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972B1 -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 - Google Patents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972B1
KR102014972B1 KR1020170079231A KR20170079231A KR102014972B1 KR 102014972 B1 KR102014972 B1 KR 102014972B1 KR 1020170079231 A KR1020170079231 A KR 1020170079231A KR 20170079231 A KR20170079231 A KR 20170079231A KR 102014972 B1 KR102014972 B1 KR 102014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window
frame
enclosure
fix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197A (ko
Inventor
이가원
이지호
Original Assignee
이가원
이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가원, 이지호 filed Critical 이가원
Priority to KR1020170079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972B1/ko
Publication of KR20190000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6Accessories, e.g.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은 함체에 설치되는 투명창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투명창의 테두리를 상기 함체에 대해 잡아주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를 상기 함체에 대해 고정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마련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은, 본 발명에 따른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은 조합이 가능한 블록(block) 형태의 분할된 단위프레임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함체에 고정되는 투명창의 가로 및 세로 길이에 따라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투명창의 다양한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Description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FIXED FLAME OF TRANSPARENT WINDOW FOR HOUSING}
본 발명은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화전함, 전기분전함, 배선함 등의 함체에 투명창을 고정하기 위한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소방 관련 법규상 각종 건축물, 터널 등의 내부에는 건축물, 터널의 화재 발생시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설비를 갖춘 소화전함이 설치된다. 이러한 소화전함에는 소화설비(소화기구, 옥내소화전설비, 물분무소화전설비), 화재를 감지하여 경보하는 경보설비(비상경보설비, 비상방송설비, 비상전화, 자동화재탐지설비, CCTV 등), 화재시 소화활동에 사용되는 소화활동설비(제연설비, 연결송수관 설비, 비상콘센트 설비 등)이 설치된다.
한편, 건축물 및 터널 내에 설치되는 소화전함은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철판(stainless steel)을 이용하여 판금 작업을 통해 제작된다.
여기서, 소화전함에는 소화설비, 경보설비, 소화활동설비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설비들의 작동 상태는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한다. 때문에, 함체에 설치되는 창은 투명한 재질 예컨대 아크릴 재질의 투명창으로 마련된다.
종래 투명창은 함체에 볼트 및 너트를 사용하여 함체의 외면에 결합시키거나, 밀폐링 및 패킹을 통해 함체의 개방부(구멍)에 고정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볼트 및 너트를 사용하여 함체의 외면에 투명창을 결합시키는 것은 함체의 미관을 해치고, 함체의 외부로 돌출된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작업자가 다칠 위험성이 있다.
또한, 밀폐링 및 패킹을 이용하여 함체에 투명창을 결합시키는 것은 작업자의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함체의 개방부(구멍)에 정확하게 맞는 밀폐링 또는 패킹만을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14335호 (발명의 명칭: 함체용 개폐유니트, 등록일: 2006.04.12.)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화전함, 전기분전함, 배선함 등의 함체에 고정되는 투명창의 가로 및 세로 길이에 따라 복수 개의 프레임부를 적절하게 조합하여 함체에 투명창을 고정시킬 수 있는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함체에 설치되는 투명창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투명창의 테두리를 상기 함체에 대해 잡아주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를 상기 함체에 대해 고정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마련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투명창의 테두리 전면을 덮은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투명창의 테두리 측면을 잡아주는 단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프레임부의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함체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기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투명창의 다양한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의 단위프레임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위프레임은, 직선 형태로 상기 투명창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 측 테두리에 배치되는 직선 단위프레임과, 절곡된 형태로 상기 투명창의 코너 측 테두리에 배치되는 절곡 단위프레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단위프레임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마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마디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마디의 경계 영역에는 상기 단위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커팅 라인이 인입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함체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서 상기 프레임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삽입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합체의 관통공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함체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되어 삽입이 용이하도록 절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은 조합이 가능한 블록(block) 형태의 분할된 단위프레임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함체에 고정되는 투명창의 가로 및 세로 길이에 따라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투명창의 다양한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은, 단위프레임이 복수 개의 마디로 구성되기 때문에 투명창의 크기에 따라 필요한 길이 만큼 잘라서 사용할 수 있어서 함체에 대해 투명창을 고정하는데 소요되는 작업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고,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마디들 사이가 서로 연결된 것으로 보일 수 있어서 미관상 깔끔하게 보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이 함체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이 함체와 결합된 상태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고정수단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1에 도시한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한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의 반대쪽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100, 이하 '고정 프레임'이라 함)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프레임(100)은 함체(1)에 설치되는 투명창(4)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고 투명창(4)의 테두리를 함체(1)에 대해 잡아주는 프레임부(110) 및 프레임부(110)를 함체(1)에 대해 고정하도록 프레임부(110)에 마련되는 고정수단(120)을 포함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프레임(100)은 소화전함, 전기분전함, 배전함 등의 함체(1)에 사용된다. 이때, 함체(1)에는 작업자가 소화전함, 전기분전함, 배전함 등의 설비의 작동 상태를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개방부(2)가 형성되고, 개방부(2)를 통해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투명창(4)을 이용하여 개방부(2)를 덮어야 한다. 이에 따라, 고정 프레임(100)을 이용하여 투명창(4)을 함체(1)의 개방부(2)의 전면에 고정시킨다.
