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046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6046B1
KR101336046B1 KR1020120031725A KR20120031725A KR101336046B1 KR 101336046 B1 KR101336046 B1 KR 101336046B1 KR 1020120031725 A KR1020120031725 A KR 1020120031725A KR 20120031725 A KR20120031725 A KR 20120031725A KR 101336046 B1 KR101336046 B1 KR 101336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anel
clip member
opening
groov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9739A (ko
Inventor
류정운
문창성
김철원
Original Assignee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1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046B1/ko
Publication of KR20130109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외관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된 전면 패널; 및 상기 전면 패널이 개폐되게 하는 개폐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 수단은 체결 홈과, 상기 체결 홈에 착탈되는 클립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면 패널이 체결 홈과 클립부재를 포함하는 개폐 수단을 통해 스냅-핏(snap-fit) 방식으로 개폐되어, 전면 패널의 개폐가 용이하다. 그리고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 수가 최소화되어 조립 공수 절감과 원가 절감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의 본체와 전면 패널의 개폐 수단을 스냅-핏(snap-fit) 방식으로 개선함으로써, 전면 패널의 개폐가 용이하고, 구조의 단순화 및 부품 수의 감소를 통해 조립 공정을 단축하고 원가 절감을 구현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건물의 실내에 설치되어, 압축-응축-팽창-증발을 포함하는 일련의 냉동 사이클을 통해 냉방 및 난방 등을 도모하여 실내의 공기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킨다.
공기조화기는 통상적으로 실내기와 실외기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실내기와 실외기의 분리 여부에 따라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분리형은 실내기에 냉각/방열 장치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방열/냉각 및 압축 장치를 설치하여, 이들을 건물의 내외부에서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구조를 갖는다. 그리로 일체형은 냉각/방열의 기능을 일체화시켜, 건물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을 통해 일체로 연결시키는 구를 갖는다.
또한, 최근 공기조화기는 냉/난방 기능 이외에, 공기를 필터링하는 공기 여과 기능이나,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제습 기능 등의 여러 가지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로서, 이는 스탠드형(stand type) 실내기를 보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공기조화기(일례로, 실내기)는 일반적으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된 전면 패널(2)과, 상기 전면 패널(2)이 개폐되게 하는 개폐 수단(3)을 포함한다. 그리고 전면 패널(2)을 회동 가능하게 하는 힌지 수단을 포함하기도 한다.
상기 본체(1)는 통상 캐비닛, 하우징 또는 케이스라고도 하며, 이는 공기조화기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외관을 이루게 한다. 이러한 본체(1)에는 냉/난방 등을 위한 다양한 부품들이 내장된다. 본체(1)에는 예를 들어 공기를 흡입/토출하는 송풍기, 흡입된 공기를 조화(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열교환기 등이 설치된다.
상기 전면 패널(2)은 본체(1) 내부의 부품을 교체/보수하거나 세척 등이 필요로 하는 경우 개방된다. 이에 따라, 전면 패널(2)은 본체(1)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전면 패널(2)은 구체적으로 개폐 수단(3)에 의해 열림/닫힘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전면 패널(2)은 개폐의 편이성을 위해 힌지 수단에 의해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되고 있다. 이때, 상기 개폐 수단(3)은 주로 영구 자석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5700호[특허문헌 1]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21652호[특허문헌 2]에는 개폐 수단(3)으로서 영구 자석을 사용한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전면 패널(2)의 개폐가 용이하지 않고 취급상의 위험이 있다. 구체적으로, 개폐 수단(3)으로서 영구 자석을 사용하는 경우, 전면 패널(2)의 개방 시 강한 힘이 가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너무 강한 힘으로 잡아 당겼을 경우, 전면 패널(2)의 갑작스런 개방으로 인해 전면 패널(2)에 충격이나 파손이 발생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신체에 유해를 가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또한, 위와 같이 개폐 수단(3)으로서 영구 자석을 사용하는 경우, 시간이 지속됨에 따라 영구 자석의 자성이 소진되어 내구성이 떨어지고 영구 자석의 교체에 따른 유지 보수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107404호[특허문헌 3]에는 위와 같은 영구 자석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전류의 흐름에 의해 자성을 가지는 전자석과, 전면 패널(2)의 개폐를 위한 개폐 스위치와, 상기 전자석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전자석의 자성에 의해 인력과 척력이 작용하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개폐 수단(3)을 설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 특허문헌 3에 제시된 개폐 수단(3)은 전자석, 개폐스위치, 전원 공급부 및 자성체 등을 포함하여, 이는 구조가 복합하고 부품 수가 많다. 이에 따라, 조립 공정이 복잡하고 제품의 가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 3에 제시된 개폐 수단(3)은 전원을 필요로 하여, 그에 따른 유지비용(전력비용)도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570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2165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107404호
