전중인 세척통(41)의 하부에 위치한 수저의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한다. 일정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면 회전모터(47)의 작동이 중지되고, 승강모터(44)가 작동되어 외통체(42)의 단부를 하강시킴으로써 외통체(42) 내의 세척수를 모두 배출하고 수저 세척을 완료한다.
이어, 외통체(42)의 단부를 다시 상승시킨 후 분사기(43)의 노즐(43')을 통해 청수를 분사함으로써 숟가락(2)과 젓가락(3)이 헹궈지도록 한다. 이때, 회전모터(47)를 이용하여 세척통(41)을 천천히 회전시킴과 동시에, 모터(46)를 이용하여 분사기(43)를 세척통(41)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분사기(43)의 노즐(43')이 항상 아래쪽을 향하도록 한다. 일정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면 회전모터(47)의 작동이 중지되고, 승강모터(44)가 작동되어 외통체(42)의 단부를 하강시킴으로써 외통체(42) 내의 헹굼수를 모두 배출하고 헹굼 작업을 완료한다. 이때, 헹굼 작업은 2회 이상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헹굼 작업이 모두 끝나면, 승강모터(44)를 이용하여 외통체(42)의 단부를 더욱 아래쪽으로 하강시켜 세척통(41) 내의 수저가 수저분류부(1)로 배출되도록 하고, 수저분류부(1)는 숟가락(2)과 젓가락(3)을 선분류하여 숟가락(2)을 먼저 수납하고 젓가락(3)은 방향에 따라 재분류하여 수납한다.
이때, 상기 수저세척부(4)와 수저분류부(1) 사이에는 건조부(5)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건조부(5)는 수저세척부(4)에서 세척이 완료된 상태로 공급된 수저로부터 물기를 제거하는 것으로, 수저의 물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적어도 하부면에 다수의 구멍이 천공된 탈수용기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탈수용기에는 하나 이상의 블로워가 설치됨으로써 송풍 공기에 의해 수저의 물기가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저분류부(1)는 건조가 완료된 수저를 숟가락(2)과 젓가락(3)으로 자동 분류하여 정렬한 후 각각 저장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저분류부(1)는 진동을 이용하여 숟가락(2)과 젓가락(3)을 정렬하되 젓가락(3)은 아래쪽으로 낙하하고 숟가락(2)은 남아 있도록 하는 수저분리부(10)와; 진동을 이용하여 젓가락(3)을 길이 방향을 따라 정렬하는 젓가락정렬부(20)와; 수저분리부(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젓가락(3)과 분리된 숟가락(2)이 저장되는 숟가락 저장부(40)와; 이송된 젓가락(3)의 무게 중심 위치에 따라 양측으로 분리시켜 젓가락(3)이 일정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하는 분리부재(30)와; 양측으로 분리된 젓가락(3)들이 각각 단부 방향이 일치된 형태로 수집 저장되도록 하는 한 쌍의 젓가락 저장부(50);를 포함하며, 제일 상부에 수저분리부(10)가 배치되고, 수저분리부(10)의 하부에 젓가락정렬부(20) 및 분리부재(30)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수저분리부(10)의 상부에 불규칙적으로 뒤섞여져 공급된 숟가락(2)과 젓가락(3)은 순차적으로 수저분리부(10)와 젓가락정렬부(20) 및 분리부재(30)를 통과하면서 형태와 무게 중심에 따라 재배열되어 분류된다.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상기 수저분류부(1)의 일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수저분리부(10)는, 상부로 공급된 숟가락(2)과 젓가락(3)를 형태에 따라 숟가락(2)과 젓가락(3)으로 선분류하고, 숟가락(2)을 젓가락(3)과 분리하여 배출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수저분리부(10)는, 전방 및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함체 형상의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개구된 상부에 숟가락(2)의 파지부(2b) 최대폭(c)과 젓가락(3)의 최대폭(d)보다는 넓으면서 숟가락(2)의 헤드부(2a) 폭(a)보다는 좁은 간격(b)을 가지도록 다수개의 가이드바(12a)를 길이방향으로 배열한 분리가이드(12)와, 상기 몸체(11)의 일측에 구비되어 설정에 따라 몸체(11)를 진동하는 진동부(13)와, 상기 분리가이드(12)의 가이드바(12a) 사이 간격(b)에 걸린 숟가락(2)을 설정에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밀어 낙하시키는 제1밀대(1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수저분리부(10)의 상부를 구성하는 분리가이드(12)로 투입된 숟가락(2)만 헤드부(2a)가 가이드바(12a)와 가이드바(12a) 사이 간격(b)에 걸려 매달리게 되고, 젓가락(3)은 분리가이드(12)를 통과하여 하방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때, 수저분리부(10)의 몸체(11) 일측에 구비된 진동부(13)는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작동되고, 설정에 따라 진동을 발생해 수저분리부(10)의 몸체(11)를 흔들게 된다.
