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846B1 - 조립식 창호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창호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846B1
KR101775846B1 KR1020160155066A KR20160155066A KR101775846B1 KR 101775846 B1 KR101775846 B1 KR 101775846B1 KR 1020160155066 A KR1020160155066 A KR 1020160155066A KR 20160155066 A KR20160155066 A KR 20160155066A KR 101775846 B1 KR101775846 B1 KR 101775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block
fixed block
fram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동진
Original Assignee
유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동진 filed Critical 유동진
Priority to KR1020160155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8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03Door leaves consisting of several adjacent similar elements, e.g. planks, without outer covering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의 양측을 관통하여 형성된 사각형의 공간부에 설치되는 조립식 창호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공간부의 상측 테두리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게 가이드홈이 형성된 상부프레임과, 상기 공간부의 하측 테두리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로 볼록하게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공간부의 일측 테두리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게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1수직프레임과, 상기 공간부의 타측 테두리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볼록하게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제2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틀과; 좌측과 상측에 각각 이동돌기가 구비됨과 동시에 하측과 우측에 상기 이동돌기가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홈이 구비된 사각형상의 보조창틀 및 상기 보조창틀에 고정된 보조창을 포함하고, 상하좌우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복수개의 행 및 열을 이루되, 상기 창틀의 가이드돌기가 이동홈에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이동돌기가 상기 창틀의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방식으로 상기 창틀에 고정되는 복수의 창호블럭과; 좌측과 상측에 이동돌기가 구비되고, 하측과 우측에 상기 이동돌기가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홈이 구비되며, 전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중심부에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창호블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대체하여 배치되는 사각형상의 고정블럭과; 후면이 개방되고, 상하좌우측면 및 전면이 창으로 이루어지되, 후면에 상기 삽입홈에 압입고정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블럭의 전방에 돌출되게 고정되는 돌출블럭과;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후면에 상기 전면부의 상하좌우측면과 각각 단턱을 형성하도록 상기 전면부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배면부와, 상기 전면부 또는 배면부의 개방된 중심부에 구비된 창을 구비하여, 창틀의 가이드돌기 및 창호블럭의 이동돌기의 간섭됨 없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끼우는 방식으로 상기 창호블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대체하여 배치되는 마감블럭과; 상기 고정블럭의 내부에 설치되어 고정블럭 및 고정블럭과 연결된 상기 돌출블럭으로 빛을 공급하는 조명수단과; 상기 고정블럭의 개구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블럭의 내측 상부에서 출몰하면서 고정블럭의 개구를 차폐하는 가림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창호 및 그 시공방법{prefabricated window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조립식 창호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벽면에 블럭 방식으로 간편하게 시공 가능한 조립식 창호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실내 및 실내 벽면에는 벽면의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켜 온도 및 기상변화로부터 내부를 보호하면서 채광 및 조망을 위한 목적으로 창호가 설치된다.
이러한 창호의 설치를 위해 건물의 벽 또는 출입구 등에는 창호프레임이 고정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된 창호 프레임에는 개폐가능한 상태 또는 고정 상태로 창호가 설치된다.
이중 고정상태의 창호는 한번 설치하면 개폐가 어렵고, 단순히 채광 및 조망의 기능만을 갖는다.