이에,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전면 패널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 수단을 구성함에 있어서, 착탈(着脫)이 용이한 스냅-핏(snap-fit) 방식으로 개선함으로써, 전면 패널의 개폐가 용이하고, 구조의 단순화 및 부품 수의 감소를 통해 조립 공정을 단축하고 원가 절감을 구현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외관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된 전면 패널; 및 상기 전면 패널이 개폐되게 하는 개폐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 수단은, 체결 홈과, 상기 체결 홈에 착탈 되는 클립부재 및 클립부재가 내삽 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상기 하우징은, 벽체와, 상기 벽체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클립부재가 내삽되는 두 개의 측판; 및 상기 두 개의 측판 사이에 형성된 지지판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체결 홈은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클립부재는 전면 패널의 배면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체결 홈은 제1홈과, 상기 제1홈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제2홈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클립부재는 체결 홈에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서부터 확개 연장된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로부터 절곡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홈과 제2홈의 사이에 마련된 단턱에 걸리게 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의 타측에서부터 연장 형성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로부터 절곡 연장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경사부와 탄성부가 삽입부로부터 확개 되는 구조를 취하는 공기조화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클립부재의 걸림부 및 지지부의 단부에는 절곡 연장된 제1끼움부와 제2끼움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판에는 제1끼움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제1고정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벽체에는 제2끼움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제2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공기조화기가 제공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면 패널이 체결 홈과 클립부재를 포함하는 개폐 수단을 통해 스냅-핏(snap-fit) 방식으로 개폐되어, 전면 패널의 개폐가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 수가 최소화되어 조립 공수 절감과 원가 절감을 구현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개폐 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개폐 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4a는 분리된 모습이고, 도 4b는 결합된 모습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 결합된 전면 패널(200); 및 상기 전면 패널(200)이 개폐되게 하는 개폐 수단(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면'을 포함하여, 방향성 나타내는 용어, '전방', '후면', '배면', '측면', '측방', '상면', '좌측' 및 '우측' 등은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상태에서 관찰자 정면으로 바라본 방향이다.
상기 본체(100)는 제한되지 않는다. 본체(100)는 통상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0)는 공기조화기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외관을 이루게 하는 것이면 좋다. 본체(100)는 다양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본체(100)는 통상적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나 실외기를 구성하는 캐비닛, 하우징 또는 케이스 등에 준하는 외관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원통형이나 다각면체(예를 들어, 사각면체, 육각면체 및 팔각면체 등) 등의 외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0)의 재질은 예를 들어 금속재, 플라스틱재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본체(100)에는 냉방 및/또는 난방 등을 위한 다양한 공기조화 부품들이 내장된다. 본체(100)에는 예를 들어 공기를 흡입/토출하는 송풍기, 흡입된 공기를 조화(냉각 또는 가열)하는 열교환기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100)의 전면, 측면, 및/또는 상면 등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흡입구, 조화(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본체(100)에는 필요에 따라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여 외부로 공급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 습도를 조절하는 제습 시스템; 및 기타 원적외선이나 청정 산소 등을 공급하는 공급 시스템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타 기능성 부품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본체(100)는 구체적인 예를 들어, 건물의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스텐드형의 실내기로서, 공기를 흡입/토출하는 송풍기, 및 흡입된 공기를 조화(냉각 또는 가열)하는 열교환기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구체적인 예를 들어 위와 같은 냉/난방 부품 등을 내장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도록, 좌우 측면 패널(120)과 후면 패널(1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 측면 패널(120)과 후면 패널(130)은 일체 구조를 갖거나, 별도의 부재로서 조립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는 전면에 결합된 측방 프레임 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측면 패널(120)의 전면에는 조립된 구조로 측방 프레임 부재(14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200)은 본체(100)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전면 패널(200)은 평판형 또는 소정 각도로 절곡된 라운드형이 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전면 패널(200)에는 통상과 같이 표시창, 각종 스위치 및/또는 센서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전면 패널(200)의 재질은 예를 들어 금속재, 플라스틱재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이러한 전면 패널(200)은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된 냉/난방 등의 공기조화 부품을 교체/보수하거나 세척 등이 필요로 하는 경우 개방된다.
