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0224A - 전열교환부용 커버 - Google Patents

전열교환부용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0224A
KR20110060224A KR1020090116747A KR20090116747A KR20110060224A KR 20110060224 A KR20110060224 A KR 20110060224A KR 1020090116747 A KR1020090116747 A KR 1020090116747A KR 20090116747 A KR20090116747 A KR 20090116747A KR 20110060224 A KR20110060224 A KR 20110060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eat exchange
frame
heat exchange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일
서기동
김성유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6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0224A/ko
Publication of KR20110060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02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열교환부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교차되는 유동통로가 구비된 전열교환소자를 고정하는 프레임에, 후크부재가 구비된 날개살과 일체로 사출성형된 커버를 전열교환소자의 측면에서 프레임과 결합시켜 전열교환부의 경량화 및 조립성이 향상되고, 금속 철판재질의 커버보다 단열효과가 뛰어나 제품과 접촉되는 부분의 열손실을 완벽하게 막아줄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실내공기와 외부공기가 흐르는 통로공간이 형성된 전열교환소자(40)의 모서리부로 이를 지지 고정하는 프레임(50)이 구비되고, 그 양단부로 커버(60)가 설치되어 상기 통로공간의 기밀성이 확보되는 전열교환부(30)에 있어서;
상기 커버(60)는 전열교환소자(40)를 둘러싸는 날개살(61)과 일체로 사출성형되며, 날개살(61)의 내측에는 후크부(63)가 돌출형성되어, 프레임(50)의 고정홀(52)에 끼워져 결합되게 구성한다.
또, 커버(60)는 끝단부로 프라스틱 힌지(62)를 갖고 날개살(61)과 일체로 형성되며, 커버(60)의 중앙부에는 손잡이(64)가 일체로 사출 성형시켜 형성된다.
열교환기, 전열교환부, 커버, 날개살, 프라스틱 힌지, 후크부, 손잡이