이에 따라 섞여 있는 숟가락(2)과 젓가락(3)이 각각 분리됨과 아울러, 혹시라도 분리가이드(12)의 상부에 걸려져 있는 젓가락(3)이 가이드바(12a) 사이의 간격(b)으로 낙하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진동부(13)의 진동에 따른 몸체(11)의 흔들림에 따라 분리가이드(12)에 걸려 놓여진 숟가락(2)은 조금씩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필요에 따라 도시하진 않았지만, 수저분리부(10)의 분리가이드(12)를 구성하는 가이드바(12a)와 가이드바(12a)는 동일한 등간격을 가지며 배열됨이 바람직하며, 전방측이 후방측 보다 낮도록 하향 경사진 기울기를 가진다.
또한, 분리가이드(12)의 전방 측 단부는 전방으로 이동하는 숟가락(2)이 떨어져 낙하할 수 있도록, 가이드바(12a)와 가이드바(12a) 사이가 오픈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수저분리부(10)의 전방에는 분리가이드(12)에 걸려 분리되면서 전방으로 이송되어 숟가락(2)를 수집하는 숟가락저장부(30)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숟가락저장부(30)는 숟가락(2)이 저장될 수만 있으면 그 형태와 크기 및 구조에 제한이 없다.
또, 제1밀대(14)는 분리가이드(12)의 가이드바(12a) 사이의 간격(b)에 걸려 있는 숟가락(2)을 설정에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밀어 낙하시키게 된다. 이때, 제1밀대(14)는 설정 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숟가락(2)를 전방으로 밀 수 있다면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제1밀대(14)는 몸체(11)의 폭을 포함할 수 있는 크기의 바와, 바를 전후방으로 전진 또는 후퇴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한 구조를 제시하였다.
더불어, 수저분리부(10)는, 개구된 상부에 전방측이 후방측보다 낮아지도록 하향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는 경사판(15)을 더 포함한다.
경사판(15)의 전방측 단부는 상술의 숟가락저장부(40)와 근접위치토록 배치되며, 분리가이드(12)의 경사기울기 또는 제1밀대(14)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된 숟가락(2)은 낙하하여 경사판(15)으로 떨어지고 상술의 경사판(15)을 타고 미끄러져 상부가 개구된 함체 형상의 숟가락저장부(40) 내로 수집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수저 자동 분류장치(1)를 구성하는 젓가락정렬부(20)는, 상술의 수저분리부(10)의 개구된 몸체(11) 하방으로 떨어진 젓가락(3)을 받아 수집하고, 이를 동일한 방향을 가지도록 정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젓가락정렬부(20)는, 수저분리부(10)의 개구된 하부의 하방에 위치되고 전방 및 상부가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전방 단부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된 위치에 일정 폭의 구멍(25)이 형성된 몸체(21)와, 상기 몸체(21)의 일측에 구비되어 설정에 따라 몸체(21)를 진동하는 진동부(22)와, 젓가락(3)을 설정에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밀어 낙하시키는 제2밀대(23)를 포함한다.
상술의 진동부(22)의 작동에 따라 몸체(21)는 진동하면서 내부에 떨어져 포함된 불규칙적인 다수의 젓가락(3)를 동일 길이방향으로 배열되게 한다. 또한, 진동부(22)에 의한 몸체(21)의 진동에 따라 젓가락(3)은 전방으로 서서히 이송된다.
이를 위해 도시하진 않았지만, 바람직하게 젓가락정렬부(20)의 몸체(21) 저면은, 전방측이 후방측보다 낮아지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밀대(23)는 몸체(21)에 위치한 젓가락(3)를 설정에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밀어 낙하시키는 것으로, 상술의 제1밀대(14)와 동일한 구조와 실시예를 가질 수 있으며, 다만, 젓가락(3)을 밀어내는 부분이 몸체(2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젓가락정렬부(20)는, 몸체(21)의 전방에 설치되며 전방측이 후방측보다 낮아지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1경사판(24)과, 상기 몸체(21)에 형성된 구멍(25)의 하부에 설치되며 후방측이 전방측보다 낮아지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2경사판(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방으로 이송되는 젓가락(3)이 제1경사판(24)을 타고 전방으로 떨어지거나 제2경사판(26)을 타고 후방으로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젓가락정렬부(20)의 몸체에 형성된 구멍(25)은 이송된 젓가락(3)의 무게중심의 위치에 따라 동일한 단부를 가지도록 젓가락(3)이 전방측과 후방측으로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통상의 젓가락(3)은 파지부(3a)와 집게부(3b)로 구별할 수 있도록 바(bar)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파지부(3a)와 집게부(3b)는 그 형태와 두께에 따라 무게가 다를 수밖에 없고, 보통 젓가락(3)의 길이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파지부(3a)의 무게가 더 무겁다.