한편, 투명창(4)은 함체(1)의 내부 설비의 작동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하므로 아크릴(acrylic), 유리 등의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투명창(4)은 함체(1)의 개방부(2) 보다는 큰 크기로 형성된다. 왜냐하면, 투명창(4)은 고정 프레임(100)의 프레임부(110)에 의해 함체(1)의 개방부(2)에 지지되고 고정 프레임(100)의 프레임부(110)에 형성된 고정수단(120)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만약, 투명창(4)이 함체(1)의 개방부(2) 보다 작은 크기로 마련될 경우 투명창(4)이 함체(1)의 개방부(2)를 차단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투명창(4)이 함체(1)의 개방부(2)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었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고정 프레임(100)의 크기가 커져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투명창(4)의 크기는 함체(1)의 개방부(2)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부(110)는 함체(1)에 설치되는 투명창(4)을 함체(1)에 대해 잡아주기 위한 부분이다. 프레임부(110)는 투명창(1)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고, 프레임부(110)에 마련된 고정수단(120)에 의해 함체(1)에 고정된다. 참고로, 프레임부(110)는 함체(1) 및 투명창(4)의 재질에 따라 고무(rubber), 플라스틱(plastic) 등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부(110)는 커버부(112) 및 단턱부(114)를 포함한다. 도 2에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부(112)는 투명창(4)의 테두리 전면을 덮는 부분이고, 단턱부(114)는 투명창(4)의 테두리 측면을 잡아주는 부분이다. 즉, 커버부(112)가 투명창(4)의 테두리 전면을 덮고, 단턱부(114)가 투명창(4)의 테두리 측면을 덮기 때문에 투명창(4)이 함체(1)의 개방부(2)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단턱부(114)에는 커버부(112)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부분에 단턱이 형성된다. 단턱이 형성되는 단턱부(114)에 의하여 투명창(4)이 커버부(112)의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커버부(112)와 단턱부(114)는 두께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커버부(112)는 투명창(4)의 테두리 전면을 덮으면서 함체(1)의 개방부(2)에 대해 투명창(4)을 잡아주어야 하기 때문에 커버부(112)의 두께가 단턱부(114) 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프레임부(110)는 복수 개의 단위프레임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110)는 함체(1)의 개방부(2)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어야 하는 투명창(4)의 다양한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11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단위프레임은 직선 단위프레임(110a)과 절곡 단위프레임(110b)의 구분된다. 직선 단위프레임(110a)은 '-'과 같은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 투명창(4)의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측 테두리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직선 단위프레임(110a)은 투명창(4)의 테두리 모서리 부분을 제외한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의 테두리에 배치된다. 절곡 단위프레임(110b)은 'ㄴ'또는 'ㄱ'과 같이 일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투명창(4)의 모서리 또는 코너 측 테두리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절곡 단위프레임(110b)은 일방향으로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투명창(4)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 측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코너 측 테두리에 배치된다.
한편, 투명창(4)의 크기에 따라, 상기와 같이 직선 단위프레임(110a) 및 절곡 단위프레임(110b)이 조합되는 개수가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 단위프레임(110a)을 투명창(4)의 가로 방향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하나씩 배치하고 절곡 단위프레임(110b)을 투명창(4)의 코너 측에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 단위프레임(110a)을 투명창(4)의 가로 방향의 테두리 부분에 각각 두개씩 배치하고 세로 방향의 테두리 부분에 하나씩 배치하며, 절곡 단위프레임(110b)을 투명창(4)의 코너 측 테두리에 각각 하나씩 배치할 수도 있다.
한편, 프레임부(110)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단위프레임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마디(116)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직선 단위프레임(110a) 및 절곡 단위프레임(110b)은 등간격을 가지는 복수 개의 마디(116)의 조합으로 형성된다.