Description

전열교환부용 커버{The cover for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전열교환부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교차되는 유동통로가 구비된 전열교환소자를 고정하는 프레임에, 후크부재가 구비된 날개살과 일체로 사출성형된 커버를 전열교환소자의 측면에서 프레임과 결합시켜 전열교환부의 경량화 및 조립성이 향상되고, 금속 철판재질의 커버보다 단열효과가 뛰어나 제품과 접촉되는 부분의 열손실을 완벽하게 막아줄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의 아파트나 주택의 경우에는 시공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실내의 밀폐성이 크게 향상되어, 창문 등을 개방하지 않고서는 환기가 이루어지지 않아 급기 및 환기가 이루어지는 공조시스템을 시공하고 있다.
이러한, 공조시스템은 도 1에서와 같이 실내의 공기와 실외의 공기를 강제 순환시켜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것으로, 실외와 실내를 연결하는 덕트(20) 및 상기 실외공기와 실내공기를 교차시 키는 전열교환부(30)가 구비된 열교환기(10)로 구성된다.
상기 전열교환부(30)는 도 2에서와 같이 흡입되는 외부공기와 배출되는 내부공기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독립적인 흐름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전열교환소자(40)를 중심으로 각 흐름 공간이 기밀성을 유지해야 한다.
이러한, 전열교환소자(40)는 밀폐된 양측면의 커버(60) 사이에 급,배기 되는 공기의 일방향 유동통로가 형성되게 적층되며, 각 모서리부에는 프레임(5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50)은 전열교환소자(40)를 지지함과 동시에 환기장치를 이루는 열교환기의 몸체와 격벽에 고정되어 전열교환부를 지지하게 한다.
그리고, 전열교환소자(40)의 양측에는 프레임(50)에 볼트나 리벳으로 고정되는 커버(60)가 결합되어, 전열교환소자(40)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밀폐시키도록 하였다.
또, 커버(60)의 중앙에는 전열교환기(30)를 작업자가 파지하고 이동할 수 있도록 별도의 손잡이(64)가 장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환기를 위해 전열교환 방식을 이용하면 전열교환소자를 통해 배출되는 실내공기와 흡입되는 실외공기가 열교환을 함으로써, 에너지 절약을 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종래의 전열교환부는 커버를 금속재인 철판을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제품의 무게를 증가시켜 설치위치 선정과 취급이 용이하지 않고,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 금속재인 철판 표면에 결로 현상에 의한 부식이 발생할 수 있어, 커버와 전열교환소자의 접촉부에서 누설이 발생해 기밀성이 떨어지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흡기 및 배기용 송풍기의 회전에 의한 진동이 커버에 전달되어 소음과 진동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커버의 중앙에는 별도의 손잡이를 장착하기 위한 작업공정 및 작업시간이 증가되는 폐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불편함과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전열교환소자의 양측을 고정하면서 프레임에 간단히 결합할 수 있는 커버를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시켜 경량화한 전열교환부용 커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버의 끝단에 후크부재가 구비된 날개살이 일체로 사출 성형하고, 프레임의 고정홀에 후크부재를 끼워 결합시켜 작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도록 한 전열교환부용 커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버의 중앙부로 손잡이를 일체로 성형시켜, 전열교환부의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전열교환부용 커버를 제공하는 데 그 목 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금속 철판재질의 커버보다 단열효과가 뛰어나 제품과 접촉되는 부분의 열손실을 완벽하게 막아줄 수 있는 전열교환부용 커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내공기와 외부공기가 흐르는 통로공간이 형성된 전열교환소자(40)의 모서리부로 이를 지지 고정하는 프레임(50)이 구비되고, 그 양단부로 커버(60)가 설치되어 상기 통로공간의 기밀성이 확보되는 전열교환부(30)에 있어서;
상기 커버(60)는 전열교환소자(40)를 둘러싸는 날개살(61)과 일체로 사출성형되며, 날개살(61)의 내측에는 후크부(63)가 돌출형성되어, 프레임(50)의 고정홀(52)에 끼워져 결합되게 구성한다.
또, 커버(60)는 끝단부로 프라스틱 힌지(62)를 갖고 날개살(61)과 일체로 형성되며, 커버(60)의 중앙부에는 손잡이(64)가 일체로 사출 성형시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전열교환소자의 양측에서 프레임과 조립되는 커버를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시켜, 전열교환부의 전체무게가 감소 되고, 설치위치 선정이 용이하다.
또, 일체로 성형된 커버와 날개살은 플라스틱 힌지부를 이용해 날개살이 용이하게 접혀질 수 있고, 날개살 내측에 구비된 후크를 이용해 프레임에 신속히 결합해 사용할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하다.
그리고, 커버의 중앙으로 손잡이가 플라스틱 힌지를 갖고 일체로 형성되어 전열교환부의 설치 및 이동이 간편하다.
본 발명을 통해 합성수지 재질의 커버는 기존의 금속 철판재질의 커버보다 단열효과가 뛰어나 제품과 접촉되는 부분의 열손실을 완벽하게 막아줄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커버는 부식을 방지해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소음과 진동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 례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열교환부의 전체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열교환부의 커버가 프레임에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커버가 조립된 전열교환부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실내의 공기와 실외의 공기를 강제 순환시켜, 실내의 공기를 실 외로 배출하고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급기할 때, 내부공기와 외부공기가 교차되는 유동통로가 적층된 전열교환소자(40)와, 이를 각 모서리부에서 지지하는 프레임(50)에 합성수지재를 이용해 경량화된 커버(60)를 결합시켜 전열교환부(30)가 구성되게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열교환부(30)는 열교환기(10)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전열교환소자(40)의 유동통로를 서로 교차하며 열교환이 이루어져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전열교환소자(40)의 네 측면 모서리에 설치되어 몸체를 지지하는 프레임(50)은 종래와 같이 양단부로 고정홀(52)이 형성되고, 열교환기(10)의 케이스 격벽에 설치 고정되는 보강대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커버(60)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해 일체로 사출 성형된 사각형상의 몸체와, 그 측면으로 날개살(61)이 프라스틱 힌지(62)를 두고 형성되어, 날개살(61)이 젖혀짐과 펴짐이 용이하며, 날개살(61)이 접혀져 프레임(50)의 고정홀(52)에 위치되는 내측에는 후크부(6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열교환소자(40)와 프레임(50)이 결합 된 상태에서, 그 양측으로 커버(60)를 위치시킨 후 커버(60)에 일체로 형성된 날개살(61)을 전열교환소자(40)의 각 측면을 덮는 형상으로 꺽어, 그 내측에 돌출되도록 성형시킨 후크부(63)가 프레임(50)에 구비된 고정홀(52)에 끼워져 결합 고정된다.
즉,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교차시켜 열교환하는 전열교환소자(40)를 지지하는 프레임(50)에, 후크부(63)가 내측에 형성된 날개살(61)과 일체로 사출 성형된 커버(60)를 전열교환소자(40)의 양측에서 상기 후크부(63)를 이용해 날개살(61)이 프레임(50)에 결합됨으로써 전열교환부(30)를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커버(60)의 몸체 중앙에는 손잡이(64)를 일체로 성형시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열교환부(30)를 사용자가 파지해 이동하거나, 열교환기(10) 내부에 설치할 때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또, 손잡이(64)는 커버(60)에 일체로 형성되고, 꺽여지는 절곡부는 프라스틱 힌지(62)를 형성시켜 이동시에는 손잡이(64)를 들어내고, 보관 및 설치 후에는 커버(60)에 손잡이(64)가 매설되도록 하여 외부기기와 접촉되지 않도록 하였다.
이러한, 커버(60)는 전열교환소자(40)의 전,후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 구조물의 지지 및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제품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 커버(60)의 무게감소로 인해 전열교환부(30)가 경량화됨으로써, 이를 설치하기 위한 위치선정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해 합성수지 재질로 커버를 성형하는 것에 의해 기존의 금속 철판재질의 커버보다 단열효과가 뛰어나 제품과 접촉되는 부분의 열손실을 완벽하게 막아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열교환기의 설치 개략도.
도 2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전열교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열교환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열교환부의 프레임과 커버의 조립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커버가 조립된 전열교환부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 열교환기 20 - 덕트
30 - 전열교환부 40 - 전열교환소자
50 - 프레임 52 - 고정홀
60 - 커버 61 - 날개살
62 - 프라스틱 힌지 63 - 후크부
64 - 손잡이