상기 개폐 수단(300)은 본체(100)로부터 전면 패널(200)이 개폐되게 하는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에 따라서 스냅-핏(snap-fit) 방식의 체결 구조를 갖는다.
상기 개폐 수단(300)은, 구체적으로 체결 홈(310)과, 상기 체결 홈(310)에 착탈(着脫)되는 클립부재(320)를 포함한다. 이때, 클립부재(320)는 체결 홈(310)에 탄성적으로 착탈(결합과 분리)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체결 홈(310)과 클립부재(320)는 스냅-핏(snap-fit) 방식으로 착탈(결합과 분리)이 가능한 것이면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개폐 수단(30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내에 1개, 또는 2개 이상 다수 개 설치될 수 있으며, 그 설치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체결 홈(310)과 클립부재(320)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체결 홈(310)과 클립부재(320)는 본체(100)와 전면 패널(200)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체결 홈(310)은 본체(100)에 설치되고, 클립부재(320)는 전면 패널(200)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이와는 반대로 체결 홈(310)은 전면 패널(200)에 설치되고, 클립부재(320)는 본체(100)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 홈(310)과 클립부재(320)는 본체(100)와 전면 패널(2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 개 설치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체(100)와 전면 패널(2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결 홈(310)은 본체(100)의 전면 측방(전면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상기 클립부재(320)는 전면 패널(200)의 배면 측방(배면 가장자리)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것이 좋다. 그리고 이들(310)(320)은 다수 개의 동일한 개수로 설치된 것이 좋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결 홈(310)은 제1홈(312)과, 상기 제1홈(312)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제2홈(314)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는 측면 패널(120)의 전면에 결합된 측방 프레임 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방 프레임 부재(140)는 외측 부재(140A)와, 상기 외측 부재(140A)에 결합되는 내측 부재(140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 부재(140B)는 외측 부재(140A)에 삽입 결합되는 내측 프레임 본체(142)와, 상기 내측 프레임 본체(142)로부터 공간부(143)가 형성된 절곡 연장되어 형성된 커버링 부재(1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홈(312)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부재(140B)의 커버링 부재(144)에 천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홈(314)은 내측 프레임 본체(142)와 커버링 부재(144)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143)를 통해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링 부재(144)의 배면에 마련된 공간부(143)가 제2홈(314)이 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도 3 내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립부재(320)는 삽입부(322)와, 상기 삽입부(322)로부터 연장 형성된 탄성부(324)와, 상기 탄성부(324)로부터 연장 형성된 걸림부(326)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322), 탄성부(324) 및 걸림부(326)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부(322)는 체결 홈(310)에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서, 이는 예를 들어 "<"자형, "ㄷ"자형 또는 "⊂"자형 등의 유선형 단면을 가지는 것이 좋다. 도면에서는 "ㄷ"자형의 삽입부(322)를 예시하였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324)는 삽입부(322)로부터 확개(벌어져)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324)는 삽입부(322)의 일측(322a)에서 외측으로 테이퍼(taper)지게 확개 연장되며, 이는 탄성적이다. 또한, 상기 걸림부(326)는 탄성부(324)로부터 절곡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부(326)는 탄성부(324)와 걸림부(326)의 사이에 위치한 꺾임부(325)에서 내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324)와 걸림부(326)가 이루는 내각(θ), 즉 상기 꺾임부(325)의 내각(θ)은 예를 들어 90도보다는 크고 180도보다는 작을 수 있다. 즉, 90°< θ < 180°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각(θ)은 100° ~ 170°가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20° ~ 160°인 것이 좋다.