이때, 복수개의 마디(116) 즉,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마디(116)의 경계 영역에는 단위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커팅 라인(cutting line, 118)이 형성된다. 커팅 라인(118)은 직선 단위프레임(110a) 또는 절곡 단위프레임(110b)의 일면에 대해 안쪽으로 인입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투명창(4)의 크기에 따라 직선 단위프레임(110a) 또는 절곡 단위프레임(110b)에 형성된 커팅 라인(118)을 이용하여 직선 단위프레임(110a) 또는 절곡 단위프레임(110b)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마디(116) 중 일부를 떼어내고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창(4)의 가로 길이가 작을 경우에는 직선 단위프레임(110a)의 일부 마디(116)를 잘라내어 사용할 수도 있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절곡 단위프레임(110b)의 일부 마디(116)를 잘라내어 사용할 수도 있다.
참고로, 복수 개의 마디(116) 들은 서로 동일한 폭으로 마련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프레임부(110)를 투명창(4)의 길이에 맞추는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마디(116) 들이 서로 동일한 폭을 가지기 때문에, 투명창(4)의 길이에 따라 직선 단위프레임(110a) 또는 절곡 단위프레임(110b)의 복수 개의 마디(116) 중 일부를 잘라내더라도 직선 단위프레임(110a) 또는 절곡 단위프레임(110b) 사이가 서로 연결된 것으로 보일 수 있어서 미관상 깔끔할 수 있다.
여기서, 직선 단위프레임(110a) 만으로 투명창(4)의 가로 또는 방향 측 테두리 부분과 코너 측 테두리 모두에 배치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선 단위프레임(110a)은 복수 개의 커팅 라인(118)을 가지는 복수 개의 마디(116)의 조합으로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투명창(4)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 테두리 측에 직선 단위프레임(110a)을 배치하고 투명창(4)의 코너 측에 맞게 직선 단위프레임(110a)의 일부 마디(116)를 잘라내고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투명창(4)의 테두리 부분에 직선 단위프레임(110a) 만을 배치할 경우에는 미관상으로 좋지 못하기 때문에, 직선 단위프레임(110a)과 절곡 단위프레임(110b)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프레임부(110)에는 고정수단(120)이 마련된다. 고정수단(120)은 프레임부(110)를 함체(1)에 대해 고정하기 위한 부분이다. 프레임부(110)에 고정수단(120)이 마련됨에 따라 작업자는 함체(1)에 대해 투명창(4)을 손쉽게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수단(120)은 프레임부(110)의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고정수단(120)은 단턱부(114)의 후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단턱부(114)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가지고 복수개 배치된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고정수단(120) 사이의 간격은 'X'로 모두 동일한 간격을 가지게 된다. 참고로, 고정수단(120)은 프레임부(110)를 구성하고 있는 복수 개의 마디(116)에 하나씩 마련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턱부(114)의 후면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고정수단(120)은 함체(1)에 관통공(3)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120)은 삽입부(121) 및 지지부(12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삽입부(121)는 함체(1)에 형성된 관통공(3)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고정수단(120)이 관통공(3)에 삽입된 후에 함체(1)의 관통공(3)으로부터 고정수단(12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삽입부(121)에는 걸림턱(123)이 형성된다. 걸림턱(123)은 삽입부(121)의 하단부로써, 고정수단(120)이 함체(1)의 관통공(3)에 삽입된 후에 고정수단(120)이 관통공(3)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걸림턱(123)은 함체(1)의 관통공(3) 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고정수단(120)이 관통공(3)에 삽입된 후에 함체(1)에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고성수단(120)은 물론이고, 고정프레임(100) 자체가 함체(1)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부(122)는 삽입부(121)에서 프레임부(110) 까지 연장 형성되어 삽입부(121)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지지부(122)는 프레임부(110)의 단턱부(114)의 일면에서부터 연장 형성되되,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삽입부(121)를 지지하면서 함체(1)의 관통공(3)에 대해 삽입되어 위치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고정수단(120)은 함체(1)에 형성된 관통공(3)에 삽입 고정되도록 고정돌기 또는 쐐기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121)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넓어지는 원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고,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121)의 상단 및 하단이 평평한 형태를 가지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121)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증가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5의 (c)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수단(120) 즉, 삽입부(121)에는 절개홈(124)이 마련된다. 절개홈(124)은 고정돌기 형태의 고정수단(120)이 함체(1)의 관통공(3)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되어 삽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절개홈(124)은 고정수단(120)이 함체(1)의 관통공(3)에 삽입될 때에는 그 형태 및 크기가 작아졌다가, 고정수단(120)이 함체(1)의 관통공(3)에 삽입이 완료되고 난 후에는 원래의 형태 및 크기로 탄성 변형(또는 복원)된다. 고정수단(120)의 삽입부(121)에 절개홈(124)이 형성됨에 따라 고정수단(120)이 함체(1)의 관통공(3)에 삽입되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고정수단(120) 즉, 고정 프레임(100) 자체가 함체(1)의 관통공(3)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100)은 조합이 가능한 블록(block) 형태의 분할된 단위프레임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함체에 고정되는 투명창의 가로 및 세로 길이에 따라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투명창의 다양한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100)은, 단위프레임이 복수 개의 마디로 구성되기 때문에 투명창의 크기에 따라 필요한 길이 만큼 잘라서 사용할 수 있어서 함체에 대해 투명창을 고정하는데 소요되는 작업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고,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마디들 사이가 서로 연결된 것으로 보일 수 있어서 미관상 깔끔하게 보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함체 2: 개방부