Claims (3)

  1. 실내공기와 외부공기가 흐르는 통로공간이 형성된 전열교환소자(40)의 모서리부로 이를 지지 고정하는 프레임(50)이 구비되고, 그 양단부로 커버(60)가 설치되어 상기 통로공간의 기밀성이 확보되는 전열교환부(30)에 있어서;
    상기 커버(60)는 전열교환소자(40)를 둘러싸는 날개살(61)과 일체로 사출성형되며, 날개살(61)의 내측에는 후크부(63)가 돌출형성되어, 프레임(50)의 고정홀(52)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전열교환부용 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60)는 끝단부로 프라스틱 힌지(62)를 갖고 날개살(61)과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전열교환부용 커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60)의 중앙부에는 손잡이(64)가 일체로 사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한 전열교환부용 커버.
KR1020090116747A 2009-11-30 2009-11-30 전열교환부용 커버 KR201100602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747A KR20110060224A (ko) 2009-11-30 2009-11-30 전열교환부용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747A KR20110060224A (ko) 2009-11-30 2009-11-30 전열교환부용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224A true KR20110060224A (ko) 2011-06-08

Family

ID=44395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747A KR20110060224A (ko) 2009-11-30 2009-11-30 전열교환부용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022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638B1 (ko) * 2016-11-10 2018-07-09 이재용 함체의 절단면 커버
KR20190000197A (ko) * 2017-06-22 2019-01-02 이가원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
KR20190001600U (ko) * 2017-12-19 2019-06-27 한국대동지공업 주식회사 전열교환소자의 사출 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638B1 (ko) * 2016-11-10 2018-07-09 이재용 함체의 절단면 커버
KR20190000197A (ko) * 2017-06-22 2019-01-02 이가원 함체용 투명창 고정 프레임
KR20190001600U (ko) * 2017-12-19 2019-06-27 한국대동지공업 주식회사 전열교환소자의 사출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10284B2 (ja) 空気調和機用室内機のケーシングアセンブリ及び空気調和機用室内機
KR100864016B1 (ko) 플러그업 케이싱형 공기조화기
KR101294097B1 (ko) 복층 패널 구조를 갖는 에너지 절감형 공기조화기
KR20110060224A (ko) 전열교환부용 커버
KR20140123184A (ko) 블레이드 체결구조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0860369B1 (ko) 공기조화기에 적용되는 결로방지용 피브이시 프레임 구조
WO2015080170A1 (ja) 室内機
KR101229343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CN108151281B (zh) 一种防凝露结构以及空调器
JP4654659B2 (ja) 浴室空調装置
KR2013005756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73002B1 (ko) 공기조화기
CN109827241A (zh) 壁挂式空调室内机的壳体组件、空调室内机和空调器
KR101336046B1 (ko) 공기조화기
KR20070058530A (ko) 천정 매립형 공기조화기
JP2001065924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CN205775364U (zh) 衣物处理装置的热泵模组及衣物处理装置
KR20030042713A (ko) 공기조화기의 에어가이드 조립체
KR20100023706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용 연교환 시스템
JPH035650A (ja) ダクト用換気扇
KR20130130561A (ko) 마감 커버 일체형 환기 유닛
CN217127821U (zh) 一种干衣柜
CN211340129U (zh) 上出风式干衣机
CN213747257U (zh) 用于空调器的侧板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JP2000266401A (ja) 壁埋込形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