이에 따라 밀대(23)에 의해 이송된 젓가락(3) 중 중량이 무거운 파지부(3a)가 앞쪽에 있는 젓가락(3)은 무게중심이 앞쪽에 있으므로 구멍(25)을 지난 후 제1경사판(24)을 타고 배출되고, 파지부(3a)가 뒤쪽에 있는 젓가락은 무게중심이 뒤쪽에 있으므로 구멍(25)을 지나는 과정에서 후방측으로 기울어지면서 구멍(25)으로 빠진 후 제2경사판(26)을 타고 배출된다.
이때, 제1경사판(24) 및 제2경사판(26)의 출구부 하측에 각각 젓가락저장부(5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파지부(3a)를 전방측 단부로 하는 젓가락(3)은 제1젓가락저장부(50a)로 수집되고, 파지부(3a)를 후방측 단부로 하는 젓가락(3)은 제2젓가락저장부(50b)로 수집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수저분류부(1)는, 불규칙적으로 뒤섞인 숟가락(2)과 젓가락(3)을 수저분리부(10)를 통해 선분류하여 젓가락(3)은 하부의 젓가락정렬부(20)로 배출하고 숟가락(1)만 숟가락저장부(40)에 수집하고, 젓가락정렬부(20)를 통해 젓가락(3)을 길이방향으로 정렬한 후 무게중심의 위치에 따라 동일한 단부를 가지도록 젓가락(3)을 재분류하여 젓가락저장부(50)에 수집함으로써, 숟가락(2)과 젓가락(3)을 바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완벽하게 분류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수저분류부(1)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저분리부(10)와 젓가락정렬부(20)외에 분리부재(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젓가락(3)은 분리부재(30)를 통과하면서 무게중심에 따라 재배열되어 분류된다.
도 7 내지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저분류부(1)의 다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수저분리부(10)와 젓가락정렬부(20)는 상술한 실시예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젓가락정렬부(20)에 구멍(25)이 형성되지 않고 제2경사판(26)이 설치되지 않은 점에서 차이가 있다.
분리부재(30)는 젓가락정렬부(20)의 전방측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송된 젓가락(3)의 무게중심의 위치에 따라 젓가락(3)들이 동일한 단부를 가지도록 양측으로 분리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삼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닥에 뉘어진 형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젓가락저장부(50)는 분리부재(3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된다.
이에 따라 삼각기둥 형상의 분리부재(30) 상부 모서리에 젓가락(3)이 위치되면 그 무게중심에 따라 동일한 단부를 가지도록 양측으로 분리되어 젓가락저장부(50)에 수납된다. 즉, 밀대(23)에 의해 몸체의 전방으로 이송된 젓가락(3)이 제1경사판(24)을 타고 배출된 후 분리부재(30)의 상부 모서리에 걸쳐진 상태에서 무게중심의 위치에 따라 전방측과 후방측으로 분리되어 젓가락저장부(50)에 각각 수납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중량이 무거운 파지부(3a)가 앞쪽에 있는 젓가락(3)은 무게중심이 앞쪽에 있으므로 분리부재(30)의 앞쪽으로 기울어지면서 배출되고, 파지부(3a)가 뒤쪽에 있는 젓가락(3)은 무게중심이 뒤쪽에 있으므로 분리부재(30)에서 후방측으로 기울어지면서 배출된다. 이에 따라 파지부(3a)를 전방측 단부로 하는 젓가락(3)은 제1젓가락저장부(50a)로 수집되고, 파지부(3a)를 후방측 단부로 하는 젓가락(3)은 제2젓가락저장부(50b)로 수집된다.