따라서, 환기를 위해 별도의 창호를 구비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획일화된 디자인으로 시간이 지나면서 보는이들에게 지루함을 유발하였으며, 크기 및 형태의 변경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면서, 크기 및 형태의 변경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조립식 창호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립식 창호는 벽면의 양측을 관통하여 형성된 사각형의 공간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공간부의 상측 테두리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게 가이드홈이 형성된 상부프레임과, 상기 공간부의 하측 테두리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로 볼록하게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공간부의 일측 테두리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게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1수직프레임과, 상기 공간부의 타측 테두리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볼록하게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제2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틀과; 좌측과 상측에 각각 이동돌기가 구비됨과 동시에 하측과 우측에 상기 이동돌기가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홈이 구비된 사각형상의 보조창틀 및 상기 보조창틀에 고정된 보조창을 포함하고, 상하좌우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복수개의 행 및 열을 이루되, 상기 창틀의 가이드돌기가 이동홈에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이동돌기가 상기 창틀의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방식으로 상기 창틀에 고정되는 복수의 창호블럭과; 좌측과 상측에 이동돌기가 구비되고, 하측과 우측에 상기 이동돌기가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홈이 구비되며, 전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중심부에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창호블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대체하여 배치되는 사각형상의 고정블럭과; 후면이 개방되고, 상하좌우측면 및 전면이 창으로 이루어지되, 후면에 상기 삽입홈에 압입고정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블럭의 전방에 돌출되게 고정되는 돌출블럭과;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후면에 상기 전면부의 상하좌우측면과 각각 단턱을 형성하도록 상기 전면부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배면부와, 상기 전면부 또는 배면부의 개방된 중심부에 구비된 창을 구비하여, 창틀의 가이드돌기 및 창호블럭의 이동돌기의 간섭됨 없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끼우는 방식으로 상기 창호블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대체하여 배치되는 마감블럭과; 상기 고정블럭의 내부에 설치되어 고정블럭 및 고정블럭과 연결된 상기 돌출블럭으로 빛을 공급하는 조명수단과; 상기 고정블럭의 개구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블럭의 내측 상부에서 출몰하면서 고정블럭의 개구를 차폐하는 가림막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정블럭의 삽입홈 내측 및 상기 돌출블럭의 삽입돌기의 단부에는 상호 인력이 작용하는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삭제
한편, 본 발명의 조립식 창호의 시공방법은 벽면에 사각형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창틀에 복수의 창호블럭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블럭을 조합하여 다수개의 행과 열로 조립하되, 일측 하단의 모서리에는 상기 마감블럭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하여 상기 공간부에 끼워지는 블럭조립체를 형성하는 제2단계와, 상기 블럭조립체를 상기 공간부에 고정하는 제3단계와, 상기 고정블럭에 돌출블럭을 고정하는 제4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창호 및 그 시공방법에 따르면,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면서, 크기 및 형태의 변경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감블럭이 분리된 공간부를 이용하여 창호블럭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황에 따라 상기 창호블럭의 위치를 수시로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장시간 동일한 인테리어 형태를 이루지 않고 계속적으로 상기 고정블럭 및 돌출블럭의 위치 등을 변경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상의 흥미 및 편리성을 가져옴과 동시에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돌출블럭의 내부에 각종 전시물을 수납하여, 전시효과 및 인테리어의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고정블럭의 내측에 조명수단을 설치하여, 돌출블럭에 수납된 전시물에 조명을 공급할 수 있고, 실내에도 조명이 공급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고정블럭의 내측에 가림막을 설치하여, 상황에 따라 고정블럭의 개구를 차폐하여, 실내로 조명이 가해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창호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창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고정블럭과 돌출블럭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고정블럭과 돌출블럭이 조립된 상태를 보인 배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돌출블럭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창호가 벽면에 시공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창호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창호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고정블럭과 돌출블럭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창호는 벽면(10)의 양측을 관통하여 형성된 사각형의 공간부(2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창틀(100)과, 창호블럭(200)과, 고정블럭(300)과, 돌출블럭(400)과, 마감블럭(5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창틀(100)은 상기 공간부(20)의 상측 테두리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게 가이드홈(111)이 형성된 상부프레임(110)과, 상기 공간부(20)의 하측 테두리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로 볼록하게 가이드돌기(121)가 형성된 하부프레임(120)과, 상기 공간부(20)의 일측 테두리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게 가이드홈(131)이 형성된 제1수직프레임(130)과, 상기 공간부(20)의 타측 테두리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볼록하게 가이드돌기(141)가 형성된 제2수직프레임(14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프레임(110)에 형성된 가이드홈(111)에는 후술되는 창호블럭(200)의 상측에 형성된 이동돌기(211)가 끼워질 수 있고, 제1수직프레임(130)의 가이드홈(131)에는 후술되는 창호블럭(200)의 좌측에 형성된 이동돌기(211)가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120)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21)는 후술되는 창호블럭(200)의 하측에 형성된 이동홈(212)에 끼워질 수 있고, 상기 제2수직프레임(140)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41)는 후술되는 창호블럭(200)의 우측에 형성된 이동홈(212)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상,하부프레임(110,120)과 제1,2수직프레임(130,140)으로 구성된 창틀(100)은 그 내부에 창호블럭(200), 고정블럭(300) 및 마감블럭(500)이 고정되면, 벽면(10)의 공간부(20)에 설치된다.