또한, 클립부재(320)는 삽입부(322)로부터 연장 형성된 경사부(323)와, 상기 경사부(323)로부터 꺾이어 연장 형성된 지지부(32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부(323)는 삽입부(322)의 타측(322b)에서 외측으로 테이퍼(taper)지게 확개 연장된다. 따라서 경사부(323)와 탄성부(324)가 삽입부(322)로부터 벌어진 구조로 확개 연장되어, 상기 삽입부(322)는 체결 홈(310)에 삽입이 용이한 구조, 즉 상기한 바와 같이 "ㄷ"자형 또는 "⊂"자형 등의 유선형을 갖는다. 아울러, 클립부재(320)는 상기 걸림부(326) 및 지지부(327)에 각각 연장 형성된 제1끼움부(328) 및 제2끼움부(3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따라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전면 패널(200)을 본체(100)에 가압하게 되면, 상기 클립부재(320)는 체결 홈(310)에 탄성적으로 삽입되되, 클립부재(320)의 걸림부(326)가 제1홈(312)과 제2홈(314)의 사이에 마련된 단턱(313)에 걸리게 되어, 전면 패널(200)은 본체(100)에 견고하게 결합(고정)된다.(닫힘) 그리고 소정의 힘으로 전면 패널(200)을 당기게 되면, 탄성부(324) 등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부(326)가 수축되어 체결 홈(310)으로부터 쉽게 분리된다.(열림)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위와 같이 스냅-핏(snap-fit) 방식을 통해 탄성적으로 조작되는 개폐 수단(300)에 의해 전면 패널(200)의 개폐가 용이하다. 즉, 종래의 자석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열림 조작이 매우 용이하다. 그리고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 수가 최소화된다. 특히, 종래의 전자석을 이용한 경우보다 부품 수가 현저히 감소된다. 이에 따라 조립 공정이 간단하고 원가 절감이 구현된다. 또한, 상기 개폐 수단(300)은 공기조화기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 사용 가능한 장수명 특성을 가지며, 전원 등과 같이 에너지의 소비가 없다.
한편, 상기 개폐 수단(300)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하우징(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330)에는 상기 클립부재(320)가 내삽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330)은 클립부재(320)를 내삽, 고정하여, 클립부재(320)를 보호하면서 본체(100) 또는 전면 패널(200)과의 고정력을 도모한다.
상기 하우징(330)은 클립부재(320)를 내삽할 수 있으면 다양한 구조가 고려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33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335)와; 상기 벽체(335)로부터 연장, 형성된 두 개의 측판(332)과; 상기 두 개의 측판(332)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두 개의 측판(332)을 연결하는 지지판(3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두 개의 측판(332)의 사이에 클립부재(320)가 내삽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334)에는 클립부재(320)의 삽입부(322)가 안착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330)은 본체(100) 또는 전면 패널(200)에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330)은 예를 들어 본체(100) 또는 전면 패널(200)을 구성하는 일부 구성 부재와 일체로 성형(일례로, 사출 성형)되어 고정되거나, 별도의 결합 수단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0) 또는 전면 패널(200)에 상기 벽체(335) 등이 나사, 피스, 접착제 또는 용접 등의 결합 수단을 통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립부재(320)와 하우징(330)은 예를 들어 상기 나열한 바와 같은 나사, 피스, 접착제 또는 용접 등의 결합 수단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클립부재(320)와 하우징(330)은,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립부재(320)에는 제1 및 제2 끼움부(328)(329)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330)에는 상기 제1 및 제2 끼움부(328)(329)가 삽입되는 제1 및 제2 고정홈(338)(339)이 형성되어, 양자의 결합력이 도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고정홈(338)은 지지판(334)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고정홈(338)에는 클립부재(320)의 제1끼움부(328)가 삽입,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홈(339)은 벽체(335)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2고정홈(339)에는 클립부재(320)의 제2끼움부(329)가 삽입, 고정된다.
따라서 클립부재(320)는 위와 같은 하우징(330)에 내삽되어 외력으로부터 보호되면서, 본체(100) 또는 전면 패널(200)에 하우징(330)을 매개로 하여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a 및 도 4b에 보인 바와 같이, 클립부재(320)는 하우징(330)에 내삽된 상태에서 하우징(330)과 함께 체결 홈(310)에 삽입되어 결합(고정) 구조를 도모한다.
아울러, 상기 개폐 수단(300)은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플라스틱재, 금속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조합은 개폐 수단(300)이 플라스틱재와 금속재이 혼용된 것, 예를 들어 클립부재(320)는 플라스틱재로 구성되고, 하우징(330)은 금속재로 구성된 것은 물론, 주재료는 금속재로 구성되고 표면에 플라스틱재가 코팅된 것을 포함한다.
한편,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힌지 수단(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힌지 수단(400)은 전면 패널(200)의 개폐 편이성을 위해, 전면 패널(200)이 회동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이는 통상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힌지 수단(400)은 전면 패널(200)의 측방(즉, 우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통상과 같이 본체(100)에 형성된 힌지 축(410)과, 상기 힌지 축(410)에 전면 패널(200)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보스(420)를 포함할 수 있다.