상기한 수저분류부(1)의 다른 실시예는, 불규칙적으로 뒤섞인 숟가락(2)과 젓가락(3)을 수저분리부(10)를 통해 선분류하여 젓가락(3)은 하부의 젓가락정렬부(20)로 배출하고 숟가락(1)만 숟가락저장부(40)에 수집하고, 젓가락정렬부(20)를 통해 젓가락(3)을 길이방향으로 정렬한 후 무게중심의 위치에 따라 동일한 단부를 가지도록 분리부재(30)를 이용해 젓가락(3)을 재분류하여 젓가락저장부(50)에 수집함으로써, 숟가락(2)과 젓가락(3)을 바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완벽하게 분류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저 세척장치는, 사용이 끝난 숟가락(2)과 젓가락(3)을 세척부(4)에서 세척 및 헹굼한 후, 숟가락(3)과 젓가락(4)이 혼재된 상태로 수저분류부(1)에 공급되면 수저분류부(1)에서 숟가락(2)과 젓가락(3)을선분류하고, 무게 중심 위치에 따라 동일한 단부를 가지도록 젓가락(3)을 재분류하여 숟가락(2)과 젓가락(3)을 바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수저분류부
10...수저분리부
11...몸체
12...분리가이드
12a...가이드바
13...진동부
14...제1밀대
20...젓가락정렬부
21...몸체
22...진동
23...제2밀대
30...분리부재
40...숟가락저장부
50...젓가락저장부
50a...제1젓가락저장부
50b...제2젓가락저장부
2...숟가락
2a...헤드부
2b...파지부
3...젓가락
3a...파지부
3b...집게부
4...수저세척부
41...세척통
41'...구멍
42...외통체
43...분사기
43'...노즐
44...승강모터
45...모터
46...회전축
47...회전모터
48...전동체인
49...프레임
5...건조부

Claims (5)

  1. 브러시, 진동, 충격 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수저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청수를 이용하여 수저에 대한 헹굼 작업을 수행하는 수저세척부(4)와;
    세척이 완료된 수저를 숟가락(2)과 젓가락(3)으로 자동 분류하는 수저분류부(1);를 포함하고,
    상기 수저세척부(4)는,
    수저가 투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구멍(41')이 일정 간격을 두고 종횡으로 형성된 세척통(41)과;
    내부에 상기 세척통(41)이 수용되고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외통체(42)와;
    상기 세척통(41)의 중심을 따라 설치됨과 아울러 청수 또는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의 노즐(43')을 구비하며 상기 세척통(41)에 설치된 모터(45)에 의해 회전되는 분사기(43)와;
    상기 외통체(42)의 선단 부분을 상하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모터(44)와, 일단은 프레임(49)에 회동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세척통(41)의 중심에 연결되는 회전축(46)과;
    상기 세척통(4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46)을 회전 구동하는 회전모터(47);를 포함하며,
    상기 수저분류부(1)는,
    진동을 이용하여 숟가락(2)과 젓가락(3)을 정렬하되 젓가락(3)은 아래쪽으로 낙하하고 숟가락(2)은 남아 있도록 하는 수저분리부(10)와;
    진동을 이용하여 젓가락(3)을 길이 방향을 따라 정렬하는 젓가락정렬부(20)와;
    수저분리부(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젓가락(3)과 분리된 숟가락(2)이 저장되는 숟가락 저장부(40)와;
    양측으로 분리된 젓가락(3)들이 각각 단부 방향이 일치된 형태로 수집 저장되도록 하는 한 쌍의 젓가락 저장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저분리부(10)는 전방 및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함체 형상의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개구된 상부에 숟가락(2) 파지부(2b)의 최대폭(c)과 젓가락(3)의 최대폭(d)보다는 넓고 숟가락(2) 헤드부(2a)의 폭(a)보다는 좁은 간격(b)으로 다수개의 가이드바(12a)를 길이방향으로 배열하여 젓가락(3)만 분리되어 아래쪽으로 낙하하도록 하며 전방측이 후방측보다 낮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분리가이드(12)와, 상기 몸체(11)의 일측에 구비되어 설정에 따라 몸체(11)를 진동하는 진동부(13)를 포함하고,
    상기 젓가락정렬부(20)는 수저분리부(10)의 개구된 하부의 하방에 위치되고 전방 및 상부가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전방측이 후방측보다 낮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출구측 단부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된 위치에 일정 폭의 구멍(25)이 형성된 몸체(21)와, 상기 몸체(21)의 일측에 구비되어 설정에 따라 몸체(21)를 진동하는 진동부(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세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저분리부(10)는 분리가이드(12)의 가이드바(12a) 사이에 걸린 숟가락(2)을 설정에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밀어 낙하시키는 제1밀대(14)와, 상기 몸체(11)의 출구측에 설치되며 전방측이 후방측보다 낮아지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1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젓가락정렬부(20)는 몸체(21)에 위치한 젓가락(3)을 설정에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밀어 낙하시키는 제2밀대(23)와, 상기 몸체(21)의 출구측에 설치되며 전방측이 후방측보다 낮아지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1경사판(24)과, 상기 몸체(21)에 형성된 구멍(25)의 하부에 설치되며 후방측이 전방측보다 낮아지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2경사판(2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세척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젓가락정렬부(20)의 전방측 하부에 배치되어, 이송된 젓가락(3)의 무게중심의 위치에 따라 동일한 단부를 가지도록 양측으로 분리되게 삼각기둥 형상을 가지는 분리부재(30);가 더 포함되고,
    상기 분리부재(3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젓가락저장부(5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세척장치.