한편, 창호블럭(200)은 좌측과 상측에 각각 이동돌기(211)가 구비됨과 동시에 하측과 우측에 상기 이동돌기(211)가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홈(212)이 구비된 사각형상의 보조창틀(210) 및 상기 보조창틀(210)에 고정된 보조창(220)을 포함하고, 복수 구비되어 상하좌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복수개의 행 및 열을 이룬다. 또한, 상기 창틀(100)의 가이드돌기(121,141)가 상기 이동홈(212)에 끼워지고, 상기 이동돌기(211)가 상기 창틀(100)의 가이드홈(111,131)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상기 창틀(100)에 고정된다.
일례로, 상기 창호블럭(200)은 4개의 행과 5개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창호블럭(200)은 좌측과 상측의 이동돌기(211)가 각각 우측과 하측의 이동홈(212)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또한, 최상단에 배치된 창호블럭(200)의 상측의 이동돌기(211)는 상부프레임(110)의 가이드홈(111)에 끼워져 고정되고, 최하단에 배치된 창호블럭(200)의 하측의 이동홈(212)에는 하부프레임(120)의 가이드돌기(121)가 끼워져 고정된다.
또한, 좌측에 배치된 창호블럭(200)의 좌측의 이동돌기(211)는 제1수직프레임(130)의 가이드홈(131)에 끼워져 고정되고, 우측에 배치된 창호블럭(200)의 우측의 이동홈(212)에는 제2수직프레임(140)의 가이드돌기(141)가 끼워져 고정된다.
한편, 고정블럭(300)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중심부에 사각형의 개구(340)를 형성한다. 또한, 좌측과 상측에 각각 이동돌기(310)가 구비하고, 하측과 우측에 각각 상기 이동돌기(310)가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홈(320)을 구비하며, 전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복수의 삽입홈(330)이 형성되고, 중심부에 개구(340)가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행 및 열을 이루는 창호블럭(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대체하여 배치된다.
일례로, 상기 창호블럭(200)이 4행 5열로 배치된 경우, 2행 3열의 창호블럭(200) 대신하여 고정블럭(300)을 배치할 수 있다.
한편, 돌출블럭(400)은 후면이 개방되어 개구(440)를 형성하고, 상하좌우측면 및 전면에 창(41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돌출블럭(400)은 사각프레임이 상부와 하부에 상호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사각프레임을 연결하는 4개의 연결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의 프레임(430)을 포함한다. 또한, 돌출블럭(400)은 상기 고정블럭(300)과 마주보는 프레임(430)의 후면에 상기 삽입홈(330)에 압입고정되는 삽입돌기(420)가 형성하여 상기 고정블럭(300)의 전방에 돌출되게 고정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돌출블럭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돌출블럭(400)은 내측에 받침판(4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판(450)은 돌출블럭(400)의 내측으로 노출된 프레임(430)에 지지되며, 받침판(450)의 구성으로 창(410)은 보호되고, 받침판(450)의 상부에 각종 전시물 등을 올려둘 수 있다.