100 : 본체 120 : 측면 패널
130 : 후면 패널 140 : 측방 프레임 부재
200 : 전면 패널 300 : 개폐 수단
310 : 체결 홈 320 : 클립부재
322 : 삽입부 324 : 탄성부
326 : 걸림부 328 : 제1 끼움부
329 : 제2 끼움부 330 : 하우징
332 : 측판 334 : 지지판
335 : 벽체 338 : 제1 고정홈
339 : 제2 고정홈 400 : 힌지 수단

Claims (6)

  1.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외관을 이루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된 전면 패널(200); 및
    상기 전면 패널(200)이 개폐되게 하는 개폐 수단(300)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 수단(300)은,
    체결 홈(310)과, 상기 체결 홈(310)에 착탈 되는 클립부재(320) 및 클립부재(320)가 내삽 되는 하우징(330)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330)은,
    벽체(335)와, 상기 벽체(335)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클립부재(320)가 내삽되는 두 개의 측판(332); 및 상기 두 개의 측판(332) 사이에 형성된 지지판(3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홈(310)은 본체(100)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클립부재(320)는 전면 패널(200)의 배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홈(310)은 제1홈(312)과, 상기 제1홈(312)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제2홈(314)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클립부재(320)는 체결 홈(310)에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삽입부(322)와, 상기 삽입부(322)의 일측(322a)에서부터 확개 연장된 탄성부(324)와, 상기 탄성부(324)로부터 절곡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홈(312)과 제2홈(314)의 사이에 마련된 단턱(313)에 걸리게 되는 걸림부(326)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322)의 타측(322b)에서부터 연장 형성된 경사부(323)와, 상기 경사부(323)로부터 절곡 연장 형성된 지지부(327)를 포함하여 상기 경사부(323)와 탄성부(324)가 삽입부(322)로부터 확개 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삭제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재(320)의 걸림부(326) 및 지지부(327)의 단부에는 절곡 연장된 제1끼움부(328)와 제2끼움부(329)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판(334)에는 제1끼움부(328)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제1고정홈(33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벽체(335)에는 제2끼움부(329)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제2고정홈(339)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20031725A 2012-03-28 2012-03-28 공기조화기 KR101336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725A KR101336046B1 (ko) 2012-03-28 2012-03-28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725A KR101336046B1 (ko) 2012-03-28 2012-03-28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739A KR20130109739A (ko) 2013-10-08
KR101336046B1 true KR101336046B1 (ko) 2013-12-04

Family

ID=49631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725A KR101336046B1 (ko) 2012-03-28 2012-03-28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60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96053A (zh) * 2017-11-27 2018-03-1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柜机和空调器
CN110939993A (zh) * 2019-12-27 2020-03-31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外壳以及空调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5876A (ko) * 2002-08-14 2004-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개폐구조
KR200419956Y1 (ko) * 2006-04-18 2006-06-26 에스엘 주식회사 판재 고정용 클립홀더
KR20060099004A (ko) * 2005-03-10 200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5876A (ko) * 2002-08-14 2004-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개폐구조
KR20060099004A (ko) * 2005-03-10 200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200419956Y1 (ko) * 2006-04-18 2006-06-26 에스엘 주식회사 판재 고정용 클립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739A (ko) 201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93087B1 (en) Vertical air conditioner
US9702570B2 (en) Bulkhead assemblies for air conditioner units
US20140308887A1 (en) Blade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KR101336046B1 (ko) 공기조화기
US20120208447A1 (en) Motorized vav linear diffuser
KR102217013B1 (ko)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
JP6393210B2 (ja) 天井埋込式空気調和機
KR100347953B1 (ko) 삼면 토출형 공기 조화기의 전면 패널
KR100814026B1 (ko) 공기조화기
KR100717342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EP4086532A1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KR20110060224A (ko) 전열교환부용 커버
KR20070058530A (ko) 천정 매립형 공기조화기
KR10044100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00027305A (ko) 공기조화기
US20200080295A1 (en) Wall sleeve system for a ventilation system
CN210179850U (zh) 一种双进风口风幕机
KR20080057616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150133549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101555921B1 (ko) 디퓨져 탈부착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용 디퓨져
KR100600069B1 (ko) 공기조화기
KR20070107404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113451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
KR20070075509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90008622U (ko) 공기조화용 디퓨져의 덕트프레임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6