3: 관통공 4: 투명창
100: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 110: 프레임부
112: 커버부 114: 단턱부
116: 마디 118: 커팅 라인
120: 고정수단 121: 삽입부
122: 지지부 123: 걸림턱
124: 절개홈

Claims (10)

  1. 함체에 설치되는 투명창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투명창의 테두리를 상기 함체에 대해 잡아주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를 상기 함체에 대해 고정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마련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투명창의 다양한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의 단위프레임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단위프레임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마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마디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마디의 경계 영역에는, 작업자가 상기 투명창의 크기에 따라 상기 단위프레임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 개의 마디 중 일부를 떼어내고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단위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커팅 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투명창의 테두리 전면을 덮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투명창의 테두리 측면을 잡아주는 단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프레임부의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함체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프레임은,
    직선 형태로 상기 투명창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 측 테두리에 배치되는 직선 단위프레임과, 절곡된 형태로 상기 투명창의 코너 측 테두리에 배치되는 절곡 단위프레임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
  6. 삭제
  7. 삭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함체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서 상기 프레임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삽입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함체의 관통공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함체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되어 삽입이 용이하도록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
KR1020170079231A 2017-06-22 2017-06-22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 KR102014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231A KR102014972B1 (ko) 2017-06-22 2017-06-22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231A KR102014972B1 (ko) 2017-06-22 2017-06-22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197A KR20190000197A (ko) 2019-01-02
KR102014972B1 true KR102014972B1 (ko) 2019-10-21

Family

ID=65021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231A KR102014972B1 (ko) 2017-06-22 2017-06-22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9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275B1 (ko) 2006-02-17 2006-10-02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방범창틀 설치구조
KR101775846B1 (ko) 2016-11-21 2017-09-06 유동진 조립식 창호 및 그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0224A (ko) * 2009-11-30 2011-06-0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전열교환부용 커버
KR200486160Y1 (ko) * 2015-10-05 2018-04-10 남영기전 주식회사 통합 단자함 커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275B1 (ko) 2006-02-17 2006-10-02 (주)이명이앤씨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방범창틀 설치구조
KR101775846B1 (ko) 2016-11-21 2017-09-06 유동진 조립식 창호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197A (ko) 2019-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61312A1 (en) Smoke proof door jamb
US10639507B2 (en) Fire collar
KR102014972B1 (ko)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
US7914009B1 (en) Universal pool skimmer gasket
US9163454B1 (en) Corrosion resistant screen frame assembly
JP2010144403A (ja) 持ち出しタイプかつスラブ隠しタイプの手摺構成体
KR101574120B1 (ko) 건축물의 방범기능을 갖춘 창 구조물
US9441369B2 (en) Fixture-supporting rail for suspended ceilings
US3481571A (en) Stabilizer for plumbing pipes
JP2008082028A (ja) 縦桟の取付け構造
US20100252296A1 (en) Temporary protective cover/guide for electrical/communications boxes
KR101973326B1 (ko) 제조가 용이하면서 견고하게 체결되는 스프링클러용 차폐판.
KR102475808B1 (ko) 조립식 파이프 결합구조
JP5847465B2 (ja) 集合配管・配線用建造物取付用フードボックス
JP5738646B2 (ja) クリーンルーム内床開口作業用囲い
US3964549A (en) Fire sprinkler and ceiling panel assembly
KR100769237B1 (ko) 발코니 난간용 방화유리 고정구
KR101437456B1 (ko) 스크린 루바 고정장치
KR101876638B1 (ko) 함체의 절단면 커버
JP4727508B2 (ja) 天井改修方法および膜天井構造
JP6423165B2 (ja) 面格子の取付構造
KR200439947Y1 (ko) 발코니 난간의 방범장치
KR200476217Y1 (ko) 안전봉 벽체고정장치
JP7443125B2 (ja) 扉付きのフェンス本体の製造方法
JP5944110B2 (ja) 防犯スクリー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