한편, 마감블럭(500)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전면부(510)와 상기 전면부의 후면에 상기 전면부(510)의 상하좌우측면과 각각 단턱을 형성하도록 상기 전면부(510)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배면부(520)와, 상기 전면부(510) 또는 배면부(520)의 개방된 중심부에 구비된 창(530)을 포함하여, 상기 복수개의 행 및 열을 이루는 창호블럭(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대체하여 배치된다.
일례로, 상기 마감블럭(500)은 우측 최하단의 창호블럭(200) 대신 배치될 수 있다.
창호블럭(200)을 창틀(100)과 연결하다 보면, 창틀(100)의 가이드돌기(121,141) 및 창호블럭(200)의 이동돌기(211)의 간섭으로 최후 1개의 창호블럭(200)의 조립이 어려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마감블럭(500)을 별도로 구비하여 전방에서 후방으로 끼우는 방식으로 우측 최하단의 창호블럭(200)을 대체하여 마감블럭(500)을 배치한다.
상기와 같은 마감블럭(500)의 구성으로, 전체적으로 상기 창호블럭(200)과 고정블럭(300)이 상기 창틀(100)에 포위된 상태로 모두 설치될 수 있고, 창호블럭(200)과 고정블럭(300)은 설치된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고 초기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마감블럭(500)을 제거하면, 언제든지 창호블럭(200) 및 고정블럭(300)을 이동해가면서 위치를 조정하거나, 창틀(100)에서 분리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마감블럭(500)의 전면부(510)에는 그립홈(540) 또는 그립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그립홈(540) 및 그립돌기를 통해 작업자가 마감블럭(500)을 보다 쉽게 끼우거나 빼낼 수 있다.
변형예로, 상기 마감블럭(500)의 배면부(520)는 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창호블럭(200)의 보조창틀(210) 및 창틀(100)은 철(Fe) 성분을 포함하여, 마감블럭(500)이 자력에 의해 창호블럭(200) 및 창틀(10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블럭(300)의 삽입홈(330) 내측 및 상기 돌출블럭(400)의 삽입돌기(420)의 단부에는 상호 인력이 작용하는 자석(6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자석(600)의 구성으로 삽입홈(330)에 압입된 삽입돌기(420)는 압입된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고정블럭과 돌출블럭이 조립된 상태를 보인 배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블럭(300)의 내부에는 고정블럭(300) 및 고정블럭(300)과 연결된 상기 돌출블럭(400)으로 빛을 공급하는 조명수단(700) 및 상기 고정블럭(300)의 내측 상부에서 출몰하면서 고정블럭(300)의 개구(340)를 차폐하는 가림막(80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블럭(300)의 내측에 조명수단(700)이 설치되면, 돌출블럭(400)에 수납된 전시물에 조명을 공급할 수 있고, 실내에도 조명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고정블럭(300)의 내측에 가림막(800)이 설치되면, 상황에 따라 고정블럭(300)의 개구(340)를 차폐하여, 실내로 조명이 전해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림막(800)은 일면 또는 양면이 반사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가림막(800)을 내리면, 조명수단(700)에서 공급된 조명이 실내로 가해지는 것을 완벽히 차단하는 것은 물론, 돌출블럭(400)에 수납된 전시물에 조명이 집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창(220) 및 창(410,530)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부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나머지 일부는 불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창호가 벽면에 시공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창호블럭(200)의 개수 및 배치에 따라 벽면(10)에 다양한 크기 및 구조로 창호가 시공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창호의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창호의 시공방법은 창호가 시공될 벽면(10)을 뚫어 사각형의 공간부(20)를 형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창틀(100)에 복수의 창호블럭(20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블럭(300)을 조합하여 다수개의 행과 열로 조립하되, 일측 하단의 모서리에는 상기 마감블럭(500)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하여 상기 공간부에 끼워지는 블럭조립체를 형성하는 제2단계와, 상기 블럭조립체를 상기 공간부(20)에 고정하는 제3단계와, 상기 고정블럭(300)의 삽입홈(330)에 돌출블럭(400)의 삽입돌기(420)를 끼우는 방식으로 고정블럭(300)에 돌출블럭(400)을 고정하는 제4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창호블럭(200)은 복수개의 행과 열로 배치되며, 각각의 창호블럭(200)은 좌측과 상측의 이동돌기(211)가 각각 우측과 하측의 이동홈(212)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또한, 최상단에 배치된 창호블럭(200)의 상측의 이동돌기(211)는 상부프레임(110)의 가이드홈(111)에 끼워져 고정되고, 최하단에 배치된 창호블럭(200)의 하측의 이동홈(212)에는 하부프레임(120)의 가이드돌기(121)가 끼워져 고정된다.