  5. 삭제
KR1020190070492A 2019-06-14 2019-06-14 수저 세척장치 KR102015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492A KR102015260B1 (ko) 2019-06-14 2019-06-14 수저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492A KR102015260B1 (ko) 2019-06-14 2019-06-14 수저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5260B1 true KR102015260B1 (ko) 2019-08-27

Family

ID=67807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492A KR102015260B1 (ko) 2019-06-14 2019-06-14 수저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2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36278A (zh) * 2020-10-31 2021-02-09 张家港东艺超声有限公司 一种超声波清洗筷子烘干装置
KR102259692B1 (ko) 2020-10-12 2021-06-02 김종문 수저 세척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438A (ko) 1999-07-13 1999-10-05 문덕진 수저세척기
KR20110069682A (ko) * 2009-12-17 2011-06-23 이정호 수저,젓가락 전용 세척기
KR20110096607A (ko) * 2010-02-23 2011-08-31 양희숙 숟가락 및 젓가락 세척기
KR20120047699A (ko) 2010-11-04 2012-05-14 채승병 수저 세척장치
KR101226464B1 (ko) * 2012-07-04 2013-01-28 유콜 (주) 식사도구 자동세척분리장치
KR20130018394A (ko) * 2011-08-13 2013-02-21 임지혜 수저 자동정렬기
KR20140004985A (ko) * 2012-07-04 2014-01-14 유콜 (주) 수저분리장치
KR101364294B1 (ko) 2013-01-25 2014-02-26 김영호 수저세척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438A (ko) 1999-07-13 1999-10-05 문덕진 수저세척기
KR20110069682A (ko) * 2009-12-17 2011-06-23 이정호 수저,젓가락 전용 세척기
KR20110096607A (ko) * 2010-02-23 2011-08-31 양희숙 숟가락 및 젓가락 세척기
KR20120047699A (ko) 2010-11-04 2012-05-14 채승병 수저 세척장치
KR20130018394A (ko) * 2011-08-13 2013-02-21 임지혜 수저 자동정렬기
KR101226464B1 (ko) * 2012-07-04 2013-01-28 유콜 (주) 식사도구 자동세척분리장치
KR20140004985A (ko) * 2012-07-04 2014-01-14 유콜 (주) 수저분리장치
KR101364294B1 (ko) 2013-01-25 2014-02-26 김영호 수저세척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692B1 (ko) 2020-10-12 2021-06-02 김종문 수저 세척장치
CN112336278A (zh) * 2020-10-31 2021-02-09 张家港东艺超声有限公司 一种超声波清洗筷子烘干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5260B1 (ko) 수저 세척장치
CN203252618U (zh) 工业用餐具洗涤机
KR101330794B1 (ko) 수저 세척장치
RU2615812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орожнения тарных емкостей с плодоовощной продукцией
US90040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waste from a soiled container
KR101282235B1 (ko) 구근 선별기
KR102391504B1 (ko) 개량된 식기 이송구조를 갖는 식기 담금 세정장치
JPH0652973U (ja) パレットなどの縦型洗浄装置
KR19990073438A (ko) 수저세척기
CN208790530U (zh) 根块类中药材前处理自动生产线
CN211609675U (zh) 除渣机
CN204620451U (zh) 餐具不易破碎的分选装置
KR102022853B1 (ko) 식기 자동 배출구조를 갖는 식기 세정 시스템
US6220534B1 (en) Materials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CN208575084U (zh) 一种轻柔薄片物料回收设备
CN107494687B (zh) 除水式水产加工装置
JP2003019469A (ja) 籾殻による洗浄方法及び装置
KR100756341B1 (ko) 트롬멜장치
JPH0633819Y2 (ja) 帆立貝の分別装置
KR102158502B1 (ko) 젓가락 정렬 및 수집장치
KR102564816B1 (ko) 수저 및 포크 선별 및 정렬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수저 및 포크 선별 및 정렬공정
KR20210046387A (ko) 더블형 자동 멸치 털이기
KR102209326B1 (ko) 무동력 곡물 분산기능이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
KR102259692B1 (ko) 수저 세척장치
US3532144A (en) Egg process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