또한, 좌측에 배치된 창호블럭(200)의 좌측의 이동돌기(211)는 제1수직프레임(130)의 가이드홈(131)에 끼워져 고정되고, 우측에 배치된 창호블럭(200)의 우측의 이동홈(212)에는 제2수직프레임(140)의 가이드돌기(141)가 끼워져 고정된다.
또한, 창호블럭(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고정블럭(300)으로 대체된다.
또한, 창호블럭(200)을 창틀(100)과 연결하다가 최후의 창호블럭(200)의 위치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끼우는 방식으로 마감블럭(500)을 배치한다.
상기와 같은 마감블럭(500)의 구성으로, 전체적으로 상기 창호블럭(200)과 고정블럭(300)이 상기 창틀(100)에 포위된 상태로 모두 설치될 수 있고, 설치된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고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벽면 20 : 공간부
100 : 창틀 110 : 상부프레임
111,131 : 가이드홈 120 : 하부프레임
121,141 : 가이드돌기 130 : 제1수직프레임
140 : 제2수직프레임 200 : 창호블럭
210 : 보조창틀 211 : 이동돌기
212 : 이동홈 220 : 보조창
300 : 고정블럭 310 : 이동돌기
320 : 이동홈 330 : 삽입홈
340 : 개구 400 : 돌출블럭
410 : 창 420 : 삽입돌기
430 : 프레임 440 : 개구
450 : 받침판 500 : 마감블럭
510 : 전면부 520 : 배면부
530 : 창 540 : 그립홈
600 : 자석 700 : 조명수단
800 : 가림막

Claims (4)

  1. 벽면의 양측을 관통하여 형성된 사각형의 공간부에 설치되는 창호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의 상측 테두리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게 가이드홈이 형성된 상부프레임과, 상기 공간부의 하측 테두리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로 볼록하게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공간부의 일측 테두리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게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1수직프레임과, 상기 공간부의 타측 테두리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볼록하게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제2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틀;
    좌측과 상측에 각각 이동돌기가 구비됨과 동시에 하측과 우측에 상기 이동돌기가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홈이 구비된 사각형상의 보조창틀 및 상기 보조창틀에 고정된 보조창을 포함하고, 상하좌우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복수개의 행 및 열을 이루되, 상기 창틀의 가이드돌기가 이동홈에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이동돌기가 상기 창틀의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방식으로 상기 창틀에 고정되는 복수의 창호블럭;
    좌측과 상측에 이동돌기가 구비되고, 하측과 우측에 상기 이동돌기가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홈이 구비되며, 전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중심부에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창호블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대체하여 배치되는 사각형상의 고정블럭;
    후면이 개방되고, 상하좌우측면 및 전면이 창으로 이루어지되, 후면에 상기 삽입홈에 압입고정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블럭의 전방에 돌출되게 고정되는 돌출블럭;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후면에 상기 전면부의 상하좌우측면과 각각 단턱을 형성하도록 상기 전면부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배면부와, 상기 전면부 또는 배면부의 개방된 중심부에 구비된 창을 구비하여, 창틀의 가이드돌기 및 창호블럭의 이동돌기의 간섭됨 없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끼우는 방식으로 상기 창호블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대체하여 배치되는 마감블럭;
    상기 고정블럭의 내부에 설치되어 고정블럭 및 고정블럭과 연결된 상기 돌출블럭으로 빛을 공급하는 조명수단;
    상기 고정블럭의 개구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블럭의 내측 상부에서 출몰하면서 고정블럭의 개구를 차폐하는 가림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창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럭의 삽입홈 내측 및 상기 돌출블럭의 삽입돌기의 단부에는 상호 인력이 작용하는 자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창호.
  3. 삭제
  4. 제 1항에 기재된 조립식 창호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벽면을 뚫어 사각형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창틀에 복수의 창호블럭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블럭을 조합하여 다수개의 행과 열로 조립하되, 일측 하단의 모서리에는 상기 마감블럭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하여 상기 공간부에 끼워지는 블럭조립체를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블럭조립체를 상기 공간부에 고정하는 제3단계;
    상기 고정블럭에 돌출블럭을 고정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창호의 시공방법.
KR1020160155066A 2016-11-21 2016-11-21 조립식 창호 및 그 시공방법 KR101775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066A KR101775846B1 (ko) 2016-11-21 2016-11-21 조립식 창호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066A KR101775846B1 (ko) 2016-11-21 2016-11-21 조립식 창호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5846B1 true KR101775846B1 (ko) 2017-09-06

Family

ID=59925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066A KR101775846B1 (ko) 2016-11-21 2016-11-21 조립식 창호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58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197A (ko) * 2017-06-22 2019-01-02 이가원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
KR20220036749A (ko) 2020-09-16 2022-03-23 (주)엘엑스하우시스 이종 창호 시스템 시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2214A (ja) * 1999-12-27 2001-07-03 Takenaka Seisakusho Co Ltd 複合ガラスブロック体とこれを用いた装飾物
KR100958051B1 (ko) * 2009-05-19 2010-05-14 송현기공 주식회사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유리패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2214A (ja) * 1999-12-27 2001-07-03 Takenaka Seisakusho Co Ltd 複合ガラスブロック体とこれを用いた装飾物
KR100958051B1 (ko) * 2009-05-19 2010-05-14 송현기공 주식회사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유리패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197A (ko) * 2017-06-22 2019-01-02 이가원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
KR102014972B1 (ko) 2017-06-22 2019-10-21 이가원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
KR20220036749A (ko) 2020-09-16 2022-03-23 (주)엘엑스하우시스 이종 창호 시스템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5846B1 (ko) 조립식 창호 및 그 시공방법
JP2014531044A5 (ko)
JP4955215B2 (ja) 壁面収納装置
KR20150095407A (ko) 냉장고 도어 패널 조립구조 및 냉장고 도어 패널 조립방법
US10204534B2 (en)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KR20160061051A (ko) 전통 창호형 칸막이
JP5728306B2 (ja) 玄関構造
CN103097810B (zh) 用于led显示器的可变空间快门
JP6824698B2 (ja) コーナー方立
KR101618580B1 (ko) 안전창호
KR101691712B1 (ko) 조명장치가 구비된 천장마감재
JP2020045617A (ja) カーテンウォール
KR100648888B1 (ko) 건축물 창문틀 이용시설
JP7057185B2 (ja) 室内建具
JPH04306391A (ja) ロールカーテンボックス
JP5956270B2 (ja) ショーケース
KR102457522B1 (ko) 창호가 구비된 커튼월구조
KR20210037846A (ko) 블록형 파티션
JP6888185B2 (ja) 建具
JP5276296B2 (ja) 収納棚
JP2011006921A (ja) エントランスパネルの取付構造
JP6812211B2 (ja) 押縁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JP2008285921A (ja) 片引き戸及び片引き戸の施工方法
JP6410561B2 (ja) シャッター
JP2017046787A (ja) キャビネ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